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365A -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 - Google Patents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365A
KR20060050365A KR1020050073188A KR20050073188A KR20060050365A KR 20060050365 A KR20060050365 A KR 20060050365A KR 1020050073188 A KR1020050073188 A KR 1020050073188A KR 20050073188 A KR20050073188 A KR 20050073188A KR 20060050365 A KR20060050365 A KR 20060050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holding frame
soil working
working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350B1 (ko
Inventor
에르윈 스토에제르
Original Assignee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5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1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 E02F3/2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 E02F3/20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wheels turning round an axis, e.g. bucket-type wheels with tools that only loosen the material, i.e. mill-type wheels with a pair of digging wheels, e.g. slot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매달린 토양 작업 장치가 지지 장치에 의하여 내려지고 지반으로 도입되며 뒤이어 토양 작업 장치가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지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지지 장치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제공되며 지지 케이블이 상기 홀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토양 작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지 케이블, 홀딩 프레임, 절단기

Description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SOIL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첫 번째 태양에 따른 절단기로써 구조되고 그 절단기가 들어 올려진 토양 작업 장치를 기진 토양 작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구의 홀딩 프레임을 절단기가 내려간 상태에서 정면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기구의 절단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구의 절단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두번째 태양에 따른 절단기로써 구조되고, 그 절단기가 들어 올려진 토양 작업 장치를 가지는 토양 작업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절단기가 내려간 상태에서 도 6의 기구의 홀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절단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14는 토양 작업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 단계들이다.
도 15 및 16은 절단기로써 구조된 다른 토양 작업 장치의 절단 단면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매달린 토양 작업 장치가 지지 장치로부터 내려지고, 지반에 도입되며, 이어서 그 토양 작업 장치는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지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토양 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토양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토양으로 도입될 수 있는 토양 작업 장치, 특히 절단기를 가지는 토양 작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 및 그 기구는 DE 41 19 212 A1에 의하여 공지된다. 그 문헌은 트렌치 벽 절단기로써 구조되고, 트럭 지브 (jib)에 있는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매달린 토양 작업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트렌치 벽 절단기는 지반 속으로 내려지고 절단 트렌치를 형성하며, 그리고나서 만들어진 트렌치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다른 트렌치 벽 절단 방법은 DE 41 41 629 C2에 의하여 공지된다. 이른바 단일-단계 방법에서 절단 트렌치는 절단기를 들어올린 후 트렌치 벽을 단단하게 하는 자가-경화 서스펜션에 의하여 싱킹(sinking) 되는 동안 지지된다. 단일-단계 방법에서 트렌치 싱킹 (sinking)이 뜻하지 않게 지연된다면, 트렌치 벽 절단기가 트렌치 내에 아직 있음에도 서스펜션이 부분적으로 경화될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트렌치 벽 절단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비교적 높은 장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트렌치 벽 절단기에 대한 지지 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만 한다.
DE 39 05 463 A1은 트렌치 벽을 제작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이 공지된 방법에 따르면 트렌치 벽 절단기는 먼저 트렌치를 절단한다. 원하는 최종 깊이에 도달한 후, 트렌치 벽 절단기의 절단 폭은 절단 휠을 옆으로 옮기는 것에 의하여 커진다. 그 다음에 트렌치 벽 절단기는 트렌치 측벽을 절단함과 동시에 들어 올려진다. 이 공지의 방법에서도 트렌치 벽 절단기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힘이 가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트렌치 벽 절단기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지지 장치로 된 토양 작업 장치를 가지는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작업 방법 및 청구항 8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작업 기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태양들은 종속항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작업 방법은 지지 장치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제공되고, 지지 케이블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며,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리거나 들어올릴 때 케이블 장력의 일부가 홀딩 프레임을 통하여 지반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토양 작업 장치가 지지 장치에만 매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지지 장치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제공되는 것이다. 그 결과 토양 작 업 장치의 장력은 지지 장치와 부가의 홀딩 프레임에 분산되고 지지 장치의 부담이 경감된다. 그러므로, 지지 장치는 특히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 작업 장치는, 토양 특성을 바꾸기 위하여, 지반, 특히 도랑 또는 트렌치 안으로 내리고, 이로부터 다시 들어올리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양 작업 장치는 절단 장치, 드릴링 장치 또는 다른 서스펜션 유형들을 교체하기 위하여 트렌치 내로 도입하는 서스펜션 교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장치는 예를 들어, 트레인 또는 건설 트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작업 장치는 지지 케이블에 의한 지지 장치 및 홀딩 프레임과의 장력에 견디는 연결에 그 특징이 있다. 그 결과 지지 케이블은 트렌치를 따라 적어도 두 번 토양 표면까지 토양 작업 장치에 연결된다. 지지 케이블에 대한 토양 작업 장치의 공지의 직접적인 매달림에 반대하여, 구멍에 꿰어진 한 쌍의 선들에 있어서는 지지 장치는 장력의 오직 반을 지탱하고, 나머지 장력은 홀딩 프레임을 통하여 지반에서 지지된다. 장력은 특히 토양 작업 장치의 무게 및 토양에서 토양 작업 연장의 공급력, 특히 절단 휠의 주변을 둘러싸는 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토양 작업이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리는 동안 행하여지는 경우, 즉, 토양 작업 연장의 공급력이 들어올림 동안에 가해져야 할 때 적합하다. 이 경우 공급력은 절단기 무게 힘에 더하여지며 무게 힘에 의하여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케이블에 있어서 구멍에 꿰어진 한 쌍의 선들 이외에도 다수의 선들이 될 수도 있다.
