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645A - 개봉 용이성 포장체 - Google Patents

개봉 용이성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645A
KR20060051645A KR1020050089312A KR20050089312A KR20060051645A KR 20060051645 A KR20060051645 A KR 20060051645A KR 1020050089312 A KR1020050089312 A KR 1020050089312A KR 20050089312 A KR20050089312 A KR 20050089312A KR 20060051645 A KR20060051645 A KR 2006005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opening
peeling
lin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257B1 (ko
Inventor
이쿠야 사이토
사치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1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8Weakened closur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08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의 형상·위치가 다른 용기에 겸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개봉 용이성 포장체(100)는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한 개구 영역(150)을 갖는 포장체 본체와, 이 개구 영역(150)을 덮고 양측에서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덮개재(200)를 구비하고, 개구 영역(150)은 연포장 재료에 환형의 제1 절취선(210)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환형의 제1 절취선(210)과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따른 개구 영역(150)의 중심축에 대략 대칭으로 위치하는 2점을 기점으로 해서, 한 쪽의 박리 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제2 절취선(220)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개봉 용이성 포장체{EASY OPENABLE PACKAGING}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덮개재 및 절취선의 확대도.
도 3은 덮개재 및 절취선의 다른 예의 확대도.
도 4는 덮개재 및 절취선의 또 다른 예의 확대도.
도 5는 덮개재 및 절취선의 또 다른 예의 확대도.
도 6은 덮개재 및 절취선의 또 다른 예의 확대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취약부가 마련되어 있는 덮개재 및 절취선의 확대도.
도 8은 도 3에 있어서 취약부가 마련되어 있는 덮개재 및 절취선의 확대도.
도 9는 제2 절취선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90 ° 이상인 덮개재 및 절취선의 확대도.
도 10은 제2 절취선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90 ° 이상인 덮개재 및 절취선의 다른 예의 확대도.
도 11은 도 1에 있어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필름을 인열한 도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있어서 덮개재를 박리하여 필름을 인열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있어서 다른 쪽에서 덮개재를 박리한 도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에 있어서 다른 쪽에서 덮개재를 박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웨트 티슈용 포장체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연포장체를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장체
110: 필름
110a, 110b: 개구부
131, 132: 가로 밀봉부
150: 개구 영역
160: 인열 유도 수단
170: 웨트 티슈
171: 웨트 티슈편
200: 덮개재
210: 제1 절취선
220, 221, 222, 223, 224, 225, 226: 제2 절취선
230, 231: 박리 단부
240, 241: 취약부
300: 외장 용기
310: 본체부
320: 바닥 덮개
330: 제2 개구 영역
340: 덮개
350: 버튼
400: 웨트 티슈 포장체
본 발명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횡형 용기와 종형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와 같이 수분을 함유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연포장체에 있어서, 휴대하기 편리하고 추출하기 쉬우며, 또한 남은 웨트 티슈를 재차 사용할 때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재밀봉할 수 있는 연포장체가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연포장체로서,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주머니 본체에 자름선을 형성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위로부터 접착제를 통해 박리 가능한 덮개 부재를 마련한 화장용 섬유 소재 등의 봉입 주머니가 기재되어 있고, 개구부를 지니고, 또한 그 개구부를 재밀봉할 수 있는 필름 연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연포장체와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를 조합하는 것도 검토되어,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2에, 1장씩 분리된 웨트 티슈를 겹쳐 포개면서 평면형으로 적층한 것을 수용하는 필름형 연포장체와, 이 연포장체를 웨트 티슈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횡 배치로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강성 용기가 소위 팝업식이라 불리는 것으로, 웨트 티슈편을 인출하여 연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추출구를 용기 상부면에 구비한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강성 용기는 용기의 상부면 중심에 웨트 티슈의 추출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포장체의 개구부도 중심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강성 용기로는, 하기의 특허문헌 3에, 1장씩 분리된 웨트 시트편을 겹쳐 포개어 적층하여 이것을 웨트 시트편이 수직이 되도록 직접 수용한 용기로서, 용기의 상부면에 배치된 추출구에서 시트를 인출하는 구조의 강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화 제59-9997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095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04377호 공보
특허문헌 2와 같이, 웨트 티슈를 수용하는 연포장체와 이것을 수용하는 강성의 외장 용기를 조합한 경우, 연포장체의 개구부의 위치는 각각의 강성 용기의 개구부에 맞는 연포장체를 이용하여야 한다. 예컨대, 통상의 횡 배치 타입이라면, 연포장체의 웨트 티슈 평면의 대략 중앙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타원형이나 각형 등의 환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종 배치 타입인 경우로서 외장 용기 의 개구부가 그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연포장체의 개구부도 상기한 대략 중앙부에서 위쪽의 포장체 단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웨트 티슈 추출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컨대, 사용하는 목적이 유사하고, 내용물이 완전히 동일한 시트(약액이나 부직포, 치수)였다고 해도, 횡 배치 또는 종 배치라는 외장 용기의 배치 방법에 의해 소비자는 각각의 형상에 맞는 리필용 연포장체의 전용(專用)품을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어 매우 불편하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부터 3과 같은 종래의 연포장체에 있어서 그 배치 방향이 횡 배치 또는 종 배치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양방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는 리필 타입의 웨트 티슈용 연포장체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개구부 위치가 다른 횡형 용기와 종형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한다.
