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950A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950A
KR20060051950A KR1020050092172A KR20050092172A KR20060051950A KR 20060051950 A KR20060051950 A KR 20060051950A KR 1020050092172 A KR1020050092172 A KR 1020050092172A KR 20050092172 A KR20050092172 A KR 20050092172A KR 20060051950 A KR20060051950 A KR 20060051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e
calcium
glycol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562B1 (ko
Inventor
쥰지 콘도우
야수노리 호리오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29C33/72Cleaning
    • B29C33/722Compositions for clean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4Hydroxides or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11D3/048Nitrates or nit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6Phosphates, including poly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3Amino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1Phosphonates, phosphinates or phosphon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2Phosphates or phosph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803/00 - B29K2807/00, as mould material
    • B29K29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 C11D2111/18Glass;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0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46Specific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applying energy, e.g.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무기계 알칼리제 2~30중량%, (b)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0.5~20중량%, (c)칼슘염 0.01~2중량%[칼슘이온 환산], (d)칼슘이온 포착제 0.1~15중량%, (e)수용성 유기용제 1~30중량%, 및 (f)물 20~95중량%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다.
세정제 조성물, 플라스틱 렌즈, 수지상 오염, 무기계 알칼리제, 유리틀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CLEAN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무기계 유리 렌즈에 비해서 가볍고 잘 깨지지 않고 염색하기 쉽다. 게다가 하드코트 기술 향상과, 보다 나은 고굴절율의 수지재료의 개발에 의해서 더욱더 얇고 가벼운 렌즈의 가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를 비롯하여 많은 광학소자의 분야에서 무기계 유리 렌즈를 대신해서 보급되어 왔다.
플라스틱 렌즈용의 수지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것은 알릴디글리콜카보네이트(allyl diglycol carbonate; ADC)를 라디칼 중합해 얻어지는 수지이다. 그러나 최근에 보다 나은 고굴절율의 수지재료가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은 유황함유 우레탄 수지, 유황함유 에폭시 수지, 폴리티오(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유황함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피설파이드 수지 등의 굴절율 1.55이상의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 수지이다.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성형 유리틀이 사용된다. 이 성형 유리틀은 렌즈성형 후, 세정하여 재차 반복해서 사용된다. 플라스틱 렌즈성형 시에 성형 유리틀에 부착하는 오염으로서는 플라스틱 렌즈성형용 원료, 미반응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수지), 개스킷에서 흘러나온 성분, 가소제, 접착제, 몰드고정용 테이프 유래의 점착제 등의 고분자량의 수지상(樹枝狀) 오염,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플라스틱 렌즈 수지는 고도로 가교하여 매우 강고하게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극히 세정하기 어렵다.
성형 유리틀의 세정제로서 종래 알칼리제, 특정의 계면활성제, 칼슘이온 방출물질 및 물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 등(JP-A11-172300)이 알려지고 있다. 이 문헌에는 세정 대상물로서 종래 주류의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계 플라스틱 렌즈 수지나 우레탄계 수지 등의 굴절율이 1.50이하의 저굴절율 수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무기계 알칼리제(inorganic alkali) 2~30중량%,
(b)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0.5~20중량%,
(c)칼슘염(calcium salt) 0.01~2중량%[칼슘이온 환산],
(d)칼슘이온 포착제(calcium ion-sequestering agent) 0.1~15중량%,
(e)수용성 유기용제(water-soluble organic solvent) 1~30중량%, 및
(f)물 20~95중량%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plastic lens-molding glass die or mold)을 상기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세정하고, (B)세정된 상기 성형 유리틀을 헹구는 물로 씻어내는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세정 조성물의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 세정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표면에 부착해, 세정이 곤란한 폴리머(수지), 접착제, 몰드고정용 테이프(mold-fixing tape) 유래의 점착제(adhesive) 등의 고분자량의 수지상 오염, 플라스틱 렌즈성형용 원료, 미반응 모노머, 올리고머, 개스킷에서 흘러나온 성분(material bleeding out from a gasket), 가소제,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 그 중에서는 특히 굴절율 1.55이상의 고굴절율의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 수지 오염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가지고, 유리틀의 부식 방지성에 뛰어나며, 조성물의 안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용의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표면에 부착해, 세정이 곤란한 폴리머(수지), 접착제, 몰드고정용 테이프 유래의 점착제 등의 고분자량의 수지상 오염, 플라스틱 렌즈성형용 원료, 미반응 모노머, 올리고머, 개스킷에서 흘러나온 성분, 가소제,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 그 중에서도 특히 굴절율 1.55이상의 고굴절율의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 수지 오염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가지고, 유리틀의 부식 방지성(anticorrosion property)에 뛰어나며, 조성물의 안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용의 세정제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 한 세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표면에 부착해, 세정이 곤란한 플라스틱 렌즈 수지, 개스킷에서 흘러나온 가소제, 고정용 테이프의 접착제,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 그 중에서도 특히 굴절율 1.55이상의 고굴절율의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 수지 오염에 대해서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고, 성형 유리틀의 부식도 억제되면서 또한 조성물의 안정성이 양호하게 확보된다.
최근, 시장에 출시되어 온 굴절율 1.55이상의 고굴절율계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 유리틀에 있어서는 종래의 저굴절율계의 수지 오염과 비교하여도 수지 오염이 보다 강고하게 부착해 박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부착량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세정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곤란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성물을 고알칼리로 설정하고, 수지상 오염의 세정성을 향상하는 한편, 고알칼리 하에서도 부식 방지성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조성물을 안정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세정제 조성물>
(a)성분
(a)성분의 무기계 알칼리제는 (b)성분의 계면활성제와 병용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에 부착한 각종의 수지상 오염의 용해성, 각종의 수지형상 오염으로 침투성 및 수지상 오염의 윤활성, 및 그것에 동반하는 오염의 붕괴성을 상승 적으로 높이도록 작용한다.
(a)성분의 무기계 아카리제로서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알칼리금속 약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수산화 리튬,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금속 약산염으로서는 규산 리튬, 탄산 리튬, 규산 나트륨, 탄산 나트륨, 규산 칼륨, 탄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금속 약산염은 모두 조성물 중에 알칼리금속 또는 그 금속산화물로서 배합된 것이, 조성물 중에 배합된 물, 약산 또는 약산 수용액과 반응한 결과, 생성된 것도 포함한다.
