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69B1 -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69B1
KR101394969B1 KR1020120012191A KR20120012191A KR101394969B1 KR 101394969 B1 KR101394969 B1 KR 101394969B1 KR 1020120012191 A KR1020120012191 A KR 1020120012191A KR 20120012191 A KR20120012191 A KR 20120012191A KR 101394969 B1 KR101394969 B1 KR 10139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mark
user
user terminal
sett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846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1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8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displaying an additional top view, e.g. radar screens or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랜드마크를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 상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맵 상의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의 형태 또는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온라인 게임의 진행 중,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맵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시, 사용자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 중 하나의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랜드마크에 대해 기설정된 적용 범위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적용 범위에 따라 랜드마크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맵상에 표시된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랜드마크에 설정된 기능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ANDMARKIN ONLIN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랜드마크를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 상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맵 상의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의 형태 또는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은 네트워크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온라인 문화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이다. 온라인 게임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을 요구하게 되었고, 현재는 매우 다양한 장르의 온라인 게임이 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대부분은 캐릭터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하고, 온라인 게임에서 제공된 캐릭터를 선택하고, 캐릭터를 조작하여 게임을 즐기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은 게임 상의 가상 공간에서 진행되며, 사용자가 운용하는 캐릭터는 가상 공간을 이동하며 미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은 게임에서 맵(map)이라 불린다.
최근 온라인 게임은 종래의 온라인 게임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맵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동일한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이 급격하게 커졌으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 상에서 더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할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러나 맵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맵 상에서 자신의 캐릭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캐릭터의 위치를 알려줄 필요성이 있으며, 맵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단순히 사용자들 사이의 채팅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글로써 자신의 위치나 맵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여야 하는 한계로 인해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채팅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캐릭터를 조작하지 못하여 게임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여 게임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랜드마크를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 상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맵 상의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의 형태 또는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온라인 게임의 진행 중,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맵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 중 하나의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상기 랜드마크에 대해 기설정된 적용 범위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적용 범위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랜드마크에 설정된 기능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은,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 및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에 대해 상기 랜드마크 기능이 복수개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 화면은,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인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및
상기 기설정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랜드마크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 창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와 기능 및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랜드마크 이미지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에 입력된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에 추가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가 포함된 팀에 속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팀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적용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제공하는 게임 모드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게임 모드 중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게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 사용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진행 중인 게임의 모드가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에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게임이 상기 맵에 대한 지도 및 레이더 기능을 수행하는 미니맵을 제공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니맵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에 함께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온라인 게임 상에서 운용되는 복수개의 팀에 대한 팀 정보를 저장하는 팀 정보 저장부; 상기 팀을 구성하는 캐릭터를 포함한 온라인 게임 상에 운용되는 복수개의 캐릭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캐릭터 정보 저장부;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복수개의 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정보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며, 온라인 게임 진행 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 신호 수신 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 시, 상기 랜드마크에 설정된 적용 범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맵 상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은,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 및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에 대해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이 복수개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 화면은,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랜드마크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인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및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랜드마크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 창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가 포함된 팀에 속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팀 적용 범위,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적용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며,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와에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맵 