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281A -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281A
KR20060047281A KR1020050032801A KR20050032801A KR20060047281A KR 20060047281 A KR20060047281 A KR 20060047281A KR 1020050032801 A KR1020050032801 A KR 1020050032801A KR 20050032801 A KR20050032801 A KR 20050032801A KR 20060047281 A KR20060047281 A KR 20060047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plit spring
split
spring pie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33/2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a clamping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threaded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의 복수의 분할 스프링편을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각 분할 스프링편의 폭을 소정 이상으로 확보하면서 그들 분할 스프링편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극을 확보하고, 또한 분할 스프링편의 특히 선단 부근 폭방향에서의 치수를 소정 폭으로 제한할 수 있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나 그것을 사용한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카드용 커넥터는, 외팔보형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카드용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스프링부는 적어도 그 선단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된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를 갖고 있고, 이들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는 각각 선단 부근에 카드측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대응접촉부를 갖고 있고,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 중 1 이상의 분할 스프링부에 비틀림이 가해져 있다. 이 카드용 컨택트 단자를 카드용 커넥터에 설치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A CONNECTOR FOR A CARD AND A CONTACT TERMINAL FOR A CARD US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컨택트 단자의 평면도와 측면도 및 타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a) 의 B-B 선 확대 단면도를 그 변형예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1 실시형태의 도 1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1 실시형태의 도 2 의 a) 와 도 3 의 a) 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사용한 카드용 커넥터의 완성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절연 케이스에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종래 기술에서의 컨택트 단자의 평면도와 그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컨택트 단자 22 : 스프링편
24 : 압입편 26 : 배열편
28 : 접속편 30 : 신호단자
31 : 전원 단자 32 : 그라운드 단자
33 : 그라운드 단자 34 : 예비 단자
40 : 절연하우징 50 : 금속커버
220 : 분할 스프링편 310 : 분할 스프링편
320 : 분할 스프링편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0440호
본 발명은 카드용 커넥터, 다시 말하면 비틀림을 가한 분할 스프링편을 갖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를 사용한 카드용 커넥터와, 그 카드용 커넥터와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PDA, PC, 디지털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IC 나 메모리 를 탑재한 IC 카드를 장전하고, 장전된 이들 IC 카드에 데이터를 읽고 쓰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도 많다.
이들 전자기기에는, 일반적으로 그들 내부에 또는 외부 부착 가능한 상태로 카드용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고, 이 카드용 커넥터에 배치한 복수의 카드용 컨택트 단자 (이하 「컨택트 단자」) 를 카드와 접촉시킴으로써 데이터를 읽고 쓰게 되어 있다. 이들 컨택트 단자에는, 예를 들어 신호전달에 사용하는 신호단자,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카드를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그라운드 단자가 포함된다.
통상 이들 각 컨택트 단자는, 카드측의 하나의 접촉부, 예를 들어 하나의 접촉패드에 대하여 하나의 대응접촉부만 갖지만, 접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카드측의 하나의 접촉부에 대하여 대응접촉부를 복수 형성한 것도 있다. 컨택트 단자 중에서도 특히 전원 단자나 그라운드 단자는, 그것들과 카드측 접촉부 사이의 접촉상태가 카드 데이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점에서, 그들 사이의 접촉상태를 향상시킬 것이 요망된다.
하나의 컨택트 단자에 복수의 대응접촉부를 형성한 종래예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0440호가 있다. 이 공보에는 대응접촉부를 2개 형성한 컨택트 단자가 나타나 있다. 도 11 의 a) 에 이 공보에 개시된 컨택트 단자의 사시도를, 도 11 의 b) 에 이 도 11 의 a) 의 A-A 선 확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11 의 b) 에는 컨택트 단자와 접촉시키는 카드의 일부도 나타내고 있다. 이 컨택트 단자 (1) 에서는 그 선단 부분, 즉 카드와 접촉시키는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편 (11) 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 있어, 2개의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을 갖게 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은 그들 선단 부근에 형성한 각 대응접촉부 (114, 114') 에서 각각 별개로 카드측의 하나의 접촉부 (14) 와 접촉할 수 있다. 분할 스프링편 (110, 110') 과 카드측 접촉부 (14) 사이의 일시적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분할 스프링편 (100, 110') 에는 서로 다른 스프링 상수가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이들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 (고유진동수) 를 갖는다.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게 함으로써, 만약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의 대응접촉부 (114, 114') 가 카드측의 접촉부 (13) 에서 떨어지는 일이 있다고 해도 그 후 대응접촉부 (114, 114') 는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로 카드측의 접촉부 (13) 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이로써 이들 사이의 접속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상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분할 스프링편의 일부, 특히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 폭, 두께, 재질을 다르게 한 방법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공보에는 분할 스프링편 (110, 110') 끼리의 폭을 다르게 한 것이나, 분할 스프링편에서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굽힘 각도를 바꿈으로써 길이를 다르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복수의 접촉부를 형성한 컨택트 단자에서는, 복수의 대응접촉부를 폭이 좁은 카드측의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시킬 필요가 있는 점에서, 예를 들어 대응접촉부 (114 와 114') 사이의 폭방향에서의 치수 c 는 도 11 의 a) 에 나 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좁은 폭으로 제한된다. 