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308A -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308A
KR20060055308A KR1020050084443A KR20050084443A KR20060055308A KR 20060055308 A KR20060055308 A KR 20060055308A KR 1020050084443 A KR1020050084443 A KR 1020050084443A KR 20050084443 A KR20050084443 A KR 20050084443A KR 20060055308 A KR20060055308 A KR 2006005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bus bar
fixed
battery module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925B1 (ko
Inventor
다께또시 요시까네
싱고 오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01R31/085Short circuiting bus-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저렴하게 다량 생산한다.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를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연결한다.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를 안정적으로 저저항인 상태로 접속한다.
전원 장치는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부(31)를 향해 돌출하고 있는 내통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내통부(34)의 내면에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고 있고, 이 암형 나사(34A)를 향해 버스 바아(40)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가 삽입되어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고 있다.
버스 바아, 접속 단자, 고정 플레이트부, 외통부, 단부면 플레이트부, 내통부

Description

전원 장치{POWER SUPPLY}
도1은 종래의 전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접속 단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전원 장치의 버스 바아와 고정 나사를 분해한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한 전원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종단면도.
도7은 전지 모듈의 전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전지 모듈의 접속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9는 도8에 도시한 접속체의 A-A선 단면도.
도10은 전지 모듈의 제1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전지 모듈의 제1 전극에 접속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2는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3은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에 접속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4는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의 사시도.
도15는 도14에 도시한 접속 단자의 바닥면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전지 모듈의 제1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8은 도16에 도시한 접속 단자의 분해 사시도.
도19는 접속 단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0은 접속 단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전지 모듈의 제1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도21에 도시한 전지 모듈의 제1 전극에 접속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4는 도23에 도시한 전지 모듈의 제2 전극에 접속 단자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보유 지지부
16 : 주위벽
17 : 끼움 부착부
19 : 가스킷
20 : 전지 모듈
21 : 전지
22 : 볼록부 전극
23 : 밀봉판
24 : 코오킹 볼록조
25 : 외장관
26 : 접속체
27 : 용접 볼록부
28 : 중심 구멍
29 : 보유 지지 캡
30 : 접속 단자
31 : 고정 플레이트부
31A : 링 플레이트
31B : 돌출 부재
32 : 외통부
32A : 평면
33 : 단부면 플레이트부
33A : 관통 구멍
34 : 내통부
34A : 암형 나사
35 : 나사 통부
35A : 수형 나사
36 : 볼록부
37 : 오목부
38 : 센터 오목부
39 : 센터 볼록부
40 : 버스 바아
41 : 관통 구멍
45 : 고정 나사
46 : 너트
47 : 너트
47A : 압입 돌출부
50 : 절연 캡
51 : 통부
52 : 절연 링
53 : 관통 구멍
54 : 링 볼록조
70 : 케이스
71 : 전지 모듈
72 : 접속 단자
73 : 버스 바아
74 : 단부 플레이트
75 : 고정 나사
76 : 너트
81 : 전지
81A : 단부면
82 : 접속 단자
82A : 단부면 플레이트부
82B : 절곡 부재
82C : 관통 구멍
83 : 버스 바아
84 : 암형 나사
85 : 고정 나사
[문헌 1] JP H8-287898 A
본 발명은, 주로 하이브리드카, 연료 전지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전동 차량에 탑재되는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인 복수의 소전지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로 하고, 또한 복수의 전지 모듈을 접속하고 있는 전원 장치는 전동 차량과 같이 큰 출력이 요구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원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70)에 전지 모듈(71)을 수납하고 있다. 케이스(70)에 수납하는 전지 모듈(71)은, 양단부에 나사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72)를 고정하고 있다. 전지 모듈(71)은 접속 단자(72)에 버스 바아(73)를 고정하고, 버스 바아(73)로 직렬로 접속된다. 케이스(70)는 버스 바아(73)를 내장하는 단부 플레이트(74)를 측부에 마련하고 있다. 단부 플레이트(74)는 플라스틱인 성형품이고, 버스 바아(73)를 삽입하여 절연 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전원 장치는, 단부 플레이트(74)의 버스 바아(73)에 고정 나사(75)와 너트(76)를 삽입하고, 버스 바아(73)를 전지 모듈(71)의 접속 단자(72)에 접속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접속 단자는 제조 비용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이 큰 결점이 있다. 복수의 전지 모듈을 직렬로 접속하고, 게다가 대전류로 충방전하는 전원 장치는 접속 단자의 전기 저항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 저항이 줄 열로서 소비하는 전력에 의한 손실이 매우 커지기 때문이 다. 접속 단자의 전기 저항이 커지는 것은 금속 플레이트에 너트나 나사 등을 용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속 플레이트와 너트 등은 스폿 용접하여 접속된다. 스폿 용접은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나 너트 등에 비교하면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이 커진다.
너트나 나사를 용접하지 않고, 1매의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제작된 접속 단자는 개발되어 있다(문헌 1 참조).
