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595A - 액체 조미료 - Google Patents

액체 조미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595A
KR20060052595A KR1020050107611A KR20050107611A KR20060052595A KR 20060052595 A KR20060052595 A KR 20060052595A KR 1020050107611 A KR1020050107611 A KR 1020050107611A KR 20050107611 A KR20050107611 A KR 20050107611A KR 20060052595 A KR20060052595 A KR 20060052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quid seasoning
soy sauce
ac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537B1 (ko
Inventor
시게미 츠치야
요우코 세오
준 고호리
류지 오치아이
아츠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 (C) :
(A) 나트륨 3.55중량% 이하,
(B) 칼륨 0.5 ~ 4.2중량%、
(C) 교감 신경 억제 물질 0.05 ~ 5중량%
를 함유하는 액체 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이 액체 조미료는, 식염 농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충분히 짠맛을 느끼고, 혈압 강하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높은 레벨에서 발휘한다.
액체 조미료

Description

액체 조미료{LIQUID SEASONING}
도 1은 액체 조미료를 투여한 후 6시간 후의 수축기에서의 혈압 강화 작용을 나타냄.
본 발명은 액체 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중에 함유되는 여러 가지 성분의 생리작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후생노동성이 그러한 생리학적 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관여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식품에 대하여,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 허가하는 케이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식품은, 음료, 요구르트, 스프, 된장국, 햄버그 등의 반찬, 정과(錠菓)·정제 등의 형태로 상품화되어 있어, 1일 1 ~ 2회의 섭취가 권장되고 있다.
생리 활성 기능으로서는 교감 신경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혈압 강하 작용, 간기능 개선 작용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기능을 갖는 소재로서 교감 신경 억제 물질, 폴리페놀류, 펩티드 등이 있다. 인간은 사회 생활에 의해 여러가지 스트레스를 받아, 교감 신경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생활 습관병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교감 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물질을 계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하나의 예방 수단이 된다. 그 중에서도 식품 중에 함유되어 안정성이 높은 물질로서 γ-아미노부티르산이 있고, 식품 중의 함유량을 많게 하거나 첨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4756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3-16965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3529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7-227245호).
또한 γ-아미노부티르산은, 교감 신경 억제 작용과 함께, 염분의 과잉섭취에 대하여 요로의 나트륨 이온의 배출을 촉진시켜,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Hubert C. Stanton, Archint. Pharmacodyn., 143, p195-204, 1963). 그래서, 염분을 많이 함유하는 식품의 대표예인 간장과 조합하는 기술이 다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29012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18750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36028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2-300862호, 특허 제3166077호). 그러나, γ-아미노부티르산의 식품 중 함유량이 낮아, 유효량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다량으로 먹을 필요가 있다. 그러면 염분을 다량 섭취하게 되기 때문에, γ-아미노부티르산의 섭취 효과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γ-아미노부티르산의 제조에 있어서는, 원료로서 글루타민산을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정제도에 따라서는 다량으로 배합하면 풍미에 악영향이 생길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 (C) :
(A) 나트륨 3.55중량% 이하,
(B) 칼륨 0.5 ~ 4.2중량%、
(C) 교감 신경 억제 물질 0.05 ~ 5중량%
를 함유하는 액체 조미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미료, 특히 많은 요리의 조미에 사용되는 액체 조미료에 교감 신경 억제 물질 등의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을 배합하면, 평소의 식생활 중에서 특별한 의식없이 혈압 강하 작용을 향수(享受)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액체 조미료 중에서도 섭취 빈도, 섭취량으로부터 간장에 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간장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혈압 강하 작용을 소구(訴求)하는 것을 고려하면, 염분을 통상보다 줄인 간장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과 조합한 경우에 생기는 풍미의 문제, 및 다량으로 먹은 경우의 염분의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아, 계속적으로 섭취하는 것에 관해서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감염(減鹽) 간장류로 대표되는 감염된 식품과 조합한 경우에는, 짠맛 면에서 어딘가 부족함이 생기기 때문에, 짠맛의 증강이라는 과제도 있다. 감염된 식품의 풍미를 개량하는 기술은 여러가지 있고 (일본 특허 제2675254호, 일본 특허공보 평06-979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66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456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65577호, 일본 특허공보 평05-0079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87841호), 각각 일정한 효과를 올리고 있지만, 여전히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식염 농도의 저하와 짠맛의 양립이라는 점에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자는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을 함유시킨 액체 조미료에 있어서, 풍미를 개선하고, 또한 나트륨 농도를 3.55중량% 이하 (식염 농도를 9중량% 이하)로 해도 짠맛을 느끼게 하는 수단에 대해서 검토해 온 결과, 나트륨 농도를 3.55중량% 이하 (식염 농도를 9중량% 이하)로 낮게 하고, 또한 칼륨을 0.5 ~ 4.2중량% 로 함으로써, 교감 신경 억제 물질을 배합해도 풍미가 저하되지 않고, 짠맛이 보다 강하게 느껴져, 맛이 양호한 액체 조미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계속적 섭취가 가능해져, 혈압 강하 작용을 높은 레벨에서 갖는 것을 알아냈다.