지지 장치의 부담 경감을 위하여 홀딩 프레임은 상기 지지 장치로부터 적당하게 떨어져 있다. 즉, 홀딩 프레임 및 토양 작업 장치 사이의 연결은 지지 케이블을 통하여 단독으로, 그리고 조절 및 공급선을 통하여 임의로 나타난다. 또한 지지 장치에는 홀딩 프레임을 지반 표면에 내려놓기 위한 내려놓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홀딩 프레임이 지지 장치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기 연결은 적당하게 구부러지고 단단하지 않아서 토양 작업 장치의 어떠한 장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홀딩 프레임에 의한 토양 속으로의 효과적인 힘 도입을 위하여, 토양 또는 지반 표면에 직접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택적으로 토양에 부착할 수 있다. 힘 도입은 홀딩 프레임이 굳은, 경화된 기반 성분, 특히 경화된 기초 패널, 즉 트렌치 벽의 기초 라멜라에 놓이는 경우에 더 증가할 수 있다. 내려놓기, 보조용 및/또는 비축용 프레임으로써 언급될 수 있는 홀딩 프레임은 도랑 또는 트렌치의 상부 가장자리 근처에 적당하게 위치되고 지반에 있는 트렌치의 통로 둘레를 완전히 통과한다. 보조 프레임은 또한 특히 토양 작업 장치가 지반 내로 도입될 때까지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지지 케이블은 홀딩 프레임에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홀딩 프레임에는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턴 풀리(return pulley)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케이블은 치환 가능하게, 즉 자유롭게 홀딩 프레임에 연결된다. 이는 특히 지지 케이블에 있어서 토양 작업 장치의 세 개 또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그 후에 바람직하게는 지지 케이블은 장력에 견디도록 토양 작업 장치에 말단 고정될 수 있 다. 그러나, 지지 케이블이 장력에 견디도록 홀딩 프레임에 말단 고정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지지 케이블 말단에는 홀딩 프레임에 있는 핀에 걸리는 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케이블은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홀딩 프레임에 있는 케이블 드럼에 감길 수 있다. 홀딩 프레임에 대한 케이블의 말단 고정은 특히 토양 작업 장치의 구멍을 꿰는 한 쌍의 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저렴한 건설 비용을 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케이블은 토양 작업 장치로 자유롭게 유도되어, 토양 작업 장치의 내리기 및 들어올리기를 위하여 지지 장치에 단일의 크랭크 장치를 가질 것을 필요로 한다. 토양 작업 장치는 상기 장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리턴 풀리에 의하여 지지 케이블에 매달리게 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복수의 선으로 된 지지 케이블을 유도하기 위하여 토양 작업 장치에 몇몇의 리턴 풀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르면, 홀딩 프레임은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리면서 토양 표면에 놓이고 지반으로부터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리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를 따라 운반되고 들어 올려진다. 그러므로 본 태양에 따르면 홀딩 프레임은 토양 작업 장치가 지반의 바깥으로 들어 올려진 위치에 있는 경우, 토양 작업 장치에 직접 연결된다. 그 후에 홀딩 프레임은 지지 장치에 의하여 토양 작업 장치와 함께 옮겨질 수 있으며, 그 결과 홀딩 프레임을 위하여 부가의 지지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릴 때, 홀딩 프레임은 지반 표면에 놓여지며 토양 작업 장치가 싱킹하는 동안 그 자리에 남아있다. 그 후 토양 작업 장치가 지반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동안, 홀딩 프레임은 상기 장치를 따라 다시 운반되고 이와 함께 다시 옮겨질 수 있다. 본 태양을 실행하기 위하여, 토양 작업 장치는 토양 작업 장치를 빼낼 때 홀딩 프레임을 토양 작업 장치에 고정하는 구동 장치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 태양에서 독립적인 지지 장치가 홀딩 프레임을 위하여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그 방법을 실행하는 비용은 더욱 감소할 수 있다.
