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573A -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573A
KR20060065573A KR1020050121198A KR20050121198A KR20060065573A KR 20060065573 A KR20060065573 A KR 20060065573A KR 1020050121198 A KR1020050121198 A KR 1020050121198A KR 20050121198 A KR20050121198 A KR 20050121198A KR 20060065573 A KR20060065573 A KR 2006006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levator cage
pulley box
yoke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585B1 (ko
Inventor
엠마뉘엘 콜
드니 시뜰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06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실 (2), 승강실에 연결된 지지 부재 (6;31) 및 풀리축 (10) 에 의해 풀리 박스 (8) 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 (9) 를 수용하는 풀리 박스 (8)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풀리 박스 (8) 는 풀리축 (10) 을 이등분하는 제 1 라인 (P) 아래에 있고 풀리들 사이의 최하위 공통 접선을 규정하는 제 2 라인 (Q)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지점을 통하여 지지 부재 (6;31) 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풀리,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케이지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도 1 은 풀리 박스에 가해지는 힘을 나타내는 단순화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cage)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일반 도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현수식(underslung)의 풀리 장치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현수식 풀리 장치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일반 도식적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엘리베이터 케이지 2 : 승강실
5 : 승강실의 바닥 6 : 요크(yoke)
7 : 설치축 8 : 풀리 박스
9 : 풀리 10: 풀리축
27: 막음판 30: 프레임
31: 상부 크로스헤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및 특히 풀리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로프 또는 벨트에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풀리 장치는 건물의 승강통로 내에 설치된 로프를 따라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설치하고 운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와 같은 장치에서, 두 개의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박스는 케이지에 설치되어 로프가 유압 램 또는 견인 활차바퀴에 의해 구동될 때, 로프는 승강통로의 한쪽 측면을 따라 내려가 한 풀리를 지나 90°로 방향전환되어 승강실을 가로지르고, 다른 풀리를 지나면서 다시 수직면으로 방향전환되어, 승강통로의 반대 측면을 따라 올라간다. 풀리 박스는 승강실의 위의 지점에서 케이지에 설치되거나, 또는 승강실의 아래로 설치될 수 있다(이 경우 현수식 배치라고 함). 그러한 배치는 EP-A2-0983957 에서 설명되어 있다.
유럽 표준 EN 81-1:1998 및 미국 ASME 코드 A17.1-2000 에 따라, 서스펜션 로프의 공칭 직경 대비 풀리의 직경 비는 적어도 40 이어야 한다. 따라서, 각 풀리의 직경은 그 두께에 비해 현저히 크고, 결과적으로 풀리 박스의 높이는 그 폭보다 크다.
도 1 에서 예시된 공지의 기술에서, 풀리 박스 (8) 의 상면 (18) 은 승강실의 베이스에 직접 또는 만일 승강실이 프레임 내에 들어있다면 승강실 프레임의 하부 요크에 설치된다. 그러나, 사용에 있어, 수직방향 힘 (F) 대부분은 풀리 (9) 의 최하위 부분 (A) 을 통하여 전달된다. 따라서, 만일 풀리 박스 (8) 가 각 α 만큼 기울어지면, 비교적 큰 굽힘 모멘트가 풀리 박스의 설치지점에 대해 가해진다. 굽힘 모멘트이 크기는 식 M = F x 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F 는 수직방향 힘이고, x 는 풀리 박스 (8) 의 상면 (18) 에서의 설치 지점과 수직방향 힘 (F) 의 작용 지점 사이의 수평방향의 거리이다. 또한, 값 x 는 x = L cosα 로 표시될 수 있는데, 여기서 L 은 상면 (18) 에 있는 설치 지점과 풀리 (9) 의 최하위 지점 (A)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주어진 수직방향 힘 (F) 및 주어진 경사각 (α) 에 대하여, 굽힘 모멘트 M 은 값 L 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그러나, 길이 L 은 풀리 (9) 의 직경에 근본적으로 좌우되고 다시 이 직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굽힘 모멘트 (M) 를 줄일 수 있는 여지가 매우 작다. 