본 공보에 기재되는 접속 단자를 도2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한다. 이 접속 단자(82)는 사각형의 단부면 플레이트부(82A)의 사방에 4개의 절곡 부재(82B)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금속판을 절단하고 있다. 절곡 부재(82B)는 단부면 플레이트부(82A)에 대해 수직으로 절곡되고, 또한 하단부를 전지(81)의 단부면(81A)과 평행하게 절곡하여 단부면(81A)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접속 단자(82)는 1매의 금속판을 절단하고, 절곡 가공하여 저렴하게 다량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버스 바아(83)를 전지(81)에 연결하는 연결 강도가 약해지는 결점이 있다. 그것은, 이 접속 단자(82)가 금속판의 관통 구멍(82C)에 마련한 암형 나사(84)에 고정 나사(85)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83)를 연결하고 있고, 이 관통 구멍(82C)에 마련하는 암형 나사(84)는 금속판의 판 두께의 범위 내에만 나사산을 전달할 수 없고, 고정 나사(85)를 큰 토크로 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정 나사(85)를 확실히 강하게 접속 단자(82)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없고, 버스 바아(83)와 접속 단자(82)와의 연 결 강도가 저하한다. 또한, 사각형의 단부면 플레이트부 주위의 절곡 부재를 전지의 단부면에 연결하는 접속 단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1개의 블록으로 하는 너트에 필적하는 강도로 할 수 없고, 이것도 버스 바아와 전지와의 연결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또한, 고정 나사를 충분히 강한 토크로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이상적인 상태로 할 수 없는 결점도 있다. 복수의 전지 모듈을 버스 바아로 직렬로 접속하는 전원 장치는 매우 큰 전류로 충방전된다. 이로 인해,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와의 전기 저항을 가능한 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와의 전기 저항에 기인하는 손실이 전기 저항과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이다.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하여, 이를 안정적으로 저저항인 상태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 나사를 충분한 체결 토크로 접속 단자에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넓은 면적으로 강하게 압박하고, 또한 고정 나사와 암형 나사 사이도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서로 강하게 압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저렴하게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서,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를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하여 대전류의 충방전에 있어서도 저손실인 상태로 하고, 게다가 또한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를 안정적으로 저저항인 상태로 접속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전원 장치는,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 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중앙부에 있고,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부(31)를 향해 돌출하고 있는 내통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내통부(34)의 내면에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고 있고, 이 암형 나사(34A)를 향해 버스 바아(40)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가 삽입되어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전원 장치는,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는 동시에, 중심에 관통 구멍(33A)을 개구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내면측에 비회전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너트(47)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버스 바아(40)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 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를 너트(47)에 삽입하여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전원 장치는,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나사 통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단자(30)는 나사 통부(35)의 외측면에 수형 나사(35A)를 마련하고 있고, 나사 통부(35)를 버스 바아(40)의 관통 구멍(41)에 관통시켜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에 너트(46)를 삽입하여 너트(46)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고 있다.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소전지(21)의 전극 단부면, 또는 소전지 단부의 외주면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소전지(21)와의 접촉면과의 반대면에 오목부(37)를 갖고, 이 오목부(37)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소전지(21)와의 접속부에 소전지(21)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36)를 갖고, 이 볼록부(36)의 반대면에는 오목부(37)가 있으며, 오목부(37)와 볼록부(36)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얇게 할 수 있다.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는, 전체의 형상을 원통형으로서 대향하는 외주의 일부에 평면(32A)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전 체의 형상을 원통형으로서 원통형의 외통부(32)와 동심에 내통부(34)를 마련할 수 있다.
접속 단자(30)는 내통부(34)의 돌출 높이를, 외통부(32)의 돌출 높이의 1/2보다도 높고, 또한 선단부를 소전지(21)의 단부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높이로 할 수 있다. 너트(47)는 프레스 너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전지 모듈(20)을 평행하게 나열하여 케이스(10)에 수납하는 동시에, 케이스(10)는 전지 모듈(20)의 표면에 접촉하여 전지 모듈(20)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13)를 갖고, 또한 전지 모듈(20)에 고정하고 있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삽입 관통하는 주위벽(16)을 가질 수 있다. 이 전원 장치는 전지 모듈(20)을 케이스(10)의 보유 지지부(13)로 보유 지지하고, 전지 모듈(20)에 고정하고 있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주위벽(16)에 삽입 관통하는 상태에서, 접속 단자(30)에 버스 바아(40)를 고정 나사(45)로 고정하여 주위벽(16)을 버스 바아(40)와 전지 모듈의 단부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전원 장치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전원 장치를 이하의 것에 특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는 특허 청구의 범위를 이해하기 쉽게, 실시예에 나타내는 부재에 대응하는 번호를,「특허 청구의 범위」및「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란」에 기재되는 부재에 부기하고 있다. 단,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는 부재를 실시예의 부재에 특정하는 것으로서는 결코 없다.
도3 내지 도6의 전원 장치는 복수의 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 모듈(20)을 케이스(10)에 수납하여 인접하는 전지 모듈(20)을 버스 바아(40)로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구비한다. 도3은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평면도, 도4는 버스 바아(40)와 고정 나사(45)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전지 모듈(20)을 케이스(10)에 장착하는 분해 사시도, 도6은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면의 전원 장치는, 주로 하이브리드카, 전기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 등의 전동 차량에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전동 차량 이외의 용도이며, 대출력이 요구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전지 모듈(20)은 원통형 전지인 이차 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단, 전지 모듈은 모서리형 전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차 전지(21)는 니켈 -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니켈 - 카드뮴 전지 등을 충전할 수 있는 모든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전동 차량용의 세트 전지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에는, 니켈 - 수소 전지나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적합하다. 체적과 중량에 대한 출력이 커 우수한 대전류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차 전지(21)는, 도7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관(25)의 개구부를 밀봉판(23)으로 기밀에 밀폐하고 있다. 외장관(25)과 밀봉판(23)은 금속판이다. 외장관(25)은 금속판을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다. 밀봉판(23)은 중앙에 볼록부 전극(22)을 용접하고 있다. 외장관(25)의 내부에는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전해액도 충전된다. 외장관(25)은 개구 부의 단부를 코오킹 가공하여 밀봉판(23)을 기밀에 고정하고 있다. 밀봉판(23)은 가스킷(19)을 통해 외장관(25)의 코오킹부에 협착되어 기밀에 고정된다. 가스킷(19)은 절연재의 고무 형상 탄성체이고, 밀봉판(23)과 외장관(25)을 절연하는 동시에, 밀봉판(23)과 외장관(25)과의 간극을 기밀에 폐색한다. 밀봉판(23)의 주연부에는 코오킹 볼록조(24)가 마련된다. 이 이차 전지(21)는 밀봉판(23)을 제1 전극으로서, 외장관(25)을 제2 전극으로 하고 있다. 니켈 - 수소 전지는 제1 전극을 정극으로서 제2 전극을 부극으로 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제1 전극을 부극으로서 제2 전극을 정극으로 할 수도 있다.
