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451A -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 Google Patents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451A
KR20060070451A KR1020050125193A KR20050125193A KR20060070451A KR 20060070451 A KR20060070451 A KR 20060070451A KR 1020050125193 A KR1020050125193 A KR 1020050125193A KR 20050125193 A KR20050125193 A KR 20050125193A KR 20060070451 A KR20060070451 A KR 2006007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cuff
air bag
wall portion
pressur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268B1 (ko
Inventor
히로미치 카로
요시히코 사노
히로시 키시모토
요시노리 츠루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계용 커프스는, 공기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공기대(150D)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대(150D)는 혈압계용 커프스가 손목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와,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161)와, 내측벽부(162)의 측단부와 외측벽부(161)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수축 상태에서 공기대(150)의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공기대(150D)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를 포함한다. 공기대(150D)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는,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커프스의 횡쏠림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고성능이고 또한 고신뢰성의 혈압계로 할 수 있다.
혈압계, 커프스

Description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Blood Pressure Monito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용 커프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서 도시한 VB-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서 도시한 VC-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5C에서 도시한 영역(VI)의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2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한 VIIB-V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7C는 도 7A에서 도시한 VIIC-V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7C에서 도시한 영역(VIII)의 확대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3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한 IXB-IX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9C는 도 9A에서 도시한 IXC-IX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0은 도 9C에서 도시한 영역(X)의 확대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서 도시한 XIB-X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1C는 도 11A에서 도시한 XIC-X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도 11C에서 도시한 영역(XII)의 확대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5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에서 도시한 XIIIB-XI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3C는 도 13A에서 도시한 XIIIC-XI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4는 도 13C에서 도시한 영역(XIV)의 확대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6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에서 도시한 XVB-X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에서 도시한 XVC-X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6은 도 15C에서 도시한 영역(XVI)의 확대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7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에서 도시한 XVIIB-XV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7C는 도 17A에서 도시한 XVIIC-XV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8은 도 17C에서 도시한 영역(XVIII)의 확대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8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9B는 에서 도시한 XIXB-XIX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9C는 에서 도시한 XIXC-XIX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0은 에서 도시한 영역(XX)의 확대도.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9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1B는 도 21A에서 도시한 XXIB-XX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1C는 도 21A에서 도시한 XXIC-XX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2는 도 21C에서 도시한 영역(XXII)의 확대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0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에서 도시한 XXIIIB-XXI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3C는 도 23A에서 도시한 XXIIIC-XXI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4는 도 23B에서 도시한 영역(XXIV)의 확대도.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5B는 도 25A에서 도시한 XXVB-XX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5C는 도 25A에서 도시한 XXVC-XX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26은 도 25B에서 도시한 영역(XXVI)의 확대도.
도 27은 일반적인 손목식 혈압계를 피측정 부위인 손목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28은 도 27중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XXVIII-XXVIII선에 따른 모식 단면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측정 상태에서 손목식 혈압계의 커프스에 횡쏠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모식도.
도 30은 도 29중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XXX-XXX선에 따른 모식 단면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생체를 압박함에 의해 동맥을 조혈(阻血)하기 위한 유체대(流體袋)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통상, 혈압치의 측정에 있어서는, 생체 내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압박하기 위한 유체대를 내포하는 커프스를 생체의 체표면(體表面)에 감고, 감은 유체대를 가압·감압함에 의해 동맥 내에 생기는 동맥압 맥파(脈波)의 검출을 행하고, 이로써 혈압치의 측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커프스란, 내강(內腔)을 갖는 띠 모양의 구조물로서 생체의 일부에 감는 것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내강에 주입함에 의해 상하지(上下肢)의 동맥압 측정에 이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커프스는, 유체대와 이 유체대를 생체에 감기 위한 감는 부재를 포함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이고, 특히 손목이나 상완(上腕)에 감겨져서 장착되는 커프스는, 완대 또는 만셰트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근래, 혈압계는, 병원 등의 의료 시설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매일의 건강 상태를 아는 장치로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혈압계에 대한 취급성의 향상, 특히 장착 작업의 용이화에의 요청이 강하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커프스의 소형화가 추진되고 있다. 커프스의 소형화에 있어서는, 폭방향(즉, 커프스가 감기는 피측정 부위(예를 들면 손목이나 상완 등)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에서의 협소화가 필요하다.
혈압계용 커프스의 폭을 협소화하는 경우에는, 동맥을 충분히 압박 조혈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문제로 된다. 폭이 넓은 혈압계용 커프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커프스에 의해 덮이는 피측정 부위의 축방향의 길이가 길게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동맥을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커프스 폭을 협소화한 경우에는, 이에 수반하여 커프스에 덮이는 피측정 부위의 축방향의 길이도 짧아지기 때문에, 충분히 동맥을 압박 조혈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커프스 폭의 협소화에 수반하는 조혈 성능의 저하의 방지가 도모된 혈압계용의 커프스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2-107226호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나, 특개2001-224558호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가 알려져 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혈압계용 커프스는, 커프스 내에 배치된 유체대로서의 공기대(空氣袋)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거싯(gusset)을 마련하고, 공기대가 팽창한 때에 이 거싯이 늘어남에 의해 공기대가 폭방향에서 보다 균등하게 팽창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커프스의 양측단부 및 그 부근에서도 커프스의 중앙부와 마찬가지로 동맥의 압박 조혈이 충분히 행하여지도록 되기 때문에, 커프스 폭을 협소화한 경우에도 정밀도 좋게 혈압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기대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거싯을 마련한 경우에는, 공기대의 팽창시에 공기대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의 두께 방향의 높이가 커지기 때문에, 결과로서 후술하는 공기대의 횡(橫)쏠림 현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된다.