(a)성분 중에서는 고알칼리성을 가짐으로써 수지 오염의 저분자량화와 박리성을 높이고, 뛰어난 세정 성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입수의 용이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칼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a)성분의 무기계 알칼리제의 함유량은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중량% 이상이며, 4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취급상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30중량% 이하이며, 28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4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
(b)성분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에 부착한 수지상 오염의 분해에 의한 저분자량화 및 수지상 오염의 박리성을 비약적으로 높이고, 나아가 박리한 오염의 재부착을 방지하고 방지하는 점에서 세정성을 극단적으로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탄소수 1~18인 것을 "(C 1-18)"과 같이 약기(略記)할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POE 1~5"로 약기했을 때는 에틸렌옥사이드가 평균으로 1~5몰 부가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HLB는 Griffin의 식에 기초해서 산출한 것이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카르본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황산 에스테르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폰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인산 에스테르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는 (a)성분을 고농도로 사용할 시의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이나 세정성 및 세정 후의 린스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황산 에스테르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폰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평균 HLB(친수성 친유성 밸런스)가 4~18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황산 에스테르염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0~2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황산염;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를 가지는 알케닐 황산염; 탄소수 10~2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고, 또한 POE 2~25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탄소수 10~20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설폰산염;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를 가지는 알케닐설폰산염; 탄소수 8~16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벤젠 설폰산염; 탄소수 2~6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나프탈렌 설폰산염; 탄소수 10~20의 직쇄 알킬기, 분기쇄 알킬기 또는 환상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설포석신산; 탄소수 10~20의 알케닐기를 가지는 알케닐설포석신산염; 탄소수 6~18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기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염; 탄소수 6~18의 알케닐기를 가지는 알케닐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평균 HLB가 4~18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POE 2~37)(C 12~14)합성알코올에테르, (POE 1~34)라우릴에테르, (POE 2~46)세틸에테르, (POE 2~51)스테알릴에테르, (POE 2~51)올레일에테르, (POE 2~38)옥틸페닐에테르, (POE 2~41)노닐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평균 HLB는 무기이온 성분이 고농도로 존재할 경우의 세정 후의 린스성의 관점에서, 4이상이 바람직하고, 8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1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고, 세정성의 관점에서, 18이하가 바람직하고, 15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4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3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나아가 (a)성분의 함유량이 2중량% 이상, 특히 4중량% 이상의 경우, 황산 에스테르염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설폰산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 하다.
황산 에스테르염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설폰산염형 아니온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황산에스테르나트륨, 테트라데실황산에스테르나트륨, 라우릴황산에스테르암모늄, 라우릴황산에스테르트리에타놀아민; (POE 3~10)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POE 3~10)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타놀아민, (POE 2~10)(C 12~13) 합성알코올에테르황산나트륨, (POE 20~25)오일에테르황산나트륨, (POE 2~10)옥틸페놀에테르황산 나트륨, (POE 4~18)노닐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옥틸설폰산나트륨, (C 10~18)α-올레핀설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부틸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디2-에틸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디옥틸설포석신산나트륨, 디이소트리데실설포석신산나트륨, 디시클로헥실설포석신산나트륨; 옥틸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나트륨, 도데실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모두 수지상 오염의 세정성의 향상, 세정 능력의 지속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a)성분의 함유량이 2중량% 이상, 특히 6중량% 이상의 조성물인 경우,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과 세정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b)성분은 (POE 3~10)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POE 3~10)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타놀아민, (POE 2~10)(C 12~13)합성알코올에테르황산나트륨, (POE 20~25)올레일에테르황산나트륨, (POE 2~10)옥틸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POE 4~18)노닐페놀에테르황산나트륨; 옥틸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나트륨, 도데실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나트륨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성분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세정성의 관점에서 0.5중량% 이상이며, 1.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제의 점도가 상승하는 등의 세정제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20중량% 이하이며, 1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
(c)성분의 칼슘염은, (a)성분에 의한 성형 유리틀의 부식을 방지하고, (a)성분 및 (b)성분의 병용 효과를 높이게끔 작용한다.
(c)성분으로서는 무기계 칼슘염, 유기계 칼슘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칼슘염으로서는 수산화칼슘, 염화칼슘, 질산칼슘, 아질산칼슘, 차아인산칼슘(calcium hypophosphite), 인산칼슘, 피로인산칼슘(calcium pyrophosphate), 트리폴리인산칼슘, 폴리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성분은 금속칼슘 또는 산화칼슘을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하고, 물, 무기산염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수산화칼슘이나, 탄산칼슘 등의 무기산 칼슘염을 생성시킨 것이라도 좋다.
유기계 칼슘염으로서는 직쇄 알킬카르본산칼슘, 알킬렌카르본산칼슘, 방향족 카르본산칼슘, 옥시카르본산칼슘, 다가카르본산칼슘, 아미노카르본산칼슘, 유기황산칼슘, 유리설폰산칼슘, 유기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직쇄 알킬카르본산칼슘 및 알킬렌카르본산칼슘으로서는 포름산칼슘, 초산칼슘, 프로피온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카르본산칼슘으로서는 안식향산칼슘(calcium benzoate), m-히드록시 안식향산칼슘, p-히드록시안식향산칼슘, 2,3-디히드록시안식향산칼슘, 2,5-디히드록시안식향산칼슘, α-레졸신산칼슘, β-레졸신산칼슘, τ-레졸신산칼슘, 프로토카테추인산칼슘(calcium protocatechuic acid), 몰식자산칼슘(calcium gallate), 벤질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옥시카르본산칼슘으로서는 글리옥실산칼슘, 글리콜산칼슘, 젖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타트론산칼슘, 사과산칼슘, 주석산칼슘, 구연산칼슘, 점액산(mucic acid)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다가카르본산칼슘으로서는 옥살산칼슘, L-아스파라긴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본산칼슘으로서는 판토텐산칼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칼슘, N-히드록시에틸렌디아민-N,N',N'-트리아세트산칼슘,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칼슘,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칼슘, 트리에틸렌테트라민헥사아세트산칼슘, 트란스-1,2-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칼슘, 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트산칼슘, N,N-디(2-히드록시에틸)글리신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황산칼슘으로서는 알킬황산에스테르칼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칼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설폰산칼슘으로서는 알킬벤젠설폰산칼슘, 알킬나프탈렌설폰산칼슘, 디알킬설포석신산칼슘, 알킬디페닐에테르디설폰산칼슘, β-나프탈렌설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인산칼슘으로서는 글리세롤인산칼슘,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칼슘,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칼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칼슘,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성분은 2중량% 이상 함유하기 때문에,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과 유리의 부식 방지의 관점에서, (c)성분 중에서도 염화칼슘, 질산칼슘, 차아인산칼슘, 프로피온산칼슘, 안식방향칼슘, 젖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글리세로인산칼슘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의 함유량(칼슘이온 환산량)은 유리의 부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1중량% 이상이며, 0.02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36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5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품의 균일성 및 유리 표면의 품질유지의 관점에서 2중량% 이하이며,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2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
(d)성분의 칼슘이온 포착제는 세정성이나 유리의 부식 방지 효과의 지속성을 비롯해, (a)성분, (b)성분, (c)성분 및 (f)성분의 물을 배합할 때의 상용성 및 제품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여기에 칼슘이온 포착제라 함은 칼슘과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logKca가 1~14인 화합물을 말한다.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logKca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 다.
