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811A -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811A
KR20060048811A KR20050068363A KR20050068363A KR20060048811A KR 20060048811 A KR20060048811 A KR 20060048811A KR 20050068363 A KR20050068363 A KR 20050068363A KR 20050068363 A KR20050068363 A KR 20050068363A KR 20060048811 A KR20060048811 A KR 2006004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mmunication terminal
reception
notification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846B1 (ko
Inventor
이타루 마에카와
카즈시게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06004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ns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다른 통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효율적으로 확립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신단말장치는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50)와,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제어하는 수신제어부(52)를 구비한다. 송신제어부(50) 및 수신제어부(52)는 각각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실행한다. 이때, 성전력화(power saving)를 실현하기 위해서 1주기에 있어서 송신모드의 실행시간은 수신모드의 실행시간보다도 길게 설정된다.
통신단말 장치, 성전력화, 게임장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Description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기모드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게임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목표 소비 전력에서 감시기간(스캔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은 다른 통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다.
최근 정보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실현됨에 따라 정보단말을 운반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에 따라 온디맨드(on-demand)형의 통신으로서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연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ad hoc network)에서는 기지국이나 액세스 포인트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인프라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예를 들면 복수의 유저가 휴대형 게임기를 가지고 모여서 서로 무선통신하는 것으로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함께 게임을 즐기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애드 혹 네트워크는 IEEE802.11이나 Bluetooth 등의 기술을 사용해서 단말끼리가 통신함으로써 구축된다.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상시 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휴대형의 단말의 경우는 한정된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비를 가능한 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IEEE802.11와 같은 통신규격에 있어서도 통신 확립 후의 성전력 제어처리가 표준화되어 있다.
2개의 무선 통신단말장치가 서로의 통신 범위 내에 들어오면, 한쪽으로부터의 비콘신호에 응답해서 다른쪽이 네트워크로의 참가요구를 회신함으로써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통신단말장치는 스캐닝(탐색)을 행함으로써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대의 존재를 인식한다. 그러나, 통신 범위 내에 다른 통신단말장치가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연속해서 스캐닝을 실행하면 상당한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휴대형의 통신단말장치는 들고 다니는 일이 많고, 이동하는 것으로서 자신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통신단말장치가 들어오는 것이 기대되기 때문에 유저는 예를 들면 수십초마다 탐색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대를 찾고 싶어하는 요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조작은 유저에 있어서 번거로운 것이며, 통신단말장치가 자동적으로 탐색을 실행하는 기능 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저는 수동적인 탐색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주위에 알리고 싶어하는 요구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른 통신단말장치를 자동적으로 탐색하는 동시에, 자신의 존재를 주위의 다른 통신단말장치에 효율적으로 알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또한 그때의 성전력화를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태양(態樣)은 알림신호(broadcast signal)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제어하는 수신제어부를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에 관한다. 송신제어부 및 수신제어부는 각각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교대로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의식하지 않고 통신단말장치의 존재를 주위의 다른 통신단말장치에 자동적으로 알릴 수 있는 동시에, 다른 통신단말장치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1)을 나타낸다.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무선 통신단말장치(이하, 편의를 위해서 "통신단말"이라 부름)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여기에서는 통신단말로서 휴대형의 2대의 게임기(2a, 2b; 이 하, 총칭할 경우는 "게임기(2)"라 부름)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게임기(2)의 대수는 2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3대 이상의 대수라도 좋다. 게임기(2)는 무선통신기능을 가지고, 복수의 게임기(2)가 모임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예를 들면 IEEE802.1lb 등의 무선 LAN의 규격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게임기(2a)는 통신범위(3a)를 가지고, 게임기(2b)는 통신범위(3b)를 가진다. 통신범위(3a)와 통신범위(3b)는 동일한 크기라고 한다. 도시의 상태에서는 서로 상대방의 통신범위에 들어가 있지 않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대를 인식할 수 없다.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기(2b)가 통신범위(3a) 내로 이동하면, 동시에 게임기(2a)가 통신범위(3b) 내에 들어가게 되고, 양자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가능한 상태가 된다.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게임기(2a)가 송신한 비콘신호(알림신호)를 게임기(2b)가 수신하고, 게임기(2b)가 그 응답으로서 네트워크로의 참가요구신호를 송신하고, 게임기(2a)가 그것을 수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친구끼리 애드 혹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는 서로의 동의하에서 게임기(2)의 전원을 넣고, 한쪽이 송신하는 비콘신호에 대하여 다른쪽이 참가요구신호를 반송함으로써 단시간에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그러나, 주위에 있는 면식이 없는 사람과 게임을 하고자 할 경우, 게임기(2)의 전원을 넣고 탐색을 행했을 때, 바로 상대가 발견되면 그 상대와 게임을 할 수 있지만, 바로 발견되지 않을 때에 탐색을 계속한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상대가 발견되지 않고, 배터리의 소비량이 커지게 되는 일도 있다.