전지 모듈(2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 전지(21) 사이에 접속체(26)를 배치하고 있고, 접속체(26)를 통해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도면의 전지 모듈(20)은, 한 쪽 이차 전지(21)의 밀봉판(23)과 다른 쪽 이차 전지(21)의 외장관(25)을 접속체(26)로 접속하고 있다. 접속체(26)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차 전지(21)의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되어 이차 전지(21)를 직렬로 전기 접속한다. 도8과 도9는 접속체(26)를 도시하고 있고, 도8은 평면도, 도9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접속체(26)는 금속판을 구멍이 있는 링 형상으로 성형하고, 양면에 돌출하여 전지 단부면에 용접되는 복수의 용접 볼록부(27)를 마련하고 있다. 양면에 돌출하고 있는 용접 볼록부(27)는,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되고, 인접하여 배치하고 있는 이차 전지(21)를 직렬로 접속한다. 도면의 접속체(26)는 중심 구멍(28)을 마련하고, 여기에 볼록부 전극(22)을 배치하고 있다. 접속체(26)는 보유 지지 캡(29)으로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고 있다. 보유 지 지 캡(29)은, 전체를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성형하고 있다. 보유 지지 캡(29)은, 인접하는 이차 전지(10) 사이에 배치되고, 접속체(20)를 빠지기 어렵도록 정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전지 모듈(20)은, 그 양단부에 버스 바아(40)를 연결하는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다. 인접하는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는 금속판의 버스 바아(40)에 연결된다. 버스 바아(40)는 전지 모듈(20)을 직렬로 접속한다. 전지 모듈(20)은 케이스(10)에 수납되는 상태로 버스 바아(40)에 연결된다. 케이스(10)는 접속 단자(30)의 일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주위벽(16)을 갖고, 이 주위벽(16)의 외측에서 버스 바아(40)는 접속 단자(30)에 접속된다.
도10 내지 도24는, 전지 모듈(20)의 양단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30)를 도시한다. 도10, 도11, 도16, 도18, 도19, 도21 및 도22는 제1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30)를 도시하고, 도12 내지 도15, 도17, 도23 및 도24는 제2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30)를 도시한다. 제1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30)와, 제2 전극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30)는 형상이 다르다. 형상이 다른 접속 단자(30)는 전지 모듈(20)의 정부의 전지 단부면에 고정된다. 이 전지 모듈(20)은 정부의 양단부에 형상이 다른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를 틀림없이 케이스(10)에 수납할 수 있다.
도10 내지 도15에 도시한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 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중앙부에 있으며,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부(31)를 향해 돌출하고 있는 내통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 단자(30)는 내통부(34)의 내면에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고 있다. 내주면의 암형 나사(34A)를 향해 버스 바아(40)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를 삽입하고,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한다.
도16 내지 도20에 도시한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내면에 비회전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너트(47)를 구비하고 있다. 단부면 플레이트부(33)는, 그 중심에 고정 나사(47)를 삽입 관통하는 관통 구멍(33A)을 개구하고 있고, 이 관통 구멍(33A)에 고정 나사(45)를 통과시켜서 너트(47)의 암형 나사에 삽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접속 단자(30)는 버스 바아(40)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를 너트(47)에 삽입하고, 고정 나사(45)와 너트(47)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한다.
도21 내지 도24에 도시한 접속 단자(30)는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나사 통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통부(35)는 외측면에 수형 나사(35A)를 마련하고 있다. 나사 통부(35)는 버스 바아(40)의 관통 구멍(41)에 관통되고,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에 너트(46)가 삽입되고, 너트(46)를 통해 버스 바아(40)가 접속 단자(30)에 고정된다.
이상의 도면에 도시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제1 전극에 고정되는 것과, 제2 전극에 고정되는 것으로 외형이 다르고, 제1 전극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제2 전극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보다도 외형을 작게 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부(31)가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10, 도16 및 도21의 단면도에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코오킹 볼록조(24)의 내형보다도 외형을 작게 하고 있다.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코오킹 볼록조(24)의 내측에서 밀봉판(23)에 용접하여 고정된다. 제2 전극에 접속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는, 도12, 도17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을 전지 모듈 단부면의 외형, 즉 소전지 단부면의 외형에 거의 같게 하여 외장관(25)의 바닥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면의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중앙의 링 플레이트(31A)의 외주에 균등하게 복수의 돌출 부재(31B)를 마련하고 있다. 도면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4 방향으로 돌출 부재(31B)를 마련하고 있지만, 3 방향으로 혹은 5 방향 이상으로 돌출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부는 돌출 부재를 마련하는 일 없이, 전체의 외형을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면의 고정 플레이트부(31)는, 각각의 돌출 부재(31B)를 밀봉판(23)이나 외장관(25)의 바닥면에 저항 스폿 용접하여 고정하고 있다. 단, 고정 플레이트부는 레이저 용접하여 소전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전극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부는, 도시하지 않지만 외주에 통부를 마련하여 이 통부에 외장관의 바닥부를 삽입하고, 통부를 외장관의 바닥부에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소전지(21)에 용접되는 부분에 소전지(21)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36)를 마련하고, 또한 볼록부(36)의 반대면에는 오목부(37)를 마련하여 오목부(37)와 볼록부(36)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얇게 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접속 단자(30)는 오목부(37)의 깊이와 볼록부(36)의 돌출 높이를 조정하여 용접부를 용접에 가장 적합한 두께까지 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부(36)의 돌출 높이보다도 오목부(37)를 깊게 하여 용접부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플레이트부(31)를 두꺼운 금속판으로 제작하면서 고정 플레이트부(31)의 용접부를 용접에 가장 적합한 두께로서, 확실하면서 안정적으로 소전지(1)의 밀봉판(23)이나 외장관(25)에 확실하게 빠지지 않도록 용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30)는 고정 플레이트부(31)를 1 ㎜의 두께의 금속판으로 제작하고, 오목부(37)와 볼록부(36)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0.5 ㎜로 얇게 하여 고정 플레이트부(31)를 강인한 구조로 하면서 소전지(21)에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다. 특히, 접속 단자(30)의 금속판을 철이나 철합금 등으로 하여, 접속 단자(30)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단,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접속 단자(30)는 고정 플레이트부(31)의 두께를 0.6 내지 1.5 ㎜로 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7)와 볼록부(36)를 마련하고 있는 용접부의 두께를 0.3 내지 0.8 ㎜로 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5의 접속 단자(30)는 고정 플레이트부(31)에 연결하여 외통부(32)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내통부(34)를 마련하고 있다. 외통부(32)는 고정 플레이트부(31)의 링 플레이트(31A)의 내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면의 외통부(32)는, 전체의 형상을 원통형으로서 대향하는 외주의 일부에 평면(32A)을 마련하고 있다. 이 형상의 외통부(32)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 버스 바아(40)를 연결할 때 대향면의 평면(32A)을 보유 지지하고, 외통부(32)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단, 외통부는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통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접속 단자(30)는 제1 전극에 접속되는 것과, 제2 전극에 접속되는 것으로 외통부(32)의 외형을 변화시키고 있다. 제1 전극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30)는 제2 전극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30)보다도 외통부(32)의 외형을 작게 하고 있다. 도면의 외통부(32)는 원통형이기 때문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접속하는 것으로 외통부(32)의 외경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접속 단자(30)를 단부에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은 정극측과 부극측으로 접속 단자(30)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정부를 틀림없이 케이스(10)에 세트할 수 있다.
