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377B1 -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377B1
KR100774377B1 KR1020060053950A KR20060053950A KR100774377B1 KR 100774377 B1 KR100774377 B1 KR 100774377B1 KR 1020060053950 A KR1020060053950 A KR 1020060053950A KR 20060053950 A KR20060053950 A KR 20060053950A KR 100774377 B1 KR100774377 B1 KR 10077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ranking
learning
information
electronic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570A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786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743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ublication of KR2006008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8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assessing skills or for ranking players, e.g. for generating a hall of f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은,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콘텐츠 시험결과를 각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랭킹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학습자의 자기 확인(self confirmation) 및 자기 만족을 충족시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PROVIDING METHOD OF ACADEMIC RECORD RANKING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MAP AND SYSTEM OF PROVI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학습자의 고유정보 카테고리와 그에 따른 랭킹부여 구조도,
도 4는 학습자가 카테고리를 세분화하는 경우 랭킹 표시 과정의 모식도,
도 5는 학습자가 다중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
도 6은 학습자가 선택한 목적 카테고리가 확장 또는 축소될 때, 참가자의 등위를 전자지도상에 표현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
도 7은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작성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71 : 랭킹관리시스템 072 : 메인서버
073 : DB서버 077 : 지리정보DB서버
본 발명은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습 참가자, 시험 참가자 등에 대한 평가 결과를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도에 지역 또는 지역성(local area or locality) 개념을 적용하여 표시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학습사이트나 퀴즈 관련 사이트 등의 랭킹 관리 방식에 의하면, 그 사이트가 관리하려는 가장 큰 지역 단위에서의 상대적인 랭킹만이 제시되고 있다. 즉, 세부 지역 단위가 없어 그 사이트가 관리하려는 가장 큰 지역 단위에서의 상대적인 랭킹이 아주 높은 학습자만이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선택하는 공간적 지역(다른 나라, 거리, 학교 빌딩, 아파트 등 전자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는 것들)과 개념적 집단(회사, 학과, 반, 학번, 학년, 동창회, 사원, 대리, 과장, 부장 등의 사회 생활 단위의 직위 또는 계급 등 지도상에 표시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집단) 등에서의 랭킹 확인이 불가능하며, 이들 각종의 카테고리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하는 새로운 카테고리 사에서의 랭킹도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상에서의 학습 등은 학습자의 행위와 다른 학습자들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해 지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이 관리되고 있어 학습자의 흥미 제고 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학습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다양화하고 각 학습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에서의 랭킹을 전자지도에 학습자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 확인(self confirmation) 및 자기 만족을 충족시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은,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콘텐츠 시험결과를 각 학습자별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랭킹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 시험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의 랭킹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하여 상기 랭킹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는, 다른 학습자와의 상기 학습콘텐츠 연동에 따른 승패 전적을 수집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학습자의 랭킹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성별, 나이, 가문, 직업, 소속 학교, 소속 학원, 교습기관, 취미, 동아리, 종교, 출신학교, 등의 각종 고유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A)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와; (C)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와; (D)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소정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역정보를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세분화되는 계층적 행정구역정보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계층의 행정구역에 따라 해당 행정구역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각각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 랭킹의 확인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랭킹 확인이 요청된 계층의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랭킹 확인이 요청된 계층의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행정구역을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각 계층별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를 성별, 나이, 가문, 직업, 소속 학교, 소속 학원, 교습기관, 취미, 동아리, 종교, 출신학교, 등의 복수개의 카테고리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를 상기 신상정보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지역의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각 학습자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학습콘텐츠에 대해, 각 학습콘텐츠별 학습자의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랭킹이 기준 랭킹 이상인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지도의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소리 등의 표시설정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디지털 TV 등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학습자 고유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 이용결과를 수집하는 랭킹정보 획득서버와; 전자지도제공을 위한 지리정보DB서버와;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에 랭킹을 부여하고, 상기 지리정보DB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도를 제공받아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학습랭킹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학습자의 개인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개인 웹페이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학습자에게 상기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학 습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학습랭킹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표시하는,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디지털 TV 등의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시험 랭킹관리시스템(071)은 기본적으로 메인서버(072), 랭킹 DB서버(073)로 구성되어 있다.
랭킹 DB서버(073)에는 각 학습자의 신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각종 카테고리 결과 DB, 시험점수 DB 등의 각종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저장된다.
메인서버(072)는 학습자, 시험 시스템, 각종 DB 서버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자료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중추가 되는 서버이다. 선택적으로 각 학습자를 위한 홈페이지 또는 개인 공간(074)(074')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잡한 전자지도를 원할 경우 지리정보 DB서버(077)가 별도로 구현되며, 이는 외부에서(077') 가져올 수도 있다.