한편, 게임기(2)는 휴대 가능하고, 이동 가능한 환경하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게임기와 언제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지 모른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게임기(2)는 전원을 넣으면 바로 탐색을 실행하고, 그래서 상대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하의 성전력형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대기모드로 게임기(2)는 성전력을 꾀하면서 주위의 게임기와 효율적으로 만날 수가 있다. 유저는 대기모드에 있는 게임기(2)를 사용해 싱글플레이어(single-player)를 즐길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기모드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낸다. 이 대기모드에서는 상대단말을 탐색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도 자신의 존재를 주위에 알린다. 자신의 통신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이, 만일 탐색만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해당 다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자기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다른 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게임기(2a, 2b)의 쌍방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게임기(2a, 2b) 모두 서로의 통신범위에 들어가기 전부터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게임기(2b)가 이동해서 게임기(2a)의 통신범위(3a)에 들어가고, 동시에 게임기(2a)가 게임기(2b)의 통신범위에 들어갔을 때의 양자의 행동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게임기(2)는 게임처리에 관한 동작을 주로 행하는 처리장치와, 통신에 관한 동작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대기모드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대기모드의 실행 중, 유저는 싱글플레이어로 게임을 즐겨도 좋지만, 게임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장치로의 전력공급 은 정지된다. 싱글플레이어로 게임을 할지 않을지에 관계없이 대기모드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적절히 정지함으로써 성전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대기모드에서는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와,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가 교대로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대로 실행되는 송신모드와 수신모드가 대기모드의 1개의 사이클(주기)을 구성한다. 이 주기에 있어서, 각각의 모드의 실행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송신모드와 수신모드의 실행기간은 고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모드에 의해 주위에 존재하는 통신단말에 자신의 존재를 통지할 수 있고, 또 수신모드에 의해 주위에 존재하는 통신단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송신모드에서는 동작을 단순한 것으로 제한함으로써 성전력화를 실현한다. 또한 성전력 효과가 높은 송신모드의 실행시간과 수신모드의 실행시간의 비율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대기모드 전체로서의 성전력을 실현한다. 대기모드의 1주기에 있어서,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는 차례로 실행된다. 대기모드에서는 적어도 1개의 주기가 반복된다.
송신모드에서는 통신단말이 알림신호인 비콘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송신한다. 이 시간 간격은 예를 들면 100m초로 설정된다. 송신모드에 있어서, 통신단말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비콘신호를 송신하면, 바로 기동상태에서 성전력상태(슬립상태)로 전환한다. 비콘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동안의 소비전력을 억제함으로써 배터리의 감소를 적게 한다. 비콘신호를 송신하기 직전에,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가 성전력상태에서 기동상태로 전환되며, 비콘신호를 송신하면, 또 바로 성전력 상태로 전환한다. 송신모드에서는 이 비콘신호의 송신과 전력상태의 전환이 교대로 반복해 실행된다.
