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214B1 -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214B1
KR100802214B1 KR1020060024510A KR20060024510A KR100802214B1 KR 100802214 B1 KR100802214 B1 KR 100802214B1 KR 1020060024510 A KR1020060024510 A KR 1020060024510A KR 20060024510 A KR20060024510 A KR 20060024510A KR 100802214 B1 KR100802214 B1 KR 10080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perio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289A (ko
Inventor
이타루 마에카와
앤드류 사비어 에스트라다
준 니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41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89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06010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동일 광체 내에 탑재한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이 안정한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게임장치는 제1무선통신모듈과 제2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제1무선통신모듈은 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고, 제2무선통신모듈은 IEEE.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행한다. 제1무선통신모듈 및 제2무선통신모듈은 공통의 기준통신 주기를 가지고, 기준통신 주기의 정수배의 통신주기로 통신한다. 제어부는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부터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까지의 오프셋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부하를 감시하고, 감시결과에 근거해 오프셋 시간을 설정한다.
무선통신모듈, 게임장치, 프로토콜, 통신부하, 오프셋, 통신단말장치

Description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어부의 기능 블록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무선통신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무선통신모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c)는 제2무선통신모듈(14)과 그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PC(3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금지해야 할 기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d)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송신하는 BT_Sync의 송신상황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낸다.
도 6(b)은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낸 다.
도 7(a)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b)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이 금지되는 구간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통신단말장치에 관하며, 특히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에 관한다.
최근, 다양한 무선통신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IEEE802.11에 있어서 표준화된 광대역구내무선시스템(WLAN)이나 IEEE 802.15.1에 있어서 표준화된 휴대정보기기용의 무선통신기술(BlueTooth(등록상표)) 등은 그 대표격이며, 다양한 정보단말장치에 끼워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나 프린터, 헤드셋 등의 주변기기와의 무선 접속에 이용된다. 최근의 기술혁신에 의해, 무선통신모듈은 소형이면서 또한 저가로 제조되게 되어, 1개의 광체 내에 복수종류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의 모듈을 끼워 넣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통신모듈은 어느 정도의 거리까지 신호를 전달하고, 또 주변기기로부터 송신된 미약한 전파를 수신해서 신호를 재현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무선통신모듈은 고출력 가능한 송신기과 고감도의 수신기로부터 구성된다.
1개의 광체 내에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될 경우, 스페이스 상의 제약으로부터 무선통신모듈끼리는 근접해서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무선통신모듈끼리의 사이에서 전파의 상호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IEEE802.11로 규정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이하, "WLAN" 혹은 "WLAN 프로토콜"로 표기함)과 IEEE 802.15.1로 규정되는 무선통신 프로토콜(이하,"BlueTooth" 혹은 "Bluetooth 프로토콜"로 표기함)은 같은 2.4GHz대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호간섭의 문제는 커지게 된다.
다른 무선통신모듈간의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Bluetooth 프로토콜에서는 AFH(Adaptive Frequency Hopping)라 불리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AFH기술에 의하면, Bluetooth 통신 모듈이, 동일 대역 내에서 다른 통신 모듈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주파수대의 사용을 회피하고, 사용 가능한 주파수만을 이용해서 주파수 호핑함으로써 Bluetooth 프로토콜의 통신을 안정시킨다.
그러나, 동일 광체 내에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이 탑재될 경우, 무선통신모듈끼리가 근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AFH에 의한 대책에서는 전파의 상호간섭을 충분히 회피할 수 없다. 특히, 1개의 무선통신모듈이 신호의 송신모드에 있고, 같은 타이밍으로, 근접한 다른 무선통신모듈이 신호의 수신모드에 있는 경우, 그와 다른 무선통신모듈은 옆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출력의 송신전파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전파 중에서 본래의 수신해야 할 신호가 파묻히게 되고, 신호를 적절하게 재현할 수 없는 사태도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을 동일 광체 내에 실장했을 경우에, 안정한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떤 태양의 통신단말장치는 제1무선통신모듈과, 제2무선통신모듈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무선통신모듈은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제1의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을 실행한다. 제2무선통신모듈은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제1의 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의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을 실행한다. 제어부는 제1무선통신모듈과 제2무선통신모듈의 각각에 대하여 공통의 기준통신주기에 따라서 통신을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각 기준통신주기 내에 있어서의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 제2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의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제1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의 통신기간은 제2무선통신모듈에 의한 통신이 금지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확보된다. 바꿔 말하면, 제1무선통신모듈이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사이는, 제2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이 금지되기 때문에, 일방의 통신이 타방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첨부한 도면에 참조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의 기재에 있어서, 특정의 용어는 발명의 명료성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된 특정한 사 항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규칙으로 행하는 모든 등가(等價)의 기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우선 개요를 서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한 통신시스템은 1개의 광체 내에 2개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게임장치와, 게임장치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는 콘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2개의 무선통신모듈은 각각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2개의 무선통신모듈의 일방은 게임장치 등에 지시를 주는 콘트롤러와의 사이에서 BlueTooth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고, 타방은 PC나 콘트롤러로도 될 수 있는 휴대형게임기 등과의 사이에서 WLAN에 의한 통신을 실행한다. 이 경우, 쌍방의 통신이 혼신하지 않게끔, 또한 일방이 타방의 통신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2개의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을 시간적으로 스케줄링할 필요가 있다. 스케줄링은 다양한 모드에 의해 정의되지만, 이하에 있어서는 주기적인 스케줄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기적인 스케줄링에 있어서는 BlueTooth에 의한 통신과, WLAN에 의한 통신을 소정의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일방만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러나, 통신주기가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어떤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 일방의 통신의 실행시간을 길게 확보하고 싶은 경우라도, 다음의 통신주기까지 대기할 필요가 생긴다. 예를 들면, 복수인이 동시에 참가할 수 있는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때에, 새롭게 게임에 참가하고 싶을 경우, 바로 게임에 참가할 수 없다는 불편이 생긴다. 게임에의 참가는 유저의 의사에 의해 콘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실현되기 때문에 미리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콘트롤러를 조작한 후에 있어서, 통신주기 내의 통신시간을 길게 설정한 경우, 순조롭게 게임에 참가할 수 없다는 과제도 있다.