도 27은, 일반적인 손목식 혈압계를 피측정 부위인 손목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8은, 도 27중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XXVIII-XXVIII선에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 29는 도 27에 도시한 측정 상태에서 손목식 혈압계의 커프스에 횡쏠림 현상이 발생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30은, 도 29중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 및 손목의 XXX-XXX선에 따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식의 혈압계(100)는, 장치 본체(110)와 커프스(130)를 구비한다. 손목식의 혈압계(100)를 이용하여 혈압치를 측정할 때는, 피측정 부위인 손목(300)에 혈압계(100)의 커프스(130)가 둘레 방향으로 감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프스(130)는 주머니 모양의 커버체(140)와, 이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된 공기대(150) 및 해당 커프스를 손목에 가(假)장착시키기 위한 만곡 탄성의 컬러(170)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커버체(140), 공기대(150) 및 컬러(170)는 커프스(130)의 감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재되어 있다.
커버체(140)는, 신축성이 풍부한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커버(141)와 신축성이 부족한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커버(142)를 중첩시켜 그 주연(周緣)을 결합함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대(150)는, 장착 상태에서 손목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와, 내측벽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팽축 공간(166)을 갖고 있다. 공기대(150)의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는, 그 양측단부가 되접혀서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에 용착되어 있고, 이로써 공기대(150)의 측벽부에 거싯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대(150)의 외주면에는, 고리형상으로 권회(卷回)됨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인 컬러(170)가 양면 테이프(181)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손목식 혈압계(100)에서는,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팽 축부로서의 펌프 및 밸브 등을 이용하여 커프스(130) 내에 위치하는 공기대(150)의 팽축 공간(166)이 가감압됨에 의해 공기대(150)가 팽축하고, 이 공기대(150)가 팽축할 때에 검지되는 압력 정보를 기초로 혈압치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공기대(150)가 팽창 상태에 있는 경우에 커버체(140)의 외측 커버(142)에 손목(300)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어떠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커프스(130)의 외측 부분이 손목(300)의 축방향으로 횡으로 쏠리게 되고, 이때 커프스(130)의 내측 부분은 손목(30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횡쏠림이 일어나지 않고, 결과로서 커프스(130)에 도 29에서 부호 19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삐져나오는 부분이 생긴다. 또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손목(300) 표면의 경사 형상에 의해 공기대(150)의 압력 밸런스가 무너져서, 횡쏠림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횡쏠림 현상은, 팽창시의 공기대(150)의 압력 밸런스의 무너짐에 수반하여, 컬러(170), 외측 커버(142) 및 수지 시트(151)가 일체로 되어 손목(3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생긴다. 컬러(170)가 손목(3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컬러(170)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공기대(150)의 단부를 향하여 공기대(150)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기대(150)에 변형이 생기고, 상술한 삐져나오는 부분(190)이 발생한다. 이 삐져나오는 부분(190)이 발생한 경우에는, 손목(300)에 대해 공기대(150)를 효율적으로 균등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되어, 충분한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없고,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원인으로 된다. 또한, 공기대(150)와 컬러(170)와의 접착부의 양단(도면중에 도시한 영역(A))에서 컬러(170)로부터 공기대(150)를 벗기는 방향으로 힘이 가 해지게 되기 때문에, 접착부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된다.
상술한 횡쏠림 현상은, 팽창시의 공기대(150)의 폭에 대한 내부의 팽축 공간(166)의 두께가 크면 클수록 발생하기 쉽고, 커프스(130)의 폭을 협소화 시킴에 의해 생기는 측정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공기대(150)의 양측단부에 거싯을 형성한 구성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문제는, 이와 같은 구성의 혈압계용 커프스로 한정되는 문제가 아니라, 공기대의 양측단부에 거싯을 형성하지 않은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로서, 그 해결이 요망되는 점이다.
본 발명은, 커프스의 횡쏠림 현상의 발생이 방지 가능한 혈압계용 커프스를 제공함에 의해, 고성능이고 또한 고신뢰성의 혈압계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는,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측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접합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접합부를 형성함에 의해, 유체대의 측단부의 변형이 이 접합부의 존재에 의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유체대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고, 피측정 부위에의 압박력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밀도로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거싯의 퍼짐을 줄인다」는 것은, 거싯의 넓이를 다른 영역에 비하여 작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영역에서 거싯을 완전하게 소멸시키는 것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對面)하게 되는 상기 측벽부의 벽면끼리를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측벽부의 벽면과,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상기 외측벽부의 벽면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나아가서는, 상기 측벽부의 벽면과,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상기 내측벽부의 벽면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접합부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간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유체대가, 상기 유체대 내에서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체대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또한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유체대가 팽창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이행할 때에, 거싯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가 확실하게 내측으로 접어 개어져서 수납되게 되고, 팽축에 수반하는 유체대의 변형이 안정적으로 재현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가장 횡쏠림이 발생하기 쉬운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중앙부에서 유체대의 변형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에서의 접합이 용착에 의해 행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합부를 용착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는,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을 향하여 개어짐 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유체대 내에서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대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연결부에서 보아 상기 내측벽부측 또는 상기 외측벽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대의 일부의 벽면과 상기 연결부의 벽면이 접합됨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유체대가 팽창한 상태에서, 유체대의 폭방향의 내측벽부와 연결부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체대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밀도로 혈압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가장 횡쏠림이 발생하기 쉬운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중앙부에서 유체대의 변형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의거한 혈압계용 커프스에서는, 상기 접합부에서의 접합이 용착에 의해 행하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합부를 용착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혈압계는, 상술한 어느 것인가의 혈압계용 커프스와, 상기 유체대를 팽축시키는 팽축부와, 상기 유체대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고성능이고 또한 고신뢰성의 혈압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혈압계용의 커프스에 있어서, 상술한 횡쏠림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피측정 부위에의 압박력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고성능이고 또한 고신뢰성의 혈압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혈압계로서 손목식의 혈압계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혈압계(100)는, 장치 본체(110)와 커프스(13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10)의 표면에는 표시부(111)와 조작부(1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장치 본체(110)에 상술한 커프스(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용 커프스(130)는,신축성이 풍부한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머니 모양의 커버체(140)와, 이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된 유체대로서의 공기대(150)와, 커버체(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장착 상태에서 공기대(150)의 외측에 위치하는 컬러(170)를 주로하여 구비한다. 이들 커버체(140), 공기대(150) 및 컬러(170)는 커프스(130)의 감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재되어 있다.
