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365A -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365A
KR20060055365A KR1020050109260A KR20050109260A KR20060055365A KR 20060055365 A KR20060055365 A KR 20060055365A KR 1020050109260 A KR1020050109260 A KR 1020050109260A KR 20050109260 A KR20050109260 A KR 20050109260A KR 20060055365 A KR20060055365 A KR 2006005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clutch
output shaft
input dis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112B1 (ko
Inventor
히데유키 야기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33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93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33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8592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2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fric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with means for temporarily uncoupling the wiper arm from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6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a motor-reduction unit and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into oscill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1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 B60S1/18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 B60S1/26Means for transmitting drive mechanically by tooth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8Attachement of separate wiper moto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88Means for mounting wiper arms onto the vehicle
    • B60S1/3495Means for mounting the drive mechanism to the wiper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장치(10)에서, 출력샤프트(12)는 그의 축에 대하여 입력디스크(2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클러치디스크(38)는 그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클러치디스크(38)가 입력디스크(28)와 분리되려 할 경우, 탄성부재(44)는 입력디스크(28) 또는 클러치디스크(38)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중 하나는 그의 축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진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출력샤프트(12)의 주연방향으로 트레일링면(51)과 선접촉되는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다. 상기 트레일링면(51)과 곡선제어면(53)은 축방향으로 구동력의 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 구성요소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한 구성요소보다 경도가 크다.
클러치장치, 입력디스크, 클러치디스크, 모터장치, 탄성부재, 와이퍼

Description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CLUTCH DEVICE AND MOTOR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투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5는 도4의 Ⅴ-Ⅴ선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평단면도.
도7은 도6의 Ⅶ-Ⅶ선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클러치 해제상태를 나타낸 도7의 대응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인 클러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구성요소인 클러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른 분해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들인 스윙매커니즘 및 클러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인 클러치디스크에 제공되는 결합홈부의 형태 및 배치를 나타낸 클러치디스크의 후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들로서 클러치장치의 입력디스크에 제공된 결합돌출부 및 클러치장치의 클러치디스크에 제공된 결합홈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들인 스윙매커니즘 및 클러치장치를 포함하는 주변부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클러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구성요소들인 스윙매커니즘 및 클러치장치를 포함하는 주변부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클러치 해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의 클러치장치의 동작토크특성을 나타낸 차트.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장치를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8은 비교예에 따른 클러치장치의 결합돌기부 및 결합홈부의 구성을 나타 낸 단면도.
도19는 비교예에 따른 클러치장치의 동작토크특성을 나타낸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클러치장치 12: 출력샤프트
20: 결합베이스 28: 입력디스크
37: 결합돌기부 38: 클러치디스크
42: 결합홈부 44: 탄성부재
51: 트레일링면 53: 곡선제어면
90: 와이퍼모터 94: 스윙매커니즘
96: 하우징
본 발명은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및 클러치장치가 제공된 와이퍼 모터와 같은 모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윈도우창을 와이핑(wiping)하기 위하여 와이퍼장치에 적용된 다양한 와이퍼 모터는 공지의 기술이다. 이러한 와이퍼 모터 중 하나는 내부에 스윙매커니즘(swing mechanism)을 구비하여 와이퍼 모터의 출력샤프트는 와이핑될 면을 왕복 스윙하는 와이퍼블레이드(wiper blade)와 결합된 와이퍼 암을 스윙시킨다.
이러한 종류의 와이퍼 모터에서, 와이퍼 모터의 출력샤프트에 과도한 부하(load)가 가해져 와이퍼 암의 동작이 방해될 경우, 내장되어 있는 상기 스윙매커니즘 또는 감속매커니즘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대 부하의 작용은 설계시 이들 매커니즘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강도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윙매커니즘을 구비한 몇몇 와이퍼모터는 그의 출력샤프트에 클러치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앞서 언급한 매커니즘을 구성하는 각 부재는 과대한 부하의 작용을 감안한 매우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와이퍼모터는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저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클러치장치는 입력디스크(input disk)와 클러치디스크(cluth disk)를 구비하며, 이들 사이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클러치장치는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들 디스크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출력샤프트에 소정값을 초과하는 과부하가 작용될 경우, 입력샤프트로 입력되는 회전구동력은 입력디스트와 클러치디스크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는 가압부재(urging member)의 가압력에 대하여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분력(component force)을 작용시킨다. 그러므로 결합홈부로부터의 결합돌출부는 서로 결합해제(분리)되고 서로에 대하여 공회전(idly rotation)하여, 각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의 결합돌출부 및 결합홈부는 과부하가 작용될 경우 단순한 결합에 의하여(일본 실용신안 제2505881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 회전방향으로의 토크전달면, 즉 결합면의 경사(토크작용방향에 대한 상승경사)에 의하여 축방향 상측으로 분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결합면은 서로 면접촉으로 이루어져, 회전구동력의 전달을 확실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전술한 과부하 작용하에서,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대하여 분리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경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의 상대변위 스트로크(relative displacement stroke)가 증감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pressing force)은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과부하작용 개시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동안 동작토크도 점차 증가한다.
상기 결합돌출부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홈부의 결합면이 서로 면접촉하게 될 경우, 이들 사이의 마찰력의 변화는 쉽게 발생한다.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증가와 함께, 이러한 변화는 보다 현저하게 되고, 동작토크는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 의해 결합돌출부 및/또는 결합홈부가 마모될 경우, 전술한 분력의 크기 및 방향은 보다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디스크 및 클러치디스크는 소정값을 초과하는 과부하하에서 높은 정확성을 갖고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디스크로부터 클러치디스크의 분리 부하(작동토크)를 안정화 시키는, 즉 마모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설정값으로부터 분리 부하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클러치장치 및 그 클러치장치를 구비한 모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클러치장치는 출력샤프트, 입력디스크, 클러치디스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샤프트는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입력디스크는 회전구동력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출력샤프트에 지지된다.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상기 입력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입력디스크를 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그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려 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저항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축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트레일링면(trailing surface)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트레일링면과 선접촉(line contact)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을 향하는 곡선제어면(curved control surface)을 구비한다. 상기 트레일링면 및 곡선제어면은 축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의 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상기 곡선제어면을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는 구성요소 보다 경도(hardness) 가 크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wiper motor)(모터장치)를 설명한다.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퍼모터(90)는 차량의 와이퍼장치(1)를 구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구동모터로서 구성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90)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와이퍼모터(9)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8은 와이퍼모터(9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와이퍼모터는 모터본체(motor body)(92), 스윙매커니즘(swing mechanism)(94) 및 클러치장치(clutch device)(10)를 제공한다.
도4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본체(92)는 요크하우징(yoke housing)(98)을 제공한다. 상기 요크하우징(98)은 편평한 원통형태(flat cylindrical shape)를 갖는다. 상기 요크하우징(98)의 축방향 일단부는 드로잉(drawing)가공되고 폐쇄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크하우징(98)은 그 요크하우징(98)의 두께가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지도록 회전샤프트(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하우징(98)의 축방향 타단부는 개방되고 하우징(96)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요크하우징(98)의 바닥벽(100)에는 베어링(102)이 위치된다. 상기 요크하우징(98)의 타단부에는 절연수지로 이루어진 단부하우징(end housing)(104)이 고정된다.