지반에서 토양 작업 장치의 토양 작업 단면이 특히 상기 장치의 들어올림 이전에 바뀔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 말단으로 예를 들어 절단 휠 또는 다른 토양 작업 연장이 토양 작업 장치에서 옮겨질 수 있다. 이 태양에서 오직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에만 토양에 대한 일이 행하여 진다는 점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 수행에 있어서 토양 작업 장치가 지지 장치 및 홀딩 프레임에 매달리는 결과, 본 태양에서 발생하는 장력이 특히 잘 흡수될 수 있다. 토양 작업 단면을 적절히 선택하면, 토양 작업 장치는 이미 만들어진 도랑 안으로 토양 작업 없이 초기에 내려질 수 있다.
지반에서 트렌치의 측벽을 베어내기 위하여, 절단기로써 토양 작업 장치를 구성하는 것 또한 유리하다. 그 전체 폭 또는 상기 폭의 일부분에 걸쳐서, 측벽이 베어지고 윤곽이 잡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지반에서의 다양한 모양의 트렌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토양 작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일차 패널,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경화된 일차 패널에 인접한 이차 트렌치 로 도입되고, 그 일차 패널은 부분적으로 절단, 특히 토양 작업 장치에 의하여 윤곽이 잡힌다. 본 태양에 따르면, 맨 처음의 작업에 있어서, 초기의 일차 트렌치가 토양에서 만들어지고 경화될 수 있는 서스펜션으로 채워지며, 트렌치 벽 라멜라와 같은 일차 패널의 형성과 함께 경화된다. 그 후에 이차 트렌치가 토양에서 만들어지고 일차 패널에 인접하며 특히 두 개의 경화된 일차 패널 사이에 위치된다. 계속하여 트렌치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차 트렌치 또한 경화될 수 있는 서스펜션으로 채워지고 경화될 수 있다. 이차 트렌치를 만들 때, 일차 패널을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결과, 일차 패널의 접촉 표면에 존재하는 서스펜션 케이크, 롬(loam) 및/또는 다른 불균질물이 제거될 수 있고 그 결과 빈틈이 없는 트렌치 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이차 트렌치를 만드는 동안, 절단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일차 패널에 행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일차 패널 및 이차 트렌치에서 만들어진 이차 패널 사이의 조인트 견고성이 커진다. 이 바람직한 태양에 따라서 일차 패널 및 이차 패널 사이에 조인트가 작용하므로, 이 방법은 조인트 절단 방법으로써 언급될 수 있으며, 조인트 절단기를 사용하는 토양 작업 장치로 언급될 수 있다. 토양 작업 장치가 도입된 이차 트렌치는 본 발명의 토양 작업 장치 또는 다른 트렌치 벽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 장치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있고, 지지 케이블은 홀딩 프레임에 연결되어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장력의 일부가 홀딩 프레임을 통하여 토양 내로 도입되는 기구를 근본적인 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상기 방법과 관련되어 기재된 이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지지 케이블 말단을 홀딩 프레임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 말단에 홀딩 프레임에 있는 후크 또는 핀에 걸리는 고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홀딩 프레임에 대한 지지 케이블의 길이는 고정되고 자유로운 케이블 길이는 지지 장치에 있는 크랭크 장치에 의하여 단독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홀딩 프레임이 지지 케이블을 감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케이블 드럼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자유 케이블 길이는 홀딩 프레임 케이블 드럼을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바뀔 수 있다. 이 태양은 특히 토양 작업 장치가 매우 깊은 곳까지 내려가는 경우 유리하다.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지지 케이블은 홀딩 프레임에 있는 케이블 드럼에 의하여 그리고 지지 장치에 있는 크랭크 장치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제한된 수용 용량을 가지는 크랭크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저렴하다. 홀딩 프레임에 있는 케이블 드럼 및 크랭크 장치의 동시 작동으로, 특히 높은 장력이 만들어질 수 있다. 케이블 드럼이 제공된다면, 지지 케이블은 상기 드럼에 적절하게 말단 고정된다.
본 발명 기구에 따르는 특히 유용한 개선점은 지반으로부터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홀딩 프레임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리는 동안에 홀딩 프레임은 토양 표면에 위치되고 지반으로부터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상기 장치에 따라서 운반되고 함께 들어 올려진다. 구동 장치는 홀딩 프레임에 있는 멈춤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딩 프레임은 토양 작업 장치를 수용하거나 유도하기 위하여 하나의 통행 통로를 가진다. 적절하게는 지반으로부터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통행 통로를 통하여 지나가고 들어올림 동안에 홀딩 프레임과 함께 운반한다. 지반 표면에 홀딩 프레임과 함께 토양 작업 장치를 위치시킨 후, 통행 통로는 싱킹 동안 토양 작업 장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를 위하여 통행 통로의 내부 단면이 토양 작업 장치의 외부 단면, 특히 그 절단 프레임에 대응한다. 트렌치 측벽, 특히 인접 일차 패널들을 간단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토양 작업 장치는 회전식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절단 휠 및 두 개의 절단 휠의 회전 축의 공간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두 개의 절단 휠의 회전 축은 서로 거의 평행이다. 특히 조정 장치는 토글 레버 장치를 가질 수 있다.