커버체(140)는, 장착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커버(141)와, 내측 커버(14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커버(14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내측 커버(141)와 외측 커버(142)를 중첩시켜 그 주연을 결합함에 의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커버체(14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의 내주면측에는, 면 파스너(175)가 마련되어 있고, 커버체(140)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 단의 외주면에는, 상기면 파스너(175)와 계합하는 면 파스너(176)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면 파스너(175, 176)는, 피측정 부위인 손목에 커프스(130)를 장착한 상태에서, 혈압계(100)를 손목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 수단이다.
공기대(150)는,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주머니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150A)에서는, 커프스(130)를 손목에 감은 상태에서 손목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와, 내측벽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를 중첩시키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주머 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팽축 공간(166)을 갖고 있다(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1을 참조). 또한, 팽축 공간(166)은 후술하는 장치 본체(110)의 혈압 측정용 에어계(系)(121)와, 배관(120)을 이용하여 접속된다(도 3 참조).
공기대(15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의 재질로서는, 신축성이 풍부하고 용착 후에 팽축 공간(166)으로부터의 누기(漏氣)가 없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이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 시트가 최적의 재질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연질 염화비닐(PVC), 폴리우레탄(PU), 생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공기대(150)의 외측에는, 고리형상으로 권회(卷回)됨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요성 부재인 컬러(170)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170)는, 공기대(150)의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컬러(170)는, 자신의 고리형상 형태를 유지하고 손목에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측정자 자신이 피측정 부위에 커프스(130)를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컬러(170)는, 충분한 탄성력을 발현하도록,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부재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10)는 상술한 공기대(150)에 배관(120)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와,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에 관련하여 마련되는 발진 회로(125), 펌프 구동 회로(126) 및 밸브 구동 회로(127)를 포함한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공기대(150)를 팽축시키기 위한 팽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장치 본체(110)는, 각 부분을 집중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113)과, CPU(113)에 소정의 동작을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측정된 혈압치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114)와, 혈압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1)와, 측정을 위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112)와, 조작부(112)로부터의 전원 0N의 지시에 의해 CPU(11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15)를 포함한다. CPU(113)는, 혈압치를 산출하기 위한 혈압치 산출부로서 기능한다.
혈압 측정용 에어계(121)는, 공기대(150) 내의 압력(이하, 「커프스압」이라고 한다)에 의해 출력치가 변화하는 압력 센서(122)와, 공기대(15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23)와, 공기대(150)의 공기를 배출하고 또는 봉입(封入)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124)를 갖는다. 압력 센서(122)는 커프스압을 검지하기 위한 압력 검지부로서 기능한다. 발진 회로(125)는 압력 센서(122)의 출력치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CPU(113)에 출력한다. 펌프 구동 회로(126)는, 펌프(123)의 구동을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밸브 구동 회로(127)는, 밸브(124)의 개폐 제어를 CPU(113)로부터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의 혈압계의 혈압 측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 차트에 따른 프로그램은, 메모리부(114)에 미리 기억되고, CPU(113)가 메모리부(114)로부터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에 의해 혈압 측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험자가 혈압계(100)의 조작부(112)의 조작 버튼 을 조작하여 전원 0N 하면 혈압계(100)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스텝 S102). 다음에, CPU(113)는, 측정 가능 상태가 되면, 펌프(123)를 구동 시작하고, 공기대(150)의 커프스압을 서서히 상승시킨다(스텝 S104). 서서히 가압하는 과정에서 혈압 측정을 위한 소정 레벨까지 커프스압이 도달하면, CPU(113)는 펌프(123)를 정지하고, 다음에 닫고 있던 밸브(124)를 서서히 열고, 공기대(150)의 공기를 서서히 배기하여, 커프스압을 서서히 감압시킨다(스텝 S106).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프스압의 미속(微速) 감압 과정에서 혈압을 측정한다.
다음에, CPU(113)는 공지의 순서로 혈압(최고 혈압치, 최저 혈압치)를 산출한다(스텝 S108). 구체적으로는, 커프스압이 서서히 감압하는 과정에서, CPU(113)는 발진 회로(125)로부터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의거하여 맥파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맥파 정보에 의해 혈압치를 산출한다. 스텝 S108에서 혈압치가 산출되면, 산출된 혈압치를 표시부(111)에 표시한다(스텝 S110).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측정 방식은, 공기대의 감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이른바 감압 측정 방식에 의거한 것이지만, 공기대의 가압시에 맥파를 검출하는 이른바 가압 측정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혈압계(100) 및 혈압계용 커프스(130)는, 상술한 공기대(150)의 형상에서 특징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대(150)의 형상에 관해, 각 실시예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 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서 도시한 VB-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에서 도시한 VC-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C에서 도시한 영역(VI)의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A)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 시트(151)와, 이 수지 시트(151)보다 약간 폭이 넓은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 시트(152)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팽축 공간(166)을 갖고 있다.