상기 단부하우징(104)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베어링(106)이 배치된다. 상기 단부하우징(104)의 베어링(106) 및 요크하우징(98)의 베어링(102)은 상기 요크하우징(98)에 전기자(armature)(108)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기자(108)의 회전샤프트(rotating shaft)(110)를 지지한다. 상기 전기자(108)를 향하는 상기 요크하우징(98)의 내주벽에는 마그네트(magnet)(112)가 고정된다.
상기 단부하우징(104)은 브러시케이스(brush case)를 통해 브러시(114)를 유지시킨다. 상기 브러시(114)는 각주형태(prismatic shape)를 가지며, 상기 전기자(108)의 정류기(116)와 가압접촉된다. 상기 브러시(114)로부터 연결용 피그테일(pigtail)(118)이 인출되고, 상기 피그테일(118)의 인출단부는 전력공급을 위한 연결와이어와 연결된다.
커플러(coupler)(120)는 상기 모터본체(92)(전기자(108))의 회전샤프트(110)와 스윙매커니즘(94)의 웜기어(122)를 결합시킨다. 상기 하우징(96)의 하나의 베어링(124)은 웜기어(122)의 축방향 일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96)의 다른 베어링(126)은 웜기어(122)의 축방향 타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웜휠(128)은 웜기어(122) 축의 반경 일측에 배치되고, 웜기어(122)와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96)에 수용된다. 상기 웜휠(128)은 웜기어(122)의 축(회전샤프트(110))에 직교하는 휠샤프트(130)에 대하여 회전된다.
상기 웜휠(128)은 스윙부재로서 제공되는 섹터기어(sector gear)(132)와 결합된다. 상기 섹터기어(132)의 일단부는 휠샤프트(130)의 위치와 다른 위치(휠샤프트(130)의 위치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웜휠(128)에 제공되는 스핀들(spindle)(크랭크핀(crank pin))(134)에 의하여 웜휠(12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섹터기어(132)의 타단부에는 결합부로서 치부(cog portion)(136)가 형성된다. 상기 치부(136)는 후술할 클러치장치(10)의 입력디스크(28)와 연결(결합)된다.
상기 섹터기어(132)의 일측에는 그의 두께방향으로 유지레버(holding lever)(138)가 위치된다. 상기 유지레버(138)의 일단부는 섹터기어(132)의 치부(136)에서 중앙 스윙샤프트(swiing center shaft)(140)(치부(136)의 피치서클(pitch circle) 중앙에 제공된 스핀들)와 결합된다. 상기 유지레버(138)의 타단부는 하우징(9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샤프트(1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스윙샤프트(140)와 출력샤프트(12) 간의 거리(피치)는 출력샤프트(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섹터기어(132)와 입력디스크(28) 간의 결합을 유지하도록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웜휠(128)이 회전될 경우, 상기 섹터기어(132)의 각각의 스윙동작은 후술할 입력디스크(28)를 왕복 및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섹터기어(132)에 대향되는 측의 유지레버(138)에는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재(sliding member)(147)가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47)는 하우징(96)의 후방측을 폐쇄하는 커버(148)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유지부재(138)가 그의 두께방향(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출력샤프트(12)는 웜휠(128)에 대향되는 웜기어(122)의 일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웜휠(128)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섹터기어(132)는 웜기어(122)의 축에 교차되어(스윙위치의 상태) 위치된다. 상기 섹터기어(132)의 타단부 에 위치되는 치부(136)는 입력디스크(28)와 결합된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선단부(leading end portion)(도9 및 도10의 상부)는 원주부(columnar portion)(13)로서 제공되도록 원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출력샤프트(12)의 베이스단부(도9 및 도10의 하부)는 상대회전제한부(relative rotation restriction portion)(14)로서 제공되도록 대략 사각단면(원주방향으로 180°로 서로 대향하는 측에 형성된 한 쌍의 편평면 및 그 편평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곡선면을 갖는 "더블-D 단면 형태(double-D cross-sectional profile)")을 갖는다.
도5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96)에 고정된 베어링부재(50)는 출력샤프트(12)의 원주부(1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상대회전제한부(14)의 각 곡선면은 그의 선단부측(원주부(13))에서 복수개의 리지(ridge)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턴-구속부(turn-stop portion)(16)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단부의 팁부(tip)에는 탈락방지부(drop-prevention portion)(18)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직경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대경부(large diameter portion)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12)와 동축을 이루는 결합베이스(engaging base)(20)가 상기 상대회전 제한부(14)의 턴-구속부(16)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베이스(20)는 그의 중앙부에 지지홀(22)이 형성된 디스크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지홀은 출력샤프트(12)의 상대회전 제한부(14)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사각단면(더블-D 단면형태)을 갖는다. 상기 지지홀(22)은 턴-구속부(16)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베이스(20)는 항상 출력샤프트(12)와 일체로 회전된다(상기 결합베이스 (20)는 출력샤프트(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된다). 상기 결합베이스(20)는 그의 주연부에 반경방향(출력샤프트(12)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부(26)가 제공된다. 상기 스토퍼부(26)는 하우징(96)에 형성된 후술할 스토퍼돌기(142)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출력샤프트(12)와 결합베이스(20)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서로 고정되는 전술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출력샤프트(12) 및 결합베이스(20)는 냉간가공 등(출력샤프트와 일체로 대경부를 형성함)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입력디스크(28)는 출력샤프트(12)와 동축을 이루는 상대회전제한부(14)의 탈락방지부(18)에 고정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의 중앙부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 샤프트홀(30)을 제공한다. 상기 출력샤프트(12)의 탈락방지부(18)는 샤프트홀(30) 내로 삽입된다. 상기 탈락 방지부(18)의 단부에 부착되는 유지클립(retaining clip)(32)은 입력디스크(28)의 탈락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샤프트(12)는 입력디스크의 일측이 축방향(결합베이스(20)의 대향측)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기 입력디스크(2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디스크(28)는 분말합금(power alloy)을 성형금형에 넣고, 압축성형한 다음 가열 소결한 소위 "분말야금처리(powder metallurgy process)"에 의하여 형성된 소결금속(sintered metal)이다.
상기 입력디스크(28)의 축방향 일단부(결합베이스(20)의 대향측)는 그의 외주연에 기어치(gear cog)(34)를 구비한다. 상기 기어치(34)는 전술한 스윙매커니즘 (94)의 섹터기어(132)의 치부(cog portion)(136)와 치합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는 구동력이 섹터기어(132)로부터 입력될 경우 출력샤프트(12)에 대하여 회전한다.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디스크(28)는 기어치(34)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기어치(34)의 축방향 타단측(상기 결합베이스(20)측, 전술한 유지레버(138)에 대향하는 측)에 연결벽(joint wall)(35)을 구비한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벽(35) 및 유지레버(138)는 그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섹터기어(132)의 치부(136)를 개재시킨다(연결벽(35)은 두께방향으로 치부(136)의 일단면을 향하고, 상기 유지레버(138)는 두께방향으로 치부(136)의 타단면을 향하여, 상기 섹터기어(132)의 치부(136)가 두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벽(35)에 대하여 기어치(34)에 대향하는 측의 입력디스크(28)의 주연부는 출력샤프트(12)와 동축을 이루는 원주면(circumferential surface)(36)이다. 도5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주면(36)은 하우징(96)에 고정된 베어링부재(5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입력디스크(28)는 출력샤프트(12)와 동축을 이루는 그의 축방향 타단부에 디스크형태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형태의 플랜지부의 외주면(원주면(36))은 베어링부재(52)에 의하여 지지된다.