비콘신호의 송신자체에는 대체로 500μ초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태전환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동을 개시한 후부터 기동을 종료할 때까지, 최단으로 약 1m초 정도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콘주기 100m초 사이에 1m초의 기동상태에 대하여, 99m초의 성전력상태를 취할 수 있고, 송신모드의 소비전력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송신모드에 있어서, 통신단말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비콘신호를 송신하면 바로 기동상태에서 성전력상태로 전환하고 전력소비를 억제한다. 또한, 성전력상태로 전환한 후,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오면(즉 99m초가 경과하면)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성전력상태에서 기동상태로 복귀한다. 송신모드에 있어서는 비콘신호의 송신 이외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전력을 소비하는 다른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수신모드에서는 통신단말이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소정기간 감시한다. 이 감시기간은 다른 통신단말이 송신하는 비콘신호의 시간간격보다도 긴 기간이면 좋지만, 소비전력과의 관계에서 가능한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기(2b)가 게임기(2a)와 동일한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있고, 게임기(2a) 및 게임기(2b)의 비콘주기는 100m초이다. 따라서, 감시기간은 자신이 송신하는 비콘신호의 시간간격보다도 긴 기간, 즉 100m초보다도 긴 기간이면 좋다. 구체적으로 비콘 간격(100m초)에 비콘신호의 수신에 걸리는 시간을 더한 시간 을 최소의 감시기간으로 설정해도 좋다. 도시의 예에서는 수신모드에 있어서의 감시기간, 즉 스캔시간을 150m초로 설정하고 있다. 감시기간을 100m초보다도 길게 설정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비콘신호의 수신에 필요한 시간과 100m초를 더한 시간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게임기(2a)가 게임기(2b)로부터의 비콘신호 등을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는 1주기 내에서 실행되지만, 송신모드의 실행시간은 수신모드의 실행시간보다도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모드에서는 비콘신호의 송신만이 실행되며, 그것 이외의 기간 중, 성전력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은 매우 적다. 한편, 수신모드는 소정기간, 비콘신호의 수신을 감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신모드 실행 중의 소비전력은 송신모드에 비해서 커지게 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게임기(2a, 2b)의 사이에서 동일한 대기모드를 실행하고 있을 경우, 수신모드의 실행기간이 겹치는 것은 단순하게 소비전력의 손실로 이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의 이유에서 수신모드의 실행시간은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20초의 주기 중, 송신모드는 19.8초간 실행되며 수신모드는 0.2초간 실행된다. 또한 송신모드 중, 비콘신호는 198회 송신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대기모드의 1주기 중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동기간은 (1m초×198+150m초)=348m초이다. 여기서 기동기간은 1주기에 있어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가 기동상태가 되는 시간을 누계한 시간이다. 1주기의 20초와 비교하면, 348m초/20초=0.0174이며,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20초간 연속해서 기동한 상태와 비교하면, 약 98%의 소비전력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동기간의 계산 식에서도 명백하듯이 송신모드에서는 성전력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1주기에 있어서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동기간에 미치는 영향은 단위시간으로 비교하면, 수신모드의 실행시간 쪽이 훨씬 크다. 그 때문에, 수신모드의 실행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함으로써 대기모드에 있어서의 성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모드에 있어서 상대 단말을 인식하면, 대기모드를 종료하고, 보통모드로 이행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상의 기동상태로 세트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설명의 예에서는 게임기(2b)가 먼저 게임기(2a)의 존재를 검출하고, 대기모드를 종료하고 보통모드로 이행한다. 게임기(2b)는 보통모드에 있어서도 시간 간격 100m초로 비콘신호의 송신을 계속한다. 또한, IEEE802.11의 프로토콜을 채용할 경우, 엄밀하게 말하면, IEEE802.1lb의 MAC 레이어(layer)의 기술에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충돌회피기능이 부착된 캐리어 감지 다원 접속)가 액세스 제어방식으로서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보통모드에서는 자유롭게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본질에는 직접 관계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영향에 대해서 고려하고 있지 않다. 게임기(2a)는 수신모드에 있어서 비콘신호를 받으면 보통모드로 이행한다. 보통모드에서는 비콘신호의 송신 후, 소정시간 동안 다른 통신단말로부터의 응답 또는 비콘신호를 접수한다. 