따라서, 풀리 박스 (8) 및 케이지에 풀리 박스 (8) 를 설치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은 모두 상당한 정도의 굽힘 모멘트를 견딜 수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케이지와 풀리 박스가 기울어질 때, 억제되지 않는 굽힘 모멘트 및 풀리 박스의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결국에는 풀리 박스가 영구적으로 변형되거나 그 설치대로부터 찢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서스펜션 로프가 벨트로 대체될 때 더욱 악화되는데, 이는 벨트에 비틀림이 생기면 이 비틀림이 풀리 박스에 전달되어 풀리 박스를 전혀 기울게함이 없이 설치 지점 주변에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 박스가 케이지에 설치되는 지점 주변에 대한 굽힘 모멘트를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승강실, 승강실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 및 풀리축에 의해 풀리 박스에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를 수납하는 풀리 박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있어서, 그 풀리 박스는 풀리축을 이등분하는 제 1 라인 아래에 있고 풀리들 사이의 최하위 공통 접선을 규정하는 제 2 라인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지점을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제공함에 의해 해결된다. 공지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설치 지점은 수직방향 힘의 대부분이 전달되는 풀리의 최하위 부분에 가깝게 위치하여, 그에 따라 설치 지점에 대한 굽힘 모멘트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풀리 박스는 지지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축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현장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조립이 간단하게 되고, 승강실 바닥 또는 요크에 풀리 박스의 상면을 설치하기 위해 공지의 기술에서 사용되는 볼트에 비하여 설치 후 설치축에의 접근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풀리 박스의 수평방향 조정이 훨씬 쉽게 된다. 또한, 풀리 박스로부터 승강실로의 진동의 전달은 풀리 박스와 각 설치축 사이에 탄성 재료를 제공함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 부재가 승강실의 바닥에 직접 고정되는 요크인 구성을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이 사용되는 경우, 승강실의 바닥에 고정되고 요크로부터 먼 쪽에 있는 단부에서 각 설치축과 결합하는 막음판을 제공하여 풀리 박스가 막음판과 요크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유익하다. 따라서, 수직방향 힘은 요크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막음판을 통해서도 전달된다. 요크를 통해서 전달되는 힘이 감소되기 때문에 요크는 공지 기술과 비교하여 가벼운 구조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요크 및 막음판은 모두 금속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지지 부재는 승강실이 지지되는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실은 프레임으로부터의 진동이 승강실에 도달하기 전에 감쇠되도록 프레임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음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공통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로 주어진다.
도 2 는 엘리베이터 승강통로(도시 생략) 내에서 로프 (11) 에 풀리 박스 (8) 에 의해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를 도시한다. 케이지 (1) 는 승객 및/또는 화물용 수송 공간을 규정하는 바닥 (5), 지붕 (4) 및 복수의 측벽 (3)을 갖는 일반적인 승강실 (2) 을 포함한다. 지지 요크 (6) 는 승강실 (2) 의 바닥 (5)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이 요크 (6) 는 수평하게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풀리 박스 (8) 에 있는 대응 구멍 (22) 안으로 들어가 있는 두 개의 평행한 설치축 (7) 을 갖는다. 전환 풀리 (9) 가 풀리 박스 (8) 의 양 끝에서 풀리축 (10) 에 설치되어 서스펜션 로프 (11) 와 결합해 있다.
설치축 (7) 및 대응 구멍 (22) 은 풀리축 (10) 을 이등분하는 제 1 라인 (P) 과 풀리 (9) 들 간의 최하위 공통 접선을 규정하는 제 2 라인 (Q)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최하위 공통 접선 (Q) 은 풀리 (9) 들의 최하위부 (A) 들 사이의 선에 해당한다.
로프 (11) 가 구동될 때, 로프는 승강실 (2) 의 일 측면을 따라 내려가, 한 풀리(9) 를 지나 90°로 방향 전환되어, 승강실 (2) 아래를 가로질러 다른 풀리 (9) 를 지나고, 이 풀리에 의해 다시 수직면으로 방향 전환되어, 승강실 (2) 의 반대쪽 측면을 따라 올라간다.
도 3 은 요크 (6) 및 풀리 박스 (8) 를 도시하는 도 2 의 구성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 (6) 는 일련의 볼트 또는 리벳 (13) 으로 승강실 바닥 (5) 의 하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 (12) 를 갖는 중실 I 빔으로 되어 있다. 각 설치축 (7) 은 I 빔 (6) 에 있는 관통 구멍 (14) 에 삽입되어 용접부 (15) 에서 위치고정된다. 안내 슈우(guiding shoes) 또는 안전 기어와 같은 엘리베이터 부품(도시 생략)은 요크 (6) 의 바닥면 (16) 에 설치될 수 있다.
