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913A -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913A
KR20060051913A KR1020050091977A KR20050091977A KR20060051913A KR 20060051913 A KR20060051913 A KR 20060051913A KR 1020050091977 A KR1020050091977 A KR 1020050091977A KR 20050091977 A KR20050091977 A KR 20050091977A KR 20060051913 A KR20060051913 A KR 2006005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mber
bracketed portion
bracketed
plat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오 고라이
사다오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6005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베이스 부재는 차량 상에 장착된다. 로드형(rod-shaped) 안테나의 근위 단부는 베이스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제공된다. 안테나 본체는 안테나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도전성 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제1 도전성 부재에는 탄성을 지닌 제1 브라켓형 부분이 마련된다. 제2 도전성 부재가 안테나 요소에 전기 접속되고, 제2 도전성 부재에는 제2 브라켓형 부분이 마련된다. 제2 도전성 부재는 제1 도전성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은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과 탄성 접촉한다.

Description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MOUNTED O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안테나 장치의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가 소정 각도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도 1의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안테나 장치의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가 다른 소정 각도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에 있는 베이스 판의 평면도.
도 3b는 베이스 판의 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선 IIIC-III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d는 도 3a의 선 IIID-III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에 있는 피봇 판의 평면도.
도 4b는 피봇 판의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선 IVC-IV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안테나 요소
32 : 삽입 피팅
34 : 피봇 판
34a, 42a : 샤프트 삽입용 구멍
34b : 돌출부
36 : 수지 몰드
42 : 베이스 판
42b : 구멍(리세스)
42c ; 홈
44 : 베이스 부재
본 발명은 차량 본체에 장착되고, 안테나 본체가 피봇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015A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러한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안테나 요소(12)의 근위 단부에 전기 접속되는 단일 판형 제1 급전판(14)이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10)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제1 급전판(14)은 도전성과 탄성을 갖는다. 단일 판형 제2 급전판(18)은 베이스 부재(16)에 배치된다. 제2 급전판(18)은 도전성을 갖는다. 제2 급전판(18)으로부터 돌출하는 종단부(18a)가 베이스 부재(16)에 마련된 회로 기판(20)에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접속된다.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샤프트(22)가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을 관통하여, 제1 급전판(14)이 제2 급전판(18)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다. 코일형 스프링(24)은, 제1 급전판(14)이 제2 급전판(18)과 탄성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샤프트(22)에 삽입된다.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의 탄성 접촉면에는 끼워맞춤 관계인 리세스와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따라서 클릭 기구를 구성한다.
전술한 구조에서는,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을 통해 안테나 요소(12)의 근위 단부와 회로 기판(20) 사이에서 전기 전도가 실현된다.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의 리세스와 돌출부가 끼워맞춤 관계이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안테나 본체(10)가 베이스 부재(16)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고, 소정 상태로 베이스 부재에 의해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이 서로 탄성 접촉하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코일형 스프링(24)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부품의 개수가 증가된다. 또한, 조립 작업은 코일형 스프링(24)이 압축된 상태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 조립 작업은 복잡하다. 또한, 제1 급전판(14)과 제2 급전판(18) 사이의 탄성 접촉과 전기 전도는 한쌍의 면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전기 접속의 안정성이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개수가 적고 안정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본체 상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근위 단부가 베이스 부재 상에 피봇 가능하게 제공되는 로드형(rod-shaped) 안테나 본체와, 탄성을 지닌 제1 브라켓형(bracket-shaped) 부분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성 부재, 그리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을 포함하고 안테나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제2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도전성 부재는 제1 도전성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은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과 탄성 접촉하는 것인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은 그들 자체의 탄성에 의해 안테나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과 탄성 접촉한다. 