수지 시트(152)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공기대(150A)의 내측벽부(162)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는, 그 양단부가 되접혀서 외측벽부(161)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1)에 용착되어 있고, 이로써 공기대(150A)의 측벽부(163)에 거싯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은, 공기대(150A)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에, 공기대(150A)의 내측을 향하여 접어 개어지도록 구성된다. 수축 상태에서 접어 개어져 있던 이 거싯은, 공기대(150A)가 팽창 상태에 있는 경우에, 공기대(150A)의 두께 방향으로 퍼지기 때문에, 이 거싯의 작용에 의해 공기대(150AC)의 폭방향의 양측단부 및 그 부근에서도 공기 대(150A)가 충분히 팽창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공기대(150A)의 폭방향의 양측단부 및 그 부근에서도 동맥의 압박 조혈을 충분히 행할 수 있게 되고,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에서는, 공기대(150A)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A)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A)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A)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함에 의해 이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5B 및 도 5C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A)를 단체(單體)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A)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1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1B)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공기대(150A)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용착부(168)를 형성함에 의해, 공기대(150A)의 측단부의 변형이 이 용착부(168)의 존재에 의해 제한되게 되고, 공기대(150A)의 횡쏠림이 방지되게 된다. 그 한편,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이 공기대(150A)의 폭방향의 양측단부 및 그 부근의 팽창을 촉진하기 때문에, 동맥의 압박 조혈을 충분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皮下)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에서는,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A)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공기대(150A)의 측단부중, 상기 용착부(168)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가장 두께 방향으로 팽창하는 영역인 공기대(150A)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의 팽창이 제한되도록 되기 때문에, 횡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손목식의 혈압계에서는, 손목에 커프스를 감은 상태에서, 손목의 손바닥측 부분에 공기대의 길이 방향의 개략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 손목의 손바닥측 부분의 피하에는, 손목의 다른 부분보다 비교적 딱딱한 힘줄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A)의 길이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됨에 의해, 다른 부위에 상기 용착부(168)를 마련한 경우에 비하여 동맥의 압박 조혈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착부(168)를 마련함에 의해 생기는 압박 조혈의 성능 저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도 7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2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한 VIIB-V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에서 도시한 VIIC-V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C에서 도시한 영역(VIII)의 확대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B)는 4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B)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4)를 적층하고, 이들 2장의 수지 시트(151, 154)의 양측단부를, 폭이 좁은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 시트(152, 153)를 이용하여 연결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수지 시트(151, 152, 153, 154)는 이웃하는 수지 시트의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연결된다.
수지 시트(154)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벽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는 상술한 내측벽부(162)와 외측벽부(161)를 연결하는 측벽부(163)를 형성한다. 이들 공기대(150B)의 측벽부(163)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 153)는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의 측벽부와 마찬가지로 거싯으로서 기능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B)에서는 공기대(150B)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B)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B)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B)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B)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B)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B)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2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2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B)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B)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9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3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도시한 IXB-IX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A에서 도시한 IXC-IX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C에서 도시한 영역(X)의 확대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C)는, 4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C)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을 갖는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3, 154)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들 제 1 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를 적층하여 소정의 부위를 용착함에 의해,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갖는 2층의 일체화된 주머니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4장의 수지 시트중,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의 접속부에 위치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2, 153)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각각 대응하여 구멍이 뚫려 있고, 이들 구멍은, 공기대(150C)의 형성 후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연통하는 연통구멍(165)으로 된다.
수지 시트(154)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내측벽부(162)와 외측벽부(161)를 연결하는 측벽부(163)를 형성한다. 이들 공기대(150C)의 측벽부(163)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 153)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의 측벽부와 마찬가지로, 거싯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는 공기대(150C) 내에서, 상기 외측벽부(161) 및 상기 내측벽부(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대(150C)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16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16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연결부(164)는 공기대(150C)가 팽창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이행할 때에, 거싯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163)가 확실하게 내측으로 접어 개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C)에서는, 공기대(150C)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C)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C)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C)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C)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9B 및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C)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C)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3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3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C)에서도, 상술한 실 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C)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도 11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l1A에서 도시한 XIB-X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C는 도 11A에서 도시한 XIC-X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C에서 도시한 영역(XII)의 확대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는,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D)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을 갖는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3, 154)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들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를 적층하여 소정의 부위를 용착함에 의해,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갖는 2층의 일체화된 주머니로서 형성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약간 폭이 좁은 수지 시트(155)를 상술한 일체화된 주머니와 적층하고, 수지 시트(155)의 주연을 일체화된 주머니의 수지 시트(154)의 외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용착함에 의해, 상술한 제 1의 팽축 공간(166a) 및 제 2의 팽축 공간(166b)에 더하여 제 3의 팽축 공간(166c)을 갖는 3층의 일체화된 주머니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5장의 수지 시트중,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의 사이를 띄우는 2장의 수지 시트(152, 153)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각각 대응하여 구멍이 뚫려 있고, 이들 구멍은, 공기대(150D)의 형성 후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연통하는 연통구멍(165a)으로 된다. 또한, 상기 5장의 수지 시트중, 제 2의 팽축 공간(166b)과 제 3의 팽축 공간(166c)의 사이를 띄우는 1장의 수지 시트(154)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은 공기대(150D)의 형성 후에 제 2의 팽축 공간(166b)과 제 3의 팽축 공간(166c)을 연통하는 연통구멍(165b)으로 된다.