토양 작업 장치 및/또는 홀딩 프레임은 지지 케이블 유도에 관하여는, 거울 대칭 구조, 절단 휠의 회전 축에 거의 평행한 대칭 면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적절하게는 두 개의 지지 케이블이 있으며, 토양 작업 장치 및 홀딩 프레임에 같은 방법으로 유도된다. 그러나, 오직 단일의 지지 케이블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그 두 케이블 말단에서 토양 작업 장치 및/또는 홀딩 프레임에 유도되고, 케이블 중심부에서 지지 장치에 놓인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은 적절하게 대칭 면 바깥에 놓인다.
본 발명은 개략하여 보이는 더욱 바람직한 태양 및 첨부된 도면과 비교하여 이 후에 더욱 자세하게 기술된다:
동등하게 작용하는 구성요소는 모든 도면에 있어서 같은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토양 작업 장치의 첫 번째 태양은 도 1 내지 5에 의하여 나타난다. 그 기구는 절단기 20 형태의 토양 작업 장치를 두 개의 지지 케이블 4, 4'에 의하여 매달고 있는 지지 장치 70를 가진다. 지지 장치는 건설 트럭 73에 피봇형으로 위치되는 크레인 지브 72를 가진다. 지지 케이블 4 4'을 작동하기 위하여, 지지 트럭은 두개의 케이블 크랭크 74, 74'를 가지는 크랭크 장치를 운반하고, 케이블 크랭크 74'는 다만 잘려진 형태로 보여진다. 케이블 크랭크 74, 74'로부터 지지 케이블 4, 4'은 크레인 지브 72를 따라서 크레인 지브 72의 꼭대기에 위치한 리턴 풀리 76로 유도된다. 지지 케이블 4, 4'은 리턴 풀리 76 둘레로 이끌어지며 이로부터 크레인 지브 72를 따라 절단기 20로 유도된다. 크랭크 장치에서 지지 케이블 4, 4'은 지지 장치 70에 연결된다.
절단기 20는 낮은 지역, 같은 높이의, 평행한 회전 축을 가지는 두 개의 리턴 풀리 24, 24'가 설치된 절단 프레임 22을 가진다. 지지 장치 70의 리턴 풀리 76로부터 수직 아래로 내려오는 지지 케이블 4, 4'은 상기 리턴 풀리 24, 24'로 이끌어진다. 절단 프레임 22의 리턴 풀리 24, 24'로 이끌어지고 나서, 지지 케이블 4, 4'은 다시 말단 고정되는 홀딩 프레임 10으로 올라간다. 이를 위하여 지지 케이블 4, 4'은 홀딩 프레임 10의 상부에 있는 볼트 55에 걸리는 루프 54를 가지는 말단을 가진다.
도 1 및 2에서, 홀딩 프레임 10은 절단기가 들어 올려질 때 절단기 20의 절 단 프레임 22을 따라서 운반되고 지반으로부터 들어올려 진다. 이를 위하여 절단기 20는 절단 프레임 22의 하부에 홀딩 프레임 10의 멈춤부에 대응하는 멈춤부를 가지는 구동 장치를 가진다. 그러나, 절단기 20가 지반에 있는 트렌치 80로 내려간다면, 도 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홀딩 프레임 10은 토양 표면에 남아 있고 절단기 20를 싱킹할 때 트렌치 80 상부 가장자리 주변의 지반에 존재한다. 지지 케이블 4, 4'이 지지 장치 70 및 홀딩 프레임 10에 모두 고정될 때, 절단기 20 장력의 대략 반 정도가 홀딩 프레임 10이 지반에 정착하자마자 홀딩 프레임 10에 의하여 흡수된다. 그 결과 절단기 20를 싱킹하고 들어올릴 때 지지 케이블 4, 4'의 장력 및 지지 장치 70, 특히 케이블 크랭크 74, 74'의 부담이 감소한다.
홀딩 프레임 10은 우묵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절단 프레임 22을 수용하기 위하여 중심에는 통행 통로 11가 제공된다. 절단 프레임 20 및 통행 통로 11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홀딩 프레임 10은 추출된 상태에서 절단기 20를 에워싸는 각각의 격자 받침대 58를 가진다. 게다가, 홀딩 프레임 10의 상부 측에는 지지 케이블 4, 4'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 55가 위치되는 두 개의 돌출부 59가 있다. 통행 통로 11를 통하여 유도되는 지지 케이블 4, 4'에 의하여 트렌치 80 벽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 55를 가지는 돌출부 59는 트렌치 80의 단면으로 돌출한다.
