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03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032A
KR20060050032A KR1020050062067A KR20050062067A KR20060050032A KR 20060050032 A KR20060050032 A KR 20060050032A KR 1020050062067 A KR1020050062067 A KR 1020050062067A KR 20050062067 A KR20050062067 A KR 20050062067A KR 20060050032 A KR20060050032 A KR 2006005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mage
units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103B1 (ko
Inventor
앗수시 삼페
요시유키 키무라
히로시 호소카와
히로유키 나가시마
노부오 쿠와바라
와카코 무라카미
히데키 젬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6005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가설된 중간 전사 벨트(10)와,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향하고 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며, 상 담지체(1), 대전 장치(3), 현상 장치(5) 및 클리닝 장치(6)를 일체로 구성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를 포함한 것이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마련하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가이드부에 장착한 경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는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향하는 동시에 중간 전사 벨트(10)의 경사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현상 장치(5)와 클리닝 장치(6)가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상 담지체, 대전 장치, 광 기록 장치,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 담지체와 이 상 담지체의 표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각 화상 형성 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탠덤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평면으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6은 중간 전사 벨트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여줌과 동시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여준 도면.
도 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취출한 후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도.
도 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밀어넣어 장착한 상태에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밀어넣어 장착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레버 사용시 상태에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Y, 1C, 1M, 1K  상 담지체
2  화상 형성 장치 본체
3, 3Y, 3C, 3M, 3K  대전 장치
3a  대전 롤러
3b  대전 클리너
4  광 기록 장치
5, 5Y, 5C, 5M, 5K  현상 장치
5a  현상 롤러
5b, 5c  교반 부재
5d  돌기부
5e  토너 보급구
6, 6Y, 6C, 6M, 6K  클리닝 장치
6a  클리닝 케이스
6b  클리닝 블레이드
6c  폐토너 스크루
6d  브러시 롤러
6e  스프링
6f  윤활제
6g  클리닝 브래킷
6h  지지축
6i  가압 스프링
6j  케이스
9  중간 전사 벨트 유닛
10  중간 전사 벨트
12, 13, 15 지지 롤러
16  2차 전사 롤러
17  벨트 클리닝 장치
20  용지 공급 카세트
21  용지 공급 롤러
2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23  정착 장치
24  용지 배출 롤러쌍
31, 31Y, 31C, 31M, 31K 토너 병
50, 50Y, 50C, 50M, 50K 가이드
51, 51Y, 51C, 51M, 51K 지지판
52, 52Y, 52C, 52M, 52K 규제판
53Y, 53C, 53M, 53K  광 통과 구멍
54, 54Y, 54C, 54 M, 54K 레일
55, 55Y, 55C, 55M, 55K 볼록부
56, 56Y, 56C, 56M, 56K 기준 구멍
100, 100Y, 100C, 100M, 100K 프로세스 카트리지
101  유닛 케이스
102  결합부
103  기준 볼록부
104  레버
105  캠부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 수단이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 변을 따라 병렬 배치되고, 중간 전사 벨트의 하부측 주행 변이 주행 방향 하류 측으로 향할 수록 화상 형성 수단의 높이 레벨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202728호, 특허 공개 공보 2003-316107호, 특허 공개 공보 2004-53818호, 특허 공개 공보 2004-29057호 참조).