종래 구성에서의 코일형 스프링에 상응하는 구성품이 필요없기 때문에, 구성품의 개수가 감소되고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제1 도전성 부재가 제2 도전성 부재와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2개 조의 면을 통해 전기 전도가 실현되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안테나 장치는 제1 도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부재를 관통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여, 제2 도전성 부재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도전성 부재의 피봇을 허용하는 구조는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 중 하나와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 중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서로 끼워맞춰지는 리세스가 형 성되어, 클릭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본체는 제1 도전성 부재에 대하여 피봇 가능하고, 구성품 개수가 증가되는 일 없이 소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와 리세스는 돌출부가 부분적으로 리세스 내로 끼워맞춰지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성 부재의 탄성은 돌출부와 리세스에 집중되어, 돌출부가 큰 탄성에 의해 리세스와 접촉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이 실현된다.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 각각에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 각각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제1 브라켓 부분의 대향 내측면 각각에는 대향 내측면 중 관련된 하나의 엣지와 리세스를 연통시키는 홈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도전성 부재의 돌출부들은 홈에 의해 이들이 리세스에 끼워맞춰지는 위치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장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 요소(30)의 근위 단부는 전도성 삽입 피팅(fitting)(32)에 나사 결합된다. 브라켓형 피봇 판(34)은 그 개구가 하향하는 상태로 코킹에 의해 삽입 피팅(32)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전기 전도가 실현된다. 수지 몰드(36)는 삽입 피팅(32)과 이 삽입 피팅에 삽입된 피봇 판(34)에 의해서 형성된다. 브라켓형 피봇 판(34)의 양측벽이 노출되어 수지 몰드(36)의 외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수지 몰드(36)의 일부와 안테나 요소(30)는 절연성 수지로 제조된 커버(38)로 덮히고, 이에 따라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가 형성된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판(34)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브라켓형 부분은 도전성 금속 시트 상에 가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샤프트 삽입용 구멍(34a)이 브라켓형 부분의 2개의 개별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돌출부(34b)는 2개의 개별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삽입 피팅(32)에 고정하기 위한 코킹 구멍(34c)은 브라켓형 부분의 연결 벽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44)는 이 베이스 부재에 삽입되는 베이스 판(42)과 함께 절연성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42)은 브라켓형 단면을 지니도록,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제조된 도전성의 탄성 금속 시트 상에 가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샤프트 삽입용 구멍(42a)은 브라켓형 부분의 2개의 개별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구멍(42b)(또는 리세스)은 각각의 구멍(42a)을 중심으로 하는 원 상에 형성된다. 브라켓형 부분에 있는 2개의 측벽 각각의 내측면에는 외주부와 하나의 구멍(42b)과 연통하는 홈(42c)이 형성된다. 종단부(42d)가 브라켓형 부분의 연결 벽으로부터 돌출한다. 종단부(42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4)에 제공되는 회로 기판의 수용 위치에서 적절히 돌출하도록, 베이스 부재(44)에 배치된다.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40)의 피봇 판(34)은 베이스 부재(44)에 있는 베이 스 판(42)의 브라켓형 부분에 삽입되고, 샤프트 삽입용 구멍(34a, 42a)은 서로 바르게 맞춰지며, 샤프트(48)는 이들 구멍(34a 42a)를 통해 삽입된다. 그 결과,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가 베이스 부재(44)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50)가 베이스 부재(44)를 덮도록 위치한다. 케이스(50)는 샤프트(48)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샤프트를 적절히 제한한다. 피봇 판(34)의 돌출부(34b)가 베이스 판(42)에 있는 한 쌍의 구멍(42b)에 대향하고, 이들 구멍에 끼워맞춰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소정 레벨보다 강한 힘으로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40)를 피봇시키고자 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판(42)에 있는 브라켓형 부분의 개구 치수가 그 탄성 변형에 의해 증가하고, 피봇 판(34)의 돌출부(34b)는 베이스 판(42)의 한 쌍의 구멍(42b)으로부터 빠져나온다.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는 피봇 가능하게 된다.
