KR20000054164A -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164A
KR20000054164A KR1020000028186A KR20000028186A KR20000054164A KR 20000054164 A KR20000054164 A KR 20000054164A KR 1020000028186 A KR1020000028186 A KR 1020000028186A KR 20000028186 A KR20000028186 A KR 20000028186A KR 20000054164 A KR20000054164 A KR 2000005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base
order history
order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남
Original Assignee
김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남 filed Critical 김병남
Priority to KR102000002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164A/ko
Publication of KR2000005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164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후 상품(물품)과 가격 대한 검색을 하면 가까운 거리로부터 순서대로 판매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품(물품)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소비자가 주문을 원할 경우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을 작성하여 전송하면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에게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이 그대로 전송되어 위치확인 및 배송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에게는 위치정보 제공으로 인한 합리적 거리를 산출하고 빠른시간에 배달을 받을 수 있으며, 판매자에게도 거리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Method of electrical transmiting goods ordered which estabilishing database of local life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홈페이지를 검색하는 웹검색 엔진의 원리와 같이 서버내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업종에 대한 정보비교 검색을 통한 주문 내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거의 모든 실생활과 관련된 정보가 인터넷에 올라오게 되고, 인터넷 그 자체가 하나의 방대한 자료 창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매일 새로운 자료를 찾기 위해 인터넷을 넘나들고 있으며, 그들의 구미에 맞는 자료를 얻기 위해 인터넷 바다를 항해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폭발적인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을 통한 지역주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각종 생활 정보가 방대하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특허출원번호: 10-2000-6702)
첫째,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지도의 실시간 업데이트 시스템으로 동을 기반으로 한 전국적인 네트워크 조직을 이용, 전국의 3700여개 동의 생생한 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구축하고 매일매일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전국의 생생한 지역 정보를 매일매일 접해볼 수 있다.
둘째, 회원 로그인(Log-in)시에 자동 지역 이동 시스템으로 회원이 타운넷(Town Net)에 로그-인하는 경우 자기의 주거지/업무지 혹은 관심 지역등 가입 시 미리 설정해 놓은 지역의 홈페이지로 자동 이동하는 편리한 시스템이다.
셋째,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생활 서비스 시스템으로 이용자가 PC나 PDA를 이용하여 웹 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해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적절한(시간, 비용, 기호) 업종과 서비스를 검색하고 주문하는 (기존 전화망뿐만 아니라 다이얼패드와 채팅까지 이용) 편리한 시스템이다.
넷째, 변동 카테고리 시스템으로 그 지역에 있는 업종 정보만 올리고 없는 정보는 단어조차 떠오르지 않는다. 타운넷(TownNet)은 메뉴를 한 개로 고정 시킨 것이 아니라 지역별로 조사된 내용에 따라 변하게 함으로서 TownNet의 3000여 개에 달하는 모든 지역 홈페이지가 각기 다른 메뉴바를 가지고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변동 카테고리 시스템을 채택하였다.
즉, 각 Town의 홈페이지는 지역마다 그리고 시기마다 저절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전국이 자동적으로 실시간 지역 분석이 되고, 이용자 측면에서는 원하는 지역의 실제 존재하는 업종에 대해서 간편하고 자세하게 살펴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기 구축된 지리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한 웹기반 GISMAP과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는 오프라인 상에 존재하는 모든 업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되어있지 않아 실질적이고 구체적이며 지역생활과 밀접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검색방법 또한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단순검색어(주소, 전화번호, 업종 등)를 입력해서 검색해야 하는 실정이라서 인터넷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웹기반 GISMAP의 경우 흔히 구할 수 있는 기존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자료만이 현재 입력되어 있고, 추가로 업종의 위치와 정보를 입력한다 할지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단어의 입력방법이 획일적이고 단순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검색에 문제가 있다.
넷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현재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는 특정 정보만이 제공할 수 있고, 실생활과 밀접한 중소규모의 업종은 사실상 대부분 업주 개인이름으로 전화를 신청하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전화번호 또한 실제 오프라인상의 업종이름과는 대부분 다르게 입력되어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주소지, 상호이름,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검색하는 단순검색 방법이다.