(1) 필름형의 연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한 개구 영역을 갖는 포장체 본체와, 이 개구 영역을 덮고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덮개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개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연포장 재료에 환 형의 제1 절취선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환형의 제1 절취선 상에서, 상기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따른 상기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략 대칭으로 위치하는 2점을 기점으로 해서, 한 쪽의 박리 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제2 절취선이 마련되어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에 따르면, 덮개재의 다른 쪽 박리 단부로부터 덮개재를 박리한 경우, 환형의 제1 절취선으로부터 연속하여 제2 절취선에 의해 연포장 재료가 당겨 벗겨져, 제1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단부까지 연속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는 연포장체의 대략 중앙부에서 단부까지의 큰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종형의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연포장체로서 적합하다.
한편, 반대측에 있는 한 쪽의 박리 단부로부터 덮개재를 박리한 경우, 제2 절취선은 박리 방향과는 역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포장 재료가 당겨 벗겨지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그대로 환형의 제1 절취선에 따른 개구부만 형성된다. 이 경우, 연포장체의 대략 중앙부에만 환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횡형의 외장 용기에 수용하는 연포장체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종류의 연포장체이면서 덮개재를 걷어 올리는 방향에 따라 종형 용기 또는 횡형 용기 모두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의 리필용 웨트 티슈 포장체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쪽 박리 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한다」란, 다른 쪽 박리 단부로부터 박리한 경우에, 환형의 제1 절취선으로부터 연속하여 제2 절취선에 의해 연포장 재료가 당겨 벗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며, 직선이나 곡선이라도 좋고, 파선이나 장방형이라도 좋다.
(2) 상기 덮개재의 다른 쪽 박리 단부로부터 상기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 상기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개구 영역에서부터 상기 포장체의 단부에 걸쳐서 연속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연포장 재료의 인열을 가이드하는 인열 유도 수단이 상기 연포장 재료에 형성되어 있는 (1)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연포장 재료에 인열 유도 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쪽 박리 단부로부터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 제1 절취선으로부터 포장체의 단부에 걸쳐서 용이하게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3) 상기 제2 절취선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는 상기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과의 이루는 각으로서 상기 한 쪽 박리 단부측의 각도가 90 °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제2 절취선의 종점이 박리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을 인열하는 방향이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일정한 방향으로 필름이 인열되어 안정하게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이 형태에 있어서의「제2 절취선」은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직선, 곡선과 직선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종점을 포함하는 부분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종점을 포함하는 직선 부분이 「제2 절취선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이며, 이러한 말단부는 적어도 종점에서 1 mm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이 다.
(4) 상기 덮개재로 덮여 있는 연포장 재료의 표면 상에서 상기 제2 절취선 또는 상기 개구 영역에서 보아, 상기 한 쪽의 박리 단부측에 취약 가공 처리에 의해 형성된 취약부가 마련되어 있는 (1)부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연포장 재료의 표면 상에 마련된 취약부에 의해 필름의 강성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 필름이 덮개재측으로 추종하여 쉽게 점착하기 때문에, 인열 유도 수단에 따라서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어 개구부를 확실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취약 가공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취약부」란, 예컨대, 칼집 가공이나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선이나 재봉선 같은 선형의 절취선이라도 좋다. 또한, 절취선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표면에 다이아몬드편이 부착된 엠보스 가공 처리 등에 의해 형성되어, 개구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흠집형의 요철이라도 좋다.