또, 본원에 있어서의 「감염 간장류 」란, 제품 100g 중의 나트륨량이 3550mg (식염으로서 9g) 이하의 「간장」 및 「간장 가공품」을 말하고, 영양개선법의 환자용의 특별 용도 식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장 」이란 일본농림규격으로 정하는 바의 액체 조미료이며, 「간장 가공품 」이란 일본농림규격에 적합한 「간장」에 조미료, 산미료(酸味料), 향료, 우린 국물, 엑기스류 등을 첨가한, 「간장」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액체 조미료를 말한다. 여기에서, 본원에서 기재하는 「간장」은, 일본농림규격의 「간장」과 동일한 개념이다. 또한 본원에서 기재하는 「액체 조미료」는, 상기한 감염 간장류 및 감염 간장의 규격에서는 벗어나지만 본원의 요건을 구비한 조미료를 포함시키는 개념으로 한다. 또, 액체 조미료의 업계에 있어서는, 배합 물질의 함유량은, 보통 w/v% 로 표기하지만, 본원에 있어서는, 각 성분의 배합량은 액체 조미료 전체 중의 중량%(w/w%)로 기재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간장의 질소분의 경우, 「1.6중량%」는 「1.9w/v%」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 중의 (A) 나트륨의 함유량은 3.55중량%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18 ~ 3.5중량%, 더욱 2.75 ~ 3.5중량%, 특히 3.1 ~ 3.4중량%、특히 3.2 ~ 3.4중량% 인 것이 혈압 강하 작용 및 풍미 (짠맛을 충분히 느끼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함유량」이란 아래에서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액체 조미료 전체 중의 비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에서의 나트륨으로는, 식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 중의 식염의 함유량은 9 중량%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3 ~ 9중량%, 더욱 7 ~ 9중량%, 특히 8 ~ 9중량%, 특히 더욱 8.2 ~ 8.8중량%인 것이 혈압 강화작용 및 풍미 (짠맛을 충분히 느끼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 중의 (B) 칼륨의 함유량은 0.5 ~ 4.2중량% 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 ~ 3.6중량%, 더욱 1.5 ~ 3.1중량%, 특히 1.7 ~ 2.7중량%인 것이, 나트륨 함유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짠맛을 증강시키고, 또한 쓴맛을 내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칼륨은 짠맛이 있고, 또한 이상한 맛(異味)이 적은 점에서 염화칼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칼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을 1 ~ 8중량%, 바람직하게는 1 ~ 7중량%, 더욱 2 ~ 6중량%, 특히 3 ~ 5중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 함유량과 칼륨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빚는 물로서 식염과 예를 들면 염화칼륨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 ; 염화칼륨 단독 용액을 빚는 물로 사용해서 얻은 간장과 식염수를 단독으로 빚는 물로 사용해서 얻은 간장을 혼합하는 방법 ; 식염수를 빚는 물로 사용한 통상 의 간장을 전기투석, 막처리 등에 의해 나트륨을 제거한 탈염 간장에 염화칼륨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는, (C) 교감 신경 억제 물질을 0.05 ~ 5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0.2 ~ 3중량%, 특히 0.5 ~ 3중량% 로 하는 것이, 혈압 강하 작용 및 풍미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C) 교감 신경 억제 물질로서는, γ-아미노부티르산, 타우린 및 이들의 염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γ-아미노부티르산이, 혈압 강하 작용, 안전성, 풍미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γ-아미노부티르산으로서는, 식품 중에 함유되는 것을 추출한 것 외에, L-글루타민산 함유 식품에 디카르복실라아제를 작용시켜 생성시킨 것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액체 조미료에 사용하기에 최적한 것으로서, 어(魚)간장을 거르지 