수지 시트(155)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내측벽부(162)와 외측벽부(161)를 연결하는 측벽부(163)를 형성한다. 이들 공기대(150D)의 측벽부(163)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 153)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의 측벽부와 마찬가지로, 거싯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는 공기대(150D) 내에서, 상기 외측벽부(161) 및 상기 내측벽부(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대(150D)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16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16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4)는 공기대(150D) 내에서, 상기 외측벽부(161) 및 상기 내측벽부(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대(150D)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16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164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연결부(164a, 164b)는 공기대(150D)가 팽창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이행할 때에, 거싯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163)가 확실하게 내측으로 접어 개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에서는, 공기대(150D)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D)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D)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D)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D)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D)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4C)가, 용착부(168) 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4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D)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5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도시한 XIIIB-XI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서 도시한 XIIIC-XI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C에서 도시한 영역(XIV)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E)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마 찬가지로,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E)에서는, 공기대(150E)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E)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E)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의 측단부에 마련된 용착부(168)에 비하여, 보다 공기대(150E)의 내측까지 연재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E)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E)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할 뿐만 아니라,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의 벽면과,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측벽부(163)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내측벽부(162)의 벽면 및 외측벽부(161)의 벽면을 용착함에 의해, 상기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측벽부(163)의 벽면끼리의 용착, 측벽부(163)의 벽면과 외측벽부(161)의 벽면의 용착, 및 측벽부(163)의 벽면과 내측벽부(162)의 벽면의 용착은, 한번의 용착 처리에 의해 일체적으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E)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E)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 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5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5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E)에 마련되는 용착부(168)는, 상술한 실시예 4의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에 마련되는 용착부(168)보다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보다 내측까지 달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횡쏠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E)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E)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15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6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서 도시한 XVB-X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5C는, 도 15A에서 도시한 XVC- X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C에서 도시한 영역(XVI)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마찬가지로,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에서는, 공기대(150F)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F)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F)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F)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달리,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의 벽면과,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측벽부(163)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외측벽부(161)의 벽면을 용착함에 의해, 상기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대(150F) 내에서 적층 배치된 제 1 내지 제 3의 팽축 공간(166a, 166b, 166c)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팽축 공간(166a)의 팽창만이 용착부(168)에 의해 제한 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F)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F)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6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6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마찬가지로,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F)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효과적으로 횡쏠림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착부(168)를 마련함에 의한 조혈 성능의 저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손목의 손바닥측 부분의 피하에 위치하는 힘줄이 전혀 압박되지 않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힘줄의 측방에 위치하는 동맥이 공기대에 의해 압박됨에 의해, 힘줄의 이측(裏側)의 손목의 중심부로 돌아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 이, 동맥이 힘줄의 이측으로 돌아 들어간 상태로 된 경우에는, 공기대가 팽창함에 의해 생기는 압박력이 동맥에 대해 충분히 전해지지 않고, 조혈 성능이 역으로 저하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따라서 손목의 힘줄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공기대에 의해 어느 정도 압박함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3의 팽축 공간(166a, 166b, 166c)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의 팽축 공간(166a)의 팽창만이 용착부(168)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팽축 공간(166b, 166c)은 충분히 팽창한다. 따라서 팽창시의 손목의 힘줄이 위치하는 부분에 관해서도 공기대(150F)에 의해 어느 정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조혈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는 것이 회피된다.
(실시예 7)
도 17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7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서 도시한 XVIIB-XV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7C는 도 17A에서 도시한 XVIIC-XV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7C에서 도시한 영역(XVIII)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 의 공기대(150G)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마찬가지로,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G)에서는, 공기대(150G)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G)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G)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G)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G)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달리,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의 벽면과,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측벽부(163)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내측벽부(162)의 벽면을 용착함에 의해, 상기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대(150G) 내에서 적층 배치된 제 1 내지 제 3의 팽축 공간(166a, 166b, 166c)중,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제 2의 팽축 공간(166b)의 팽창만이 용착부(168)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G)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G)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7C)가, 용착부(168) 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7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G)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마찬가지로,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G)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효과적으로 횡쏠림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착부(168)를 마련함에 의한 조혈 성능의 저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G)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3의 팽축 공간(166a, 166b, 166c)중,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제 2의 팽축 공간(166b)의 팽창만이 용착부(168)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팽축 공간(166a, 166c)은 충분히 팽창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 6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F)와 마찬가지로, 팽창시의 손목의 힘줄이 위치하는 부분에 관해서도 공기대(150G)에 의해 어느 정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혈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는 것이 회피된다.
(실시예 8)
도 19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8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에서 도시한 XIXB-XIX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19C는 도 19A에서 도시한 XIXC-XIX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9C에서 도시한 영역(XX)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H)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마찬가지로,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H)에서는, 공기대(150H)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H)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H)를 형성하는 5장의 수지 시트중, 수지 시트(151, 152)로 형성되는 제 1의 주머니와, 수지 시트(153, 154)에 형성되는 제 2의 주머니를 접속할 때의 용착 대상인 수지 시트(152, 153)에 마련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H)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되는,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의 접속을 위한 용착부(167)의 일부를, 공기대(150H)의 양측단부측을 향하여 넓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H)를 기밀로 밀봉하 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H)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를 용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19B 및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H)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H)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8C)가, 용착부(16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8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H)에서는,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가,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 처리시에 동시에 형성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조 작업이 간략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H)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H)의 생체 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9)
도 21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9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21A에서 도시한 XXIB-XX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1C는 도 21A에서 도시한 XXIC-XX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2는 도 21C에서 도시한 영역(XXII)의 확대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I)는 6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 156)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대(150I)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1, 152)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을 갖는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3, 154)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갖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 형상의 2장의 수지 시트(155, 156)를 적층하고, 그 주연을 용착함에 의해 내부에 제 3의 팽축 공간(166c)을 갖는 제 3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들 제 1의 주머니, 제 2의 주머니 및 제 3의 주머니를 적층하여 소정의 부위를 용착함에 의해, 제 1의 팽축 공간(166a), 제 2의 팽축 공간(166b) 및 제 3의 팽축 공간(166c)을 갖는 3층의 일체화된 주머니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6장의 수지 시트중, 제 1의 주머니와 제 2의 주머니의 접속부에 위치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2, 153)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각각 대응하여 구멍이 뚫려 있고, 이들 구멍은 공기대(150I)의 형성 후에 제 1의 팽축 공간(166a)과 제 2의 팽축 공간(166b)을 연통한 연통구멍(165a)이 된다. 또한, 상기 6장의 수지 시트중, 제 2의 주머니와 제 3의 주머니의 접속부에 위치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4, 155)의 소정 위치에는 미리 각각 대응하여 구멍이 뚫려 있고, 이들 구멍은 공기대(150I)의 형성 후에 제 2의 팽축 공간(166b)과 제 3의 팽축 공간(166c)을 연통하는 연통구멍(165b)이 된다.