정보 저장부는, 상기 맵에 대한 지도 및 레이더 기능을 수행하는 미니맵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진행 중인 경기에 대한 미니맵 정보를 상기 맵 정보 저장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공간 상에서 진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랜드마크를 가상 공간 상의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설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맵 상의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알려 줄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의 형태 또는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맵 상의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랜드마크를 사용자와 동일한 팀을 구성한 팀 구성원들에게만 표시되도록 하여 팀 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랜드마크를 활용하여 게임 상의 다양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게임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사용자 랜드마크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사용자 랜드마크를 생성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드마크의 적용 대상을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경기 진행 중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택된 랜드마크를 맵상에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택된 랜드마크를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8 은 본발명의일 실시예에따른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의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캐릭터는 온라인 게임 중 일 종목을 사용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게임 내에 등장하는 모든 캐릭터들을 의미한다.캐릭터는 게임 화면 상에 등장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게임 내에서 일정한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캐릭터는 게임의 수행 결과에 따라서 일정한 경험치를 쌓으면서 레벨이 상승될 수 있으며, 레벨의 상승에 따라서 캐릭터의 능력치가 더욱 강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맵은 사용자가 운용하는 캐릭터가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맵은 게임의 종류에 따라 그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공된다.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 맵은 실제 세계의 지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숲이나 산속 또는 도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게임에서는 하늘이나 바닷속 또는 우주 공간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맵은 특정한 공간을 지칭하지 않고, 게임의 종류에 따라 어떤 형태의 가상 공간이라도 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생성 여부를 판별한다(S100).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랜드마크는 기존의 온라인 게임에서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를 생성하여 제공 할 수 있다. 여기서 랜드마크는 랜드마크 제공 장치에서 미리 생성하여 설정된 랜드마크를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에서 생성한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만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는 사용자가 직접 모델링한 오브젝트(object)를 랜드마크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랜드마크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기 생성된 랜드마크일지라도 사용자가 복수개의 랜드마크 중 소정 개수의 랜드마크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선택된 랜드마크가기설정된 기능이 아니라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랜드마크 제공 장치로 인가하여, 랜드마크를 설정 화면으로 입장할 수 있다.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생성 신호가 수신되면, 랜드마크 설정 화면으로 입장하여 적어도 하나의사용자 랜드마크를 생성한다(S200). 여기서 생성되는 랜드마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미리 생성한 복수개의 랜드마크 중 소정 개수의 랜드마크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생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모델링한 랜드마크를 랜드마크 제공 장치로 전송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랜드마크는 맵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와 랜드마크 이미지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랜드마크가 생성되면,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 각각에 대해 랜드마크 기능을 설정한다(S300). 여기서 설정되는 랜드마크의 기능은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기 위한 각 랜드마크의 용도를 나타내며, 랜드마크가 실질적으로 게임 상에서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해당 랜드마크를 선택하는 경우에, 설정된 랜드마크의 용도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는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가 활용될 수 있다. 각각의 랜드마크는 사용자가 맵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자신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인식 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복수개의 랜드마크에 서로 다른 용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맵 상의 특정 위치를 적이 출몰하는 위험지역으로 표시하기 위해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가 맵 상의 어느 장소에 위치해 있는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여러 종류의 랜드마크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랜드마크 각각의 기능을 모두 기억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맵상에서 특정 랜드마크에 클릭하거나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시키면, 해당 랜드마크에 설정된 기능이 팝업 또는 말풍선 등의 형태로 설명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랜드마크의 용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의 기능은 일 예로,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표시, 위험 지역 표시, 팀 구성원 집합 장소 설정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랜드마크는 맵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모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랜드마크의 기능별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랜드마크의 이미지에 색상의 조합을 서로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랜드마크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캐릭터의 위치 표시는 동일한 랜드마크 이미지에서 흰색을 적용하고, 위험 지역 표시는 적색을 적용하고, 집합 장소는 녹색을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랜드마크에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랜드마크의 기능을 사용자들에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랜드마크의 기능을 인식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랜드마크 이미지를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랜드마크의 경우에는 동일한 랜드마크 이미지에 숫자나 기호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랜드마크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 후,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게 특정 랜드마크의 번호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서 자신이 지시하고자 하는 위치를 다른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랜드마크의 기능이 설정되면, 랜드마크 적용 대상을 설정한다(S400). 온라인 게임은 다양한 모드의 게임을 제공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모여서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은 모드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이 제공하는 공동의 적을 상대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팀을 이루어 팀별로 경쟁하는 형태로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다양한 모드가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에서, 랜드마크는 모든 모드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수행하는 모드에 따라 사용자 랜드마크 사용은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복수개의 모드 중 랜드마크가 적용될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드가 설정된 이후에도, 랜드마크의 종류에 따라서 모든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지, 아니면 사용자의 팀에 포함된 팀 구성원에게만 표시할지, 또는 사용자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만 표시할 지 설정할 수 있다.