중간 전사 벨트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그 경사 높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므로, 장치 본체 내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도 이와 같은 상하 방향의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복수개의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장치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가설된 벨트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고,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일부를 실행하는 복수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을 상기 벨트에 대향시켜 상기 벨트의 경사와 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복수개 유닛에서의 상기 벨트의 경사면에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와 동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했을 경우에, 서로 인접하는 상기 유닛의 일부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유닛에 있어서, 경사진 벨트에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이 경사면이기 때문에, 이 반대측이 수평면인 경우에 비하여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유닛 간에 빈 공간이 절감되어, 이 빈 공간을 각 유닛의 수납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한 경우에, 상기 경사면을 아래로 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벨트의 경사 각도와 대략 같은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빈 공간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경사면이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빈 공간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 을 상기 벨트의 하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기 벨트와 상기 대향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 대향 부재에서의 상기 복수개 유닛에 대향하는 면을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면과 동방향으로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복수개 유닛의 경사면에 대향하는 공간을 경사면과 동방향으로 경사진 대향 부재에 의해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향 부재는 상 담지체에 대하여 광 기록을 실행하는 광 기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 담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 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 회전 이송체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이송 회전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2 회전 이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기 벨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제1 회전 이송체에 대하여 위쪽인 동시에 상기 제2 회전 이송체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회전 이송체 측보다 상기 현상 롤러측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닛을 그대로 재치할 경우, 현상제가 현상 롤러 측에 치우침으로 인하여 현상 롤러측으로부터 유닛 밖으로 누출될 우려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2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닛 내의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보다 하부인 동시에, 상기 경사면보다 상부인 내부 공간에 상기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회전 이송체 및 제2 회전 이송체보다 하부인 공간을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를 수납하는 공간으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2 또는 13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상 담지체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부를 구비하고, 이 대전부는 상기 상 담지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를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선보다 하부인 동시에, 상기 경사면보다 상부인 내부 공 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고, 100Y는 옐로우 토너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C는 시안 토너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M는 마젠타 토너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K는 블랙 토너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내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는 드럼형의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상 담지체(1Y, 1C, 1M, 1K)와, 상 담지체(1Y, 1C, 1M, 1K)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3Y, 3C, 3M, 3K)와, 대전한 상 담지체(1Y, 1C, 1M, 1K) 표면에 토너를 공급하여 광 기록 장치(4)의 광 기록에 의해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5Y, 5C, 5M, 5K)와, 각 상 담지체에 윤활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폐토너를 회수하는 클리닝 장치(6Y, 6C, 6M, 6K)를 일체화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는 상 담지체(1Y, 1C, 1M, 1K) 상에 토너상을 형성하고 그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0)에 전사하는 것으로서, 형성된 토너상의 색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토너색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로 표기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내부 구성 또는 지지 구성에 있어서도, 예컨대 상 담지체(1Y, 1C, 1M, 1K)는 상 담지체(1)로 하고, 현상 장치(5Y, 5C, 5M, 5K)는 현상 장치(5)로 하 되, 필요에 따라 부호 Y, C, M, K를 부가하기로 한다.
10은 상 담지체(1)에서 현상된 토너상을 일시적으로 담지하는 엔드리스형의 중간 전사 벨트를 나타내고, 이 중간 전사 벨트(10)는 지지 롤러(12, 13, 15)에 씌워져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서 병렬 배치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1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의 위쪽에 위치하며, 중간 전사 벨트(10)의 아래쪽 주행변에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이동 방향으로 상 담지체(1Y, 1C, 1M, 1K)가 순차적으로 둘레면이 접촉한다. 또, 지지 롤러(12, 13)는 상 담지체(1K) 측 근처에 설치되어 있고, 지지 롤러(15)는 상 담지체(1Y) 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롤러(15)는 지지 롤러(12, 1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10)는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10)의 지지 롤러(15)로부터 지지 롤러(12)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의 지지 롤러(15)로부터 지지 롤러(12)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10) 내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10)를 통하여 상 담지체(1Y, 1C, 1M, 1K)에 접촉하는 1차 전사 롤러(14Y, 14C, 14M, 14K)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의 하부에는 광 기록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의 하부에는 예컨대 전사지로 이루어지는 기록 매체를 수용한 용지 공급 카세트(20)와 용지 공급 롤러(21)를 구비하는 용지 공급 장치가 배치되고, 용지 공급 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 공급 방향 하류 측에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중간 전사 벨트(10)를 통하여 지지 롤러(13)에 접촉하는 2차 전사 롤러(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류 측에는 정착 장치(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의 상부에는 토너 병(31Y, 31C, 31M, 31K)이 교환 가능토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토너 병(31Y, 31C, 31M, 31K)에는 신규 토너가 수납되어 있고, 토너 병(31Y, 31C, 31M, 31K)에 수납된 각 색 토너가 도시하지 않는 이송로를 통하여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5Y, 5C, 5M, 5K)로 각각 공급된다.
토너가 다 사용되면, 대응하는 토너 병(31Y, 31C, 31M, 31K)만을 교환하면 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교환 시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만을 교환하면 된다. 도 1에서는 토너 병(31)이 각 색별로 장치 본체(2)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토너를 그 아래 쪽에 있는 각 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까지 이송하여 토너를 보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통상은 토너 병만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지출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장치의 다른 부분을 개폐하는 회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셔터부 등에서의 토너 비산을 방지할 수 있어 보수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 100C, 100M, 100K)에서 작성된 각 색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10) 상에 순차로 중첩되어 1차 전사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0) 상에 합성 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용지 공급 카세트(20)로부터 용지 공급 롤러(21)의 회전에 의해 최상위의 기록 매체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송출된다. 송출된 기록 매체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22)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지지 롤러(13)에 씌워진 중간 전사 벨트(10) 부분과, 이것에 대향 배치된 2차 전사 롤러(16) 사이로 공급된다. 이 때, 2차 전사 롤러(16)에는 소정의 전사 전압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0) 상의 합성 토너상이 기록 매체에 2차 전사된다.
