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853A -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853A
KR20060047853A KR1020050039971A KR20050039971A KR20060047853A KR 20060047853 A KR20060047853 A KR 20060047853A KR 1020050039971 A KR1020050039971 A KR 1020050039971A KR 20050039971 A KR20050039971 A KR 20050039971A KR 20060047853 A KR20060047853 A KR 20060047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fastener
slider
head por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033B1 (ko
Inventor
기요마사 세가와
사카에 아이모노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4Separable slide fasteners with quick opening devices
    • A44B19/388Bottom end stop means for quick open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6Means for permanently uniting the stringers at the end; Means for stopping movement of slider at the 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3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complementary, aligning means attached to ends of interlocking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정지구로서의 한쌍의 각각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부착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이 실행되기 용이하고, 하부정지구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외관이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를 제공한다.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를 부착한 파스너 스트링거(3a, 3b)의 하단을 슬라이더(4)의 견구(4b)로부터 삽입한다.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가 각각 슬라이더(4)의 견구(4b)로부터 삽입된다.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는 각각 슬라이더(4)의 플랜지(6a, 6b)를 따라 접동하여, 제1부재(11)와 제2부재(21)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대항면에 형성된 한쌍의 치합 헤드부(12a, 12b)와 치합 오목부(24a, 24b)와의 치합과, 치합 헤드부(22a, 22b)와 치합 오목부(14a, 14b)와의 치합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 엘레멘트와의 결합부를 포함하지 않는 제2부재(21)의 길이를 제1부재(11)의 길이 보다 짧게 하므로써,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파스너 스트링거, 엘레멘트, 테이프, 상부정지구, 헤드부, 면취, 오목부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BOTTOM END STOP FOR SLIDE FASTEN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를 부착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부분확대도(실시예1).
도2는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평면도(실시예1).
도3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실시예1).
도4는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실시예1).
도5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실시예1).
도6은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실시예1).
도7은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실시예2).
도8은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평면도(실시예3).
도9는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한쪽 부재의 사시도(종래예1).
도10은 하부정지구의 치합 개시상태를 도시한 일부 부분단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종래예1).
도11은 하부정지구의 치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부분단면도를 포함하는 평면도(종래예1)
도12는 하부정지구의 치합상황을 도시한 평면도(종래예4).
도13은 슬라이더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종래예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슬라이드 파스너 4: 슬라이더
9: 파스너 엘레멘트 10: 하부정지구
11: 제1부재 21: 제2부재
29: 파스너체인
본 발명은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에 각각 부착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로 이루어진 2분할형 구성을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하부정지구로서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외관이 우수한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파스너 엘레멘트의 단부에 상부정지구 및 하부정지구를 설치하고, 슬라이더가 파스너 엘레멘트열로부터 누락되지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정지구로서는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므로써, 슬라이더의 누락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コ형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 하부정지구를 이용하여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정지구에서는 대향하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구비 한 형태로, 파스너 스트링거의 단부 사이에 하부정지구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부정지구 전용의 부착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슬라이드 파스너를 생산하는 생산공정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コ형 하부정지구를 이용하는 대신에, 각각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부재를 각각 부착한 후 상기 부재끼리 조합하여 결합하므로써 형성하는 하부정지구도 슬라이드 파스너에 대한 하부정지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부정지구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을 각각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삽입하고, 파스너 스트링거를 슬라이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견구로부터 삽입된 부재끼리를 결합시키고, 이에 의해 하부정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하부정지구로서는 파스너 스트링거에 부착되는 부재의 형태에 따라 2분할형 또는 3분할형의 하부정지구가 사용되고 있다.
2분할형의 하부정지구로서는 파스너 엘레멘트에 유사한 형상을 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하부정지구(미국특허 제2.701.401호 참조),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부재끼리를 결합한 후 부재끼리의 겹쳐지는 부분을 접합고정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일본 실용공개 소59-25217호 참조),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부재에 슬라이더의 누락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형성한 슬라이더 체인의 하부정지구(영국특허 제1479363호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3분할형의 하부정지구로서는 단자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일본 특허공개 소36-19078호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2.701.401호에 개시된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도9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의 돌기(56, 57)를 표리면에 갖는 연결소자(51)가 이용되고, 하부정지구(58)는 연결소자(51)가 연결부(63, 64)에 의해 3곳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정지구(58)에 대해 결합 헤드부(59)에는 역방향의 돌기(60, 61)가 형성되고, 결합 헤드부(59) 사이의 피치는 연결소자(51)의 부착 피치간격과 동일한 피치로 이격되고, 연결부(63, 6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소자(51)에 결합 헤드부(59)와는 반대측의 테이프측 측면에 대한 모서리는 면취가 실행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연결소자(51)를 3개 연결하여 형성한 형태의 하부정지구(58, 58a)에 대해서도 테이프측면에서는 연결부(63, 64) 사이를 포함하는 모서리에서 면취가 실행되어 있다.
