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14B1 -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14B1
KR102369114B1 KR1020190168357A KR20190168357A KR102369114B1 KR 102369114 B1 KR102369114 B1 KR 102369114B1 KR 1020190168357 A KR1020190168357 A KR 1020190168357A KR 20190168357 A KR20190168357 A KR 20190168357A KR 102369114 B1 KR102369114 B1 KR 10236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tbot
module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796A (ko
Inventor
기예지
김신
석지영
조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6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7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daptively or by learning from player actions, e.g. skill level adjustment or by storing successful combat sequences for re-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ENTS CONTROL BASED ON CHATBOT MODULE}
아래의 실시예들은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을 통해 타 사용자와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직접 수행하는 형식으로 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롤플레잉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관리자가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모험과 상상의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므로 마치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온라인게임은 컴퓨터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에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챗봇 모듈을 통하여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할 수 있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챗봇 모듈을 선택할 수 있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챗봇 모듈을 통하여 콘텐츠에 진입할 수 있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이 포함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플랫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챗봇 모듈을 통하여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챗봇 모듈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챗봇 모듈을 통하여 콘텐츠에 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에 포함된 챗봇 모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에서 챗봇들이 선택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는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스마트폰(smart phone), 폴더블 스마트 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 단말(100)은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한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을 통해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비디오 게임용 단말기, 오락실용 단말기, 휴대용 단말기, PC용 단말기,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키입력 수단은 키보드, 마우스, 게임조작 유니트, 아날로그 유니트, 터치 스크린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장비, 모바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PC, 핸드폰, 키오스크,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무선 모뎀과 같은, 무선 접속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기 또는 피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와 연결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부호(예컨대, 아이디(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플랫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은 이전에 선택한 챗봇 모듈과 연관된 챗봇 모듈일 수 있으나,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챗봇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수량 지정)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에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에 대한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생성한 신호에 응답하여 서버(200)가 생성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한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버(200)에 콘텐츠 진입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의 콘텐츠 진입 허가에 따라 콘텐츠에 진입할 수 있다.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뜻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서버(20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이하 "DB"라 칭함)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서버(200)는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이 포함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식별 부호(예컨대, 아이디(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플랫폼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챗봇 모듈 각각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별개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 각각은 복수개의 챗봇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생성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콘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예컨대, 물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라미터는 과거에 동일한 행위를 한 사용자들이 결정한 값들의 통계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나, 상기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예컨대, 물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콘텐츠 진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콘텐츠 진입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진입 허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한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110),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 및 메모리(13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메모리(130)에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식별 부호(예컨대, 아이디(identific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플랫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시청자 수)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추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은 이전에 선택한 챗봇 모듈과 연관된 챗봇 모듈일 수 있으나,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챗봇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의 수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제1 인터페이스(예컨대, 행위가 표시된 버튼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수량 지정)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예컨대, 콘텐츠 내의 물건 구매)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에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에 대한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생성한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가 생성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에 관한 정보(예컨대, 구매한 물건의 종류 및 물건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한 상기 수신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완료를 알리기 위한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예컨대, 콘텐츠 진입을 위한 버튼 형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드래그, 터치 앤 드래그, 음성, 마우스 클릭, 전자펜 터치, 타이핑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일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에 콘텐츠 진입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의 콘텐츠 진입 허가에 따라 콘텐츠에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진입한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로부터 챗봇 모듈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로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로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챗봇 모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1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될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포트(예컨대,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모니터,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선택한 챗봇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수신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수신한 챗봇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수신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한다(300).
이때,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챗봇을 선택한다(310).
이때,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복수개의 챗봇을 선택할 수 있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한다(320).
이때,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330).
이때,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에는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에 대한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추가적으로 선택한다(340).
이때,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은 이전에 선택한 챗봇 모듈과 연관된 챗봇 모듈일 수 있으나, 상기 추가적으로 선택한 챗봇 모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한다(350).
이때,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진입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에 포함된 챗봇 모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라 콘텐츠가 게임인 경우,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콘텐츠가 게임(400)인 경우,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던전 플레이(401), 채팅(402), 캐릭터 성장(403), 상점 구매(404) 및 점령전(405)일 수 있으나, 상기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라,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따라 각각의 상황에 대한 정보는 별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점령전(405)과 관련된 정보는 장비/아이템, 시작시간, PVP전적, 참여문파 또는 진행상황 등 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은 점령전 준비봇(411), 중계봇(412), 문파 전적봇(413) 또는 강림봇(414)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되는 챗봇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된 챗봇 중 점령전 준비봇(411)은 점령전과 관련된 일정 알림 및 점령전 준비를 지원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된 챗봇 중 중계봇(412)는 실시간으로 점령전을 문자로 중계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된 챗봇 중 문파 전적봇(413)은 점령전에 참여한 문파의 점령전과 관련된 전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인게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된 챗봇 중 강림봇(414)은 점령전이 벌어지는 지역 또는 점령전이 벌어지는 시간에 강림하는 몬스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410)에 포함된 챗봇(411, 412, 413, 4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에서 챗봇들이 선택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 콘텐츠가 게임인 경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플랫폼에 접속하여 점령전에 관련된 인터페이스(5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플랫폼에서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 모듈 중 중계봇(511)과 점령전 준비봇(512)을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플랫폼에서 점령전과 관련된 챗봇을 추가(513)로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플랫폼에서 점령전과 무관한 챗봇을 추가(513)로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선택한 챗봇들(511, 512)은 미리 설정된 영역(510)에 선택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선택한 챗봇들(511, 512) 및 챗봇들(511, 512) 각각이 제공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영역(520)에 선택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중계봇(511)을 선택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역(520)의 일부(530)에는 선택한 챗봇인 중계봇을 나타내는 아이콘(531)과 점령전의 진행시간, 점령전을 중계하는 사람 및 점령전 중계를 시청하는 시청자수(532)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점령전 준비봇(512)을 선택한 경우, 미리 설정된 영역(520)의 일부(540)에는 선택한 챗봇인 점령전 중계봇을 나타내는 아이콘(541)과 점령전 준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점령전 준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42)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542) 내부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버튼 형태의 내부 인터페이스(5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점령전 준비가 완료된 경우, 점령전 준비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44)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544) 내부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여 게임으로 진입하기 위한 버튼 형태의 내부 인터페이스(5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방법들은 상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들 또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방법 동작들 및/또는 단계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 교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작들 또는 단계들에 대한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동작들 및/또는 단계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그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구절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뿐만 아니라 동일한 엘리먼트의 다수의 것들과의 임의의 조합 (예를 들어,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 의 다른 임의의 순서 화한 것) 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는 매우 다양한 동작들을 망라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는 계산하는, 컴퓨팅, 프로세싱, 도출하는, 조사하는, 룩업하는 (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 (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고르는, 확립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Claims (11)