여섯째, 소비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자상거래 업체나 배달업체에 접속하면 판매자의 배달거리와는 상관없이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물품)을 검색 후 주문하고 주소지와 전화번호, 구매자 이름, 주문(배달)내역 등 구매관련 정보를 입력하면 판매자가 입력된 주소를 확인 후 오프라인 상의 지번도와 위치도를 가지고 주소를 확인하거나 판매자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주소와 위치를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상품(물품)이 배달됨으로서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가 불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후 상품(물품)과 가격 대한 검색을 하면 가까운 거리로부터 순서대로 판매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품(물품)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주문을 원할 경우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을 작성하여 전송하면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에게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이 그대로 전송되어 위치확인 및 배송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고객인터페이스와, 웹서버, 판매자인터페이스, 상거래서버 및 지원실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물품주문시스템과, 상거래서버의 응용 프로그램 연동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따라 각종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웹기반의 상태에서,
웹서버에 로그인하여 회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기입력된 회원 주소를 기초로하여 고객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각 업종에 대한 정보가 분류되어 있는 업종 분류창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업종 분류창을 통하여 업종 정보를 검색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업종정보 검색에 따른 요청 결과를 열람하는 단계;
상기 요청 결과의 열람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회원이 희망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 및
판매자에게 주문 내역의 결과를 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주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거래서버 응용프로그램이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비교 검색 및 주문내역 전송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고객이 요구하는 업종 정보의 비교 검색과 주문내역 전송에 대한 절차를 제어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웹서버의 초기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업종 및 거리선택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및 상호명이 출력된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한 상호의 상세정보 출력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상품 현황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자 정보 및 내역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고객인터페이스 200 : 웹서버
300 : 판매자인터페이스 400 : 상거래서버
500 : 지원실인터페이스 700 : 응용프로그램
이하에서는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주문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web) 상에서 고객의 요청과 결과를 처리할 수 있는 고객인터페이스(100)와, 고객의 요청을 처리하고 상거래 시스템의 각 서버와 판매자와 연결되는 웹서버(200), 판매자의 요구를 처리하는 판매자인터페이스(300), 웹서버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상거래서버(400) 및 불만처리 및 판매자와의 정보를 주고 받는 지원실인터페이스(500)를 포함한 지역 정보를 기초로 한 물품주문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객인터페이스(100)는 정보를 검색하고 비교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주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주문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수시로 주문 내역도 조회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불만이 있을 경우 불만을 전달 할 수 있다.
웹서버(200)는 고객인터페이스(100)에서 요청된 모든 사항을 처리하는 데, 고객이 주문을 한 경우, 판매자인터페이스(300)에 알려서 물품을 배송하게 할 수 있고, 상거래서버(400)에 연결되어 각종 고객의 정보 검색 질의에 해당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판매자인터페이스(300)는 웹서버(200)로부터 고객이 주문한 최종주문 결과를 전송하며, 판매자는 판매자인터페이스로부터 받은 주문을 고객에게 물품을 배송하고 그 배송결과를 판매자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한다.
상거래서버(400)는 각종 지역생활정보 및 지도 정보, 업체에 대한 정보 및 분류가 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며 각종 웹서버(200)로 부터의 요구에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산출하여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지원실인터페이스(500)는 판매자인터페이스(300)로부터 자료,정보갱신 요청을 받아 상거래서버(400)에 갱신을 하며, 고객의 불만사항을 받아 이를 상거래서버(40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구축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기반 지역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조사분석 단계(S600)와,
상기 조사분석단계(S60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수정하고 가공하는 수정가공 단계(S610)와,
각종 조사 분석 및 수정 가공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데이터베이스구축단계(S6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사분석단계(S600)에서는 기초 자료의 조사 및 분석과 업종 현장방문등으로 조사분석 및 기존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조사 분석하고, 웹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을 조사 분석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정가공단계(S610)에서는 업종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업종별 데이터를 입력하고 규정된 폼을 만들고,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수정 분류 가공하고, 웹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위치정보와 가공분류된 업종정보를 오버랩하여 한눈에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검색관련 데이터를 분류 가공하고, 주문관련 데이터를 분류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구축(S620)단계에서는 웹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의 맵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수정된 전화번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정보검색관련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주문관련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거래서버 응용프로그램이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거래서버(400)의 응용프로그램(700)은 웹서버(200)의 각종 요청에 대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를 질의하여 추출한 것을 반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각종 작은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는데 그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다.