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888A -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888A
KR20140075888A KR1020120143182A KR20120143182A KR20140075888A KR 20140075888 A KR20140075888 A KR 20140075888A KR 1020120143182 A KR1020120143182 A KR 1020120143182A KR 20120143182 A KR20120143182 A KR 20120143182A KR 20140075888 A KR20140075888 A KR 20140075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erminal
participant
gam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920B1 (ko
Inventor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2014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43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involving concurrently two or more players on the same game device, e.g. requiring the use of a plurality of controllers or of a specific view of game data for each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상기 거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점에서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이 게임을 실행하거나 채팅을 실행하거나 상기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Method, apparatus, system for generating platform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s using platform}
위치에 기반한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이 급증함에 따라 모바일 게임 시장은 크게 성장해 왔다. 이러한 모바일 게임 시장은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시장보다 진입 장벽이 낮고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또한, 최근 소셜 게임(social game)의 등장으로 모바일 게임 시장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소셜 게임은 평소 아는 사람과 게임을 즐기기 때문에 서로 친밀감을 느끼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고, 종전의 온라인 게임에서 나타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서도 접속할 수 있어서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다수의 참여자들과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 나타나는 플랫폼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타인들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과 게임을 수행하거나 채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치에 기반한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상기 거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점에서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이 게임을 실행하거나 채팅을 실행하거나 상기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된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은, 상기 참여자로부터 상기 플랫폼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 중 일부 거점들을 등록받는 단계; 상기 참여자로부터 상기 등록한 거점들 중에서 상기 게임을 실행할 하나의 거점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가 실행한 상기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상기 거점을 생성하는 거점 생성부;를 포함하고,상기 거점에서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이 게임을 실행하거나 채팅을 실행하거나 상기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거점 내에서 상기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들의 순위를 표시하는 단말기; 및 상기 생성된 거점에 대한 정보, 상기 생성된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위치에 기반한 플랫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등록할 수 있는 참여자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을 등록한 참여자들이 수행한 게임의 결과에 따라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참여자들이 보다 더 게임에 몰입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생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표시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플랫폼을 실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거점 내에서 동일한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정렬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개인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지도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기등록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내의 거점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표시한 일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위치의 설정 및 플랫폼 탈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위치에 기반한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상기 생성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 게임은, 상기 언급한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게임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여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경험치를 획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레벨을 상승시키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게임상에서 게임의 진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의 길드, 또는 클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개념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유저들이 모여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단체를 조직한 것을 의미한다. 각 단체는 유저들의 수 또는 유저들의 캐릭터들의 레벨에 따라서, 길드 또는 클랜의 명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게임 내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드 또는 클랜의 명성이 높아지면, 캐릭터의 게임 화면상의 표시가 달라질 수 있거나(예를 들어 표시되는 캐릭터의 이름의 색이 바뀌는 효과), 게임 내에서 아이템 및 마을 등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스템은 파티 플레이가 있다. 파티 플레이는, 사용자들끼리 요청, 초대 및 수락을 통해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상의 그룹으로서, 결성된 파티원들끼리는 독자적인 채팅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게임화면상에서 파티원들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표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파티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끼리는, 아이템을 서로 분배하거나, 게임 플레이 결과 획득한 결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공유하는 방식 역시, 각자 결과 콘텐츠를 보유하거나, 결과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캐릭터들에게 분배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과 콘텐츠는, 게임의 플레이 중 플레이 결과 유저들의 캐릭터가 얻을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슈팅 게임의 경우, 한 게임이 끝날 때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및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에 속할 수 있으며, 스포츠 게임의 경우 한 경기가 끝날 때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및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롤플레잉 게임의 경우, 특정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몬스터를 처치 시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보상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의 캐릭터가 특정한 결과 콘텐츠를 획득 시에는, 유저의 캐릭터에게 결과 콘텐츠가 모두 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파티 플레이 또는 길드, 클랜 등에 속해 있을 때는, 자신이 획득한 결과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파티, 길드, 클랜 등에 속해 있는 다른 유저들의 캐릭터에 분배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이란, 게임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게임상의 아이템이라 했을 때 이해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캐릭터가 몬스터를 제압했을 때 얻는 경험치를, 더욱 많이 얻을 수 있게 해 주는 아이템, 캐릭터의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아이템 등이 본 발명에서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생성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플랫폼은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110 또는 12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참여자들 간에 채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하여 단말기(110 또는 120)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동일한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 각각이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플랫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예시로,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110)과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140)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단말기(110 또는 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거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거점 내에서 참여자들 각각이 수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의 순위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거점은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110 또는 12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단말기(110 또는 120)가 거점을 생성하고, 참여자들의 순위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 이하에서 후술한다.