랜드마크의 적용 대상까지 설정이되면, 다시 다른 랜드마크를 추가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500). 랜드마크를 추가할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랜드마크를 생성하는 단계(S200)와 랜드마크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S300) 랜드마크 적용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S400)를 반복한다. 그러나 랜드마크를 추가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가 경기를 시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600).
경기가 시작되면, 랜드마크 제공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별한다(S700). 사용자는 맵 상에서 사용자의 캐릭터를 운용하여 경기 진행하고, 경기 진행 중에 특정 위치에 랜드마크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랜드마크 사용신호를 랜드마크 제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랜드마크 사용 신호가 수신되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맵 상의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사용자가 선택한 랜드마크를 표시한다(S800). 본 발명에서 사용자 랜드마크는 사용자가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맵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신호가 수신되기를 대기하고 있는다. 그리고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랜드마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를 표시한 이후, 경기가 종료되는지를 판별한다(S900). 경기가 종료되지 않았다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다시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별한다(S700).
상기한 바와 같이, 도1 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복수개의 랜드마크 중 사용자가 선택한 랜드마크나 사용자가 직접 모델링한 랜드마크를 맵상의 임의의 위치에 사용자가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맵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맵 상에 표시된 특정 랜드마크를 선택하면, 해당 랜드마크의 설명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여, 해당 랜드마크가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사용자 랜드마크 설정 화면을 나타낸다.
도1 에서 본 발명의 랜드마크는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랜드마크의 기능 및 적용 범위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도2 의 사용자 랜드마크 설정 화면(10)은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SW)와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LMFW) 및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LMRW)를 구비한다.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SW)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기생성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LMI)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LMI) 중 하나의 랜드마크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UIAB)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모델링한 이미지를 랜드마크 이미지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UIAB)를 활용하여 사용자 이미지가 랜드마크 이미지로 추가되면, 추가된 이미지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SW)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추가된 이미지를 랜드마크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또한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UIAB)이 선택되면,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에서 직접 랜드마크를 모델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에서 생성된 랜드마크 이미지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SW)에 추가된다.
랜드마크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중에서는 사용자가 게임 상에서 사용하는 캐릭터에 대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온라인 게임 중 일부 게임은 개별 캐릭터 또는 팀을 대표하는 대표 마크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게임에서는 대표 마크를 랜드마크로 활용하게 되면, 어떤 사용자를 위한 랜드마크인지 구분이 용이하며, 기 생성된 대표마크를 랜드마크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LMFW)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SW)에서 선택된 랜드마크 이미지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는 창이다.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LMFW)은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LMF)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LMF) 중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랜드마크 이미지(LMI)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UFB)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랜드마크 기능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UFB)를 선택하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미도시)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에 랜드마크의 기능을 입력하면, 입력된 기능이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LMFW)에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랜드마크 기능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랜드마크에 대한 설명으로서, 맵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 중 하나의 랜드마크가 선택되면, 설정된 기능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가 게임상에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랜드마크는 랜드마크를 표시한 사용자가 맵상의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자신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자가 특정 랜드마크를 선택하면, 선택된 랜드마크의 기능으로 설정된 내용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한다.
그리고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LMRW)은 특정 사용자가 맵상에 표시한 랜드마크가 표시될 범위를 설정한다. 랜드마크는 랜드마크를 설치한 사용자 자신만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포함된 팀의 팀 구성원들에게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에 랜드마크 적용범위 설정창(LMRW)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랜드마크 적용 범위(LMR)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복수개의 랜드마크 적용 범위(LMR) 중 하나의 랜드마크 적용 범위를 선택하여,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랜드마크 적용 범위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랜드마크 제공 장치에 부하가 커질 수 있으므로, 랜드마크 적용범위는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제공한 복수개의 랜드마크 적용 범위 중에서 하나의 랜드마크 적용 범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드마크 설정 화면(10)은 랜드마크 확인 버튼(SLMC)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랜드마크 이미지(LMI)와 랜드마크 기능(LMF) 및 랜드마크 적용 범위(LMR)로 랜드마크를 생성하여 랜드마크 저장 장치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사용자 랜드마크를 생성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사용자 랜드마크를 생성하는 흐름을 설명하면, 먼저, 랜드마크 생성 신호가 수신되면, 랜드마크 설정화면(10)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랜드마크 설정화면(10)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S210).