축방향 타단부측(결합베이스(20)측, 축방향으로의 출력디스크(12)의 선단부측) 입력디스크(28)의 일단면의 외주부에는 네 개의 결합돌기부(engaging projected portion)(3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부(37)는 결합베이스(20)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네 개의 결합돌기부(37)는 입력디스크(28)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그 입력디스크(28)의 원주방향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된다(결합돌기부(37)들 간의 간격은 주연방향으로 서로 다르다). 이들 결합돌기부(37)는 후술할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engaging recessed portion)(42)에 대응한다.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상대회전 제한부(14)는 전술한 결합베이스(20) 및 입력디스크(28) 사이의 출력샤프트(12)에 클러치디스크(38)를 동축으로 지지한다.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디스크형태로 형성되고, 그의 중앙부에 샤프트홀(40)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홀(40)은 상대회전 제한부(14)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으로 사각 단면(더블-D 단면 형태)을 갖는다. 상기 출력샤프트(12)(상대회전 제한부(14))는 샤프트홀(40)로 삽입되어,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타단측(후술할 코일스프링(44)측, 결합베이스(2)측)에 배치되고, 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지 않게 출력샤프트(12)에 지지되며, 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출력샤프트(12)와 항상 일체로 회전하고,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전술한 "분말야금처리"에 의하여 제조되고, 윤활유가 함유되는 소결금속이다.
상기 클러치디스크(38)의 후면(입력디스크(28)측 면,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의 베이스 단부측)의 외주연부에는 오목홈 형성방식(depressed manner)(홈형성 방식)으로 네 개의 결합홈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42)는 전술한 입력디스크(28)의 네 개의 결합돌기부(37)에 대응한다. 상기 결합홈부(42)는 클러치디스크(38)의 원주방향으로 불규칙한 간격으로 상기 클러치디스크(38)에 동축으로 배 치된다(결합홈부(42) 사이의 간격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르다).
상기 네 개의 결합홈부(42)는 상기 입력디스크(28)의 네 개의 결합돌기부(37)를 각각 수용한다(즉,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입력디스크(38)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가 통상의 사용상태로 회전할 경우(회전상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토크는 클러치디스크(38)로 전달되어 상기 클러치디스크(38)를 일체로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는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의 원주방향으로 각각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된다(상기 결합돌기부(37) 간의 간격 및 상기 결합홈부(42)간의 간격은 서로 다르도록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러치디스크(38)(출력샤프트(12) 및 와이퍼) 및 입력디스크(28)는 그들이 원주방향으로 특정의 상대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만 서로 결합된다. 전술한 특정의 상대 위치 이외의 다른 위치에서는, 하나의 결합돌기부(37)가 임의의 하나의 결합홈부(42)와 정렬되더라도, 나머지 다른 세 개의 결합돌기부(37)는 결합홈부(42)와 정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부(37)가 결합홈부(42)에서 빠져나올 경우, 상기 클러치디스크(38)의 적어도 세 개의 결합돌기부(37)는 입력디스크(38)와 접촉하게 된다(클러치디스크(38)는 세 지점에서 지지된다).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 및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원주방향으로의 가장자리(edge)(측벽부)가 각 부재의 축(CL)(출력샤프트(12)의 축)과 교차하는 반경방향 라인(K)과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된다(원주방향으로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형태(즉, 팬과 같은 형태(fan-like fashion)로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간의 접촉부에서, 반경방향 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면압력(surface pressure)이 균일하게 된다(슬라이딩 동작으로 인한 헤르츠(Hertz) 접촉면 압력은 감소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 및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그의 단면형태가 실질적으로 각각 사다리꼴(trapezoidal)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각 결합돌기부(37)는 사다리꼴 단면형태의 좌우측에 트레일링면(trailing surface)(51)을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디스크(38)의 각 결합홈부(42)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의 좌우측에 곡선제어면(curved control surface)(53)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부(37)의 각 트레일링면(51)은 클러치디스크(38)(출력샤프트(12)에의 축에 대하여 특정각 θ(소위 클러치 동작토크를 위하여 요구되는 작동가능 각도,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54.5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13은 결합돌기부(37) 및 결합홈부(42)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결합홈부(42)의 각 곡선제어면(53)은 입력디스크(28)(출력샤프트(12))의 원주방향으로 선접촉(line contact)(도13에 나타낸 축단면도에서는 접촉점(S)에서 점접촉)으로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과 결합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즉, 트레일링면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간의 분리방향(도13에서 화살표 UP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트레일링면(51)과의 접촉위치에서 회전전달방향(도13에 활살표 R로 나타냄)으로 면 압력(surface pressure)(도13에 실 선화살표 F로 나타냄)의 분력(도13에서 실선 Fb로 나타냄)이 감소되도록 점차 변화되는 곡률을 갖는 곡선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곡선제어면(53)은, 트레일링면(51)과의 접촉위치에서 접선(도13은 예로서 세 개의 접선(S1 내지 S3)를 나타냄), 및 출력샤프트(12)의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도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간의 분리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만곡제어면(53)은 곡률이 점차 변화되는 곡선면이며, 그의 곡률(점진 변화도)은 후술할 코일스프링(44)의 압축스트로크(compression stroke)가 증가하는 경우라도 동작토크가 거의 변화하지 않도록(즉 대략 일정한 플랫토크(flat torque)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출력샤프트(12)가 록킹된 상태에서 입력디스크(28)가 회전할 경우 입력디스크(28)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로의 회전전달력, 또는 외력이 출력샤프트(12)(클러치디스크(38))를 회전시킬 경우 클러치디스크(38)로부터 입력디스크(28)로의 회전전달력과 같이,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상기 트레일링면(51)과 곡선제어면(53)을 전술한 축방향으로 앞서 언급한 회전구동력의 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코일스프링(44)을 압축하는 방향으로의 결합베이스(20)측)으로의 이동력은 클러치디스크(38)에 제공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 및 클러치디스크(38)는 이들 중 곡선제어면(53)을 갖는 하나(구체적으로 결합홈부(42)가 제공된 클러치디스크(38))가 트레일링면(51)을 갖는 다른 하나(구체적으로 결합돌기부(37)를 갖는 입력디스크(28)보다 경도 (hardness)면에서 크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갖는 구성요소의 마모는 트레일링면(51)을 갖는 다른 구성요소의 마모보다 작다(곡선제어면(53)을 갖는 구성요소의 마모 진행이 트레일링면(51)을 갖는 다른 구성요소의 마모진행보다 느리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부(42)의 곡선제어면(53)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마모되더라도, 상기 곡선면의 형태는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은 특정 경사각 θ의 경사로 유지된다(경사각 θ는 마모에 의한 변화가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갖는 구성요소는 전술한 선접촉이 이루어져 트레일링면(51)을 갖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트레일링면(51)을 갖는 결합돌기부(37)(입력디스크(28))의 경도는 HMV607(비커스(Vicker) 경도: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계에 의한 실제측정값)이고,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갖는 결합홈부(42)(클러치디스크(38))의 경도는 HMV648(비커스 경도: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계에 의한 실제측정값)이다. 