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491A -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491A
KR20060062491A KR1020040101348A KR20040101348A KR20060062491A KR 20060062491 A KR20060062491 A KR 20060062491A KR 1020040101348 A KR1020040101348 A KR 1020040101348A KR 20040101348 A KR20040101348 A KR 20040101348A KR 20060062491 A KR20060062491 A KR 2006006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film
conductive
capacitor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문
복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10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491A/ko
Publication of KR2006006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02Preparing wafers
    • H01L21/02005Preparing bulk and homogeneous wafers
    • H01L21/02008Multistep processes
    • H01L21/0201Specific process step
    • H01L21/02021Edge treatment, chamf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타입의 하부전극 형성시 발생되는 전도성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캐패시터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실린더형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픈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막 상에 상기 오픈부를 충분히 매립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다이 에지에서만 상기 보호막이 남도록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 전면식각을 통해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 상의 상기 전도막을 식각하여 아이솔레이션된 캐패시터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상기 다이 에지에서 전도성 잔류물이 발생함; 상기 다이에서 발생한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딥-아웃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제거하여 실린더 타입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다이 에지에서는 상기 전도막이 분리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캐패시터, 실린더, 딥-아웃, 전도성 잔류물, 베벨 식각 장치, 네트 다이, 다이 에지.

Description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REMOVING ELECTRIC RESIDUE}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 타입의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 타입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기판 201 : 캐패시터 희생막
202a : 전도막 202b : 하부전극
A : 네트 다이 B : 다이 에지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린더 타입의 캐패 시터 형성시 다이 에지 부분에서 잔류하는 전도성 잔류물로 인한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고집적화에 따라 줄어드는 피치 만큼 캐패시턴스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그 중의 대표적인 방식 중의 하나의 캐패시터의 수직 높이의 증가와 실린더(Cylinder) 또는 컨캐이브(Concave)등과 같은 형태로의 캐패시터의 구조 변화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 타입의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공정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과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루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기판(100) 상에 캐패시터 희생막(101)을 증착한 후,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통해 캐패시터 희생막(101)을 식각함으로써,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한다.
도면부호 'A'는 네트 다이 즉, 다이 안쪽(Inner die)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B'는 다이 에지(Edge die)를 나타낸다. 다이 에지(B)의 경우 디포커스(De-focus)와 EBR(Edge Beed Removal) 또는 WEE(Wafer Edge Exposure) 등과의 중첩으로 패턴 불량이 발생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패턴 제거 후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전도막(102a)을 증착한다.
전도막(102a)은 캐패시터 희생막(101)이 식각되어 정의된 프로파일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증착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막(102a)이 형성된 전면에 아이솔레이션시 오픈부 부분의 어택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으로 포토레지스트(103a)을 도포한다.
이어서, 전면 노광을 실시한다.
캐패시터 희생막(101) 상부의 포토레지스트(103b)는 노광이 이루어져 광 가교 반응이 발생하며, 오픈부 내부의 포토레지스트(103a)는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공정을 통해 광 가교 반응이 발생한 캐패시터 희생막(101) 상부의 포토레지스트(103b)을 제거한다.
이어서,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실시한다.
즉,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에 의한 전면식각(104) 공정을 실시하여 캐패시터 희생막(101) 상의 전도막(102a)을 제거함으로써, 아이솔레이션된 복수의 캐패시터 하부전극(102b)을 형성한다.
한편, 웨이퍼의 베벨(Bevel)지역에 해당하는 다이 에지(B) 부분에서는 식각율(Etch rate)이 불균일하여 전도성 잔류물(105)이 남는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아웃(Dip-out) 공정을 실시하여 캐패시터 희생막(101)을 제거함으로써, 캐패시터 하부전극(102b)을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한다.
한편, 다이 에지(B) 부분에서 기판(100)에 접촉되지 못하고 캐패시터 희생막(101)에 부착되어 있던 전도성 잔류물(105)은 기판(100)에 떠돌게 되며, 도면부호 '106'과 같이 네트 다이(A)으로 이동하여 전기적 단락 등의 불량을 유발한다.
한편, 이러한 전도성 부사물을 제거하기 위해 웨이퍼 안쪽의 안전한 다이만 노광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네트 다이(Net die) 수의 감소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패턴 불량이나 전도성 잔류물이 존재하는 웨이퍼 에지에만 막이 선택적으로 덮어지게 하여 후속 딥-아웃 공정시 전도성 잔류물이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공정이 복잡하고 웨이퍼 측면의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웨이퍼 에지에 적층되는 막들을 미리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패턴 불량에 의한 디펙트(Defect) 예방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린더 타입의 하부전극 형성시 발생되는 전도성 잔류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캐패시터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실린더형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픈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막 상에 상기 오픈부 를 충분히 매립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다이 에지에서만 상기 보호막이 남도록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 전면식각을 통해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 상의 상기 전도막을 식각하여 아이솔레이션된 캐패시터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상기 다이 에지에서 전도성 잔류물이 발생함; 상기 다이에서 발생한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딥-아웃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제거하여 실린더 타입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다이 에지에서는 상기 전도막이 분리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린더 타입의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을 위한 하부전극 간의 아이솔레이션시 마스크를 이용하며, 다이 에지 부분에 남아 있는 전도성 잔류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실린더 타입 형성을 위한 딥-아웃 공정시 네트 다이 부분의 캐패시터 희생막 만을 제거한다.
따라서, 전도성 잔류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전기적 단락 등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 타입 캐패시터 하부 전극 형성 공정을 살펴 본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 타입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과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를 이루기 위한 여러 요소가 형성된 기판(200) 상에 캐패시터 희생막(201)을 증착한 후,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통해 캐패시터 희생막(201)을 식각함으로써,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한다.