도10에는 파스너 스트링거(52)의 하부정지구(58, 58a)측을 슬라이더(53)의 견구로부터 삽입하고, 슬라이더(53)를 상방으로 움직이므로써 하부정지구(58, 58a)끼리의 결합이 개시되기 시작한 상태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하부정지구(58, 58a)의 결합이 개시된 상태에서, 하부정지구(58, 58a)는 직선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53)의 플랜지부(54)에 대한 광폭부로 안내되고, 하단측으로부터 순차결합되어 간다. 이때, 하부정지구(58, 58a)를 부착한 파스너 스트링거(52)의 측연의 일부가 변형되므로써, 하부정지구(58, 58a)는 서로의 대향면측으로 도망갈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정지구(58, 58a)는 직선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순차결합이 실행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하부정지구(58, 58a)끼리의 결합이 시작되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3)가 상승하므로써 연결소자(514)끼리가 순차결합된다. 슬라이더(53)의 하강시에는 슬라이더(53)의 목부(55)에서 쐐기작용에 의해 연결소자(51) 끼리의 결합이 해제되고, 목부(55)가 하부정지구(58a)의 헤드부(59)에 대한 상면에 당접하므로써, 슬라이더(53)의 발지를 실행할 수 있다.
일본 실용공개 소59-25217호에 개시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에서는 하부정지구가 장척형의 제1분체(分體)와 제2분체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제1분체 및 제2분체의 대향면측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끼리 겹쳐지므로써 한쪽 단차 상면에 형성된 도시않은 돌출부와 다른쪽 단차 하면에 형성된 도시않은 오목부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제1분체 및 제2분체의 테이퍼측면에는 슬라이더의 안내 플랜지에 대한 최대곡률부분에 대응한 형상의 곡률 오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부를 삽입하고, 파스너 스트링거를 슬라이더에 대해 하방으로 끌어넣으므로써, 제1분체와 제2분체를 플랜지의 광폭부를 따라 안내할 수 있고, 제1분체와 제2분체와의 결합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1분체 및 제2분체에는 각각 상술한 곡률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곡률 오목부에 의해 안내 플랜지에 대한 최대 곡률부분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분체 및 제2분체가 안내 플랜지에 대한 최대 곡률부분 사이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분체와 제2분체가 안내 플랜지에 대한 최대 곡률부분 사 이를 통과하므로써, 제1분체 및 제2분체가 순차결합될 수 있다. 제1분체 및 제2분체가 완전히 결합된 후에는 겹쳐진 상기 단차부에 대해 초음파 열용해 등의 용착 수단을 작용시켜 접합고정을 실행하여, 하부정지구의 형성을 완료한다.
영국특허 제1479363호에 개시된 슬라이더 체인의 하부정지구는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는 각각의 대향면에 형성된 정지요소를 서로 결합하므로써 고정할 수 있다.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에는 슬라이더용의 스토퍼 부재가 각각 슬라이더측을 향해 전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를 서로 결합시켜 하부정지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파스너 스트링거를 삽입하고, 파스너 스트링거를 하방으로 끌어넣음을 실행한다. 이때, 각각의 스토퍼 부재는 슬라이더의 플랜지부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변형되어 축소상태로 되고, 슬라이더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가 각각의 스토퍼 부재를 통과시킨 후에는 스토퍼 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전개상태로 복귀하고 외측으로 전개된 상태로 된다. 그후 슬라이더의 하방으로의 접동시에는 슬라이더의 하단부가 전개된 각각의 스토퍼 부재에 당접하므로써, 슬라이더의 발지를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소36-19078호에 기재된 단부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는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정지구는 단자부재(75, 76, 77)로 구성된다. 파스너 스트링거(71)의 옥연(73)에는 단자부재(77)가 압력단조, 주형단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동일한 파스너 스트링거 (72)의 옥연(73)에는 단자부재(75, 76)가 압력단조, 주형단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단자부재(75, 76, 77)와 연결소자(74) 등을 부착한 파스너 스트링거(71, 72)의 하단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96)의 견구로부터 각각 삽입되고, 슬라이더(96)의 플랜지(97)와 안내기둥(95)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단자부재(75, 76)와 단자부재(77)와의 결합이 실행되고, 순차적으로 연결소자(74)끼리의 결합이 실행된다. 도12는 단자부재(75, 76, 77)와 연결소자(74)가 결합된 요부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단자부재(76)의 돌출부(78)는 단자부재(77)의 오목부(79)와 맞물리고, 단자부재(77)의 돌출부(80)는 동시에 단자부재(76)의 오목부(81)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재(77)의 오목부(82)는 단자부재(77)의 상부로부터 부재(77)의 중간부로 연장되어 지지면(83)을 형성하고, 단자부재(76)의 돌출부(84)와 맞물리고 있다. 또한, 단자부재(77)에는 그 상면에 중앙부까지 연장되는 돌출부(85)가 형성되고, 또한 단자부재(77)의 저부로부터 연속하여 중앙부로 상승하여 지지면(87)을 형성한 다른 돌출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재(75)에는 그 하부에 그 중간까지 연장되는 지지면을 구비한 오목부(88)가 형성되고, 단자부재(77)의 돌출부(85)는 상기 오목부(88)와 접촉하여 지지면(89)에서 지지되어 있다. 그 외에 단자부재(75)에는 돌출부(92)와 오목부(9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92) 및 오목부(93)는 연결소자(74)의 하면측과 맞물리고 있다.
