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462A -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462A
KR20060059462A KR1020040098561A KR20040098561A KR20060059462A KR 20060059462 A KR20060059462 A KR 20060059462A KR 1020040098561 A KR1020040098561 A KR 1020040098561A KR 20040098561 A KR20040098561 A KR 20040098561A KR 20060059462 A KR20060059462 A KR 20060059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ncer
anticancer agent
cells
cry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131B1 (ko
Inventor
신현경
박정한윤
임순성
조한진
유영신
이귀용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9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 A61K47/6863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a determinant of a tumour cell the tumour determinant being from stomach or intestines cancer cel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 A61K2039/58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rais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a target which is not the antigen used for immunisation wherein the target is can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상적인 세포에는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현저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제공하며,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암 예방 및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미선나무, 항암제

Description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ANTI-CANCER CON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적인 세포에는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현저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암의 발생률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의학의 혁신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암 발생을 높이는 서구식 식습관의 확산과 현재의 흡연추세로 볼 때 2020년에는 암진단자가 1천500만 명으로 5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2001년에 발생, 등록된 암은 9만1천9백44건으로 전년에 비해 9.7% 증가했으며, 여자는 유방암, 남자는 전립선암이 크게 늘어나는 등 우리나라 암 발생이 선진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암화(carcinogenesis)는 (a) 발암물질에 의해 DNA에 돌연변이가 유도되는 개 시단계, (b) 양성 종양 (benign tumor)이 나타나는 촉진단계, (c) 양성종양이 악성종양 (malignant tumor)으로 변환되는 진행단계, (d) 악성 정도의 증가 및 전이로의 진행단계와 같이 다단계로 진행된다. 각 단계로의 진전속도나 다음 단계로의 진행은 여러 물질에 의해 증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암의 치료에는 외과적 수술방법 이외에도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등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런 치료요법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소화기관과 골수 조직의 손상, 탈모, 면역력 저하 등 여러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발견 당시 원격전이가 된 경우가 많아서 이미 암으로 발전한 후에는 각종 물리, 화학적 요법을 동원하여도 완전한 치료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발생 및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치료보다는 암발생을 차단하거나 암화과정을 억제 또는 역전시키는 암예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야채, 과일, 전통 의학에서 약제로 사용되어 온 식물유래 성분들 중에서 암 예방 및 치료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최근의 연구경향이다.
한편, 미선나무는 학명 아벨리오필럼 디스티쿰(Abeliophyllum distichum)으로, 세계에서 단 1속 1종밖에 없는 희귀식물이면서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이다. 미선나무의 꽃은 색깔에 따라 분홍미선 또는ㅇ상아미선이라 불리우며, 다양한 색상의 꽃받침 중 청록색인 것은 푸른 미선이라고 한다. 현재 전부 5군데, 즉 제147호 괴산군의 미선나무 자생지(1962. 12. 3), 제220호 괴산군 추점리의 미선나무 자생지(1970. 1. 6), 제221호 괴산군 율지리의 미선나무 자생지 (1970. 1. 6), 제364호 영동 매천리의 미선나무 자생지(1990. 8. 2), 제370호 부안의 군락지(1992. 10. 21)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청북도 진천, 괴산군 일대, 영동에 분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선나무의 효능이나 효과는 아직까지 특별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단지 미선나무 잎에서 추출한 글리코시드들이 혈압을 조절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을 뿐이다(Oh H, Kang D-G, Kwon T-O, Jang K K, Chai K-Y, Yun Y-G, Chung H-T, Lee H-S, Phytotherapy Research 17: 811-813, 2003).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이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에 관한 것이다.