각각의 학습 참여자(076), (076')는 시험 콘텐츠 제공 서버(075)를 통해 시험을 치르거나,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직접 접속하여 시험을 치르거나(075'), 개인화되어서 제공되는 가상공간(074)을 통해서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이처럼 시험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랭킹관리시스템(071)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거나 내부에 구현(Embedding)될 수 있다. 학습자가 시험에 참가하여 나타난 시험 점수와 이로 인한 시험 결과는 학습자의 컴퓨터(076)상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상의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험이라 불리는 것들로 토익, 토플 등의 보편화 된 성취도 측정시험과 각종 자격증 관련 시험(컴퓨터 활용 능력 자격증, MCP, OCP 둥), 그리고 일반 교육제도나 교육기관 입학과 밀접한 상관을 가지는 시험들(고 3 모의고사, 대입학력고사, 수능, 서울대 논술시험 등)이 있는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수행 가능하다. 또한, 퀴즈는 그 목적에 따라 수험용(변리사 1차 시험 퀴즈), 교육용, 오락용(퀴즈아카데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상에 따라 직업별, 연령별, 학년별 분류가 가능하며 역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시험 랭킹 시스템에서 시험 콘텐츠의 제공은 시험콘텐츠제공 서버(075)가 제공하거나 순전히 오프라인에서만 제공되는 시험을 시험의 운영주체나 랭킹시스템 관리자가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학습자는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의 입력은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직접 입력하거나 시험 콘텐츠제공시스템에 입력한 것이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전송된다.(061)
랭킹관리시스템(071)은 입력된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 정보를 바탕으로 랭킹관리시스템(071)은 학습자의 다양한 세부 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혹은 기생성된 카테고리에 소속시킨다.(062)
학습자는 시험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075)에 접속하여 시험을 치르고 시험점수가 발생한다. 객관식이거나 간단형 주관식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점수가 계산되고 복잡한 서술형 주관식의 경우에는 사람이 평가하여 점수를 입력한다.(063)
시험 점수는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전송되며(064), 랭킹관리시스템(071)은 전송된 시험점수로부터 카테고리가 반영된 순위 랭킹이 생성된다(065).
이 후, 학습자가 전자지도 등의 매체에서 관심이 있는 목적카테고리를 선택하면(066), 랭킹관리시스템(071)은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을 전자지도에 표시하여 전송한다(067).
이에, 학습자는 전자지도상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별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068).
도 3은 각 학습자의 고유정보 카테고리와 그에 따른 랭킹부여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학습자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 9동 한 아파트에 살면서, A 대학교 B 단과 대학 C학과를 졸업하고 종로구에 있는 D 회사에 다니는 과장의 a 학습에 대한 랭킹이 국내에서 12345 위, 세계 랭킹으 로는 123456 위이며, 서울특별시 등위로는 1234 위, 관악구 등위로는 123 위, 신림동 전체 등위로는 12 위, 신림 9 동 등위로는 1 위일 수 있다.
또한, 이 학습자 자신이 다닌 A 대학교 출신의 끼리의 랭킹은 2345 위, B 단과 대학 랭킹은 234 위, C 학과 랭킹은 23 위이며, 자신과 같은 D 학번 사이의 랭킹은 2위일 수 있다. 또한, 이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자기 회사 E에서는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리급에서는 1위가 된다.
즉, 이처럼 랭킹이라는 것은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비교 집단을 어떻게 선정하느냐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동일 계열에서 비교 집단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랭킹의 순위는 상대적으로 올라간다. 이들 학습자의 랭킹 등은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등을 포함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의 각종 활동 또는 수행(activity)의 각 항목 및 주어지거나 (given) 선택하거나(selected), 입력한(created) 카테고리별로 학습 등을 포함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에서의 각종 활동 또는 수행(activity)의 결과 데이터로 하여 DB로 만들 수 있다.
도 4는 학습자가 카테고리를 세분화하는 경우 랭킹 표시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는 집단의 구성 체계(hierarchy)를 표시하는 다이아그램(diagram) 형성한 다음 그 위에 학습자가 특정한 카테고리를 대응시켜 랭킹 등을 표시한다.
가상성이 높은 카테고리에 대한 개념적인 지도는 단순히 이를 텍스트화하고 박스 정도만 처리하여 계층순위(Hierarchy)만 제공해도 한 개인, 사용자 또는 주체가 조직 또는 카테고리 속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대응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특 정가능하다.
전자지도 개념을 확장하면, 게시판(Board), 언론매체, 지역별 언론매체, 피씨방에 전송되는 newsline, 가상성이 높거나 낮거나 간에 VR(Virtual Reality) 기술을 이용하여 사이버 마을이나 사이버 조직 구조와 같이 인간이 오감을 인지할 수 있는 완전한 사이버 공간 등을 상정할 수 있다.
