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943A -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 Google Patents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943A
KR20060053943A KR1020050065767A KR20050065767A KR20060053943A KR 20060053943 A KR20060053943 A KR 20060053943A KR 1020050065767 A KR1020050065767 A KR 1020050065767A KR 20050065767 A KR20050065767 A KR 20050065767A KR 20060053943 A KR20060053943 A KR 2006005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pipe
steel pipe
tub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5166B1 (ko
Inventor
히로시 마츠오
Original Assignee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shot-peen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292Workpiece with longitudinal passageway or stopweld material [e.g., for tubular stock,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993Surface feature [e.g., rough,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과 냉각의 반복에 의한 열 응력을 받아도 내표면의 스케일이 박리하기 어려운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1) Cr을 9∼28질량% 함유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2) Cr을 9∼28질량% 함유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 이상이고, 또한 ΔHv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단, ΔHv는 관의 내표면층과 두께 중앙부의 비커스 경도의 차이다.
상기 (1) 또는 (2)의 강관은, ASTM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번호로 7 이상의 조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STEEL TUBE EXCELLENT IN EXFOLIATION RESISTANCE OF SCALE ON INNER SURFACE}
도 1은 스케일의 밀착성 시험 등에 이용한 시험편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a)은 평면도, 도 1(b)은 측면도이다.
도 2는 스케일의 밀착력을 측정하는 요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험편 2 : 지그 접착부
3, 4 : 지그
본 발명은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내표층을 가지는 강관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과 그 밖의 합금강제 열교환기 관(tube)에서, 관의 내표면에 생성하는 수증기 산화 스케일은, 운전 정지 및 그 후의 운전 재개에 의한 열 충격을 받으면 그 일부가 박리한다. 나아가 박리한 스케일이 관을 폐색하여 관의 오버히트를 발생시켜, 분파(噴破) 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스케일의 박리에 따른 문제의 해결에는, 우선, 스케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는, 관 재료 중 Cr, Si 및 Al의 증가, 결정립의 세립화, 관 표면의 쇼트 피닝(쇼트 블래스트라고도 한다) 등에 의한 소성 가공 등이 유효하다. 이들 대책에 의해 수증기 산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쇼트 피닝에 의한 내수증기 산화성의 개선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제안이 있다. 그 쇼트 피닝 등에 의한 소성 가공의 효과는, 다음과 같은 원리에 근거한다. 즉, 관의 내표면에 강구(鋼球) 등에 의해 소성 가공을 가한 재료를 고온의 과열 수증기와 접촉시키면, 매우 얇고 성장 속도가 느린 Cr산화물의 스케일이 강 표면에 균일하게 생성하고, 이 보호성이 풍부한 스케일이 장시간 안정하여 존재함으로써 내수증기 산화성이 향상하는 것이다.
이 관 내면의 소성 가공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낮은 코스트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부터 널리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을 취하여도, 또한, 전술한 대책을 강구하여도, 운전 정지와 운전 재개의 반복에 의해서 받는 열 충격에 기인하는 스케일의 박리를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평 6-322489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2002-285236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증기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 충격을 받아도 내표면의 스케일이 박리하기 어려운 강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운전의 정지 및 재개에 의한 열 충격에 기인하는 스케일의 박리를 억제하려면, 관 성형 가공 후의 관 내 표면에 쇼트 피닝 등의 소성 가공을 실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가공 표면의 거칠기를 일정값 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내면 가공층의 변형량을 높이는 것, 바꾸어 말하면, 관의 내표면층을 두께 중앙부보다도 단단하게 하는 것, 및 관 재료의 조직을 세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케일의 내박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기 (1)∼(3)의 강관을 요지로 한다.
(1) Cr을 9∼28질량% 포함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2) Cr을 9∼28질량% 포함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 이상이며, 또한 ΔHv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단, ΔHv는 관의 내표면층과 두께 중앙부의 비커스 경도의 차이다.