외통부(32)의 외경은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외형을 특정하고, 또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마련하는 내통부(34)의 외형을 제한한다. 외통부(32)의 외형은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충분한 면적으로 버스 바아(40)에 접촉할 수 있고, 또한 내통부(34)에 충분히 굵은 고정 나사(45)를 삽입할 수 있게, 예를 들어 원통형인 경우는 직경을, 다각통인 경우는 대각선의 길이를 1O ㎜ 내지 23 ㎜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외경을 13 ㎜, 제2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외경을 16 ㎜로 한다.
외통부(32)가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돌출하는 높이는 내통부(34)에 충분한 수의 나사산을 마련하여 고정 나사(45)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높이로 한다. 또한, 도면의 전원 장치는 외통부(32)를 케이스(10)의 주위벽(16)에 삽입 관통하고, 외통부(32)의 선단부에 마련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버스 바아(40)를 고정한다. 따라서, 외통부(32)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주위벽(16)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시키거나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주위벽(16)의 외측면으로부터 다소는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 높이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외통부(32)의 돌출 높이는 케이스(10)의 주위벽(16)의 두께와 같거나 주위벽(16)의 두께보다도 높게 하고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외통부(32)의 돌출 높이는, 예를 들어 5 ㎜ 내지 15 ㎜로 한다.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코오킹 볼록조(24)의 내측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2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보다도 외통부(32)의 돌출 높이를 높게 한다. 코오킹 볼록조(24)를 넘어서 돌출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의 돌출 높이를 11 ㎜, 제2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가 돌출 높이를 9.5 ㎜로 한다.
단부면 플레이트부(33)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버스 바아(40)를 면 접촉 상태로 연결한다.
내통부(34)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부(31)를 향해 돌출한다. 내통부(34)는 내면에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고 있다. 암형 나사(34A)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내통부(34)를 마련한 후, 내면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절삭하여 마련된다. 단, 고정 나사에 탭 나사를 사용하고 고정 나사를 내통부에 삽입하여 고정 나사로 암형 나사를 마련할 수 있다. 내통부(34)는 중심축을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표면에 직교하는 자세로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연결되어 있다. 내통부(34)에 삽입하는 고정 나사(45)로, 버스 바아(40)를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하기 때문이다. 내통부(34)는 고정 나사(45)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나사산의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고 있다. 내통부(34)는, 예를 들어 M5 내지 M6의 암형 나사(34A)를 마련하여 나사산을 마련하는 유효 나사부의 길이를 3 ㎜ 이상, 바람직하게는 4 ㎜ 이상으로 한다.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되는 접속 단자(30)는 내통부(34)의 유효 나사부의 길이를, 프레스 가공하는 금속판의 두께의 3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30)는 1 ㎜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 제작하여 내통부(34)의 유효 나사부의 길이를 3 ㎜ 또는 4 ㎜ 이상으로 한다.
또한, 도16 내지 도20에 도시한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내면에 너트(47)를 배치하고 있다. 이 너트(47)는 외통부(32)의 내측에 비회전 상태로 배치된다. 너트(47)는 외통부(32)의 내측에 끼워 맞춘 상태로 삽입되거나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되어 외통부(32)의 내측에 비회전 상태로 배치된다.