물리적 실체(physical entity)에 기반하지 않는 개념상 실체만 가지는 집단(group)이거나, 가상성이 높은 집단(group)인 경우, 그 집단을 표시하는 전자지도가 있을 경우, 그 개념적 지도도 경계가 있으며, 그 개인 또는 주체가 속한 상위, 하위 카테고리가 특정될 것이며, 이는 통상의 전자지도 위에서 랭킹을 표시해 주는 것과는 둘 모두 디지털 데이터로 된 지도이므로 표시(display) 단계에서는 그 구현 방식이나 작동, 상호작용 방식에서 개념적으로 하등의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랭킹정보는 각 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들이 열리는 방식으로 세부 카테고리까지 나아간다. 또한, 도 4의 하단의 도면 각각의 세부 카테고리를 피라미드 구조로 학습자에게 보여 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하이텔의 취미 동호회의 학습 동호회의 스타크레프트 모임의 저그 사용자라는 하이어라키(hierarchy)가 있다면, 저그 사용자 모임이 최하위 집단(group)이 되고, 스타크래프트 모임이 상위 집단(group)이 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하이텔이 최상위 집단이지만, 이것보다 더 높은 상위 집단을 상정(예를 들면, 국내 PC통신망일 수 있으며, 저그 사용자 모임 밑에 다시 하위 집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도 특정한 카테고리가 목적 카테고리가 되며, 이 카테 고리의 상위 카테고리가 주위가 된다.
학습자별 랭킹을 전자지도에 표시하는 경우 GIS는 레이어(layer 층) 개념을 사용한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리정보가 복층적, 다중적, 카테고리별로 복합된 하나의 지리 정보 덩어리리다. 레이어란 개념을 사용하면 정보 수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추출하여 보여줄 수 있다. 가령,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자신이 원하는 것(key word)이 소방도로이면, 잘 구성된 지리정보시스템은 자신의 지리정보 DB에서 정보 수요자가 보기를 원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전자지도위에 소방 도로만을 또는, 소방도로를 포함하는 연관된 정보와 함께 정보 수요자에게 보여 줄 수(display)할 수 있다.
한 사람의 학습자는 다양한 카테고리에 속하게 되며, 이들 각 카테고리는 한 학습자의 레이어(layer)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네트워크상에서의 학습정보를 총괄할 수 있는 시스템에 사용자가 항목으로 퀴즈 프로그램 A를, 카테고리로 자신이 다니는 고등학교를 선정하면, A에서의 전자지도 위에 학습자가 다니는 B 고등학교가 표시되고, 그 위에 학습자의 랭킹 등이 특정한 방식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학습자가 특정한 카테고리 안에서 자신의 랭킹과 관련이 되는 랭킹의 소유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등이 제공되어 질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정보는 연동되어 있다. 또한, 이 정보에는, 전자지도상의 학교의 랭킹 또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C 아파트 단지의 A 프로그램 랭킹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정보 요구 입력 등에 따라 확장되어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학습자가 선택한 목적 카테고리가 확장 또는 축소될 때, 학습자의 등 위를 전자지도상에 표현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는 특정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주위를 선택하여 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과정 이외에 다중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적으로 계열화되어 종속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단순 축소, 확장하는 것 이외에 주위를 선택하여 카테고리를 수평적으로 확장하고 상위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소속의 여러 카테고리 중에서 학습자나 관찰자가 관심 있는 여러 카테고리를 다중 선택하면, 다중 영역에 대한 랭킹이 표시된다. 영역 축소시에 특정 세부 카테고리를 마우스로 클릭하는 등의 행위로 선택할 수 있다면, 다중 카테고리는 미리 정해진 규약대로 Shift 키를 누르고 마우스로 여러 영역을 선택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쓸 수 있다.
도 6은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선택한 목적 카테고리가 지역적 단위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때는 주위(surrounding)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한다. 수치로 된 상기의 예에서 학습자가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을 특정하고 서울 관악구 신림 9동(34)을 선택했다면 신림 9동에 대한 전자지도가 보여지고, 이 신림 9동과 다른 동이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구분 장치로 구분되는 영역이 나타나고, 신림 9동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 신림동은 주위(33)(surrounding)를 형성하는 영역이 나타난다.
구분 장치는 각각의 영역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형태(색깔, 모양(선도, 색 구분, 색 흐림), 형상)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출력장치에 나타내어 주는 것으로서, 각 영역을 구별하는 형태는 관리 시스템에 의해 주어질 수도 있으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학습자가 다시 목적 카테고리를 확장하여 신림동(36)이 도면 관악구 전체는 주위(35)가 되고, 관악구 전체(38)의 카테고리가 선택된다면, 서울 전체(37)의 지도가 나타나고, 앞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자신의 랭킹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확장하는 방식은 포인팅 디바이스 등으로 주위를 클릭하는 등의 약속된 상호 작용 방식을 실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학습자가 시간이 지나(기준 시간 : 2000 년 12 월 12 일) 신림동 전체에서 1위가 되고, 관악구 전체에서 12위가 된 경우에는 신림 9동에서의 1위라는 랭킹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자신이 1위를 한 최대 단위인 신림동 전체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이 나타난다. 학습자가 카테고리를 서울특별시 전역을 선택한다면, 그 전체 서울특별시 지도에서 자신의 랭킹, 관악구에서의 자신의 랭킹, 신림동에서의 자신의 랭킹이 표시된다.