(3) ASTM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번호로 7 이상의 조직을 가지는 상기 (1) 또는 (2)의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상기 (1) 및 (2)의 「냉간 가공」은, 쇼트 피닝에 의한 소성 가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쇼트 피닝 가공이 실시된 층에 열 충격을 가하면, 스케일이 박리하는 경우와, 박리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그 차이는 가공 표층의 표면 거칠기에 있음을 밝혀내었다. 즉, 표면 거칠기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스케일이 거의 박리하지 않고, 그 미만인 경우에는 스케일이 박리하기 쉽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운전 정지에 의한 급격한 온도 강하, 및 운전 재개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한 열 충격을 받으면, 관 재료(모재)와 스케일의 계면 또는 내층 스케일과 외층 스케일의 계면 응력이 생겨, 스케일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향은, 산화되기 전의 표면이 평활한 경우에 현저해진다.
이에 대하여, 일정값 이상의 거칠기의 요철을 설치한 표면에서는, 모재와 스케일의 계면에 발생하는 응력이 요철의 피치마다 분산되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 때문에, 스케일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효과는, 내층 스케일과 외층 스케일의 계면에서도 얻어진다.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관의 내표면 거칠기는, 최대 높이(Rz)로 15㎛ 이상의 거칠기이다. 더 바람직한 것은, 최대 높이(Rz)가 25㎛ 이상인 것이다. 최대 높이(Rz)의 상한은, 관 내면의 수증기의 유동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8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최대 높이(Rz)란, JIS B0601-2001의 부속서 C에 정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표면 거칠기를 조정한 뒤에, 또한 내면 가공층의 변형량을 높이는 것, 및 관 재료(모재)의 조직을 세립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케일의 내박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의 내표면에 강구 등을 이용하는 쇼트 피닝에 의해 소성 가 공을 가한 재료를 고온의 과열 수증기와 접촉시키면, 매우 얇고 성장 속도가 느린 Cr산화물의 스케일이 강 표면에 균일하게 생성한다. 그 스케일은 내산화성이 우수하므로, 이후의 스케일의 성장·증대가 억제된다. 그 결과, 관의 내면에는 두께가 얇은 밀착력이 우수한 스케일이 생성하게 된다. 이 효과는 가공층의 변형량이 클수록 현저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변형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ΔHv라는 지표를 이용한다. 이는 쇼트 피닝 등에 의한 소성 가공 후의 내표면으로부터 40㎛의 깊이의 위치와 관 두께 중앙부의 비커스 경도의 차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ΔHv가 100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경화한 가공층을 가지는 경우에, 관은 매우 우수한 내수증기 산화성을 가진다. 또, 비커스 경도는, JIS의 Z 2244의 표 1에 도시되는 Hv0.1(시험력:0.9807N)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결정립을 세립화하는 것, 즉 ASTM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번호로 7 이상의 조직으로 하는 것도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스케일의 밀착성을 높이는 데에 유효하다. 결정립을 미세화하면, 관 재료(모재) 중의 Cr농도를 균일화할 수 있어, 내층 스케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생성한 스케일의 밀착력이 향상하여, 내박리성이 개선된다.
관 내 표면의 최대 높이(Rz)를 15㎛ 이상으로 하려면, 쇼트 피닝에 의한 가공이 바람직하다. 단, 종래와 같이, 단지 표면을 거칠게 한다는 목적 뿐만 아니라, 최대 높이를 15㎛ 이상으로 해야만 하므로, 쇼트 피닝의 조건을 그 목적을 달 성할 수 있도록 정해야만 한다.
ΔHv를 10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쇼트 피닝의 취부(吹付) 압력을 크게 하거나 취부 횟수(패스 횟수)를 늘림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관재의 세립화는, 관의 성분의 조정(예를 들어, Nb의 첨가)이나 관의 제조 조건, 열 처리 조건의 조정 등의 주지의 수단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관은, 보일러용으로 이용되는 합금 강관, 페라이트계나 오스테나이트계의 스테인리스 강관 등이다. 구체적인 재질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관의 내표면에 생성하는 스케일은 Cr의 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것이어야만 하므로, 관의 재료는 Cr을 9∼28질량% 함유하는 강관인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관의 재료를 예시하면, JIS 규격으로 정해지는 STBA26의 합금강, SUS410과 같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SUS304, SUS309, SUS310, SUS316, SUS321, SUS347과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들의 상당한 강이 있다.