(1)우선, 칼슘이온 표준 수용액(검량선용 수용액)을 다음과 같이 조제한다. 즉 염화칼슘·2수화물을 사용해, Ca2 +이온이 0.01mol/L, 0.001mol/L, 0.0001mol/L의 수용액을 각각 50mL씩 조제하고, 4.8%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pH 9~11로 조정한 후, 염화칼슘의 4mol/L 수용액을 1mL 첨가하였다.
(2)다음으로, 측정 샘플의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즉, 고형분 환산에서 10mg의 칼슘이온 포착제를 100mL의 비어커로 칭량하고, 염화칼슘·2수화물을 사용해서 조제한 0.001mol/L의 칼슘이온 수용액을 50mL첨가하고, 교반기로 균일하게 교반한 후, 4.8%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pH 9~11로 조정하고, 염화칼륨의 4mol/L 수용액을 1mL 첨가하였다.
(3)측정은 오리온사 제품의 이온 아날라이저 EA920을 사용해, 오리온사 제품의 칼슘이온 전극 9302에 의해 행한다.
(4)검량선 및 샘플(중합체)의 측정값에서 샘플이 포착한 칼슘이온량을 구하고, 칼슘이온 포착제 고형분 1g당의 포착량을 탄산칼슘 환산의 mg수로 나타내고, 그 값을 칼슘이온 포착능값으로 한다.
(5)측정에서 구한 칼슘이온 포착능값을 사용해 "시바타 무라지, 사쿠타이카가쿠뉴몬, 쿄리츠슛빤(1963)"이나 "우에노 케이헤이, 뉴몬킬레이트카가쿠, 난토도(1969)"에 기재의 하기식에 의해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1ogKca을 구한다.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1ogKca"에 관해, 각종의 화합물에 대해서의 구체적인 수치로는 예를 들면, 코바야시 미치오, 후지모토 마사토시, 미즈마치 쿠니히코, 금속킬레이트 화합물, 쿄리츠슛빤 카부시키가이샤, 1960년, R. M. Smith and A. E. Martell, Critical Stability Constans, Vol. 2, Plenum Press, New York, 1975 및 L. G, Sillen and A. E.. Martell, Stability Constants of Metal-Ion Complexes, Supplement No. 1, Special Publication No. 25, The Chemical Society, Burlington House, London, 1971, p.273등의 많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d)성분으로서는 옥시카르본산 및 그 염, 카르본산 또는 다가카르본산 및 그 염, 방향족 카르본산 및 그 염, 아미노카르본산 및 그 염, 포스폰산 및 그 염, 인산 및 그 염, 히드록시벤젠, 다가알코올, 아미노나프톨설폰산 및 그 염, 트리에타놀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칼슘이온 포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옥시카르본산 및 그 염으로서는 글리옥실산, 글리콜산, 젖산, 글루콘산, 만델산, 타트론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점액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본산 또는 다가카르본산 및 그 염으로서는 옥살산, 마론산, 석신산, 글루탈산, 아디핀산, 피메린산(pimelic acid), 푸마르산, 말레산, 디글리콜산, L-아스파라긴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카르본산 및 그 염으로서는 m-히드록시안식향산, p-히드록시안식향산, 2,3-디히드록시안식향산, 2,5-디히드록시안식향산, α-레졸신산, β-레졸신산, τ-레졸신산, 프로토카테추인산, 몰식자산(gallic acid), 탄닌산, 3,5-디니트로살리칠산(dinitrosalicylic acid), 살리칠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르본산 및 그 염으로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디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nitrilotriacetic acid), N-히드록시에틸렌디아민-N,N',N'-트리아세트산, 디에틸렌트라아민펜타아세트산,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헥사아세트산, 테트라에틸렌테트라민헥사아세트산, 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트산, N,N-디(2-히드록시에틸)글리신, 이미노디아세트산, 트란스-1,2-시클로헥산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폰산 및 그 염으로서는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인산 및 그 염으로서는 피로인산칼륨, 트리폴리인산칼륨, 폴리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시벤젠으로서는 2-히드록시페놀, 3-히드록시페놀, 2,3-디히드록시페놀 (피로갈롤; pyrogallol), 3,5-디히드록시페놀, 헥사히드록시시클로헥산, 아미노나프톨 등을 수 있다.
다가알코올로서는 D-소르비톨, D-만니톨, 돌시톨(dulcitol), D-아라비노스, 크실리톨(xylitol),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 D-만노오스, D-갈락토오스, 트레이톨(threitol)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성분을 2중량% 이상 함유하기 때문에,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과 유리의 부식 방지의 관점에서, (d)성분 중에서도 젖산, 글루콘산, 주석산, 구연산, 옥살산, 말레산, 몰식자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핀산), 1-히드록시에틸리덴-1,1-디포스폰산, 이들의 알칼리금속 또는 저급 아민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세정성이나, (a)성분, (b)성분, (c)성분 및 (f)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0.1중량% 이상이며, 0.3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8중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부식 방지 효과 및 세정 시에 있어서의 취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15중량% 이하이며,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에 있어서, 옥시카르본산 또는 칼슘이온과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logKca이 1~4의 칼슘이온 포착제(d1)와, 칼슘이온과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logKca 이 5~13의 칼슘이온 포착제(d2)를 조합시킴으로써, (a)성분이 고농도의 세정제 조성물의 보전 안정성과 유리의 부식 방지 효과의 관점에서 한층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을 조합시킬 경우, (d1)과 (d2)의 배합비율(d1/d2:중량비)은 98/2~50/50이며, 95/5~60/40이 바람직하고, 90/10~65/35가 보다 바람직하고, 85/15~70/30이 더욱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는 (a)성분을 2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수용성이 높고, 뛰어난 칼슘이온 포착 효과를 발현하는 것으로써 옥시카르본산 및 그 염, 아미노카르본산 및 그 염, 및 유기 포스폰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e)성분
(e)수용성 유기용제는 (a)성분을 2중량% 이상 함유할 경우에 있어서도 세정성이나 세정 후의 헹굼성, 물 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할 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e)성분으로서는 25도에서 물 100g에 대하여 20g 이상 용해할 수 있는 알코올, 에테르, 아세탈, 케톤, 알데히드, 다가알코올, 질소함유 화합물,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1)알코올류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1-프로필알코올, 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 알릴알코올, 푸르푸릴알코올(furfuryl alcohol),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등.