그러므로 상기 경도차이는 높은 경도를 갖는 부재의 5% 내지 10%의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디스크(38)의 결합돌기부(37)가 트레일링면(51)을 제공하고,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가 곡선제어면(53)을 제공하는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구성은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가 곡선제어면(53)을 제공하고,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가 트레일링면(51)을 제공하는 반대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유사하게, 곡선제어면(53)을 갖는 구성요소(즉, 결합돌기부(37)가 제공된 입력디스크(28)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한 다른 구성요소(즉, 결합돌기부(42)가 제공된 클러치디스크(38)보다 경도면에서 크 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디스크(38)와 결합베이스(20) 사이에는 탄성부재로서 제공되며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출력샤프트(12) 주위로 감기는 코일스프링(44)이 배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4)은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의 결합상태로부터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 타측(코일스프링(44) 측)으로 클러치디스크(28)의 축이동에 대하여 특정한 저항력(클러치디스크(38)의 축이동으로 인하여 탄성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는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로 안내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4)은 통상 사용상태 하에서 이러한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력디스크(38)의 결합돌기부37)는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에서 빠져 나오려고 하고,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코일스프링(44)을 압축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경우, 가압력(복원력)은 이에 대하여 작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는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로 각각 결합되어, 토크는 입력디스크(38)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로 전달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함홈부(42)로부터 빠져 나오는 경우라도(상기 클러치디스크(38)가 결합베이스(20)측으로 이동되는 경우라도), 상기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복원력)은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후방면 사이에서 특정 마찰력을 발생한다. 상기 가압력 등은 입력디스크(38)와 클러치디스크(38)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기 전의 소정 시간 동안, 출력샤프트(12)에 대한 토크의 피크값(peak value)은 7N·m 내지 20N·m의 범위 내가 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44)이 통상의 사용 상태하(클러치디스크(38)가 결합베이스(20)측으로 이동하려 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베이스(20)와 클러치디스크(38) 사이에 미는 힘(pushing force)을 제공하거나, 클러치디스크(38)가 결합위치로부터 결합베이스(20) 측으로 이동하는 작용(결합돌기부(37)가 결합홈부(42)로부터 빠져나오려 하는 상태)에 대해서만 상기 코일스프링(44)은 가압력(복원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4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96)은 전술한 결합베이스(20)의 스토퍼부(26)와 대응하는 스토퍼돌기(stopper projection)(142)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돌기(142)는 아크형태(arc shape)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부(26)의 회전궤도(rotational trajectory)에 위치된다. 상기 스토퍼돌기(142)의 원주방향으로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회전제한부(144, 146)로서 각각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26)가 회전제한부(144, 146)의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결합베이스(20)(출력샤프트(12))가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돌기(142)의 회전제한부(144, 146)는 상기 스토퍼부(26)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회전구동력은 클러치디스크(38)와 함께 결합베이스(20)(출력샤프트(12))를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스토퍼돌기(142)의 회전제한부 (144, 146)와 접촉하게 되는 스토퍼부(26)는 결합베이스(20)(출력샤프트(12))가 더 회전하는 것을 강제적으로 방지하여, 상기 입력디스크(28)를 상대회전(공회전(idle rotation)하도록 한다(도14 및 도15 참조).
상기 입력디스크(28)는 출력샤프트(12)를 왕복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출력샤프트(28)는 링크, 로드 등을 통해 와이퍼(미도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와이퍼는 출력샤프트(12)의 왕복 회전에 따라 왕복 스윙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와이퍼 모터(9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모터본체(92)(전기자(108))가 회전할 경우, 웜기어(122)는 모터본체(92)의 토크를 웜휠(128)로 전달하여 상기 웜휠(128)은 회전한다(본 실시예에서는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웜휠(128)의 회전은 그 웜휠(128)과 결합된 섹터기어(132)를 왕복 스윙시킨다. 상기 섹터기어(132)의 왕복 스윙 동작은 입력디스크(28)를 왕복 및 회전되게 회전시킨다(도4 내지 도7 참조).
통상의 사용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5 및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서로 결합된다(서로 끼워맞춰진다).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결합상태로부터 상기 클러치디스크(38)가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44)은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저항력을 작용한다.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출력샤프트(12)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가 왕복 회전 구동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37) 및 결합홈부(42)는 입력디스크(28)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출력샤프트(12)를 클러치디스크(38)와 함께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출력샤프트(12)와 결합된 와이퍼는 출력샤프트(12)의 왕복 회전에 따라 왕복 스윙된다.
상기 출력샤프트(12)에 와이퍼로부터 과도하게 큰 외력(부하) 작용은 출력샤프트(12)를 역회전시키거나 록킹시킨다. 그런 다음, 출력샤프트(12)와 일체로 회전하는 클러치디스크(38)에는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클러치디스크(38)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토크가 작용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 각각은 실질적으로 소위 사다리꼴 단면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하여,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간의 상대적인 토크는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을 따라 분력을 발생시킨다(결합베이스(20)를 향하여).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간의 상대적인 토크의 일부분은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클러치디스크(38)를 이동시키는 분력으로서 작용하여, 입력디스크(3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서로 분리된다. 상기 상대적인 토크(분력)가 특정 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상대적인 토크는 코일스프링(44)에 의하여 가해진 저항력을 넘어선다. 그런 다음 도8 및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강제 이동되어, 결합상태를 해제시킨다(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는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에서 빠져나와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러치디스크(38), 즉 입력샤프트(12)는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공회전한다(공회전이 이루어짐).
따라서 와이퍼 모터(90)에서, 클러치장치(10)의 공회전은 입력디스크(38) 및 수반되는 구동력 전달 부품( 섹터기어(132), 웜휠(128), 웜기어(122) 및 모터본체(92)와 같은 출력샤프트(12)와 전기자(108) 사이의 구성)에 작용하는 과대한 외력을 방지할 수 있다. 입력디스크(28)와 수반되는 구동력전달 부품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과대한 외력이 작용된다. 와이퍼가 그의 통상 정지위치에서 결빙되어 와이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상기 모터본체(92)가 시동되는 경우, 및 와이퍼에 적층된 눈이 통상의 정지위치에서 와이퍼를 록킹시킬 경우에, 모터본체(92)는 과대한 또는 갑작스런 부하를 출력샤프트(12)에 작용시킨다. 또한 과대한 외력은 와이퍼가 그의 동작 범위(일정한 와이핑 범위) 내에서의 동작에서도 와이퍼를 통해 출력샤프트(12)로 작용된다(예를 들면, 차량의 지붕에 적층된 눈이 유리창 면을 따라 와이퍼로 떨어지고, 와이핑 동작 중의 와이퍼가 하부반전위치(lower reversing position) 이외의 위치에 위치될 경우). 그러므로 클러치장치의 공회전은 입력디스크(28)와 구동력 전달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보호할 수 있고, 모터본체(92)가 과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디스크(28)와 수반되는 구성부품들의 강도는 입력디스크(38)와 클러치디스크(38) 사이의 회전전달력(클러치 분리력)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과대한 외력(부하)의 작용을 예상하여 입력디스크(38)와 수반되는 구성부품들이 설계할 필요는 없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저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 다.