피봇 판(34)의 돌출부(34b)가 베이스 판(42)의 한 쌍의 구멍(42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때, 베이스 판(42)에 있는 브라켓형 부분의 개구 치수는 그 자체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서 작게 정해지며, 이에 따라 돌출부(34b)가 각각의 구멍(42b)에 삽입된다(끼워맞춰진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는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40)를 피봇시키는 힘이 소정 레벨보다 약하기만 하면 고정된다(즉, 그 상태로 유지됨).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34b)와 구멍(42b)이 클릭 기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34b)가 구멍(42b)에 완전히 삽입될 수 없도록 구멍(42b)과 돌출부(42b)의 치수가 설정되면, 즉 돌출부 절반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상태로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베이스 판(42)의 탄성이 끼워맞춤부에 집중되어 피봇 판(34)이 큰 탄성으로 베이스 판(42)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이 실현된다.
돌출부(34b)가 홈(42c)을 통과하여 구멍(42b)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피봇 판(34)이 베이스 판(42)에 부착되기 때문에, 피봇 판(34)은 베이스 판(42)에 있는 브라켓형 부분의 개구부를 과도하게 탄성적으로 변형시키지 않고도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4b)가 구멍(42b)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도록, 즉 돌출부(34b) 절반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상태로 끼워맞춤이 완료되도록, 구멍(42b)과 돌출부(34b)의 치수가 설정된다. 그러나, 돌출부(34b)가 구멍(42b)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베이스 판(42)의 2개의 내측면이 피봇 판(34)의 각각의 측면과 탄성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피봇 가능한 구조는 샤프트(48)가 베이스 판(42)과 피봇 판(34)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나, 샤프트 역할을 하는 나사 등이 측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샤프트 삽입용 구멍(42a, 34a) 대신에 베이스 판(42)과 피봇 판(34)에 샤프트와 동등하게 작동 가능한 환형 리세스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환형 리세스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판(42)의 구멍(42b)과 피봇 판(34)의 돌출부(34b)는 클릭 기구를 구성한다. 그러나, 베이스 판(42)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피봇 판(34)에는 구멍(또는 리세스)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클릭 기구가 베이스 판(42)과 피봇 판(34)의 탄성 접촉면에는 필수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예컨대, 클릭 기구는, 볼이 리세스에 끼워맞춰지고 리세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압박되는 볼이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40)의 수지 몰드(36)에 형성된 리세스와 탄성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클릭 기구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피봇 가능한 안테나 본체(40)가 클릭 기구에 의해 유지되는 상태는 수평 상태, 입면 각도가 60도 및 90도인 상태와 같이 적절하게 설정된다.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교시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형과 수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및 계획 내에 속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개수가 적고 안정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차량용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차량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와;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근위 단부가 베이스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제공되는 로드형(rod-shaped) 안테나 본체와;
    탄성을 지닌 제1 브라켓형(bracket-shaped) 부분을 포함하고,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제1 도전성 부재; 그리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을 포함하고, 안테나 요소에 전기 접속되는 제2 도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제2 도전성 부재는 제1 도전성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은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과 탄성 접촉하는 것인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부재를 관통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여, 제2 전도성 부재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것인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 중 하나와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 중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클릭 기구가 구성되는 것인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돌출부와 리세스는, 돌출부가 리세스에 부분적으로 끼워맞춰지는 크기를 갖는 것인 안테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제1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내측면 각각에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제2 브라켓형 부분의 대향 외측면 각각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 브라켓 부분의 대향 내측면 각각에는 대향 내측면 중 관련된 하나의 엣지와 리세스를 연통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안테나 장치.