도 7은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작성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역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10km 이내의 지역을 가리키는 목적 카테고리 1(222)를 형성할 수 있고, 서울대입구역-신림역-서울대를 잇는 지도상에서 목적카테고리 2(223)를 형성할 수 있다. 목적카테고리 2(2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자는 행정 구역 등의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가 아니라 지도상에서 자신 이 그리는 영역을 새로운 카테고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전자지도상에 표시되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카테고리를 학습자나 관찰자가 미리 정해진 상호작용의 규약을 사용하여 선택하게 할 수 있는데, 랭킹시스템의 작성자나 관리자가 미리 정해놓은 카테고리에 학습자가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를 형성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방법을 학습자에게 부여하여 자신만의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먼저, 행정구역의 카테고리와 같은 경우. 이것이 정확하게 학습이나 상거래 등의 학습자나 이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범위와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실제의 영역과 동일한 축척 비율로 축소된 전자지도상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지점을 선택하고. 그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심형, 사각형, 삼각형, 고리 형 등의 모양에 대하여 그 크기를 정하는 반지름, 가로, 세로 등을 정하게 한다. 이 도형에 의해서 표시되는 전자지도상의 영역이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는 목적 카테고리로서 쓰이게 된다.
한편, 가상성이 높은 카테고리의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그룹을 결성하여 자신만의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으며, 관심 있는 관찰의 대상을 그룹화하여 비공식적인 카테고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학습자에 의해서 작성된(created) 카테고리는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저장되어서 이 학습자가 지속적으로 이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의 관찰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랭킹의 응용 대상이 시험의 성적과 같은 경우에는 이를 타인에게 노출 시 개인의 사생활(Privacy)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의 경우에는 응용 대상에 따라 랭킹 시스템의 관리자가 이를 불허할 수 있다. 또,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의 생성이 가능할지라도 특정 학습자가 자신이 남이 작성한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에 소속되길 원하지 않는 경우 이의 선택권을 학습자가 소유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어느 최소의 한 카테고리에서도 1위를 하지 못한 경우의 표시 방법도 본질적으로 상기와 동일하다. 즉, 최소 영역에서 1위를 못한 경우의 표시 방법은 상기의 예에서 관악구 전체에서 1위를 못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최소 영역을 관악구 전체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표시해 주면 된다. 즉, 신림 9동에서 자신의 랭킹 등이 자기 랭킹보다 우선 순위에 있는 자와 함께 표시되거나, 자기의 랭킹이 그 순위에 맞는 형상을 사용하여 나타내 준다.
전자지도상의 랭킹을 보는 것은 학습자뿐 아니라, 관찰자도 가능하다. 학습자의 경우 각 카테고리의 상위에 있는 자들과 자신과의 순위가 표시되며, 관찰자의 경우 각 카테고리의 상위에 있는 자들만 표시되거나, 특별히 관심 있는 학습자를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카테고리에서 미리 정해놓은 상위의 랭킹에 도달하지 못한 자는 자신의 랭킹이 남들에게 관찰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을 기본 옵션으로 한다. 이 옵션의 변경 권한은 하위의 랭킹에 올라 있는 자,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 각 카테고리의 관리자로 한정하는데, 각 카테고리의 관리자란 공식적인 카테고리로의 관리자와 랭킹관리시스템의 관리자가 인정하는 카테고리의 관리자로 한정되는데 예를 들어, 정부 조직이라는 카테고리가 있을 경우 각 조직의 기관 장의 경우에는 해당 조직 카테고리에 소속해 있는 모든 조직원의 랭킹을 열람할 권리를 가진다.
전자지도상에서 주위나 목적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영역확장, 영역축소(Zoom-in, Zoom-out)함으로써 원하는 수직적, 수평적 카테고리를 선택하였을 때 카테고리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각 응용대상의 순위 정보 DB 연동을 논하고자 한다. 먼저, 각 학습자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DB정보는 랭킹관리시스템(071)에 존재한다. 각 카테고리는 전자지도상에서 시각적으로 그려지는 닫힌 영역으로 표시되는 지리정보 DB의 카테고리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가지게 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소속카테고리를 클릭 등의 상호 작용으로 선택하게 되면 랭킹관리시스템(071)은 기존에 생성되어 저장된 카테고리별 순위 DB를 불러오거나, 카테고리가 선택되었을 때 각 학습자의 성적을 소팅(Sorting)하여 순위 DB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순위 정보를 불러와서 이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게 된다.