(2)에테르, 아세탈류로서 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3)케톤, 알데히드류로서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메틸에틸케톤 등.
(4)다가알코올류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펜타에틸렌글리콜, 헥사에틸렌글리콜, 헵타에틸렌글리콜, 옥타에틸렌글리콜, 노나에틸렌글리콜, 데카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3-옥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4-부텐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롤에탄, 트리메틸롤프로판 등.
(5)질소함유 화합물류로서 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밀아민, 알릴아민, 이소부틸아민, 이소프파놀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에틸에타놀아민, 모르포린, N-에틸모르포린, 에틸렌디아민, 카프로락탐(caprolactam), 디아밀아민, 디에타놀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타놀아민, 2-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N-메틸포름아미드, 모노에타놀아민, 모노메틸아민, 모노에틸아민 등.
(6)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류로서 일반식(I):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2
(식 중, R1은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 R2는 에틸렌기,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m은 (R2-O)의 평균 부가 몰수에서 1~7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 A, 및 일반식(Ⅱ):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3
(식 중, R1, R2 및 R3은 상기와 동일, p는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1~5의 수, q는 (R2-O)의 평균 부가 몰수이며, 0 또는 1~5의 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 B 등.
일반식(Ⅰ), (Ⅱ)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이지만,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1~4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가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가 아닌 경우,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없는 일이 있다.
탄소수 1~8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의 직쇄 포화탄화수소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등의 분기쇄 포화탄화수소기;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 헥세닐기, 헵테닐기, 옥테닐기 등의 직쇄 불포화탄화수소기; 이소프로페닐기 등의 분기쇄 불포화탄화수소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의 환상 포화탄화수소기; 시클로프로페닐기, 시클로부테닐기,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헵테닐기, 시클로옥테닐기 등의 환상 불포화탄화수소기; 페닐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R2는 에틸렌기이다. 탄소수가 1인 경우에는 상기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의 제조가 매우 곤란해지고, 또한 탄소수가 3이상의 경우에는 수용성이 저하하고, 제성제 조성물의 균일성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지만, 탄소수가 4를 초과할 경우에는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m은 1~7의 수, p는 1~5의 수, q는 0 또는 1~5의 수이다. 여기서 q는 0이라도 좋다. 따라서 p+q는 1~10의 수가 된다. 물에 대한 용해성 및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m은 2~7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의 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p+q는 1~8의 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2~6의 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Ⅰ), (Ⅱ)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은 통상 각각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A)로서는 메타놀, 에타놀, 프로파놀, 부타놀, 이소부타놀, 헥사놀, 옥타놀 등의 직쇄 또는 분기쇄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지는 알코올류; 페놀, 크레졸 등의 페놀류; 시틀로헥사놀 등의 지환식 알코올류 등에, 가성(苛性) 소다 등의 촉매 하에서, 가열하면서 탄소수 2~4의 알킬렌(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옥사이드를, 액상 또는 기체상으로, 단독 또는 복수 첨가해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 등을 들 수 있고, 나아가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말단 수산기를 알킬클로라이드 등에 의해 메틸화, 에틸화 또는 부틸화시키거나, 초산이나 프로피온산 등으로 에스테르화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A)로서는 (POE 1~7)모노메틸에테르, (POE 1~7)모노에틸에테르, (POE 1~7)모노프로필에테르, (POE 1~7)모노부틸에테르, (POE 1~7)모노이소부틸에테르, (POE 1~7)모노알릴에테르, (POE 1~7)모노헥실에테르, (POE 1~7)모노2-에틸헥실에테르, (POE 1~7)모노옥틸에테르, (POE 4~7)모노페닐에테르, (POE 4~7)모노벤질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테르류; (POE 2~7)디메틸에테르, (POE 2~7)디에틸렌에테르, (POE 2~7)디프로필에테르, (POE 3~7)디부틸에테르, (POE 3~7)디이소부틸에테르, (POE 3~7)디알릴에테르, (POE 4~7)디헥실에테르, (POE 4~7)디2-에틸헥실에테르, (POE 4~7)디옥틸에테르, (POE 4~7)디페닐에테르, (POE 4~7)디벤질에테르, (POE 2~7)에틸메틸에테르, (POE 3~7)부틸메틸에테르, (POE 3~7)2-에틸헥실메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디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 다.
이들의 중에서도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과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POE 1~5)모노메틸에테르, (POE 1~5)모노에틸에테르, (POE 1~5)모노프로필에테르, (POE 1~5)모노부틸에테르, (POE 1~2)모노이소부틸에테르, (POE 1~2)모노알릴에테르, (POE 1~2)모노헥실에테르, (POE 1~2)모노2-에틸헥실에테르, (POE 4~5)모노페닐에테르, (POE 4~5)모노벤질에테르; (POE 1~4)디메틸에테르, (POE 1~2)디에틸에테르, (POE 1~2)디프로필에테르, (POE 1~2)디부틸에테르, (POE 2)에틸메틸에테르, (POE 2)부틸메틸에테르, (POE 2)2-에틸헥실메틸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A)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Ⅱ)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스 화합물(B)로서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헥실아민, 부틸아민, 옥틸아민, 벤질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의 직쇄, 분기쇄, 방향족 또는 지환식의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아민류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일반식(Ⅰ)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Ⅱ)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B)로서는 (POE 1~7)에틸아민, (POE 1~7)디에틸아민, (POE 1~7)헥실아민, (POE 1~7)부틸아민, (POE 1~7)옥틸아민, (POE 1~7)벤질아민, (POE 1~7)시클로헥실아민 등의 글리콜모노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과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POE 1~5)모노에틸아민, (POE 1~5)디에틸아민, (POE 1~5)헥실아민, (POE 1~5)부틸아민, (POE 1~5)옥틸아민, (POE 1~5)벤질아민, (POE 1~5)시클로헥실아민이 바람직하다.
