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838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838A
KR20060050838A KR1020050080160A KR20050080160A KR20060050838A KR 20060050838 A KR20060050838 A KR 20060050838A KR 1020050080160 A KR1020050080160 A KR 1020050080160A KR 20050080160 A KR20050080160 A KR 20050080160A KR 20060050838 A KR20060050838 A KR 2006005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nector
antenna device
fixing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146B1 (ko
Inventor
가즈야 나카노
히로유키 마에다
가츠시로 이시바야시
사토시 나가사와
하지메 사이토
가즈히코 후루카츠
겐타로 도다
Original Assignee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16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where the road or rail vehicle is only used as transporta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안테나 본체(30)는 안테나 요소(33)와, 제 1 커넥터(50)에 설치된 암 커넥터(53∼55)와, 암 나사부(52b)와, 안테나 장착 구멍(H)에 삽입됨으로써, 루프 패널(R)의 하측면에 결합하는 결합 클릭(57a)을 구비하고, 고정 부재(100)는 케이블(116∼118)과 제 2 커넥터(110)에 설치되고, 암 커넥터(53∼55)와의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인 접속에 제공되는 동시에 케이블(116∼118)에 접속된 수 커넥터(113∼115)와, 암 나사부(52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암 커넥터(53∼55)와 수 커넥터(113∼115)와 루프 패널(R)을 체결하는 수 나사부(133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하측으로부터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본체를 루프 패널에 삽입한 상태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본체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본체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 중 2점 쇄선(α)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3은 도 11 중 2점 쇄선(β)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자동차용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안테나 장치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220 : 안테나 장치 2, 30, 230 : 안테나 본체
3, 31, 231 : 안테나 커버 4, 33, 232 : 안테나 요소
40, 240 : 베이스부 50, 250 : 제 1 커넥터
52b, 303 : 암 나사부 53∼55, 253∼255 : 암 커넥터
57a, 120, 252a : 결합 클릭 101, 301 : 커버체
113∼115, 314∼316 : 수 커넥터 133b : 수 나사부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체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주파수대를 수신할 수 있는 복합 안테나의 경우라도, 장착 작업을 간략화하고, 접속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체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로서 각종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6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48599호 공보). 도 14 및 도 15는 이러한 안테나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안테나 장치(1)는 루프 패널(R)의 상측에 설치된 안테나 본체(2)와, 루프 패널(R)의 하측에 설치된 장착 너트(10)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본체(2)는 안테나 커버(3)와, 이 안테나 커버(3)에 장착된 안테나 요소(4)와, 안테나 커버(3)와 루프 패널(R) 사이에 배치된 패드부(5)와, 패드부(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베이스부와 기판부(6)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6)에는 정합 회로나 증폭 회로 및 분파기가 내장되어 있다.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7)가 설치되고, 안테나 장착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이 돌출부(7)의 내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을 거쳐서 신호를 전달하는 AM/FM용의 동축 케이블(8) 및 기판부(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9)이 인출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7)의 표면에는 나사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너트(10)는 그랜드 와셔(11)와 너트부(12)를 구비하고, 너트부(12)에 대하여 그랜드 와셔(11)는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1)에는, 최초로 루프 패널(R)의 안테나 장착 구멍에 도 15 중 상방으로부터 안테나 본체(2)를 장착한다. 이 때, 임시 고정용 클릭(7b) 등에 의해 안테나 본체(2)가 움직이지 않도록 임시 고정한다. 다음에, 패드부(5)의 돌출부(7)의 관통 구멍에 동축 케이블(8) 및 전원 라인(9)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장착 너트(10)의 너트부(12)를 돌출부(7)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7a)에 나사 결합시킨다. 또한, 너트부(12)를 회전시켜 가면 그랜드 와셔(11)의 삼각형상의 선단부가 루프 패널(R)의 도 15 중 하면측으로 들어가고, 루프 패널(R)에 안테나 본체(2)가 확실하게 고착되는 동시에 접지된다.