(5) 상기 덮개재의 박리 단부는 그 이외의 부분과 비교해서 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또는, 점착성을 갖고 있지 않은 (1)부터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박리 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덮개재를 박리하기 쉬워진다.
(6) 상기 포장체는 밀봉 포장체로서, 상기 내용물은 웨트 티슈인 (1)부터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개봉 용이성 포장체.
이 형태에 의하면, 리필용 웨트 티슈는 통상 필로우 포장체에 수용되어 있고, 그곳으로부터 간단히 웨트 티슈를 추출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특히 큰 개구부가 필요하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라면,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고, 외장 용기가 종 배치, 횡 배치의 어느 쪽이라도 용이하게 웨트 티슈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밀봉 포장체이기 때문에, 웨트 티슈 등의 내용물의 건조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전체 구성>
도 1, 2는 본 발명의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덮개재(200)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포장체(100)는 연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110)으로 구성된 필로우 포장체이다. 포장체(100)를 수평으로 둔 상태에서, 필름(110)의 상면측에는 덮개재(200)가 점착되어 있다. 131, 132는 각각 상하의 가로 밀봉부이며, 배면측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로 밀봉(배면 밀봉)부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재(200)가 덮는 부분의 필름(110)에는 환형의 제1 절취선(210), 제2 절취선(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환형의 절취선 (210)에 의해 내측에 개구 영역(150)이 마련된다. 덮개재(200)는 양 방향의 박리 단부(230, 231)를 가지며, 필름(110) 상에 점착되어 있다. 박리 단부(230, 231)는 양 방향에서 라벨을 쉽게 박리하기 위해, 그 이외의 부분과 비교해서 점착 강도가 낮게 되어 있거나, 또는, 점착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착」이란, 재박리 및 재밀봉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필름(110)의 상면에서의 제2 절취선(220)의 양 종점의 연장 상에는, 그곳으로부터 가로 밀봉부(132)에 걸쳐서 계속되는 2개의 평행한 인열 유도 수단(16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 수단(160)은 가상선으로서 기재되어 있고, 실제로는 필름(1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 방향과 일치하고 있어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인열 유도 수단(160)으로 되어 있다.
<필름>
필름(110)은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지만, 가열에 의해 필름이 융착하여 주머니형의 형상을 얻을 수 있고, 내부의 웨트 티슈의 건조를 막기 위해 방습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재질은 단체(單體)로 접착성과 기밀성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고, 각각 별도의 특성을 갖는 필름을 여러 종류 부착시킨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축 연신 PET 필름과 같이 1 방향성의 인열성을 향상시킨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이용하면, 슬릿으로부터 필름을 찢으면서 개구부를 형성할 때 직선적이고 안정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절취선과 개구 영역>
제1 절취선(210)은 환형의 개구 영역(150)이 생기도록 마련되면 좋다. 도 2에서는 타원형의 제1 절취선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사각이나 구 형상이라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환형으로 폐쇄되어 있어 덮개재(200)를 박리한 후에 형성된 개구부의 단부가, 그 속에 수납되어 있는 시트와 서로 마찰되는 시트 사이의 중첩을 분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저항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추출구가 되는 개구 영역(150)의 크기도 포장체(100)의 크기나, 추출하는 내용물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제1 절취선(210)은 필름을 펀칭하여 완전히 개구한 상태라도 좋고, 라벨을 당겨 벗길 때에 자연스럽게 끊어지는 정도, 소위 재봉선 정도로 일부 혹은 복수부가 포장체의 필름(1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도 좋다. 또한, 하프 커트라고 불리는, 필름의 두께 방향을 향해서 완전히 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필름의 최하층까지 절단하지 않는 상태라도 좋다. 어느 것이라도 덮개재(200)를 박리할 때 횡형 용기의 개구부에 대응한 포장체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태라면 좋다.