미선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즉, 미선나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 및/또는 분획하 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미선나무의 잎, 가지, 뿌리, 열매, 줄기, 꽃, 껍질 등이나 이의 분쇄물에 용매를 가한 후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가 알콜 또는 알콜희석수일 수 있으며, 상기 저가 알콜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콜희석수는 알콜을 50 내지 99 부피 %로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시 용매는 2종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온도는 4 내지 12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30일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또는/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일예로, 미선나무 추출물은 잎 또는 열매 100 g당 메탄올 0.1 내지 5 L를 가하여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은 추후 헥산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하여 각 용매별 분획물을 수득함으로써 헥산 추출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제조한다. 이후 잔류물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며, 상기 용매에서 추출되지 않은 물 분획은 물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용매를 이용한 분획시, 추출대상물에 대하여 용매를 1: 0.1 내지 10 부피비로 가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들 중, 특히 미선나무 잎 헥산 추출물과 미선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은 종양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나,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종양의 치료 및 예방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를 제공한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 잎의 헥산 추출물, 미선나무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의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미선나무 잎 헥산 추출물 : 미선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이 0.1 내지 1: 0.1 내지 1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는, 상기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혼합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은 항암제에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통상 0.001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암제는 각종 암, 예컨대 위암, 유방암, 대장암, 피부암, 식도암, 폐암, 자궁암, 전립선암 또는 간암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의 일예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스,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체 또는 부형제는 2종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항 암제를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암제는, 미선나무 추출물 이외에 공지의 항암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미선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는 약제,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 등으로 사용가능하다. 항암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진피내, 근육내, 복막내, 정맥내, 피하내, 코안, 경막외 및 구강경로를 통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항암제는 약제로 사용가능하나, 그외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종 식품류, 육류, 음료수,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항암제는 약제, 식품 또는 음료에 0.0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암제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 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제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본 발명의 항암제는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미선나무 잎 추출물 제조
미선나무 잎 200 g을 메탄올 1.5ℓ에 침지한 후 총 4시간 환류시켜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모두 합한 후 감압농축하여 35 g의 메탄올 추출물(실시예 1)을 수득하였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 30.5 g에 n-헥산 : 메탄올 : 물을 10 : 1 : 9의 혼합비율로 전체 200 ml를 가한 후 분획하여 헥산 분획을 얻고, 이를 감압농축 하여 5.5 g의 헥산 분획(실시예 2)을 수득하였다. 이후 잔류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을 순차적으로 3회씩 가하여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물들을 모두 모아 감압농축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분획(실시예 3) 4.2 g 및 노르말-부탄올 분획(실시예 4) 11.3 g과 나머지 물 분획(실시예 5) 9.2 g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6-9: 미선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
미선나무 열매 55 g을 메탄올 500 ml에 침지한 후 총 4시간 환류시켜 3회 추 출하였다. 추출액은 모두 합한 후 감압농축 하여 11.5 g의 메탄올 추출물(실시예 6)을 수득하였다.