상술한 안테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최근, 안테나 장치는, AM/FM 방송 수신용 안테나 외에, GPS, 모바일 방송, ETC, SDARS 등의 고주파용의 패치 안테나가 내부에 내장되는 복합 안테나로서 구성되는 것이 많아졌다. 또한, 안테나 본체에 내장되는 앰프를 위한 전원 코드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안테나 장착 구멍에 통과시키는 케이블류의 수가 많고, 작업이 번잡하게 되었다.
또한, 차체의 내측에서 각각의 케이블을 차량측의 케이블과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작업자의 부담이 컸었다. 또한, 고주파 대역용의 케이블을 접속할 때에 이용하는 커넥터의 경우, 접속시에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접속 작업에 숙련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테나 본체를 루프 패널에 위치 결정할 때의 임시 고정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상향으로 작업을 실행하기 때문에, 그랜드 와셔나 너트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순서로 안테나 본체를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안테나 요소와 케이블을 확실히 접속하고, 접지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판재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되는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한 쪽 면측에 배치된 안테나 본체와, 상기 판재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본체를 상기 판재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본체는 안테나 요소와, 이 안테나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그 축심선이 상기 장치 구멍을 관통하는 체결 방향에 설치된 제 1 나사부와, 상기 한 쪽 면측으로부터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다른 쪽 면측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안테나 요소와의 접속에 제공되는 전기 공급선과, 이 전기 공급선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인 접속에 공급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본체와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판재를 체결하는 제 2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순서로 안테나 장치를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안테나 요소와 케이블을 확실하게 접속하고, 접지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부분적으로 상세 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하기에서 특별히 지적되는 수단과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얻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며, 상술된 종래 기술 및 후술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안테나 장치(20)의 종단면도, 도 4는 안테나 본체(30)를 루프(R)에 삽입한 상태를 하측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고정 부재(100)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안테나 본체(30)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안테나 장치(20)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러한 도면 중 참조 부호 (C)는 후술하는 볼트(130)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나사가 진행하는 체결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R)은 자동차 등의 차체를 구성하는 루프 패널, 참조 부호 (H)는 안테나 장착 구멍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구멍(H)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부에 절결부(H1)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장치(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본체(30)와 고정 부재(100)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본체(30)는 안테나 커버(31)와, 이 안테나 커버(31)와 루프 패널(R) 사이에 협지되는 패드(32)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커버 (31)에는 AM/FM용의 안테나 요소(33)가 장착되어 있다.
패드(32)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40)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부(40) 상에는 패치 안테나(41)와, 기판(42)과, 제 1 커넥터(50)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커넥터(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상의 커넥터 본체(51)와, 이 커넥터 본체(51)의 도 3 중 하면측 중앙부에 설치된 통체(52)와, 이 통체(52)의 주위에 통체(52)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3개의 암 커넥터(53∼55)와, 커넥터 본체(51)의 도 3 중 상면측에 설치되어 암 커넥터(53∼55)와 접속된 단자(56)와, 커넥터 본체(51)의 측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스프링판(57)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51)의 측면에는 절결부(H1)와 합치하는 돌기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통체(52)는 2종류의 내경을 갖고 있고, 약간 대직경의 원통부(52a)와, 약간 소직경으로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 나사부(52b)를 구비하고 있다. 통체(52)의 외주면에는 통체(52)의 축방향을 따라 돌조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판(57)은 그 선단부에 결합 클릭(57a)이 형성되는 동시에, 도 3 중 좌우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 클릭(57a)은 루프 패널(R)의 안테나 장착 구멍(H)의 차내측(도 3 중 하면)의 주연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10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 재제, 예컨대 스테인리스 또는 니켈 도금을 실시한 철 등으로 구성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커버체(접지 부재)(101)와, 제 2 커넥터(110)와, 볼트(1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버체 (101)에는, 후술하는 볼트(130)의 수 나사부(133b)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101)와 제 2 커넥터(110)의 극간에는, 파형 와셔(탄성체)(103)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커넥터(110)를 상방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커버체(101)에는, 후술하는 결합 클릭(120)에 결합함으로써 결합 클릭(120)의 체결 방향 이외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 구멍(101a)과, 후술하는 돌기부(121)가 삽입됨으로써, 커버체(101)와 제 2 커넥터(1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위치 결정 구멍(101b)과, 루프 패널(R)에 접촉하는 돌기부(10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 클릭(120)은 커버체(101)와 제 2 커넥터(110)를 결합시키는 동시에, 볼트 체결시에 제 2 커넥터(110)가 제 1 커넥터(50)와 소정 이상의 힘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구멍(101a)의 체결 방향의 길이는, 볼트(130)의 체결시에 있어서의 파형 와셔(103)의 가압력과의 관계에서, 제 2 커넥터(110)가 소망하는 위치에서 제 1 커넥터(50)에 접속하도록 설정된다.