사용자가 랜드마크 설정화면(10)으로 입장하면, 사용자는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기 설정 랜드마크를 사용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220). 만일 기 설정 랜드마크를 사용하다면,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LMIW)에 표시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LMI) 중 하나의 랜드마크 이미지를 선택하여 랜드마크를 생성할 수 있다(S230). 그러나 사용자가 기설정된 랜드마크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생성한다면,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UIAB)를 선택한다.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UIAB)이 선택되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을 사용자 단말에 표시한다(S240). 사용자는 랜드마크 생성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랜드마크를 모델링하여 생성한다(S250).
도4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랜드마크의 적용 대상을 설정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랜드마크의 적용 대상은 맵 상에 특정 사용자가 배치한 랜드마크를 게임 진행 중에 확인 가능한 모드 또는 사용자 범위를 나타낸다. 랜드마크의 적용 대상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모드 적용 범위를 설정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410). 모드 적용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잇는 것으로 판별되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를 이용할 수 있는 적용 모드를 설정한다(S420).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의 온라인 게임은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고, 각 모드별로 게임의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드와 랜드마크를 이용할 수 없는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랜드마크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드와 이용할 수 없는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나,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각 모드별 특성을 고려하여 랜드마크의 이용 가능 영부를 판별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드별 특성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에 대해서도 기능에 따른 특성이 있으므로,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의 기능을 고려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해 이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후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의 기능을 분석하여랜드마크에 개인 범위로 설정할지 판별한다(S430). 만일 랜드마크가 개인 표시 적용 대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를 설정한다(S440).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가 설정되면, 랜드마크가 경기 진행 도중에 랜드마크를 배치한 사용자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만 보일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특정 사용자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로 설정된 랜드마크를 맵 상에 배치하면, 해당 랜드마크는 랜드마크를 배치한 사용자만이 인식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든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는 랜드마크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랜드마크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다.
그리고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를 팀 범위로 설정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450). 랜드마크를 팀 범위로 설정할 것으로 판별되면,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를 팀 적용 범위로 설정한다(S460). 팀 적용 범위로 설정되면, 랜드마크를 맵상에 배치한 사용자가 포함된 팀 구성원들이 랜드마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적용 범위가 설정된다. 즉 특정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맵상에 배치하면, 사용자와 사용자가 포함된 팀을 구성하는 팀 구성원들은 모두 랜드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팀에 소속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들은 랜드마크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를 모든 캐릭터 범위로 설정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470). 모든 캐릭터 범위로 랜드마크를 설정할 것으로 판별되면,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를 모든 사용자 적용 범위로 설정한다(S480).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가 모든 사용자 적용 범위로 설정되면, 해당 모드의 경기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확인 할 수 있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경기 진행 중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5를 참조하면,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흐름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수신하면(S700), 먼저 랜드마크 사용가능 모드인지 판별한다(S810). 랜드마크 사용 가능 모드이면, 사용자 단말에 현재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복수개의 랜드마크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중 맵에 배치할 랜드마크를 선택하여 랜드마크 선택 신호를 랜드마크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S820).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랜드마크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랜드마크를 맵상에 표시한다(S830).
이후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온라인 게임의 해당 모드가 미니맵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840). 미니 맵은 온라인 게임의 가상 공간인 맵에 대한 일종의 지도이며, 온라인 게임에 따라서는 레이더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만일 게임에서 미니맵이 제공되면, 미니맵에도 랜드마크를 표시한다(S850).