풀리 박스 (8) 는 역 U 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중간부 (18) 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양쪽의 측면부 (17) 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 풀리 박스 (8) 는 금속판으로 제조된다. 볼트 (19) 는 양쪽 측면부 (17) 의 자유 가장자리를 함께 결속하는데 사용되고, 이에 따라 풀리 박스 (8) 의 전체 구조적 강성이 향상된다. 각 전환 풀리 (9) 는 베어링 (20) 을 통하여 풀리축 (10) 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풀리축 (10) 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풀리 박스 (8) 의 양쪽 측면부 (17) 에 고정된다. 원주방향 외부 홈 (21) 이 전환 풀리 (9) 에 제공되어 서스펜션 로프 (11) 와 결합하여 그 로프를 지지해 준다.
설치축 (7) 은 풀리 박스 (8) 의 양쪽 측면부 (17) 에 있는 설치 구멍 (22) 을 통하여 삽입된다. 사용시, 풀리 (9) 가 로프 (11) 와의 상호작용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풀리 박스 (8) 에서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의 링 삽입물 (23) 이 개별적 설치축 (7) 과 각각의 설치 구멍 (22) 사이에 제공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크 (6) 로 사용되는 비교적 무거운 I 빔이 가벼운 구조물로 대체되어 있다. 이 경우 요크 (6) 는 수직하게 정렬되어 강성의 웨브 부재 (25) 로 서로 연결된 한 쌍의 금속판 (24) 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판 (24) 에 있는 상부 플랜지 (26) 는 일련의 볼트 또는 리벳 (13) 에 의해 승강실 바닥 (5) 의 하면에 단단히 고정되고, 설치축 (7) 은 용접부 (15) 에서 위치고정된다. 또한, 설치축 (7) 의 단부에는 막음판 (27) 이 제공되어 있어, 풀리 박스 (8) 는 요크 (6) 와 막음판 (27)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막음판 (27) 은 이중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굽혀진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막음판 (27) 의 상부 플랜지 (29) 는 일련의 볼트 또는 리벳 (13) 에 의해 승강실 바닥 (5) 에 고정되고, 설치축 (7) 을 수용하기 위해 구멍 (28) 이 막음판 (27) 을 관통하여 뚫려져 있다. 막음판은 설치축 (7) 에 고정되지 않고, 따라서 풀리 박스 (8) 와 승강실 (2) 사이의 어떠한 수평방향 힘도 전달할 수 없다. 그러나, 풀리 박스 (8) 와 승강실 (2) 사이의 수직방향 힘은 막음판 (27) 및 지지 요크 (6) 사이에 분배된다.
상술한 현수식 구성에 대한 대안이 도 5 에 도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승강실 (2) 은 진동억제 패드 (33) 를 통하여 프레임 (30) 에 지지된다. 프레임 (30) 은 상부 크로스헤드 (31), 하부 요크 (6) 및 한 쌍의 직립재 (32) 를 포함한다. 이 경우 풀리 박스 (8) 는 크로스헤드 (31) 로부터 연장된 설치축 (7) 에 지지된다.
당업자는 풀리 박스 (8) 및 풀리 (9) 가 상술한 로프 (11) 대신에 벨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쉽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케이지는, 풀리 박스가 케이지에 설치되는 지점에 대한 굽힘 모멘트를 줄여준다.

Claims (9)

  1. 승강실 (2), 승강실에 연결된 지지 부재 (6;31) 및 풀리축 (10) 에 의해 풀리 박스 (8) 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 (9) 를 수용하는 풀리 박스 (8)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에 있어서,
    그 풀리 박스 (8) 는 풀리축 (10) 을 이등분하는 제 1 라인 (P) 아래에 위치하고 풀리 (9) 들 사이의 최하위 공통 접선을 규정하는 제 2 라인 (Q) 위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지점을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 (6;31) 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박스 (8) 는 지지 부재 (6;31) 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설치축 (7) 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박스 (8) 와 각 설치축 (7) 사이에 탄성 재료 (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승강실 (2) 의 바닥 (5) 에 고정되는 요크 (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5. 제 4 항에 있어서, 승강실 (2) 의 바닥 (5) 에 고정되고 요크 (6) 로부터 먼 쪽에 있는 단부에서 각 설치축 (7) 과 결합하는 막음판 (2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6. 제 5 항에 있어서, 요크 (6) 및 막음판 (27)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 (6;31) 는 승강실 (2) 이 지지되는 프레임 (30) 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프레임 (30) 의 하부 요크 (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프레임 (30) 의 상부 크로스헤드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1) .