합성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 매체는 나아가 위쪽으로 이송되어 정착 장치(23)를 통과하고, 이 때 기록 매체 상의 토너상이 열과 압력의 작용에 의해 정착된다. 정착 장치(23)를 통과한 기록 매체는 배출 롤러(24)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상부의 용지 받이로 배출된다. 또, 토너상 전사 후의 중간 전사 벨트(10) 상에 부착되는 전사 잔류 토너는 벨트 클리닝 장치(17)에 의해 제거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상 담지체와 그 상 담지체의 표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각 화상 형성 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상 담지체(1)는 도 2에서 화살표 C 방향과 같이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이 때 대전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3a)를 구비하는 대전 장치(3)에 의해 상 담지체(1)가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된다. 대전 후의 상 담지체(1)에는 도 1에 나타낸 광 기록 장치(4)로부터 출사되는 광 변조된 기록 광(L)이 도면 중에 나타내는 광로를 따라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상 담지체(1)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5)에 의해 토너상으로 가시상화된다.
다음에, 현상 장치(5), 클리닝 장치(6)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5a는 현상 롤러를 나타내고, 이 현상 롤러(5a)는 내부의 자석 롤러와 외측의 알루미늄제 슬리브로 구성되며, 상 담지체(1) 상의 잠상 현상시에는 상 담지체(1)의 순방향으로 상 담지체(1)에 대하여 선속비 2.5의 속도로 도시하지 않는 본체 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 현상 장치(5)에는 2축 이송 스크루로 이루어지는 교반 부재(5b, 5c)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돔(dome)형의 돌기부(5d)에는 교반 부재(5c)로 통하는 토너 보급구(5e)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 병(31)으로부터 이송 코일렝抉 파이프, 또한 돌기부(5d)를 통하여 본체 안쪽으로부터 토너 보급구(5e)로 토너가 보급된다. 그리고, 교반 부재(5b)에 의해 용지면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현상 캐리어와 토너를 교반하면서 이송한다. 또한 각 색의 현상 캐리어는 미리 현상 장치(5) 내에 수용되어 있다. 토너는 이송되면서 현상 캐리어와 혼합되어 대전되고, 대전된 토너는 교반 부재(5c)에 의해 용지면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이송되면서 현상 롤러(5a)의 자력에 의해 슬리브 상으로 퍼 올려지고, 현상 블레이드(5g)에 의해 박층화되어 상 담지체(1) 사이에 이루어지는 현상 닙부에 이르러 잠상을 현상하게 된다.
이 때, 상 담지체(1) 및 현상 롤러(5a) 슬리브는 도 2의 화살표 C 및 D 방향과 같이 회전하고, 이 회전 방향에 의해 롤러 닙부에서의 토너 흐름은 연직 방향 아래에서 위로 퍼 올려지게 되어 토너가 하부로 낙하하지 않는다.
현상된 잠상은 상 담지체(1)와 중간 전사 벨트(10)의 닙부에 이르러 중간 전사 벨트(10)에 전사되고, 중간 전사 벨트(10)에 전사되지 않은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장치(6)에 의해 회수된다.