<제2 절취선>
제2 절취선(220)은 환형의 제1 절취선(210) 상의 2점으로서,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따른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략 대칭으로 위치하는 2점을 기점으로 해서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 제2 절취선(220)은 상기한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신장한 후, 박리 방향에 평행하며 박리 단부(230)로 향하는 L 자형을 이루고 있다.
제2 절취선(220)은 덮개재의 박리 방향에 따른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략 대칭으로 위치하는 2점을 기점으로 해서, 그곳으로부터 한 쪽의 박리 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으면 좋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도 3과 같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2 절취선(221)이라도 좋고, 도 4와 같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90 ° 미만의 예각으로 비스듬히 마련되어 있는 제2 절취선(222)이라도 좋다. 또, 개구 영역이 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예로, 도 5와 같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제1 절취선 상의 임의의 점을 기점으로 해서 제2 절취선(223)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도 6과 같이, 박리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절취선 상의 임의의 점을 기점으로 해서 제2 절취선(224)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취선(220)의 한 쪽 박리 단부측에 V 자형의 취약부(240)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취약부(240)에 의해 필름(110)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110)이 쉽게 구부러지기 때문에, 제2 절취선(220)으로부터의 컷업이 용이하게 되어, 덮개재(200)에 대한 점착을 확실하게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절취선(221)의 한 쪽 박리 단부측에 제1 절취선에 접하고, 박리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취약부(241)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취약부는, 필름(110)이 쉽게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상, 길이, 개수는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취약부는 지그재그형, 파형, R형이라도 좋고, 또한, 다른 형상의 것이 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1개만이라도 좋으며, 연속선이 아닌 재봉선이라도 좋다.
또한, 자름선은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소위 하프 커트의 상태라도 좋지만, 필름의 강성을 저하시켜 보다 쉽게 구부러지게 하는 관점에서는,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프 커트는, 예컨대, 레이저광의 조사나, 기계적인 칼집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 10과 같이 제2 절취선과 박리 방향이 이루는 각이 박리 단부(230)로부터 90 ° 이상인 경우에, 박리 단부(231)측에서 덮개재(200)를 박리하면, 제2 절취선으로부터 필름(110)을 인열할 때 찢어지는 방향이 유도되지 않기 때문에, 슬릿의 종점부에서 걸려버리거나, 찢어지는 방향이나 형성되는 개구 부분의 크기가 불안정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 절취선(220)은 필름을 찢는 방향성을 될 수 있는 한 안정시키기 위하여, 완전히 필름을 펀칭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봉선의 경우에는 필름(110)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절단할 때에 파단 방향이 흐트러져,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찢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프 커트인 경우에는, 찢어져 있지 않는 최하층의 필름 일부가 남아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파단 방향이 흐트러져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찢기거나,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이라고 불리는, 상층의 필름과 하층의 필름이 파단부에서 박리하기 시작해 개구부가 안정하게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인열 유도 수단>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 수단(160)은 가상선으로 기재되어 있고, 실제로는 필름(110)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이 가상선의 방향에 일치하고 있어, 이 연신 필름의 배향이 인열 유도 수단(160)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필름(110)의 기재층을 연신 필름으로 하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배향성이 높은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소위 역인열성(직선 커트성)의 일축 연신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연신 필름은 종래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인열 유도 수단(160)은 상기한 연신 배향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자름선을 필름(110) 상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자름선은 필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소위 하프 커트의 상태라도 좋지만, 포장체 본체의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프 커트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프 커트는 예컨대, 레이저광의 조사나 기계적인 칼집 가공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컨대, 기재층에만 형성할 수 있다.
<덮개재>
덮개재(200)로서는, 유연성을 갖는 가요성 필름형이나 시트형의 것으로 형성되고, 점착층을 형성하는 감압형 접착제는, 예컨대, 아크릴계의 풀제, 가소제를 포함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염화비닐단량체가 그래프트 중합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그래프트머(graftmer)를 주체로 한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재(200)의 형상은, 도 2에서는 타원형의 형상이지만 그 형상에 제약되지 않는다. 사각 형상이나 원 형상이라도 좋으며, 제1 절취선(210), 제2 절취선(220) 등을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면 좋다.