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는 고객의 개인 정보 예컨대, 주소, 전화번호, 이름 등에 관한 각종 고객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는 판매자에 관한 각종 판매자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는 모든 업종의 위치를 보관하는 각종 위치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웹 기반 GIS 데이터베이스(DB)에는 웹 기반의 지리 정보에 관한 각종 지리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업종분류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업종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각종 업종 분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업종별 상세한 내용 예컨대, 업종소개, 특징, 장단점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상세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품명(메뉴) 데이터베이스(DB)에는 판매 가능한 상품(혹은 메뉴)의 종류에 관한 각종 상품(메뉴)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가격 데이터베이스(DB)에는 판매 가능한 상품(혹은 메뉴)의 가격에 관한 각종 가격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호명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업종의 이름을 보관하는 데이터 예컨대, 상호명(유사 상호명 포함), 건물명, 지리명, 시설물 이름 등에 관한 각종 상호명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간판명 데이터베이스(DB)에는 실제 사용하고 있는 간판의 이름에 관한 각종 간판명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주소 데이터베이스(DB)에는 주소에 관한 각종 주소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DB)에는 기존의 전화번호를 수정 입력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업종별 주문서에 관한 각종 주문내역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주문내역 저장 데이터베이스(DB)에는 판매자에게 주문된 내용에 관한 각종 주문내역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배송처리 데이터베이스(DB)에는 배송처리에 관한 각종 배송처리 정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평가점수 데이터베이스(DB)에는 소비자가 평가하는 업소의 점수를 누적하여 기록한 각종 평가점수 정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거래서버(400)의 응용 프로그램(700)은 웹서버(200)를 통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내의 데이터를 호출하여 얻은 후, 필요한 정보를 가공 처리하여 웹서버(200)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비교 검색 및 주문내역 전송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웹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S900)와;
고객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910);
업종 분류창이 오픈되는 단계(S920);
업종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S930);
요청 결과를 열람하는 단계(S940); 및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S950);
주문하는 단계(S960): 및
판매자에게 주문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970)로 이루어진 주문내역 전송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고객은 상기 웹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S900)와 같이 웹서버에 주소를 가지고 접속하게 되고, 회원인 경우 로그인에 성공하게 된다.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을 권유 받게 되며, 회원이 되기위한 약관 및 규정에 동의하고 회원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회원은 회원 가입시에 입력된 주소에 의하여 위치가 디폴트로 정해지는 데 현재의 위치와 다르다면 새로운 위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 상기의 고객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910)이다.
회원은 업종 분류창이 오픈되는 단계(S920)와 같이 나타난 업종 분류창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업종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업종정보검색을 요청(S930)하여 업종을 찾을 수도 있다.
이 때, 업종정보검색은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업종정보 검색이 이루어진다.
업종을 찾아내면 그 요청 결과를 열람(S940)하여 물품의 주문 혹은 구매를 결정(S950)하고 이를 요청하면 주문하는 단계(S960)에서 주문내역에 대한 각종 정보가 갱신되고 판매자에게 주문내역 결과가 폼으로 전송되는 단계(S970)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고객이 요구하는 업종 정보의 비교 검색과 주문내역 전송에 대한 절차를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순서도에 대해 살펴 보면, 고객은 웹서버에 주소를 가지고 접속하게 되고, 회원인 경우 로그인에 성공하게 되며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을 권유 받게 되며 회원이 되기위한 약관 및 규정에 동의하고 회원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회원은 회원 가입시에 입력된 주소에 의하여 위치가 디폴트로 정해지는데 현재의 위치와 다르다면 새로운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웹서버의 응용프로그램이 호출되어 웹 GIS 데이타베이스, 위치정보 데이타베이스, 고객정보 데이타베이스가 이용되게 된다.
업종 분류창이 오픈되면 거리등을 선정하여 검색을 하게된다.
이때에 검색 방법은 두가지로 되는 데,
방법 1은 업종분류로 의한 메뉴를 검색하는 방법과
방법 2는 검색어를 사용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이다.
방법 1은 일반적인 방법이며, 대분류에서 중분류, 중분류에서 소분류로 선택되어 검색이 된다.
방법 2의 경우 검색할 수 있는 검색어의 종류는 주소, 전화번호, 업종, 상호명(유사 상호명 포함), 간판명, 상품명(메뉴), 건물명, 거리명, 가격, 문자(업종의 상세 정보 내용), 고객평가점수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중 한가지 혹은 2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조건을 검색할 수 있어 2047가지의 검색 조건을 가질 수 있으며, 정보 검색 결과는 4가지 정도로서 간편화하여 보여 줄 수 있다.