제 2 커넥터(1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커넥터 본체(111)와, 이 커넥터 본체(11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술한 통체(52)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112)과, 이 관통 구멍(112)의 주위에 배치되어 전술한 암 커넥터(53∼55)의 접속에 제공되는 수 커넥터(113∼115)와, 이러한 수 커넥터(113∼115)에 접속된 케이블(116∼118)과, 관통 구멍(112)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부(119)와, 커넥터 본체(111)의 측면에 설치된 결합 클릭(1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 중 참조 부호 (121)은 파형 와셔(103)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기부를 도시하고 있다.
관통 구멍(112) 및 가이드부(119)에 의해, 전술한 통체(52)가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돌조부(52c)에 의해 통체(52)의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트(130)는 너트(131)와, 너트(131)와 일체화된 와셔(132)와, 축체(133)를 구비하고 있다. 축체(133)는 너트(131)측에 약간 소직경의 축체부(133a)와, 선단부측에 약간 대직경의 수 나사부(133b)를 구비하고 있다. 수 나사부(133b)는 전술한 통체(52)의 암나사(52b)와 나사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또한, 안테나 본체(30) 및 고정 부재(100)는 미리 조립이 실행되어 있다. 안테나 본체(3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50)에 고주파 대역용의 패치 안테나(41)를 장착하고,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42)을 장착한다. 이 기판(42)의 단자로부터 리드선(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안테나 요소(33)와의 접속을 실행하고, 안테나 커버(31)를 장착한다. 또한, 고정 부재(10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볼트(130)를 커버체(101)의 관통 구멍(102)에 삽입해 둔다. 이 때, 관통 구멍(102)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130)의 수 나사부(133b)를 비틀어 넣어둠으로써, 볼트(130)가 커버체(101)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그 후의 조립 공정은 크게 3개의 공정으로 나뉜다. 즉, 제 1 공정은 안테나 본체(30)를 임시 고정하는 공정, 제 2 공정은 고정 부재(100)를 임시 고정하는 공 정, 제 3 공정은 볼트(130)를 체결하는 공정이다. 이하, 각 공정을 상술한다.
제 1 공정에서는, 우선 루프 패널(R) 상의 안테나 장착 구멍(H) 주위에 패드(32)를 위치 결정하고, 제 1 커넥터(50)를 안테나 장착 구멍(H)에 삽입한다. 이 때, 스프링판(57)은 안테나 장착 구멍(H)을 통과할 때에는 안테나 장착 구멍(H)의 가장자리에 의해 내측으로 만곡되어서 안테나 장착 구멍(H)을 통과하고, 통과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서 안테나 장착 구멍(H)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결합 클릭(57a)이 루프 패널(R)의 이면에 결합하여 제 1 커넥터(50)가 루프 패널(R)에 임시 고정된다.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2 및 도 3이다.