클러치장치(10)의 공회전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출력샤프트(12)에 결합되는 종동부재(와이퍼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퍼 모터(90)의 클러치장치(10)에서, 스윙 매커니즘(94)(웜기어(122), 웜휠(128), 섹터기어(132))은 입력디스크(28)를 감속되게 왕복 회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출력샤프트(12)는 큰 토크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출력샤프트(12)와 결합된 와이퍼는 적합한 방식으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와이퍼 모터(90)는 와이퍼를 통해 출력샤프트(12)에 대하여 과대한 외력(부하)이 작용될 수 있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모터용으로 적합하다(차량의 지붕에 적설된 눈이 유리창 면을 따라 와이퍼암으로 실질적으로 직교되게 떨어지고, 과대한 외력이 와이퍼모터(90)에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차량의 예로서는 캡-커버 콕핏(cab-cover cockpit)을 갖는 트럭 및 건설기기장치들이다.
상기 입력디스크(28) 및 클러치디스크(38)가 서로 분리되어 클러치장치(10)에서의 회전전달을 중단할 경우, 즉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서로 분리될 경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의 상대변위 스트로크(relative displacement stroke)는 서로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점차 증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복원력)은 점차 증가한다. 그 결과 면 압력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사이의 결합부에서 증가된다. 또한 분리를 완료하기 위하여 과부하의 작용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동작토크는 점차 증가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에서, 결합돌기부 (37)와 결합홈부(42) 사이에서 분리방향으로 곡선제어면이 이동됨에 따라 트레일링면(51)을 갖는 접촉위치에서 회전전달방향(도13에서 화살표 R로 나타냄)으로 면 압력(도13에서 실선 화살표 F로 나타냄)의 분력(도13에서 화살표 Fb로 나타냄)은 감소되도록 곡선제어면(53)은 점차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면 압력(F)의 회전전달방향(R)으로의 분력(Fb)은 접촉위치(S)에서 점차 감소된다. 그 결과 과부하작용시점으로부터 완전 분리까지 기간 동안의 동작토크도 증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의 분리 부하(동작토크)는 안정화된다(설정값으로부터의 변화는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곡선제어면(53)(곡면)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상대변위 스토로크에서의 변화(가압력에서의 변화)를 부드럽게 감소시킨다.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대변위 스트로크의 변화 즉 가압력에서의 변화가 점착 변화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마모는 감소되고, 내구성은 향상된다.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에서, 결합면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출력샤프트(1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선접촉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는 곡선제어면(53)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력디스크(32)와 클러치디스크(38)의 클러치동작특성은 곡선제어면(53)의 곡선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곡선제어면(53)의 형태는 트레일링면(51)과 접촉하는 위치에서의 접선과 출력샤프트(12)의 축에 직교하는 면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분리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점차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상대변위 스트로크의 변화, 즉 가압력의 변화는 점차 감소되고, 마모 및 형태의 변화는 감소된다. 그 결과 시간에 따른 클러치 동작특성의 변화는 감소될 수 있다.
도18은 본 실시예의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18은 결합돌기부(200)와 결합홈부(20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8은 도13의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결합돌기부(200) 및 결합홈부(202)는 서로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단면도에서, 이들의 접촉면은 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들 접촉면은 출력샤프트(12)로부터 75°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19는 결합돌기부(200)와 결합홈부(202)의 동작토크특성을 나타낸 차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트는 과부하 작용시점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동안에 변위 스트로크에 대한 동작토크의 값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토크는 출력샤프트(12)에 와이퍼 암 및 블레이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출력샤프트(12)의 축으로부터 23cm의 위치에서 실제로 측정된 것이다.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돌기부(200)와 결합홈부(202)가 서로 분리될 경우, 이들의 상대변위 스트로크는 점차 증가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도 증가된다. 따라서 면 압력은 결합돌기부(200)와 결합홈부(202) 사이의 결합 영역에서 증가되고, 마찰력도 증가된다. 특히 스트로크 범위 A에서, 동작토크는 점차 증가된다(동작토크가 크게 변동됨). 즉 특히 스트로크 범위 A에서, 분리 부하(동작토크)는 불안정하다(설정값으로부터 변화가 크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면 압 력은 결합돌기부(200)와 결합홈부(202) 사이의 결합영역에서 증가된다. 따라서 마모가 증가되고, 내구성은 감소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곡선제어면(53)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보상하도록 점차 변화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면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그의 분리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면 압력(F)의 회전전달방향으로의 분력(Fb)은 트레일링면(51)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감소된다. 따라서 과부하 개시시점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동안 동작토크의 증가는 방지된다. 그 결과 플랫 토크특성을 이룰 수 있다.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16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동작토크특성을 나타낸 차트이다. 특히 상기 차트는 과부하 개시시점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동안 변위 스트로크에 대한 동작토크 값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은 비교예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행되었다.
도1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서로 분리될 경우, 이들의 상대변위 스트로크는 점차 증가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도 점차 증가한다. 그러나 곡선제어면(53)은 곡률이 점차 변화하는 곡선면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일스프링(44)의 가압력이 증가되는 경우라도, 면 압력(F)의 회전전달방향(R)으로의 분력(Fb)은 접촉부(S)에서 점차 감소된다. 그 결과 과부하의 작용시점으로부터 완전 분리 시간 동안에 동작토크의 증가는 방지된다(동작토크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특히 스트로크 범위 A에서, 분리 부하(동작토크)는 안정적이다(설정값으로부터의 변화는 거의 없 다).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의 상대변위 스트로크에서의 변화는 부드럽게 감소된다. 따라서 마모는 감소되고, 내구성은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하여 참조된 예시에서,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은 클러치디스크(38)(출력샤프트(12))의 축으로부터 54.4°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각 θ가 증가할 경우, 동작토크에서의 변화는 증가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각 θ는 클러치 동작토크에 필요한 작동각 범위 내로 가능한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에서, 출력샤프트(12)에 대한 토크의 피크값은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서로 분리되기 전의 시간 동안 7N·m 내지 20N·m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서로 분리되기 전의 시간 동안, 상기 출력샤프트(12)에 대한 토크가 7N·m 이하일 경우, 상기 클러치는 통상적인 와이핑 부하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트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와이핑 부하는 소위 반건조(semidry) 상태에서의 차량 유리창 면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토크가 20N·m보다 클 경우, 스윙 매커니즘과 같은 내부 구성부품들의 강도는 향상되어야만 한다. 이는 부재의 저비용화에 지장을 준다.