이들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B)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일반식(Ⅰ)에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A)이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e)성분은 그 용해성 파라미터가 21.5~31J1 /2·cm-3/2의 것이 바람직하고, 23~30J1/2·cm-3/2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5~29J1 /2·cm-3/2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5~28J1 /2·cm-3/2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용해성 파라미터가 24.5J1 /2·cm-3/2 이상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저온에서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29J1 /2·cm-3/2 이하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의 용해성 파라미터 σ는 이하의 식으로 정의된다.
σ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4
d 2p 2h 2)1/2
여기에 σd는 London 분산력항, σp는 분자분극항, σh는 수소결합항이라 말한다.
각 항은 당해 분자의 구성원자단 i의 각항의 몰 인력승수(Fdi, Fpi, Ehi) 및
몰 체적 Vi를 사용해 이하의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5
구성원자단 i의 각항의 몰 인력승수(Fdi, Fpi, Ehi) 및 분자용(Vi)는 별도 표에 게재의 수치를 사용한다. 이 표에 게재되어 있지 않은 원자단에 대해서는 각 항이 몰 인력승수(Fdi, Fpi, Ehi)는 van Krevelen에 의한 값(Literatures A and B)을 사용하고, (Literatures A and B), 몰 체적(Vi)은 Fedors에 의한 값(Literature C)을 사용한다.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6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7
(e)성분으로서는 (a)성분을 2중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하 고, 세정제 조성물의 균일성이나 뛰어난 린스성(헹굼성)을 발현하는 것으로서, (e-1)다가알코올류, (e-2)질소함유 화합물류 및 (e-3)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e-1), (e-2) 및 (e-3)은 이하에 기재한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1)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펜타에틸렌글리콜, 헥사에틸렌글리콜, 헵타에틸렌글리콜, 옥타에틸렌글리콜, 노나에틸렌글리콜, 데카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메틸렌글리콜.
(e-2)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밀아민, 알릴아민, 이소부틸아민, 이소프로파놀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에틸에타놀아민, 모르포린, N-에틸모르포린, 에틸렌디아민, 카프로락탐, 디아밀아민, 디에타놀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타놀아민, 2-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N-메틸포름아미드, 모노에타놀아민, 모노메틸아민 및 모노에틸아민.
(e-3)(POE 1~5)모노메틸에테르, (POE 1~5)모노에틸에테르, (POE 1~5)모노프로필에테르, (POE 1~5)모노부틸에테르, (POE 1~2)모노이소부틸에테르, (POE 1~2)모노알릴에테르.
(e-1)다가알코올류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헵타에틸렌글리콜, 헥사에틸렌글리콜, 노나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 콜이 더욱 바람직하다.
(e-2)질소함유 화합물류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모르포린이 더욱 바람직하다.
(e-3)알킬렌옥사이드 화화물류로서는 (POE 1~5)모노메틸에테르, (POE 1~5)모노에틸에테르, (POE 1~5)모노프로필에테르가 더욱더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류 및 질소함유 화합물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가알코올류이다.
(e)성분의 함유량은 (a)성분을 2중량% 이상 함유할 경우에 있어서도 세정 후의 헹굼성, 물 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할 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중량% 이상이며, 2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성의 관점에서, 30중량% 이하이며,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중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물
(f)성분의 물은 (a)~(b)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용매로서, 또 (a)성분의 알칼리 작용을 촉진시키는 용매로서 사용된다.
(f)성분의 종류는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목적을 방해받지 않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f)성분으로서는 초순수(超純水), 순수, 이온교환수, 증류수, 통상의 수도물 등을 들 수 있다.
(f)성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배합했을 때의 상 용성 및 (a)의 성분이 가지는 수지상 오염의 박리 효과를 충분하게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2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다. 또한 뛰어난 세정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9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a)성분~(f)성분을 상법에 따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a)성분~(f)성분에 있어서 열거되어 있는 각 성분은 어느 것을 사용해도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 사용하는 성분간에 의한 효과의 차이는 존재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통상 세제에 사용되는 방부제, 방청제, 실리콘 등의 소포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하게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 표면에 부착한 플라스틱 렌즈성형용 원료, 미반응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수지), 개스킷에서 흘러나온 성분, 가소제, 접착제, 몰드고정용 테이프 유래의 점착제 등의 고분자량의 수지상 오염,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의 세정용에 적합하다. 아울러 오염의 부착 강도에서 생각하면, 폴리머(수지)나 점착제 등의 고분자량의 수지상 오염이 세정 제거 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오염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각종의 수지상의 오염에 대하여 뛰어난 세정성을 가지고, 게다가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부식시키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 며,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조성이기 때문에 세정시에 있어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세정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세정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정공정(A)은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세정하는 공정이다.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세정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이 없고, 통상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세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침지(浸漬)법, 침지 요동법, 초음파 세정법, 스프레이법, 손으로 닦는법 등의 세정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의 온도, 세정 시간 등의 세정 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헹굼 공정(B)은 세정공정(A)에서 세정된 성형 유리틀을 헹구는 물로 씻어내는 공정이다.
헹구는 물로서는 성형 유리틀 표면에 잔류하는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이 없지만,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서 가온하였다. 초순수, 순수, 이온교환수, 증류수, 수도물 등이 헹굼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헹굼 방법에도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정(A)의 세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헹굼 조건에도 특히 제한이 없다.
침지법, 침지 요동법, 초음파 세정법을 적용한 경우의 세정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세정방법에 있어서는 오염의 정도에 따라서 세정과 헹굼을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침지법)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물의 함유량 50중량%, 액온: 실온(바람직하게는 20도)~70]을 넣은 용기 내에,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전체를 침지한 상태에서, 0.5~3시간 방치한다. 유리틀을 꺼낸 후, 흐르는 물[수온:실온(바람직하게는 20도)~50도]로 1~2분간 헹군다.
(침지 요동법)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물의 함유량 60중량%, 액온: 실온(바람직하게는 20도)~70도]을 넣은 용기 내에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전체를 침지한 상태에서, 교반기로 순환류량 5~20L/분(100L조(槽))의 조건에서, 0.5~3시간,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교반한다. 유리틀을 꺼낸 후, 흐르는 물[수온:실온(바람직하게는 20도)~50도]로 1~2분간 헹군다.