일반적으로 BlueTooth에 의한 통신과, WLAN에 의한 통신이라 함은 동일 주파수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통신을 실행한 경우, 쌍방의 통신은 서로 간섭하게 된다. 또한, BlueTooth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WLAN에 의한 통신에 관련한 프로토콜에 비해 유연성이 낮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LAN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준자율적으로 스케줄링을 실행하고, 간섭을 회피한다. 이 경우,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에서 WLAN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전자의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상태를 나타내는 펄스신호나, 동기신호 등을 통지하면 좋다. WLAN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은,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상황 등을 토대로, 준자율적으로, 휴대형 게임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또한 휴대형 게임에 대하여 송신을 금지시키는 신호를 보낸다. 나아가, 현재 행해지고 있는 게임, 혹은 통신으로의 신규 유저의 도중참가를 유연하게 실현하기 위해서, 복수의 통신주기 중, 적어도 1의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실행이 보호되어 있는 기간(이하, "보호기간"이라 표기함)을 길게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와 같은 태양을 취함으로써 BlueTooth에 의한 통신과, WLAN에 의한 통신과 의 공존(CoExsistence)이 가능해진다. 또한 WLAN에 의한 통신량이 많은 경우라도 일정한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는 보호기간이 길게 설정되기 때문에 확실하게 BlueTooth에 관련한 통신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보호기간에 있어서는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이 보증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 기간에 통신을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WLAN에 의한 통신량이 적은 기간이 존재할 경우는, WLAN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에 주어진 통신시간대라고 하더라도 BlueTooth에 관련한 무선통신모듈에 있어서 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그 기간에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게임으로의 도중참가를 보다 촉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통신시스템(1)은 게임장치(10), 게임장치(10)와 무선 접속하는 무선콘트롤러(25a, 25b, 25c)(이하, "무선콘트롤러(25)"라 부름), 휴대형게임기(30a, 30b)(이하, "휴대형게임기(30)"이라 부름) 및 퍼스널 컴퓨터(32)(이하, "PC(32)"라 부름)를 포함한다. 게임장치(10)는 1개의 광체 내에, 통신기능을 가지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과, 게임장치 전체를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제어부(16),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 나아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20)를 구비한다. 게임장치(10)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을 구비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장치로서 기능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은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 각각 별개인 무선통신 프로토콜 혹은 무선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제2무선통신모듈(14)보다도 약한 통신전력으로 통신 을 실행해도 좋다.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콘트롤러(25)는 게임장치(10)에 대한 게임콘트롤러이며, 1명 이상의 유저가, 게임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을 보면서 무선콘트롤러(25)를 조작하고,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게임기(30)는 게임장치(10)를 중계국으로서 다른 휴대형게임기(30)와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인이 동시에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다. 또한 휴대형게임기(30)는 게임장치(10)에서 동영상(moving image)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저에게 동영상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져도 좋다. 나아가 휴대형게임기(30)는 게임장치(10)에 대한 게임콘트롤러로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유저는 게임장치(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을 보면서, 휴대형게임기(30)를 조작해서 게임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게임장치(10)는 복수의 용도에 대하여 기능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을 스케줄링 한다. 스케줄링의 태양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모드에서 1의 모드가 선택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기적으로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통신을 실행시키는 모드(이하, "주기적통신모드(Periodic Mode)"라 표기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기적통신모드(Periodic Mode)라 함은 WLAN 통신과 BlueTooth 통신에 의한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모드의 1태양이며,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공통의 기준통신주기에 따라서 각각의 통신을 실행시키는 모드이다. 주기적통신모드는 유저가, 콘트롤러인 무선콘트롤러(25) 혹은 휴대형게임기(30)를 사용해 게임을 실행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유저가 PC(32)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 선택되는 모드이다. 이 경우, 게임장치(10)와 무선콘트롤러(25) 혹은 휴대형게임기(30)와의 통신은 PC(32)와의 통신에 비해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높다고 생각되는 점에서, 무선콘트롤러(25) 혹은 휴대형게임기(30)에 있어서의 통신시간 및/또는 통신대역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높다"라 함은 원칙적으로 재송을 상정하지 않고/허용하지않고 및/또는 허용할 수 있는 처리지연이 작은 것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무선콘트롤러(25) 혹은 휴대형게임기(30)를 조작한 경우에, 유저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게끔, 그 조작에 의한 내용 전체가 확실하게 게임장치(10)에 전해지는 동시에, 게임장치(10)에 있어서, 그 내용에 따른 처리가 확실하게 실행되며, 나아가 그 실행이 화면표시에 반영되는 것 등을 말한다. 나아가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Bluetooth 프로토콜은, PC(32)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WLAN 프로토콜에 비해서 타이밍 제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PC(32)와 게임장치(10)의 통신에 사용되는 WLAN 프로토콜에 있어서, 무선콘트롤러(25)와 게임장치(10)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상황을 고려하면서, 통신의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PC(32)와 마찬가지로 WLAN 프로토콜에서 통신이 실행되는 휴대형게임기(30)는 콘트롤러로서 사용될 경우, PC(32)에 비해 우선도가 높다. 따라서, PC(32)와 게임장치(10)의 통신은 휴대형게임기(30)와 게임장치(10)의 통신이 종료한 후에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게임의 성질에 따라서는 게임의 실행이 개시된 후, 도중부터 유저가 게임에 참가하는 것이 요망될 경우가 있다. WLAN 프로토콜은, 이와 같은 경우를 상정하고, 도중참가하는 무선콘트롤러(25)와 통신을 행해야 할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기간 및/또는 통신대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가능 기간을 정기적으로 짧게 하는 것으로 하였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16)는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을 금지하는 기간을 정기적으로 길게 설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유저에게 쾌적한 통신환경 및/또는 게임 실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저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거의 동시에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통신 및/또는 게임이 차단되는 일은 없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어부(16)로부터 보내진 파라미터에 의한 지시 및/또는 제1무선통신모듈(12)로부터 보내진 당해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2무선통신모듈(14)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실행을 저해하지 않게끔, 준자율적으로 동작해도 좋다. 한편, 상술의 스케줄링은 제어부(16)가 모두 관리하고,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적절한 지시를 보내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은 Bluetooth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행하고, 복수의 무선콘트롤러(25)와의 무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Bluetooth에서는 주파수 호핑형 스펙트럼 확산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은, 무선콘트롤러(25)에 대하여 친기(親機) 즉 마스터로서 기능하고, 무선콘트롤러(25)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의 사이에는 피코넷이 형성된다. 피코넷이라 함은 Bluetooth 단말끼리를 근접시켰을 때에, 단말의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네트워크이며, 최대로 8대의 Bluetooth 단말이 1개의 피코넷에 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인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최대 7대의 무선콘트롤러(25)와 무선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IEEE802.11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통신을 행하고, 복수의 휴대형게임기(30) 및 PC(32)와의 무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IEEE802.11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IEEE802.1l 및/또는 IEEE802.11g를 채용한다. IEEE802.11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환경 하에서,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IEEE802.11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 LAN의 MAC 레이어의 기술에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충돌회피기능이 달린 캐리어 감지다원접속)가 액세스 제어방식으로서 채용되고 있으며, IEEE802.11 단말은 통신로가 일정시간이상 계속해서 비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대기시간은 최소한의 시간에 각 단말마다 랜덤한 길이의 대기시간을 더한 것으로, 직전의 통신이 있고 나서 일정시간 후에 복수의 단말이 일제히 송신하여 신호끼리의 충돌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와의 사이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통신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의 게임장치(10)와 무선콘트롤러(25) 및 휴대형게임기(30)의 사이에서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처리에 관한 데이터가 송수신되기 때문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원칙적으로 정보전송의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 스템(1)에 있어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이 통신하는 기간과 무선콘트롤러(25)가 통신하는 기간을 시간축상에서 가능한 한 겹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처리에 관한 통신을 안정시킨다. 한편,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의 사이의 통신은,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이용되는 것이 아니고, 엄밀한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은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임장치(10)가 라우터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고, PC(32)가 전자메일을 송수신하는 사용상황이 상정된다. 그 때문에,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의 사이의 통신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의 통신, 및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의 사이의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시간대에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제어부(16)의 기능 블록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어부(16)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과의 사이에 인터페이스부(50a)를 가지고,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와의 사이에 인터페이스부(50b)를 가짐으로써 다른 구성과의 데이터의 주고 받기를 행한다. 인터페이스부(50a) 및 인터페이스부(50b)는 하드웨어적으로 공통화된 구조를 취해도 좋다.
