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957A -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957A
KR20060049957A KR1020050061492A KR20050061492A KR20060049957A KR 20060049957 A KR20060049957 A KR 20060049957A KR 1020050061492 A KR1020050061492 A KR 1020050061492A KR 20050061492 A KR20050061492 A KR 20050061492A KR 20060049957 A KR20060049957 A KR 2006004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perator
gauge
colo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께시 마쯔자와
가즈히로 곤도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6004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77Dynamic icon, e.g. animated or l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제어부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명의 일람과, 게이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 게이지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에 필요한 빈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황색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명의 일람 중, 삭제 후보로서 선택된 데이터명의 표시 영역을 「녹색」으로 표시함과 함께, 이 삭제 후보로서 선택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유저가 양자의 관계를 직감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되도록, 삭제 후보로서 선택된 데이터와 동일색인 「녹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메모리 내의 기입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삭제할 것을 선택한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영역과의 관계를,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게이지, 부족 용량, 빈 용량, 덮어쓰기, 기입 영역

Description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DISPLAY CONTROL PROGRAM,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일련의 동작 중, 전단 부분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일련의 동작 중, 중단 부분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의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일련의 동작 중, 후단 부분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하였을 때에, 해당 휴대 전화기의 표시부에 최초로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삭제 후보로 되는 데이터가 선택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삭제 후보로 되는 데이터의 삭제가 결정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삭제 후보로 되는 데이터의 삭제의 결정 조작을 반복하여 실행한 경 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삭제 후보로 되는 데이터의 삭제의 결정 조작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새롭게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빈 영역이 확보된 경우 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삭제를 결정한 데이터의, 해당 삭제의 결정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통신 회로
3 : 스피커부
4 : 마이크로폰
5 : 카메라부
6 : 조작부
7 : 표시부
10 : 제어부
14 : 회전 조작부
15 : 우측 키
16 : 좌측 키
18 : 온훅 키
19 : 오프훅 키
22 : 상부 조작부
23 : 하부 조작부
24 : 회전 다이얼
25 : 십자 키
26 : 결정 키
31 : 상부 케이스
32 : 하부 케이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2002-51382호 공보(제4 페이지: 도 3)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HS 전화기(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장치(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 장치 등의 메모리를 갖는 기기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에 기입을 행하는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그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삭제할 데이터의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개2002-51382호 공보(특허 문헌1)에, 전자 메일의 총 송신 용 량이, 사전에 정해져 있는 송신 가능 용량 내로 되도록, 전자 메일에 첨부하는 첨부 파일의 용량(첨부하는 파일의 수)을 조정 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파일의 첨부를 행하는 경우, 송신 가능 용량을 나타내는 게이지와 함께, 첨부 가능한 파일의 일람이 LCD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 게이지는, 파일의 첨부가 가능한 빈 용량을 나타내는 범위가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되며, 첨부된 파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용 영역을 나타내는 범위가 제2 표시색으로 표시된다.
유저에 의해, 파일의 일람 중에서 원하는 파일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파일명의 옆에, 이 파일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표가 표시된다. 또한, 첨부 파일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게이지의 대략 전 범위는,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된다. 첨부할 파일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파일의 용량에 대응하는 범위가 제2 표시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파일의 선택이 반복하여 행해지면, 게이지에서의 제2 표시색으로 표시되는 범위는, 선택된 파일의 용량에 따라 서서히 연장된다. 유저는, 이 게이지에서의 제2 표시색으로 표시되는 범위가, 게이지의 전체 길이의 범위 내로 되도록, 첨부하는 파일의 각 용량을 시인하면서 선택을 행한다. 이에 의해, 첨부 파일의 용량도 포함하여, 전자 메일의 전체 송신 용량을, 송신 가능 용량의 범위 내로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첨부하는 파일의 선택을 행한 결과, 첨부 파일의 용량이 송신 가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동체 통신 단말기는, 게이지의 전 범위를, 송신 가능 용량을 초과한 것을 나타내는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첨부한 파일의 첨부 해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통지한다.
한편, 유저에 의해, 첨부한 파일의 삭제가 지정되면, 그 전자 메일에 첨부하기 위해 선택된 파일의 일람이 LCD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게이지의 전 범위는, 상기 사용 영역을 나타내는 제2 표시색으로 표시된다.