본 실시예의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에서, 토크는 적절한 범위 내로 설정되고, 전술한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퍼 모터(90)에서, 섹터기어(132)의 두께방향으로 일측에 제공된 유지레버(138)는 섹터기어(132)의 중앙샤프트(140)와 출력샤프트(12)를 서로 결합시 킨다. 그러므로 상기 섹터기어(132)의 중앙샤프트(140)와 출력샤프트(12) 간(그들 축 간의 피치)의 중심거리(축 사이의 피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132)의 치부(136)는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유지레버(138)와 두께방향 타측(클러치디스크(38)측)에 위치되는 입력디스크(28)의 결합벽(35) 사이에 두께방향으로 개재된다. 그러므로 기어치(136)와 치부(34)의 결합마진(engagement margin)은 섹터기어(132)의 두께방향 양측에 유지부재(유지레버) 없이, 섹터기어(132)의 두께방향으로 유지된다(두께방향으로 섹터기어의 분리는 방지된다). 그러므로 섹터기어(132)와 입력디스크(28) 사이에서 바람직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와이퍼모터(90)에서, 결합베이스(20)(대경부)는 복수개의 리지를 갖는 출력샤프트(12)의 턴-구속부(16)에 고정되고 그에 일체화된다. 특히 상기 결합베이스(20)는 출력샤프트(12)의 축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턴-구속부(16)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출력샤프트(12)의 탈락방지부(18)는 입력디스크(28)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상대회전 방지부(14)(특히, 결합베이스(20)와 입력디스크(28) 사이 부분)는 그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클러치디스크(38)을 지지한다. 즉 각 부품들은 결합베이스(20)와 입력디스크(28) 사이의 고정공간(설정 치수로)에 클러치디스크(38)와 코일스프링(44)를 배치하도록 출력샤프트(12)에 대하여 조립된다. 그러므로 클러치디스크(38)의 축이동에 필요한 힘(클러치 분리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모터(90)는 코일스프링(44)으로서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스프링특성은 안정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탄성부재 대신에 고무부재가 사용 될 경우, 상기 클러치장치(10)로 공급되는 그리스(grease) 등이 부착되어 고무부재를 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44)은 부착되는 그리스 등으로 인하여 노화의 우려가 없고, 따라서 스프링특성은 안정적이다.
또한 코일스프링(44)은 출력샤프트(12)로 감기고, 클러치디스크(38)와 출력샤프트(12)의 반경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고,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한 결합베이스(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코일스프링(44)은 입력디스크(38)에 대하여 클러치디스크(38)를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사이의 결합영역에서 코일스프링(44)의 탄성력을 균일하게 분배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사이의 결합은 안정적으로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사이(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사이)의 회전전달력의 값도 안정적으로 된다. 따라서 클러치 분리력의 값은 보다 바람직하게 설정될 수 있어 와이퍼 모터(90)의 구성부품들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모터(90)에서, 상기 출력샤프트(12)에 지지되는 입력디스크(28)의 외주부는 결합벽(25)에 대하여 기어치(34)에 대향하는 측의 원주면으로서 제공된다. 하우징(96)에 고정되는 베어링부재(52)는 상기 원주면(36)을 회전가능하게 유지(지지)한다. 즉 상기 하우징(96)의 베어링부재(52)는 섹터기어(132)가 부하를 입력하는 입력디스크(28)를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지지 견고성은 증가된다. 이와 같이 증가된 지지 견고성은 입력디스크(28)와 섹터기어(132)의 결합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96)(베어링부재(52))는 입력 디스크(28)를 통해 출력샤프트(12)의 베이스 단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96)에서 출력샤프트(12)의 베이스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특정공간(입력디스크(38)의 설치공간은 출력샤프트(12)의 베이스 단부에 대한 지지공간으로 제공됨)을 제거하고, 상기 출력샤프트(12)의 베이스 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재(52)와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축방향으로 상기 출력샤프트(1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재(50) 사이의 공간을 길게 확보한다. 따라서 하우징(96)에 대한 출력샤프트(12)의 지지 견고성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모터(90)에서,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28) 모두는 분말합금을 성형한 소결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들 부재는 분말야금가공에 의하여 높은 정확도로 제조될 수 있고, 이들 부재의 재료수율(material yield)이 좋다.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는 윤활유를 함유한 소결금속으로 리우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 간의 결합부(결합돌기부(37), 결합홈부(42) 등)는 자기윤활성(self-lubricating property)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섹터기어(132)의 치부(136)와 결합되는 입력디스크(28)의 기어치(34) 및 상기 입력디스크(2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재(52)도 자기윤활성을 갖고 제공된다.
상기 와이퍼모터(90)에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입력디스크(28)의 원주방향 및 클러치디스크(38)의 원주방향으로 각각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형성된다(결합돌기부(37) 사이의 간격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다르고, 상기 결합홈부(42) 사이의 간격도 원주방향으로 서 로 다르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부(37)가 결합홈부(42)로부터 빠져 나온 분리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디스크(38)는 입력디스크(38)의 적어도 세 개의 결합돌기부(37)와 결합된다(클러치디스크(38)는 세 지점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러치디스크(38)와 입력디스크(28) 사이의 결합상태는 클러치 분리 상태에서도 안정화된다.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출력샤프트(12)와 와이퍼)는 원주방향으로 특정 상대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돌기(37)가 결합홈부(42)에서 빠져 나온 클러치 분리상태에서(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가 특정 상대위치 이외의 임의의 상대위치에 위치됨),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는 조작자의 수동 스윙동작에 의하여 특정 위치에서만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디스크(38)(출력샤프트(12) 및 와이퍼)는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그의 원래의 설정상태(초기 설정상태)로 쉽고 신속하게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장치는 손상없이 재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클러치장치(10)에서,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그들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될 경우, 또는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가 서로 분리되려 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사이(트레일링면(51)과 곡선제어면(53) 사이)의 접촉부에 회전력이 작용한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부(37)의 원주방향으로의 양 가장자리 또는 결합홈부(42)의 원주방향으로의 양 가장자리가 서로 평행할 경우, 면 압력은 가장자리의 반경방향 외부보다 반경방향 내부에서 커지고, 이는 편마모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클러치장치(10)에서, 상기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원주방향으로의 가장자리(측벽부)는 각 부재의 축(출력샤프트(12)의 축)과 교차하는 반경방향 라인과 일치하도록(팬형태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사이의 접촉부에서, 면 압력은 반경방향 내부로부터 반경방향 외부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슬라이딩으로 인한 헤르츠 접촉면 압력은 감소됨). 따라서 상기 접촉부는 편마모를 방지하며, 내마모성은 향상된다.