또한, 제 1 커넥터(50)를 안테나 장착 구멍(H)에 삽입할 때, 방향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절결부(H1)에 돌기부(51a)가 맞도록 장착한다.
제 2 공정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110)의 수 커넥터(113∼115)를 암 커넥터(53∼55)에 삽입한다. 수 커넥터(113∼115)가 암 커넥터(53∼55)의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된 시점에서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임시 고정된다. 또한, 이 때 전기적인 도통도 실행된다.
제 3 공정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130)를 비틀어 넣으면, 수 나사부(133b)가 통체(52)의 암 나사부(52b)에 이르고, 나사 결합하여 체결된다. 와셔(132)가 커버체(101)에 적절한 힘으로 가압된 시점에서 볼트(130)의 비틀어 넣음을 정지한다. 커버체(101)의 돌기부(101c)가 루프 패널(R)에 들어감으로써, 접지가 실행된다.
이렇게 구성된 안테나 장치(20)에 따르면, 제 1 커넥터(50)의 안테나 장착 구멍(H)으로의 삽입에 의해, 제 1 임시 고정이 실행되고(제 1 공정), 제 2 커넥터(110)의 제 1 커넥터(50)로의 삽입에 의해, 제 2 임시 고정이 실행되며(제 2 공정), 마지막으로 볼트(130)의 비틀어 넣음에 의해 고정 및 접지가 실행된다(제 3 공정). 이 때문에, 간단한 작업으로 안테나 장치(20)를 루프 패널(R)의 안테나 장착 구멍(H)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확실하게 접속 및 접지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커넥터(110)는 결합 클릭(120)과 결합 구멍(101a)의 동작에 의해, 커버체(101)에 대하여 수 커넥터(113∼115)와 암 커넥터(53∼55)와의 접속을 설계상의 규정된 범위 내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110)는 커버체(101)에 대하여 체결 방향(C)을 따라 플로팅 구조로 되어 있는 동시에, 커버체(101)와의 사이에 파형 와셔(10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커넥터(110)는 커버체(101)에 의해 적절한 힘으로 제 1 커넥터(50)측에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 커넥터(113∼115)와 암 커넥터(53∼55)는 항상 적절한 범위 내에서 접속됨으로써,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즉, 고주파 대역의 신호에 있어서는, 약간의 접촉 상태의 엇갈림에 의해 신호가 양호하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힘으로 수 커넥터(113∼115)가 암 커넥터(53∼55)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개소에 있어서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0)에 따르면, 간단한 순서로 안테나 본체(30)를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안테나 요소(33) 및 패치 안 테나(41)와 케이블(116∼118)을 확실하게 접속하고, 접지도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형 와셔(탄성체)(103)를 없애고, 동일한 기능, 즉 제 2 커넥터(110)가 소망하는 위치에서 제 1 커넥터(50)에 접속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을 제 1 커넥터(50)측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2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 중 2점 쇄선(α)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13 은 도 11 중 2점 쇄선(β)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또한, 이러한 도면 중 C는 후술하는 너트(302)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나사가 진행되는 체결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안테나 장치(220)는 안테나 본체(230)와 고정 부재(300)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본체(230)는 안테나 커버(231)와, 이 안테나 커버(231)에 장착된 AM/FM용의 안테나 요소(232)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 커버(231) 내부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40)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부(240)의 상면측에는 패치 안테나(241) 및 기판(24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40)의 하면측에는 통체(24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244)가 형성되어 있다. 통체(243)에는 절결부(24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242)의 하면측에는 제 1 커넥터(250)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커넥터(250)는 통형상의 커넥터 본체(251)와, 이 커넥터 본체(251)의 외주벽에 끼워진 임시 고정용 칼라(252)를 구비하고 있다. 임시 고정용 칼라(252) 는 통체(243)에 설치된 절결부(243a)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결합 클릭(252a)을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51)의 내부에는, 3개의 암 커넥터(253∼25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클릭(252a)은 도 11 중 상하 방향으로 휘도록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루프 패널(R)의 안테나 장착 구멍(H)의 차내측(도 11 중 하면)의 주연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300)는 통형상의 커버체(접지 부재)(301)와, 이 커버체(30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너트(302)와, 커버체(301) 내에 설치된 제 2 커넥터(31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커넥터(310)에는 케이블(311∼313)이 접속되어 있고, 각각 수 커넥터(314∼316)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수 커넥터(314∼316)는 전술한 암 커넥터(253∼255)에 접속된다.