또, 덮개재(200)의 박리 단부(230, 231)는 그 이외의 부분과 비교해서 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또는 점착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다음에, 도 11에서부터 도 14를 이용하여, 이 포장체(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있어서 덮개재(200)를 박리 단부(231)로부터 박리한 도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박리한 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있어서 덮개재(200)를 박리 단부(230)로부터 박리한 도중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박리한 뒤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포장체(100)에 있어서, 덮개재(200)의 박리 단부(231)측으로부터 덮개재(200)를 박리한다. 그렇게 하면, 덮개재(200)의 이면측의 점착제에 의해 개구 영역(150)이 점착되어, 필름(110)의 개구 영역(150)이 제1 절취선(210)에 따라서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덮개재(200)를 더 박리하면, 이번에는 제2 절취선(220)에 인열선이 이어져, 가상선인 인열 유도 수단(160)에 따라서 필름(110)이 찢어지기 시작하여, 가로 밀봉부(132)까지 인열하고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110a 및 110b)가 일체로 해서 형성된다. 이 일체의 개구부는 외장 용기가 종형 용기인 경우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5, 16에는 상기와 같은 포장체(100)를 종형의 외장 용기(300)와 조합한 웨트 티슈용 포장체(4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웨트 티슈용 포장체(400)는 강성의 외장 용기(300)와 이 외장 용기(300) 내에 수용 된 복수의 웨트 티슈편을 수용한 상기 포장체(100)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체(100)는 복수의 웨트 티슈편이 바로 선 상태, 즉, 소위 종 배치의 상태에서 외장 용기(300)의 바닥부로부터 삽입 배치된 후, 바닥 덮개(320)에 의해 밀봉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개구부(110a 및 110b)를 일체로 해서 형성된 포장체(100)는 종형의 외장 용기에 이용되는 리필용 웨트 티슈 포장체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외장 용기(300)는 포장체(100)를 수용하는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의 바닥부에 기밀성을 갖도록 끼워 맞출 수 있는 바닥 덮개(320)로 주로 구성되고, 본체부(310)는 중공(中空)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본체부(310)의 정면 상부로부터 상면에 걸쳐서는, 웨트 티슈편을 추출하기 위한 제2 개구 영역(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개구 영역(330)에는 제2 개구 영역(330)을 기밀 상태로 덮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340)가 마련되어 있고, 이 덮개(340)는 힌지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개구 영역(330)은 외장 용기(300)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웨트 티슈를 위쪽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제2 개구 영역의 하단부가 웨트 티슈편과 상호 마찰이 생긴다. 따라서 특별한 갈고리나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 웨트 티슈편 사이의 분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한 장씩 웨트 티슈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덮개재(200)의 박리 단부(230)측에서 덮개재(200)를 박리한 경우에는, 덮개재(200) 이면측의 점착제에 의해 개구 영역(150)이 점착되고, 필름(110)의 개 구 영역(150)이 제1 절취선(210)에 따라서 분리되어 들어 올려진다. 그러나 덮개재(200)를 더 박리하더라도 제2 절취선은 필름을 당겨 벗기지 않은 그대로 잔존한다. 따라서 제1 절취선(210)에 따른 형상만이 개구된 도 14와 같은 개구부(110a)가 형성된다. 이 경우, 포장체의 개구 단부는 그대로 잔존하기 때문에, 횡형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할 때에도 추출성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개구부 위치가 다른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예컨대, 리필용 웨트 티슈의 포장체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재의 박리하는 방향에 의해 다른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의 개구부의 형상·위치가 다른 용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필름형의 연포장 재료로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상기 포장체는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한 개구 영역을 갖는 포장체 본체와, 이 개구 영역을 덮고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덮개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재는 상기 개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연포장 재료에 환형의 제1 절취선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상기 환형의 제1 절취선 상에서, 상기 덮개재의 박리 방향을 따른 상기 개구 영역의 중심축에 대략 대칭으로 위치하는 2점을 기점으로 해서, 한 쪽의 박리 단부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2개의 제2 절취선이 마련되어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의 다른 쪽 박리 단부로부터 상기 덮개재를 박리했을 때, 상기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개구 영역에서부터 상기 포장체의 단부에 걸쳐서 연속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연포장 재료의 인열을 가이드하는 인열 유도 수단이 상기 연포장 재료에 형성되어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의 종점을 포함하는 말단부는 상기 박리 방향에 평행한 선과 이루는 각으로서 