수지 시트(156)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16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1)는 혈압계용 커프스(130)를 손목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벽부(16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16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 154, 155)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내측벽부(162)와 외측벽부(161)를 연결하는 측벽부(163)를 형성한다. 이들 공기대(150I)의 측벽부(163)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152, 153, 154, 155)의 폭방향의 양측단부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의 측벽부와 마찬가지로, 거싯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지 시트(152, 153)는 공기대(150I) 내에서, 상기 외측벽부(161) 및 상기 내측벽부(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대(150I)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16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164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지 시트(154, 155)는, 공기대(150I) 내에서, 상기 외측벽부(161) 및 상기 내측벽부(16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공기대(150I)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 부(16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164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연결부(164a, 164b)는, 공기대(150I)가 팽창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이행할 때에, 거싯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163)가 확실하게 내측으로 접어 개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I)에서는, 공기대(150I)의 생체의 감는 방향(즉, 공기대(150I)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접합부로서의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I)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 마련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I)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167)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I)에서는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163)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측벽부(163)의 벽면끼리중, 수지 시트(152) 및 수지 시트(153)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부(163) 부분을 용착함에 의해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도 21B 및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대(150I)를 단체로 팽창시킨 상태에서는, 공기대(150I)의 길이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고,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 다른 영역보다 팽창시의 두께가 작아진다. 즉, 용착부(168)가 형성된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9C)가, 용착부(168) 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팽창시의 두께(t9B)보다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기대의 횡쏠림을 방지하면서, 공기대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하고,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하는 것이 가능한 커프스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I)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마찬가지로,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된 거싯의 퍼짐을 줄이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I)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효과적으로 횡쏠림 현상의 발생이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용착부(168)를 마련함에 의한 조혈 성능의 저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I)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내지 제 3의 팽축 공간(166a, 166b, 166c)중,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의 팽축 공간(166a, 166b)의 팽창만이 용착부(168)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팽축 공간(166c)은 충분히 팽창한다. 따라서 팽창시의 손목의 힘줄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공기대(150I)에 의해 어느 정도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혈 성능의 저하가 일어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대(150I)의 폭방향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측벽 부(163)의 일부를 용착함에 의해, 측벽부(163)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도록 공기대를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수지 시트를 적층하여 다층의 팽축 공간을 갖는 다층 공기대층을 갖는 공기대로 하는 경우에는, 팽축 공간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접합부와 구별되는 접합부를, 상기 팽축 공간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접합부의 내측에 마련함에 의해 횡쏠림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공기 주머니 내에 형성된 연결부의 일부를, 공기대의 다른 부위에 접합함에 의해, 접합된 수지 시트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에 의해 횡쏠림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팽축 공간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접합부와 구별되는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한 접합부는, 상기 팽축 공간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접합부에 공기대의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팽축 공간을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접합부에 접속되는 일 없이 별도 독립하여 공기대중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한 접합부는, 반드시 연결부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와 외측벽부 또는 내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를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필요도 없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수지 시트끼리를 접합한 접합부라도 좋다.
(실시예 10)
도 23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0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서 도시한 XXIIIB-XXIII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3C는 도 23A에서 도시한 XXIIIC-XXIII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4는 도 23B에서 도시한 영역 (XXIV)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23A 내지 도 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는 상술한 실시예 4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D)와 마찬가지로, 5장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에서는, 공기대(150J)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외측벽부(161)의 벽면과 연결부(164a)의 벽면이 용착됨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J)의 폭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J)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에서는, 제 1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1, 152)가 용착됨에 의해 상기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공기대(150J)가 팽창한 상태에서, 공기대(150J)의 폭방향의 외측벽부(161)와 연결부(164a)와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공기대(150J)의 횔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대(150J)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횡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J)의 길이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
도 25A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거한 실시예 1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에 내포되는 공기대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5B는 도 25A에서 도시한 XXVB-XXV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5C는 도 25A에서 도시한 XXVC-XXV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26은 도 25B에서 도시한 영역(XXVI)의 확대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0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와 같은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중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여기서는 감고 반복하지 않는다.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K)는, 상술한 실시예 10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K)와 마찬가지로, 5WKD의 수지 시트(151, 152, 153, 154, 155)를 이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J)에서는, 공기대(150K)의 길이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연결부(164a)의 벽면과 연결부(164b)의 벽면이 용착됨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K)의 폭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용착부(168)는, 공기대(150K)를 기밀로 밀봉하기 위한 용착부와는 구별되 는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K)에서는, 제 2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153, 154)가 용착됨에 의해 상기 용착부(1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공기대(150K)가 팽창한 상태에서, 공기대(150K)의 폭방향의 연결부(164a)와 연결부(164b)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공기대(150K)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대(150K)의 폭방향에서 균등하게 피측정 부위를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측정 부위의 피하에 위치하는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 조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프스를 협소화한 경우에도 높은 조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K)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1에 관한 혈압계용 커프스의 공기대(150A)와 같은 이유에 의해, 횡쏠림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부(168)가, 공기대(150K)의 길이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지 시트끼리의 접합을 전부 용착으로 행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반드시 용착으로 접합될 필요는 없고,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의 접합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공기대에 컬러를 접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반드시 접착 등을 함에 의해 이들을 고정할 필요는 없고, 다른 방법 수단을 이용하여 이들을 고착하여도 좋고, 또는 전혀 고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의 수지 시트를 적층하여 용착함에 의해 공기대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반드시 복수매의 수지 시트가 이용될 필요는 없고, 1장의 통형상의 시트를 이용하여 공기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측정 부위로서 손목을 상정한 손목식의 혈압계에 이용되는 혈압계용 커프스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상완식의 것이나 손가락식(脂式)의 것 등 어떤 형식의 혈압계용 커프스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나타내어 왔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으로서, 한정을 취하면 않되고,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을 분명히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대가 팽창 상태로부터 수축 상태로 이행할 때에, 거싯으로서 기능하는 측벽부가 확실하게 내측으로 접어 개어져서 수납되게 되고, 팽축에 수반하는 유체대의 변형이 안정적으로 재현되게 된다.