KR1020050091977A 2004-10-01 2005-09-30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 KR20060051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9839 2004-10-01
JP2004289839A JP2006108848A (ja) 2004-10-01 2004-10-01 車載用アンテ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913A true KR20060051913A (ko) 2006-05-19

Family

ID=3606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977A KR20060051913A (ko) 2004-10-01 2005-09-30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2761B2 (ko)
JP (1) JP2006108848A (ko)
KR (1) KR20060051913A (ko)
CN (1) CN1755980A (ko)
DE (1) DE102005047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369A (ja) * 2004-10-21 2006-05-11 Yokowo Co Ltd 車載用アンテナ
DE102007057143A1 (de) * 2007-11-28 2009-06-04 Robert Bosch Gmbh Stiehlstrahler und Radar-Antennenanordnung
GB2468612B (en) 2007-12-20 2012-05-23 Harada Ind Co Ltd Patch antenna device
JP4524318B2 (ja) 2008-05-27 2010-08-18 原田工業株式会社 車載用ノイズフィルタ
JP5114325B2 (ja) 2008-07-08 2013-01-09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JP4832549B2 (ja) * 2009-04-30 2011-12-07 原田工業株式会社 空間充填曲線を用いる車両用アンテナ装置
JP5422306B2 (ja) * 2009-08-27 2014-02-19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JP4955094B2 (ja) * 2009-11-02 2012-06-20 原田工業株式会社 パッチアンテナ
WO2012096355A1 (ja) 2011-01-12 2012-07-19 原田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274597B2 (ja) 2011-02-15 2013-08-28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ポールアンテナ
JP5654917B2 (ja) 2011-03-24 2015-01-14 原田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D726696S1 (en) 2012-09-12 2015-04-14 Harada Industry Co., Ltd. Vehicle antenna
JP6010412B2 (ja) * 2012-09-26 2016-10-19 株式会社ヨコオ アンテナ装置
GB2508980B (en) * 2012-11-02 2016-06-01 Harada Ind Co Ltd Vehicle antenna un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662A (en) * 1970-01-05 1971-11-30 Motorola Inc Mobile deflectable antenna with impedance matching
JPS601007U (ja) * 1983-06-16 1985-01-07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角度可変装置
US5032846A (en) * 1989-09-05 1991-07-16 Chang Yu Pin Selectively positionable antenna mounting
US5451966A (en) * 1994-09-23 1995-09-19 The Antenna Company Ultra-high frequency, slot coupled, low-cost antenna system
WO1998033232A1 (fr) * 1997-01-28 1998-07-30 Yokowo Co., Ltd. Antenne a installer sur un vehicule, element d'antenn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H11243308A (ja) * 1998-02-25 1999-09-07 Yokowo Co Ltd 車載用アンテナ
JP2001267818A (ja) * 2000-03-21 2001-09-28 Yokowo Co Ltd アンテナ装置
JP4450953B2 (ja) * 2000-06-06 2010-04-14 原田工業株式会社 可倒式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の回動枢着部構造
JP4601032B2 (ja) 2001-07-13 2010-12-22 株式会社ヨコオ 車載用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08848A (ja) 2006-04-20
US7312761B2 (en) 2007-12-25
DE102005047484A1 (de) 2006-04-06
CN1755980A (zh) 2006-04-05
US20060071868A1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913A (ko) 차량 장착용 안테나 장치
US8062078B2 (en) Press-contact pogo pin connector
US7112071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terminal to a circuit board
US7628660B2 (en) Battery connector having a bracket
US6086418A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500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s
KR900005087B1 (ko) 콘넥터
EP0986139A3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20123502A (ko) 전기 부품
US6220881B1 (en) Card edge connector
CN115224539A (zh) 基板安装连接器
JPH1040991A (ja) コネクタ
JP2003143679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器
US5478247A (en) Electrical connector
JP2582876Y2 (ja) 電気コネクタ
US6814604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siliently engaged actuator mechanism
US20090163052A1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low board mounting profile
US8398410B2 (en) Socket connector having carbon nanotube contact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etallic contacts for power transmission
JPH0487172A (ja) 電気コネクタ
US20040014348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blind mating structure
JP3094408B2 (ja) Fpc用コネクタ
JP4073879B2 (ja) コネクタ
JP2002261470A (ja) 回路実装ユニット
CA2079704A1 (en) Battery connector
KR10231242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