상기 한 쪽의 박리 단부측의 각도가 90 °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로 덮여 있는 연포장 재료의 표면 상에서, 상기 제2 절취선 또는 상기 개구 영역에서 보아, 상기 한 쪽의 박리 단부측에 취약 가공 처리에 의해 형성된 취약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봉 용이성 포장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재의 박리 단부는 그 이외의 부분과 비교해서 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또는, 점착성을 갖고 있지 않은 개봉 용이성 포장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밀봉 포장체로서, 상기 내용물은 웨트 티슈인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20050089312A 2004-09-28 2005-09-26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1157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2377A JP4494915B2 (ja) 2004-09-28 2004-09-28 易開封性包装体
JPJP-P-2004-00282377 200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645A true KR20060051645A (ko) 2006-05-19
KR101157257B1 KR101157257B1 (ko) 2012-06-15

Family

ID=3623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312A KR101157257B1 (ko) 2004-09-28 2005-09-26 개봉 용이성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94915B2 (ko)
KR (1) KR101157257B1 (ko)
CN (1) CN1754783A (ko)
TW (1) TWI2740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95B1 (ko) * 2006-12-08 2007-11-09 주식회사 씨엠에스 비닐포장 개봉용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709B2 (ja) * 2005-04-01 2011-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4630711B2 (ja) * 2005-04-01 2011-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4630710B2 (ja) * 2005-04-01 2011-02-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4771728B2 (ja) * 2005-04-01 2011-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CN110582246A (zh) * 2017-04-28 2019-12-17 奥林巴斯株式会社 包装体
WO2020075754A1 (ja) * 2018-10-10 2020-04-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ポケットティシュー
JP7204621B2 (ja) * 2019-09-18 2023-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及び容器
WO2021054263A1 (ja) * 2019-09-18 2021-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及び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660A (ja) * 1983-11-07 1985-06-17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H0414371Y2 (ko) * 1985-04-03 1992-03-31
JP3553239B2 (ja) * 1995-11-02 2004-08-11 花王株式会社 包装体の開閉蓋用ラベル及び包装体
JP3804740B2 (ja) * 1999-03-30 2006-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2001301807A (ja) * 2000-02-16 2001-10-31 Unitika Ltd 包装体及び開閉蓋用ラベル使用の包装体
JP2003026224A (ja) * 2001-07-10 2003-01-29 Unitika Ltd 包装体
KR200302914Y1 (ko) * 2002-10-09 2003-02-05 우일씨앤텍(주) 물티슈용 비닐팩
JP4436703B2 (ja) * 2004-03-12 2010-03-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密封包装体
JP4776198B2 (ja) * 2004-09-27 2011-09-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ティシュ用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595B1 (ko) * 2006-12-08 2007-11-09 주식회사 씨엠에스 비닐포장 개봉용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4020B (en) 2007-02-21
JP4494915B2 (ja) 2010-06-30
JP2006096374A (ja) 2006-04-13
TW200610713A (en) 2006-04-01
CN1754783A (zh) 2006-04-05
KR101157257B1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79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KR101157257B1 (ko) 개봉 용이성 포장체
JP4456943B2 (ja) 易開封性包装体
US7703602B2 (en) Easy-open encasement
JP4875157B2 (ja) 鍼灸針の包装容器
JP6174565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5836795B2 (ja)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KR101228801B1 (ko) 웨트 티슈용 포장체
JP4763279B2 (ja) ウエットティシュ用包装体
JP2008179411A (ja) 易開封性ブリスター容器
JP5082643B2 (ja) 易開封性ブリスター容器
JP4730665B2 (ja) ラベル用シート
JP3916296B2 (ja) 包装体の開封構造
JP2004331158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2517731Y2 (ja) ウエットティシュ用容器
JP5056279B2 (ja) 二重カップ
JP4544668B2 (ja) 即席食品用容器の湯切蓋
JP4955236B2 (ja) 包装体
JP2023170153A (ja) 蓋ラベルおよび蓋ラベル付包装体
KR20240016958A (ko) 시트 구조체, 시트 포장체, 및 외장체
JP6566621B2 (ja) 蓋用ラベル及び包装体
JP3102639U (ja) 接着封止式袋体の開封構造
JP2003002335A (ja) 開封装置付き封筒
JP2006232286A (ja) ロールペーパー用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