유저가, 일람 중에서 삭제할 첨부 파일을 선택하면, 첨부의 해제가 지정된 파일명의 옆에, 파일의 첨부 해제가 지정된 것을 나타내는 「×」표가 표시된다. 또한, 이 첨부의 해제가 지정된 파일의 용량에 대응하는 게이지 상의 범위는, 빈 용량을 나타내는 색인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파일의 첨부 해제의 조작이 반복하여 행해지면, 게이지에서의 제1 표시색으로 표시하는 범위는, 선택된 파일의 용량에 따라 서서히 연장된다. 유저는, 이 게이지에서의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되는 범위가, 게이지의 전체 길이의 범위 내로 되도록, 첨부가 해제되는 파일의 각 용량을 시인하면서, 파일의 선택을 행한다. 이에 의해, 첨부 파일의 용량도 포함하여, 전자 메일의 전 송신 용량을, 송신 가능 용량의 범위 내로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는, 게이지 상에서의 빈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를 제1 표시색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또한, 첨부의 해제가 지정된 파일의 용량에 대응하는 범위도 제1 표시색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있다. 즉, 양자 모두 동일한 색인 제1 표시색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처음부터 비어 있는 빈 영역과, 파일의 첨부를 해제함으로써 형성한 빈 영역을 분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송신 가능 용량이나 메모리에 대하여 임의로 빈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첨부를 해제하는 파일이나 삭제하는 파일의 조합을 검토하면서 빈 영역의 형성 작업을 행하는 경우, 첨부의 해제나 삭제를 지정한 파일이 복수에 이르면, 이들 복수의 파일의 첨부의 해제나 삭제에 의해 형성되는 빈 영역이, 일색 단순하게 상기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조합의 검토가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파일명의 일람으로부터 첨부의 해제를 행하는 파일명 상으로 커서(음영)가 이동 조작되어, 그 첨부의 해제를 행하는 파일이 선택되면, 이 선택된 파일의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가 상기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되지만, 선택된 파일을 「음영」을 이용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파일의 첨부의 해제에 의해 형성되는 빈 용량이 「색(=상기 제1 표시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선택한 파일과, 이 선택한 파일의 첨부를 해제함으로써 형성되는 빈 영역을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어렵다. 즉, 「음영을 이용한 표시」와 「색을 이용한 표시」에서는, 양자의 표시의 방법에 관련성이 약하기 때문에 선택한 파일과, 이 선택한 파일의 첨부를 해제함으로써 형성되는 빈 영역을,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파일의 첨부를 해제하는 경우, 그 첨부의 해제를 행해서는 안되는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파일 중에서 원 하는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 삭제해서는 안되는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파일의 첨부의 해제나 삭제가 잘못 지정된 경우에는, 시스템측에서, 이 파일의 첨부의 해제나 삭제의 지정을 거부, 혹은 유저에 대하여 확인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은,
메모리에 기입을 행할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 완료된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따라 이동 조작 가능하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데이터 중 상기 기입을 행할 데이터로 덮어쓰기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를 제1 색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게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2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가 제2 색으로 표시되며,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가,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가, 각 용량을 명확하게 인식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삭제 후보로 되는 데이터의 선택을 행하는 상기 조작자와, 이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가,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양자의 관계를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
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되는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1) 및 통신 회로(2)와, 수화 음성, 동화상 파일의 음성, 음악 데이터의 음성 등의 음성 출력을 얻기 위한 스피커부(3)와, 송화 음성 등을 집음하는 마이크로폰부(4)와, 원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부(5)와,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설치된 조작부(6)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휴대 전화기는, 대기 화상이나 휴대 메일의 문장 외에, 후술하는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파일명이나 게이지 등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7)와, 통신 처리 프로그램(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후술하는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억된 메모리(8)(ROM)와, 대기 화상, 음악 데이터, 송수신한 휴대 메일의 문장 데이터 등이 기억되는 메모리 (9)(RAM)와, 해당 휴대 전화기 전체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를 갖고 있다.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
이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도 2에 도시한다. 이 휴대 전화기에서, 상부 케이스(31) 및 하부 케이스(32)는, 표시부(7)의 표시 화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된 회전축을 통해 서로의 일단부끼리가 상호 접속되어, 상부 케이스(31) 혹은 하부 케이스(32)는, 그 회전축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부 케이스(31)는, 상기 표시부(7) 외에, 회전 조작부(14), 우측 키(15), 좌측 키(16), 온훅 키(18), 오프훅 키(19), 유저 셀렉트 키(20) 및 클리어 키(21)를 구비한 상부 조작부(22)를 갖고 있다. 하부 케이스(32)는, 숫자 키, * 키, # 키 등을 구비한 하부 조작부(23)와, 해당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를 따라 설치된 상기 안테나(1)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5)는, 해당 휴대 전화기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도시 생략).