않은 것이나 그 압착액, 어간장을 발효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에 사용하기에 최적한 것으로서, 발효 대두, 쌀 배아, 쌀겨를 원료로 하는 것이,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발효에 의해 얻어진 조(粗)생성물로부터 추출·정제함으로써 순도 100% 의 γ-아미노부티르산도 얻어지고 있고,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타우린으로서는, 식품 (어개(魚介), 조개류) 중에 함유되는 것을 추출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에 대한 타우린의 배합량은, 혈압 강하 작용 및 풍미면에서 0.05 ~ 5중량%, 더 욱 0.2 ~ 3중량%, 특히 0.5 ~ 2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액체 조미료 중, 성분 (C) 를 제외한 부분의 질소함유량이 1.6중량% 이상인 것이,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을 함유시킨 것임에도 불구하고, 풍미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 나트륨 또는 식염 함유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짠맛을 증강시키고, 또한 쓴맛을 내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질소의 함유량은 1.6 ~ 2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간장에 있어서는 질소함유량을 높게 하면 순한 맛이 되고, 짠맛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나트륨 또는 식염 함유량이 낮고, 칼륨이 함유되어 있는 간장으로서, 전체 질소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짠맛이 향상되는 것은 전혀 예상 밖이었다.
일반적인 간장의 질소 함유량은 1.2 ~ 1.6중량% 이지만, 질소함유량을 1.6중량%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양조한 간장에, 농축 및 탈염의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염 농축법에 의해 나트륨 또는 식염을 제거함과 함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 성분에 의한 희석율을 조정하는 방법이나, 전기 투석 장치에 의해 나트륨 또는 식염을 제거할 때에 발생하는 이온의 수화수의 이동을 이용하여, 질소분도 동시에 농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통상보다 식염분이 낮은 감염 간장을 RO막이나 감압 농축에 의해, 질소함유량을 높이는 방법이나, 반대로, 콩만으로 담근 진간장, 다시 빚은 간장과 같은 질소함유량이 높은 간장으로부터 탈염하는 것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질소 함유량을 1.6중량%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방법 외에, 아미노산계 조미료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리 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시스틴, 트레오닌, 티로신, 이소류신,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히스티딘, 리신, 아르기닌 또는 이들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염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중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이 짠맛의 지속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아미노산계 조미료의 함유량은 각각 유리된 아미노산으로 환산한 경우, 글리신은 0.3중량% 초과, 알라닌은 0.7중량% 초과, 페닐알라닌은 0.5중량% 초과, 시스틴은 0중량% 초과, 트레오닌은 0중량% 초과, 티로신은 0.2중량% 초과, 이소류신은 0.5중량% 초과, 글루타민산은 1.3중량% 초과, 아스파라긴산은 0.7중량% 초과, 히스티딘은 0.1중량% 초과, 리신은 0.4중량% 초과, 아르기닌은 0.5중량% 초과이고, 또한 각각 상한은, 글루타민산은 2중량% 이하, 아스파라긴산은 3중량% 이하, 그 외의 것은 1.