클리닝 장치(6)는 상 담지체(1)를 향한 측으로 개구(開口)를 구비하는 클리닝 케이스(6a)와, 기단부가 클리닝 케이스(6a)에 고정 지지되고 선단부가 상 담지체(1) 표면에 압력 접촉되어 상 담지체(1) 상의 전사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6b)와, 제거된 토너를 도시하지 않는 폐토너 병으로 이송하는 폐토너 스크루(6c)와, 클리닝 블레이드(6b)와 상 담지체(1)의 접촉 위치보다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상 담지체(1)에 접촉하는 브러시 롤러(6d)와, 브러시 롤러(6d)에 접촉하는 윤활제(6f)와, 윤활제(6f)를 브러시 롤러(6d) 측으로 누르는 스프링(6e)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 장치(6)는 현상 장치(5), 상 담지체(1)에 대하여 경사지는 아래 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폐토너를 항상 상 담지체(1)나 대전 롤러(3a)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하여 클리닝 장치(6) 내에서 폐토너 스크루(6c)에 의해 이송하기 위한 것이고, 폐토너가 유닛 밖으로 낙하하여도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레일(54)(도 8 참조) 구석에 체류될 뿐, 광학 기록계의 구멍으로 이동하여 낙하하지 않아 토너 낙하에 의한 화상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상 담지체는 대전 롤러에 인가하는 AC(alternating current) 방전에 따른 영향이 크면, 토너 중의 왁스나 첨가제 성분이 상 담지체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거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방전 생성물이 상 담지체 상에 부착하여 화상의 일부가 결여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웠다. 또한, 환경 조건에 의해 감광체의 마찰 계수가 불안정하게 되면, 블레이드 클리닝 불량 등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클리닝 성능의 안정화, 감광체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 담지체의 표면에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등)를 적극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소형 탠덤기에서는 카트리지의 수명에 필적할 정도의 윤활제 도포량이나 도포 기구를 내포할 만큼의 공간이 없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 담지체(1)의 축을 포함한 평면을 수평면에 대하여 15°로 경사시키고(도 6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아래쪽 면 및 중간 전사 벨트(10)의 경사각도 따라서 15°로 경사지게 설정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5)와 클리닝 장치(6), 예컨대 현상 장치(5C)와 클리닝 장치(6Y)를 오버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카트리지 수명에 필적할 정도의 윤활제(6f) 필요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A4기에 있어서, 윤활제(6f)로서 8mm ×8mm ×236 mm 형상의 스테아린산아연 봉(bar)을 탑재한 경우, 카트리지 수명을 10만매 이상 인쇄할 수 있는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롤러(6d)에 의하면, 브러시 심봉은 접지하고, 재질은 아크릴성 도전성 수지(일본 토오레 회사제 SA-7 6.25D/F), 밀도 5만개/in2로 하고, 이 브러시에 500~2000 mN의 가압력으로 윤활제(6f)를 접촉시키며, 상 담지체(1)와 브러시 롤러(6d)의 선속비는 1~1.3배로 하였다. 또한, 상 담지체(1)는 직경 φ30의 OPC, 브러시 롤러(6d)는 직경 φ12로서, 1 mm의 침투량으로 상 담지체(1)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 담지체(1)에 대한 회전 방향은 순방향으로 하였다.
참고로, 도 3에 종래의 탠덤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부재와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수평 배치인 경우, 폐토너가 낙하하거나 비산하면, 대전 롤러(3a)에 쉽게 부착하거나 하부로 낙하하여 광학계의 광로를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또, 상 담지체(1)에 윤활제를 도포하고자 하여도, 그 도포 기구를 포함하여 충분한 윤활제의 양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였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평면으로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 도 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며, 6g는 중앙부 지지축(6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리닝 브래킷을 나타내고, 이 클리닝 브래킷(6g)의 일단부에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시이트가 접착된 클리닝 블레이드(6b)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가압 스프링(6i)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6i)의 부세력에 의해 클리닝 브래킷(6g)이 소정 압력으로 상 담지체(1)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활제(6f)를 스프링(6e)에 의해 브러시 롤러(6d)에 대하여 가압시키면서 가동 가능토록 수납한 케이스(6j)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세트시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수평면 보류시에도 수평 방향에 대하여 개구가 폐토너 수용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6j) 내에 축적한 폐토너 및 현상 캐리어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폐토너 스크루(6c)에 의해 카트리지 밖으로 배출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수평면으로 재치했을 때에는 현상 롤러(5a)에 가까운 교반 부재(5c)가 교반 부재(5b)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세트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각도 15°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2개의 교반 부재(5b, 5c)가 대략 같은 높이로 되어 2개의 교반 부재(5b, 5c)의 하단을 연결하는 선보다 하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간을 이용하여 대전 롤러(3a)를 클리닝하는 대전 클리너(3b),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5f)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세트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6b)가 회전 지지점으로 되는 지지축(6h)을 중심으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가압 스프링(6i)에 의해 클리닝 블레이드(6b)는 소정의 압력으로 상 담지체(1)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세트시에는, 가압 스프링(6i)의 가압 방향이 대략 수평이 되므로, 클리닝 브래킷(6g) 자중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세트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상 담지체(1)에 대한 클리닝 블레이드(6b)의 초기 접촉압을 브래킷 중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스프링 가압에만 의해 정밀도 높게 설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압 기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것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 부재(5b, 5c)의 하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중간 전사 벨트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여줌과 동시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여준 도면이고, 도 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취출한 후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는 그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가이드(50Y, 50C, 50M, 50K)가 고정되어 있고, 각 가이드(50Y∼50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대하여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착탈시에,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여 안내하는 지지판(51Y, 51C, 51M, 51K)과, 각 지지판(51Y∼51K)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세워진 규제판(52Y, 52C, 52M, 52K)을 구비하고 있고, 각 지지판(51Y∼51K)은 각 상 담지체(1Y∼1K)가 대향한 중간 전사 벨트(10)의 변두리에 대략 평행으로 경사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판(51Y∼51K)은 평면에 대하여 15°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판(51Y∼51K)의 안내면은 동일 평면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에서 중간 전사 벨트(10)에 대향하는 측의 반대측 각 면은 동일 평면내에 존재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위쪽에는 중간 전사 벨트 및 그 지지 롤러 등을 수납한 중간 전사 벨트 유닛(9)이 배치되어 있다.