절단 프레임 22은 반대의 U자형 외부 프레임 36을 가지고, 그 암은 수평 방향의 받침대 38, 39 및 경사 받침대 37를 통하여 지지된다. 경사 받침대 37 하부에는, 절단 프레임 22은 두 개의 리던 풀리 24, 24'가 말단에 설치된 수평 방향의 지 지대 25를 가진다. 외부 프레임 36의 암 외부와 절단 프레임 22의 앞면에는 플랫 유도 요소 34가 제공되고, 이는 절단 프레임 22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고 트렌치 80 벽에서 이를 지지한다.
절단기 20는 두 개의 절단 휠 41, 41'을 가지며, 이는 평행의 회전 축 43, 43'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설치된다. 절단 휠 41, 41'은 절단 휠 쌍으로 구조되고 각 경우에 두 개의 각각의 절단 휠 48, 49을 가진다. 절단 휠 41'의 각각의 절단 휠 48, 49은 각각의 절단 휠 48, 49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 받침대 46'에 설치된다. 유사하게 절단 휠 41의 각각의 절단 휠은 베어링 받침대 46에 설치된다. 절단 휠 41, 41'을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각 경우에 하나의 유압 구동 47이 베어링 받침대 46, 46'에 제공된다. 상기 유압 구동 47에 의하여, 절단 휠 41, 41'은 바람직하게는 반대 회전 방향 D, D'으로 회전하고, 정면에서 왼쪽 절단 휠 41은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정면에서 오른쪽 절단 휠 4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도 가능하다.
베어링 받침대 46, 46'는 절단 프레임 22의 하부, 수평 방향 받침대 39에 피봇형으로 설치된다. 두 베어링 받침대 46, 46'의 피봇 축은 거의 평행이다. 피봇 축은 또한 절단 휠 41, 41'의 회전 축 43, 43' 및 리턴 풀리 24, 24'의 회전 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이다. 조정 장치에 의하여 절단기 20에 절단 휠 41, 41'을 가진 베어링 받침대 46, 46'는 피봇형으로 펼쳐질 수 있어, 절단 휠 41, 41'의 절단 단면은 변화 가능하다. 특히, 절단 휠 41, 41'은 절단 프레임 22의 유도 요소 34 위로 돌출하는 방법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들어올릴 때 절단기는 유도 요 소 34에 맞물리는 트렌치 80 벽에 작용한다.
조정 장치는 두 개의 동일 길이의 레버 28, 28'를 가지는 토글 레버 장치를 가진다. 레버 28의 한 말단은 베어링 받침대 46에 피봇형으로 탑재되고, 상기 베어링의 피봇 축은 절단 프레임 22에서 베어링 받침대 46의 피봇 축에 대략 평행하다. 동일한 방법으로 레버 28'의 한 말단은 베어링 받침대 46'에 설치된다. 각 경우에 레버 28, 28'의 다른 말단은 조인트 29에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 29의 축은 절단 프레임 22에 있는 베어링 받침대 46, 46'의 피봇 축에 대략 평행하다.
조정 장치는 또한 수직 방향의 유압 실린더 26를 기지고, 그 한쪽은 절단 프레임 22의 받침대 39에 설치되고 다른 쪽은 조인트 29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 26가 작동되고 확장되면, 조인트 29는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베어링 받침대 46, 46'는 레버 28, 28'에 의하여 펼쳐지거나 확장된다.
절단기 20 및 홀딩 프레임 10은 실질적으로 거울 대칭 방법으로 대칭 평면 31과 수직 방향으로 구조되며, 도 1에 있는 도면 평면에 수직이다. 유압 구동 47, 유압 실린더 26 및 절단기 20에 위치된 임의의 유압 작동 수단을 공급하기 위하여, 토양 작업 기구는 크레인 지브 72의 꼭대기로부터 절단기 20로 내려오는 공급선을 가진다.