메탄올 추출물 10.5 g에 물 200 ml를 가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200 ml를 가하여 3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감압농축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실시예 7) 4.2 g을 수득하였다. 이후 잔류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200 ml, 3회 가하여 분획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실시예 8) 0.9 g과 나머지 물 분획(실시예 9) 4.9 g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험 1: 항암효과
1-1.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한 인간 대장암 세포인 HT-29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배양시 사용한 DMEM/F12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Nutrient Mixture Ham's F12), FBS (fetal bovine serum), 트립신-EDTA,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셀레늄은 Gibco/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브로마이드(MTT)와 BSA(bovine serum albumin), 트랜스페린은 시그마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HT-29 세포는 DMEM/F12 배지를 사용하여 37℃ 습윤한 CO₂배양기(5% CO₂/95% air)에서 배양하였다. HT-29 세포를 유지하기 위해서 DMEM/F12 배지에 10% FBS, 100 units/㎖의 페니실린 및 100 ㎍/㎖의 스트렙토마신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각 세포는 배양접시를 80% 컨플루언트로 되게 배양한 후 PBS(pH 7.4)로 세포 의 단층을 세척하고, 0.25% 트립신 및 2.65 mM EDTA을 처리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의 미선나무 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HT-29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배지에 희석하여 50,000 cells/well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FBS가 결핍된 배지인 SFM(Serum-free medium, DMEM/F12, 트랜스페린 5 ㎍/㎖, 셀레늄 5 ng/㎖, BSA 0.1 mg/㎖)로 교체하여 24시간 배양하였고, 이후 미선나무 추출물이 각각 0, 12.5, 25 및 50 ㎍/㎖로 포함된 SFM 배지로 교환하여 배양하였다. 미선나무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이때 미선나무 추출물은 DMSO에 녹여 사용하였으며,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세포 수를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MTT 분석이란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테트라졸리움을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포르마잔 크리스탈로 환원시키는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다. 상기 사용한 DMSO는 미선나무 추출물의 용매로 사용되어 배지 내 0.1% 첨가되었으나, 세포배양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MTT 분석을 위하여, 세포배양물의 배지를 제거한 후 MTT를 1 ㎎/㎖로 포함하는 DMEM/F12 배지를 웰 당 1 ㎖씩 처리하고, 37℃ 습윤한 CO₂배양기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0.5 ㎖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포르마잔 크리스탈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리더 (BIO-RAD)에서 570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시간(hr) 0 ㎍/mL 12.5 ㎍/mL 25 ㎍/mL 50 ㎍/mL
실시예 2 0 0.460+ 0.004 0.460+ 0.004 0.460+ 0.004 0.460+ 0.004
24 0.825+ 0.007 0.646+ 0.016 0.638+ 0.006 0.552+ 0.013
48 1.029+ 0.019 0.935+ 0.016 0.766+ 0.032 0.598+ 0.034
72 1.890+ 0.038 1.001+ 0.003 0.605+ 0.049 0.339+ 0.003
실시예 3 0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24 0.820+ 0.020 0.824+ 0.032 0.766+ 0.005 0.775+ 0.005
48 1.206+ 0.048 1.268+ 0.011 1.228+ 0.024 1.191+ 0.009
72 1.427+ 0.050 1.460+ 0.039 1.456+ 0.035 1.531+ 0.008
실시예 4 0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24 0.810+ 0.026 0.754+ 0.038 0.773+ 0.028 0.798+ 0.032
48 1.226+ 0.017 1.198+ 0.020 1.250+ 0.020 1.262+ 0.040
72 1.413+ 0.001 1.481+ 0.009 1.516+ 0.031 1.508+ 0.009
실시예 5 0 0.460+ 0.004 0.460+ 0.004 0.460+ 0.004 0.460+ 0.004
24 0.849+ 0.030 0.831+ 0.019 0.804+ 0.005 0.816+ 0.025
48 1.146+ 0.015 1.121+ 0.013 1.135+ 0.008 1.141+ 0.006
72 2.150+ 0.030 2.032+ 0.002 2.092+ 0.032 2.068+ 0.040
실시예 6 0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0.333+ 0.007
24 0.792+ 0.012 0.726+ 0.007 0.684+ 0.016 0.660+ 0.009
48 1.272+ 0.041 0.401+ 0.019 0.332+ 0.012 0.260+ 0.010
72 1.554+ 0.023 0.237+ 0.001 0.171+ 0.009 0.142+ 0.00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미선나무 추출물들중 특히 실시예 2의 미선나무 잎 헥산 추출물과, 실시예 6의 미선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 물의 종양세포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실시예 2의 미선나무 잎 헥산 추출물과, 실시예 6의 미선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종양세포 증식에 대한 IC50은 하기 표 2와 같다.