적용할 수 있는 강종의 화학 조성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또, 이하의 기술에서 성분 함유량에 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1) C: 0.2% 이하, Si: 2.0% 이하, Mn: 0.1∼3.0%, Cr: 9∼28%를 포함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이 강은, 필요에 따라서, Ni: 0.1∼1.5%, Mo: 0.1∼5%, W: 0.1∼10%, Cu: 0.1∼5%, N: 0.005∼0.3%, V: 0.01∼1.0%, Nb: 0.01∼1.5%, Ti: 0.01∼0.5%, Ca: 0.0001∼0.2%, Mg: 0.0001∼0.2%, Al: 0.0001∼0.2%, B: 0.0001∼0.2% 및 희토류 원소:0.0001∼0.2%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2) C: 0.2% 이하, Si: 2.0% 이하, Mn: 0.1∼3.0%, Cr: 9∼28%, Ni: 6∼50%를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이 강은, 필요에 따라서, Mo: 0.1∼5%, W:0.1∼10%, Cu: 0.1∼5%, N: 0.005∼0.3%, V: 0.01∼1.0%, Nb: 0.01∼1.5%, Ti: 0.01∼0.5%, Ca: 0.0001∼0.2%, Mg: 0.0001∼0.2%, Al: 0.0001∼0.2%, B:0.0001∼0.2% 및 희토류 원소: 0.0001∼0.2%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함유하여도 좋다.
이하, 상기 강종의 각 성분의 작용 효과와 함유량의 한정 이유에 관해서 설명한다.
C: 0.2% 이하
C는, 강도 및 크립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유효한 원소로서,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의 함유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0.2%를 넘으면, 고용화(固溶化) 처리 상태에서 미 고용 탄화물이 잔존하여,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인성(靭性) 등의 기계적 성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C함유량은 0.2% 이하로 한다. 또한, 열간 가공성 저하나 인성 열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0.12% 이하이다.
Si: 2% 이하
Si는, 탈산제로서 이용되고, 또한 내수증기 산화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효한 원소이며, 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접성이나 열간 가공이 열화하기 때문에, 2% 이하로 한다. 바람직한 것은 0.8% 이하이다.
Mn: 0.1∼3.0%
Mn은, Si와 마찬가지로 탈산제로서 유효하고, 불순물로서 함유되는 S에 기인하는 열간 가공성의 열화를 억지하는 작용이 있다. 탈산 효과나 열간 가공성 개선이라는 점에서 0.1% 이상 함유시킨다. 단, 과도한 함유에서는 취화(脆化)를 초래하기 때문에, 함유량의 상한을 3.0%로 한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0%이다.
Cr: 9∼28%
Cr은, 관의 내표면에 Cr의 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스케일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9∼28% 함유하는 강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Cr는 고온에서의 강도나 내산화성 및 내식성 확보라는 점에서 필요한 원소이며, 그 충분한 효과를 발휘시키려면 9% 이상의 함유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잉으로 함유시키면 인성이나 열간 가공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상한은 28%로 한다
Ni: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6∼50%,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0.1∼1.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Ni는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크립 강도의 향상에 필요한 원소이고, 6% 이상의 함유가 필요하다. 또한 고온, 장시간에서의 조직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5% 이상의 함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량 첨가는 효과가 포화해 버리고, 그 이상의 함유는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할 뿐이므로 50%까지로 한다. 바람직한 것은 35% 이하, 보다 바람직한 것은 25% 이하이다. 또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Ni는 인성 개선에 효과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0.1% 이상 함유시킨다. 그러나, 1.5%를 넘 으면 크립 파단 강도가 저하한다.
Mo: 0.1∼5%, W: 0.1∼10%, Cu: 0.1∼5%
Mo, W 및 Cu는, 강의 고온 강도를 높이므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효과는, 적어도 어느 1종을 0.1%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발휘된다. 또한, 다량 함유에서는 용접성이나 가공성을 손상하기 때문에, 상한을 Mo 및 Cu에서는 각각 5%, W에서는 10%로 한다.