커버체(301)에는 축심선 방향(C)을 따라 절결이 설치되어 있고, 케이블(311∼313)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체(301)의 상단면에는 루프 패널(R)에 가압하여 접지하는 클릭(30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너트(302)의 내벽면에는 전술한 수나사(244)에 나사 결합하는 암 나사(3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체(301)의 내면측에는 제 2 커넥터(310)를 커버체(301)측으로부터 루프 패널(R)측으로 가압하는 파형 와셔(탄성체)(304)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커넥터(310)를 도 11 중 상방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테나 장치(22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안테나 본체(230) 및 고정 부재(300)는 미리 조립이 실행되어 있다. 그 후의 조립 공정은 크게 3개의 공정으로 나뉜다. 즉, 제 1 공정은 제 1 커넥터(250)를 임시 고정하는 공정, 제 2 공정은 제 2 커넥터(310)를 임시 고정하는 공정, 제 3 공정은 너트(302)를 체결하는 공정이다. 이하, 각 공정을 상술한다.
제 1 공정에서는, 베이스부(240)를 루프 패널(R) 상의 안테나 장착 구멍(H) 주위에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제 1 커넥터(250)를 안테나 장착 구멍(H)에 삽입한다. 이 때, 결합 클릭(252a)은 안테나 장착 구멍(H)을 통과할 때에는 안테나 장착 구멍(H)의 가장자리에 의해 내측으로 만곡되어서 안테나 장착 구멍(H)을 통과하고, 통과하면 원래 도시하는 형상으로 복귀되어서 안테나 장착 구멍(H)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결합 클릭(252a)이 루프 패널(R)의 이면에 결합하여 제 1 커넥터(250)가 루프 패널(R)에 임시 고정된다.
제 2 공정에서는 제 2 커넥터(310)의 수 커넥터(314∼316)를 암 커넥터(253∼255)에 삽입한다. 수 커넥터(314∼316)가 암 커넥터(253∼255)의 소정의 깊이까지 삽입된 시점에서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임시 고정된다. 또한, 이 때 전기적인 도통도 실행된다.
제 3 공정에서는 너트(302)를 비틀어 넣어가면, 암 나사부(303)가 수나사(244)에 이르고, 나사 결합하여 체결된다. 너트(302)가 커버체(301)를 루프 패널(R)에 적절한 힘으로 가압한 시점에서 너트(302)의 비틀어 넣음을 정지한다. 커버체(301)의 클릭(301a)이 루프 패널(R)에 가압되어 들어감으로써, 접지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220)에 따르면, 제 1 커넥터(250)의 안테나 장착 구멍(H)으로의 삽입에 의해 제 1 임시 고정이 실행되고(제 1 공정), 제 2 커넥터(310)의 제 1 커넥터(250)로의 삽입에 의해 제 2 임시 고정이 실행되며(제 2 공정), 마지막으로 너트(302)의 비틀어 넣음에 의해 고정 및 접지가 실행된다(제 3 공정). 이 때문에, 간단한 작업으로 안테나 장치(220)를 루프 패널(R)에 장착되는 동시에, 확실하게 접속 및 접지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상술한 예에서는, 3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을 설명했지만, 실제 접속에 이용하는 것은 이 중 1∼2조의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접속의 수는 3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추가적인 장점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광범위한 관점에서의 본 발명은 하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특정한 설명과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기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와 상응하는 것에 의해 규정되는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를 간단한 순서로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안테나 요소와 케이블을 확실하게 접속하고, 접지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장착 구멍이 설치된 판재의 한 쪽 면측에 배치된 안테나 본체와,
    상기 판재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 본체를 상기 판재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본체는, 안테나 요소와,
    상기 안테나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그 축심선이 상기 장착 구멍을 관통하는 체결 방향에 설치된 제 1 나사부와,
    상기 한 쪽 면측으로부터 상기 장착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다른 쪽 면측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안테나 요소와의 접속에 제공되는 전기 공급선과,
    상기 전기 공급선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인 접속에 제공되는 제 2 커넥터와,
    상기 제 1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본체와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판재를 체결하는 제 2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나사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판재에 접촉하는 도전재제의 접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판재의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것인