제어부(16)는 나아가 데이터 전송부(52), 통신부하감시부(54), 레이턴시판정부(56), 통신타이밍설정부(58) 및 클럭부(60)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제어부(16)는 게임장치(10)를 통괄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도 2에서는 특히 게임장치(10)의 통신을 관리하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6)의 통신관리기능은, 게임장치(10)에 있어서, CPU, 메모리, 메모리에 로드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며, 여기에서는 그것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 는 기능 블록을 묘사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게임장치(10)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기록매체에 격납된 형태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이것들의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서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현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부분이다.
통신부하감시부(54)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부하를 감시한다. 통신부하감시부(54)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 무선 접속되는 무선콘트롤러(25)의 대수,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접속되는 휴대형게임기(30)의 대수를 감시함으로써 각각의 통신 모듈의 통신부하를 파악해도 좋다. 통신부하감시부(54)는 정기적으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부하를 감시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접속 대수에 변화가 생겼을 때에, 그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새로운 접속 대수를 받음으로써 통신부하를 감시해도 좋다. 통신부하감시부(54)는 각각의 통신 모듈의 통신부하의 감시결과를 통신타이밍설정부(58)에 보낸다.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부하의 감시결과를 받아서,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에 대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주기적통신모드에 있어서의 제어부(16)로부터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보내지는 파라미터로서는 적어도 "모드정보", "통신주기", "통신금지기간", "통신금지기간에 관한 주기"를 포함해도 좋다. "모드정보"라 함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식별정보이며, 여기에서는 주기적통신모드인 것이 통지된다. 이 통지는, 적어도 제2무선통신모듈 (14)에 대하여 행해진다. "통신주기"라 함은 제1무선통신모듈(12),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이며, 미리 정해진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길이를 가진다.
"통신금지기간"이라 함은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이 금지되는 기간을 포함하며, 통신주기마다 설정된다. 통신금지기간에 있어서는,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통신을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기간을 확보한다. 또한, 통신금지기간은 연속한 기간이라도 좋고, 연속한 기간이 아니라도 좋다. 연속한 기간이 아니게끔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할 경우, 예를 들면, 제1통신금지기간으로서 통신주기의 선두의 타이밍에서 제1타이밍까지의 기간을 설정하고, 또한 제2통신금지기간으로서 제1타이밍 후의 제2타이밍에서 통신주기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이하에 있어서의 통신금지기간은 연속한 기간이 아닌 것으로서 설명한다.
제1통신금지기간은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부하로부터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무선통신모듈(12)이 3대의 무선콘트롤러(25)를 관리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무선콘트롤러(25)에 대한 폴링과, 그것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합계 6개의 타임슬롯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에, 적어도 6 타임슬롯 분의 시간이 필요함을 판단하고, 제1통신기간을 6 타임슬롯 분 이상의 시간, 바람직하게는 6 타임슬롯 분의 시간으로 설정한다. 후술하겠지만,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의 통신은 버스트(burst)적으로 실행되며, 제1통신기간의 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기간을 각각의 통신주기로서 설정함으로서 서로의 통신주기의 개시시각의 상대적인 시간차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외부단말과의 접속 대수에 변화가 없는 한은, 원칙적으로 제1통신금지기간을 고정으로 할 수 있고,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통신금지기간을 1회 구하는 것만으로 좋다.
여기에서, 제2통신금지기간은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 2개의 주파수 대역을 교대로 페이지 스캔을 실행하기 위한 기간을 포함한다. 또한, 제2통신금지기간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의 사이에서 새로운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하기 위한 시간을 추가해 설정되어도 좋다. 신규의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하는 시간은,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주변의 통신단말장치에 대하여 접속조회 즉 "문의"하는 시간과, 무선콘트롤러(25)를 인식해서 "호출"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페이지 스캔은, 통상 제어부(16)와 제1무선통신모듈(12)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이 확실하게 확보되는 통신금지기간에 있어서 실행되지만, 통신금지기간 이외라도 실행되어도 좋다.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이라도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항상 통신을 행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제2통신금지기간은 기준통신주기 혹은 통신주기의 정수배에 1회의 비율로, 제어부(16)로부터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설정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제어부(16)에 의한 페이지 스캔은 2개의 주파수대를 대상으로 삼고, 통신주기마다 교대로 실행된다. 그렇게 하면 제2통신금지기간이, 기준통신주기 혹은 통신주기의 짝수배수에 1회의 비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항상 같은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페이지 스캔 기간이 길어져, 타방의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페이지 스캔 기간을 길게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2통신금지기간은 기준통신주기 혹은 통신주기의 홀수배수에 1회의 비율로 발생하게끔 설정하면 좋다. 또한, 페이지 스캔이라 함은 제1무선통신모듈(12)이, Bluetooth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을 개시하고자 하는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유저에 대하여 쾌적한 조작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무선통신모듈(14)은 CSMA/CA 방식에 의해 통신을 실행하기 때문에, 통신개시에서 종료까지의 정확한 시간을 요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 때문에,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이 관리하는 휴대형게임기(30)의 대수를 바탕으로 통신개시에서 종료까지 관련한 시간을 예측하고, 그 예측시간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적 여유를 더해서 제2통신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이 쌓이지 않게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한편, 통신금지기간은 통상 통신주기보다도 짧다. 그 때문에,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의 실행기간의 합이, 기준통신주기의 M배(M는 1이상의 정수)보다 크고 또한 (M+1)배 이하가 될 때에는,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주기와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주기의 각각을, 기준통신주기의 (M+1)배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이 겹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시간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동시에, 통신의 스루풋(throughput)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원칙적으로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통신을 행하지 않고 있는 통신금지기간에 통신을 실행하는데,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이라도 통신을 실행해도 좋다.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이라도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항상 통신을 행하고 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은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은 확실하게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재송제어 등을 조합시켜서 실행함으로써 스루풋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통신금지기간에 관한 주기"라 함은 제2통신금지기간이 적용되는 주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통신금지기간에 관한 주기가 3 이였던 경우, 3 통신주기 중 1개의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는, 제1통신금지기간과 함께 제2통신금지기간이 설정되며, 다른 2개의 통신주기 내에 있어서는 제1통신금지기간만이 설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1통신주기 혹은 1기준통신주기를 1단위로서, 홀수회에 1회의 비율로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주기적통신모드에 있어서, 제어부(16)로부터 제1무선통신모듈(12)에 보내지는 파라미터로서는 "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을 포함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에 근거해,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해서 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펄스정보(이하, "BT_Sync"라고 표기함)를 통지한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통지된 BT_Sync를 이용하고, 제1통신금지기간의 개시 타이밍을 도출한다. 바꿔 말하면, BT_Sync에 의해, 제2무선통신모듈(14)은 통신 상대인 휴대형게임기(30) 혹은 PC(32)에 대하여 통신을 정지시키고, 또한 해당 제2무선통신모듈(14) 자신이 통신을 정지해야 할 기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태양을 취함 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과의 사이에서 동기(同期)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해당 제2무선통신모듈(14) 자신이 통신을 정지해야 할 기간을 파악함으로써 자율적으로 무선통신모듈 사이에서의 전파의 상호간섭을 저감하고, 혹은 없앨 수 있고, 안정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임장치(10)를 실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게임장치(10)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공통의 기준통신주기를 가진다. Bluetooth 마스터인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 기준통신주기는 스니프모드(sniff mode)에 의한 간헐동작 시에, 동작마다 무선콘트롤러(25)를 개별 호출하는 폴링(polling)의 최소간격으로 설정된다. 또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 기준통신주기는 IEEE802.11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최소의 비콘 간격으로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게임장치(1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의한 처리결과를 출력부(20)로부터 동영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기준통신주기는 동영상의 프레임율(frame rate)에 근거해, 프레임 내에 각 단말이 게임장치(10)와 1회의 통신의 실행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11.25m초로 설정된다.