KR1020050121198A 2004-12-10 2005-12-10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 KR101147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6489.0 2004-12-10
EP04106489 200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73A true KR20060065573A (ko) 2006-06-14
KR101147585B1 KR101147585B1 (ko) 2012-05-21

Family

ID=3493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198A KR101147585B1 (ko) 2004-12-10 2005-12-10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410032B2 (ko)
JP (1) JP5142465B2 (ko)
KR (1) KR101147585B1 (ko)
CN (1) CN100424002C (ko)
AT (1) ATE476391T1 (ko)
AU (1) AU2005242198B2 (ko)
CA (1) CA2529342C (ko)
DE (1) DE602005022669D1 (ko)
HK (1) HK1091460A1 (ko)
MY (1) MY139180A (ko)
NZ (1) NZ543848A (ko)
RU (1) RU2384513C2 (ko)
SG (1) SG123668A1 (ko)
TW (1) TWI3444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091A (ja) * 2004-08-09 2006-02-23 Inventio Ag エレベータ
EP2300347B1 (en) 2008-06-17 2013-08-07 Otis Elevator Company Underslung elevator car configuration
US8407876B2 (en) * 2008-11-05 2013-04-02 Inventio Ag Modernization method for elevator installations
WO2012175394A1 (de) * 2011-06-22 2012-12-27 Inventio Ag Feuerwehraufzug
EP2781481B1 (en) * 2013-03-19 2015-08-19 KONE Corporation A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an elevator
WO2015015637A1 (ja) * 2013-08-02 2015-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
DE102019200375A1 (de) * 2019-01-15 2020-07-16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mit einer ersten Aufhängung und einer zweiten Aufhängung an einem Fahrkorb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130A (en) * 1960-10-12 1963-08-20 Silopark S A Elevator system in which drive mechanism is mounted upon the counterweight
JPS63180684U (ko) * 1987-05-14 1988-11-22
JP2653547B2 (ja) 1990-10-08 1997-09-1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
JPH0761745A (ja) * 1993-08-18 1995-03-07 Otis Elevator Co 巻き上げ式エレベーター
US5490577A (en) * 1994-06-22 1996-02-13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elevator hitch
JPH10182035A (ja) * 1996-12-18 1998-07-07 Otis Elevator Co 巻き上げ式エレベーター
JP4131764B2 (ja) * 1998-09-01 2008-08-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442941B2 (ja) * 1998-09-09 2010-03-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044079B2 (ja) * 2000-05-01 2012-10-1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組み込み型負荷測定装置を備えたケーブル式エレベータ用負荷収容手段
CN2460502Y (zh) * 2000-06-23 2001-11-21 永大机电工业股份有限公司 电梯配重侧导轨调整防脱导轮装置
US6722475B2 (en) * 2002-05-22 2004-04-20 Inventio Ag Elevator safety plank assembly
JP4657612B2 (ja) 2003-03-06 2011-03-2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
JP2004338927A (ja) 2003-05-19 2004-12-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カーシーブ支持装置
FI115211B (fi) *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2669D1 (de) 2010-09-16
JP5142465B2 (ja) 2013-02-13
SG123668A1 (en) 2006-07-26
NZ543848A (en) 2007-05-31
TW200640774A (en) 2006-12-01
CN1785775A (zh) 2006-06-14
TWI344444B (en) 2011-07-01
AU2005242198A1 (en) 2006-06-29
CA2529342A1 (en) 2006-06-10
RU2005138483A (ru) 2007-06-27
ATE476391T1 (de) 2010-08-15
CA2529342C (en) 2012-06-12
MY139180A (en) 2009-08-28
JP2006168992A (ja) 2006-06-29
RU2384513C2 (ru) 2010-03-20
US20060175140A1 (en) 2006-08-10
KR101147585B1 (ko) 2012-05-21
AU2005242198B2 (en) 2011-04-28
CN100424002C (zh) 2008-10-08
US7410032B2 (en) 2008-08-12
HK1091460A1 (en)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659B1 (ko) 견인식 엘리베이터
KR101147585B1 (ko) 엘리베이터용 풀리 장치
US7878306B2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EP1698581B1 (en) Machine, lifting system and machine room-less elevator
US20060196730A1 (en) Elevator and arrangement
EP1333000A1 (en) A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US7261184B2 (en) Elevator system and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the same
JP2006264862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EP1828044B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WO2001074704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at a rooftop
KR101995036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및 편심방지 시스템
JP437658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WO2001079105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in an extended pit
CN216105499U (zh) 一种用于曳引式施工升降机的可调节跨度的天梁
US7178636B2 (en) Elevator system
EP1671915B1 (en) 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EP1447370B1 (en) Elevator
JP4195044B2 (ja) エレベーター
EP1803676A1 (en) Elevator apparatus
JP464173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21294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070131490A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JP200400204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19694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2001171940A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