또, 지지판(51Y∼51K)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재치하는 측의 반대 측에 광 기록 유닛(4)이 배치되어 있고, 이 광 기록 유닛(4)도 또한 지지판 (51Y∼51K)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 기록 유닛(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광원을 일체화한 유닛이어도 좋지만, 각 광원마다 별도의 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개별적으로 광원을 포함한 복수개 부재 각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에 대향하는 면이 경사지게 된다.
도 7에 있어서, 54Y, 54C, 54M, 54K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착탈시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레일을 나타낸다. 이 레일(54Y~54K)은 금속판 등 판재로 이루어지는 규제판(52Y∼52K)의 일부를 잘라서 형성한다. 또, 55Y, 55C, 55M, 55K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저부 안내면이 되는 지지판(51Y∼51K)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나타내고, 56Y, 56C, 56M, 56K(도 8 참조)는 규제판(52Y∼52K)의 일부에 형성한 기준 구멍을 나타낸다.
또,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유닛 케이스의 케이스 저벽이 각 지지판(51Y∼51K)과 평행으로 경사지고, 이것에 의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세트된다. 각 지지판(51Y∼51K)과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케이스 저벽에는 광 기록 장치(4)로부터 출사하여 각 상 담지체(1Y∼1K)로 향하는 기록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 구멍(53Y, 53C, 53M, 53K)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케이스 저벽에도 광 통과 구멍(53Y∼53K)에 대향하는 부위에 광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로부터 도 7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인출되고, 또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밀어넣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세트한다. 이 때,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케이스 저벽이 각 지지판(51Y∼51K)에 의해 안내됨과 동시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케이스 측부가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자중에 의해 각 규제판(52Y∼52K)에 접촉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는 각 가이드(50Y∼50K)에 의해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움직이는 일 없이 순조롭게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착탈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폭방향이란,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다.
그런데,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착탈할 때,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상 담지체(1Y∼1K)가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 담지체(1Y∼1K)나 중간 전사 벨트(10)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 각자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착탈시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레일(54Y, 54C, 54M, 54K)(도 1 및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고, 각 레일(54Y~54K)은 각 지지판(51Y∼51K)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56Y, 56C는 규제판(52Y, 52C)에 형성한 기준 구멍이고,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규제판(52M, 52K)에도 마찬가지로 기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관도이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유닛 케이스(101)에는 그 측부의 선단 측에 돌기편으로 이루어지는 맞춤부(102)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측부의 앞쪽에는 기준 구멍(56)(도 8 참조)에 맞춰지기 위한 기준 볼록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선단측이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장착했을 때 안쪽이 되는 측이다. 또, 유닛 케이스(101)의 정면부에는 레버(104)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각 가이드(50Y∼50K)에 의해 안내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내부에 밀어넣어 장착할 때,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맞춤부(102)가 도 8에 나타낸 각 레일(54Y~54K)의 아래쪽 면에 각각 맞춰진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로부터 꺼낼 때에도 동일 양태이다. 이것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시에,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 담지체가 중간 전사 벨트에 접촉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상 담지체가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초래되는 표면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일(54Y~54K)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지지판(51Y∼51K)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50Y∼5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삽입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중도까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삽입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돌기형 맞춤부(102)가 판상(板狀)의 레일(54Y~54K)을 빠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 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 완료하였을 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위쪽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상 담지체(1)를 중간 전사 벨트(10)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장착할 때에는, 그 중도까지 레일 (54Y~54K)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위쪽으로 향한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중간 전사 벨트의 접촉을 저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착탈시에 가능한 한 중간 전사 벨트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기 위하여 중간 전사 벨트 측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가이드(50Y∼50K)의 안내면의 안쪽 부위에 각 안내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볼록부(55Y, 55C, 55M, 55K)가 마련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밀어넣어 맞춤부(102)가 레일(54Y~54K)을 빠져 나온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가 각 볼록부(55Y∼55K)에 올라앉음으로써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위쪽으로 들어 올릴 수 있고,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의 각 상 담지체(1Y∼1K)가 중간 전사 벨트(1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밀어넣어 장착한 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Y∼100K)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밀어넣어 장착했을 때, 그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정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 타낸 바와 같이, 규제판(52)을 구성하는 금속판 등 판재의 앞쪽 영역에 기준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유닛 케이스(101)의 앞쪽 영역에는 기준 볼록부(103)로 이루어지는 기준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의 