또한,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 통신주기를,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로 설정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각각 통신상태와 비통신상태를 교대로 반복하고,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통신주기에서 외부단말과 통신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개시 시간은 각각의 통신주기의 개시시각과 동일하며, 통신주기의 시작과 함께 외부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라 함은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 게임기(30)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주기를 의미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의 사이의 통신은 빈 시간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또한, 이 빈 시간 중에서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의 사이의 통신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새로운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해도 좋다.
데이터 전송부(52)는 인터페이스부(50a)에서 접수한 조작입력을 인터페이스부(50b)에서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서는 그 조작입력에 따른 처리가 행해지며 게임이 진행된다.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의 관점에서 분별하면, 크게 2개의 그룹, 즉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높은 게임과 낮은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높은 게임이라 함은 예를 들면 격투 게임이나 레이싱 게임 등, 게임의 진행이 빠르고, 유저의 조작입력이 즉석에서 게임 화면 등의 출력에 반영될 필요가 있는 게임이다. 한편,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낮은 게임이라 함은 장기나 마작 등의 대전 게임이나, RPG(roll-playing games) 등, 게임의 진행이 비교적 느린 게임이다.
게임 화면의 갱신은 소정의 프레임율 내지는 재생율(refresh rate)에서 행해진다. 현재, 1필드의 다시쓰기(rewrite) 속도는 약 16.7m초(1/60초)이며, 따라서 리얼타임의 요구가 높은, 즉 저지연이 요구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1필드 (16.7m초)에 적어도 1회는 무선콘트롤러(25)에서의 조작입력이 게임 화면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을 액세스 포인트로서 이용하는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해서도 사정은 같으며, 1필드에 적어도 1회는, 자신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다른 휴대형게임기(30)에 알리고, 또한 다른 휴대형게임기(30)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터스 정보는 레이싱 게임이면, 코스상의 위치나 차의 방향, 속도 등의 절대적인 정보이다. 또한, 여기에서 절대적인 정보로 하는 것은 무선환경에 있어서의 통신의 신뢰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며,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과거와 현재와의 차분(差分) 정보를 알 수 있으면 좋다.
도 1의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각 휴대형게임기(30)는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독립해서 비동기에 실행하고 있다. 또한,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1필드마다의 데이터 업데이트를 할 수 없는 경우라도 재송처리를 행하면 좋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처리에 큰 영향을 줄 우려는 적다.
이상의 사정에 감안해, 레이턴시판정부(56)는 인터페이스부(50b)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있어서 처리되는 게임의 진행을 감시하고, 통신에 요구되는 레이턴시의 정도를 판정한다. 이상은, 무선콘트롤러(25)에 있어서 요구되는 레이턴시에 대한 것이지만,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며, 레이턴시판정부(56)는 인터페이스부(50a)를 통해서 휴대형게임기(3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을 감시하고, 휴대형게임기(30)에 있어서 요구되는 레이턴시의 정도를 판정한다. 레이턴시판정부(56)는 판정한 레이턴시의 정도를 통신타이밍설정부(58)에 전달한 다. 이하, 무선콘트롤러(25)에 있어서 요구되는 레이턴시의 정도에 대해서 검토한다.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무선콘트롤러(25)에 있어서 저지연이 요구될 경우,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주기를 짧게 설정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11.25m초)의 정수배로 설정되며, 따라서 통신주기는 최단의 기준통신주기(=11.25m초×1)로 설정된다. 한편, 무선콘트롤러(25)에 있어서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즉 게임 진행에 요구되는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낮은 경우,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의 P배(P는 2이상의 정수)로 설정되어도 좋다. 리얼타임성(real-timeliness)의 요구가 낮은 경우에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주기를 길게 설정함으로써 무선콘트롤러(25)의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제2통신기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하여 비디오데이터를 송신하는 것도 상정되기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을 동작상태로 하는 기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게임장치(10) 전체로 있어서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도 1의 제1무선통신모듈(1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제1파라미터처리부(44)와, 제1송수신부(46)와, 동작상태통지부(48)와, 동기신호통지부(62)를 포함한다. 제1송수신부(46)는 1개 내지는 복수의 무선콘트롤러(25)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조작입력을 수신하고, 제1파라미터처리부(44)에 통지한다. 제1파라미터처리부(44)는 제어부(16)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처 리부(18)에 대하여, 통신 혹은 게임에 참가하고 있는 콘트롤러의 대수나, 콘트롤러로부터의 지시 등을 공급한다. 도 1의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는 수신한 조작입력을 바탕으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의 출력부(20)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의한 처리결과가 출력된다. 동작상태통지부(48)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실행상태를 나타내는 BT_Active을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송신한다. BT_Active는 펄스신호이며, High의 상태에 있어서,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통신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동기신호통지부(62)는 BT_Sync를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송신한다. BT_Sync는 제어부(16)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인 "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을 나타내는 펄스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신호이다. 여기에서, BT_Sync는 통신주기의 선두의 타이밍보다 소정의 기간만큼 앞의 타이밍에 있어서 일어나도 좋다. 또한, 주기적통신모드에 있어서는, BT_Sync만이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 고려된다.