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액체 조미료에 추가로 핵산계 조미료, 유기산염계 조미료 및 산미료 등을 함유하는 것이 상승적으로 짠맛을 증강시킬 수 있는 점, 및 짠맛뿐만 아니라, 쓴맛의 저감, 간장 느낌의 증강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핵산계 조미료로서는 5'-구아닐산, 이노신산, 5'-리보뉴클레오티드, 우리딜산, 아데닐산 및 이들의 나트륨, 칼륨 혹은 칼슘 염 등, 효모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핵산계 조미료의 함유량은 0 ~ 0.2중량% 가 바람직하고, 더욱 0.005 ~ 0.2중량%, 0.01 ~ 0.1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산염계 조미료로서는 락트산, 숙신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 루콘산 등의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숙신산2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들 함유량은 0 ~ 0.3중량% 가 바람직하고, 0.05 ~ 0.2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미료로서는, 락트산, 숙신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락트산, 말산, 시트르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락트산이 바람직하다. 락트산의 함유량은 0 ~ 2중량% 가 바람직하고, 0.3 ~ 1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말산, 시트르산의 함유량은 0 ~ 0.2중량% 가 바람직하고, 0.02 ~ 0.1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는, 액체 조미료의 pH 가 3 ~ 6.5, 더욱 4 ~ 6, 특히 4.5 ~ 5.5 인 것이, 풍미가 열화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염소량 4 ~ 9중량%、고형분량 20 ~ 45중량%의 특수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조미료의 짠맛을 증강시키는 첨가제로서는 염화암모늄, 락트산칼슘 등도 효과가 있지만, 배합한 간장을 이용하여 가열 조리했을 때에, 전자에서는 이상한 맛을 내고, 후자에서는 조리하는 식품이 딱딱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에, 범용 조미료로서의 기능도 갖춘 간장으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의 액체 조미료에는, 기호 등에 따라 에탄올, 미림, 양조초, 감미료 등을 첨가할 수 있어, 장국, 소스 등, 각종 간장가공품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는, 계속 섭취함으로써, 고혈압증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의 용기에는, 「혈압이 걱정되 는 분에게 적합합니다」, 「혈압이 높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혈압을 하강시키는 기능이 있다」, 「혈압 조정 작용이 있다」등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
〔베이스 간장의 조정〕
시판되는 감염 간장 D (질소 농도 1.5중량%、나트륨 농도 3.18중량% (식염 농도 8.1중량%)、칼륨 농도 0.38중량%)를 감압 농축시켜, 최종적으로 휘발수, 식염으로, 질소 농도 1.8중량%、나트륨 농도 3.34중량% (식염 농도 8.5중량%)、칼륨 농도 0.45중량% 로 조정하여 감염 간장 A 로 했다. 또한 시판되는 감염 간장 C (질소 농도 1.4중량%、나트륨 농도 3.18중량% (식염 농도 8.1중량%)、칼륨 농도 0.26중량%)를 감압 농축시켜, 최종적으로 휘발수, 식염으로, 질소 농도 1.85중량%、나트륨 농도 3.30중량% (식염 농도 8.4중량%)、칼륨 농도 0.33중량% 로 조정하여 감염 간장 B 로 했다.
(1) 시험예 1 ~ 19
상기한 감염 간장 A, B, C 및 D 를 베이스 간장으로 하여, 각각 염화칼륨, 산미료, 핵산계 조미료, 아미노산계 조미료 등, 및 교감 신경 억제 물질을 첨가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액체 조미료를 조제했다. 교감 신경 억제 물질로서, γ-아미노부티르산, 타우린을 첨가하고,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액체 조미료를 조제했다.
(2) 나트륨 함유량의 측정법
액체 조미료 중의 나트륨 함유량은 원자 흡광 광도계 (Z-6100형 히타치 편광 제만 원자 흡광 광도계) 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식염의 함유량은 얻어진 나트륨 함유량으로부터 환산하였다.
(3) 칼륨 함유량의 측정법
액체 조미료 중의 칼륨의 함유량은 상기 서술한 나트륨 농도 측정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측정했다.
(4) 질소 함유량의 측정법
액체 조미료 중의 질소 농도는 전체 질소 분석 장치 (미쓰비시 가세이 TN-05형) 에 의해 측정했다. 표 중에는 (C) 혈압 강하 작용을 갖는 물질을 제거하는 액체 조미료 중의 값을 나타냈다.