토양 작업 기구의 또 다른 태양은 도 6 내지 10에서 나타난다. 여기에서 보여지는 태양은 지지 케이블 4, 4'이 홀딩 프레임 10에 직접 고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5의 태양과 다르다. 반면에, 도 6 내지 10의 홀딩 프레임은 지지 케이블 4, 4'을 각각 감기 위하여 그 꼭대기 측에 제 1 케이블 드럼 14 및 제 2 케 이블 드럼 14'을 가진다. 케이블 드럼 14, 14'의 회전 축은 리턴 풀리 24, 24'의 회전 축에 대하여 거의 평행이다. 케이블 드럼 14, 14' 각각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를 가진다. 케이블 드럼 14, 14'은 상당한 트렌치 깊이에서 작업하는 동안 지지 케이블 4, 4'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게다가, 도 6 내지 10에서 보이는 태양의 토양 작업 기구는 지지 케이블 4, 4'을 위한 두 개의 리턴 풀리 24, 24' 절단 프레임 22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화가능한 유압 공급 실린더 23를 제공하는 절단 프레임 22이라는 점에서 이전에 기술된 태양과 다르다. 상기 유압 공급 실린더 23를 작동하는 것에 의하여 절단기 20에 있는 리턴 풀리 24, 24'의 수직 위치는 바뀔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절단 휠 41, 41'의 절단 깊이는 고정된 지지 케이블 4, 4'에서도 다양할 수 있다.
리턴 풀리 24, 24'의 위치 변화를 위해서, 리턴 풀리 24, 24'가 설치되는 삼각형 모양의 지지대 63가 유압 공급 실린더 23에 제공된다. 유압 공급 실린더 23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는 원통형 슬리브 64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이는 삼각형 모양의 지지대 63 및 절단 프레임 22에 꽉 맞게 된다.
토양 작업 방법의 각 단계는 도 11 내지 14에서 그려진다. 도 11에서 그려진 첫번째 단계에서, 절단기 20는 두 개의 경화된 트렌치 벽 일차 패널 81, 81'사이에 위치한 트렌치 80내로 도입된다. 현 상태의 트렌치 80는 절단기 20의 작동 또는 다른 트렌치 벽 수단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다. 절단기 20가 트렌치 80로 도입될 때, 홀딩 프레임 10은 트렌치 80의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지반 표면에 남는다. 지지 케이블 4, 4'은 각 경우에 절단기 20에 한 쌍의 선에서 구멍이 꿰어지고 각각의 한 말단이 홀딩 프레임 10에서 설치되며, 그 결과 상기 홀딩 프레임 10은 절단기 20의 장력의 반을 흡수한다.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홀딩 프레임 10은 도 12 내지 1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절단기 20를 트렌치 80로 내릴 때, 절단 휠 41, 41'은 오그라진 상태에 있다. 상기 오그라진 상태에서 절단 휠 41, 41'의 절단 단면은 트렌치 80 및 절단 프레임 22의 단면 내부에 있다. 그러므로, 절단기 20를 내릴 때, 절단 휠 41, 41'에 의하여 트렌치 80 벽으로부터 물질이 제거되지 않는다.
절단기 20가 트렌치 80의 바닥으로 내려간 후, 절단 휠 41, 41'은 회전하고 토글 레버 장치를 가진 조정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반대로 펼쳐진다. 그 결과 절단 휠 41, 41'은 트렌치 80의 두 말단 벽 79으로 들어간다. 이 상태가 도 12에서 보여진다.
도 1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절단기 20는 들어 올려지고 트렌치 80의 끝 벽 79은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잘려진다. 펼쳐진 절단 휠 41, 41'과 함께 들어올릴 때 발생하는 절단기 20의 비교적 높은 장력은 홀딩 프레임 10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흡수된다. 특히 유체가 새어들지 않는 트렌치 벽을 만들기 위하여, 절단 휠 41, 41'은 일차 패널 81, 81'을 부분적으로 절단한다.
절단 동안에 만들어진 토양 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절단기 20 아래 트렌치 80의 하부로 떨어진다. 이는 그래브를 사용하여 회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토양 물질을 치우는 것은 흡입 또는 펌프에 의하여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절단기 20는 토양 물질을 치우기 위한 펌프 장치 없이 설계된다.