앞에서 정의한바 대로 목적 카테고리와 주위 카테고리는 랭킹 사용자의 내비게이션을 위한 방법으로도 쓰이는데, 사용자는 원하는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영역을 직접 포인팅하여 내비게이션 할 수 있고, 또는, 카테고리 수축, 확장을 위한 줌업, 줌인(Zoom Up, Zoom In)버튼을 활용하거나, 가상성이 낮은 카테고리의 경우 수축확장의 비율을 직접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기가 원하는 지역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임의로 작성한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 정의 카테고리를 생성하게 되고, 랭킹 응용 대상의 학습자는 반드시 전자지도 상(개념적 지도 포함)의 어떠한 지점을 차지하게 되므로, 먼저 새로 작성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학습자에 대한 리스트가 작성된다.
이 후, 작성된 리스트에 대한 점수 처리를 거쳐 분류되면(Sorting) 순위 정보가 생성되며, 이러한 순위정보가 전자지도상에 표시된다.
이에, 새로 작성된 카테고리가 저장되길 원하는 경우 소속 학습자 리스트와 이들의 성적, 순위 등이 별도의 DB로 저장되며, 학습자 성적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하여서 DB가 갱신(Refresh)된다.
이러한 순위 정보는 표시되어 있는 전자지도의 목적 카테고리와 같이 보여 지게 되는데, 이를 구현하는 개념적인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지도상의 그래픽부분과 별도로 텍스트로 처리된 순위 정보가 전자지도와 같이 화면상에 배치되어 표시된다. 즉, 전자지도의 관심영역 아래, 좌, 우, 위의 특정 위치를 점하고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말하는데 텍스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즉, 폰트, 크기, 색상, 명함, 글자체 처리 등을 거칠 수 있다. 혹은 전자지도와는 완전히 별도의 브라우저를 띄우게 하거나 같은 브라우저 안에서도 프레임을 다르게 처리하는 등의 기법으로 전자지도와 시각적으로 분리된 채로 표시될 수 있고, 전자지도의 목적 카테고리의 시각적인 점유 영역에 덧씌워져서 마치 전자지도상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게 할 수 있다.
둘째, 순위 정보는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결과 발생시 기처리하여 DB 형태로 저장되고, 이를 전자지도상의 목적 카테고리에 그래픽하게 덧씌우거나 합성하여 하나의 레이어를 이루고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지리정보 DB 서버(117)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순위 정보 그래픽은 사용자가 클릭 등의 상호작용으로 전자지도의 목적카테고리를 선택할 때 대신하여 나타나서 표시되게 된다.
셋째, 순위 정보가 텍스트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순위에 올라 있는 랭킹의 학습자들을 상징하는 아이콘, 심벌 등의 상징물, 그림 등으로 처리되고 이것이 전자지도의 그래픽과 합성되어서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정보를 서버로 보내고 모든 처리를 서버에서 구현하는 HTTP 나 CGI 와 같은 방식과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에 서버에서 보낸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작동하므로 필요시 모든 자료 처리를 웹브라우저 상에서 처리하는 Active X 나 자바애플릿과 같은 클라이언트 기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을 응용하여, 각 학습자에 대하여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학습자의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수행 결과에 대한 표시 체계를 구상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은 각 학습자들에게 자신들의 결과를 통괄하여 관리하는 홈페이지, 사이트, 전자 우편 주소, 기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공간(개인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의 HDD, 핸드폰 등의 메모리 등) 등의 관리 공간(이하 ‘홈페이지 homepage’라는 용어로 이들 온라인 오프라인상의 개인을 위한 표시 공간을 통칭한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홈페이 지에는 필수적으로 학습 등의 분야, 자신의 랭킹을 표시해 주는 전자지도, 다이어그램 등 각 카테고리가 있고, 선택적으로, 자신의 학습 결과에 대한 사이버 표장(훈장, 마크, 상징물, 그림 문자, 표장, 표창 등, 이하 통칭하여 '표장'이라 한다.). 학습 등의 일자, 상대, 결과, 승점, 기타 학습 관련 사항 등을 기록한 학습 기록(game record or game history)를 제공해 준다. 또한, 관리시스템이 홈페이지를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관리시스템의 DB 와 전자지도 등의 자료에 대한 연동(link)를 달거나 원하는 자료를 복사해서 붙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홈페이지나 관리시스템의 사이트의 전자지도에서 랭킹을 표시할 때, 랭킹 표시부분에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와 약속된 상호작용에 대한 규약으로, 예를 들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했을 때는 여러 메뉴가 팝업되게 할 수 있는데, 카테고리의 일 단계 확장/축소, 이전 카테고리로의 이동, 표시된 상위의 랭커나 학습자의 세부 정보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퍼링크의 개념을 활용하면 사용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랭킹의 결과를 전자지도상에서 표시할 때 몇 개의 순위 리스트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 장식을 할 수 있다. 그러한 장식의 목적은 다중랭킹을 제공함으로써 얻는 랭킹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목적과 그 흐름을 같이한다. 학습자는 특정한 카테고리에서 자신의 랭킹 등이 있을 경우 자신의 전자지도로 대응되는 자신의 랭킹 등이 있는 가상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다. 자신의 랭킹이 1 위인 경우에는 자신이 1 위인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전자지도에 자신이 원하는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소리 등을 한가지 또는 이들의 결합 방식으로 표시 또는 장식할 수 있다. 이들 장식에 필요한 각종 요소들은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학습자 자신이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각종 요소와 호환하는 요소들만으로 또는 관리 시스템이 제공해 주는 것과 함께 자신의 랭킹 등이 있는 전자지도상의 가상 공간을 디자인 또는 장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랭킹관리시스템(071)이 관리하는 홈페이지, 혹은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혹은 학습 등의 학습자가 자체 관리하는 홈페이지에 전자지도가 나타난다고 할 때 특정 카테고리의 1위 랭커는 그 카테고리의 지배자로 선정하여 그 영역이 그 1위 랭커의 지배영역임을 표시한다. 지배자의 디지털 사진이나 지배자가 원하는 상징물을 붙일 수 있게 함으로써 자기 만족을 촉진하고 과시욕구를 만족시킨다. 가장 간단하게는 자신의 등위가 높은 경우에는 밝고 화려한 색으로 영역을 표시하고 등위가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에는 암흑으로 표현하게 한다.