미국특허 제2.701.40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부정지구(58, 58a)에서는 하부정지구(58, 58a)가 직선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더(53)의 플랜지부(54)에 대한 광폭부로 안내되고, 하단측으로부터 순차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정지구(58, 58a)는 결합 헤드부(59)의 표리부에서 소정 두께를 갖는 돌기(60, 61)가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과 표리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 헤드부(59)에 대한 소정 두께를 갖는 돌기(60, 61)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하부정지구(58)와 하부정지구(59a)를 결합하여 조합하기 위해서는 돌기(60, 61)를 크게 변형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커다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소정 두께를 갖는 돌기(60, 61)를 크게 변형시키므로써, 돌기(60, 61)의 부착 부분이 파손될 수도 있어, 하부정지구로서의 강도가 유지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부정지구(58)와 하부정지구(58a)와의 결합시에는 하부정지구(58, 58a)가 직선형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하부정지구(58, 58a)끼리의 결합을 실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하부정지구(58, 58a)를 부착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측연의 일부가 과도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하부정지구(58, 58a)의 파스너 스트링거(52)의 측연에 대한 부착위치가 측연의 과도한 변형에 의해 어긋남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부정지구(58)와 하부정지구(58a)가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정지구(58)와 하부정지구(58a)를 결합하여 조합시켰을 때, 하부 정지구로서의 하단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되어, 슬라이드 파스너로서의 외관 형상이 불량한 형태로 되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실용공개 소59-25217호에 개시된 하부정지구는 각각 표리방향의 단차가 제1분체와 제2분체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차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쪽 단차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부가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무에, 단차부에 대해 초음파 열용해 등에 의한 용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해야만 한다.
따라서, 하부정지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용착고정이 필요한 동시에, 파스너테이프의 폭방향, 즉 파스너테이프의 좌우방향으로의 인장에 대해서는 용착력만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착이 확실하게 실행되지 않으며, 좌우방향으로의 인장에 대해 강도가 부족하여 파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미국특허 제2.701.401호, 영국특허 제1479363호 및 일본 특허공개 소36-19078호의 하부정지구에서는 일본 실용공개 소59-25217호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미국특허 제2.701.401호에 개시된 하부정지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영국특허 제1479363호의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에 있어서,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의 대향면에 형성된 후크 형상의 치합 헤드부는 서로 후크 형상이 결합되는 상대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영국특허 제1479363호에 개시된 치합 헤드부를 서로 조합하기 위해서는 치합 헤드부의 결합편을 크게 변형시킬 필요가 있고, 치합 헤드부의 결합편을 크게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커다란 힘이 필요하게 된다. 커다른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의 플랜지부와의 접동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없게 된다. 더구나, 커다란 힘에 의한 변형으로 결합편의 부착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치합 헤드부 자체의 부착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어, 결합편이나 치합 헤드부의 치합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국특허 제1479363호에 개시된 하부정지구에서는 슬라이더의 발지용으로 스토퍼 부재를 한쌍의 하부정지구 부재에 각각 형성해야만 한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만으로 슬라이더의 발지를 실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정지시켜 두기 위한 인열 강도가 슬라이더의 발지 작용을 반복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서서히 약해지게 되며, 반복 슬라이더의 발지 작용을 실행하므로써, 스토퍼 부재가 그 근원부 근방에서 파단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소36-19078호에 개시된 하부정지구에서는 한쪽의 단자부재로부터의 돌출부와 다른쪽의 단자부재로부터의 돌출부가 반대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단자부재(7)의 돌출부(78)를 단자부재(77)의 돌출부(8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므로써 돌출부 끼리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돌출부(78, 80)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돌출부 끼리의 결합은 1조밖에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시킨 회전과는 역회전이 가해지면 결합되어 있던 1조의 돌출부 끼리의 결합이 간단히 벗겨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스너 스트링거(72)에 부착되는 단자부재(75)와 단자부재(76)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특허 제2.701.401호나 및 일본 특허공개 소36-1907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을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더(96)의 플랜지(97)에 대한 최대 곡률부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더의 발지를 실행하는 단자부재(75)와 하부정지구를 고정하기 위해 결합을 실행하는 단자부재(76)가 이격되어 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너 스트링거(72)가 좌우로 인장될 때는 단자부재(75)와 단자부재(76)는 좌우로 인장되는 힘이 걸리는 쪽에 의해 각각 독립된 움직임으로 되고, 좌우의 인장력에 대한 지지력을 약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단자부재(75)와 단자부재(76)와의 배치위치에 의해 슬라이더의 안내기둥과 충분히 접촉할 수 없기 때문에, 안내기둥이 단자부재(75)를 타고넘어가서 슬라이더의 발지 작용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형상이 상이한 단자부재(75)와 단자부재(76)를 이격시켜 파스너 스트링거(72)의 옥연(73)에 부착해야만 하며, 파스너 스트링거(71)의 옥연(73)에 부착된 단자부재(77)와의 사이에서의 위치결정을 실행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부착 작업으로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각각 부착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행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부정지구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외관이 양호한 슬라이더 파스너용 하부정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에 각각 부착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로 이루어진 2분할형 구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대향면에 후크형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조(組)가 각각 적어도 2조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치합 헤드부의 선단의 방향과 제2부재의 치합 헤드부의 선단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의 치합 헤드부가 제2부재의 치합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제2부재의 치합 헤드부가 제1부재의 치합 오목부에 끼워넣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한쪽 부재가 상기 하부정지구에 인접한 파스너 엘레멘트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동일방향의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른쪽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된 2조 이상의 후크형 치합 헤드부가 치합 상대측의 부재에 각각 2조 이상 형성된 치합 오목부와 결합될 수 있어, 치합 상태를 강고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 사이에 회전하는 힘이 작용해도 그 작용하는 힘을 2곳 이상의 치합 장소에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의 치합에 의한 치합 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의 방향과 다른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의 방향이 역방향이기 때문에, 한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가 다른쪽 부재에 대한 치합 오목부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방향과, 다른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가 한쪽 부재에 대한 치합 오목부에 결합하기 위한 회전방향이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치합 작 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에 파스너 엘레멘트를 연속하게 설치하여 파스너체인으로 하고, 상기 파스너체인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안내기둥이 당접가능한 당접부를 상기 결합부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슬라이더의 하강시 슬라이더의 안내기둥과 결합부의 기단부측 부위에 형성된 당접부가 접촉하여, 슬라이더의 발지를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당접부는 결합부를 형성한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일부로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당접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치합 헤드부가 표면측 치합 헤드부와 이면측 치합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측 치합 헤드부와 이면측 치합 헤드부가 편위되어 치합 단차부를 형성하여, 각각의 치합 단차부는 서로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부재 및 제2부재중 한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는 다른쪽 부재에 대한 치합 오목부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른쪽 부재에 대한 치합 헤드부는 한쪽 부재에 대한 치합 오목부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치합 단차부가 서로 겹쳐지기 때문에, 치합 단차부에 의해 하부정지구의 표리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다.