이것에 의해 양자가 보통모드로 이행한 후에는 바로 상대로부터의 응답 또는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게임기(2b)가 수신모드에 있어서 게임기(2a)의 비콘신호를 수신 하면, 게임기(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SSID를 비콘신호로부터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게임기(2b)는 보통모드로 이행하고,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게임기(2a)에 대하여 네트워크의 참가요구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게임기(2a)는 송신모드에 있기 때문에 게임기(2b)로부터의 참가요구신호를 수신해서 응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계속해서, 게임기(2a)가 수신모드에 있어서 게임기(2b)의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게임기(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SSID를 비콘신호로부터 취득한다. 이것에 의해, 게임기(2a)는 보통모드로 이행하고 게임기(2b)에 대하여 네트워크의 참가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게임기(2a)(2b)의 양자가 보통모드로 이행하면, 상대방의 네트워크의 SSID를 각각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에서 다른쪽의 네트워크로의 참가요구신호에 따라 양자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보통모드로 먼저 이행한 게임기(2b)는 게임기(2a)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를 해석하고, 게임기(2a)의 BSS로의 참가요구신호를 100m초 간격으로 송신해도 좋다. 게임기(2a)는 수신모드에 있어서 비콘신호 뿐만 아니라 참가요구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게임기(2b)로부터의 참가요구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게임기(2a)와 게임기(2b)와의 사이에서 조기에 통신을 확립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IEEE802.11의 프로토콜을 채용할 경우에는 수신모드에 있어서의 다른 통시단말로부터의 신호의 감시기간은 캐리어 센스에 의한 비콘신호의 송신지연을 고려해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예에서는 수신모드에 있어서의 감시기간을 150m초에 설정하고 있지만, 수신모드로서 설정한 200m초의 전체를 감시기간으 로 충당해도 좋고, 또한 수신모드를 확장해서 예를 들면 300m초로 설정하고, 감시기간을 300m초의 범위 내의 소정시간으로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캐리어 센스에 따라 비콘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최소의 소정시간과 비콘간격을 가산한 시간보다도 길어지게끔 감시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비콘신호의 송신지연이 발생한 경우라도 비콘신호를 수신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통모드에 있는 게임기(2b)는 게임기(2a)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최소의 소정시간은 자신의 비콘신호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게임기(2a)는 송신모드에 있어서의 최후의 비콘신호의 송신으로부터 감시기간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그 최소의 소정시간분보다도 다소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게임기(2a)는 무용한 전력소비를 회피할 수 있다.
도 3은 게임기(2)의 기능 블록도이다. 게임기(2)는 게임처리에 관한 동작을 행하는 처리장치(4)와, 통신에 관한 동작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5)를 구비한다. 나아가 게임기(2)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6)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펄스를 발생하는 클록부(18; clock unit)와, 처리장치(4)의 전력제어를 행하는 전력제어부(30)를 구비한다. 처리장치(4)는 입력부(10), 어프리케이션 처리부(12) 및 출력부(14)를 가지고,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5)는 MAC부(20), 타이머(22), 전력/클록제어부(24) 및 PHY부(26)를 가진다. MAC부(20)는 송신제어부(50), 수신제어부(52) 및 모드제어부(54)를 가지고, PHY부(26)는 송신부(56) 및 수신부(58)를 가진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대기모드의 처리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5)에 있어서, CPU, 메모리,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며, 여기서는 그것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묘사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게임기(2)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또 기록매체에 격납된 형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이여도 좋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부분이다.
입력부(1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지시를 접수하는 방향키 등의 조작버튼군이며, 어프리케이션 처리부(12)는 입력부(1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지시 및 PHY부(26)로부터 수신되는 다른 게임기(2)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근거로 게임 어프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출력부(14)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어프리케이션 처리부(12)에 있어서의 처리결과가 출력된다. 어프리케이션 처리부(12)에 있어서 처리된 자신의 스테이터스 정보는 MAC부(20)의 버퍼에 기억된다.