도 5에서 'if (방법1)'은 위의 방법 1일때의 경우이며, 'if (방법2-1) ~ if (방법2-4)'는 위의 방법 2일때의 순서이다.
즉, 2047가지의 경우를 분류하여 검색 결과를 4가지 정도로 압추기키고 또한 상거래 서버의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타를 호출할 때 'if (방법 2-1) ~ if (방법2-4)'의 상황에 맞는 데이타베이스를 가져올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킨다.
검색 혹은 업종분류창에서 원하는 정보가 얻게 되면 화면에는 위치정보와 초기정보창이 오픈되고 그 후에 상세정보보기를 하면 업종 상세 정보창이 오픈된다.
그 후에 상품보기를 하면 상품(메뉴)창이 오픈되고 주문을 누르면 위치정보와 주문내역창이 오픈된다.
이 때, 전송을 하면 주문내역 정보 폼이 전송되고 주문내역 정보가 저장된다. 주문내역 정보 폼이 판매자에게 전송되면 판매자는 주문내역 정보 폼을 열어보고 주문내역 폼에 의한 물품을 배송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웹서버의 초기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하는 키로 로그인을 하면 디폴트로 회원 가입시에 지정한 주소가 초기로 뜨게 된다.
하지만 초기주소와 현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주소입력창에서 현재의 위치를 지정한다.
검색은 거리입력 혹은 검색어 입력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업종 분류를 따라서 메뉴을 검색 할 수도 있다.
대분류에서 중분류로, 중분류에서 소분류로 점점 세세하게 내려갈 수 있다.
또한, 하단에 주문 바로하기를 통하여 상품(물품)을 주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및 거리선택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종분류를 통하여 세세한 분류까지 선택하고 보면 현 위치에서의 거리를 통하여 해당업소를 간추릴 수 있다.
각각의 업종과 거리를 선택한 후 결정을 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및 상호명이 출력된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선택한 상호의 상세정보 출력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순서로 상호명은 소팅되어 나타난다.
우측에 보면 상호명과 전화번호가 순서대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우측의 상호명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9에 도시된 선택한 상호의 상세정보 출력 화면상태에서는 상호와 전화, 업소의 소개, 특징등이 나타나고 필요하면 사진과 찾아오는 길, 기타 광고 정보 및 물품(상품)의 품명이 제공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상품 현황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자 정보 및 내역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고객이 선택한 상품명이 나타나고 갯수와 가격 합계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주문하기 전에 최종으로 선택을 마무리한다.
선택을 마친후 전송을 하기전에 고객에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자가 주문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전송하기 전에 나타난다.
주문자는 여기에서도 한번 더 확인하고 주문하게 되는 데, 전송을 누르면 웹서버는 고객의 주문내역을 상거래서버에 알려 정보를 갱신하고 판매자에게 도 11과 같은 화면을 제공한다.