상기에서는 랜드마크가 사용 가능한 모드인지를 먼저 판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랜드마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랜드마크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모드에서 사용가능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현재 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랜드마크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랜드마크 중 하나의 랜드마크를 선택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6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택된 랜드마크를 맵상에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맵상에 표시할 랜드마크의 종류가 선택되면, 먼저 선택된 랜드마크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지 판별한다(S831). 랜드마크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의 랜드마크이면,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다른 사용자에게는 랜드마크가 표시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맵에만 랜드마크를 표시한다(S832).
그리고 랜드마크가 팀 적용 범위로 설정된 랜드마크인지 판별한다(S833). 랜드마크가 팀 적용 범위로 설정된 랜드마크이면, 랜드마크를 배치한 사용자의 팀 구성을 확인하고, 팀 구성 사용자 모두의 맵에 랜드마크를 표시한다(S834). 즉 팀 구성 사용자들만이 랜드마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설정된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가 모든 사용자 적용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별한다(S835). 랜드마크가 모든 사용자 적용 범위로 설정되어 있으면, 모든 사용자 맵에 랜드마크를 표시한다(S836). 따라서 모든 사용자가 맵 상에서 랜드마크를 확인 할 수 있다.
도7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선택된 랜드마크를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니맵은 온라인 게임에서 맵을 축소한 지도 형태로 제공될 뿐만 아니라, 레이더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미니맵에도 랜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미니맵이 단순한 지도가 아니라 레이더의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리고 미니맵이 레이더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온라인 게임에서도 랜드마크는 해당 위치에 배치된 일종의 지형 지물로서 미니맵에 표시될 수 있다. 랜드마크가 미니맵에 표시되는 흐름은 기본적으로 도6 의 랜드마크가 맵상에 표시되는 흐름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8 은 본발명의일실시예에따른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의블록도이다.
도8에서도시된바와같이, 본발명의실시예에따른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01 ~ 10n), 인터넷(200), 게임 서버(300) 및 랜드마크 제공 장치(400)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01 ~ 10n) 각각은 인터넷(200)을 통해 게임 서버(300)와 접속되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된다.
게임 서버(300)는 먼저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며, 접속되는다수의사용자 단말(101 ~ 10n)에게각종인터넷게임을비롯하여채팅, 동호회, 쇼핑몰등의여러서비스를제공한다. 도8 에서는다수의사용자들이컴퓨터(101 ~ 10n)를 통해 게임 서버(300)에접속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컴퓨터이외에인터넷(200)을통해게임 서버(300)에접속하여게임을수행할수있는다른단말일수있다. 예를들면, 이동통신단말, 인터넷접속이가능한텔레비전등이사용될수있다.
게임 서버(300)는 사용자가웹이나게임상에서다양한기능을수행할수있도록하는아이템등을저장하고, 사용자들이소유하고있는아이템정보들을저장하는 웹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게임 서버(300)는사용자들에게웹데이터베이스를참조하여다양한아이템을판매하며, 사용자가이러한아이템을구매한경우웹데이터베이스에사용자정보로저장한다.
사용자가웹 페이지를통해게임에 접속하면, 게임 서버(300)는사용자 단말(101 ~ 10n)에미리설치되어있는게임 클라이언트를구동시키고, 구동된게임클라이언트에의해사용자 단말(101 ~ 10n)가인터넷(200)을통해게임 서버(300)에접속된다. 여기서는 게임클라이언트는사용자 단말(101 ~ 10n)에미리설치되어있는것으로가정하여설명하지만, 그렇지않은경우에는게임 서버(300)가이를판단하여필요한시점에해당게임을위한게임 클라이언트를설치할수있도록제어한다.
또한 게임 서버(300)는게임을제어하기위한게임별로직을저장하는 게임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로직이란게임에서정해진규칙에따라게임을자동으로진행하도록특정된규칙들을나타내는것으로, 게임 상의일련의진행과정을나타내는것을의미한다.