서버(140)는 생성된 거점에 대한 정보, 생성된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 또는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기(110 또는 120)와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는 입력부(210) 및 거점 생성부(22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의 입력부(210) 및 거점 생성부(22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거점은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도 1의 110 또는 12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참여자들 간에 채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하여 단말기(도 1의 110 또는 120)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플랫폼 상에서 상술한 프로그램들이 동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한편,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상에 나타난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타이핑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등의 입력 장치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300) 상에서 거점을 생성하기 위한 메뉴(310)가 선택된 경우에 입력부(210)가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30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부(210)는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소정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32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특정 지점을 거점을 생성할 위치(330)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소정 지역은 단말기(300)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지도(320)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할 수 있고, 입력부(도 2의 210)는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지도(320)를 통하여 그 터치된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지도가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인근을 나타낸 지도(320)라고 가정한다면, 입력부(도 2의 210)는 그 지도(3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특정 지점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1000번지'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330)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의 일정 부분에 구비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340)를 터치하고 난 후에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지도(320)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입력부(도 2의 21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타이핑 한 특정 지점을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도 2의 210)는 사용자가 타이핑 한 특정 지점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1000번지'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330)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부(도 2의 210)는 앞에서 설명한 두 가지 예들의 조합을 통하여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도 2의 210)는 사용자가 타이핑 한 특정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320)를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내고, 그 지도(32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특정 지점(330)을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300)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을 타이핑하면,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인근의 지도(320)가 출력되고, 입력부(도 2의 210)는 그 지도(3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특정 지점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1000번지'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300)에 대한 정보로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도 2의 21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의 제목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도 2의 21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후, 그 거점을 상징하는 제목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도 2의 210)는 단말기(300)의 터치스크린 상에 말풍선 형태로 그 거점의 제목(360)을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거점 생성부(220)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위치는 거점을 생성할 위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점 생성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는 입력부(210) 및 거점 생성부(220) 뿐만 아니라 위치 표시부(230) 및 판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의 입력부(210), 거점 생성부(220), 위치 표시부(230) 및 판단부(24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위치 표시부(230)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단말기의 화면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치 표시부(230)는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함께 표시하거나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함으로써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는 위치 표시부(230)가 단말기에 내장된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표시부가 동작하는 일 예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표시부(도 4의 230)의 동작으로 인하여 단말기(300) 상에 리스트 형식(510)으로 표시된 일 예와 지도 형식(520)으로 표시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지도 형식(520)으로 표시된 일 예를 설명하면, 위치 표시부(도 4의 230)는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523)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그 현재 위치(523)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521 및 522)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521 및 522) 중에서 그 거점의 제목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거점의 제목(524)도 지도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스트 형식(510)으로 표시된 일 예를 설명하면, 위치 표시부(도 4의 230)는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523)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511, 512 및 513)을 단말기 상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생성된 거점들 각각의 제목(514), 단말기의 현재 위치(523)와 그 거점 간의 이격된 거리(515) 또는 그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의 수(516)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기 생성된 거점에 참여자가 거점을 등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조건이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소정의 마크()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판단부(240)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40)는 단말기의 화면 상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팝업(pop-up) 창(미도시)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팝업 창을 이용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240)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입력부(210)로 전송한다.