(5) 관능 평가 방법
얻어진 액체 조미료 (감염 간장) 에 대해서, 패널 10명에 의해 짠맛 및 쓴맛을 관능 평가했다. 또한 간장으로서의 종합 평가도 하였다. 각 평가 기준을 하기에,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짠맛의 평가 기준〕
1 : 감염 간장과 동등 (식염 9중량% 상당)
2 : 감염 간장과 레귤러품 (통상품) (식염 14중량% 상당) 의 중간 정도
3 : 레귤러품 (통상품) 에 비교해 약간 약하다
4 : 레귤러품 (통상품) 과 동등
5 : 레귤러품 (통상품) 보다도 강하다
〔쓴맛의 평가 기준〕
1 : 없다
2 : 아주 약간 느낀다
3 : 약간 느낀다
4 : 느낀다
5 : 강하게 느낀다
〔이상한 맛의 평가 기준〕
1 : 없다
2 : 아주 약간 느낀다
3 : 약간 느낀다
4 : 느낀다
5 : 강하게 느낀다
〔종합 평가의 판단 기준〕
◎ : 짠맛이 있음 (4 이상), 또한 쓴맛, 이상한 맛이 없음 (1 이하)
○ : 짠맛이 있음 (4 이상), 또한 쓴맛, 이상한 맛이 약간 있음 (2 이하)
△ : 짠맛이 약하고 (1 이하), 또한 쓴맛, 이상한 맛이 없음 (1 이하), 또는
짠맛이 약간 약하고 (3 이하), 또한 쓴맛, 이상한 맛이 약간 있음 (3 이하)
× : 쓴맛 및 이상한 맛이 있음 (3 이상)
Figure 112005064761430-PAT00001
(7) 혈압 강하 작용의 측정 방법
(a) 사용 동물
실온 25±1℃, 습도 55±10% RH, 조명 시간 12시간 (오전 7시 ~ 오후 7시) 의 조건 하 (랫트 구역내 사육실) 에서 사육한 16주령의 웅성 자연 발증 고혈압 랫트 (SHR).
(b) 투여 방법 및 투여량
대조구에서는 생리식염수를 사용했다. 투여 방법은 경구 투여로 하고 금속제 위 존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투여했다. 투여량은 5㎖/㎏ 으로 했다.
(c) 시험 방법
절식한 SHR 을 1군 3마리 사용했다. 경구투여 전과 6시간 후의 꼬리동맥의 수축기 혈압을 시판되는 랫트용 비관식 혈압 측정 장치 (소프트론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d) 통계학적 처리 방법
얻어진 측정 결과는, 변화율의 평균치 및 표준 오차 (SE) 로 나타내 Student's T-test 를 실시했다.
표 1 중 시험예 7, 13, 15, 16, 생리식염수의 혈압 강하 작용을 검토했다. 이 결과를 도 1 에 나타냈다.
도 1 로부터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를 섭취함으로써, 혈압 강하가 관찰되었다. 또한 표 1 로부터 나트륨 농도가 낮고, 또한 교감 신경 억제 물질을 배합한 경우에도, 칼륨 농도를 본 발명의 범위로 함으로써, 짠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어, 간장으로서 무리없이 계속 섭취할 수 있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액체 조미료는 계속 섭취함으로써, 고혈압증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음 성분 (A) ~ (C) :
    (A) 나트륨 3.55중량% 이하,
    (B) 칼륨 0.5 ~ 4.2중량%、
    (C) 교감 신경 억제 물질 0.05 ~ 5중량%
    를 함유하는 액체 조미료.
  2. 제 1 항에 있어서, 교감 신경 억제 물질이 γ-아미노부티르산, 타우린 및 이들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인 액체 조미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 조미료가 감염 간장류인 액체 조미료.