(초음파 세정법)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물의 함유량 70중량%, 액온:실온(바람직하게는 20도)~70도]을 넣은 초음파 세정기 내에,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의 전체를 침지한 상태에서, 26~40kHz(10~30W/L)에서 20~300초간, 초음파 세정한다. 유리틀을 꺼낸 후, 초음파 세정기에서 상기 동조건에서 20~300초간 헹군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세정방법에 의하면, 고분자량의 수지상 오염에 대한 세정성이 뛰어나며, 성형 유리틀을 부식시키지 않고 각종의 수지상 오염을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시에 있어서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에도 뛰 어나다.
<실시예>
제조예[시험편]
(1)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ADC) 수지상 오염의 조제(미반응의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오염도 포함함)
직경 20mm, 최대 깊이 2mm의 시계접시 모양의 오목부를 3개 가지는, 유리제의 4.7mm×75.4mm×26.0mm의 3개의 구멍을 뚫은 슬라이드유리((주)이우치세이에이도(luchi Seieido Co.,Ltd.) 제품)을 준비하였다.
모노머로서 ADC(PPG사 제품, 상품명:CR-39모노머) 100중량부와, 중량개시제로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닛뽄유시(주) 제품, 상품명: 퍼로일 IPP-27(CR)(PEROYL IPP-27(CR))] 11중량부를, 저온(-10~10도)에서 균일하게 조성되게끔 교반해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기 슬라이드유리의 오목부에 슬라이드 유리 상면과 동일한 표면 높이가 되게끔, 각각 0.22mL씩 주입하고, 3개의 구멍을 뚫은 슬라이드유리 1장당의 수지의 주입량을 0.66mL으로 하고, 균일한 형상의 중합물을 얻었다.
이 3개의 구멍을 뚫은 슬라이드유리를 스테인레스 철강제의 뚜껑 달린 트레이에 넣고, 내부를 질소가스로 치환한 후, 완전하게 밀폐하였다. 그 후, 40도에서 2시간, 60도에서 2시간, 나아가 80도에서 18시간 가열함으로써 중합, 고형화시키고, ADC 수지상 오염(ADS resinous stains)에 대한 세정성 시험용의 시험편을 얻었 다.
(2)유황함유 우레탄 수지 오염(resinous stain by sulfur-containing urethane resin)(미반응의 모노머 내지 올리고머 오염도 포함함) 부착성형 유리틀 질산칼륨에서 화학 강화 처리한 직경 약 8cm의 성형 유리틀의 사용면측에, 직경 약 1cm의 MR-8수지(미츠이카가쿠(주) 제품, 유황함유 우레탄 수지계 굴절율 1.60)의 고형을 5개 성형하였다(0.05g/직경 1cm·1개당). 플라스틱 렌즈 수지의 중합조건: 30도에서 6시간, 40도에서 7시간, 50도에서 3시간, 60도에서 2시간, 100도에서 3시간, 120도에서 3시간의 합계 24시간 가열함으로써 중합, 고형화시켰다.
(3)유리부식성 시험용 시험편의 제조
1.1mm×76.00mm×26.0mm의 알칼리규산 유리(조성: 70% SiO2, 12% Na2O, 6.5% CaO, 4% K2O, 4% ZnO, 1% MgO, 1% BaO, 1% Al2O3, 0.5% TiO2)제품의 슬라이드유리[마츠나미가라스코교(주) 제품, 상품명: S-1112]를 410~430도에서 유지한 질산칼륨 용융염 중에 12시간 침지하였다. 그 후, 천천히 실온까지 냉각하고, 흐르는 물로 질산칼륨을 씻어내었다. 완전히 물을 빼고, 자연 건조 후, 유리부식 시험용 화학강화 유리 시험편으로 하였다.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13
표 1 및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조성비 단위는 중량%)의 각종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ADC 수지상 오염 및 유황함유 우레탄 수지 오염에 대한 세정성 시험 및 유리 부식성 시험을 행하였다. 표 1의 조성물의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내고, 표 3의 조성물의 실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세정성 시험과 유리부식성 시험의 방법 및 그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세정성 시험]
세정공정(A)
ADC 수지상 오염과 유황함유 우레탄 수지 오염에 대한 세정제 시험용 시험편을, 60도로 유지한 세정제 조성물을 침지하고, 39kHz, 200W의 초음파 세정장치(샤프(주) 제품, 상품명: SILENTSONIC UT-204)에서 60초간 세정하였다.
헹굼 공정(B)
다음으로, 30도의 이온교환수에 침지하고, 세정과 동일한 초음파 세정장치로 50초간 린스하였다(제1린스). 나아가 마찬가지로 30도의 이온교환수에 침지하고, 초음파 세정장치로 50초간 마무리 린스하였다(제2린스). 그 후, 50초간 에어블로우하고, 송풍정온건조기((주)토요세이사쿠쇼 제품, 상품명: FV-630)에서 80도, 10분간 건조하였다.
각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서 상기의 조건에서 ADC 수지상 오염과 유황함유 우레탄 수지 오염에 대한 세정성 시험용의 시험편 각각 5장을 세정하고, 각각의 수지상 오염에 대한 세정율을, 세정 전후의 시험편의 중량의 변화에서 구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구해서 세정율(%)로 하였다.
[유리부식성 시험]
유리부식성 시험용 화학강화 유리 시험편을, 각각 70도로 유지한 세정제 조성물에 48시간 침지하였다. 세정제 조성물에서 꺼낸 시험편을, 청정한 이온교환수 로 충분하게 헹군 후, 1분간 에어블로우하고, 실내에서 자연 건조하였다.
유리부식성 시험은 중량 감소율(%)(-를 붙인 것은 중량이 감소한 것을 나타냄) 및 목시(目視)판정에 의해 행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각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서 상기의 조건에서 5장의 시험편을 처리하고, 유리부식에 의해서 용해하고, 중량이 현상한 비율을, 처리 전후의 시험편의 중량 변화에서 구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는 것으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목시판정은 동일한 조건에서 5장의 시험편을 처리하고, 처리 후의 유리 표면의 상태를 목시로 판정하였다. 그때의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목시판정의 판정기준)
◎: 변화없음
○: 극히 조금, 부분적으로 백색화
△: 부분적으로 백색화
×: 전체적으로 백색화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배합 10분 후)]
500mL의 유리제 비어커에 (a)성분~(f)성분을 전체 양으로 500g이 되게끔 투입하고, 혼합 후, 실온에서 5cm의 마그네틱 교반기에서 잘 교반하였다(500~600r/min에서 10분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 후의 조성물의 상태를 눈 및 교반 막대기로 확인하였다.