입력부(21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판단부(240)로부터 전송받은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거점 생성 위치로 입력받거나,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거점 생성 위치로 입력받을 수 있다.
즉, 판단부(240)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 것을 의미하는 판단 결과를 전송받은 경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판단부(240)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하지 않을 것을 의미하는 판단 결과를 전송받은 경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나타난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타이핑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240) 및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 및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 마우스, 키보드, 터치 화면, 모니터 등의 입력 장치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거점 생성부(220)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거점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거점은 참여자가 거점을 등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점 생성부(22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에 대하여 조건을 설정할지 여부를 묻고, 그 거점에 설정할 조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조건은 그 거점을 등록하기 위하여 참여자에게 요구하는 패스워드 또는 참여자의 조건(성별, 참여자의 현재 위치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점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거점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 개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거점은 상술한 위치 표시부(230), 판단부(240), 입력부(210) 및 거점 생성부(220)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생성된 거점들을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은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여자들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 게임 프로그램, 채팅 프로그램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여자들이 플랫폼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동작 내용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플랫폼을 실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참여자가 본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여자가 본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단말기에 그 게임 프로그램의 시작 화면(610)이 표시되고, 그 시작 화면(610)의 일부분에 플랫폼을 실행시키기 위한 화면(6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참여자가 종전에 그 플랫폼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없는 경우라면, 그 플랫폼에 가입할 것을 요구하는 메뉴(630)에 따라 참여자는 플랫폼에 가입할 수 있다. 참여자가 그 플랫폼에 가입할 경우, 참여자의 단말기(도 1의 110 또는 120)는 네트워크(도 1의 130)를 통해 서버(도 1의 140)에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는 회원 가입 없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뉴(640)에 따라 플랫폼에 가입하지 않고 그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만약, 참여자가 종전에 그 플랫폼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있는 경우라면, 별도의 절차 없이 그 플랫폼을 실행시킬 것을 요구하는 메뉴(650)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참여자가 종전에 그 플랫폼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있는 경우라면, 상술한 플랫폼을 실행시키기 위한 화면(620)이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됨이 없이 바로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참여자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경우 참여자의 단말기(도 1의 110 또는 120)와 서버(도 1의 140)의 통신을 통해서 종전에 그 참여자가 그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에 대한 정보 및 참여자가 가입한 플랫폼 내의 거점에 대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록한 거점 내에서 동일한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정렬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여자가 본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여자가 게임 프로그램 및 플랫폼을 실행시키면, 종전에 그 참여자가 등록한 거점 내에서의 다른 참여자들과의 순위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순위는 그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결정된 순위를 의미한다. 또한, 포인트는 참여자가 그 거점을 등록하기 전에 게임을 실행하여 획득한 포인트 및 참여자가 그 거점을 등록한 후에 게임을 실행하여 획득한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참여자가 종전에 그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없는 경우는 이하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참여자가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그 참여자가 종전에 등록했던 거점의 제목(710) 및 그 거점을 등록한 다른 참여자들과의 순위(720)가 참여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순위는 참여자들 각각이 그 게임을 실행한 시기별로 나누어, 일별 순위(730의 좌측)를 산정할 수도 있고, 주간별 순위(730의 중앙)를 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참여자들 각각이 그 게임을 실행하여 획득한 포인트 전체를 합산하여 전체 순위(730의 우측)를 산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순위를 산정하는 기초인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참여자들의 단말기(도 1의 110 또는 120)와 서버(도 1의 140)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만약, 참여자가 등록했던 거점이 복수인 경우, 그 복수의 거점들 중에서 참여자가 대표 거점을 등록하면, 그 대표 거점의 제목(710)과 그 대표 거점을 등록한 다른 참여자들과의 순위(720)가 단말기의 화면에 최초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참여자가 등록한 복수의 거점들 내에서의 각각의 순위는 화면에 구비된 별도의 메뉴(740)를 이용하여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순위는 참여자가 등록한 거점이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에 등록된 참여자들 간에 산정된 순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참여자의 단말기는 서버에 저장된 그 참여자들 각각의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순위를 산정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750)를 이용하여 참여자가 실행시킨 플랫폼에서의 개인 정보 또는 거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도 있다. 