캐패시터 희생막(201)으로는 BSG(Boro Silicate Glass)막, BPSG(Boro Phospho Silicate Glass)막, PSG(Phospho Slicate Glass)막,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막,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 SOG(Spin On Glass)막 또는 APL(Advanced Planarization Layer)막 등의 산화막 계열의 절연막을 이용하며, 주로 PE-TEOS막(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방식을 이용하여 증착한 TEOS막)/PSG막의 적층 구조를 이용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A'는 네트 다이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B'는 다이 에지를 나타낸다. 다이에지(B)의 경우 디포커스와 EBR 또는 WEE 등과의 중첩으로 인해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불량이 발생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패턴 제거 후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전도막(202a)을 증착한다.
전도막(202a)은 캐패시터 희생막(101)이 식각되어 정의된 프로파일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증착한다. 전도막(202a)으로는 폴리실리콘, Ti, TiN, W 등을 사용한 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막(202a)이 형성된 전면에 아이솔레이션시 오픈부 부분의 어택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으로 포토레지스트(203a)을 도포한다.
이어서, 네트 다이 만을 마스킹하는 마스크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네트 다이(A)만을 전면 노광한다.
즉, 종래의 경우 웨이퍼 전체를 전면 노광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이 에지(B)를 마스킹하고 네트 다이(A)만 노광한다. 이는 패턴 불량이 발생하는 다이 에지(B)에서 포토레지스트(203a)가 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이 에지(B)의 캐패시터 희생막(201)은 적정한 EBR이나 WEE 세팅(Setting)으로 불량으로라도 형성되는 패턴이 없도록 'X'와 같이 안쪽으로 들어와 있다.
네트 다이(A)의 포토레지스트(203b)는 노광되어 광 가교 반응이 일어난다.
이 때, 오픈부 내부와 다이 에지(B)의 포토레지스트(203a)는 노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공정을 통해 광 가교 반응이 발생한 캐패시터 희생막(201) 상부의 포토레지스트(203b)을 제거한다.
이어서, 아이솔레이션 공정을 실시한다.
즉,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를 이용한 전면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이 때, 잔류하는 포토레지스트(203a)는 마스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오픈된 네트 다이(A)에서 캐패시터 희생막(201) 상부에 전도막(202a)이 제거되어 아이솔레이션된 복수의 캐패시터 하부전극(202b)이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 스트립(Photo resist strip)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레지스트(203a)를 제거한다.
한편, 다이 에지(B)에서는 전도막(202a)이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이 과정에서 다이 에지(B)에서 전도성 잔류물(204)이 남게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에지(B)의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한다(205).
이 때, 베벨 식각 장치를 사용하거나, 다이 에지(B)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식각할 수도 있다.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시 건식 또는 습식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딥-아웃 공정을 실시하여 네트 다이(A) 영역의 캐패시터 희생막(201)을 제거함으로써, 캐패시터 하부전극(202b)을 실린더 타입으로 형성한다.
한편, 다이 에지(B) 부분에서 잔류하는 전도막(202a)은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어 디펙트로 작용하지 않는다.
캐패시터 희생막(201)으로 산화막 계열의 절연막을 사용하므로, 딥-아웃 시에는 NH4F와 HF가 혼합된 케미컬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실린더 타입의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을 위한 하부전극 간의 아이솔레이션시 마스크를 이용하며, 다이 에지 부분에 남아 있는 전도성 잔류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며, 실린더 타입 형성을 위한 딥-아 웃 공정시 네트 다이 부분의 캐패시터 희생막 만을 제거함으로써, 전도성 잔류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전기적 단락 등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도성 잔류물로 인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판 상에 캐패시터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실린더형 캐패시터 하부전극 형성 영역을 정의하는 오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픈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캐패시터 하부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막 상에 상기 오픈부를 충분히 매립하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다이 에지에서만 상기 보호막이 남도록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
    전면식각을 통해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 상의 상기 전도막을 식각하여 아이솔레이션된 캐패시터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상기 다이 에지에서 전도성 잔류물이 발생함;
    상기 다이에서 발생한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딥-아웃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제거하여 실린더 타입을 구현하는 단계- 상기 다이 에지에서는 상기 전도막이 분리되지 않음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포토레지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다이에서의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막 상에 상기 다이 에지 영역을 마스킹하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면 노광을 실시하여 상기 네트 다이에서 상기 오픈부 내부를 제외한 상기 보호막에서 광 가교를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광 가교가 유도된 상기 보호막을 현상 공정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잔류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베벨 식각 장치를 사용하거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은 산화막 계열이며, 상기 캐패시터 희생막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NH4F와 HF가 혼합된 케미컬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20040101348A 2004-12-03 2004-12-03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6006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348A KR20060062491A (ko) 2004-12-03 2004-12-03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348A KR20060062491A (ko) 2004-12-03 2004-12-03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491A true KR20060062491A (ko) 2006-06-12

Family

ID=3715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348A KR20060062491A (ko) 2004-12-03 2004-12-03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4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501B2 (en) 2015-01-05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501B2 (en) 2015-01-05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04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44672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100685677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60062491A (ko) 전도성 잔류물 제거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598983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토리지노드 전극 제조 방법
CN109755175B (zh) 互连结构及其形成方法
US765190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04373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701425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716651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56706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66966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60023004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9990043724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26790B1 (ko)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KR100336748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84390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95827B1 (ko) 캐패시터의 플레이트 전극 콘택 형성 방법
KR20010063078A (ko)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KR2008008550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24919A (ko) 반도체소자의 퓨즈박스 제조 방법
KR20060074980A (ko) 풀딥아웃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제조 방법
KR20070055243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패턴 형성방법
KR20090068935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10064456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