치합 단차부의 구성으로서는 치합 헤드부를 구성하는 표면측 치합 헤드부와 이면측 치합 헤드부가 치합하는 상대측 부재의 치합 오목부에 각각 치합 단차면을 형성하고, 치합 헤드부에 대한 돌출상태로 형성된 치합 단차면이 치합 오목부에 대 해 틀어박힌 상태로 형성된 치합 단차면에 대응하여, 두 치합 단차면 끼리가 겹쳐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치합 헤드부와 상기 치합 헤드부가 결합하는 치합 오목부와의 접촉면을 각각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형성하고, 경사면 끼리가 겹쳐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경사면으로서는 직선형상의 경사면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곡면형상을 이룬 경사면으로 할 수도 있다. 경사면을 곡면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한쪽 경사면이 볼록형 곡면형상이 되도록 형성하고, 다른쪽 경사면이 오목형 곡면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합 단차부를 형성하는 부위로서는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가 접촉하는 접촉면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촉면중 몇개 부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접촉면의 전체면에 걸쳐 복수의 부위에 이격하여 단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전체 접촉면에서 접촉면끼리 겹쳐지는 형상이 동일한 조합형태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인접한 단차부가 상이한 형태의 단차부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하단에 대한 모서리중 적어도 대향면측의 모서리가 면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슬라이더의 안내로내를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접동할 때, 한쪽 모서리와 다른쪽 대향면과의 사이에서의 접촉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슬라이더의 안내로내를 따라 부드럽게 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치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중 상기 결합부를 갖는 부재가, 상기 결합부측의 치합 오목부가 형성된 부위와는 반대측 테이프 측면측의 부위에, 오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합부를 갖는 부재에서, 치합 오목부중 상기 결합부측의 치합 오목부가 형성된 부위와는 선대칭이 되는 테이프 측면측의 부위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파스너 엘레멘트 등을 부착한 파스너 스트링거의 하단부를, 슬라이더의 견구로부터 삽입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형성할 때, 슬라이더의 안내기둥에 의해 가압삽입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상단부 근방이, 상기 오목부의 작용에 의해 안내기둥으로부터의 가압력을 감소시키는 방향 즉, 슬라이더의 플랜지부측으로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안내 플랜지 및 안내기둥에 의해 형성된 대략 Y형의 안내로를 따라 파스너 스트링거를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에 의해 결합부를 갖는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상단부 근방이, 안내기둥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므로써, 제1부재는 제2부재에 형성된 치합 헤드부와 제2부재 또는 제1부재에 형성된 치합 오목부와의 끼워넣음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부에 의해 결합부를 갖는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상단부 근방이 안내기둥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가 결합될 수 있는 범위, 즉 파스너 스트링거의 슬라이더에 대한 이동중 에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를 치합시킬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오목부의 형성갯수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오목부의 형상은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상단부 근방을 탄성변형시키기 용이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가 치합된 후에는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상단부 근방의 탄성복귀에 의해,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의 치합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내기둥에 결합부의 대향면측이 당접했을 때, 오목부를 중심으로 결합부측이 굴곡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를 대향면측에 돌출시킨 형상인 경우라도 충분히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슬라이더의 안내로내를 부드럽게 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를 대향면측에 돌출시키므로써, 하부정지구에 인접한 파스너 엘레멘트와의 치합 상태를 충분히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테이프측면과 대향면 사이에 대한 폭이, 상기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 부위에 대한 최소폭 보다 상기 오목부를 형성한 부위에 대한 최소폭이 소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오목부의 작용에 의한 굴곡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치합하여 결합될 때, 슬라이더의 안내로내를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통과하기 쉽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치합에 의한 결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치합상태로 있을 때,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하단이 일치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하단이 직선형으로 나란한 외관이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는 매우 현저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부정지구의 구성으로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형태, 배치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형상, 배치구성이면 어떠한 형상이나 배치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를 부착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부분확대도이다. 도2는 하부정지구를 구성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평면도이며, 도3은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4는 제1부재와 제2부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5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며, 도6은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또한, 도2 및 도4에서는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와의 구성을 설명하기 쉽도록 파스너 엘레멘트(9)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3에서는 파스너 엘레멘트(9)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1)는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a, 3b)의 대상선에 설치한 코어에 하부정지구(10), 파스너 엘레멘트(9) 및 도시않은 상부정지구가 부착되며, 슬라이더(4)가 복수의 파스너 엘레멘트(9)의 열로 구성되는 파스너체인(29)을 삽입하여 배치되어 있다. 파스너체인(29)의 상하단에는 슬라 이더(4)의 발지용의 하부정지구(10)와 도시않은 상부정지구가 배치되어 있다.