참여자가 플랫폼에서의 개인 정보 또는 거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개인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810)를 이용하여 참여자의 개인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여자의 개인 정보에는 참여자가 설정한 대표 사진(820), 참여자의 ID(830), 참여자가 플랫폼에 가입한 계정(840), 또는 참여자가 설정한 간단한 어구(850)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참여자가 생성 또는 변경한 개인 정보는 참여자의 단말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거점을 등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참여자가 등록할 수 있는 거점들이 단말기의 화면상에 지도 형식(도 9) 또는 리스트 형식(도 10)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지도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910)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기 화면에 그 검색된 위치(920)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대한 지도가 나타난다. 그리고 그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930)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화면에 그 하나 이상의 거점(930)들의 제목(940)도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지도상에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거점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지도를 드래그(drag)함으로써 단말기 화면상에 다른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거점(930)들 중에서 임의의 거점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여자는 등록을 원하는 거점(930)을 나타내는 표시(도 9의 원형 표시)를 직접 터치하는 방식으로 거점을 등록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950)를 이용하여 임의의 거점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한편,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960)를 이용하여 지도 형식으로 표시된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다른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970)를 이용하여 참여자가 기 등록한 거점들을 열거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1010)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화면에 그 검색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의 리스트(1020)가 나타난다.
리스트(1020)를 구성하는 거점들은 각각의 거점들의 제목(1030), 그 거점과 현재 단말기 위치 간의 이격된 거리(1040) 또는 그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의 수(105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거점에 참여자가 그 거점을 등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조건이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소정의 마크(1060)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 중에서 임의의 거점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여자는 등록을 원하는 거점을 나타내는 탭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으로 거점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1070)를 이용하여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 거점들을 지도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다른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1080)를 이용하여 참여자가 기 등록한 거점들을 열거한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자가 기등록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 일 예이다.
참여자는 기 등록한 하나 이상의 거점들(1110) 중에서 소정의 거점(1120)을 대표 거점으로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정의 거점(1120)을 대표 거점으로 지정한 경우, 그 거점(1120)이 대표 거점임을 의미하는 소정의 마크(1130)가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표 거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이상의 거점들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 대표 거점이 삭제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내의 거점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표시한 일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랫폼 내의 거점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게임 프로그램들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랫폼 내의 거점은 그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가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는 플랫폼 내에 포함된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 중 임의의 게임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그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은 참여자의 단말기 화면상에서 게임 각각의 메인 화면을 나열한 형태(1210)로 배열될 수도 있고, 리스트 형태(1220)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1230)를 이용하여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을 인기있는 순서로 정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다른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1240)를 이용하여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을 게임 장르별로 정렬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참여자는 복수의 게임들 중 임의의 게임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참여자가 실행시키기를 원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선택한 경우, 그 게임 프로그램이 종전에 참여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별도의 절차 없이 바로 그 게임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때, 참여자의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임을 나타내는 표시가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1250)될 수 있다. 만약, 그 게임 프로그램이 종전에 참여자의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이라면, 참여자의 단말기에 그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실행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위치의 설정 및 플랫폼 탈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의 일정 위치에 표시된 메뉴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기 화면에 검색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를 기반으로 기 생성된 거점들이 지도 형식 또는 리스트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위치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에 나타난 소정의 메뉴(1310)를 이용하여 주변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가 주변 위치로 검색될 범위를 '100m'로 설정한다면, 참여자가 검색한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 100m 범위 내에 기 생성된 거점들이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생성된 거점들이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도 9 내지 도 10과 같다.