회전 조작부(14)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된 고리 형상 회전 조작 다이얼(24)과, 회전 조작 다이얼(24)의 내주를 따라 설치되며, 적어도 상하 좌우 위치에서 누름 조작 가능한 십자 키(25)와, 회전 조작부(14)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며, 누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정 키(26)(Enter 키)를 갖고 있다.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 휴대 전화기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된 데이터나 조작부(6)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혹은 카메라부(5)에 의해 촬상된 화상(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의 데이터 등을 메모리(9)(혹은 메모리(8))에 기억하는 경우, 제어부(10)가, 이하에 설명하는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도 3∼도 5의 플로우차트에, 이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제어부(10)의 일련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플로우차트는, 메모리(9)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이 발생한 타이밍에서 스타트되며, 제어부(10)는, 스텝 S1로부터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 S1에서는, 제어부(10)가,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과, 이 데이터의 기입처로 되는 메모리(9)(혹은 메모리(8))의 빈 영역의 용량(빈 용량)을 비교하여,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메모리(9)의 빈 용량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데이터량>빈 용량).
여기서, 해당 휴대 전화기의 경우, 데이터의 기입처로 되는 메모리를 사전에 지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메모리(9)(RAM)는, 해당 휴대 전화기에 사전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메모리와, 해당 휴대 전화기에 접속되는 외부 메모리를 일괄하여 도시한 것으로 되어 있다. 유저는, 데이터의 기억처로서, 상기 내장 메모리 혹은 외부 메모리를 사전에 선택 설정한다. 이 스텝 S1에서는, 제어부(10)는, 유저에 의해 사전에 선택된 메모리의 빈 용량을 검출한다.
이 스텝 S1에서, 제어부(10)가,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메모리(9)의 빈 용량이 크다고 판별한 경우, 처리를 스텝 S14로 진행시켜, 상기 데이터 를 메모리(9)에 보존하고 이 도 3∼도 5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종료한다(엔드).
한편, 이 스텝 S1에서, 제어부(10)는,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메모리(9)의 빈 용량이 작다고 판별한 경우, 처리를 스텝 S2로 진행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는, 유저에 의해 사전에 지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메모리(9)의 빈 용량이 작다고 판별한 경우에는, 제어부(10)가, 유저에 대하여, 기입처에 지정되어 있는 메모리의 변경을 행할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 등을 표시하도록 표시부(7)를 제어하는 스텝과, 이 메시지에 대응하여, 유저로부터 기입처로 되는 메모리의 변경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처리를 상기 스텝 S1로 복귀시켜, 이 변경된 메모리의 빈 용량을 검출하는 스텝과, 변경된 메모리의 빈 용량이,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 이상이었던 경우에, 처리를 스텝 S14로 진행시켜, 이 변경된 메모리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스텝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변경된 메모리의 빈 용량이,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보다 적었던 경우, 제어부(10)는, 이하에 설명하는 스텝 S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2에서는, 제어부(10)가,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삭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처리를 스텝 S3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3에서, 메모리(9)에 기억되어 있는 폴더의 일람과 함께, 게이지가 표시부(7)에 표시된다. 또한, 폴더 일람 중에서,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기 위해 선택된 폴더명은, 포커스되어 표시된다.