파스너 엘레멘트(9)로서 도시예에서는 파스너테이프(2a, 2b)에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한 연결소자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파스너 엘레멘트로서는 연결소자에 의해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파스너 엘레멘트, 금속성 파스너 엘레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정지구(10)는 직편성된 파스너테이프(2a)에 부착된 제1부재(11)와 파스너테이프(2b)에 부착된 제2부재(21)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재(11)의 제2부재(21)측에 형성된 대향면(16)에는 한쌍의 후크형 치합 헤드부(12a, 12b), 제2부재(21)의 한쌍의 치합 헤드부가 각각 끼워넣은 한쌍의 치합 헤드부(14a, 14b) 및 결합부(18)가 형성되고, 대향면(16)과 반대측의 테이프측면(15)에는 결합부(18)를 포함하는 부위에 대한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21)의 제1부재(11)측에 형성된 대향면(26)에는 상기 한쌍의 후크형의 치합 헤드부(12a, 12b)가 각각 끼워넣어진 치합 헤드부(24a, 24b)가 형성되며, 또한 제1부재에 대한 한쌍의 치합 오목부(14a, 14b)에 각각 끼워넣은 한쌍의 후크형 치합 헤드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12a, 12b)는 파스너 엘레멘트(9)의 방향을 향해 형성되며, 제2부재(21)의 치합 헤드부(22a, 22b)는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12a, 12b)와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치합 헤드부 및 치합 오목부는 각각 2개씩 형성된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치합 헤드부 및 치합 오목부의 형성 갯수는 2개씩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적절한 갯수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부재(11)의 하단(11a)과 제2부재(21)의 하단(21a)은 파스너테이프의 단부측에서 동일 직선형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로서 하부정지구(10)가 세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외관이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에 대한 치합 헤드부(12a, 12b)와 제2부재(21)에 대한 치합 오목부(24a, 24b)와의 각각의 당접면, 또는 제1부재(11)에 대한 치합 오목부(14a, 14b)와 제2부재(21)에 대한 치합 헤드부(22a, 22b)와의 각각의 당접면에는 각각 치합 단차부(13, 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3a 및 도3b에 각각 도시된 제1부재(11) 및 파스너 엘레멘트(9)의 측면도 및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부재(11)의 두께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치합 단차부(13)는 제1부재(11)의 표면측에 대해 상향면으로 되는 치합 단차부(13a)와, 제1부재(11)의 이면측에 대해 하향면으로 되는 치합 단차부(1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c 및 도3d에 각각 도시된 제2부재(21) 및 파스너 엘레멘트(9)의 평면도 및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부재(21)의 두께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치합 단차부(23)는 제2부재(11)의 표면측에 대해 상향면으로 되는 치합 단차부(23a)와 제2부재(21)의 이면측에 대해 하향면으로 되는 치합 단차부(2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부재(11)의 표면측에 형성된 치합 헤드부(12a, 12'a) 및 치합 오목부 (14a, 14'a)에 대해 상기 제1부재(11)의 이면측에 형성된 치합 헤드부(12b, 12'b) 및 치합 오목부(14b, 14'b)가 하부정지구(10)의 하단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편위되어 있고, 상기 편위된 부위에 치합 단차부(13a, 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부재(21)의 표면측에 형성된 치합 헤드부(22a, 22'a) 및 치합 오목부(24a)에 대해 상기 제2부재(21)의 이면측에 형성된 치합 헤드부(22b, 22'b) 및 치합 오목부(24b)가 하부정지구(10)의 하단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편위되어 있고, 상기 편위된 부위에 치합 단차부(23a, 23b)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치합 단차부(13a, 13b) 및 치합 단차부(23a, 23b)를 각각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의 대향면측에도 편위시킨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1부재(11)의 치합 단차부(13)와 제2부재(21)의 치합 단차부(23)가 각각 편위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를 치합시켰을 때 치합 단차부(13, 23) 끼리 겹쳐지고, 표리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향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가 치합하여 치합상태가 형성되는 동시에, 치합 단차부(13a)와 치합 단차부(23b)가 당접하고, 치합 단차부(13b)와 치합 단차부(23a)가 당접하여, 치합 단차부(13)와 치합 단차부(23) 사이에서의 당접 상태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의 상하방향, 표리면방향, 좌우방향에 대해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를 이격시키는 힘이 작용해도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결합상태를 강고히 유지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의 치합 오목부(12a)에 대한 치합 단차부(13a)의 형성방향과 치합 오목부(14b)에 대한 치합 단차부(13a)의 형성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치합 오목부(14a)에 대한 치합 단차부(113b)의 형성방향과 치합 오목부(14b)에 대한 치합 단차부(13b)의 형성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부재(21)에 대한 치합 헤드부(22a) 및 치합 헤드부(22b)에 대한 치합 단차부(23a, 23b)도 각각 제1부재와 마찬가지로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치합 오목부(14a)에 대한 치합 단차부(13a, 13b)의 형성방향과, 치합 오목부(14b)에 대한 치합 단차부(13a, 13b)의 형성방향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부재(21)에 대한 치합 단차부(23a, 23b)는 각각 치합 단차부(13a, 13b)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치합 헤드부(12a, 13b)와 치합 오목부(24a, 24b)와의 치합 및 치합 헤드부(22a, 22b)와 치합 오목부(14a, 14b)와의 치합에 의한 결합작용에 부가하여, 치합 단차부(13, 23)에 의한 당접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의 표리면방향, 좌우방향, 상하방향에 대해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를 개방시키는 힘이 작용해도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결합상태를 강고히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치합 헤드부(12a, 12b)의 선단 방향과 치합 헤드부(22a, 22b)의 선단 방향이 역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헤드부와 결합 오목부와의 치합작업이 실행되기 용이해지고,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치합시 치합 헤드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치합 작업에 따라 치합 헤드부 등에 파괴 나 크랙 등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고, 하부정지구로서 소망의 강도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치합 헤드부 및 상기 치합 헤드부에 결합하는 치합 오목부가 2조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치합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져도, 상기 회전력을 치합 상태에 있는 2곳의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에서 수용하므로써, 상기 회전력에 대항하여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치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는 치합 단차부(13, 23)로서 치합 단차면을 형성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치합 단차부로서는 치합 단차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치합 단차면을 형성하는 경우에서도 1단의 단차면으로서 형성하지 않고, 복수단의 단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부재(11) 또는 제2부재(21)의 표면측에서 한쪽 부재로부터 다른쪽 부재를 향해 돌출된 고리부를 형성하고, 다른쪽 부재의 표면측에서 상기 고리부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이면측에서도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이외에도 적절한 형식의 치합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를 결합시키는 결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파스너테이프(2a, 2b)의 각각의 제1부재(11), 파스너 엘레멘트(9)와 도시않은 상부정지구, 및 제2부재(21), 파스너 엘레멘트(9)와 도시않은 상부정 지구를 부착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3a, 3b)의 하단을 슬라이더(4)의 견구(4b)로부터 각각 삽입한다.