클록부(18)는 타이머(22) 및 전력/클록제어부(24)에 클록을 공급한다. 또한 타이머(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한 구성으로서 존재해도 좋지만, MAC부(20)의 기능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전력/클록제어부(24)의 기능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배터리(16)는 전력제어부(30), 타이머(22) 및 전력/클록제어부(2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제어부(30)는 처리장치(4)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대기모드에 있어서의 게임장치(2)를 사용해서 싱글플레이어 모드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대기모드에서는 배터리(16)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5)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모드 중에 유저가 싱글플레이어로 게임을 행할 경우, 전력제어부(30)가 처리장치(4)에 전력을 공 급한다. 유저가 싱글플레이어로 게임을 행하지 않을 경우, MAC부(20)는 전력제어부(30)에 전력공급 정지지시를 송신하고, 전력제어부(30)는 대기모드 중의 처리장치(4)로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대기모드 중, 처리장치(4)는 전력 오프의 상태로 하여 한층 더 성전력화를 꾀할 수 있다.
MAC부(20)에 있어서, 송신제어부(50)는 비콘신호를 생성하고, 수신제어부(52)는 PHY부(26)를 통해서 다른 게임기(2)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를 해석하는 기능을 가진다. PHY부(26)에 있어서, 송신부(56)는 주위의 게임기(2)에 비콘신호를 송신하고, 수신부(58)는 다른 게임기(2)로부터의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송신제어부(50)는 송신부(56)에 있어서의 송신동작을 제어하고, 수신제어부(52)는 수신부(58)에 있어서의 수신동작을 제어한다.
전력/클록제어부(24)는 MAC부(20) 및 PHY부(26)로의 전력공급 및 클록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력/클록제어부(24)는 MAC부(20) 및 PHY부(26)를 기동상태로부터 슬립상태로 전환시키고, 또 슬립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제어부(50)는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제어한다. 또 수신제어부(52)는 다른 게임기(2)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제어한다. 송신제어부(50)가 송신모드를 실행하는 타이밍 및 수신제어부(52)가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타이밍은 모드제어부(54)로부터 공급되는 지시에 의해 제어된다. 모드제어부(54)는 전력/클록제어부(24)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받고, 송신제어부(50) 및 수신제어부(52)에 실행지시를 공급하고, 송신모드 및 수신모드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실행시킨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모드제어 부(54)는 송신모드의 실행시간을 수신모드의 실행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한다.
송신모드에 있어서, 송신제어부(50)는 모드제어부(54)로부터의 실행지시에 근거해 송신부(56)로부터 비콘신호를 송신한다. 전력/클록제어부(24)는 송신부(56)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고, 비콘신호가 송신되면 MAC부(20) 및 PHY부(26)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MAC부(20) 및 PHY부(26)로의 클록 공급을 정지하고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MAC부(20) 및 PHY부(26)가 슬립상태로 들어간다. 이때, 전력/클록제어부(24)는 슬립상태로 들어간 시점부터 소정시간 경과 후에 MAC부(20) 및 PHY부(26)를 기동시키게끔 타이머(22)를 세트한다.
도 2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해 비콘의 송신주기(비콘간격)는 100m초이며,또 비콘 송신에 걸리는 시간은 1m초이기 때문에 타이머(22)는 그 차분의 99m초로 세트된다. 타이머(22)는 클록부(18)로부터 공급되는 펄스를 카운트하고, 소정시간(99m초)이 경과한 후, 전력/클록제어부(24)에 웨이크신호(wake signal)를 공급한다. 전력/클록제어부(24)는 웨이크 신호를 받으면, MAC부(20) 및 PHY부(26)를 기동상태로 이행시킨다. 전력/클록제어부(24)는 이 제어를 소정회수 되풀이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송신제어부(50)는 비콘신호를 198회 송신하고, 송신모드의 제어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모드제어부(54)가 수신제어부(52)에 대하여 수신모드로 들어갈 것을 지시한다. 수신제어부(52)는 탐색을 실행하고, 수신부(58)에 있어서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해석한다. 탐색시간은 150m초에 설정되고, 이 시간 내에 다른 통신단말로부터의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드제어부(54)가 송신제어부(50)에 대하여 송신모드의 실행을 지시한다.