즉,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메모리(8)의 기억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들 각 분할 영역에 대하여, 예를 들면 「화상용(화상 폴더)」, 「음성용(음성 폴더)」, 「어플리케이션용(어플리케이션 폴더)」, … 등과 같이 폴더명을 붙여, 각 폴더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텝 S3에서, 메모리(9)에 기억된 각 폴더의 폴더명의 일람과 함께, 이 폴더 일람 중에서,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기 위해 선택된 폴더명이 포커스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포커스」란, 상기 기입을 행하는 폴더의 폴더명이나, 이하에 설명하는 덮어쓰기에 의해 소거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명의 표시 영역 전체를, 예를 들면 「녹색」으로 빛나게 하여 표시하는 것, 즉,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식별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표시를 「포커스 표시한다」라는 문언으로 표현한다. 또한, 포커스 표시하는 대신에, 하선 등의 커서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도 6에, 폴더 일람 및 게이지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폴더 일람으로서 「화상 폴더」, 「음성 폴더」, 「어플리케이션 폴더」, …가 표시되며, 메모리(9)의 전기억 영역 중, 현재, 화상 폴더에 의해 1600KB가 사용되고 있고,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 160KB의 빈 영역이 필요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된다. 게이지 중, 대략 1/6 정도의 영역이 메모리(9)의 빈 영역을 나타내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대략 5/6 정도의 영역이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 부족한 영역을 나타내는 「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폴더 일람 중, 최상단에 표시한 「화상 폴더」의 폴더명은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10)는, 이 도 6에 도시한 표시 화면을 표시하였을 때, 디폴트적으로, 폴더 일람의 최상단에 표시한 폴더명을 포커스 표시한다.
이 포커스 표시하는 영역은, 상기 폴더명이나 데이터명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10)는, 도 2에 도시한 상부 조작부(22)의 십자 키(25)의 상부 키의 조작을 검출하면, 현재, 포커스 표시하고 있는 폴더명의 표시 영역의 하나 위의 폴더명의 표시 영역에, 포커스 표시하는 영역을 이동 제어하고, 또한, 십자 키(25)의 하부 키의 조작을 검출하면, 현재, 포커스 표시하고 있는 폴더명의 표시 영역의 하나 아래의 폴더명의 표시 영역에, 포커스 표시하는 영역을 이동 제어한다.
유저는, 이와 같이 십자 키(25)를 상하로 조작하여 포커스 표시하고 있는 영역을 이동 조작하고, 도 2에 도시한 회전 조작부(14)의 결정 키(26)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원하는 폴더를 지정한다.
도 3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4에서는, 제어부(10)가, 이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있으며,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십자 키(25)의 상하의 조작에 따라 포커스 표시하는 영역을 이동 제어하고,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폴더가 선택된 것으로 하여, 처리를 도 4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스텝 S5로 진행시킨다.
스텝 S5에서는, 결정 키(26)가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 포커스 표시하고 있었던 폴더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명 일람과 함께, 게이지가 표시부(7)에 표시된다. 또한, 디폴트적으로, 이 데이터 일람의 최상단에 표시한 데이터명에 대하여 「녹색」의 포커스 표시를 행함과 함께, 이 포커스 표시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메모리(9) 내에 형성되는 빈 영역에 대응하는 게이지 상의 범위를 연산하고, 이 연산으로 산출된 범위를, 상기 「백색」으로 표시한 메모리(9)에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의 표시 영역에 인접시키는 형태로, 상기 포커스의 색과 동일색인 「녹색」으로 표시한다.
도 7에, 데이터 일람 및 게이지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에는, 데이터 일람으로서 「App001(App: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p002」, 「App003」, …이 표시되며, 이 화상 폴더의 기억 영역 중, 현재, App001에 의해 32KB가 사용되어 있고,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 160KB의 빈 영역이 필요로 되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된다. 게이지 중, 대략 1/6 정도의 영역이 메모리(9)의 빈 영역을 나타내는 「백색」으로 표시되며, 나머지 대략 5/6 정도의 영역이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데 부족한 영역을 나타내는 「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 7은, 폴더 일람 중, 최상단에 표시한 「App001」은,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 제어에 의해, 유저는,
1. 현재 선택 중인 데이터가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되며, 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메모리(9)에 형성되는 빈 영역의 범위가 게이지 상에 「녹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형성되는 빈 영역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2. 게이지 상에는, 메모리(9)에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의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며,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메모리(9)에 형성되는 빈 영역의 범위가 「녹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양자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되어 있는 영역은, 십자 키(25)를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십자 키(25)를 상하로 조작하여 삭제할 데이터 일람 중에서 삭제할 데이터(=덮어쓰기를 행할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4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6에서는, 제어부(10)가, 십자 키(25)의 조작을 검출함으로써, 포커스의 이동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포커스의 이동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5로 복귀시켜, 상기 십자 키(25)의 이동 조작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 표시한다.