도 4는, 도 1의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2파라미터처리부(40)와 제2송수신부(42)를 포함한다. 제2송수신부(42)는 1개 내지는 복수의 휴대형게임기(30)에서, 각각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2송수신부(42)는 제어부(16)로부터의 정보를 WLAN에 참가하고 있는 휴대형게임기(30)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게임장치(10)에서는 다른 휴대형게임기(30)에 있어서의 스테이터스 정보가 반영된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되며, 복수의 유저가 각각의 휴대형게임기(30)에서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휴대형게임기(30)가 게임콘트롤러로서 사용될 경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제 2파라미터처리부(40)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의 제1파라미터처리부(44)와 마찬가지로, 휴대형게임기(30)에서의 조작입력을 제어부(16)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공급한다. 나아가 휴대형게임기(30)가 동영상수신용의 단말로서 사용될 경우, 제2송수신부(42)는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2송수신부(42)는 PC(32)와의 사이에서도, 동영상 등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주기적통신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d)는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의 통신상황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a)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b)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c)는 제2무선통신모듈(14)과 그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PC(3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을 금지해야 할 기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d)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송신하는 BT_Sync의 송신상황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a)∼(d)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의 1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a)∼(d)에 나타내는 횡축은 시간축(t)을 나타낸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각각의 통신개시시각은, 각각의 통신주기의 개시시각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통신주기의 개시와 함께, 각 통신 모듈에 있어서의 통신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도 5(a)∼(d)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제어부(16)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설정하는 "모드정보"는 주기적통신모드로 한다. 또한,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의 1배로서 설정된다. 도 5(a)∼(d)에 있어서, 각각의 통신주기는, t0에서 t2, t2에서 t4, ···가 된다. 또한, "통신금지기간"으로서 t0에서 t1(제1통신금지기간 100), t1―3에서 t3(제2통신금지기간 300 및 제1통신금지기간 400), t4에서 t5(제1통신금지기간 600)이 설정된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어부(16)로부터 통신된 제1통신금지기간 100, 제2통신금지기간 300, 제1통신금지기간 400, 및 제1통신금지기간 600을 포함하는 통신금지기간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로부터 통지된 BT_Sync를 바탕으로 자율적으로 자기의 통신의 실행을 정지한다. 나아가,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 PC(32)에 대하여, CTS를 송신함으로써,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한 통신의 실행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통신금지기간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실행이 확보된다. 여기에서,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기간, 예를 들면, t1에서 t1-3까지의 기간을 비방호통신기간(Unprotected (Page Scan) Interval)이라 부른다. 비방호통신기간 200 혹은 비방호통신기간 500에 있어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이 방호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새롭게 참가하는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하기 위한 페이지 스캔을 실행하였다 하여도,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공하지 않을 경우가 많다. 또한, 1통신주기 내의 후반에 있어서 통신금지기간으로서 제2통신금지기간이 존재할 경우, 예를 들면, t1-3에서 t2까지의 기간(제2통신금지기간 300)을 특히 방호통신기간(Protected (Page Scan) Interval)이라 부른다. 또한, "통신금지기간에 관한 주기"는 2로서 설정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통신주기의 2회에 1회의 비율로 방호통신기간이 설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주기 t0에서 t1에 있어서는, t1―3에서 t3의 기간을 방호통신주기, 즉 제2통신금지기간 300으로서 설정되게 된다. 한편, 통신주기 t2에서 t4에 있어서는 방호통신기간은 설정되지 않는다.
우선, 시간 t0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이 3대의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시작한다.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의 통신은 버스트적으로 실시되며, 단시간으로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3대의 무선콘트롤러(25)의 각각에 대하여 순서대로 폴링을 행하고, 그때마다 무선콘트롤러(25)에서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12)의 대수는 어디까지나 예이며, 제1무선통신모듈(12)은 1대에서 7대까지의 무선콘트롤러(25)를 관리할 수 있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시간 t0에서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통지하는 동시에, 통신타이밍설정부(58)에서 BT_Sync를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제2무선통신모듈(14)은 통신을 시작하는 시간, 즉 타겟 비콘 송신시간(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TBTT)을 알 수 있고, 준자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통신금지시간이 t0∼t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t2-t3 및 t4-t5의 제1통신금지시간을 t0∼t1과 동일한 길이로 해도 좋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각 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에서 제1통신금지기간의 종료시까지, 제2무선통신모듈(14), 즉 WLAN에 의한 통신에 영향받지 않고,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신금지기간 이외라도, 제1무선통신모듈(12)은 페이지 스캔을 계속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통신을 실행하지 않고 있는 t1'∼t1-1까지의 구간에 있어서,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 혹은 페이지 스캔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어떠한 기간이라도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 혹은 페이지 스캔의 실행을 시행함으로써, 게임장치(10)를 사용하는 유저에 대하여, 보다 쾌적성을 제공하고 있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BT_Sync와 통신금지시간의 통지를 받으면, 시간 t0에서 시간 t1까지의 제1통신금지기간을 대기하고, 시간 t1에서 백오프(back off)라 불리는 랜덤한 대기시간만큼만 더 대기한 후, 비콘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의 개시시각은 통지시간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시간으로서 표현되어도 좋다. 대기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이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 PC(32)에 대하여, CTS를 통지함으로써 실현된다. CTS 패킷은 적어도 통신을 정지해야 할 타이밍, 및 기간을 포함한다. CTS 패킷이 통지된 휴대형게임기(30)는 통신을 정지해야 할 타이밍이 종료할 때까지 통신을 정지한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 스스로도 자율적으로 통신의 실행을 정지한다.
제1통신금지기간 경과 후(t1, t3, t5),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어부(16)에 의해 설정된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을 실행해야 할 우선도가 높은 통신상대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한 후에, 통신상대 이외의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통신을 실행해야 할 우선도가 높은 통신상대"라 함은 휴대형게임기(30) 등의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CTS에 의해 통신금지기간이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방호통신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PC(32) 등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의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그러나, 휴대형게임기(30) 등과 비교해서, PC(32)와는 즉시 응답성의 요구의 정도가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용상의 동작으로서 문제가 발생할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우선 우선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게임장치(10)에 지시를 주는 콘트롤러가 되어야 할 휴대형게임기(3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비콘신호를 송신한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는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게임의 스테이터스 정보를 송신한다. 도 3(b)에 있어서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은 t1 -1까지, 휴대형게임기(3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2무선통신모듈(14)은 t1 -1에서 t1 -2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PC(3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호통신기간이 개시하는 타이밍 t1 -3까지,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 PC(32)에 대하여, CTS를 통지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CTS는 제2통신금지기간 300과, 제2통신금지기간 300에 이어서 존 재해야 할 다음의 통신주기에 관련한 제1통신금지기간 400의 쌍방에 있어서의 통신금지기간을 포함하는 정보가 된다. 