KR1020050107611A 2004-11-12 2005-11-10 액체 조미료 KR101243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9850A JP4630042B2 (ja) 2004-11-12 2004-11-12 液体調味料
JPJP-P-2004-00329850 2004-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595A true KR20060052595A (ko) 2006-05-19
KR101243537B1 KR101243537B1 (ko) 2013-03-20

Family

ID=3638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611A KR101243537B1 (ko) 2004-11-12 2005-11-10 액체 조미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60105065A1 (ko)
JP (1) JP4630042B2 (ko)
KR (1) KR101243537B1 (ko)
CN (1) CN1771837B (ko)
TW (1) TWI3670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328A (ja) * 2004-09-22 2006-04-06 Kikkoman Corp 低食塩醤油
US7666409B2 (en) * 2004-11-16 2010-02-23 Kao Corporation Low salt liquid seasoning with antihypertensive activity
WO2007145334A1 (ja) 2006-06-16 2007-12-21 Kikkoman Corporation γ-アミノ酪酸高含有醤油調味料
US9095163B2 (en) 2009-07-15 2015-08-04 Kao Corporation Packed soy sauce-containing liquid seasoning
JP5628833B2 (ja) 2009-12-25 2014-11-19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醤油及びその製造法
CN104886603B (zh) * 2015-06-17 2017-08-22 青岛海百合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富含γ‑氨基丁酸的海鲜调味料及其制备方法
JP6975436B2 (ja) * 2019-02-28 2021-12-01 株式会社Mizkan Holdings 酢酸含有調味液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6793A (en) * 1974-03-18 1978-01-03 Ajinomoto Co., Inc. Seasoning composition and preparation thereof
JPS5668372A (en) * 1979-10-20 1981-06-09 Kikkoman Corp Preparation of seasoning containing salt
JPS58209957A (ja) * 1982-05-31 1983-12-07 Ichikawa Kagaku Kenkyusho:Kk 減塩醤油
JPS5955165A (ja) * 1982-09-22 1984-03-30 Kikkoman Corp 醤油の製造法
GB2193206B (en) * 1986-07-31 1990-02-14 Farmitali Carlo Erba S P A Preparation of taurine-containing peptides
JPH02167052A (ja) 1988-06-17 1990-06-27 Kanebo Ltd 経口摂食組成物
JPH03139258A (ja) * 1989-10-20 1991-06-13 Hiroyuki Akai 塩味調味料
JP3068656B2 (ja) 1991-03-07 2000-07-24 アピ株式会社 新規なペプチド及び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ペプチド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経口摂食組成物
JPH057987A (ja) 1991-06-28 1993-01-19 Sekisui Chem Co Ltd プラスチツク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JP3117779B2 (ja) 1992-02-24 2000-12-18 仙味エキス株式会社 新規ペプチドα−1000
JPH0697972A (ja) 1992-09-11 1994-04-08 Sony Corp 遅延検波位相補正回路
CN1044080C (zh) 1992-10-06 1999-07-14 河嶋善一 咸味组合物
US5562942A (en) * 1993-10-05 1996-10-08 Koh; Hen-Sik Salt compositions
JP2704493B2 (ja) 1994-02-18 1998-01-26 京都府 発酵食品の製造方法
US5662942A (en) * 1996-04-15 1997-09-02 Kim, Ii; Anthony Kit for obtaining fingerprint impression and method of using same
JP3549366B2 (ja) * 1996-06-20 2004-08-0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飲食物の塩から味及び/又は旨味増強方法
JPH11127A (ja) * 1997-06-11 1999-01-06 Koumei Kikaku:Kk タウリンを添加した調味料
JPH1132693A (ja) 1997-07-23 1999-02-09 Sanei Toka Kk トウモロコシ蛋白質の酵素分解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66077B2 (ja) 1997-08-08 2001-05-14 栃木県 麹菌を利用したγ−アミノ酪酸富化食品の製造方法
JP2991687B2 (ja) 1997-12-25 1999-12-20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調味料用組成物
US6974597B2 (en) * 1999-11-29 2005-12-13 Kyowa Hakko Kogyo Co., Ltd. Method of enhancing salty taste, salty taste enhancer, salty taste seasoning agent and salty taste-enhanced foods