가장 안쪽 위치까지 삽입하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형성된 기준 볼록부(103)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구멍(56)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자중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이 기준 구멍(56)에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서 그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2)의 안쪽으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부세 수단, 예컨대 압축 스프링에 의해 부세되므로,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그 위치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완전히 위치 결정할 수도 있지만,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도시하지 않는 면판을 닫음 위치로 이동하여 옴으로써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최종적으로 완전히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안쪽 핀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안쪽 측판에 형성된 기준 구멍(56)에 맞출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로부터 꺼낼 때에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기준 볼록부(103)를 각 기준 구멍(56)으로부터 빗나가도 록 함으로써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해제하고, 그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앞쪽으로 인출하면 된다. 그 때, 이 위치 결정 해제를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유리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유닛 케이스(101) 앞쪽 부위에는 레버(104)가 장착되어 있고, 이 레버(104)는 도 12에 부호 X를 부여하여 나타낸 사용 위치와 부호 Y를 부여하여 나타낸 수납 위치 사이를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유닛 케이스(101)에 연결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레버(104)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었 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2)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을 때, 레버(104)는 수납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2)로부터 꺼낼 때에는, 레버(104)를 도 12에 나타낸 사용 위치(X)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레버(104)의 기단 측에 설치된 캠부(105)가 규제판(52)의 벽면에 접촉하여 이 벽면을 가압한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규제판(52)으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이 규제판(5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약간 움직인다. 이것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기준 볼록부(59)가 기준 구멍(56)으로부터 빗나간다. 이 때, 이 레버(104)를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앞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로 이루어지는 전사재에 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각 상 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직접적으로 중첩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 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기록 매체가 각 상 담지체에 각각 형성된 서로 다른 색의 토너상을 전사받게 되는 전사재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하나만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등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상 담지체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 담지체를 포함하지 않고 현상 장치만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 담지체는 다른 유닛에 수납되어 장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토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내의 한정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벨트와,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일부를 실행하는 복수개의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을 상기 벨트에 대향시켜 상기 벨트의 경사와 동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기 복수개 유닛에서 상기 벨트 경사면에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와 동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한 경우에, 인접하는 상기 유닛의 일부가 상하로 중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한 경우에, 상기 유닛은 상기 경사면을 아래로 하여 거치(据置)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벨트의 경사 각도와 대략 같은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경사면이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을 상기 벨트의 하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기 벨트와 상기 대향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 대향 부재의 상기 복수개 유닛에 대향하는 면을 수평 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면과 동방향으로 경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부재는 상 담지체에 대하여 광 기록을 실시하는 광 기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 담지체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 담지체로부터 화상이 전사되는 전사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장치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회전하면서 상기 현상 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1 회전 이송체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이송 회전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2 회전 이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유닛은 상기 벨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는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제1 회전 이송체에 대하여 위쪽 또한 상기 제2 회전 이송체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회전 이송체 측보다 상기 현상 롤러측이 아래가 되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닛내에서의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경사면보다 상부인 내부 공간에 상기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닛은 상기 상 담지체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부를 구비하고, 이 대전부는 상기 상 담지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전 롤러와 이 대전 롤러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클리닝 부재를 상기 제1 회전 이송체 및 상기 제2 회전 이송체의 하단을 연결하는 선보다 하부이고 상기 경사 면보다 상부인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62067A 2004-07-12 2005-07-11 화상 형성 장치 KR100864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4329A JP4490195B2 (ja) 2004-07-12 2004-07-12 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204329 2004-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032A true KR20060050032A (ko) 2006-05-19
KR100864103B1 KR100864103B1 (ko) 2008-10-16

Family

ID=3513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067A KR100864103B1 (ko) 2004-07-12 2005-07-1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60008296A1 (ko)