외통부(32)의 내측에 끼워 맞춘 상태로 삽입되는 너트(47)는, 예를 들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부(32)의 평면(32A)에 외주면을 면 접촉시키는 상태로 배치하여 비회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너트(47)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부(32)의 내형과 거의 같은 형상의 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외통부(32)의 내면으로 너트(47)를 위치 결정하면서 삽입하여 너트(47)를 단부면 플레이트부(33)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너트(47)는 그 외형의 크기를 외통부(32)의 내형의 크기와 거의 같게 하거나 다소 크게 하여, 외통부(32)의 내측에 압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비회전 상태로 외통부(32)에 삽입되는 너트(47)는, 반드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할 필요는 없다. 고정 나사(45)를 너트(47)에 삽입하여 고정 나사(45)의 나사 머리와 너트(47) 버스 바아(40)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협착하여 접속 단자(30)를 버스 바아(40)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비회전 상태에서 외통부에 삽입되는 너트를 단부면 플레이트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되는 너트(47)는, 예를 들어 용착하거나 접착하거나 압착하여 고정된다. 너트(47)는 중심에 마련한 암형 나사 구멍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관통 구멍(33A)에 대향하는 자세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된다. 너트(47)는, 예를 들어 저항 스폿 용접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용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너트(47)를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20은 너트(47)를 프레스 너트로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압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너트(47)는 일단부면의 중심부에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압입 돌출부(47A)를 마련하고 있다. 압입 돌출부(47A)는 외주면을 롤렛 형상 혹은 반대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하고 있다. 이 너트(47)는 압입 돌출부(47A)를 프레스에 의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개구한 관통 구멍(33A)에 압입하 고, 압입 돌출부(47A)를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일부에 변형시키거나 교축 체결을 발생시켜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고정 부착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너트(47)를 고정하는 구조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너트(47)가 외통부(32)로부터 누락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소전지(21)의 제1 전극은, 도10과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23)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 전극(22)이 돌출되어 있다.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내부에 볼록부 전극(22)을 배치한다. 따라서, 이 접속 단자(30)는 외통부(32)의 내측에 볼록부 전극(22)의 외형보다도 크게 하여, 외통부(32)의 내측에 볼록부 전극(22)을 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접속 단자(30)는 고정 플레이트부(31)를 밀봉판(23)에 고정하는 상태로, 내통부(34)가 볼록부 전극(22)에 접촉하지 않은 길이로 하고 있다. 환언 하면, 내통부(34)의 선단부를 볼록부 전극(22)에 접촉하지 않고, 고정 플레이트부(31)를 밀봉판(23)의 표면에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외통부(32)의 내측에 너트(47)를 배치하는 접속 단자(30)에 있어서는 고정 플레이트부(31)를 밀봉판(23)에 고정하는 상태로, 너트(47)가 볼록부 전극(22)과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로 하고 있다. 환언 하면, 볼록부 전극(22)의 선단부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내면과의 거리를 너트(47)의 두께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상 구조의 접속 단자(30)는 전지 모듈(20)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고정된다. 제1 전극에는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지 않도록, 접속 단자(30)를 밀봉판(23)에 고정한다. 도면의 전지 모듈(20)은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 가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전극측의 단부에 절연 캡(50)을 장착하고 있다.
절연 캡(50)은 플라스틱이나 합성 고무 등의 절연재를 링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소전지(21)는 밀봉판(23)을 제1 전극, 외장관(25)을 제2 전극으로 하고 있으므로, 밀봉판(23)에 고정하는 접속 단자(30)가 외장관(25)의 일부인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면 쇼트한다. 접속 단자(30)와 코오킹 볼록부(24)를 절연하기 위해, 밀봉판(23)에 고정하는 접속 단자(30)와, 코오킹 볼록조(24) 사이에 절연 캡(50)을 배치하여 절연하고 있다. 도10에 도시한 절연 캡(50)은 코오킹 볼록조(24)의 표면을 피복하여 절연하는 절연 링부(52)와, 이 절연 링부(52)의 외주에 연결하도록 성형하고 있는 통부(51)를 구비한다. 플라스틱으로 된 절연 캡(50)은, 통부(51)와 절연 링부(52)로 이루어지는 전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절연 링부(52)와 통부(51)를 따로따로 제작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다. 절연 캡(50)은 접속 단자(30)를 제1 전극에 용접하기 위해 관통 구멍(53)을 마련하고 있다. 관통 구멍(53)은 절연 링부(52)에 개구된다. 또한, 도10의 절연 캡(50)은 코오킹 볼록조(24)의 내면을 피복하는 링 볼록조(54)를 절연 링부(52)의 내주연에 일체 성형하여 마련하고 있다. 링 볼록조(54)는 코오킹 볼록조(24)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형상이다. 이 절연 캡(50)은 링 볼록조(54)를 코오킹 볼록조(24)의 내측에 끼워 넣어 정위치에 배치되어 접속 단자(30)와 코오킹 볼록조(24)를 절연한다.
양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은, 도5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보유 지지부(13)에 끼워져 평행한 자세로 정위치에 배열된다. 이 상태로,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는 케이스(10)의 주위벽(16)을 관통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주위벽(16)은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안내하는 끼움 부착부(17)를 마련하고 있다. 도면의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주위벽(16)에 외통부(32)를 끼움 부착하는 대략 절반원형의 오목부를 마련하여 끼움 부착부(17)로 하고 있다. 또한, 끼움 부착부(17)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내면을 평면 형상으로서,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의 대향하는 외주에 마련한 평면(32A)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의 끼움 부착부(17)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소정의 자세로 보유 지지하고, 외통부(32)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처음에 전지 모듈(20)을 하부 케이스(12)에 끼워 하부 케이스(12)에 상부 케이스(11)를 연결한다.
이상의 상태로, 케이스(10)의 주위벽(16)으로부터 외부에 표출된 접속 단자(30)에 버스 바아(40)를 고정 나사(45)로 고정한다. 버스 바아(40)는 접속 단자(30)의 단부면 플레이트부(33)에 접촉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 나사(45)는 버스 바아(40)를 관통하여 접속 단자(30)의 내통부(34)의 암형 나사(34A)에 삽입하여 접속 단자(30)에 고정된다. 버스 바아(40)는 금속판으로 외통부(32)를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41)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21 내지 도24에 도시한 접속 단자(30)는 고정 플레이트부(31)에 나사 통부(35)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접속 단자(30)도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 제1 전극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 전극(22)을 안내하는 센서 오목부(38)를 밀봉판(23)과의 대향면의 중앙 부분에 마련하고 있다. 고정 플레이트부(31)는 센터 오목부(38)를 마련하고 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센터 볼록부(39)가 된다. 버스 바아(40)는 센터 볼록부(39)의 표면에 고정된다. 센터 볼록부(39)에 고정되는 버스 바아(40)가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면 쇼트한다. 따라서, 센터 볼록부(39)는, 여기에 고정하는 버스 바아(40)를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지 않은 높이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코오킹 볼록조(24)의 내형보다도 외형을 작게 하고,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밀봉판(23)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제2 전극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는 볼록부 전극이 없는 외장관(25)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전극에 고정하는 접속 단자(30)와 같이, 반드시 센터 볼록부(39)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단, 센터 볼록부를 마련할 수 있다. 제2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는 평면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부(31)의 외측면에 버스 바아(40)를 접촉하여 고정한다. 센터 볼록부(39)가 있는 접속 단자(30)는 센터 볼록부(39)의 표면에 버스 바아(40)를 접촉하여 고정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센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단자는 이 센터 볼록부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도10과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주위벽에 센터 볼록부를 관통시켜서 배치할 수도 있다.