전체 깊이의 일부에 대하여 트렌치 80의 끝 벽이 더 절단될 것이 요구된다면, 도 14에서 나타난 것처럼, 절단 휠 41, 41'을 슬롯 80에 다시 내리고 절단기 20를 트렌치 80 벽에 어떠한 작용없이 들어올릴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다른 절단 단면을 보여주며, 토양 작업 방법에서 얻어질 수 있다. 특히 액체가 새어나오지 않는 트렌치 벽을 만들기 위하여, 트렌치 80의 끝 벽 74은 전체 폭의 일부분에 대해서 절단되고 특별히 윤곽이 잡힌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절단 휠 41, 41'은 끝 벽 79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의 지지 장치로 된 토양 작업 장치를 가지는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매달린 토양 작업 장치는 지지 장치로부터 내려지고 지반으로 도입되며,
    상기 토양 작업 장치는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지반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지지 수단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 케이블은 홀딩 프레임에 연결되고,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리거나 들어올릴 때 케이블 장력의 일부가 홀딩 프레임을 통하여 지반으로 도입되는 토양 작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케이블은 장력에 견디도록 홀딩 프레임에 말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는 상기 장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턴 풀리에 의하여 상기 지지 케이블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프레임은 상기 토양 작업 장치를 내릴 때 지반 표면에 놓이고 지 반으로부터 상기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상기 장치와 함께 운반되고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지반에 있는 상기 토양 작업 장치의 토양 작업 단면은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리기 전에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는 지반에서 트렌치 측벽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로써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일차 패널,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경화된 일차 패널에 인접한 이차 트렌치에 도입되고, 상기 일차 패널이 토양 작업 장치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윤곽이 잡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토양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지 장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의하여 지반으로 도입가능한 토양 작업 장치, 특히 절단기를 가지고,
    지지 장치에 더하여 홀딩 프레임이 제공되며,
    지지 케이블은 홀딩 프레임에 연결되어 적어도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장력의 일부가 홀딩 프레임을 통하여 토양으로 도입되는 토양 작업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프레임은 지지 케이블을 감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케이블 드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에는 토양 밖으로 토양 작업 장치를 들어올릴 때 홀딩 프레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프레임은 토양 작업 장치를 수용하거나 유도하기 위한 통행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작업 장치는 회전식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절단 휠 및 상기 절단 휠의 회전 축의 공간 배치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3.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지지 케이블 유도에 관하여, 상기 토양 작업 장치 및/또는 홀딩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절단 휠의 회전 축에 거의 평행한 면에 거울 대칭식으로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KR1020050073188A 2004-08-12 2005-08-10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 KR100763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19187A EP1630301B1 (de) 2004-08-12 2004-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odenbearbeitung
EP04019187.6 2004-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365A true KR20060050365A (ko) 2006-05-19
KR100763350B1 KR100763350B1 (ko) 2007-10-05

Family

ID=3492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188A KR100763350B1 (ko) 2004-08-12 2005-08-10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59161B2 (ko)
EP (1) EP1630301B1 (ko)
JP (1) JP4448481B2 (ko)
KR (1) KR100763350B1 (ko)
CN (1) CN100548102C (ko)
CA (1) CA2513841C (ko)
DE (1) DE502004005275D1 (ko)
ES (1) ES2294410T3 (ko)
RU (1) RU2304199C2 (ko)
SG (1) SG120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3632B1 (de) * 2008-04-28 2010-04-28 BAUER Maschinen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Bilden einer Fluidzuführung
EP2378002B1 (de) 2010-04-16 2013-07-17 BAUER Maschinen GmbH Fräsvorrichtung zum Erstellen vertikal verlaufender Schlitze im Boden
FR2960570B1 (fr) 2010-05-25 2013-06-14 Soletanche Freyssinet Paroi formee dans un sol, comprenant un element prefabrique creux,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paroi
IT1401736B1 (it) * 2010-07-19 2013-08-02 Soilmec Spa Dispositivo di perforazione per l'esecuzione di diaframmi e relativo metodo.
ITTO20110834A1 (it) * 2011-09-20 2013-03-21 Soilmec Spa Sistema di controllo per una macchina di scavo e/o perforazione di terreni e macchina di scavo e/o perforazione comprendente tale sistema.
ES2533573T3 (es) 2012-01-31 2015-04-13 Bauer Spezialtiefbau Gmbh Procedimiento y disposición para la elaboración de un elemento de muro pantalla