이상과 같이, 모드제어부(54)가 전력/클록제어부(24)로부터의 타이밍 신호를 받고, 송신제어부(50) 및 수신제어부(5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 대기모드의 사이클은 반복 실행되지만, 모드제어부(54)는 대기모드의 실행시간의 상한을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대기모드를 30분이상 실행하고, 다른 통신단말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면, 대기모드를 강제적으로 종료시켜도 좋다.
수신모드에 있어서 수신부(58)가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제어부(52)가 그 비콘신호를 해석한다. 예를 들면, 수신제어부(52)는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SSID를 취득하고, 그 SSID를 모드제어부(54)에 공급해도 좋다. 모드제어부(54)는 수신제어부(52)로부터 SSID를 받으면 탐색에 성공한 것을 인식하고, 대기모드를 보통모드로 전환하고 송신제어부(50)에 SSID를 공급한다. 한편, 네트워크를 특정하기 위한 요소로서 예를 들면 BSSID나 BSSID-TYPE 등의 정보를 이용해도 좋다.
보통모드에 있어서, 송신제어부(50)는 소정의 비콘 간격으로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취득한 SSID를 포함시킨 참가요구신호를 다른 통신단말에 송신한다. 다른 게임기(2)에 있어서 비콘신호가 수신되고 다른 게임기(2)가 보통모드로 들어가면, 어느 한쪽의 게임기(2)로부터의 네트워크로의 참가요구신호를 다른쪽의 게임기(2)가 수신함으로써 다른 게임기(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방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토대로 설명하였다. 이들의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것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과,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부분이다.
실시예에서는 감시기간을 적어도 비콘 간격보다도 긴 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그때, 적절하게는 캐리어 센스의 시간도 고려해서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다른 예에서는 감시기간은 예를 들면 대기모드 중의 목표 소비 전력으로부터 산출해도 좋다.
도 4는 목표 소비 전력으로부터 감시기간(스캔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T:비콘 간격
Tb:비콘 송신을 위한 성전력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전환하고, 다시 성전력상태로 전환할 때까지의 시간
Ts:감시기간(스캔시간)
또 Tb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의 소비전력을 Pt, 스캔 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의 소비전력을 Pr, 성전력상태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의 소비전력을 Ps라고 한다.
이 대기모드에 있어서, 단위시간당의 목표평균소비전력 Pave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05041129400-PAT00001
또한 x는 감시기간 중에 송신되지 않는 비콘신호의 개수이며,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도시의 예에서는 x=2이다.
Figure 112005041129400-PAT00002
Tb을 1m초로 설정하면, 목표평균소비전력 Pave을 정함으로써 T와 Ts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고, 비콘간격(T)을 정함으로써 감시기간(Ts)을 요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대기모드로부터 보통모드로 전환한 통신단말은 신호의 송신강도를 올려도 좋다. 대기모드에서는 언제 상대의 단말이 발견될지 모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성전력화에 배려할 필요가 있지만, 통신 모드로의 이행 후는 확실한 통신의 확립, 나아가서는 안정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신호강도를 올리는 것으로서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1주기를 20초로 설정하였지만, 예를 들면 5초 정도의 시간이라도 좋고, 또한 1분 정도의 시간이라도 좋다.