랜드마크 제공 장치(400)는 팀 정보 및 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410)와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랜드마크설정부(420) 및 온라인 게임에서 제공하는 복수개의 맵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정보 저장부(430)를 구비한다. 정보 저장부(410)는 팀 정보를 저장하는 팀 정보 저장부(411)과 캐릭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캐릭터 정보 저장부(412)를 구비한다. 팀 정보 저장부(411)는 팀에 소속된 캐릭터들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팀 마크와 같이 팀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캐릭터 정보 저장부(412)는 캐릭터 각각의 이미지와 경기 기록 및 레벨 등 개별 캐릭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맵 정보 저장부(430)는 온라인 게임이 미니맵을 제공하는 경우에, 미니맵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랜드마크 제공 장치(400)의 랜드마크 설정부(420)는 미리 생성된 랜드마크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랜드마크 설정 화면과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기 설정된 이미지 중 생성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랜드마크의 기능 및 적용 범위를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게임 진행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 신호가 수신되고, 랜드마크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랜드마크를 맵 정보 저장부로부터 수신한 맵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맵 정보 저장부에 미니맵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면, 미니맵에도 랜드마크를 표시한다. 또한 각각의 랜드마크에 설정된 적용 범위를 판별하여,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이면, 캐릭터 정보 저장부(412)에서 수신한 캐릭터 정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만 랜드마크가 표시되도록 하고, 팀 적용 범위이면, 팀 정보 저장부(411) 및 캐릭터 정보 저장부(412)에서 수신한 팀 구성 캐릭터 각각에 대한 사용자 단말에 랜드마크가 표시되도록 한다.
랜드마크 제공 장치(400)는 아이템 정보 저장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고, 랜드마크를 아이템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랜드마크가 아이템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랜드마크 제공 장치는 특정 사용자가 랜드마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 랜드마크를 사용자의 캐릭터가 보유하고 있는지 판별하고, 랜드마크를 보유한 캐릭터만이 해당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팀 정보 저장부(411)와 캐릭터 정보 저장부(412)는 각각 팀 정보와 캐릭터 정보를 모두 저장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게임 서버(300)와 정보를 분할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1 ~ 10n)과 정보를 분할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랜드마크 제공 장치(400)는 도8 에서는 별도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게임 서버(3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장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온라인 게임의 진행 중,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맵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가 포함된 팀에 속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팀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적용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은,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인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및
    상기 기설정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랜드마크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 중 하나의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 시, 선택된 상기 랜드마크에 대해 기설정된 적용 범위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적용 범위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랜드마크에 설정된 기능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에 대해 상기 랜드마크 기능이 복수개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와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생성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랜드마크 이미지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 기능 입력창에 입력된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에 추가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제공하는 게임 모드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게임 모드 중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게임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 사용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진행 중인 게임의 모드가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게임이 상기 맵에 대한 지도 및 레이더 기능을 수행하는 미니맵을 제공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니맵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표시되는 상기 미니맵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에 함께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15. 온라인 게임 상에서 운용되는 복수개의 팀에 대한 팀 정보를 저장하는 팀 정보 저장부;
    상기 팀을 구성하는 캐릭터를 포함한 온라인 게임 상에 운용되는 복수개의 캐릭터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캐릭터 정보 저장부;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복수개의 맵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정보 저장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설정하며, 온라인 게임 진행 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사용 신호 수신 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 시, 상기 랜드마크에 설정된 적용 범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맵 상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가 포함된 팀에 속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팀 적용 범위,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적용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은,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인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및
    상기 기설정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랜드마크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에 대해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이 복수개로 설정 시, 상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팀 적용 범위인 경우, 상기 수신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포함된 팀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며, 상기 랜드마크의 적용범위가 모든 사용자 범위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동일한 상기 랜드마크가 선택된 횟수가 복수회인 경우, 상기 맵상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 설정되는 번호를 상기 랜드마크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정보 저장부는,
    상기 맵에 대한 지도 및 레이더 기능을 수행하는 미니맵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마크 설정부는,
    상기 진행 중인 경기에 대한 미니맵 정보를 상기 맵 정보 저장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랜드마크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미니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장치.
