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390A -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390A
KR20060062390A KR1020040101211A KR20040101211A KR20060062390A KR 20060062390 A KR20060062390 A KR 20060062390A KR 1020040101211 A KR1020040101211 A KR 1020040101211A KR 20040101211 A KR20040101211 A KR 20040101211A KR 20060062390 A KR20060062390 A KR 20060062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door
fuel filler
door body
spring
fil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390A/ko
Publication of KR20060062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유구가 위치하는 주유구설치홈(1a)이 형성된 차체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설치되어 이 주유구설치홈(1a)을 개폐하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차체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주유구설치홈(1a)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가 걸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후크부(30)로 이루어진 연료필러 도어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0)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에서 그 단부가 주유구설치홈(1a)에 설치되는 스프링장치(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이 후크부(30)가 스프링장치(40)의 스프링힘에 의해 밀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를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열리도록 하여 개폐가 반복될 경우 힌지부(20)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변형과 이동을 방지하여 연료필러 도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동성을 향상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변형에 따른 불만과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차량의 품질만족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Automobile}
도 1 은 종래의 연료필러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인 연료필러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사이드 아웃터 패널 2 : 연료필러 도어록킹구
3 : 팜업스프링 4 : 케이블
10 : 연료필러 도어몸체부 20 : 힌지부
30 : 후크부 31 : 걸림구멍
32 : 테이퍼부 40 : 스프링장치
41 : 스프링하우징 42 : 스프링설치부
43 : 스프링안착홈 44 : 가이드구멍
45 : 스프링부재 46 : 지지부재
47 : 안착부 48 : 가이드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 시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폭발력을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서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엔진은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하며, 상기와 같은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자동차에는 연료탱크를 구비하고 일정량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에는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유하기 위하여 연료탱크에 연결된 주유파이프에 주유구를 형성하여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주유구는 주유하지 않는 동안에 연료 캡에 의해 닫혀 있도록 하여 증발된 연료의 방출을 방지한다.
통상 승용차의 경우 상기와 같은 연료 캡이 자동차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차체에는 연료필러 도어를 설치하여 주유 시 에만 개방되어 내측의 연료 캡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연료필러 도어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일단이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부(20)로 이루어지고, 이 힌지부(20)에 팜업스프링(3)이 설치되며 타단에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로 걸려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후크부(30)가 돌출되어 있다.
즉,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으로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에 의해 록킹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팝업스프링(3)의 스프링힘으로 자동으로 열려 주유 시 연료캡을 열고 주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연료필러 도어는 힌지부에 설치된 팝업스프링에 의해 반복되어 열리면서 이 힌지부가 열변형되어 일측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연료필러 도어의 외관이 불량해지고, 차체의 사이드 아웃터 패널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으로 연료필러 도어록킹구에 의해 록킹된 상태가 해제되어도 연료필러 도어가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필러 도어의 후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장치를 차체 패널에 설치하여 연료필러 도어록킹구에 의해 록킹된 상태가 해제될 경우 상기 스프링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필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장기간 사용 시에도 연료필러 도어의 변형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유구가 위치하는 주유구설치홈(1a)이 형성된 차체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설치되어 이 주유구설치홈(1a)을 개폐하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차체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주유구설치홈(1a)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가 걸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후크부(30)로 이루어진 연료필러 도어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0)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에서 그 단부가 주유구설치홈(1a)에 설치되는 스프링장치(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달성된다.
즉, 운전자가 주유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을 작동시켜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가 후크부(30)를 걸어 록킹한 상태를 해제시키면 이 후크부(30)가 상기 스프링장치(40)에 의해 밀려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인 연료필러 도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후크부에 연료필러 도어록킹구가 걸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주유구설치홈의 내부에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연료필러 도어록킹구가 작동되어 록킹한 상태가 해제되면 후크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된 스프링장치의 스프링힘에 의해 밀려 자동으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가 열리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는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주유구가 위치되는 주유구설치홈(1a)이 소정의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이 주유구설치홈(1a)은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에 의해 커버되며, 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는 주유구설치홈(1a)을 커버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주유구설치홈(1a)을 개폐하는 것이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일단에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0)가 구비되며, 이 힌지부(20)로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부(20)를 중심으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회동하여 주유구설치홈(1a)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타단에는 주유구설치홈(1a) 내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며, 걸림구멍(31)이 뚫려진 후크부(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30)의 걸림구멍(31)에는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의 걸림구(2a)가 끼워지며, 이 걸림구(2a)는 케이블(4)로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는 개폐핸들에 연결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운전자가 개폐핸들을 잡아당기면 케이블(4)의 움직임에 의해 걸림구(2a)가 후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후크부(30)의 걸림구멍(31)에서 이탈되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주유구설치홈(1a)의 내부에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장치(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스프링장치(40)는 주유구설치홈(1a)의 내부에 장착 고정되며, 내부에 스프링안착홈(43)이 형성되고, 측면에 가이드구멍(44)이 뚫려진 스프링설치부(42)가 상기 후크부(30)를 향해 돌출된 스프링하우징(41)과;
상기 스프링설치부(42) 내부의 스프링안착홈(43)에 내장되는 스프링부재(45)와;
일단부는 상기 후크부(30)의 단부를 지지하는 안착부(47)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설치부(42)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가이드구멍(44)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7)가 돌출된 지지부재(46)로 구성된다.