나사 통부(35)는 외측면에 수형 나사(35A)를 마련하고 있다. 나사 통부(35)는 버스 바아(40)를 관통한다.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나사 통부(35)에 너 트(46)가 삽입되어 버스 바아(40)는 접속 단자(30)에 고정된다. 나사 통부(35)는 버스 바아(40)를 관통하고, 또한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너트(46)를 삽입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나사 통부(35)가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돌출하는 높이, 즉 길이는 버스 바아(40)와 너트(46)의 두께의 합과 같거나 이보다도 길다. 이 나사 통부(35)는 너트(46)를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상 구조의 접속 단자(30)는 전지 모듈(20)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고정된다. 제1 전극에는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지 않는 센터 오목부(38)가 있는 접속 단자(30)를,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판(23)에 고정한다. 도21과 도22의 전지 모듈(20)은 제1 전극에 고정되는 접속 단자(30)가 코오킹 볼록조(2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전극측의 단부에 절연 캡(50)을 장착하고 있다. 이 절연 캡(50)에는, 전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극에는 센터 볼록부가 없는 접속 단자(30)를 고정한다. 양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은, 도시하지 않지만 케이스의 보유 지지부에 끼워져 평행한 자세로 정위치로 배열된다. 이 상태로, 도21과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단자(30)에 버스 바아(40)를 너트(46)로 고정한다. 버스 바아(40)는 관통 구멍(41)에 나사 통부(35)를 삽입 관통하고,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너트(46)를 삽입하여 접속 단자(30)에 고정된다. 버스 바아(40)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너트(46)에 협착되어 접속 단자(3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접속 단자를 저렴하게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서,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를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버스 바아를 전지에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소전지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외통부와 단부면 플레이트부와 내통부를 마련하여 내통부의 내면에 암형 나사를 마련하고, 여기에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연결하거나 소전지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외통부와 단부면 플레이트부를 마련하고, 단부면 플레이트부의 내측에 배치한 너트에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연결하거나 소전지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나사 통부를 마련하고, 이 나사 통부의 외측면에 수형 나사를 마련하고, 이 나사 통부를 버스 바아의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선단부에 너트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고정하고 있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통부에 마련한 암형 나사 또는 단부면 플레이트부의 내측에 배치한 너트의 암형 나사에 나사산을 많이 마련하여 고정 나사를 강한 토크로 체결할 수 있고, 또 나사 통부에 마련한 수형 나사에 나사산을 많이 마련하여 너트를 강한 토크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 구조의 접속 단자는 내통부 또는 너트의 암형 나사에 강한 토크로 고정 나사를 삽입하거나 나사 통부에 강한 토크로 너트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확실하게 접속 단자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 나사나 너트를 강한 토크로 체결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넓은 면적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전원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외통부와 단부 면 플레이트부와 내통부를 마련하여 내통부의 내면에 암형 나사를 마련하고, 이 암형 나사에 버스 바아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연결한다. 이 전원 장치는 고정 나사와 내통부를 통해 버스 바아를 연결하는 단부면 플레이트부를 외통부에서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한다. 외통부는 통 형상으로 단부면 플레이트부의 전체 주위를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단부면 플레이트부는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버스 바아는 고정 나사로 단부면 플레이트부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또한 단부면 플레이트부는 외통부에서 확실하게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버스 바아는 접속 단자로 전지의 단부면에 강인한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전원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외통부와 단부면 플레이트부를 마련하고, 단부면 플레이트부의 내측에 너트를 배치하고, 이 너트에 버스 바아와 고정 플레이트부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연결한다. 이 전원 장치는 고정 나사와 너트를 통해 버스 바아를 연결하는 단부면 플레이트부를 외통부에서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고정 나사를 강한 토크로 너트에 체결하고,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외통부는 통 형상으로 단부면 플레이트부의 전체 주위를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단부면 플레이트부는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버스 바아는 고정 나사와 너트로 단부면 플레이트부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또한 단부면 플레이트부는 외통부에서 확실하게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되고,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로 전지의 단부면에 강인 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전원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부에 수형 나사를 마련하고 있는 나사 통부를 연결하고 있고, 이 나사 통부를 버스 바아에 관통시켜 수형 나사에 너트를 삽입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연결한다. 이 전원 장치는 수형 나사가 있는 나사 통부를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조는 나사 통부를 확실하면서 강인한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아는 너트로 접속 단자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또한 나사 통부는 확실하게 고정 플레이트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를 통해 전지의 단부면에 강인한 구조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장치는 버스 바아와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것은, 고정 나사나 너트를 강한 토크로 체결하여 버스 바아를 접속 단자에 연결하기 때문이다. 강한 토크로 체결하여 접속 단자에 연결되는 버스 바아는 넓은 면적으로 강한 압력으로 압박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 부분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큰 전류로 충방전하여 접속부의 전기 저항에 기인하는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강한 토크로 체결하여 연결되는 버스 바아는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저저항인 상태로 접속 단자에 접속할 수 있는 특징도 실현한다.