한편, 참여자는 단말기 화면에 나타난 다른 소정의 메뉴(1320)를 이용하여 가입된 플랫폼을 탈퇴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100) 또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100) 또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4의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410 단계에서,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거점은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110 또는 12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은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참여자들 간에 채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하여 단말기(110 또는 120)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한편,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상에 나타난 지도에서 특정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타이핑하는 방식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1420 단계에서, 거점 생성부(220)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위치는 거점을 생성할 위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점 생성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100) 또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시스템(100) 또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5의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510 단계에서, 위치 표시부(230)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는 위치 표시부(230)가 단말기에 내장된 위성 항법 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520 단계에서, 위치 표시부(230)는 단말기의 화면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치 표시부(230)는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함께 표시하거나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함으로써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1530 단계에서, 판단부(240)는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1540 단계 및 1545 단계에서, 입력부(21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판단부(240)로부터 전송받은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거점 생성 위치로 입력받거나,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거점 생성 위치로 입력받을 수 있다.
1550 단계에서, 거점 생성부(220)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위치는 거점을 생성할 위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점 생성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그 위치를 기반으로 한 거점을 생성한다.
한편, 거점 생성부(220)에서 생성한 거점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 개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거점은 상술한 위치 표시부(230), 판단부(240), 입력부(210) 및 거점 생성부(220)의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내지 도 13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6의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61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플랫폼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 중 일부 거점들을 등록받는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한 소정의 거리 내에 포함된 거점들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화면상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함께 표시되거나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등록한 거점들 중에서 게임을 실행할 하나의 거점을 선택받는다. 여기에서, 참여자가 등록한 상기 거점이 복수 개인 경우, 참여자는 등록된 거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거점을 주요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163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6 내지 도 13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7의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71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종전에 플랫폼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참여자가 종전에 플랫폼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적이 있는 경우에는 17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713 단계로 진행한다.
1713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플랫폼에 가입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만약, 참여자가 플랫폼에 가입할 것을 의미하는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는 171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719 단계로 진행하여 참여자를 'GUEST'로서 플랫폼에 입장시킨다.
1716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플랫폼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172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플랫폼상에서 기 등록한 거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참여자가 기 등록한 거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17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735 단계로 진행하여 참여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등록받는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한 소정의 거리 내에 포함된 거점들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화면상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함께 표시되거나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173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새로운 거점을 등록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만약, 참여자가 새로운 거점을 등록받고자 한다면 1735 단계로 진행하여 참여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등록받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740 단계로 진행한다.
174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로부터 등록한 거점들 중에서 게임을 실행할 하나의 거점을 선택받는다. 여기에서, 참여자가 등록한 상기 거점이 복수 개인 경우, 참여자는 등록된 거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거점을 주요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175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선택받는다. 플랫폼 내의 거점은 그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가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는 플랫폼 내에 포함된 복수의 게임 프로그램들 중 임의의 게임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176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선택한 게임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단말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참여자의 단말기에 게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177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1765 단계로 진행하여 참여자의 단말기에 게임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177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1780 단계에서, 단말기는 참여자가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1790 단계에서, 단말기는 동일한 거점을 등록한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를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위치에 기반한 플랫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등록할 수 있는 참여자의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을 등록한 참여자들이 수행한 게임의 결과에 따라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참여자들이 보다 더 게임에 몰입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PC 인터페이스(PC Interface)(예를 들면, PCI, PCI-express, Wifi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
210: 입력부
220: 거점 생성부
230: 위치 표시부
240: 판단부

Claims (18)

  1.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상기 거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점에서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이 게임을 실행하거나 채팅을 실행하거나 상기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상기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결정된 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는 상기 참여자가 상기 거점을 등록하기 전에 상기 게임을 실행하여 획득한 상기 포인트 및 상기 참여자가 상기 거점을 등록한 후에 상기 게임을 실행하여 획득한 상기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위는 상기 거점이 생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위치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에 등록된 상기 참여자들 간에 결정된 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가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게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함께 표시하거나 상기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상기 참여자가 상기 거점을 등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기반으로 복수 개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로부터 상기 플랫폼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 중 일부 거점들을 등록받는 단계;
    상기 참여자로부터 상기 등록한 거점들 중에서 상기 게임을 실행할 하나의 거점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참여자가 실행한 상기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한 소정의 거리 내에 포함된 거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은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이 함께 표시되거나 상기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가 등록한 상기 거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참여자가 상기 등록된 거점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거점을 주요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5.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상기 거점을 생성하는 거점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점에서는 상기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이 게임을 실행하거나 채팅을 실행하거나 상기 참여자들 간의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상에 상기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 및
    상기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점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를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표시부는 상기 확인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상에 기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함께 표시하거나 상기 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거점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장치.