JP4295886B2 (ja) 2000-03-02 2009-07-15 日本サプリメント株式会社 ペプチドの精製方法
JP3394737B2 (ja) 2000-03-03 2003-04-07 正田醤油株式会社 低塩醤油調味料
JP4137349B2 (ja) 2000-06-13 2008-08-20 フジッコ株式会社 γ−アミノ酪酸を高含有した食品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食品素材
JP2002053595A (ja) * 2000-08-14 2002-02-19 Abo Kenji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物質とその製造法
JP2002165577A (ja) 2000-11-30 2002-06-11 Yamasa Shoyu Co Ltd 呈味の改善された低塩醤油
JP2002300862A (ja) * 2001-02-05 2002-10-15 Kikkoman Corp γ−アミノ酪酸含有天然食品素材の製造方法
JP3561779B2 (ja) 2001-02-09 2004-09-02 ウマイ株式会社 ポリフェノール含有食品
JP4968869B2 (ja) 2001-06-13 2012-07-04 宝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γ−アミノ酪酸の製造方法
JP4325834B2 (ja) 2001-09-26 2009-09-02 宝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ルコール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6863908B2 (en) * 2002-04-25 2005-03-08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Universal sauce base
JP3860533B2 (ja) 2002-10-15 2006-12-20 マルコメ株式会社 γ−アミノ酪酸高含有食品素材の製造方法
JP4657568B2 (ja) 2002-10-30 2011-03-23 栃木県 γ−アミノ酪酸富化麹及び高塩分食品の製造方法
JP4045182B2 (ja) * 2002-12-16 2008-02-13 花王株式会社 液体調味料
JP4324397B2 (ja) * 2003-03-27 2009-09-02 花王株式会社 液体調味料
JP2004290129A (ja) * 2003-03-28 2004-10-21 Kikkoman Corp 食塩含有飲食品
US20050181083A1 (en) * 2003-04-18 2005-08-18 Toyo Shinyaku Co., Ltd. Diet food product
US8703209B2 (en) * 2003-06-17 2014-04-22 Edward Larry McCleary Composition and method for modulating hydrogen ion physiology
US7402328B2 (en) * 2003-12-08 2008-07-22 Ramon Efrain Vasquez Stable sodium-free or low-sodium aqueous solution of agreeable saltiness taste
JP2006087328A (ja) * 2004-09-22 2006-04-06 Kikkoman Corp 低食塩醤油
KR101255360B1 (ko) * 2004-11-12 2013-04-1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액체 조미료
US7666409B2 (en) * 2004-11-16 2010-02-23 Kao Corporation Low salt liquid seasoning with antihypertensive activity
JP4559345B2 (ja) 2004-11-19 2010-10-06 花王株式会社 液体調味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7868B2 (en) 2011-02-15
TWI367092B (en) 2012-07-01
US20060105065A1 (en) 2006-05-18
KR101243537B1 (ko) 2013-03-20
JP4630042B2 (ja) 2011-02-09
CN1771837B (zh) 2011-07-27
US20060275346A1 (en) 2006-12-07
TW200631573A (en) 2006-09-16
JP2006136262A (ja) 2006-06-01
CN1771837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227B1 (en) Saltiness-strengthening agent and food or drink containing the same
KR101245407B1 (ko) 액체 조미료
KR101255360B1 (ko) 액체 조미료
JP5680815B2 (ja) 塩化カリウム含有飲食品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塩化カリウム含有飲食品
KR101243537B1 (ko) 액체 조미료
JP5634069B2 (ja) 呈味が改善された液体調味料
EP2138053B1 (en) Method for enhancing salty taste-like taste of food and drink
JP2008510494A (ja) 骨格筋における異化過程の失活及びタンパク質合成のための組成物並びに方法
JP7367747B2 (ja) コク味付与機能を有する組成物
US20080113899A1 (en) Iron Supplement and Utilization of the Same
JP2005225874A (ja) 鉄補給剤及びその利用
JP4319968B2 (ja) 液体調味料
JP2008167660A (ja) 液体調味料
JP4559344B2 (ja) 液体調味料
JP4542884B2 (ja) 液体調味料
JP4319969B2 (ja) 液体調味料
JP2008088162A (ja) 睡眠補助剤および睡眠補助食品
JP6201085B1 (ja) グルタミン酸を有効成分とする味覚障害及び/又は食欲障害の改善剤
JP4792730B2 (ja) 抗疲労組成物
WO2024090519A1 (ja) 塩味増強又は異味抑制剤
EP4342308A1 (en) Off-flavor suppressing composition
JP2007091711A (ja) 疲労の予防又は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