Claims (11)

  1.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하는 전원 장치이며,
    접속 단자(30)가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이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중앙부에 있으며,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부(31)를 향해 돌출하고 있는 내통부(34)를 구비하고 있고, 내통부(34)는 내면에 암형 나사(34A)가 있으며, 이 암형 나사(34A)를 향해 버스 바아(40)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가 삽입되고,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
  2.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하는 전원 장치이며,
    접속 단자(30)가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에 통 형상으로 돌출 하고 있는 외통부(32)와, 이 외통부(32)의 선단부면을 폐색하는 동시에, 중심에 관통 구멍(33A)을 개구하고 있는 단부면 플레이트부(33)와, 외통부(32)의 내측에 위치하여 단부면 플레이트부(33)의 내면측에 비회전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너트(47)를 구비하고 있고,
    버스 바아(40)와 단부면 플레이트부(33)를 관통하는 고정 나사(45)가 너트(47)에 삽입되고, 고정 나사(45)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
  3. 복수의 소전지(21)를 직선 형상으로 연결하여 단부에 접속 단자(30)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 모듈(20)과, 이 전지 모듈(20)의 접속 단자(30)에 접속되어 전지 모듈(20)을 전기 접속하는 버스 바아(40)를 구비하는 전원 장치이며,
    접속 단자(30)가 소전지(21)의 단부에 용접하여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부(31)와, 이 고정 플레이트부(31)로부터 소전지(21)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는 통 형상의 나사 통부(35)를 구비하고 있고, 이 나사 통부(35)는 외측면에 수형 나사(35A)를 마련하고 있고, 나사 통부(35)를 버스 바아(40)의 관통 구멍(41)에 관통시켜서 버스 바아(40)로부터 돌출하는 선단부에 너트(46)를 삽입하고, 너트(46)를 통해 버스 바아(40)를 접속 단자(30)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가 소전지(21)의 전극 단부면 또는 소전지 단부의 외주면에 용접하여 고정되 어 있는 전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가 소전지(21)와의 접촉면과의 반대면에 오목부(37)를 갖고, 이 오목부(37)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얇게 하고 있는 전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의 고정 플레이트부(31)가 소전지(21)와의 접속부에 소전지(21)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36)를 갖고, 이 볼록부(36)의 반대면에는 오목부(37)가 있으며, 오목부(37)와 볼록부(36)로 소전지(21)와의 용접부를 얇게 하고 있는 전원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가 전체의 형상을 원통형으로서 대향하는 외주의 일부에 평면(32A)을 형성하고 있는 전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가 외통부(32)의 전체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고 있고, 원통형의 외통부(32)와 동심에 내통부(34)를 형성하고 있는 전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접속 단자(30)가 내통부(34)의 돌출 높이를 외통부(32)의 돌출 높이의 1/2보다도 높고, 또한 선단부를 소전지(21)의 단부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높이로 하고 있는 전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너트(47)가 프레스 너트인 전원 장치.
  11. 전지 모듈(20)을 평행하게 나열하여 케이스(10)에 수납하고 있고, 케이스(10)는 전지 모듈(20)의 표면에 접촉하여 전지 모듈(20)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13)를 갖고, 또한 전지 모듈(20)에 고정하고 있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삽입 관통하는 주위벽(16)을 갖고,
    전지 모듈(20)을 케이스(10)의 보유 지지부(13)로 보유 지지하고, 전지 모듈(20)에 고정하고 있는 접속 단자(30)의 외통부(32)를 주위벽(16)에 삽입 관통하는 상태에서, 접속 단자(30)에 버스 바아(40)를 고정 나사(45)로 고정하고, 주위벽(16)을 버스 바아(40)와 전지 모듈(20)의 단부면 사이에 배치하는 전원 장치.
KR1020050084443A 2004-11-18 2005-09-12 전원 장치 KR101026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5131 2004-11-18
JP2004335131A JP2006147319A (ja) 2004-11-18 2004-11-18 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08A true KR20060055308A (ko) 2006-05-23
KR101026925B1 KR101026925B1 (ko) 2011-04-04

Family

ID=3638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443A KR101026925B1 (ko) 2004-11-18 2005-09-12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87943B2 (ko)
JP (1) JP2006147319A (ko)
KR (1) KR1010269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88B1 (ko) * 2006-10-10 2013-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20130089178A (ko) * 2012-02-01 2013-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US9312528B2 (en) 2010-05-20 2016-04-1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2159977B1 (ko) * 2020-08-08 2020-09-25 백용호 전동차량 콘덴서 방전용 저항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2558B2 (en) 2003-07-09 2008-04-01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capacitor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791860B2 (en) 2003-07-09 2010-09-07 Maxwell Technologies, Inc. Particle based 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342770B2 (en) * 2003-07-09 2008-03-11 Maxwell Technologies, Inc. Recyclable dry particle based adhesive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295423B1 (en) * 2003-07-09 2007-11-13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adhesive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60147712A1 (en) * 2003-07-09 2006-07-06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adhesive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50266298A1 (en) * 2003-07-09 2005-12-01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920371B2 (en) 2003-09-12 2011-04-05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with separator between electrod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devices
US7495349B2 (en) 2003-10-20 2009-02-24 Maxwell Technologies, Inc. Self aligning electrode
US7384433B2 (en) * 2004-02-19 2008-06-10 Maxwell Technologies, Inc. Densification of compressible layers during electrode lamination
US7090946B2 (en) * 2004-02-19 2006-08-15 Maxwell Technologies, Inc. Composite electr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440258B2 (en) 2005-03-14 2008-10-21 Maxwell Technologies, Inc. Thermal interconnects for coupling energy storage devices
US7492574B2 (en) * 2005-03-14 2009-02-17 Maxwell Technologies, Inc. Coupling of cell to housing
US20070184711A1 (en) * 2005-12-15 2007-08-09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ical module
US20070298319A1 (en) * 2006-06-22 2007-12-27 Morris Lucian Barwick Uninterruptable battery holder
JP5137354B2 (ja) * 2006-07-31 2013-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5057717B2 (ja) * 2006-07-31 2012-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接続端子の製造方法
US8518573B2 (en) * 2006-09-29 2013-08-27 Maxwell Technologies, Inc. Low-inductive impedance, thermally decoupled, radii-modulated electrode core
JP4974734B2 (ja) 2006-10-10 2012-07-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063079B1 (ko) 2007-01-12 2011-09-0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전극 구조 및 배터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80201925A1 (en) * 2007-02-28 2008-08-28 Maxwell Technologies, Inc. Ultracapacitor electrode with controlled sulfur content
US20080204973A1 (en) * 2007-02-28 2008-08-28 Maxwell Technologies, Inc. Ultracapacitor electrode with controlled iron content
US8105709B2 (en) * 2007-08-14 2012-01-31 Cobasys Llc Battery module
JP4539763B2 (ja) 2008-06-13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