한편, 포커스의 이동 조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는, 스텝 S7로 처리를 진행시켜, 상기 회전 조작부(14)의 결정 키(26)가 누름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삭제할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결정 키(26)가 누름 조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복귀시켜, 상술한 포커스의 이동 조작의 유무를 판별하고,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을 검출한 타이밍에서 처리를 스텝 S8로 진행시킨다.
〔보호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의 보호〕
여기서, 메모리(9)에 기억한 데이터 중에는, 유저측으로부터 봐서, 혹은 해당 휴대 전화기의 시스템측으로부터 봐서 소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데이터도 존재한다. 시스템측으로부터 봐서 소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서는, 그 데이터의 소거를 불가로 하는 보호 설정이 시스템측에서 사전에 이루어져 있는 것이지만, 유저가 기억시키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유저가 조작부(6)를 조작하여, 각 데이터마다 개별로 보호 설정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텝 S7에서, 유저에 의해 소거(덮어쓰기)되는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는, 스텝 S8에서, 이 소거가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보호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는, 메모리(9)에 기억되어 있는 그 데이터의 예를 들면 헤더 정보 등에, 보호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0)는, 이 플래그의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보호 설정의 유무를 판별하고 있다.
이 스텝 S8에서, 그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그 데이터는 소거해도 되기 때문에, 제어부(10)는, 도 5의 스텝 S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이에 대하여, 그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 그 데이터의 소거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10)는, 스텝 S15에서, 예를 들면 「선택한 데이터에는 보호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다른 데이터를 선택해 주십시오.」 등의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7)에 표시하고, 처리를 스텝 S6으로 복귀시킨다. 이 에러 메시지를 본 유저는, 재차, 데이터의 일람 중에서 소거해도 되는 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가, 소거할 데이터로서 선택된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이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으로 하였지 만, 이것은, 상술한 데이터 일람(도 7 참조)을 표시할 때에, 제어부(10)가, 표시하는 전부의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데이터의 데이터명만, 상기 데이터 일람으로서 표시부(7)에 표시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가, 표시하는 전부의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명을, 그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데이터명의 반휘도 표시」 혹은 「적색 등의 소정의 색으로 포커스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데이터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고 판별한 경우, 스텝 S15에서, 예를 들면 「이 데이터에는 보호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만, 보호 설정을 해제하시겠습니까?」 등의 보호 설정의 해제의 유무를 유저에게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그 데이터의 보호를 계속해서 행할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그 데이터를 계속해서 보호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 제어부(10)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복귀시키고, 유저에 의해 보호 설정의 해제가 지정된 경우, 제어부(10)는, 이하에 설명하는 도 5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9로 처리를 진행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9에서는, 제어부(10)가, 유저에 의해 삭제하는 것이 결정된 데이터의 데이터명에 「하늘색」의 포커스를 맞춤과 함께, 이 유저에 의해 삭제하는 것이 결정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동일색으로 되는 「하늘색」으로 표시한다.
도 8에, 유저에 의해 삭제하는 것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하늘색의 포커스가 맞춰진 데이터 일람, 및 대응하는 데이터의 범위가 하늘색으로 된 게이지가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도 8은, 데이터 일람 중, 유저에 의해 삭제하는 것이 결정된 「App001」의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영역을 상기 「하늘색」으로 포커스 표시하고, 게이지에서의 상기 「App001」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범위가 「하늘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예이다.