또한 와이퍼모터(9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디스크(28)로부터 클러치디스크(10)의 출력샤프트(12)로의 회전구동력 전달에 있어, 코일스프링(44)의 저항력은 통상의 사용상태(회전상태)에서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 사이의 결합만을 유지하도록 전술한 결합상태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의 축이동에 대하여 작용한다. 이 때 저항력은 슬라이딩 마찰에 의하여 소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회전전달효율의 저하는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력은 부재의 슬라이딩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달될 수 있어 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발생하는 이상소음은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44)의 저항력은 결합상태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의 축이동에 대하여 작용되어,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간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상기 저항력은 출력샤프트(12)에서 벗어나지 않고 출력샤프트(12)에 고정되는 결합베이스(20) 및 축방향으로의 일측에서 출력샤프트(12)에 지지 되는 입력디스크(28)에 의하여 제공받는다. 즉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힘은 출력샤프트(12)에 고정되는 두 구성요소(결합베이스(20)와 입력디스크(28))에 의하여 제공받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는 하우징(96)과 같은 다른 구성품들과 함께 완성되지 구성이 아니라, 출력샤프트(12)의 서브조립체(subassembly)로서 완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클러치장치(10)는 하나의 구성품, 즉 "출력샤프트(12) 서브조립체"로서 취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모터(90)의 클러치장치(10)는 입력디스크(28)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로 전달하도록 입력디스크(28)의 결합돌기부(37)가 클러치디스크(38)의 결합홈부(42)에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디스크(28)로부터 클러치디스크(38)로 구동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상기 각 부품들과 입력디스크(28)와 연결된 구동력 전달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대한 외력(부하) 작용은 각 부품들의 강도를 설계시에 고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클러치동작을 위한 설정 부하에서의 변동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과대한 외력(부하)는 와이퍼를 통해 입력샤프트(12)에 가해질 수 있고, 클러치디스크(38) 또는 출력샤프트(12)는 입력디스크(28)에 대하여 공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는 소결금속재료로 이루어져,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 구성요소(구체적으로, 결합홈부(42)를 구비한 클러치디스크(38)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한 다른 구성요소(구체적으로, 결합돌기부(37)를 구비한 입력디스크(28) 보다 경도면에서 크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트레일링면(51)과 곡선제어면(53))이 반복적으로 서로 결합되고 분리될 경우,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 하나의 구성요소에서의 마모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한 다른 구성요소에서의 마모보다 작다(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 하나의 구성요소는 트레일링면(51)을 구비한 다른 구성요소 보다 마모면에서 천천히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에 대하여, 상기 곡선제어면(53)을 구비한 결합홈부(42)의 형태는 그의 최초 형태에서의 변화가 작다. 즉 경도면에서 큰 곡선제어면(53)의 곡면 형태는 유지되어, 전술한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과의 선접촉 결합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곡선제어면(53)의 곡면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유지되어, 상기 곡선제어면(53)과의 선접촉에서의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은 마모가 작게 이루어지는 곡선제어면(53)의 형태를 따르도록 제어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돌기부(37)와 결합홈부(42)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도록 전술한 분력에 대하여 필요로 되는 부하는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러치동작(클러치동작토크)에 대한 설정부하에서의 변동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결합돌기부(37)의 트레일링면(51)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 θ 은 클러치동작토크에 필요로 되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한 작게 설정되어, 설정값으로부터 클러치동작토크에서의 변화는 장기간 안정화될 수 있다(클러치동작토크에서의 분산(dispersion)은 감소된다)
상기 곡선제어면(53)은 사다리꼴 결합홈부(42)의 좌우측(회전 원주방향으로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곡선제어면(53)의 전술한 작용 및 작용효과는 출력샤프 트(12)의 통상 회전 또는 역회전 상태 모두에서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모터(90)(클러치장치(10))는 입력디스크(28)와 출력디스크(38)의 분리 부하(동작토크)를 안정화시키는(설정값으로부터 변동을 감소시키는)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어, 마모를 감소시키고 내구서을 향상시킨다. 상기 와이퍼모터(90)는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가 두 디스크를 마모시키는 경우라도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의 분리 부하를 안정화시킨다(설정값으로부터의 변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클러치장치(10)를 구성하는 입력디스크(28)와 클러치디스크(38)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는 입력디스크(28)에 결합돌기부(37)가 제공되고, 클러치디스크(38)에 결합홈부(42)가 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입력디스크(28)에 결합홈부(42)가 제공되고, 클러치디스크(38)에 결합돌기부(37)가 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장치 및 그 클러치장치를 구비한 모터장치는, 입력디스크로부터 클러치디스크의 해제 부하(작동 토크)를 안 정화시키는, 즉 설정값으로부터 해제 부하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마모를 감소시키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샤프트;
    회전구동력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입력디스크를 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클러치디스크;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려 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저항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축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트레일링면과 선접촉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을 향하는 곡선제어면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일링면 및 곡선제어면은 축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의 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상기 곡선제어면을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는 구성요소 보다 경도가 큰
    클러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부를 제공하며;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를 제공하는
    클러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주위로 서로 향하는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의 면에 상기 출력샤프트의 주연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결합돌기부와 복수개의 결합홈부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부와 결합홈부의 주연방향으로의 각 가장자리는 상기 축과 교차하는 임의의 반경방향 라인과 일치하는
    클러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분리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력의 전달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과의 접촉라인에서 면 압력의 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차 감소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클러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분리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경우, 상기 트레일링면과 접촉라인에서의 접선과, 상기 접촉라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차 감소되는 곡률을 구비하는
    클러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는 소결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금속은 윤활유를 함유하는
    클러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방향으로의 상기 클러치디스크 측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원주면; 및
    축방향으로 상기 클러치디스크로부터 대향측의 외주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치
    를 포함하는 클러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샤프트는 증가된 직경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한 대경부를 제공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축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의 주위로 감기고, 상기 클러치디스크와 상기 대경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입력디스크에 감속 전달하는 감속장치
    를 포함하는 모터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샤프트에 제공되는 웜기어, 상기 회전샤프트에 직교하는 휠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상기 웜기어와 결합되고 그 웜기어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웜휠, 및 일단부는 상기 휠샤프트에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웜휠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웜휠의 회전을 입력디스크의 왕복 회전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는 스윙부재를 구비하는 동작전달매커니즘
    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샤프트는 와이퍼를 왕복되게 구동하도록 상기 와이퍼 와 결합되는
    모터장치.
  12.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샤프트;
    회전구동력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입력디스크를 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클러치디스크;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려 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저항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축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트레일링면과 선접촉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을 향하는 곡선제어면을 구비하고,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분리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력의 전달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과의 접촉라인에서 면 압력의 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차 감소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클러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부를 제공하며;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결합돌기부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를 제공하는
    클러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분리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경우, 상기 트레일링면과 접촉라인에서의 접선과, 상기 접촉라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하여 형성된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차 감소되는 곡률을 구비하는
    클러치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는 소결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금속은 윤활유를 함유하는
    클러치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디스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방향으로의 상기 클러치디스크 측의 외주부에 구비되는 원주면; 및
    축방향으로 상기 클러치디스크로부터 대향측의 외주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력이 입력되는 기어치
    를 포함하는 클러치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샤프트는 증가된 직경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한 대경부를 제공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축방향으로 압축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의 주위로 감기고, 상기 클러치디스크와 상기 대경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회전구동력을 상기 입력디스크에 감속 전달하는 감속장치
    를 포함하는 모터장치.
  20.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장치;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디스크를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의 회전샤프트에 제공되는 웜기어, 상기 회전샤프트에 직교하 는 휠샤프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상기 웜기어와 결합되고 그 웜기어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웜휠, 및 일단부는 상기 휠샤프트에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웜휠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웜휠의 회전을 입력디스크의 왕복 회전으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는 스윙부재를 구비하는 동작전달매커니즘
    을 포함하며,
    상기 클러치장치의 입력샤프트는 와이퍼를 왕복되게 구동하도록 상기 와이퍼와 결합되는
    모터장치.
  21.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샤프트;
    회전구동력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출력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출력샤프트로부터 탈락방지되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입력디스크를 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클러치디스크;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려 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저항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축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트레일링면과 선접촉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을 향하는 곡선제어면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일링면 및 곡선제어면은 축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의 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상기 곡선제어면을 구비하는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는 구성요소 보다 경도가 큰
    클러치장치.
  22.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샤프트;
    회전구동력의 입력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그 출력샤프트에 지지되고, 상기 출력샤프트로부터 탈락방지되는 입력디스크;
    상기 입력디스크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축방향으로 상기 입력디스크를 향하고, 상기 출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출력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상기 출력샤프트에 지지되는 클러치디스크;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입력디스크와 결합되려 할 때, 상기 클러치디스크에 저항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하나의 구성요소는 축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트레일링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 중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트레일링면과 선접촉되도록 상기 출력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을 향하는 곡선제어면을 구비하고,
    상기 곡선제어면은 상기 입력디스크와 클러치디스크가 서로 분리되도록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력의 전달방향으로 상기 트레일링면과의 접촉라인에서 면 압력의 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점차 감소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클러치장치.