이 CTS의 통지에 의해, 다음 통신주기에 관련한 400에 있어서도, 제2통신금지기간 300에 이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이 확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t3에서 t4의 통신주기 내에서의 방호통신기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2무선통신모듈(14)은 통신주기의 종료 타이밍인 t4에 있어서,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하여 CTS를 통지하면 된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어부(16)에 의해서 설정된 통신금지기간의 개시 타이밍 이전에, 해당 제2무선통신모듈(14)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휴대형게임기(30) 등의 통신상대에 대하여, CTS 대신에, 해당 통신의 금지를 요구하는 신호(NAV(네트워크 할당 벡터; Network Allocation Vector))을 송신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휴대형게임기(30) 등으로부터의 송신신호에 의해,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이 방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면 NAV에 의해, 통신을 제한하는 기기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는 것이면, NAV에 의해 PC(32)의 통신을 제한하는 기간을, 제1통신기간과 제2통신기간의 합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PC(32)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 및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와의 통신에 간섭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통신시스템(1)에 있어서의 통신을 보다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통신타이밍설정부(58)가,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 신부하의 감시결과를 바탕으로,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개시시각부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개시시각까지의 제1통신금지시간을 설정하였다. 다른 예에서는, 통신타이밍설정부(58)가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부하의 감시결과를 바탕으로,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개시시각부터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개시시각까지의 제1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실행 중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이 개시할 경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개시시각을 기준이라고 한 제1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개시시각을 기준으로 한 제1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정확한 시간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공통의 클럭으로 동작해도 좋다. 예를 들면, 클럭은 제어부(16)에 있어서의 클럭부(60)로부터 각각의 통신 모듈에 공급되어도 좋고, 제1무선통신모듈(12) 내지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일방에서 사용하는 클럭을, 타방에 공급해도 좋다. 제1무선통신모듈(12) 또는 제2무선통신모듈(14)에서 고속 클럭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무선통신모듈(12)은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서 정확한 시간관리 하에서 데이터를 버스트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시간관리는 비교적 용이하다. 그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에서 사용하는 클럭을, 제2무선통신모듈(14)에 공급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사이에서 클럭을 공통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이 일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통으로 설치된 클럭부에서 클럭이 공급되어도 좋다. 클럭을 공통으로 함으로써 양자의 동기를 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가 각각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개시시각부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개시시각까지의 제1통신금지시간은 고정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은 통신개시시에 오프셋 시간을 1회만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전달하면 좋고, 그 후는 각각의 통신 모듈이 공통 클럭을 사용해서, 각각 설정된 통신주기를 바탕으로 상호 간섭하지 않고 안정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은 각각 독자적인 클럭으로 동작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이 다른 제조 메이커에 의해서 제작될 경우, 각각의 통신 모듈은 독자적인 클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완전한 동기를 취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그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정기적으로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개시시각을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전달하고, 동기맞춤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각각이 독자 클럭을 채용할 경우라도, 실제의 차이는 극히 작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제2무선통신모듈(14)의 동작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의 제1통신기간이라고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제2통신기간이 겹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통신금지시간은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이 모두 완료하는 시간에 따라서 설정된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Bluetooth 프로토콜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 CSMA/CA 방식을 채용하는 IEEE802.11 프로토콜과 비교하면 통신을 버스트적으로 실행하기 쉽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개시시각을 기준으로서 제1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의 종료시간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의 개시시각의 사이의 빈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a)∼(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완료 후, 제2무선통신모듈(14)에서 비콘을 송신하는 시간까지, 약간의 시간적 여유를 취하고 있지만,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개시에서 종료까지의 시간과 제1통신금지시간을 동등하게 설정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완료 직후에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를 개시하고, 제2무선통신모듈(14)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송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방에서,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이 모두 완료하는 시간에, 제1무선통신모듈(12)과의 사이에서 새로운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무선콘트롤러(25)를 탐색하기 위한 시간을 추가해 제1통신금지시간을 설정해도 좋다. 한편, 이 탐색시간은 제1통신금지시간에 항상 포함시킬 수 있어도 좋고, 또는 탐색하는 빈도를 감소시킬 경우에는 탐색시간이, 제1통신금지시간에 정기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통신시스템(1)에서는 동적인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제2통신금지기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새로운 무선콘트롤러(25)가 피코넷에 참가할 뿐만 아니라, 또한 기(旣)참가의 무선콘트롤러(25)가 피코넷으로부터 탈퇴할 수도 있다. 제어부(16)에 있어서, 통신부하감시부(54)는 무선콘트롤러(25)의 대수의 증 감을 감시하고,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그 감시결과에 맞춰서, 제1통신금지시간 및/또는 통신주기를 재설정해도 좋다. 또한, 새로운 휴대형게임기(30)가 무선LAN에 새롭게 참가할 경우나, 기참가의 휴대형게임기(30)가 무선LAN으로부터 탈퇴할 경우도 마찬가지며, 통신타이밍설정부(58)는 통신부하감시부(54)에 의한 통신부하의 감시결과에 따라서 통신주기를 재설정해도 좋다.
도 6(a), (b)는 본 실시형태의 게임장치에 있어서,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의 통신상황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a)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내고, 도 6(b)은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낸다. 도 6(a), (b)에서는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와의 통신상황의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방호통신기간을 설정해도 좋다.
도 6(a), (b)에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가 기준통신주기의 2배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며,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휴대형게임기(30)와의 사이에서, 큰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주기를 길게 설정할 경우에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제2통신기간을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제2통신기간 중,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의한 폴링을 채용한 집중제어에 의해, 품질을 보증하는 HCCA(Hybrid Coordination Function Controlled Channel Access)가 실행되어도 좋다.
HCCA에서는 제2무선통신모듈(14)이, 휴대형게임기(30)의 우선도를 고려한 스케줄링을 행하고, 송신을 허가하는 채널 사용시간이 기술된 폴링 프레임을 송신한다. 송신을 허가된 휴대형게임기(30)의 송신 중, 다른 휴대형게임기(30)는 액세스를 억제 받으며, QoS를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은, 무선콘트롤러(25)의 통신에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이지만, 휴대형게임기(30)의 통신에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에도,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를 길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무선콘트롤러(25)의 통신에 저지연이 요구되며, 일방에서 휴대형게임기(30)의 통신에 저지연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로 설정되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주기는 기준통신주기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된다. 통신주기에 대한 통신기간의 비를 작게 함으로써 무선콘트롤러(25) 및 휴대형게임기(30)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a), (b)은 본 실시형태의 게임장치에 있어서, 비주기적 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의 통신상황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a)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상황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7(b)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이 금지되는 구간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 (b)에서는 제2무선통신모듈(14)과 PC(32)와의 통신상황의 도시는 생략한다.