(안정성의 판정 기준)
◎: 균일 투명 상태. 흐림, 층 분리, 석출물(析出物)이 없다.
○: 균일 상태. 투명하지 않고, 혼탁함이 있다. 층 분리, 석출물이 없다.
×: 층 분리가 생기고 있고, 혹은 점성 또는 석출물이 있다.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60도, 24시간 보존 후)]
500mL의 유리제 비이커에 (a)성분~(f)성분의 전체양으로 500g이 되게끔 투입하고, 혼합 후, 실온에서 5cm의 마그네틱 교반기에서 잘 교반하였다(500~600r/min에서 10분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 후의 조성물의 상태를 눈 및 교반 막대기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조성물을 500mL의 폴리에틸렌제 병에 넣고, 뚜껑을 닫고, 60도에서 24시간 보존하였다. 그 후, 실온으로 되돌린 후 30분 후의 조성물의 상태를 눈 및 교반 막대기로 확인하였다.
(안정성의 판정 기준)
◎: 균일 투명 상태. 흐림, 층 분리, 석출물이 없다.
○: 균일 상태. 투명하지 않고, 혼탁함이 있다. 층 분리, 석출물이 없다.
×: 층 분리가 생기고 있고, 혹은 점성 또는 석출물이 있다.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8
Figure 112005055684221-PAT00009
Figure 112005055684221-PAT00010
Figure 112005055684221-PAT00011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 성형 유리틀의 표면에 부착해, 세정이 곤란한 플라스틱 렌즈 수지, 개스킷으로부터 흘러나온 가소제, 고정용 테이프의 점착제, 작업자의 지문, 분위기 중의 먼지 등의 오염, 그 중 에서도 특히 굴절율 1.55이상의 고굴절율의 유황함유 플라스틱 렌즈 수지 오염에 대하여 높은 세정력을 발휘하고, 성형 유리틀의 부식도 억제되며, 게다가 조성물의 안정성이 양호하게 확보된다.

Claims (11)

  1. (a)무기계 알칼리제(inorganic alkali) 2~30중량%,
    (b)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 0.5~20중량%,
    (c)칼슘염(calcium salt) 0.01~2중량%(칼슘이온 환산),
    (d)칼슘이온 포착제(calcium ion-sequestering agent) 0.1~15중량%,
    (e)수용성 유기용제(water-soluble organic solvent) 1~30중량%, 및
    (f)물 20~95중량%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성분의 칼슘이온 포착제가, 옥시카르본산 및/또는 칼슘이온과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定數) logKca이 1~4의 칼슘이온 포착제(d1)와, 칼슘이온과의 킬레이트 안정도 정수 logKca이 5~13의 칼슘이온 포착제(d2)를, (d1)/(d2)=98/2~50/50(중량비)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성분의 수용성 유기용제의 용해성 파라미터가 21.5~31J1/2·cm-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성분이, (e-1)다가알코올, (e-2)질소함유 화합물 또는 (e-3)알킬렌옥사이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1), (e-2) 및 (e-3)이 이하에 기재한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e-1)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펜타에틸렌글리콜, 헥사에틸렌글리콜, 헵타에틸렌글리콜, 옥타에틸렌글리콜, 노나에틸렌글리콜, 데카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메틸렌글리콜.
    (e-2)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아세토니트릴, 아밀아민, 알릴아민, 이소부틸아민, 이소프로파놀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에틸에타놀아민, 모르포린, N-에틸모르포린, 에틸렌디아민, 카프로락탐, 디아밀아민, 디에타놀아민, 디에틸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메틸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타놀아민, 2-피롤리돈, N-메틸피롤리돈, N-메틸포름아미드, 모노에타놀아민, 모노메틸아민 및 모노에틸아민.
    (e-3)(POE 1~5)모노메틸에테르, (POE 1~5)모노에틸에테르, (POE 1~5)모노프로필에테르, (POE 1~5)모노부틸에테르, (POE 1~2)모노이소부틸에테르, (POE 1~2)모노알릴에테르.
  6.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제1항에 기재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A)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제1항에 기재의 세정제 조성물을 사용해 세정하고, (B)세정된 상기 성형 유리틀을 헹구는 물로 씻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공정에서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세정제 조성물에 침지(浸漬)해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공정에서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세정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또한 요동시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공정에서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을 세정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또한 초음파 세정으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의 세정제 조성물의 플라스틱 렌즈성형 유리틀 세정용도.