즉, 이 휴대 전화기의 경우,
1. 삭제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포커스의 색을 「녹색」으로 하고, 회전 조작부(14)의 회전 조작 다이얼(24)의 회전 조작에 따라, 이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하는 데이터를 이동 제어하며,
2.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게이지 상의 범위를, 이 「녹색」의 포커스와 동일색인「녹색」으로 표시하고,
3.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을 검출한 경우,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하였던 데이터의 그 포커스의 색을 「하늘색」의 포커스로 변경함과 함께, 게이지 상에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하였던 범위를, 이 하늘색의 포커스와 동일색인 「하늘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게이지 상에는,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에 대응하는 범위가 「백색」으로 표시되고, 이「백색」의 범위에 인접하여, 상기 삭제가 결정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범위가 「하늘색」으로 표시되며, 이「하늘색」의 범위에 인접하여, 현재 선택 중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범위가 「녹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의 범위가 부족 영역분을 나타내는 「황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선택 시에는 「녹색」, 선택한 데이터의 결정 시에는 「하늘색」 등과 같이, 「포커스의 색」과 「게이지 상에 표시되는 색」에 동일한 색을 이용함으로써, 「선택 중인 데이터와 이 선택 중인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영역」, 및 「삭제를 결정한 데이터와 이 삭제의 결정에 의해 얻어지는 빈 영역」을, 유저에 대하여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 삭제할 데이터의 결정 조작(상기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0)는, 스텝 S10에서, 유저에 의해 삭제하는 것이 결정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기입을 행할 데이터에 대한 빈 영역이 확보되었는지의 여부(부족분이 해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부족분이 해소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로 진행시키고, 부족분이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복귀시킨다.
부족분이 해소되지 않은 경우, 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조작부(14)의 회전 조작 다이얼(24)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녹색의 포커스를 이동 조작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결정 키(26)를 누름 조작하여, 그 선택한 데이터의 삭제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 및 결정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삭제할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결정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지 상에서의 「하늘색」으로 표시되는 범위가 서서히 신장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9)에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게이지 상에 백색의 범위에서 표시된 빈 영역)과,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형성 되는 빈 영역(게이지 상에 하늘색의 범위로 표시된 빈 영역)의 「총합의 용량」이,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제어부(10)는, 스텝 S11로 처리를 진행시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덮어쓰기할 수 있습니다」 등의, 데이터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부(7)에 표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몇개의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지금부터 기입을 행하자고자 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빈 영역이, 메모리(9) 내에 형성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와 함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7)의 표시 영역의 대략 우측 하부 부분에 「덮어쓰기」의 문자가 표시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한 우측 키(15)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데이터 덮어쓰기가 개시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10)는, 도 5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12에서, 이 우측 키(15)의 누름 조작의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데이터 덮어쓰기가 지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우측 키(15)의 누름 조작을 검출한 타이밍에서 스텝 S13으로 처리를 진행시켜, 이 스텝 S13에서, 상기 형성된 메모리(9) 내의 빈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 제어하고, 이 도 4∼도 5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이와 같이 선택되어 결정된 데이터를 바로 메모리(9)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택되어 결정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9) 상의 범위를, 기입을 행할 영역으로서 인식하고, 이 영역에 새로운 데이터 덮어쓰기를 행함으로써, 이전에 기억되어 있었던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번, 선택하여 소거를 결정한 데이터라도, 이 소거의 결정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는, 하늘색으로 포커스 표시되어 있는 결정 완료된 데이터의 표시 위치에 상기 녹색의 포커스를 이동 조작한다. 제어부(10)는, 결정 완료된 데이터의 표시 위치에 상기 녹색의 포커스가 이동 조작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7)의 표시 영역의 하단 영역의 대략 중앙에 「해제」의 문자를 표시 제어한다. 이것은, 결정 키(26)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현재,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의 삭제가 해제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현재, 하늘색으로 포커스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삭제의 해제를 행할 데이터가 녹색으로 포커스 표시되도록, 그 녹색의 포커스를 이동 조작하여, 결정 키(26)를 누름 조작한다.