KR1020050109260A 2004-11-16 2005-11-15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 KR101288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1682 2004-11-16
JPJP-P-2004-00331682 2004-11-16
JPJP-P-2005-00133372 2005-04-28
JPJP-P-2005-00133373 2005-04-28
JP2005133373A JP4369393B2 (ja) 2005-04-28 2005-04-28 クラッチ装置、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JP2005133372A JP4598592B2 (ja) 2004-11-16 2005-04-28 クラッチ装置、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65A true KR20060055365A (ko) 2006-05-23
KR101288112B1 KR101288112B1 (ko) 2013-07-23

Family

ID=3573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260A KR101288112B1 (ko) 2004-11-16 2005-11-15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9275B2 (ko)
EP (1) EP1657129B1 (ko)
KR (1) KR101288112B1 (ko)
CN (1) CN1796812B (ko)
DE (1) DE60200502422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9597B2 (ja) 2003-11-07 2009-08-2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US7685670B2 (en) * 2003-11-07 2010-03-30 Asmo Co., Ltd. Motor apparatus and wiper motor apparatus
JP4408410B2 (ja) * 2004-11-26 2010-02-0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装置
JP4926536B2 (ja) * 2006-05-09 2012-05-0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装置
DE102006042322A1 (de) * 2006-09-08 2008-03-27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anlage mit einem Scheibenwischerantrieb, insbesondere für einen Heckscheibenwischer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modular austauschbaren Getriebeanordnung
DE102006054753A1 (de) * 2006-11-21 2008-05-29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 Antriebsvorrichtung zum Einsatz in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8001828A1 (de) * 2007-05-18 2008-12-18 Asmo Co., Ltd., Kosai-shi Motoreinrichtung und Wischervorrichtung
US20140000118A1 (en) * 2007-09-20 2014-01-02 Crain Cutter Company, Inc. Yieldable drive mechanism for a toe-kick saw
DE102010030961B4 (de) * 2010-07-06 2018-05-0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CN102403831B (zh) * 2010-09-06 2015-04-0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电动机致动器
CA2940832C (en) 2013-06-19 2022-06-21 Magna International Inc. Sealed actuator with internal clutching
JP6536015B2 (ja) * 2014-11-1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ョイント構造、クラッチ及びモータ
JP6369988B2 (ja) * 2015-01-23 2018-08-08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ミラー
CN106813051B (zh) * 2015-12-01 2020-02-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自调平地脚的电器及调平方法
EP3372796A4 (en) * 2016-02-10 2018-12-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Compressor Corporation Turning device
WO2018124270A1 (ja) * 2016-12-29 2018-07-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クラッチ駆動装置及び車両
ES2924135T3 (es) 2016-12-29 2022-10-04 Yamaha Motor Co Ltd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embrague y vehículo
CA3047713C (en) 2016-12-29 2020-12-2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Clutch unit and vehicle
CN107554484A (zh) * 2017-08-31 2018-01-09 顾海昌 一种基于双向超越离合器控制的汽车雨刷
JP6839110B2 (ja) * 2018-01-29 2021-03-03 酒井重工業株式会社 締固め機
CN110792761A (zh) * 2019-11-12 2020-02-14 人水有限公司 整合式离合传动装置
KR20240021425A (ko) 2022-08-10 2024-02-19 박상진 유압식 구동력 단속 장치
KR20240029193A (ko) 2022-08-26 2024-03-05 주식회사 하누리 복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1136A (en) * 1945-07-04 1951-07-17 Case Co J I Overload release coupling
US3777591A (en) * 1971-03-15 1973-12-11 Lowell Corp Rotation limiting device
JPS49108469A (ko) * 1973-02-19 1974-10-15
JPS5038876A (ko) * 1973-08-10 1975-04-10
US3934688A (en) * 1974-09-11 1976-01-27 The Black And Decker Manufacturing Company Shifter mechanism
JPH0452490Y2 (ko) * 1988-06-08 1992-12-10
JP2505881Y2 (ja) 1988-07-27 1996-08-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用の噛合いクラッチ
DE4007483C2 (de) 1989-03-21 1997-02-20 Moenninghoff Gmbh & Co Kg Masc Überlastkupplung
JPH0468475U (ko) * 1990-10-26 1992-06-17
JP2575365Y2 (ja) * 1992-01-23 1998-06-25 市光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機構
US5690577A (en) * 1994-07-25 1997-11-25 Ims Morat Sohne Gmbh Gear Mechanism
US5694812A (en) * 1995-04-28 1997-12-0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ulti-functional apparatus employing an electromagnetic device and an intermittent motion mechanism
JPH09118202A (ja) 1995-10-25 1997-05-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ワイパモータ
JPH09166155A (ja) 1995-12-14 1997-06-24 Aisan Ind Co Ltd クラッチ装置及びそのクラッチ装置を用いた定速走行装置
JP3180018B2 (ja) * 1996-02-16 2001-06-2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
JP3607400B2 (ja) * 1996-02-19 2005-01-0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
KR100288607B1 (ko) * 1997-09-30 2001-05-02 모치마루 마모루 차량미러용와이퍼
US6026536A (en) * 1997-10-09 2000-02-22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Range limiting dual direction slip clutch
US5907885A (en) * 1997-10-09 1999-06-01 Ut Automotive Dearborn, Inc.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use in an automotive vehicle employing multiple tracks
JP2002250881A (ja) 2001-02-26 2002-09-06 Minolta Co Ltd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19597B2 (ja) * 2003-11-07 2009-08-2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US7685670B2 (en) * 2003-11-07 2010-03-30 Asmo Co., Ltd. Motor apparatus and wiper motor apparatus
JP4408410B2 (ja) * 2004-11-26 2010-02-0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6812B (zh) 2011-01-26
DE602005024223D1 (de) 2010-12-02
EP1657129A3 (en) 2007-05-30
US20060101603A1 (en) 2006-05-18
KR101288112B1 (ko) 2013-07-23
CN1796812A (zh) 2006-07-05
EP1657129B1 (en) 2010-10-20
US7669275B2 (en) 2010-03-02
EP1657129A2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112B1 (ko) 클러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터장치
JP4926536B2 (ja)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装置
JP4598592B2 (ja) クラッチ装置、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US7673366B2 (en) Motor apparatus
US7568257B2 (en) Clutch device, motor apparatus and wiper system
US7685670B2 (en) Motor apparatus and wiper motor apparatus
EP2700473B1 (en) Grinding tool with eccentric rotation shaft
JP2001343024A (ja) 動力伝達機構
JP4369393B2 (ja) クラッチ装置、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JP2001280363A (ja) 動力伝達機構
JP4303658B2 (ja) 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KR101056175B1 (ko) 출력샤프트 조립체, 모터장치 및 와이퍼 모터장치
JP6848786B2 (ja) クラッチ装置、モータ装置、及び、ワイパモータ
EP1529702B1 (en) Clutch device, motor apparatus and wiper system
JP4369324B2 (ja) ワイパモータ
JP4038948B2 (ja) 動力伝達装置
CN114321225A (zh) 一种制动装置、动力总成以及设备
CN115217702A (zh) 一种发动机起动机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