KR1020050092172A 2004-10-01 2005-09-30 세정제 조성물 KR101142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0542 2004-10-01
JP2004290542 2004-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950A true KR20060051950A (ko) 2006-05-19
KR101142562B1 KR101142562B1 (ko) 2012-05-08

Family

ID=3606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172A KR101142562B1 (ko) 2004-10-01 2005-09-30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31490B2 (ko)
KR (1) KR101142562B1 (ko)
CN (1) CN1754953B (ko)
FR (1) FR28761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97A1 (ko) * 2011-11-23 2013-05-30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KR20190092585A (ko) * 2016-12-28 2019-08-0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렌즈 성형 유리형 (型) 용의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6995A1 (en) * 2003-09-30 2005-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hermetic encapsulant removal for module rework
US7531490B2 (en) * 2004-10-01 2009-05-12 Kao Corporatio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calcium gluconate and a mixture of calcium ion sequestering agents
EP2142628B1 (en) 2007-05-04 2018-09-12 Ecolab Inc. Method of cleaning comprising water soluble magnesium compounds
KR101788859B1 (ko) * 2009-07-17 2017-10-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금형 세정제 조성물 및 금형 세정재, 및 그것을 이용한 금형의 클리닝 방법
US20110088593A1 (en) * 2010-12-23 2011-04-21 Mansour Hemmati Silver dz nano-fluid composition for nano-fin forma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2491874B (zh) * 2011-12-08 2015-05-20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金属烷氧基配合物、催化剂组合物及聚己内酯或聚丙交酯的制备方法
JP5792647B2 (ja) 2012-01-27 2015-10-14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成形加工機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839564B2 (ja) * 2012-01-27 2016-01-06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成形加工機洗浄用の熱可塑性樹脂組成物
RU2517192C1 (ru) * 2012-12-04 2014-05-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Ураль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ЮУрГУ" (НИУ))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ог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04099193A (zh) * 2013-04-03 2014-10-15 东莞市剑鑫电子材料有限公司 水基型玻璃清洗剂、制备方法及其在手机镜片清洗中的应用
EP2806002B1 (en) 2013-05-24 2018-09-26 MacDermid Enthone Inc. Aqueous stripping composition for the removal of polymeric surface sealants on metal surfaces
FR3007036B1 (fr) * 2013-06-18 2015-06-19 Arkema France Composition utile pour l'elimination d'etiquettes
JP6691540B2 (ja) * 2015-06-24 2020-04-28 花王株式会社 ガラス製ハードディスク基板用洗浄剤組成物
CN105062706B (zh) * 2015-08-14 2018-01-09 上海奈拓化工科技有限公司 树脂光学镜片合模用玻璃模具高精度超声清洗剂
CN110437942A (zh) * 2018-05-04 2019-11-12 无锡华友微电子有限公司 一种低温tape胶软化液及其制备方法
BR112020025016A2 (pt) * 2018-06-19 2021-03-23 Essilor International sistema economicamente otimizado de limpeza e descascamento de lentes
CN109504550B (zh) * 2018-11-26 2020-12-01 湖北华工图像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激光全息模压版清洗剂
JP7306068B2 (ja) * 2019-05-31 2023-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洗浄液
CN110684602A (zh) * 2019-09-19 2020-01-14 江华飞信达科技有限公司 一种lcd基板清洗剂及其使用方法
KR102456475B1 (ko) * 2020-02-26 202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세척용 복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CN112175760A (zh) * 2020-09-22 2021-01-05 昆山亚艺达塑模有限公司 一种用于注塑模具的清洁试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4218A (en) * 1946-03-28 1950-10-03 Frederick C Bersworth Washing composition
FR2088715A5 (ko) * 1970-04-22 1972-01-07 Colgate Palmolive Co
US3798168A (en) * 1972-04-05 1974-03-19 Kraftco Corp Detergent composition
JPS518644B2 (ko) * 1972-07-19 1976-03-18
ATE33267T1 (de) * 1981-09-25 1988-04-15 Procter & Gamble Aminosilanen enthaltende koernige reinigungsmittelgemische.
US4537706A (en) * 1984-05-14 1985-08-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s containing boric acid to stabilize enzymes
US4747977A (en) * 1984-11-09 1988-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thanol-free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US4566984A (en) * 1984-11-16 1986-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ther polycarboxylates
US4798679A (en) * 1987-05-11 1989-01-17 The Procter & Gamble Co. Controlled sudsing stable isotropi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4968451A (en) * 1988-08-26 1990-1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il release agents having allyl-derived sulfonated end caps
JPH06507198A (ja) * 1991-04-30 1994-08-11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アリールボロン酸を含有する液体洗浄剤
JP2951755B2 (ja) 1991-07-18 1999-09-20 花王株式会社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US5883062A (en) * 1993-09-14 1999-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nual dishwashing compositions
ES2250969T3 (es) * 1994-03-29 2006-04-16 Novozymes A/S Amilasa alcalina de bacilo.
ZA955295B (en) * 1994-06-27 1996-02-13 Diversey Corp Non-silicated soft metal safe product
US5731276A (en) * 1996-07-30 1998-03-24 The Clorox Company Thickened aqueous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and cleaning therewith
BR9712111A (pt) * 1996-09-24 1999-08-31 Procter & Gamble Detergentes líquidos contendo enzima proteolítica e inibidores da protease.
US6069122A (en) * 1997-06-16 2000-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diamines for improved grease cleaning, suds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and dissolution
JP3420922B2 (ja) 1997-10-29 2003-06-30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JP3370262B2 (ja) 1997-11-25 2003-01-27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3384731B2 (ja) * 1997-12-12 2003-03-10 花王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US6451751B1 (en) * 1998-07-10 2002-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particles of amine reaction product
EP0979861B1 (en) * 1998-08-03 2004-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compositions
US6830593B1 (en) * 1998-08-03 2004-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compositions
US6495506B1 (en) * 2000-02-11 2002-12-17 Colgate-Palmolive Company Acidic all purpose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US6624132B1 (en) * 2000-06-29 2003-09-23 Ecolab Inc. Stable liquid enzyme compositions with enhanced activity
US6812194B2 (en) * 2001-09-28 2004-11-02 Ecolab, Inc. Alkaline metal cleaner comprising sulfonated-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crylate
US6686325B2 (en) * 2002-03-15 2004-02-03 Ecolab Inc. Alkaline sensitive metal cleaning composition, method for cleaning an alkaline sensitive metal surface, and washing facility
US7196044B2 (en) * 2003-07-02 2007-03-27 Ecolab, Inc. Warewashing composition for use in automatic dishwashing machines, comprising a zinc ion and aluminum ion corrosion inhibitor
US7531490B2 (en) * 2004-10-01 2009-05-12 Kao Corporatio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calcium gluconate and a mixture of calcium ion sequestering ag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97A1 (ko) * 2011-11-23 2013-05-30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주석산을 포함하는 자동차 유리 세정액 조성물
US9365804B2 (en) 2011-11-23 2016-06-14 Kukdong Jeyen Company Limited Vehicle-glass cleaning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and tartaric acid
KR20190092585A (ko) * 2016-12-28 2019-08-07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 렌즈 성형 유리형 (型) 용의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562B1 (ko) 2012-05-08
US7531490B2 (en) 2009-05-12
FR2876114A1 (fr) 2006-04-07
CN1754953A (zh) 2006-04-05
CN1754953B (zh) 2012-11-28
US20060079437A1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562B1 (ko) 세정제 조성물
JP2006124696A (ja) 洗浄剤組成物
EP0853116B1 (en) Detergent composition for removing resinous stains
KR101782883B1 (ko) 병의 세정 및 라벨 제거를 위한 방법
US11028344B2 (en) Composition for aesthetic improvement of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thereof
CN1158889A (zh) 含高碱的清洗浓缩物
JP342092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EP3797146A1 (en) Anhydrous autodish formulation
JP337026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4189988B2 (ja) 洗浄方法
JP3384731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
JP3595140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洗浄剤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5969798B2 (ja) 虫汚れ除去用洗浄剤組成物
WO2018124151A1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用の洗浄剤組成物
JP4990074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洗浄剤組成物
JPH11158495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ガラス型の洗浄方法
JP2022159598A (ja) 医療器具用洗浄剤組成物
JPH1129799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3078733A1 (en) Rinsing of polycarb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