  1.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6.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되,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선택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과 다른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방법.
  11.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이 포함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플랫폼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개의 챗봇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챗봇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챗봇 모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행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시스템.
KR1020190168357A 2019-12-16 2019-12-16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KR10236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57A KR102369114B1 (ko) 2019-12-16 2019-12-16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57A KR102369114B1 (ko) 2019-12-16 2019-12-16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96A KR20210076796A (ko) 2021-06-24
KR102369114B1 true KR102369114B1 (ko) 2022-03-02

Family

ID=7660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57A KR102369114B1 (ko) 2019-12-16 2019-12-16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20B1 (ko) * 2017-04-21 2018-05-04 주식회사 닐리리아 챗봇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420B1 (ko) * 2017-04-21 2018-05-04 주식회사 닐리리아 챗봇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모바일 메신저 기반 인공지능 챗봇의 상품 주문결제 인터페이스 연구", 최수민 되 1명, 한국HCI학회 학술대회(2017.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96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6821B (zh) 限制对共享媒体内容的访问
US20230347242A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JP2015205200A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102369114B1 (ko) 챗봇 모듈 기반의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KR10238397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29749B1 (ko) 게임 캐릭터 제어 서버, 시스템 및 방법
JP2014100208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抽選装置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182564B1 (ko) 메시지 방송 아이템을 적용한 축구 게임 제공 방법, 축구 게임 서버, 축구 게임 제공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551096B1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65934B1 (ko) 게임의 자동 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21094B1 (ko) 게임 캐릭터 관리 장치 및 게임 캐릭터 관리 방법
KR20210091502A (ko) 콘텐츠 내 오브젝트 선택 장치 및 선택 방법
KR20130083080A (ko)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의 상세 정보를 상세 정보 비교창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2619468B1 (ko) 아이템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아이템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64629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241530B1 (ko) 방송 제공 장치
KR102363979B1 (ko) 구간 저장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2820A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3124B1 (ko) 온라인게임내 문서작성을 위한 브라우저 제공장치
KR20210147274A (ko) 게임 캐릭터 세팅 변경 장치 및 게임 캐릭터 세팅 변경 방법
KR20220139052A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15253A (ko) 아이템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75162A (ko) 컬렉션 묶음 구매 장치 및 컬렉션 묶음 구매 방법
JP2023177587A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