여기에서, 비주기통신모드(NonPeriodic Mode)라 함은 WLAN 통신과 BlueTooth 통신에 의한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모드의 하나의 태양이며, 제1무선통신모듈 (12)에 비주기적으로 통신을 실행시키는 모드이다. 비주기통신모드는 주로 BlueTooth에 의해 음성통신을 실행할 경우에 사용된다. BlueTooth에 의한 음성통신은 비주기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때문이다. 또한, 비주기통신모드는 게임장치(10)의 전원이 투입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PC(32)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통상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WLAN 프로토콜만이 실행되며, 필요에 따라서 Bluetooth 프로토콜이 실행된다. 사전에, 유저가 음성통신을 실행하는 것, 유저가 게임을 시작할 경우에 무선콘트롤러(25) 등을 조작하는 사태 등의 예측은 곤란한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무선콘트롤러(25)와의 통신을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실행하는 동시에, 무선콘트롤러(25)가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사이,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상황을 고려하고, 준자율적으로 PC(32)와의 통신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무선통신모듈(12)이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할 경우,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사전에,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BT_Sync가 아닌 통신개시요구에 관련한 신호(이하, "BT_Active"라 표기함)를 보낸다. 제2무선통신모듈(14)은 BT_Active가 High의 상태에 있는 사이, 통신의 실행을 정지하면 좋다. 또한 상술의 처리는 제어부(16)를 통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2무선통신모듈(14)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상태를 고려하고, 통신의 실행의 가부(可否)를 판단함으로써, 혼신하지 않고 쌍방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제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시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은 제1무선통신모듈(12)이 통신을 실행하지 않고 있는 사이는, 자유롭게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로서의 스루풋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기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제1무선통신모듈(12)은 비주기로 통신을 실행하기 때문에,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을 적절하게 회피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1무선통신모듈(12)은 통신을 시작하기에 앞서 해당 제1무선통신모듈(12)이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통신의 실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통지한다. 이 통지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0에서 t1의 구간에 있어서 이루어진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이 적절하게 통신의 시작, 종료를 실행하기 위한 유예기간으로서, tlead, ttail의 구간을 준비해도 좋다. 또한, 이 통지는 제어부(16)를 통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16)가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쌍방에 대하여 이루어져도 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제2무선통신모듈(14)은 도 7(b)에 도시하는 펄스의 상승 구간에 있어서 통신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제2무선통신모듈(14)이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상태를 고려해서 통신의 실행의 가부를 판단함으로써, 혼신하지 않고 쌍방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기능을 관리할 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16)는 WLAN 통신과 BlueTooth 통신에 의한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복수의 모드에서 선택한 1의 모 드에 따라서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을 관리해도 좋다. WLAN 통신과 BlueTooth 통신에 의한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주기적통신모드(Periodic Mode), 비주기통신모드(Non Periodic Mode), 상시통신모드(Free Run Mode), 통신금지모드(Full Time Surpression Mode)를 포함해도 좋다. 여기에서, 상시통신모드라 함은 제2무선통신모듈(14)이, 제1무선통신모듈(12)과 사전에 교섭하지 않고, 상시, 통신의 실행을 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 있어서는 전술한 AFH를 실행함으로써 제1무선통신모듈(12)도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통신금지모드라 함은 제2무선통신모듈(14)에 대하여, 제어부(16)가 강제적으로 통신의 실행을 금지함으로써, 항상 1무선통신모듈(12)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을 확보하기 위한 모드이다. 통신금지모드는, 주로 Bluetooth 프로토콜이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서 통신의 실행을 개시할 시의 통신확립을 위한 교섭시간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드이다. 이 경우, WLAN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은 완전히 정지되게 된다. 또한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의 통신의 실행이 금지될 경우, 제2무선통신모듈(14)의 관리하에 있는 휴대형게임기(30), PC(32)도 같이 통신의 실행이 금지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그들의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부분이다. 도 1에 있어서, 제1무선통신모듈(12) 및 제2무선통신모듈(14)이, 각각 안테나를 가지고 있지만, 안테나는 공용되어도 좋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의 통신기 간과 제2무선통신모듈(14)의 통신기간이 서로 겹치지 않게끔 할당되기 때문에 안테나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상술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통신시스템(1)에서는 휴대형게임기(30)가, IEEE802.11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제2무선통신모듈(14)과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휴대형게임기(30)가 나아가 Bluetooth 마스터로서 기능하고, 다른 Bluetooth 단말과 통신해도 좋다. 이때, 휴대형게임기(30)는 게임장치(10)와 동일한 통신 기능을 구비해도 좋고, Bluetooth 단말과의 사이에서는, 제1무선통신모듈(12)과 무선콘트롤러(25)와의 사이에 할당되는 통신기간 중에 통신을 행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준통신주기를 동영상의 프레임율(1/60초)보다도 짧은 11.25m초로 설정하고 있다. 제1무선통신모듈(12)은 이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통신주기에서 무선콘트롤러(25)나 휴대형게임기(30) 등의 게임콘트롤러로부터 유저의 조작입력을 수신한다. 제어부(16)는 제1무선통신모듈(12)에서 받은 입력신호를 버퍼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순차 기억해도 좋다. 제어부(16)는 동영상의 프레임율의 주기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입력신호를,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읽어내어도 좋다.
통신주기가 11.25m초인 경우, 제어부(16)는 프레임율의 기간(1/60초)의 사이에, 동일한 게임콘트롤러로부터 입력신호를 2회 받을 경우가 있다. 이때, 제어부(16)는 받은 최신의 입력신호만을,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읽어내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16)의 버퍼메모리는 오버라이트형 메모리로서 구성되며, 제1무선통신모듈(12)에서 받은 입력신호가 순차 덮어 씌워진다. 이것에 의해, 버퍼메모리에는 최신의 입력신호가 기억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6)는 메모리에 기억된 2개의 입력신호의 합을 취하고,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읽어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최초의 입력신호가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지시신호이며, 다음 입력신호가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지시신호인 경우, 제어부(16)는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2회 움직이는 지시신호를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면 최초의 입력신호가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지시신호이며, 다음 입력신호가 캐릭터를 위로 움직이는 지시신호인 경우, 제어부(16)는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1회, 위로 1회 움직이는 지시신호를 애플리케이션처리부(18)에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1)에서는 통신주기와 프레임율이 비동기이지만, 제어부(16)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유저로부터의 조작입력을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제1무선통신모듈(12)에서 수신한 입력신호의 처리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2무선통신모듈(14)에 있어서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해서도, 제어부(16)는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게임장치(10)에서 게임콘트롤러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서, 게임의 진행상황에 따라서 게임콘트롤러를 진동시키는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무선콘트롤러(25), 휴대형게임기(30)에 대하여는 진동시키기 위한 제어정보를, 진동시키고자 하는 기간, 항상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선통신에서 게임장치(10)를 제어하는 유선 콘트롤러를 설치하고, 진동을 시작할 때에, 진동을 개시시키기 위한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진동을 정지할 때에, 진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유선통신에서는 정보전송이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기 위해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제어부(16)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태양에서도 표현할 수 있다. 이하의 태양에 의하면,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이 완료한 후에,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이 개시되게끔 오프셋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통신단말장치가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했을 경우라도,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이,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항목 1:
제1무선통신모듈과 제2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장치이며,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은, 공통의 기준통신주기를 가지고, 각각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통신주기에서 통신하고,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부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까지의 오프셋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항목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각각의 통신주기를,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3: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각각의 통신의 개시시각은, 각각의 통신주기의 개시시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 또는 2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부하를 감시하고, 감시결과에 근거해서 상기 오프셋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서 3 중 어느 한 하나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을 허가하는 제1통신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오프셋 시간을, 상기 제1통신기간 이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서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6:
상기 제어부는 통신에 요구되는 레이턴시에 따라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 또는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적어도 일방의 통신주기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을 허가하는 제2통신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6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기간과 상기 제2통신기간이 겹치지 않게끔 각각 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7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기간과 상기 제2통신기간의 합이,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M배(M는 1이상의 정수)보다 커지게 될 때에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의 통신주기와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통신주기의 각각을,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M+1)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7 또는 8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항목 10:
상기 기준통신주기는 동영상의 프레임율에 근거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목 1에서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의 통신단말장치.