즉,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혀져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에 의해 록킹된 상태에서는 후크부(30)가 상기 지지부재(46)의 단부를 밀어 이 지지부재(46)가 스프링설치부(42)의 스프링안착홈(43)으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 (45)를 압축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가 후크부(30)에서 이탈되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45)의 스프링힘에 의해 지지부재(46)가 후크부(30)를 밀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를 자동으로 열리도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6)는 가이드구멍(44)을 따라 가이드돌기(47)가 이동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부재(45)의 압축력에 의해 발생되는 스프링힘이 분산되지 않고 후크부(30)를 밀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부(30)의 단부는 양 측이 페이퍼진 테이퍼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46)의 안착부(47)는 상기 후크부(30)의 테이퍼부(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테이퍼부(3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삽입홈(47a)이 형성되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릴 경우 테이퍼부(32)가 삽입홈(47a)에 슬라이드되면서 원활하게 열리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하우징(41)은 주유구설치홈(1a)을 이루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단차조정나사(5)를 사용하여 장착 고정되어 설치 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와 차체의 사이드 아웃터 패널(1) 간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후크부가 스프링장치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연료필러 도어몸체부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이 후크부가 스프링장치의 스프링힘에 의해 밀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열리도록 하여 개폐가 반복될 경우 힌지부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의 변형과 이동을 방지하여 연료필러 도어의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동성을 향상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료필러 도어몸체부의 변형에 따른 불만과 애프터서비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차량의 품질만족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주유구가 위치하는 주유구설치홈(1a)이 형성된 차체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설치되어 이 주유구설치홈(1a)을 개폐하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일단에 구비되며, 차체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20)와;
    상기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주유구설치홈(1a)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개폐핸들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연료필러 도어록킹구(2)가 걸려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후크부(30)로 이루어진 연료필러 도어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0)는 연료필러 도어몸체부(10)가 닫힌 상태에서 그 단부가 주유구설치홈(1a)에 설치되는 스프링장치(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40)는 주유구설치홈(1a)의 내부에 장착 고정되며, 내부에 스프링안착홈(43)이 형성되고, 측면에 가이드구멍(44)이 뚫려진 스프링설치부(42)가 상기 후크부(30)를 향해 돌출된 스프링하우징(41)과;
    상기 스프링설치부(42) 내부의 스프링안착홈(43)에 내장되는 스프링부재(45)와;
    일단부는 상기 후크부(30)의 단부를 지지하는 안착부(47)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설치부(42)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가이드구멍(44)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47)가 돌출된 지지부재(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0)의 단부는 양 측이 페이퍼진 테이퍼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46)의 안착부(47)는 상기 후크부(30)의 테이퍼부(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테이퍼부(3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삽입홈(4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하우징(41)은 주유구설치홈(1a)을 이루는 사이드 아웃터 패널(1)에 단차조정나사(5)를 사용하여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KR1020040101211A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KR20060062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11A KR20060062390A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211A KR20060062390A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90A true KR20060062390A (ko) 2006-06-12

Family

ID=371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211A KR20060062390A (ko) 2004-12-03 2004-12-03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3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1867A (zh) * 2015-09-03 2018-04-17 株式会社利富高 车辆的盖装置
KR101985483B1 (ko)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101985484B1 (ko)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1867A (zh) * 2015-09-03 2018-04-17 株式会社利富高 车辆的盖装置
KR101985483B1 (ko)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KR101985484B1 (ko) 2018-02-05 2019-06-03 주식회사 신진화학 차량용 연료주입구 도어 구조
US10752109B2 (en) 2018-02-05 2020-08-25 Sinjin Plastics Co., Ltd.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6370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US6902392B2 (en) Interference-free cam for hinged-lid lighters
KR20060062390A (ko) 자동차용 연료 필러 도어 구조
JPH07187215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キャップ組立体
KR100410511B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캐치
JP4958852B2 (ja)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KR20130057864A (ko)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KR100392012B1 (ko) 자동차용 주유구 도어의 잠금장치
KR100572634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구 어셈블리
JP2009196549A (ja) 車両の燃料給油口蓋構造
CN220624097U (zh) 一种燃油打火机
KR200158812Y1 (ko) 돌출되지 않는 자동차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KR101498490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100811223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FR2819452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de reservoir de carburant
KR930000187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개폐구
KR100428213B1 (ko) 필러도어의 잠금장치
KR20030053911A (ko)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RU51576U1 (ru) Механизм блокировки крышки люка бензобака автомобиля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KR200284818Y1 (ko) 자동차의연료캡걸이구조
KR100557326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구 어셈블리
KR20015829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기구
KR100475823B1 (ko) 연료 도어 시스템
KR100187184B1 (ko) 트렁크 리드 및 주유구 겸용 개방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