  25. 랜드마크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랜드마크 생성 신호를 수신 시,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온라인 게임의 진행 중,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가상 공간인 맵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한 랜드마크 사용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랜드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 기능 및 적용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사용자 캐릭터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가 포함된 팀에 속한 캐릭터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팀 적용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게임 상의 모든 사용자의 단말에 상기 랜드마크가 표시되는 모든 사용자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랜드마크에 대한 적용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랜드마크 설정화면은,
    상기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
    상기 랜드마크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기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
    상기 랜드마크의 상기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의 적용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랜드마크 적용 범위 설정창;
    상기 기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이미지 이외에 사용자가 랜드마크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랜드마크 이미지 선택창에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인 사용자 이미지 추가 버튼; 및
    상기 기설정되어 저장된 복수개의 랜드마크 기능 이외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랜드마크 기능을 상기 랜드마크 기능 설정창에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기능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12191A 2012-02-07 2012-02-07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9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91A KR101394969B1 (ko) 2012-02-07 2012-02-07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91A KR101394969B1 (ko) 2012-02-07 2012-02-07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46A KR20130100846A (ko) 2013-09-12
KR101394969B1 true KR101394969B1 (ko) 2014-05-15

Family

ID=4945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191A KR101394969B1 (ko) 2012-02-07 2012-02-07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4875A (zh) * 2015-10-22 2015-12-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显示方法及其装置、移动客户端、电脑客户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241A (ko) * 2000-11-29 2008-01-25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시험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0819167B1 (ko) * 2006-04-13 2008-04-03 주식회사 트윈클리틀스타 전자 지도 기반의 홈페이지 제공 시스템, 홈페이지 제공방법,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241A (ko) * 2000-11-29 2008-01-25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시험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0819167B1 (ko) * 2006-04-13 2008-04-03 주식회사 트윈클리틀스타 전자 지도 기반의 홈페이지 제공 시스템, 홈페이지 제공방법,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덴지도’, 리니지 커뮤니티 지식인챈트 게시판(2011.02.27.) <URL : http://qna.game.yahoo.co.kr/ln1/content.php?ct=1&no=150124&page=8>*
‘페이스북 팁 - 내가 태그된 사진과 동영상의 공개 범위 설정하기’, 네이버 블로그(2011.05.27.) <URL : http://blog.naver.com/starry/110109788700>*
'아덴지도', 리니지 커뮤니티 지식인챈트 게시판(2011.02.27.) *
'페이스북 팁 - 내가 태그된 사진과 동영상의 공개 범위 설정하기', 네이버 블로그(2011.05.2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4875A (zh) * 2015-10-22 2015-12-30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显示方法及其装置、移动客户端、电脑客户端
CN105194875B (zh) * 2015-10-22 2019-03-1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游戏地图显示方法及其装置、移动客户端、电脑客户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46A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08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US20200306637A1 (en) 3d avatar plugin for third-party games
US11628361B2 (en) Computer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US20140164182A1 (en) Personal service assistance in a virtual universe
Kasapakis et al. Pervasive games research: a design aspects-based state of the art report
KR101069292B1 (ko) 네트워크 게임의 추천 상대 매칭 방법, 매칭 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244777B1 (ko) 공간이원화를 이용하여 스포츠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육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04635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KR101394969B1 (ko)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KR101417947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101182564B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264629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7164646B2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ゲーム装置
KR20140075888A (ko)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KR20150016660A (ko) 게임 플레이를 위한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KR101374847B1 (ko) 그룹 단위로 입장 가능한 온라인 게임의 게임 방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5620B1 (ko) 감정 표정을 이용한 게임의 스토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09099B1 (ko) 추첨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369114B1 (ko)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US20240149165A1 (en) Optimized player positioning system in virtual experiences
WO2024067168A1 (zh) 基于社交场景的消息显示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20130083080A (ko)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상세 정보 비교창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171708B1 (ko) 경매 가이드 검색 제공 방법 및 서버
JP4759021B2 (ja) アイテム流通装置及びアイテム流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