    안테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커넥터와 상기 접지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를 더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접지 부재의 상기 체결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량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제 2 나사부가 상기 판재와 반대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요소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소자를 구비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050080160A 2004-10-12 2005-08-30 안테나 장치 KR100756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8027 2004-10-12
JP2004298027A JP4243576B2 (ja) 2004-10-12 2004-10-12 アンテ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38A true KR20060050838A (ko) 2006-05-19
KR100756146B1 KR100756146B1 (ko) 2007-09-05

Family

ID=3570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160A KR100756146B1 (ko) 2004-10-12 2005-08-30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15291B2 (ko)
EP (1) EP1648049A1 (ko)
JP (1) JP4243576B2 (ko)
KR (1) KR100756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03778191T1 (de) * 2002-11-29 2006-04-13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Antenne mit niedriger profileinsatzmutter
CA2413459C (en) * 2002-11-29 2007-10-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Low profile antenna insert nut
US7274341B2 (en) * 2003-07-31 2007-09-25 Yokowo Co., Ltd. Antenna mounting structure
US7439930B2 (en) * 2005-03-23 2008-10-21 Asc Signal Corporation Antenna mount with fine adjustment cam
DE202005020107U1 (de) 2005-12-23 2007-02-15 Kathrein-Werke Kg An einer Leiterplatine elektrisch angeschlossene koaxiale H-Steckverbindungs-Einrichtung sowie zugehörige Steckverbindereinheit
DE202006000720U1 (de) * 2006-01-17 2006-04-20 Receptec Gmbh HF-Stecker-Befestigungsmittel
DE102006022392A1 (de) * 2006-05-12 2007-11-15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anordnung und Befestigungsverfahren für eine Fahrzeugantenne
EP2018693B1 (de) * 2006-05-18 2011-11-23 Auto-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Stromprofil für kabeldurchführungen
US7710333B2 (en) * 2006-05-19 2010-05-04 Delphi Technologies, Inc. Fastening and connection apparatus for a panel-mounted vehicle antenna module
JP4637792B2 (ja) * 2006-05-30 2011-02-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アンテナ装置
DE102006037166B3 (de) * 2006-08-02 2007-12-27 Wilhelm Sihn Jr. Gmbh & Co. Kg Fahrzeugantenne
JP4835343B2 (ja) * 2006-09-19 2011-12-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7492319B2 (en) * 2006-09-22 2009-02-17 Laird Technologies, Inc. Antenna assemblies including standard electrical connections and captured retainers and fasteners
JP2008085386A (ja) * 2006-09-25 2008-04-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アンテナの取付構造
US7564417B2 (en) * 2007-05-01 2009-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enna device having a non-electrical engagement during pre-lock
US20090160727A1 (en) * 2007-06-29 2009-06-25 Barry Booth EZ fit antenna base (top mount)
DE102007054140B4 (de) * 2007-11-14 2011-05-12 Wilhelm Sihn Jr. Gmbh & Co. K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antenne
JP5216560B2 (ja) * 2008-12-08 2013-06-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
JP5241549B2 (ja) * 2009-02-09 2013-07-1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のコネクタ
MX2011013300A (es) 2009-06-11 2012-01-12 Electro Motive Diesel Inc Arreglo modular de antenas para locomotora.