자신의 홈페이지에 나타나는 전자지도상에서의 장식물의 경우에는 등수에 따라 차별적인 장식을 하게 한다. 예를 들어서, 1등은 원하는 종류의 어떠한 아이템으로도 치장할 수 있게 하고 그 외 등수는 등수에 따라 차별적인 아이템만 선택하게 한다. 화려하고 대중의 주목을 받을 만한 아이템에 대해서는 장식의 대가를 지불하게 한다.
이러한 장식은 전자지도상에서 무조건 나타나게 하거나, 상위의 랭커들에게는 장식을 표시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하위의 랭킹에 올라 있는 자들에게는 기본적인 전자지도만을 표시할 수 있다.
랭킹관리시스템(071) 혹은 그 운영자가 인증하고 발부하는 사이버 인증서(Cyber Certificate)나 그의 표시가 되는 장식을 발부하여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학습자의 순위나 그 수준을 표시하게 한다. 즉, 학습자의 홈페이지나 디지털 명함 등의 학습자를 표시하고 나타내는 사이버 공간상의 위치나 표상에 인증서를 달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타크래프트 서울시 1위의 디지털 명함에는 랭킹관리시스템(071)이 고유하게 디자인한 상표나 문양으로 "스타크래프트 서울시 1위 홍길동"과 같은 표시가 가능해지고, 음식점을 대상으로 하는 랭킹의 경우 그 음식점의 홈페이지 "OOOOO 선정 대부도 고객만족도 1위 횟집"과 같은 표시를 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표와 문양은 랭킹관리하는 자의 창작물로서 디자인과 사용권한, 배포 및 양도 권한에 대하여 독점적 권리를 갖게 되고, 랭킹관리시스템(071)이 인정하는 자에게만 부여 및 대여한다. 이때, 이러한 표시를 다른 사용자가 클릭하여 상호작용하면, 랭킹관리시스템(071)이 관리하는 홈페이지가 나타나고 다른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일반 사용자의 참가를 촉진할 수 있다. 즉, 상거래와 같이 일반 사용자의 평가정보가 필요한 경우 랭킹정보획득시스템이 수월하게 동작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 개념을 좀 더 확장하여, 사이버 공간상에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의 학습자의 사이버 분신 캐릭터, 즉 아바타를 만들어서 사이버 공간상에 활동한다고 할 때, 이 캐릭터를 치장하는 옷이나 도구, 치장 아이템 등이 랭킹의 순위에 따라서 차별화되게 입혀질 수 있다.
학습자가 임의의 카테고리를 선택했다면, 특정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에서 이들 각각에 대하여 이 단위가 최초로 선택된 것이었다면 각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 단위를 상기의 방식으로 지도상에 또는 다이어그램 등으로 표시해 준다. 여기서, 학습자의 카테고리 선택이 이전에 선택이 되었던 것이었다면, 이 카테고리에서의 이미 형성되어 있는 랭킹을 카테고리별로 표시해 준다.
한편, 학습자가 복수 개의 네트워크상의 학습 등(본 문단에서 사용된 학습 등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매개로 한 전자 상거래 또는 비상거래 상의 일체의 행위, 활동, 수행 등에 준용한다.)에 참가하고 있을 때가 있다. 즉, a, b, c, d, e 등의 여러 개의 네트워크상에서의 학습 등을 한다고 가정하고, 이들에 대한 데이터가 있다면, 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학습 등의 특정에 따라 그의 랭킹을 전자지도 위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b 라는 퀴즈 맞추기에 대한 정보 또는 랭킹은 학습 a 에 대한 정보 또는 순위와는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그리고, 이들 여러 종류의 학습 등에 대한 랭킹은 연동하여 관리될 수 있다.