이 결정 키(26)의 누름 조작이 행해지면, 제어부(10)는, 덮어쓰기를 행할 영역으로서 설정되어 있었던 상기 삭제가 결정되어 있었던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재차, 덮어쓰기를 행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재설정한다. 그리고, 유저의 상기 선택 조작 및 결정 조작에 따라, 재차, 덮어쓰기를 행할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데이터 덮어쓰기를 행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재설정하게 된다.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게이지 상에서,
1.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의 범위를 「백색」으로 표시하고,
2. 데이터의 덮어쓰기에 필요로 되는 빈 영역(부족분)에 대응하는 범위를 「 황색」으로 표시하며,
3. 덮어쓰기 후보로 되는 선택 중인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범위를 「녹색」으로 표시하고,
4. 덮어쓰기 후보로서 결정된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범위를 「하늘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유저에 대하여, 「처음부터 존재하는 빈 영역(백색)」, 「데이터의 덮어쓰기에 필요로 되는 빈 영역(황색)」, 「선택 중인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영역(녹색)」, 및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얻어진 빈 영역(하늘색)」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삭제하는 데이터의 조합을 검토하면서 빈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삭제하는 데이터의 선택 시에는 「녹색」, 선택한 데이터의 결정 시에는 「하늘색」 등과 같이, 「포커스의 색」과 「게이지 상에 표시되는 색」에 동일한 색을 이용함으로써, 「선택 중인 데이터와 이 선택 중인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영역」, 및 「삭제를 결정한 데이터와 이 삭제의 결정에 의해 얻어지는 빈 영역」을, 유저에 대하여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가 삭제 후보로서 결정 조작된 경우에는, 유저에 대하여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인 취지의 메시지(비프음 등이어도 됨)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잘못 덮어쓰기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는 것으 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외에, PHS 전화기(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장치(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 장치, 데스크탑형의 퍼스널 컴퓨터 장치 등의 모든 단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게이지는 띠 형상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은 링 형상이나 나선 형상 등, 임의의 표시 형상으로 표시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례로서 개시한 것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인 것을 부연해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입을 행하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메모리 내의 기입 영역이 부족한 경우에,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삭제하는 것을 선택한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영역과의 관계를,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Claims (10)

  1. 메모리에 기입을 행할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 완료된 데이터의 데이터명의 일람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일람 표시 수단과,
    「유저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이동 조작 가능하며, 상기 데이터명의 일람중에서 「상기 기입을 행할 데이터」로 덮어쓰기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를 제1 색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조작자 표시 수단과,
    게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2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게이지 표시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빈 용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3 색으로 표시하는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유저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상기 기입 데이터의 덮어쓰기가 결정되었을 때, 상기 조작자를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함과 함께,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변경 표시한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하는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4. 제3항에 있어서,
    유저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상기 기입 데이터의 덮어쓰기가 결정되었을 때,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입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고,
    상기 판별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켰을 때에,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입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조작자 및 그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하는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5. 메모리에 기입을 행할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 완료된 데이터의 데이터명의 일람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일람 표시 수단과,
    유저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명의 일람 중에서 상기 기입을 행할 데이터로 덮어쓰기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를 제1 색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조작자 표시 수단과,
    게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2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게이지 표시 수단을 갖는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빈 용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3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은, 유저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상기 기입 데이터의 덮어쓰기가 결정되었을 때, 상 기 조작자를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함과 함께,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변경 표시한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유저가 상기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상기 기입 데이터의 덮어쓰기가 결정되었을 때,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입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갖고,
    상기 게이지 표시 수단은, 상기 판별 수단으로부터,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하여 기입 보호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판별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 상기 조작자 및 그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제4 색으로 변경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기억 수단에 기입을 행할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 완료된 데이터의 데이터명의 일람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데이터 일람 표시 수단과,
    유저가 조작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데 이터명의 일람 중에서 상기 기입을 행할 데이터로 덮어쓰기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를 제1 색으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조작자 표시 수단과,
    게이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기억 수단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2 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게이지 표시 수단
    을 갖는 단말 장치.