그후, 파스너 스트링거(3a, 3b)를 슬라이더(4)에 대해 하방으로 인출하거나, 슬라이더(4)를 파스너 스트링거(3a, 3b)에 대해 상방으로 접동시킨다.
이때,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테이프 측면(15, 25)은 각각 슬라이더(4)의 플랜지(6a, bb)를 따라 접동하고,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12b)가 제2부재(21)의 치합 오목부(24b)에 끼워넣으면서 결합된다. 안내기둥(5a)에 당접한 제1부재(11)의 결합부(18)는 오목부(17)의 작용에 의해 플랜지(6a)측에 탄성변위될 수 있다.
오목부(17)의 형성위치로서는 결합부(18)가 변형되기 용이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특히, 안내 플랜지(6a)의 광폭 개시위치 보다 하단에 오목부(17)를 형성하면, 슬라이더(4)를 슬라이드 파스너(1)의 하단위치로 하였을 때, 슬라이더(4)의 자세를 바른 자세로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목부(17)는 안내 플랜지(6a)에 대한 견구(4b)로의 광폭 개시위치 보다 상단측으로 되는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구성이다.
결합부(18)의 탄성변위에 의해,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는 안내로(6c)를 따라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8)가 플랜지(6a)측에 탄성변위되므로써, 치합 오목부(14a)의 개구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치합 헤드부(22a)의 치합 오목부(14a)로의 끼워넣음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8)에 대한 안내기둥(5a)으로부터의 가압력 이 감소 또는 해제되면, 결합부(18)는 탄성복귀되어 치합 헤드부(22a)와 치합 오목부(14a)와의 치합 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 스트링거(3a, 3b)가 슬라이더(4)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면, 결합부(18)의 돌기부(18b)에 하부정지구(10)에 인접한 파스너 엘레멘트(9)가 치합되고, 순차적으로 파스너 엘레멘트(9)끼리의 치합이 실행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는 파스너체인(29)을 삽입한 상태로 되고, 슬라이더를 상방으로 접동시키므로써 슬라이더 파스너(1)를 폐쇄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접동시키므로써 슬라이더 파스너(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파스너(1)를 개방시키기 위해 슬라이더(4)를 하방으로 접동시킬 때는 슬라이더(4)의 안내기둥(5a)이 제1부재(11)의 수용부(19)내에 당접하고, 슬라이더(4)의 발지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하단에 대한 모서리 및 상단에 대한 테이프 측면측의 모서리가 각각 면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대향면측의 모서리가 면취되어 있기 때문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를 취합시킬 때, 모서리가 다른쪽 부재에 대한 대향면에 겹쳐지고, 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결합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치합 헤드부(12a, 12b)의 선단부 및 치합 헤드부(22a, 22b)의 선단부가 각각 역방향을 향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12a, 12b)와 제2부재(21)의 치합 오목부(24a, 24b)와의 치합시에는 제1부재(11)가 제2부재 (2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제2부재(21)가 제1부재(1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21)의 치합 헤드부(22a, 22b)는 제1부재(11)의 치합 오목부(14a, 14b)에 대해 동일한 회전을 하면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끼워넣음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으며, 치합후의 치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를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코어를 이용한 성형을 실행하지 않고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부재(11) 및 제2부재의 성형이 용이해지고,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2
도7은 치합 헤드부의 방향이 제1실시예와는 역방향의 구성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의 대향면(16)에는 치합 헤드부(32a, 32b), 치합 오목부 및 결합부(18)가 형성되고; 테이프 측면(15)에는 결합부(18)를 포함하는 부위에 대한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부재(21)의 대향면(26)에는 제1부재에 대한 한쌍의 치합 헤드부(32a, 32b)가 각각 끼워넣어진 한쌍의 치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1부재(11)에 대 한 한쌍의 치합 오목부에 각각 끼워넣은 한쌍의 치합 헤드부(42a, 42b)가 제2부재(21)에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부재(11)의 대향면(16)에 형성한 치합 헤드부(32a, 32b), 치합 오목부 및 제2부재(21)의 대향면(26)에 형성한 치합 헤드부(42a, 42b), 치합 오목부의 방향이 제1실시예에서의 각각의 치합 헤드부, 치합 오목부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대한 치합 헤드부 및 치합 오목부의 방향이 제1실시예와 대한 치합 헤드부 및 치합 오목부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치합 단차부(33, 43)에 대한 치합 단차면의 형성방향도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부재(11)에 대한 치합 단차부(33)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1)의 이면방향에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부재에 대한 치합 단차부(43)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1)의 표면방향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주로 치합 헤드부와 치합 오목부와의 결합작용에 의해 대항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에서도 제1부재(11)의 하단(11a)과 제2부재(21)의 하단(21a)과는 파스너테이프의 단부측에서 동일 직선형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3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치합 단차면의 형성방향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상이하며, 각각의 부재에 대한 한쌍의 치합 헤드부의 부위에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 예에서도,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사용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시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치합 