전자지도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랭킹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원하는 방법으 로 랭킹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매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랭킹표시시스템을 운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주요한 목적은 학습자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를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랭킹관리시스템(071)의 사용자에 관해 기존에 입력된 주소, 소속, 나이, 성별, 등의 필요한 정보 또는 신상정보는 전자지도상에서 랭킹이 효율적으로 표시되게 하는 기본 데이터로 쓰일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와 같은 학습이라고 하자. 랭킹시스템 관리자는 학습자가 속한 여러 수직적, 수평적 계층과 그 계층에서의 순위 정보를 처리하여 그 학습자의 성취 욕구를 가장 만족시켜주거나 혹은 지나온 사용 습관을 분석하여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랭킹이 나타나는 전자지도상의 위치를 기본 출발선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랭킹의 출발 위치를 정하는 방법은 상거래에 대한 랭킹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그 사용자가 접속한 컴퓨터의 IP 주소를 분석하여 원하는 지역별 상거래에 대한 랭킹을 표시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응용하여 쓰여질 수 있다.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는 마우스 클릭. 더블클릭. 버튼. 메뉴바 선택, 조이스틱이나 키패드 등의 주변 입력기기를 통한 내비게이션, 터치스크린, 단축키를 응용한 키보드입력 방법, VR 을 이용한 가상공간의 경우에는 현실에서의 오감의 감각을 투영한 입력방법 등의 여러 입력방법을 통하여 전자지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 전자지도 위의 각 카테고리별의 랭킹을 볼 수 있다. 즉, 전자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클릭 등을 하면 그 특정 지점이 속한 1 개 또 는 복수개의 카테고리가 표시되고, 그 카테고리에서의 랭킹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 제공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다양화하고 각 학습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에서의 랭킹을 전자지도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 확인(self confirmation) 및 자기 만족을 충족시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와;
    (C)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와;
    (D)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소정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역정보를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세분화되는 계층적 행정구역정보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계층의 행정구역에 따라 해당 행정구역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각각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학습자 랭킹의 확인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랭킹 확인이 요청된 계층의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확인이 요청된 계층의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행정구역을 상위 행정구역에서부터 하위 행정구역으로 단계적으로 세분화하여 각 계층별 행정구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를 성별, 나이, 가문, 직업, 소속 학교, 학년, 소속 학원, 교습기관, 취미, 동아리, 종교 및 출신학교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의 카테고리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각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를 상기 신상정보의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해당 지역의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각 학습자의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학습콘텐츠에 대해, 각 학습콘텐츠별 학습자의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랭킹이 기준 랭킹 이상인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지도의 색깔, 기호, 형상, 무늬, 그림, 상징, 도형, 마크, 문자, 영상 및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설정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및 디지털 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방법.
  14. 학습콘텐츠를 이용하는 학습자의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학습자 고유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각 학습자의 상기 학습콘텐츠 이용결과를 수집하는 랭킹정보 획득서버와;
    전자지도제공을 위한 지리정보DB서버와;
    상기 학습콘텐츠의 시험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의 상기 학습자의 상기 콘텐츠 시험결과에 랭킹을 부여하고, 상기 지리정보DB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지도를 제공받아 상기 학습자의 랭킹을 상기 전자지도의 해당 지역에 표시하는 학습랭킹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상기 학습자의 개인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개인 웹페이지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에게 상기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학습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랭킹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랭킹이 표시된 전자지도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아 표시하는,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 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및 디지털 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도 기반 학습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0A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0774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71777 2000-11-29
KR1020000071777 2000-11-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Division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570A KR20060080570A (ko) 2006-07-10
KR100774377B1 true KR100774377B1 (ko) 2007-11-08

Family

ID=27678674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3A KR10083446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0A KR10077437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6A KR100834459B1 (ko) 2000-11-29 2006-06-15 쌍방향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2A KR100807877B1 (ko) 2000-11-29 2006-06-15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80004150A KR100946724B1 (ko) 2000-11-29 2008-01-14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KR1020080008793A KR20080015494A (ko) 2000-11-29 2008-01-28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30A KR100837295B1 (ko) 2000-11-29 2001-03-13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53A KR100834467B1 (ko) 2000-11-29 2006-06-15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976A KR100834459B1 (ko) 2000-11-29 2006-06-15 쌍방향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60053972A KR100807877B1 (ko) 2000-11-29 2006-06-15 이동통신단말기를 위한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제공방법 및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1020080004150A KR100946724B1 (ko) 2000-11-29 2008-01-14 전자지도 기반 시험랭킹정보 제공방법