N: 0.005∼0.3%
N은, 강의 고용 강화에 기여하고, 또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석출 강화 작용에 의해 강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0.005% 이상 함유시킨다. 그러나, 0.3%를 초과하면 연성이나 용접성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V: 0.01∼1.0%, Nb: 0.01∼1.5%, Ti: 0.01∼0.5%
V, Nb 및 Ti는, 모두 탄소 및 질소와 결합하여 탄질화물을 형성하고, 석출 강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이들 중 1종 이상을 0.01%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의 함유량이 과다하게 되면 강의 가공성이 손상되므로, V는 1.0%, Nb는 1.5%, Ti는 0.5%를 상한으로 한다.
Ca: 0.0001∼0.2%, Mg: 0.0001∼0.2%, Al: 0.0001∼0.2%, B: 0.0001∼0.2%, 희토류 원소: 0.0001∼0.2%
Ca, Mg, Al, B 및 희토류 원소(La, Ce, Y, Pd, Nd 등)는, 모두 강도, 가공성, 내수증기 산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 에는, 1종 이상을 각각 0.0001% 이상 함유시킨다. 한편,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각각 0.2%를 넘으면 가공성이나 용접성이 손상된다.
〈실시예〉
표 1에 도시하는 화학 조성의 강관을 표 2에 도시하는 열 처리와 가공 조건으로 처리하여, 결정 입도를 조정하였다. 표 2 중의 공시관(A-2)과 (B-2)의 「냉간 가공」은, 관 제조 공정에서의 냉간 성형 가공이다. 이들 강관을 이용하여 스케일의 내박리성을 조사하였다. 시험 조건은 하기와 같다.
(1) 관의 사이즈
외경 50.8㎜, 두께 8.0㎜
(2) 표면의 가공
상기 관의 내표면에 쇼트 피닝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 조건은 하기와 같다.
사용한 쇼트: 마텐자이트(martensite) 강구(평균 입경 600㎛)
쇼트의 취부량: 약 10㎏/min(표 3에 표시)
취부 압력: 표 3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58.8N/㎠ 이상의 압력은, 가공층의 경도를 높이기 위해서 채용하였다.
취부 횟수: 표 3에 기재한 대로, 취부 횟수(패스 횟수)를 바꾸어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였다. 또, 「1 패스」란 관의 내부에 삽입한 쇼트 분사 노즐을 250㎜/min으로 이동시켜 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조건으로 피닝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3) 결정 입도 및 경도의 측정
쇼트 피닝 전의 관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여,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현미경 관찰하여, 결정 입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쇼트 피닝 가공을 실시한 후의 시험편의 가공 표면(표면으로부터 40㎛ 깊이의 위치) 및 두께 중앙부의 각각의 비커스 경도 Hv0.1(시험력: 0.9807N)을 측정하여, 그 차(ΔHv)를 구하였다.
(4) 스케일의 밀착성 시험
쇼트 피닝 가공을 실시한 후의 관으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형상의 시험편(1)을 잘라내었다. 동 도면에서, L=25㎜, w=20㎜, t=5㎜이다. 또한, 도면 중의 사선부(2)는, 도 2에 도시하는 지그(3)를 접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시험편을 650℃에서 10,000시간, 수증기 분위기 중에 폭로하여 스케일을 성장시켰다. 그 시험편의 관 내면에 상당하는 측에,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지그(3)를 접착하고, 양단을 지그(4)에 세트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스케일이 박리하는 힘을 측정하여, 그 값을 밀착력으로 하였다. 지그(3)의 접착에 이용한 접착제는, 한츠만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사 제품인 아랄다이트(상품명)이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표 3에 도시한다.
〈표 1〉
Figure 112005039309508-PAT00001
〈표 2〉
Figure 112005039309508-PAT00002
〈표 3〉
Figure 112005039309508-PAT00003
표 3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표면의 최대 높이가 15㎛ 이상인 경우에는, 밀착력이 9.8㎫ 이상으로 되어 있다. 밀착력이 9.8㎫보다 작으면, 스케일의 밀착성이 불충분하고, 보일러의 가동과 정지에 의한 열 충격을 받은 경우에 박리하기 쉽지만, 본 발명예는, 모두 충분한 밀착성을 구비하고 있다.
시험 번호 5, 12, 19 및 20의 시험편은, ΔHv가 100 이상이고, 스케일 밀착력은 더 크다. 결정 입도 번호 7 이상의 세립 조직의 시험 번호 6, 13도 동일하다. 또한, ΔHv가 100 이상이고, 또한 결정 입도 번호 7 이상인 것에서는, 매우 큰 스케일 밀착력이 얻어지고 있다.