CN101369649B (zh) * 2008-09-30 2010-06-02 赛恩斯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连接装置
JP5496522B2 (ja) * 2009-03-02 2014-05-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DE102009051217A1 (de) * 2009-10-29 2011-05-12 Li-Tec Battery Gmbh Kontaktierungselement, Anordnung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s, insbesondere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KR20110128082A (ko) * 2010-05-20 2011-11-2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2947973A (zh) * 2010-06-14 2013-02-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池组的制造方法以及电池组
CN102468468B (zh) * 2010-11-04 2014-06-04 电能有限公司 集合电池的终端极头结构
US8409745B2 (en) * 2010-11-10 2013-04-02 Energy Control Limited Terminal pole head for a battery pack
DE102011102102A1 (de) * 2011-05-20 2012-1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kkumulatoranordnung
KR101201066B1 (ko) * 2011-06-14 2012-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WO2012171071A1 (en) * 2011-06-15 2012-12-20 Ev Engineering Limited Adaptor interface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6114374B2 (ja) * 2012-03-13 2017-04-12 マックスウェ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ャパシタと電池との結合体
JP5868265B2 (ja) * 2012-05-25 2016-02-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単電池および組電池
JP2014022264A (ja) * 2012-07-20 2014-02-03 Chia Yuan Li 防水、防火、防振、防爆4つの機能を備える車用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52113B2 (ja) * 2013-09-05 2016-12-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EP3134641A1 (en) 2014-04-22 2017-03-01 Maxwel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ed 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KR102337570B1 (ko) 2015-02-24 2021-1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16528B1 (ko) 2015-04-06 2022-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5215599A1 (de) * 2015-08-14 2017-02-16 Audi Ag Energiespeich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CN108336282B (zh) * 2017-01-20 2021-12-17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电池连接装置和电池模组
FR3071096B1 (fr) * 2017-09-13 2019-09-13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protection et d’isolation d’une barre omnibus de vehicule automobile
FR3071108B1 (fr) * 2017-09-13 2019-08-30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fixation d’une barre omnibus de vehicule automobile
JP2019160631A (ja) * 2018-03-14 2019-09-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モジュール、車載電力幹線バスバと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19172130A (ja) * 2018-03-29 2019-10-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載電力幹線バスバと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接続構造及び車載電力幹線バスバの接続構造
CN108859713B (zh) * 2018-05-21 2019-12-24 江苏南京白马现代农业高新技术产业园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电池模组固定方法
CN109360931A (zh) * 2018-09-25 2019-02-19 湖南科霸汽车动力电池有限责任公司 一种电池模组
US11479080B2 (en) 2018-10-19 2022-10-25 Systematic Power Manufacturing, Llc Hybrid energy power module for mobile electrical devices
US11069488B2 (en) 2018-10-19 2021-07-20 Systematic Power Solutions, LLC Hybrid energy storage device
US11165266B2 (en) 2018-10-19 2021-11-02 Systematic Power Solutions, LLC Method of providing charge for a mechanical object
CN109768210B (zh) * 2019-01-22 2022-03-11 先进储能材料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电池模组中单孔固定防旋转结构
KR102387356B1 (ko) 2019-02-21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유동 너트를 구비한 단자 연결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과 이를 포함한 전지 팩
US12031511B2 (en) 2019-03-13 2024-07-09 Systematic Power Manufacturing, Llc On-board starting module for vehicle engine
US12040654B2 (en) 2019-03-13 2024-07-16 Systematic Power Manufacturing, Llc On-board starting module for vehicle engine
KR20220053989A (ko) 2020-10-23 2022-05-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나사산이 있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833987B2 (en) 2021-06-11 2023-12-05 Systematic Power Manufacturing, Llc Super capacitor based power module for lift gate
US12034131B2 (en) 2021-06-11 2024-07-09 Systematic Power Manufacturing, Llc Stand-by power module for vehicle engine
CN117652060A (zh) * 2022-04-29 2024-03-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结构、电池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120A (en) * 1964-03-03 Floating anchor nut
DE2542459A1 (de) * 1975-09-24 1977-04-07 Varta Batterie Gas- und fluessigkeitsdichter akkumulator
JP4025928B2 (ja) * 1995-02-17 2007-12-26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円筒型電池及び組電池
JP3669048B2 (ja) * 1995-04-18 2005-07-06 日本電池株式会社 組電池
JPH09223494A (ja) * 1996-02-16 1997-08-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池間接続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4154198B2 (ja) 2001-10-05 2008-09-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集合体における正極と負極との接続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88B1 (ko) * 2006-10-10 2013-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9312528B2 (en) 2010-05-20 2016-04-1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20130089178A (ko) * 2012-02-01 2013-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2159977B1 (ko) * 2020-08-08 2020-09-25 백용호 전동차량 콘덴서 방전용 저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7943B2 (en) 2011-02-15
JP2006147319A (ja) 2006-06-08
KR101026925B1 (ko) 2011-04-04
US20060105624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925B1 (ko) 전원 장치
US9379372B2 (e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413668B1 (en) Lithium ion battery and container
JP5528746B2 (ja) 組電池
US8906545B2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US20130071728A1 (en) Secondary Battery
EP2782691B1 (en) Sealing arrangement of a battery filling port using a rivet
JP6037196B2 (ja) 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10147925B2 (en) Square secondary battery
EP2953186B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JP6037204B2 (ja) 蓄電素子及び導電性部材
CN108369999B (zh) 蓄电元件及蓄电元件的制造方法
JP2009009852A (ja) 電池モジュール
US12074345B2 (en) Terminal, secondary battery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JPH0556623B2 (ko)
JP2010146735A (ja) 密閉型電池
JP3869733B2 (ja) 組電池
US20090317704A1 (en) Prismatic battery with novel inter-cell connection
JP2014150047A (ja) 蓄電素子
WO2024166735A1 (ja) 蓄電装置
KR20090053637A (ko) 우수한 제조공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의 이차전지 팩
KR20190046089A (ko) 일방향 단자부를 구비한 중공형 이차전지
EP2052427A2 (en) Prismatic battery with novel inter-cell connection
JP2003223877A (ja) 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