미선나무 추출물 실시예 2 실시예 6
IC50 (㎍/㎖) 14.85+ 0.69 8.1+ 0.03
실험 2: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시험
실시예 2의 미선나무 잎 헥산 추출물과, 실시예 6의 미선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장음와세포(정상 소장 점막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흰쥐의 장음와 (intestinal crypt) 유래 세포인 IEC-6은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다. IEC-6 세포는 DMEM/F12 배지를 사용하여 37℃ 습윤한 CO₂배양기(5% CO₂/95% air)에서 배양하였고, DMEM/F12 배지에 10% FBS, 100 units/㎖의 페니실린, 100 ㎍/㎖의 스트렙토마신 및 10의 ㎍/㎖ 인슐린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 실험은 상기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시간(hr) 0 ㎍/mL 12.5 ㎍/mL 25 ㎍/mL 50 ㎍/mL
실시예 2 0 0.318+ 0.003 0.318+0.003 0.318+0.003 0.318+0.003
24 0.516+ 0.008 0.478+0.009 0.461+0.006 0.450+0.002
48 0.752+ 0.011 0.742+0.032 0.720+0.021 0.712+0.012
72 0.927+ 0.029 1.054+0.038 1.026+0.019 0.976+0.024
실시예 6 0 0.318+ 0.003 0.318+0.003 0.318+0.003 0.318+0.003
24 0.501+ 0.006 0.490+0.005 0.471+0.003 0.486+0.006
48 0.740+ 0.012 0.747+0.005 0.732+0.020 0.713+0.026
72 0.961+ 0.009 0.948+0.001 1.001+0.022 0.938+0.05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6의 미선나무 추출물들은 정상 소장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은 정상적인 세포에는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현저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예방 및 치료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잎 또는 열매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콜로 추출한 것인 항암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콜로 추출한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희석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한 용매로 분획한 것인 항암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대장암에 적용되는 것인 항암제.
KR1020040098561A 2004-11-29 2004-11-29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KR10070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61A KR100706131B1 (ko) 2004-11-29 2004-11-29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61A KR100706131B1 (ko) 2004-11-29 2004-11-29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462A true KR20060059462A (ko) 2006-06-02
KR100706131B1 KR100706131B1 (ko) 2007-04-11

Family

ID=3715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561A KR100706131B1 (ko) 2004-11-29 2004-11-29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824A (ko) * 2018-03-02 2019-09-11 우종태 미선나무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증류주 및 그 제조방법
WO2022045846A1 (ko) * 2020-08-31 2022-03-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286B1 (ko) * 2014-04-14 2021-06-30 고재우 미선나무잎 음료, 차, 식품 원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4128B1 (ko) * 2014-07-04 2015-06-05 신정희 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3000A (ko) 2017-10-17 2019-04-25 김좌진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43354B1 (ko) 2017-10-17 2019-11-12 주식회사 프로셀컴퍼니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9875A (ko) 2017-12-28 2019-07-08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65239B1 (ko) 2018-04-10 2020-10-13 김좌진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190118276A (ko) 2018-04-10 2019-10-18 김좌진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증상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149783B1 (ko) 2018-08-22 2020-08-31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48963B1 (ko) 2018-09-11 2020-08-28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824A (ko) * 2018-03-02 2019-09-11 우종태 미선나무 뿌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증류주 및 그 제조방법
WO2022045846A1 (ko) * 2020-08-31 2022-03-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6056761A (zh) * 2020-08-31 2023-05-02 建国大学全球本土化产学合作基金会 包含翅果连翘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治疗雄激素受体相关疾病的药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131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131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412057B1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또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6911A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2186488B (zh) 齿裂黄鹌菜提取物用于制备肝功能改善用药物组合物及用于制备肝功能改善用健康功能食品组合物的用途
KR10171534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KR20040107852A (ko)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321879B1 (ko) 층꽃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46422B1 (ko) 정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050113290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149190B1 (ko)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022219A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7898B1 (ko) 느티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20116115A (ko) 포도 줄기 껍질로부터 분리된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624703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668368B1 (ko) 흑법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5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92641B1 (ko) 흑삼 추출물 및 흑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