또한, 가장 횡쏠림이 발생하기 쉬운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중앙부에서 유체대의 변형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대가 팽창한 상태에서, 유체대의 폭방향의 내측벽부와 연결부와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체대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신뢰성의 혈압계용 커프스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고정밀도로 혈압치 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장 횡쏠림이 발생하기 쉬운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중앙부에서 유체대의 변형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스로서,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측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대면하게 되는 상기 측벽부의 벽면끼리를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측벽부의 벽면과,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상기 외측벽부의 벽면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측벽부의 벽면과, 상기 측벽부가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의 벽면이 대면하게 되는 상기 내측벽부의 벽면을 접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대가, 상기 유체대 내에서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유체대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또한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서의 접합이, 용착에 의해 행하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8.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포함하는 혈압계용 커프스와,
    상기 유체대를 팽축시키는 팽축부와,
    상기 유체대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측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의 퍼짐을 줄이는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9.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구비한 혈압계용 커프스로서,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유체대 내에서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대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연결부에서 보아 상기 내측벽부측 또는 상기 외측벽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대의 일부의 벽면과 상기 연결부의 벽면이 접합됨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개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서의 접합이, 용착에 의해 행하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용 커프스
  12. 유체가 출입함에 의해 팽축하는 유체대를 포함하는 혈압계용 커프스와,
    상기 유체대를 팽축시키는 팽축부와,
    상기 유체대 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와,
    상기 압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압력 정보에 의거하여 혈압치를 산출하는 혈압치 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대는, 해당 혈압계용 커프스가 생체에 감긴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의 측단부와 상기 외측벽부의 측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유체대를 가압하지 않은 수축 상태에서 상기 유체대의 폭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어짐에 의해, 상기 유체대의 측단부에서 거싯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유체대 내에서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외측벽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대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대의 생체에의 감는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상기 연결부에서 보아 상기 내측벽부측 또는 상기 외측벽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대의 일부의 벽면과 상기 연결부의 벽면이 접합됨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계.
KR1020050125193A 2004-12-20 2005-12-19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KR100739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8130 2004-12-20
JP2004368130A JP4595525B2 (ja) 2004-12-20 2004-12-20 血圧計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451A true KR20060070451A (ko) 2006-06-23
KR100739268B1 KR100739268B1 (ko) 2007-07-12

Family

ID=3604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193A KR100739268B1 (ko) 2004-12-20 2005-12-19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94405B2 (ko)
EP (1) EP1671580B1 (ko)
JP (1) JP4595525B2 (ko)
KR (1) KR100739268B1 (ko)
CN (1) CN100382746C (ko)
CA (1) CA2531133A1 (ko)
DE (1) DE602005026898D1 (ko)
RU (1) RU2314746C2 (ko)
TW (1) TW200628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4803B2 (en) 2007-01-19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user's bio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4928B2 (en) 2002-02-08 2006-02-28 Rosedale Medical, Inc. Autonomous, ambulatory analyte monitor or drug delivery device
US7052652B2 (en) 2003-03-24 2006-05-30 Rosedale Medical, Inc. Analyte concentration detec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60281187A1 (en) 2005-06-13 2006-12-14 Rosedale Medical, Inc. Analyte detection devices and methods with hematocrit/volume correction and feedback control
US8801631B2 (en) 2005-09-30 2014-08-12 Intuity Medic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luid transport
EP2989981B8 (en) 2005-09-30 2018-09-05 Intuity Medical, Inc. Multi-site body fluid sampling and analysis cartridge
JP4470868B2 (ja) * 2005-11-22 2010-06-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装置
SE0600202L (sv) * 2006-02-01 2007-04-17 Per Danielsson Blodtrycksmätare
US8372015B2 (en) * 2006-08-28 2013-02-12 Intuity Medical, Inc. Body fluid sampling device with pivotable catalyst member
TW200826900A (en) * 2006-12-22 2008-07-01 Univ Nat Taiwan Carotid artery pulse wave measuring device
US20080221479A1 (en) * 2007-03-07 2008-09-11 Ritchie Paul G Integrated Imaging and Biopsy System with Integrated Utilities
JP5816080B2 (ja) 2008-05-30 2015-11-17 インテュイティ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体液採取装置及び採取部位インターフェイス
CA2726067C (en) 2008-06-06 2020-10-20 Intuity Medical, Inc. Detection meter and mode of operation
US10383556B2 (en) 2008-06-06 2019-08-20 Intuity Medical, Inc. Medical diagnostic devices and methods
JP5151801B2 (ja) * 2008-08-22 2013-02-2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5159549B2 (ja) * 2008-10-03 2013-03-06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生体圧迫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血圧測定装置
JP4685951B2 (ja) * 2009-06-09 2011-05-18 シチズ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の製造方法
WO2011065981A1 (en) 2009-11-30 2011-06-03 Intuity Medical, Inc. Calibration material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US10330667B2 (en) 2010-06-25 2019-06-25 Intuity Medical, Inc. Analyte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JP5838013B2 (ja) * 2011-07-01 2015-12-24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血圧測定用膨張袋の製造方法および血圧測定用圧迫帯
EP3750480B1 (en) 2011-08-03 2022-02-02 Intuity Medical, Inc. Body fluid sampling arrangement
US9028419B2 (en) * 2011-08-29 2015-05-12 Welch Allyn, Inc. Blood pressure cuff
WO2013076624A1 (en) * 2011-11-22 2013-05-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flatable headgear for a patient interface assembly