  18. 한 명 이상의 참여자들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는 거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플랫폼(platform)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거점을 생성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거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거점 내에서 상기 참여자들 각각이 실행한 게임의 달성도에 대응하는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상기 참여자들의 순위를 표시하는 단말기; 및
    상기 생성된 거점에 대한 정보, 상기 생성된 거점을 등록한 상기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을 생성하는 시스템.
KR1020120143182A 2012-12-11 2012-12-11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KR10142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2A KR101425920B1 (ko) 2012-12-11 2012-12-11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182A KR101425920B1 (ko) 2012-12-11 2012-12-11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88A true KR20140075888A (ko) 2014-06-20
KR101425920B1 KR101425920B1 (ko) 2014-08-01

Family

ID=5112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182A KR101425920B1 (ko) 2012-12-11 2012-12-11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18A1 (ko) * 2014-11-24 2016-06-02 김재경 위치기반 모바일게임 운영시스템
KR20220038197A (ko) * 2020-09-18 2022-03-28 김정진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80B1 (ko) * 2007-06-15 2009-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협동형 온라인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595A (ko) * 2010-12-06 2012-07-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모바일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7483A (ko) * 2010-12-30 2012-07-10 전형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이용한 가게 홍보 방법
KR101147301B1 (ko) * 2011-01-14 2012-05-18 주식회사 모빌씨앤씨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온라인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218A1 (ko) * 2014-11-24 2016-06-02 김재경 위치기반 모바일게임 운영시스템
KR20220038197A (ko) * 2020-09-18 2022-03-28 김정진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920B1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4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loud executing mini-games and sharing
US9526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game streaming data, and method and server for transmitting game streaming data
JP6563627B2 (ja) 共有されたクラウドで実行されるミニゲームのコンテンツのタグ付け、およびタグ共有制御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333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shadow play for video games based on prior user plays
JP5733795B2 (ja) サーバシステム
JP6900530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873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Sharing Video Clips of Cloud-Provisioned Games
KR20140038439A (ko) 온라인 경험을 위한 감정-기반 사용자 식별기법
KR20140121471A (ko) 가상 위치 체크인
US93381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425920B1 (ko) 위치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KR101483754B1 (ko) 복수의 미션들을 완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82564B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82595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7131905B2 (ja) 情報処理方法、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端末
JP6229131B1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101492246B1 (ko) 온라인 게임에 이용되는 아이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55902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2439A (ko) 복수의 사용자들을 포함하는 그룹들 간에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366224B2 (ja) ゲームサーバ装置
KR101895533B1 (ko) 이동통신단말기로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2231B1 (ko) 게임 서버 정보 제공 장치
KR20140113809A (ko)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모바일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75438B1 (ko) 복수의 캐릭터들과 캐릭터에 적용될 효과를 나타내는 카드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