JP5422306B2 (ja) * 2009-08-27 2014-02-19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JP5585139B2 (ja) * 2010-03-18 2014-09-1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8537061B2 (en) * 2010-05-17 2013-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apparatus for locomotive radio communications
TWM481493U (zh) * 2014-01-03 2014-07-01 Grand Tek Technology Co Ltd 天線連接結構
JP6206243B2 (ja) * 2014-02-21 2017-10-04 株式会社Soken 集合アンテナ装置
JP6053728B2 (ja) * 2014-08-14 2016-12-27 原田工業株式会社 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取付構造
KR102486359B1 (ko) * 2017-09-19 202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장치
TWI662740B (zh) * 2018-01-09 2019-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外接式天線及無線通訊系統
WO2023127765A1 (ja) * 2021-12-28 2023-07-06 Agc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車両用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3946B1 (fr) 1984-05-07 1988-02-12 Mecaniplast Dispositif de raccord pour une embase d'antenne destinee a etre fixee sur une paroi et capuchon d'antiparasitage pour un tel dispositif
FR2707802B1 (fr) 1993-06-30 1995-09-22 Pizon Ernest Embase d'antenne adaptée à recevoir un connecteur coudé en forme de L.
FR2729010B1 (fr) 1994-12-30 1997-04-11 Caillot Raymond Antenne pour vehicule automobile susceptible de recevoir un adaptateur actif d'impedance et ensemble adaptateur actif d'impedance pour une telle antenne
DE19802265C2 (de) 1998-01-22 2003-04-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nschluß von Antennenkabeln an mindestens eine Fahrzeugantenne
WO2000035045A1 (de) 1998-12-04 2000-06-15 Wilhelm Sihn Jr. Kg Antenne für automobile
JP2001036315A (ja) 1999-07-22 2001-02-09 Nippon Antenna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
US7004666B2 (en) * 2001-10-09 2006-02-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attach automotive antenna mounting assembly
JP2004048599A (ja) 2002-07-15 2004-02-12 Harada Ind Co Ltd 車両用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EP1688306B1 (en) * 2003-11-25 2010-07-21 Harada Industry Co., Ltd. Vehicle roof antenna instal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146B1 (ko) 2007-09-05
US7215291B2 (en) 2007-05-08
EP1648049A1 (en) 2006-04-19
US20060077112A1 (en) 2006-04-13
JP4243576B2 (ja) 2009-03-25
JP2006115009A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146B1 (ko) 안테나 장치
US6354855B2 (en) Coaxial connector
US7564417B2 (en) Antenna device having a non-electrical engagement during pre-lock
CN110943277B (zh) 天线装置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US7909612B2 (en) RF connector mounting means
EP1130678A2 (en) Wideband antenna mountable in vehicle cabin
EP0794596B1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US7588459B2 (en) Connecting device having a locking mechanism
WO200310309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775139B2 (ja) テレビコンセント
US5649834A (en) Self-aligning electrical connector
KR20150110249A (ko) 케이블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TWI733851B (zh) 同軸連接器、高頻單元及接收裝置
JP2001135431A (ja) テレビコンセント
KR19990078235A (ko)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장치
JPH10199627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4637792B2 (ja) 車載用アンテナ装置
WO2022114161A1 (ja) 車載用アンテナ装置
CN112838336B (zh) 一种射频公对公转接头、射频转接系统及车辆
JP3678082B2 (ja) テレビコンセント
JP3680667B2 (ja) テレビコンセント
KR20100006380U (ko) 안테나 체결장치
JP3231997B2 (ja) フィルム状アンテナ
JP2001135405A (ja) テレビ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