KR1020080008793A KR20080015494A (ko) 2000-11-29 2008-01-28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0837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95B1 (ko) * 2000-11-29 2008-06-12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20080048786A (ko) * 2006-11-29 2008-06-03 팅크웨어(주) 목적지 주변의 관심지점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48452B1 (ko) * 2006-12-05 2008-07-28 주식회사 케이티 지도 기반의 컨텐츠 등록/표시 방법
WO2009055501A1 (en) * 2007-10-22 2009-04-30 Pelago, Inc. Providing aggregate user-supplied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s on a map
KR100943045B1 (ko) * 2008-05-26 2010-02-19 주식회사 넥슨 온라인 게임 로컬 랭킹 검색 시스템
KR101079029B1 (ko) * 2009-02-06 2011-11-02 팅크웨어(주) 상대적인 관심 증가 영역에 대한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0987034B1 (ko) * 2010-01-11 2010-10-12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128407B1 (ko) * 2010-04-26 2012-03-27 주식회사 에스원 전자지도의 다자참여 지역등급 설정방법
KR101181743B1 (ko) * 2010-12-10 2012-09-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62361B1 (ko) 2011-06-28 2013-05-08 하희주 누적 투표점수에 의한 순위에 따라 상품을 전시하는 상품비교방법
KR101394969B1 (ko) * 2012-02-07 2014-05-15 (주)네오위즈게임즈 온라인 게임의 랜드마크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38011B1 (ko) * 2012-05-23 2013-02-27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지도 광고 장치 및 지도 광고 방법
KR101662585B1 (ko) * 2014-02-17 2016-10-05 식신 주식회사 위치기반 sns를 이용한 서비스제공업체 추천 방법
KR20180044683A (ko) * 2016-10-24 2018-05-03 윤종민 랭킹에 대응한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252B1 (ko) * 2017-03-08 2019-10-17 전천광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0852778B (zh) * 2019-09-30 2021-03-26 口口相传(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业务对象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102495569B1 (ko) * 2021-02-19 2023-02-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정당의 지지정보 및 설문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807A (ko) * 1999-01-13 1999-06-25 송한영 인터넷상에서의전자교과서를이용한초.중.고교수-학습방법및수행평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809B2 (ja) * 1994-09-05 1999-02-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システム
KR19990064794A (ko) * 1999-05-10 1999-08-05 이강민 온라인 게임용 랭킹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00054164A (ko) * 2000-05-24 2000-09-05 김병남 지역 생활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주문내역전송방법
KR20000058731A (ko) * 2000-06-27 2000-10-05 전우철 컴퓨터 게임 리그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092A (ko) * 2000-07-15 2002-01-26 양호철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게임매칭 및 승패인식 기능을 갖는네트웍 게임대회 운영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100837295B1 (ko) * 2000-11-29 2008-06-12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게임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게임랭킹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807A (ko) * 1999-01-13 1999-06-25 송한영 인터넷상에서의전자교과서를이용한초.중.고교수-학습방법및수행평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391A (ko) 2002-06-05
KR100946724B1 (ko) 2010-03-12
KR100834459B1 (ko) 2008-06-05
KR100807877B1 (ko) 2008-02-27
KR100834467B1 (ko) 2008-06-05
KR20080009241A (ko) 2008-01-25
KR20080015494A (ko) 2008-02-19
KR100837295B1 (ko) 2008-06-12
KR20060080570A (ko) 2006-07-10
KR20060079176A (ko) 2006-07-05
KR20060081677A (ko) 2006-07-13
KR20060080571A (ko)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377B1 (ko) 전자지도 기반 학습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 랭킹정보제공시스템
Brey Space-shaping technologies and the geographical disembedding of place
Lobben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of cartographic animation
Fredericks et al. Not just pretty lights: using digital technologies to inform city making
Ishida et al. Digital City Kyoto: Towards a soc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US20040059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real estate web sites
Budthimedhee et al. ePlanning: A snapshot of the literature on using the world wide web in urban planning
Davies Overcoming barriers to visiting: Raising awareness of, and providing orientation and navigation to, a museum and its collections through new technologies
Andrienko et al. Internet mapping for dissemin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Pickles Toward an economy of electronic representation and the virtual sign
Barbosa et al. A survey and evaluation of mobile apps in science centers and museums
Richmond et al. Internet cartography and official tourism destination Web sites
Cooper et al. Virtual reality mapping: IT tools for the divide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 tourism
KR20050064605A (ko) 부동산의 지리적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000018264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Suryanto et al. Evaluation Impact of SIMVONI Implementation on Visitors' Perceptions in the Mpu Tantular Museum Using the IDT Method
Fernström et al. Enabling technology for museum visitors: Issues and experiences
Óttarsdóttir Space and place in anthropology
Sugimoto Design of systems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augmented with physical artefacts
Green et al. Internet-Based Information Systems: The Forth Estuary Forum (FEF) System
Husain Comparative Study between Various Aspects of the Academic and Non-academic Institutions Websites
KR20000054849A (ko) 통신망을 이용한 가상 학급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tieyib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frican Youth in a Globalized World
Utomo et al. Perception of People’s Potential and Expectations Towards the Sriwedari Cultural Heritage WebGIS (Surakarta, Indonesia)
Schnitzhofer Casual information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considering the museum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