헤드부(36a)에 대한 치합 단차부(37a)와 치합 헤드부(36b)에 대한 치합 단차부(37b)에서 치합 단차면의 형성방향을 치합 헤드부에 대한 치합 단차면의 형성부위에 대응하여 상이한 방향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는 치합 헤드부(12a, 32a)와 치합 헤드부(12b, 32b)에 대한 치합 단차부(13), 치합 헤드부(42a, 42b)에 대한 치합 단차면의 형성방향은 표면측에 형성한 치합 헤드부에 대해 이면측에 형성한 치합 헤드부가 하부정지구(10)의 하단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편위되어 있고, 이렇게 편위된 부위에 치합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서도 제1부재(11)에 대한 치합 헤드부(36a, 36b)에 각각 상향으로 형성한 치합 단차면과 하향으로 형성한 치합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파스너(1)의 표리면 방향에 대해 작용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는 동시에,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대향면 사이에 작용하는 회전모멘트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파스너(1)의 좌우방향, 전후방향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강고히 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치합 헤드부에 형성한 복수의 치합 단차면의 형성방향을 상이하게 형성하므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이격시키는 힘에 대항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에 가해지는 힘을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에 분산시킬 수 있고, 제1부재(11)와 제 2부재(21)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경우에서도 제1부재(11)의 하단(11a)과 제2부재(21)의 하단(21a)은 파스너테이프의 단부측에서 동일 직선형태로 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하부정지구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에 대해 작용하는 전후방향 및 표리방향의 힘에 대해, 제1부재(11)와 제2부재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치합 결합은 오목부(17)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부재(11) 및 제2부재의 각각의 하단(11a, 21a)에 대한 모서리를 면취하므로써, 슬라이더(4)의 안내로(6c)를 따라 견구로부터 파스너 스트링거(3a, 3b)를 삽입하므로써, 용이하게 제1부재(11)와 제2부재(21)와의 치합 결합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할 수 있는 부재, 장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3a, 3b)에 각각 부착되는 제1부재(11)와 제2부재(21)로 이루어진 2분할형 구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대향면(16, 26)에 후크형 치합 헤드부(12a, 12b, 12'a, 12'b, 32a, 32b, 32'a, 36a, 36b, 36'a, 36'b, 22a, 22b, 22'a, 22'b, 42a, 42b, 42'a, 46a, 46b, 46'a, 46'b)와 치합 오목부(14a, 14b, 14'a, 14'b, 24a, 24b)와의 조(組)가 각각 적어도 2조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의 선단의 방향과 제2부재(21)의 치합 헤드부의 선단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11)의 치합 헤드부가 제2부재(21)의 치합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제2부재(21)의 치합 헤드부가 제1부재(11)의 치합 오목부에 끼워넣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10)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 또는 제2부재(21)의 한쪽 부재가 상기 하부정지구(10)에 인접한 파스너 엘레멘트(9)와 결합하는 결합부(18)를 포함하며, 동일방향의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길이가 다른쪽 부재에 대한 길이방향의 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파스너 스트링거(3a, 3b)에 파스너 엘레멘트(9)를 연속해서 설치하여 파스너체인(29)을 이루고, 상기 파스너체인(29)에 삽입된 슬라이더(4)의 안내기둥(5a)이 당접가능한 당접부(18a)를 상기 결합부(18)에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치합 헤드부가, 표면측 치합 헤드부(12a, 12'a, 32a, 32'a, 36a, 36'a, 22a, 22'a, 42a, 42'a, 46a, 46'a)와 이면측 치합 헤드부(12b, 12'b, 32b, 36b, 36'b, 22b, 22'b, 42b, 46b, 46'b)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측 치합 헤드부(12a, 12'a, 32a, 32'a, 36a, 36'a, 22a, 22'a, 42a, 42'a, 46a, 46'a)와 이면측 치합 헤드부(12b, 12'b, 32b, 36b, 36'b, 22b, 22'b, 42b, 46b, 46'b)가 편위되어 치합 단차부(13a, 13b, 37a, 37b, 23a, 23b, 47a, 47b)를 형성하고, 각각의 치합 단차부(13a, 23b, 37a, 47b, 13b, 23a, 37b, 47a)는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하단(11a, 21a)에 대한 모서리중 적어도 대향면(16, 26)측의 모서리가 면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 또는 제2부재(21)중 결합부(18)를 포함하는 부재는, 상기 결합부(18)측의 치합 오목부(14a)가 형성된 부위와는 반대측의 테이프 측면(15)측의 부위에 오목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테이프 측면(15, 25)과 대향면(16, 26)과의 사이에 대한 폭은, 상기 오목부(17)를 형성하지 않는 부위에 대한 최소폭 보다 상기 오목부(17)를 형성한 부위에 대한 최소폭쪽이 소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와 제2부재(21)가 치합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21)의 하단(11a, 21a)이 일치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KR1020050039971A 2004-05-14 2005-05-13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KR100606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5416 2004-05-14
JP2004145416A JP4191089B2 (ja) 2004-05-14 2004-05-14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下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53A true KR20060047853A (ko) 2006-05-18
KR100606033B1 KR100606033B1 (ko) 2006-07-28

Family