JP5950696B2 (ja) * 2012-05-30 2016-07-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用空気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368726B2 (en) 2013-03-15 2019-08-06 Edward R. Perez-Lizano Intubation de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distal deflection and temporary proximal, shaping for laryngoscopy, tracheoscopy, and bronchoscopy
US10729386B2 (en) 2013-06-21 2020-08-04 Intuity Medical, Inc. Analyte monitoring system with audible feedback
US20140378781A1 (en) 2013-06-25 2014-12-25 Qard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diagnostic information
US20170238825A9 (en) 2013-06-25 2017-08-24 Qardi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US9955978B2 (en) * 2013-10-25 2018-05-01 Medtronic Vascular, Inc. Tissue compression device with multi-chamber bladder
USD733305S1 (en) 2013-10-25 2015-06-30 Medtronic Vascular, Inc. Tissue compression apparatus
WO2015121892A1 (en) * 2014-02-13 2015-08-20 Nec Corporation A blood pressure meter and cuff
US20160120445A1 (en) 2014-11-05 2016-05-05 Qardio,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ed recording of biometric measurements
WO2016205549A1 (en) * 2015-06-16 2016-12-22 Braintree Analytics Llc Cuff designs and methods
JP6172218B2 (ja) 2015-06-24 2017-08-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流体袋、血圧測定用カフ、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方法
JP6558119B2 (ja) * 2015-07-24 2019-08-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流体袋、流体袋製造方法、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CN108024817B (zh) * 2015-09-03 2021-04-20 泰尔茂株式会社 止血器具
JP2018102744A (ja) 2016-12-27 2018-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カフ及び血圧計
JP6957151B2 (ja) * 2016-12-27 2021-11-02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及び袋状構造体の製造方法
JP6821459B2 (ja) 2017-02-07 2021-01-27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血圧計用カフ、及び血圧計
JP6808524B2 (ja) * 2017-02-13 2021-01-06 オムロン株式会社 袋状構造体
JP6783691B2 (ja) * 2017-03-27 2020-11-1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及び血圧測定装置
CN109044310A (zh) * 2018-09-07 2018-12-21 深圳金亿帝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气囊、手表式血压计、便携式血压模块以及生命体征监护仪
JP7175720B2 (ja) * 2018-11-09 2022-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175738B2 (ja) * 2018-12-13 2022-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7094876B2 (ja) 2018-12-27 2022-07-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用カフの製造方法
JP7202885B2 (ja) * 2018-12-27 2023-01-1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CN117598750A (zh) * 2019-03-01 2024-02-27 泰尔茂株式会社 具有折叠球囊组件的止血装置
JP7278814B2 (ja) * 2019-03-15 2023-05-2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カフユニット、カフ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血圧測定装置
CN113080904A (zh) * 2019-12-23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血压计的气囊及电子血压计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7902A (en) * 1939-07-22 1943-01-12 Vogt Container
JPS6272315A (ja) * 1985-09-25 1987-04-02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
JPS6472726A (en) * 1987-09-14 1989-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schemia cuff of hemomanometer
JPH01224558A (ja) 1988-03-01 1989-09-07 Shimpo Ind Co Ltd 摩擦無段変速機
JP2840075B2 (ja) 1988-10-15 1998-12-24 松下電工株式会社 手首血圧計のカフ帯
JP2740261B2 (ja) * 1989-05-15 1998-04-15 松下電工株式会社 手首用血圧計のカフ帯
JPH0345238A (ja) * 1989-07-13 1991-02-26 Ueda Seisakusho:Kk 血圧測定用のカフ装置
US6045510A (en) * 1994-02-25 2000-04-04 Colin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JP3491412B2 (ja) * 1995-10-26 2004-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血圧計のカフ帯及びその製造方法
RU2129833C1 (ru) 1996-07-05 1999-05-10 Волков Павел Георгиевич Манжета-корректор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казателей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крови
JP3620280B2 (ja) * 1998-04-24 2005-02-1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生体圧迫装置
JP3452016B2 (ja) * 2000-02-17 2003-09-29 オムロン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CN1308917A (zh) * 2000-02-18 2001-08-22 合世有限公司 腕型血压计装置
JP3711832B2 (ja) * 2000-02-25 2005-11-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生体圧迫装置
DE60223747T2 (de) * 2001-05-07 2008-10-30 Omron Healthcare Co., Ltd. Am Handgelenk zu tragende Manschette eines Blutdruckmessgeräts
JP4430268B2 (ja) 2001-07-27 2010-03-10 テルモ株式会社 カ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血圧計
JP2003144398A (ja) * 2001-11-12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体情報計測装置
JP3815385B2 (ja) * 2002-06-18 2006-08-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用カフ
EP1598284A1 (en) * 2004-05-18 2005-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for wipes
US20070104905A1 (en) * 2005-11-08 2007-05-10 Floyd Thomas M Jr Reinforced bags
JP4470868B2 (ja) * 2005-11-22 2010-06-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生体情報計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4803B2 (en) 2007-01-19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user's bio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5139788A (ru) 2007-06-27
US7794405B2 (en) 2010-09-14
DE602005026898D1 (de) 2011-04-28
TW200628126A (en) 2006-08-16
CN100382746C (zh) 2008-04-23
KR100739268B1 (ko) 2007-07-12
EP1671580B1 (en) 2011-03-16
RU2314746C2 (ru) 2008-01-20
JP2006174860A (ja) 2006-07-06
CN1792320A (zh) 2006-06-28
CA2531133A1 (en) 2006-06-20
JP4595525B2 (ja) 2010-12-08
EP1671580A1 (en) 2006-06-21
US20060135873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268B1 (ko)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KR100739267B1 (ko) 혈압계용 커프스, 혈압계, 생체 압박 장치 및 생체 정보측정 장치
KR100666807B1 (ko) 혈압계용 커프스 및 이것을 구비한 혈압계
US8777864B2 (e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and blood pressure monitor having the same
KR20060091235A (ko) 혈압계용 커프스 및 혈압계
US9186074B2 (en) Sphygmomanometer cuff and sphygmomanometer
JP2017209433A (ja)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JP6610433B2 (ja) センサアセンブリ
EP1637071A1 (en) Cuff for blood pressure monitor
US11272853B2 (en) Bag-shaped structure used in a cuff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JP2010119447A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JP2014064664A (ja)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及び血圧情報測定装置
JP2004254717A (ja) 血圧計のカフ帯及びそれを用いた血圧計
JP2010233655A (ja) 血圧計
JP5749600B2 (ja) 血圧計用カフ
JP6821459B2 (ja) 袋状構造体、血圧計用カフ、及び血圧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