또한, 비콘신호에 비콘번호를 포함시켜도 좋다. 송신모드에서는 비콘신호가 몇회 송신될지가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먼저 비콘신호를 받은 통신단말은 자신이 송신하고 있는 비콘신호가 상대에게 도착하는 시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의 타이밍차트에서는 게임기(2b)가 게임기(2a)로부터 비콘번호(3)의 비콘신호를 받고 있다. 게임기(2b)는 이 비콘번호에 근거해 약 (199-3)×100m초 후에 19.6초 후에 자신의 비콘신호가 게임기(2a)에 도착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통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효율적으로 확립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제어하는 수신제어부를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이며,
    상기 송신제어부 및 상기 수신제어부는 각각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는 1주기에 있어서 교대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주기에 있어서 송신모드의 실행시간은 수신모드의 실행시간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는 송신모드에 있어서 송신하는 알림신호의 시간간격보다도 긴 기간,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에 의해 알림신호가 송신되면 기동상태로부터 성전력상태로 전력을 제어하고, 다음의 알림신호가 송신되기 전에 성전력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다른 통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이며,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실행하는 스텝과,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실행하는 스텝을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행하고, 수신모드에 있어서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의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모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무선통신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에,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와,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실행시키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9. 게임장치이며,
    게임처리에 관한 동작을 행하는 처리장치와, 통신에 관한 동작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대기모드에 있어서 알림신호를 복수회 송신하는 송신모드를 제어하는 송신제어부와,
    대기모드에 있어서 다른 통신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알림신호를 감시하는 수신모드를 제어하는 수신제어부를 가지고,
    대기모드에 있어서, 처리장치는 전력공급을 끊고 상기 송신제어부 및 상기 수신제어부는 각각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송신모드에 있어서 알림신호가 송신되면 바로 기동상태로부터 성전력상태로 전환하고, 다음의 알림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성전력상태로부터 기동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KR1020050068363A 2004-07-30 2005-07-27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KR101258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779A JP4007982B2 (ja) 2004-07-30 2004-07-30 通信端末装置、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JPJP-P-2004-00224779 200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11A true KR20060048811A (ko) 2006-05-18
KR101258846B1 KR101258846B1 (ko) 2013-05-03

Family

ID=3543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363A KR101258846B1 (ko) 2004-07-30 2005-07-27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5881B2 (ko)
EP (1) EP1622319B1 (ko)
JP (1) JP4007982B2 (ko)
KR (1) KR101258846B1 (ko)
CN (1) CN17286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8711B1 (ja) * 2004-05-07 2005-09-2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ネットワーク識別子設定方法、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KR100713145B1 (ko) * 2005-02-18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네트워크형성방법
US7697896B2 (en) * 2005-03-16 2010-04-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KR100725406B1 (ko) * 2005-09-26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력 절약 모드를 가지는 무선 통신 장치에서리스닝 구간을 조절하여 전력을 절약하는 방법 및 장치
US8811369B2 (en) * 2006-01-11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s modes of operation
EP2288196B1 (en) 2006-01-11 2018-02-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synchronization
JP4645479B2 (ja) * 2006-02-28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62007B2 (ja) * 2006-03-03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8619623B2 (en) 2006-08-08 2013-12-31 Marvell World Trade Ltd. Ad-hoc simple configuration
US8233456B1 (en) 2006-10-16 2012-07-31 Marvell International Ltd. Power save mechanisms for dynamic ad-hoc networks
US8732315B2 (en) 2006-10-16 2014-05-20 Marvell International Ltd. Automatic ad-hoc network creation and coalescing using WiFi protected setup
JP5255196B2 (ja) * 2006-10-19 2013-08-0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機、無線モジュール、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US9308455B1 (en) 2006-10-25 2016-04-12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for gaming in an ad-hoc network
WO2009006585A1 (en) 2007-07-03 2009-01-08 Marvell Semiconductor, Inc. Location aware ad-hoc gaming
CA2599471A1 (en) * 2007-08-31 2009-02-28 Alexandre Cervinka Undergrou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personal tracking and hvac control
WO2009027816A2 (en) * 2007-08-31 2009-03-05 Newtrax Technologies Inc. Tracking of and communication with mobile terminals using a battery-powered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US8595501B2 (en) * 2008-05-09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helper for authentication between a token and verifiers