EP2924174B1 (en) * 2014-03-24 2018-12-26 Soilmec S.p.A. Digging equipment with relative improved hydraulic system
EP3272946B1 (de) 2016-07-22 2018-12-12 BAUER Spezialtiefbau GmbH Füh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schlitzes
CN114467381B (zh) * 2021-12-21 2023-01-24 汪志宏 一种土地整理用深翻平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9682A (en) * 1958-01-08 1960-06-07 Paul J Kromberg Posthole digger attachment for tractor
US3443648A (en) * 1967-09-13 1969-05-13 Fenix & Scisson Inc Earth formation underreamer
US3523614A (en) * 1967-09-25 1970-08-11 Luther Walker Hydraulic crane and bucket control
US3700045A (en) * 1971-04-26 1972-10-24 John G Coontz Tractor-mounted post hole digger
US4051456A (en) * 1975-12-08 1977-09-27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electric continuity in drill pipe
US4102415A (en) * 1977-02-08 1978-07-25 Cunningham Wesley B Drilling device
US4202416A (en) * 1978-08-07 1980-05-13 Stahl- Und Apparatebau Hans Leffer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sinking a cased borehole for producing cased pile foundations
US4314615A (en) * 1980-05-28 1982-02-09 George Sodder, Jr. Self-propelled drilling head
GB2161521B (en) * 1984-05-29 1987-11-25 Claude Sourice A process and device for sinking wells
IL75160A0 (en) * 1985-05-10 1985-09-29 Yitzhaq Lipsker Soil drilling equipment
DE3905463A1 (de) * 1989-02-22 1990-08-30 Bauer Spezialtief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stellung von zwei-phasen-dichtwaenden
US5419188A (en) * 1991-05-20 1995-05-30 Otis Engineering Corporation Reeled tubing support for downhole equipment module
DE4119212C2 (de) * 1991-06-11 1996-06-27 Bauer Spezialtiefbau Verfahren zum Fräsen einer Schlitzwand
DE4141629C2 (de) * 1991-12-17 1997-02-20 Bauer Spezialtiefba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chtwänden
JPH06128960A (ja) 1992-10-15 1994-05-10 Ohbayashi Corp 変断面地中壁用掘削装置
JP2886047B2 (ja) 1993-07-26 1999-04-26 三井建設株式会社 掘削機の位置管理装置
JPH0771035A (ja) * 1993-09-02 1995-03-14 Shimizu Corp 地中坑の掘削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掘削機
JPH0776843A (ja) * 1993-09-08 1995-03-20 Kumagai Gumi Co Ltd 竪孔掘削機の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US5437341A (en) * 1993-10-20 1995-08-01 Horn; Jack Multi-drill mounter
JP3538685B2 (ja) * 1994-01-31 2004-06-14 株式会社利根 掘削機の変位量計測装置
JP3458281B2 (ja) * 1994-03-17 2003-10-20 三和機材株式会社 掘削機等における流体供給ホース切断時のホース安全保持装置
JP3383703B2 (ja) 1994-03-28 2003-03-04 松下電工株式会社 小型ポンプ装置
KR100208546B1 (ko) * 1994-08-25 1999-07-15 야마오까 유지 세로 구멍용 굴착기
JP2743350B2 (ja) 1994-09-19 1998-04-22 株式会社利根 地中掘削機用ホース等の吊下げ装置
CA2210442C (en) * 1996-07-16 2004-05-04 Bauer Spezialtiefbau Gmbh A cutter head, boring jig and device and process for sea bottom boring
JPH10195924A (ja) 1997-01-10 1998-07-28 Taisei Corp 掘削機および掘削方法
IN188719B (ko) * 1997-09-08 2002-11-02 Panacea Biotec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13841C (en) 2009-11-03
US20060032644A1 (en) 2006-02-16
DE502004005275D1 (de) 2007-11-29
CA2513841A1 (en) 2006-02-12
JP4448481B2 (ja) 2010-04-07
EP1630301A1 (de) 2006-03-01
RU2304199C2 (ru) 2007-08-10
CN1736141A (zh) 2006-02-22
SG120232A1 (en) 2006-03-28
ES2294410T3 (es) 2008-04-01
US7559161B2 (en) 2009-07-14
CN100548102C (zh) 2009-10-14
RU2005124848A (ru) 2007-02-10
EP1630301B1 (de) 2007-10-17
KR100763350B1 (ko) 2007-10-05
JP2006052640A (ja)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350B1 (ko) 토양 작업 방법 및 그 기구
KR100703620B1 (ko) 토양 작업을 위한 절단기 및 방법
RU2589783C2 (ru) Система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с самоподъемным буровым полом
RU2240418C2 (ru) Бу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бурения
CN104718328B (zh) 多级伸缩臂装置及具有多级伸缩臂装置的深挖挖掘机
JP2780571B2 (ja) 鉄筋籠の建込み装置
JP7237306B2 (ja) ポンプゲート
JP2019015151A (ja) 既存構造物の解体システム
KR102156971B1 (ko)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KR101067365B1 (ko) 도르래를 이용한 승강장치
JPH0243420A (ja) 深い溝を掘削するときの土徐去装置
KR200421801Y1 (ko) 와이어로프형 우물통 설치 장치
KR100657215B1 (ko) 와이어로프형 우물통 설치 장치
KR100660036B1 (ko) 교량의 교각간격 확장공법
CN105178416A (zh) 箱涵水下接入施工方法
KR100306067B1 (ko) 드레인재 시공기
KR200367259Y1 (ko) Rc 역타공법에 적용되는 거더 거푸집 하강장치
KR100611472B1 (ko) 드레인재용 타설기
KR100432374B1 (ko) 맨홀 동체의 인상장치
KR100955411B1 (ko) 드레인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드레인 시공 방법
CN210289809U (zh) 一种锚索钻孔装置
KR200248443Y1 (ko) 맨홀 동체의 인상장치
KR200351845Y1 (ko) 드레인재용 타설기
KR200327995Y1 (ko) 이동식 버켓 크레인
JP2005273186A (ja) ダム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