  10. 메모리에 기입을 행할 기입 데이터의 데이터량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의 빈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 완료된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유저 조작에 따라 이동 조작 가능하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데이터 중 상기 기입을 행할 데이터로 덮어쓰기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자를 제1 색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게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부족한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제2 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조작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삭제한 경우에 얻어지는 빈 용량에 대응하는 상기 게이지 상의 범위를, 상기 조작자와 동일색인 상기 제1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KR1020050061492A 2004-07-09 2005-07-08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KR200600499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3077 2004-07-09
JP2004203077A JP4566638B2 (ja) 2004-07-09 2004-07-09 表示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957A true KR20060049957A (ko) 2006-05-19

Family

ID=3509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92A KR20060049957A (ko) 2004-07-09 2005-07-08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59025B2 (ko)
EP (1) EP1615114A3 (ko)
JP (1) JP4566638B2 (ko)
KR (1) KR20060049957A (ko)
CN (1) CN1003548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392A (ja) * 2003-11-19 2005-06-09 Nec Corp 紛失・不正使用防止機能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JP4662481B2 (ja) 2006-06-28 2011-03-3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106856B2 (en)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8122211B2 (en) 2007-04-27 2012-02-21 Core Mobility, Inc. User interface indicator for mobile device backup status
US8352524B2 (en) * 2008-04-30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ulti-scale schema
US8706690B2 (en) * 2008-05-12 2014-04-22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space management in file systems
KR101506166B1 (ko) * 2008-09-24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260969B1 (en) 2009-09-22 2021-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9310907B2 (en) 2009-09-25 2016-04-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832585B2 (en)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9081494B2 (en) 2010-07-30 2015-07-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formatting attributes
US9098182B2 (en) 2010-07-30 2015-08-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user interface objects between content regions
USD735736S1 (en) * 2012-01-06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955978B1 (ko) * 2012-05-23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AU349934S (en) * 2013-02-23 2013-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JP6767229B2 (ja) 2016-10-13 2020-10-14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DK201970535A1 (en) 2019-05-06 2020-12-21 Apple Inc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DK181076B1 (en) 2020-02-14 2022-11-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INING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252A (ja) * 1984-04-25 1985-11-11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メ−ルシステム
JPH05234179A (ja) * 1992-02-18 1993-09-10 Sony Corp 録画時間予約装置
JP2000267902A (ja) * 1999-03-15 2000-09-29 Fuji Xerox Co Ltd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US6661454B1 (en) * 1999-06-14 2003-12-09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amera with memory card fullness icon
JP2001268257A (ja) * 2000-03-22 2001-09-28 Sharp Corp 通信端末装置
JP3887527B2 (ja) 2000-08-04 2007-02-2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体通信端末
US20040019396A1 (en) * 2001-03-30 2004-01-29 Mcmahon Maureen Methods for recording music to optical media
JP2003009048A (ja) * 2001-06-26 2003-01-10 Toshiba Corp 番組記録装置
JP2003179841A (ja) * 2001-12-11 2003-06-27 Sharp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24862A (ja) * 2002-01-29 2003-08-08 Nec Access Technica Ltd グラフィック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メモリ容量低減方式
US7612806B2 (en) * 2002-01-31 2009-11-03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2003281864A (ja) * 2002-03-25 2003-10-03 Sanyo Electric Co Ltd 記録媒体管理装置および記録装置
KR20040009097A (ko) *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모리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9420A (zh) 2006-01-11
US7559025B2 (en) 2009-07-07
US20060010380A1 (en) 2006-01-12
EP1615114A2 (en) 2006-01-11
JP2006024091A (ja) 2006-01-26
EP1615114A3 (en) 2012-02-01
JP4566638B2 (ja) 2010-10-20
CN100354839C (zh)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9957A (ko) 표시 제어 프로그램, 단말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EP1803057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JP7003010B2 (ja) 写真管理のための携帯式電子デバイス
EP228033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6366302B1 (en) Enhanc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radiotelephones
US865954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or pictograms
JP4691489B2 (ja) 画面分割表示機能付きの電子端末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
ES2257843T3 (es) Ventana superpuesta sensible al contexto para un telefono portatil.
US20040239686A1 (en) Data communications devic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program
JP2005122271A (ja) 携帯型電子装置
WO2006123513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09005760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4924402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1883210A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206749A1 (en) Cellular telephone with digital camera
JP4813561B2 (ja) 携帯端末、表示方法、表示様式決定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083049B2 (ja) 携帯端末装置、プレビュー表示方法、及び表示機能を備えたプログラム
US20050130614A1 (en) Function call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function calling process
JP5086005B2 (ja) 携帯端末機
JP2004120436A (ja) 携帯端末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US200301588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pability of storing a photograph of face in address book together with name, mail address, and other information
JP5464221B2 (ja) 制御装置
EP1478165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data operation process program
JP4161561B2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