JP4585582B2 (ja) * 2008-07-24 2010-11-2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10055720A1 (ja) 2008-11-17 2010-05-20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無線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JP5800483B2 (ja) * 2010-07-07 2015-10-2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027955B2 (ja) 2010-09-15 2012-09-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チャネルの切替方法
JP5296148B2 (ja) 2011-07-04 2013-09-25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通信端末
US9137727B2 (en) * 2012-03-30 2015-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ed client roaming
JP2014027421A (ja) * 2012-07-25 2014-02-06 Toshiba Corp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CN102903198B (zh) * 2012-10-16 2016-09-07 慧翰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防丢器及应用其的防丢方法
EP2768271A1 (en) * 2013-02-15 2014-08-20 Alcatel Lucent Radio link establishment
CN103795464B (zh) * 2013-07-31 2015-04-15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具有错误重发机制的可见光信号的发送方法和接收方法、装置及系统
JP6269033B2 (ja) * 2013-12-20 2018-01-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78867A1 (en) * 2014-03-31 2015-10-01 Yext, Inc. Beacon device for enhancing measurements of the effecitiveness of mobile notifications
JP2015133737A (ja) * 2015-03-05 2015-07-23 株式会社東芝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CN106205005B (zh) * 2016-08-29 2018-11-2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预警方法和一种预警装置
TWM568972U (zh) 2016-10-31 2018-10-21 美商米沃奇電子工具公司 發訊系統及位置紀錄系統
JP2018018530A (ja) * 2017-08-29 2018-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73674B (zh) * 2017-12-05 2021-11-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器的匹配方法、匹配系统与加热平台
US11206412B2 (en) * 2018-02-20 2021-12-21 Netgear, Inc. Band steering for a low power device
US10813169B2 (en) 2018-03-22 2020-10-20 GoTenna, Inc. Mesh network deployment kit
US11879987B2 (en) 2019-08-13 2024-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ool tracking device with multiple and application settable beacon transmission rates
CN112601273A (zh) * 2020-12-07 2021-04-02 深圳市福日中诺电子科技有限公司 根据通信模式动态调整射频发射开关的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6844A (ja) 1989-01-13 1990-07-23 Iwatsu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の通信方法
JPH04359176A (ja) 1991-06-04 1992-12-11 Fujitsu Ltd ビーコン送信機
US5618045A (en) * 1995-02-08 1997-04-08 Kagan; Michael Interactive multiple player game system and method of playing a game between at least two players
JP3672963B2 (ja) * 1995-03-31 2005-07-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送受信システム
JPH09233542A (ja) 1996-02-20 1997-09-05 Toyoki Sasakura 機器の使用制限装置及び携帯電話機
EP1022876B1 (en) * 1999-01-25 2006-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rvice advertisements in wireless local networks
KR100416263B1 (ko) 2001-11-30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콘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 및 그 방법
JP3876752B2 (ja) 2002-04-15 2007-02-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260357B2 (en) * 2002-04-17 2007-08-21 Broadcom Corporation Bluetooth fast connection mode for wireless peripheral device
JP2004032552A (ja) 2002-06-27 2004-01-29 Uniden Corp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080400A (ja) 2002-08-19 200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ロール決定システム
GB0224753D0 (en) 2002-10-24 2002-12-04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Beacon channel for frequency hopping wireless devices
JP4073885B2 (ja) * 2003-06-17 2008-04-09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8669A (zh) 2006-02-01
JP2006050020A (ja) 2006-02-16
US7535881B2 (en) 2009-05-19
US20060034315A1 (en) 2006-02-16
EP1622319A2 (en) 2006-02-01
EP1622319B1 (en) 2013-04-03
KR101258846B1 (ko) 2013-05-03
JP4007982B2 (ja) 2007-11-14
EP1622319A3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846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JP3877722B2 (ja) 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628162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US10911930B2 (en) Wireless system, wireless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84230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AU2020100402A4 (en) Low-power activation of accessory in sleep state
KR100802214B1 (ko)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JP5027955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チャネルの切替方法
EP2157739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5453151A (zh) 具有wlan能力的远程控制设备
KR20090102702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60111187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s and game device
JP5832126B2 (ja) 通信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9371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72318B2 (ja) ゲームシステム、処理プログラム、処理方法、および、ゲーム装置
JP558458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15358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및 전력제어방법
CN113301601A (zh) 信息上报方法、用户设备及网络侧设备
JP2005012491A (ja) 移動通信装置
JP2015089089A (ja) 無線通信装置、ビーコン送受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