또, 이 실시예의 쇼트 피닝 조건에서는, 패스 횟수가 1회 또는 2회에서는 소정의 표면 거칠기가 얻어지고 있지 않다. 즉, 종래와 같은 1 패스뿐인 쇼트 피닝으로는, 관 내 표면에 강구가 충분히 충돌하지 않은 부위가 존재하여, 표면 거칠기가 규정값 미만이 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규정값 이상의 표면 거칠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쇼트 피닝을 복수 회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강관은, 내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매우 우수한 강관이다. 이 강관은, 수증기 산화를 받는 보일러관 등으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그리고, 가열과 냉각의 반복에 의한 열 응력을 받아도 스케일이 박리하기 어려우므로, 관의 폐색 등의 사고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Cr을 9∼28질량% 함유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2. Cr을 9∼28질량% 함유하고, 냉간 가공 후의 내표면의 최대 높이(Rz)가 15㎛이상이고, 또한 ΔHv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단, ΔHv는 관의 내표면층과 두께 중앙부의 비커스 경도의 차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STM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 번호로 7 이상의 조직을 가지는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KR1020050065767A 2004-09-15 2005-07-20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KR100665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7721 2004-09-15
JPJP-P-2004-00267721 2004-09-15
JPJP-P-2005-00097997 2005-03-30
JP2005097997 200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43A true KR20060053943A (ko) 2006-05-22
KR100665166B1 KR100665166B1 (ko) 2007-01-04

Family

ID=3494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767A KR100665166B1 (ko) 2004-09-15 2005-07-20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77989B2 (ko)
EP (1) EP1637785B9 (ko)
KR (1) KR100665166B1 (ko)
CA (1) CA2510987C (ko)
DE (1) DE602005021286D1 (ko)
DK (1) DK1637785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023A (ko) * 2011-12-27 2014-07-2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내스케일 박리성이 우수한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스테인리스강관
KR101470109B1 (ko) * 2010-06-09 2014-12-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내수증기 산화성이 뛰어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34B1 (ko) * 2005-12-28 2007-06-18 주식회사 포스코 응고조직이 미세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제조방법 및이로써 제조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EP1990552B1 (en) * 2006-02-10 2013-10-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Bo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lt
EP1997918B1 (en) * 2006-03-02 2019-08-07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excellent in steam resistance oxidation characteristics
CN101506393B (zh) * 2006-08-23 2011-08-03 Nkk钢管株式会社 耐高温水蒸气氧化性优异的锅炉用奥氏体系不锈钢钢管
DE102006062348B4 (de) * 2006-12-22 2016-10-06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Europe Gmbh Oberflächengestrahlte Dampferzeugerbauteile oder Kraftwerkskomponenten
EP1975269A1 (fr) * 2007-03-30 2008-10-01 Imphy Alloys Alliage austenitique fer-nickel-chrome-cuivre
JP5014915B2 (ja) * 2007-08-09 2012-08-29 日新製鋼株式会社 Ni節減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20150010425A1 (en) 2007-10-04 2015-01-0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S2420839T3 (es) * 2007-10-04 2013-08-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cero inoxidable austenítico
US8865060B2 (en) 2007-10-04 2014-10-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O2009119048A1 (ja) * 2008-03-28 2009-10-0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油井管に用いられるステンレス鋼
WO2010010916A1 (ja) * 2008-07-23 2010-01-28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尿素水タンク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546911B2 (ja) * 2009-03-24 2014-07-09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熱性と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EP2287351A1 (en) * 2009-07-22 2011-02-23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Heat-resistant austenitic steel having high resistance to stress relaxation cracking
KR20140044318A (ko) * 2011-03-31 2014-04-1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주강
CA2830155C (en) * 2011-06-24 2015-12-2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arburization resistant metal material