본 발명에 대해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해서 기재하였다. 이들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응용예를 단순히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다수의 개량은 실시예에서 도출되며, 또한 다른 변형기술은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발명된 발명이라 이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 광체 내에 탑재한 복수의 무선통신모듈이 안정한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동일한 주파수대를 공유해 시분할로 통신을 실행하는 2개의 무선통신모듈과,
    어느 일방의 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무선통신모듈은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제1의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제1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의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제2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각각에 대하여 공통의 기준통신주기에 따라서 통신을 실행시키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기 기준통신주기마다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복수회에 1회의 비율로 설정할 통신금지기간을 다른 통신금지기간보다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통신금지기간으로서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에서 통신의 실행이 허가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통신의 실행이 허가되어 있는 기간부터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을 실행해야 할 우선도가 높은 통신상대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한 후에, 상기 통신상대 이외의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통신금지기간의 개시 타이밍 이전에,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통신상대에 대하여, 상기 통신의 금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동일한 주파수대를 공유해 시분할로 통신을 실행하는 2개의 무선통신모듈과,
    어느 일방의 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무선통신모듈은,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제1의 통신방식을 사용해서 통신을 실행하는 제1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방식과는 다른 제2의 통신방식을 사용해 통신을 실행하는 제2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공통의 기준통신주기에 따라서 각각의 통신을 실행시키는 주기적통신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모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통신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의 각각 통신의 실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기 기준통신주기 내에 있어서의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통신금지기간으로서,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개시 타이밍에서 통신의 실행이 허가될 때까지의 기간, 또는 통신의 실행이 허가되어 있는 기간에서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종료 타이밍까지의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기 기준통신주기마다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복수회에 1회의 비율로 설정할 통신금지기간을 다른 통신금지기간보다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된 통신금지기간 이외의 기간에 있어서, 통신을 실행해야 할 우선도가 높은 통신상대와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한 후에, 상기 통신상대 이외의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주기적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통신금지기간의 개시 타이밍 이전에,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통신상대에 대하여, 상기 통신의 금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는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에 비주기(非周期)로 통신을 실행시키는 비주기통신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비주기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비주기로 통신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이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기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통신의 실행을 금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는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시, 통신의 실행을 허가하는 상시통신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시통신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과의 사이에 있어서 사전에 교섭하는 일 없이, 통신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모드는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상시, 통신의 실행을 금지하는 통신금지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금지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통신의 실행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보다도 약한 통신전력으로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보다도 약한 통신전력으로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9. 동일한 주파수대를 공유해 시분할로 통신을 실행하는 2개의 무선통신모듈과,
    어느 일방의 무선통신모듈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무선통신모듈은 공통의 기준통신주기를 가지고, 각각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정수배의 통신주기로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방의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부터, 타방의 무선통신모듈의 통신의 개시시각까지의 오프셋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0. 제3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통신주기마다 제1통신금지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통신주기의 복수회에 1회의 비율로 제2통신금지기간을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KR1020060024510A 2005-03-16 2006-03-16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KR100802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74526 2005-03-16
JPJP-P-2005-00074526 2005-03-16
JP2005141962A JP4145896B2 (ja) 2005-03-16 2005-05-13 通信端末装置
JPJP-P-2005-00141962 2005-05-13
US73680405P 2005-11-15 2005-11-15
US60/736,804 2005-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289A KR20060100289A (ko) 2006-09-20
KR100802214B1 true KR100802214B1 (ko) 2008-02-11

Family

ID=3658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510A KR100802214B1 (ko) 2005-03-16 2006-03-16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03675B1 (ko)
KR (1) KR100802214B1 (ko)
AT (1) ATE384375T1 (ko)
DE (1) DE6020060004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70B1 (ko) * 2006-03-17 2007-07-18 한국과학기술원 이종무선통신 간의 상호간섭조절 장치 및 방법
US7657286B2 (en) 2006-05-11 2010-02-02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interface element in modem
US7711373B2 (en) 2006-05-11 2010-05-04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control interface
US7949364B2 (en) * 2006-10-03 2011-05-24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radio modems
US8375804B2 (en) 2009-05-15 2013-02-19 VISWELL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bonding strength of electrical connections and frictionless calibration device for the same
CN101170759A (zh) * 2006-10-24 2008-04-30 国际商业机器公司 多模通信终端、多模通信实现方法
US7668565B2 (en) 2006-11-07 2010-02-23 Nokia Corporation Multiradio priority control based on modem buffer load
KR100945536B1 (ko) * 2007-10-15 2010-03-09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기술들의 공존을 지원하는 방법
US8638775B2 (en) * 2008-08-19 2014-01-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leep mode signaling for a multi-standard system with bluetooth
US8874034B2 (en) 2008-11-10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quick Bluetooth low energy (BLE) protocol signal presence detection for coexistence
US9155103B2 (en) 2009-06-0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9185718B2 (en) 2009-06-29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9161232B2 (en) 2009-06-29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De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GB2465650B (en) 2009-07-27 2010-10-13 Cambridge Silicon Radio Ltd Wireless network protocol coexistence
US9135197B2 (en) 2009-07-29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interface for multi-radio coexistence manager
US9185719B2 (en) 2009-08-18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130656B2 (en) 2010-10-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CN102759914A (zh) * 2012-07-13 2012-10-31 西安交通大学 基于ZigBee物联网的智能污水处理测控系统
CN104811945A (zh) * 2014-01-24 2015-07-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射频干扰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10517001B2 (en) 2016-05-07 2019-1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ngle radio switching between multiple wireless links
US10470058B2 (en) 2016-05-07 2019-1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ngle radio serving multiple wireless links
KR102561862B1 (ko) * 2016-09-08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9128B1 (ko) * 2017-05-10 2019-07-11 한국전력공사 다중 무선통신표준을 위한 게이트 웨이의 통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9126A1 (en) 1997-12-03 1999-06-1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Integ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EP1207654A2 (en) 2000-11-16 2002-05-2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US20030214961A1 (en) 1999-09-29 2003-11-20 Ron Nevo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JP2005065101A (ja) 2003-08-19 2005-03-10 Keio Gijuku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8784A1 (en) * 2002-09-09 2004-03-29 Conexant Systems, Inc. Multi-protocol wlan radio chip
US7653031B2 (en) * 2003-03-05 2010-01-26 Timothy Gordon Godfrey Advance notification of transmit opportunities on a shared-communications chan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9126A1 (en) 1997-12-03 1999-06-1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Integrating communications networks
US20030214961A1 (en) 1999-09-29 2003-11-20 Ron Nevo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EP1207654A2 (en) 2000-11-16 2002-05-2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JP2005065101A (ja) 2003-08-19 2005-03-10 Keio Gijuku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00435T2 (de) 2009-01-15
DE602006000435D1 (de) 2008-03-06
KR20060100289A (ko) 2006-09-20
ATE384375T1 (de) 2008-02-15
EP1703675A1 (en) 2006-09-20
EP1703675B1 (en)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214B1 (ko) 통신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통신장치
JP5303629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769789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event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JP4145896B2 (ja) 通信端末装置
JP4628162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3877722B2 (ja) 通信方法、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463237B2 (ja) 通信装置、ゲーム装置、無線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4845612B2 (ja) 通信装置、通信中継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
JP4725962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1226530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및 프로그램
JP4702738B2 (ja) ゲームシステム
US20130094491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 for multi-level transmission power control thereof
JP2006050020A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JP20110826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機器、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US108170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215358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및 전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