ID=3493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71A KR100606033B1 (ko) 2004-05-14 2005-05-13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34302B2 (ko)
EP (1) EP1595467B1 (ko)
JP (1) JP4191089B2 (ko)
KR (1) KR100606033B1 (ko)
CN (1) CN100490693C (ko)
DE (1) DE602005016042D1 (ko)
ES (1) ES2328583T3 (ko)
HK (1) HK1079969B (ko)
MX (1) MXPA05004961A (ko)
TW (1) TWI255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521B2 (ja) * 2006-05-30 2011-01-12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
GB2464766A (en) * 2008-10-30 2010-05-05 Ykk Europ Ltd Locking stop having split projection
WO2010089846A1 (ja) * 2009-02-03 2010-08-12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D809426S1 (en) * 2016-09-14 2018-02-06 Eric Gates Link chain zipper
JP7013741B2 (ja) * 2017-09-12 2022-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および電子回路システム
CN114641219B (zh) * 2019-12-12 2024-02-23 Ykk株式会社 拉链
CN111642864A (zh) * 2020-06-15 2020-09-11 上海泽普拉链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注塑拉链
JP7472394B2 (ja) 2021-03-11 2024-04-22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5715A (en) * 1927-05-06 1930-12-16 Hookless Fastener Co Separable fastener
US2289586A (en) * 1940-11-29 1942-07-14 Marinsky Davis Hermetic separable fastener
NL70118C (ko) * 1944-10-06
US2701401A (en) * 1952-06-14 1955-02-08 Talon Inc End stop for slide fasteners
LU38228A1 (ko) * 1959-03-09
JPS3619078B1 (ko) 1960-03-08 1961-10-12
DE2341351A1 (de) 1973-08-16 1975-03-20 Opti Holding Ag Halbfertigreissverschluss
GB1565506A (en) * 1975-10-22 1980-04-23 Lightning Fasteners Ltd Sliding clasp fastener
DE2644965C3 (de) * 1976-06-23 1980-06-04 Optilon W. Erich Heilmann Gmbh, Cham (Schweiz) Teilbarer Reißverschluß
JPS5937064Y2 (ja) * 1980-02-01 1984-10-1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の下止
JPS5942895Y2 (ja) * 1980-11-01 1984-12-1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分割型下止具付きスライドフアスナ−
JPS5925217A (ja) 1982-07-31 1984-02-09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法
JPH0527045Y2 (ko) * 1987-04-20 1993-07-09
CN2178445Y (zh) * 1993-11-27 1994-10-05 周胜千 拉链下止
JP2002253307A (ja) * 2001-02-28 2002-09-10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具
US7036191B2 (en) * 2003-04-21 2006-05-02 Chang-Wen Tsaur Lower stop of z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33B1 (ko) 2006-07-28
EP1595467A2 (en) 2005-11-16
HK1079969B (zh) 2009-10-30
US7334302B2 (en) 2008-02-26
CN100490693C (zh) 2009-05-27
EP1595467B1 (en) 2009-08-19
TW200608916A (en) 2006-03-16
TWI255698B (en) 2006-06-01
CN1695514A (zh) 2005-11-16
HK1079969A1 (en) 2006-04-21
ES2328583T3 (es) 2009-11-16
JP4191089B2 (ja) 2008-12-03
JP2005323860A (ja) 2005-11-24
US20050251975A1 (en) 2005-11-17
EP1595467A3 (en) 2006-05-17
MXPA05004961A (es) 2005-11-17
DE602005016042D1 (de)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3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하부정지구
TWI473580B (zh) zipper
KR100474959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무치 형성용 금속 선재와 상기 금속선재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무치
US11206901B2 (en) Slide fastener-attached product, elemen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lide fastener-attached product
TWI488591B (zh)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zipper and the product containing the zipper
US9038249B2 (en) Slider for concealed slide fastener
TWI440436B (zh) zipper
KR101558070B1 (ko)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EP2604138B1 (en) Slide fastener
KR20110120303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및 퀵 오픈식 슬라이드 파스너
EP2005852A2 (en) Double-sided engaging element for slide fastener
WO2016046915A1 (ja) 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EP2904922B1 (en) Slide fastener
US2355996A (en) Offset double-acting scoop
JPS587203A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のスライダ−
KR20130003028A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57197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정지부
US4297770A (en) Slid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10130444U (zh) 拉链牙链带
TWI814420B (zh) 滑件及拉鏈
JPH0114167Y2 (ko)
CN116709946A (zh) 拉链链牙、拉链牙链带及拉链链条
CN117678837A (zh) 具有装饰物支承部的拉链链牙
AU2014202484B2 (en) Slider for hidden slide fastener
CN115279225A (zh) 拉链及其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