CA2837281C (en) * 2011-06-28 2015-12-2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Austenitic stainless steel tube
RU2507294C2 (ru) * 2011-11-18 2014-02-20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Аустенитная нержавеющая сталь
JP2021183721A (ja) * 2020-05-22 2021-12-02 日本製鉄株式会社 Ni基合金管および溶接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30A (en) * 1975-07-14 1977-01-24 Nippon Kokan Kk Method of preveting oxidation of austenite stainless steel due to highhtemperature steam
JPS53104531A (en) * 1977-02-25 1978-09-11 Hitachi Ltd Surface processing method decreasing stress corrosion cracking
JPS5550426A (en) 1978-10-11 1980-04-12 Sumitomo Metal Ind Ltd Steel pipe inside treating method to provide oxidation resistance
JPS5985849A (ja) 1982-11-06 1984-05-17 Sumitomo Metal Ind Ltd ステンレス鋼管の水蒸気酸化防止方法
JPH03268940A (ja) * 1990-03-19 1991-11-29 Sumitomo Metal Ind Ltd 耐熱・耐硫化水素割れ性に優れた絶縁被覆金属管および継手
JPH05202448A (ja) 1991-12-27 1993-08-10 Nisshin Steel Co Ltd 改良された電子管用材料
JPH06322489A (ja) 1993-05-14 1994-11-22 Sumitomo Metal Ind Ltd 耐水蒸気酸化性に優れたボイラ用鋼管
JP3379345B2 (ja) 1996-08-23 2003-02-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酸化層を有する13Cr系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H10204530A (ja) 1997-01-20 1998-08-04 Sanyo Special Steel Co Ltd クリーンチューブ用鋼管の製造方法
TW426753B (en) 1997-06-30 2001-03-21 Sumitomo Metal Ind Method of oxidizing inner surface of ferritic stainless steel pipe
JP3567717B2 (ja) * 1998-02-23 2004-09-2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MY120831A (en) * 1998-12-08 2005-11-30 Sumitomo Metal Ind Martensitic stainless steel products.
JP2002060964A (ja) * 2000-08-22 2002-02-28 Sumikin Stainless Kokan Kk 表面清浄な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00847B2 (ja) 2001-03-23 2007-04-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耐熱鋼の加工方法
JP3632672B2 (ja) * 2002-03-08 2005-03-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水蒸気酸化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09B1 (ko) * 2010-06-09 2014-12-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내수증기 산화성이 뛰어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94023A (ko) * 2011-12-27 2014-07-2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내스케일 박리성이 우수한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스테인리스강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7785B9 (en) 2011-01-05
KR100665166B1 (ko) 2007-01-04
US20060057414A1 (en) 2006-03-16
US7377989B2 (en) 2008-05-27
EP1637785B1 (en) 2010-05-19
CA2510987C (en) 2009-09-15
DE602005021286D1 (de) 2010-07-01
EP1637785A1 (en) 2006-03-22
DK1637785T3 (da) 2010-08-16
CA2510987A1 (en)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166B1 (ko) 관 내 표면의 스케일의 내박리성이 우수한 강관
KR101121325B1 (ko) 내수증기 산화성이 뛰어난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4492805B2 (ja) 管内表面のスケールの耐剥離性に優れた鋼管
CN108367396B (zh) 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材料、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接头以及铁素体系耐热钢用焊接接头的制造方法
EP1867745B1 (en) Ferritic heat-resistant steel
EP2615188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KR101600735B1 (ko) 내스케일 박리성이 우수한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스테인리스강관
US20090098403A1 (en) Low alloy steel for oil country tubular goods and seamless steel pipe
WO2012111536A1 (ja) 二相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24914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08023702A1 (fr) Acier inoxydable martensitique
WO2019131954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
EA036004B1 (ru) Высокохромистая мартенситная жаропрочная сталь, характеризующаяся высокой длительной прочностью и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окислению
WO2007029687A1 (ja) 低合金鋼
CN100473730C (zh) 管内表面的鳞片的耐剥离性优良的钢管
JP3698058B2 (ja) 高Crフェライト系耐熱鋼材
JP2017128775A (ja) ステンレス鋼およびステンレス鋼管
JP2005023354A (ja) 低炭素ステンレス鋼管の配管溶接継手とその製造方法
JPH06299301A (ja) 110Ksi グレードの高強度耐食性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JPH07258780A (ja) 耐浸炭性に優れた耐熱合金
JP2021195602A (ja) 低合金耐熱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