EP (1) EP1617304B1 (ko)
JP (1) JP4490195B2 (ko)
KR (1) KR100864103B1 (ko)
CN (1) CN1722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591B2 (ja) * 2004-07-20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771010B2 (en) * 2006-02-03 2010-08-10 Rr Donnelley Apparatus for printing using a plurality of printing cartridges
US7708861B2 (en) * 2006-02-03 2010-05-04 Rr Donnelley Formulations for high speed print processing
JP4764766B2 (ja) 2006-05-01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02492A (ja) * 2006-09-19 2008-05-01 Ricoh Co Ltd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47714A (ja) * 2006-09-19 2009-03-05 Ricoh Co Ltd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02489A (ja) 2006-09-19 2008-05-01 Ricoh Co Ltd 現像剤搬送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16752A (ja) * 2006-11-06 2008-05-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871807B2 (ja) * 2007-05-29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73464B2 (ja) * 2007-11-19 2012-07-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87114B2 (ja) * 2008-02-25 2013-04-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97661B2 (ja) * 2008-06-20 2014-01-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49999B2 (ja) * 2009-02-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66006B2 (ja) * 2009-09-14 2013-12-11 株式会社リコー 作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5866B2 (ja) * 2010-03-04 2014-06-1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5871B2 (ja) 2010-08-31 2014-09-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53109A (ja) * 2010-08-31 2012-03-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EP2741917B1 (en) 2011-08-12 2019-05-22 R. R. Donnelley & Son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ing inkjet cartridges in a carrier
JP6620978B2 (ja) 2015-10-22 2019-12-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10031441B2 (en) 2015-10-26 2018-07-2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incorporating same
JP6465067B2 (ja) * 2016-04-27 2019-0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859A (en) * 1994-06-21 1997-08-1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agitating/conveying device
JPH10186855A (ja) 1996-12-19 1998-07-14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2000137377A (ja) * 1998-11-02 2000-05-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4375918B2 (ja) * 2001-04-26 2009-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212849B2 (ja) * 2001-08-31 2009-01-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832061B2 (en) * 2001-11-14 2004-12-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lockable intermediate members for supporting developing and forming devices of same
JP4146128B2 (ja) * 2002-01-17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2003167412A (ja) * 2001-12-03 2003-06-13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4029057A (ja) * 2002-06-21 2004-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077554A (ja) * 2002-08-09 2004-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212767B2 (en) *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KR100564958B1 (ko) * 2002-09-12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컬러 화상 형성 장치
JP2004109631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0407065C (zh) * 2002-12-20 2008-07-30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JP4647232B2 (ja) * 2003-06-24 2011-03-09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9113A1 (en) 2010-05-27
US20100215397A1 (en) 2010-08-26
US20060008296A1 (en) 2006-01-12
CN1722014A (zh) 2006-01-18
CN1722014B (zh) 2011-03-16
JP2006030241A (ja) 2006-02-02
JP4490195B2 (ja) 2010-06-23
EP1617304B1 (en) 2014-10-22
KR100864103B1 (ko) 2008-10-16
EP1617304A1 (en)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103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48691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age forming and process cartridge included in the apparatus
US75262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US702413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user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a method of arranging the process cartridge, and the process cartridge itself
KR10091547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0502266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toner container and a process cartridge
JP612878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105341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7130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20050003876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5073418B2 (ja) 潤滑剤供給構造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20220283526A1 (en) Developing device,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JP6550845B2 (ja) 粉体収容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002688A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N111971624A (zh) 用于检测显影剂盒的显影剂水平的结构
US7561819B2 (en) Belt cleaning device having cleaning blad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27453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484040B1 (ko) 화상형성장치
JPH0950174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JP4684634B2 (ja) 潤滑剤塗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33748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6384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13785247A (zh) 用于更换废调色剂容器的门与打印介质盒之间的连接结构
JP2016138900A (ja) 案内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10799A (ja) 被覆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