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567A -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567A
KR20060055567A KR1020040093865A KR20040093865A KR20060055567A KR 20060055567 A KR20060055567 A KR 20060055567A KR 1020040093865 A KR1020040093865 A KR 1020040093865A KR 20040093865 A KR20040093865 A KR 20040093865A KR 20060055567 A KR20060055567 A KR 20060055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conveying
side collision
fix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5567A/ko
Publication of KR2006005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측면충돌에 의하여 B 필러가 침입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시트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시트 브라켓(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양 단부측에 이송부(40)가 형성되는 시트고정파이프(30)와; 상기 시트고정파이프(30)의 이송부(40)의 외측에 결합되는 이송홈(51)이 형성되는 시트마운팅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시트(10)가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B 필러에 보강재를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측면 충돌시 승객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사고시 승객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B 필러, 시트, 측면충돌.

Description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Apparatus for moving seat against side crash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와 B 필러의 변형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의 이송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시트 브라켓
30 : 시트고정파이프 40 : 이송부
50 : 시트마운팅브라켓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측면충돌에 의하여 B 필러가 침입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시트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B 필러에 보강재를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측면 충돌시 승객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사고시 승객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섀시는 차량의 충돌에 대비한 충돌 안정성을 위하여 그 구조를 견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의 전후방 충돌의 경우에는 범퍼와 차체 프레임 등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되는 것이 보통이나,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B 필러(B pillar: 1)가 차량의 내측방향으로 변형되어 시트(2)에 오버랩 됨으로써, 이 시트(2)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측면 충돌시 B 필러(1)의 변형에 대비하여 차량의 테스트시 B 필러(1)의 강성확보 및 기타 B 필러(1)의 변형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와 같은 측면 충돌시 안전성은 일렬의 시트에 3개의 시트가 배치되 는 RV나 SUV와 같은 차량에 더욱 불리하다.
이와 같은 측면 충돌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로 B 필러의 강성을 보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B 필러의 강성보강은 비용과 중량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B 필러에 보강재를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측면 충돌시 승객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사고시 승객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시트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양 단부측에 이송부가 형성되는 시트고정파이프와; 상기 시트고정파이프의 이송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이송홈이 형성되는 시트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시트가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시트 브라켓(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양 단부측에 이송부(40)가 형성되는 시트고정파이프(30)와; 상기 시트고정파이프(30)의 이송부(40)의 외측에 결합되는 이송홈(51)이 형성되는 시트마운팅브라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시트(10)가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고정파이프(3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시트(10)의 이송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31)가 형성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이 있을 때, 시트(10)가 일정 길이 이송된 후에는 이송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31)측은 차량의 사이드 실(side sill: 60)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관미를 저하시키거나 거동에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부(40)와 이송홈(51)의 결합은 다양한 이송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40) 및 이 이송부(40)와 결합되는 이송홈(51)은, 여러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플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이송부(40) 및 이 이송부(40)와 결합되는 이송홈(51)은, 이송 레일이 형성되어, 이 레일을 따라 이송부(40)가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미도시).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 타내는 개략도로서,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시트(10)를 차량의 중앙측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변형되는 B 필러와 시트(10) 사이의 거리 축소를 최소화 하여,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플라인 결합된 이송부(40)와 이송홈(51)은 일정 힘에 의해서는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차량의 측면 충돌과 같은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관성에 의하여 서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이송되게 되고, 따라서 시트(10)가 차량의 중앙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는 시트고정파이프(30)의 양 단부측에 형성되고, 그 외측이 시트마운팅브라켓(50)으로 덮여 있고, 이송부(40)의 양 단부는 차량의 사이드 실(60)이나 중앙측의 콘솔부 측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외관미를 저하시키기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B 필러에 보강재를 충진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측면 충돌시 승객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사고시 승객 상해를 최소 화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및 공정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차량의 시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시트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양 단부측에 이송부가 형성되는 시트고정파이프와;
    상기 시트고정파이프의 이송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이송홈이 형성되는 시트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충돌시 시트가 내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및 이 이송부와 결합되는 이송홈은, 스플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및 이 이송부와 결합되는 이송홈은, 이송 레일이 형성되어, 이 레일을 따라 이송부가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고정파이프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시트의 이송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송장치.
KR1020040093865A 2004-11-17 2004-11-17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KR20060055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65A KR20060055567A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65A KR20060055567A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67A true KR20060055567A (ko) 2006-05-23

Family

ID=3715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865A KR20060055567A (ko) 2004-11-17 2004-11-17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5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2958A (zh) * 2011-12-30 2013-07-03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车辆座椅的固定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2958A (zh) * 2011-12-30 2013-07-03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车辆座椅的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692B1 (ko) 차량의 센터필러
KR101856248B1 (ko) 측면충돌에 대한 보강부재를 구비한 2도어 또는 3도어 차량
JP617211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100060286A (ko) 대쉬패널 보강구조
US1108453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4299899B2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CN216709440U (zh) 车辆的车身以及车辆
KR20060055567A (ko)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비한 시트 이동장치
KR100851733B1 (ko) 차량의 배플기구
JP2009132302A (ja) 自動車のリヤドア構造
KR100747034B1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JPH02200570A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KR100644161B1 (ko) 차량용 무릎 충격 흡수구조
KR100622419B1 (ko) 차량의 무릎 보호 장치
JPH02200547A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ー構造
KR0132798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변형방지용 보강체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JPS58105883A (ja) 車体の衝突エネルギ−吸収構造
KR0160032B1 (ko) 자동차의 타이바아구조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0124057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100550042B1 (ko) 자동차용 니볼스터 브라켓트
KR19980048722A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
JPH0338474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100021226A (ko) 차량용 범퍼의 에너지 업소버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