판매자는 접수후에 바로 주문자에게 상품을 배송하고 배송된 사실을 웹서버를 통하여 상거래서버에 알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정보비교 검색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웹기반의 GIS와 현장 방문조사를 통하여 수집, 가공, 입력된 모든 업종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온-라인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있어서도 소비자에게 매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의해 다양한 검색어를 사용하여 업종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비교 검색할 수 있으므로써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고, B to B, B to C 간의 전자상거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특정 위치로부터 근접순위별 업종의 상호 비교검색이 가능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써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소비자가 주문을 원할 경우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을 작성하여 전송하면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판매자에게 주문자의 위치와 배달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맵과 주문내역 폼이 그대로 전송되어 위치확인 및 배송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행해짐으로써 고객에게는 위치정보 제공으로 인한 합리적 거리를 산출하고 빠른시간에 배달을 받을 수 있으며, 판매자에게도 거리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9)

  1. 고객인터페이스와, 웹서버, 판매자인터페이스, 상거래서버 및 지원실인터페이스가 구비되고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물품주문시스템과, 상거래서버의 응용 프로그램 연동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따라 각종 정보를 가공처리하여 제공하는 웹기반의 상태에서,
    웹서버에 로그인하여 회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기입력된 회원 주소를 기초로하여 고객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각 업종에 대한 정보가 분류되어 있는 업종 분류창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업종 분류창을 통하여 업종 정보를 검색 요청하는 단계;
    상기 업종정보 검색에 따른 요청 결과를 열람하는 단계;
    상기 요청 결과의 열람에 따라 구매를 결정하는 단계;
    회원이 희망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단계; 및
    판매자에게 주문 내역의 결과를 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업종분류창 오픈 및 업종정보 검색요청 단계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게 되면 화면에는 위치정보와 초기정보창이 오픈되고 상세정보보기를 하면 업종 상세정보창이 오픈되며,
    그 후에 상품보기를 하면 상품(메뉴)창이 오픈되고 주문을 누르면 위치정보와 주문내역창이 오픈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주문내역창이 오픈되는 경우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따라 웹 GIS 데이터베이스,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주문내역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와 주문내역창이 오픈된 후 전송을 하면 주문내역 정보 폼이 전송되고 주문내역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 정보 폼이 전송되는 경우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따라 판매자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데이터 호출에 따라 주문내역저장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문내역 정보 폼이 판매자에게 전송되는 경우 판매자는 주문내역 정보 폼을 열어보고 주문내역 정보 폼에 의한 물품을 배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문 내역의 결과를 폼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웹서버에서는 고객의 주문을 상거래서버에 알려 정보를 갱신함과 더불어 판매자에게 주문자 정보 및 주문 내역 창이 뜨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문 내역의 결과를 폼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판매자는 주문자 정보 및 주문 내역을 접수한 후 주문자에게 상품을 배송하고 배송된 사실을 웹서버를 통하여 상거래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 전송방법.
KR1020000028186A 2000-05-24 2000-05-24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KR20000054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186A KR20000054164A (ko) 2000-05-24 2000-05-24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186A KR20000054164A (ko) 2000-05-24 2000-05-24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164A true KR20000054164A (ko) 2000-09-05

Family

ID=1967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186A KR20000054164A (ko) 2000-05-24 2000-05-24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1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7897A1 (en) * 2001-03-13 2002-10-03 Minsoo Kang Digital map ranking system
KR20030032197A (ko) * 2001-10-16 2003-04-26 장덕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식음료 주문 및 판매 방법과그 시스템
KR100837295B1 (ko) * 2000-11-29 2008-06-12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5B1 (ko) * 2000-11-29 2008-06-12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WO2002077897A1 (en) * 2001-03-13 2002-10-03 Minsoo Kang Digital map ranking system
KR20030032197A (ko) * 2001-10-16 2003-04-26 장덕수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식음료 주문 및 판매 방법과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0716B (zh) 提供商品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WO2009125495A1 (ja) 広告表示方法、広告表示システム及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KR100834467B1 (ko)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20000036648A (ko)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A3079943A1 (en) Knowledge search engine platform for enhanced business listings
KR20000050201A (ko)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정보비교검색방법
KR20000072562A (ko) 인터넷을 통한 특정지역의 지리정보를 포함한 상업정보제공시스템.
KR101750885B1 (ko) 행정 구역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 정보 검색 방법
KR20000030797A (ko) 인터넷 개방형 네트워크에서의 상거래 주체 중심의 전자상거래 방법
JP4868468B2 (ja) 商品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商品情報収集プログラム
KR100771762B1 (ko) 휴대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카드의관리와 제휴매장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서비스 시스템
KR20000054164A (ko)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KR100465246B1 (ko) 키워드 검색방식에 의한 전자지도 검색과 검색엔진이 채용된 업종 등 지역생활정보 제공방법
KR20000054163A (ko) 지역 생활정보를 기초로한 물품주문시스템 및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180092053A (ko) 지능형 쇼핑 관리시스템
US201403653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Matching of Consumers and Retailers
JP2001325482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売買仲介方法
KR100470092B1 (ko) 인터넷상에서 상품만족도에 의한 상품정보 검색방법
KR20010100667A (ko) 지역정보 간편주문 서비스방법
JPWO2005094186A1 (ja) 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電子メール自動処理システム
KR20000063688A (ko)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상권분석 전문가시스템
KR20000050056A (ko) 지역 정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방법
KR20190128828A (ko) 수요자 관점의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7885A (ko) 인터넷 검색엔진
KR102061801B1 (ko)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