특히 복수 접촉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치수 제한을 지키면서 복수의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낸 종래예와 같이 분할 스프링편의 폭을 다르게 하여 스프링 상수를 변경하려고 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분할 스프링편 (110') 의 폭은 극단적으로 좁은 폭 e 가 되어 버리지만, 이와 같이 좁은 폭 e 의 분할 스프링편은 충분한 스프링힘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분할 스프링편과 카드측의 접촉부 (13) 사이 (f, g) 에 충분한 접압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분할 스프링편 (110 과 11O') 사이의 간극 (a) 을 작게 하는 것, 추가하여 말하자면 이것에 의해 분할 스프링편 (110, 110') 자체의 폭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간극에 프레스 공구를 삽입하였을 때의 공구 파손을 방지하는 등의 이유로 간극 a 의 크기는 일정 이상으로 확보해 두어야 하며,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채용할 수 없다. 이상의 결과, 이상적인 분할 스프링편을 얻기 위해서는 카드측의 접촉부에 대한 접압을 확보하기 위해 각 분할 스프링편의 폭 (특히 폭 e) 을 소정 이상으로 확보하고, 또한 프레스 공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그것들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극 a 를 확보하고, 게다가 분할 스프링편의 대응접촉부의 접점 (부분) 사이의 치수를 소정의 폭 c 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편을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 서, 상기 서술한 모든 요구, 즉 각 분할 스프링편의 폭을 소정 이상으로 확보하면서 그들 분할 스프링편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극을 확보하고, 또 분할 스프링편의 대응접촉부의 접점 사이의 치수를 소정 폭으로 제한하는 것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른바 일시적 단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는, 외팔보형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카드용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드용 컨택트 단자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장전되었을 때 각각 선단 부근에 카드측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대응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 중 1 이상의 분할 스프링부에 비틀림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은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일부에 가해져 있어도 되고,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전체에 가해져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비틀림은 상기 분할 스프링부를 그 분할 스프링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절곡 (折曲) 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분할 스프링부를 비틀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또는 그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분할 스프링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고정 위치를 다른 분할 스프링부에서의 고정위치와 다르게 해도 된다. 또 이들 비틀림은 내측에 가해져 있어도 되고 외측에 가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외팔보형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카드용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드용 컨택트 단자에 있어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장전되었을 때 각각 선단 부근에 카드측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대응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 중 1 이상의 분할 스프링부에 비틀림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편을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분할 스프링편에 가해지는 치수 제한을 지키면서 충분한 기능성, 제조용이성을 확보한 컨택트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의 개략 사시도를, 또 도 2 의 a) 에 도 1 의 컨택트 단자의 평면도, 도 2 의 b) 에 도 1 의 컨택트 단자의 우측면도, 도 2 의 c) 에 컨택트 단자의 몰드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서 타발한 직후의 상태, 다시 말하면 절곡하기 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도 3 의 a) 에, 도 2 의 a) 의 B-B 선 확대 단면도를 컨택트 단자와 접촉시키는 카드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 컨택트 단자 (20) 는 외팔보 형상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편 (22) 과, 이 스프링편 (22) 의 기단측에 형성된 카드용 커넥터의 소정 위치에 압입 고정되는 1세트의 압입편 (24, 24') 과, 이들의 압입편 (24, 24') 사이에 위치하여 카드용 커넥터의 소정 배열홈에 배치되는 배열편 (26) 과, 프린트 배선 기판의 소정 위치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편 (28) 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편 (22) 의 선단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스프링편 (22) 의 기단측에서 선단을 따라) 2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프링편 (22) 은 2개의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을 갖는다. 단, 3분할, 기타의 복수 분할로 해도 된다. 각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은 그 절곡 위치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복수의 스프링편 유닛, 예를 들어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221'),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222') 및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 223') 으로 이루어진다.
이 컨택트 단자 (20) 는, 예를 들어 얇은 한 장의 금속판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타발한 후, 스프링편 (22) 의 연장부를 약 90도 하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배열편 (26) 을 형성하고, 다시 이 배열편 (26) 의 단부를 약 90도 외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접속편 (28) 을 형성하고 (도 2 의 c) 참조), 마지막으로 스프링편 (22) 의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을 가공한다 (도 1, 도 2 의 a), b) 참조). 그리고,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의 선단 부근, 특히 카드측의 접촉부와 접촉시키게 되는 대응접촉부 (224, 224') 의 에지부는 카드와 접촉할 때 카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프레스 가공 후에 예를 들어 반구면으로 해도 된다 (도 3 의 a) 참조).
도 2 의 c)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편 (22) 의 가공 전에 컨택트 단자 (20) 의 선단 부근, 특히 대응접촉부 (224, 224') 의 각 폭 (h, h') 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도 11 의 e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 이들 대응접촉부 (224 와 224') 사이의 폭방향에서의 치수 d 도 도 11 의 c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공 전에서의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의 소정 개소에서의 치수는 도 11 에 나타낸 종래 장치에 비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아무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사이의 간극 (a) 은 도 11 과 동일한 치수 a 로 설정해고 있지만, 이하의 기재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간극에 대해서도 도 11 의 그것보다 큰 치수로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타발시에도 이 간극이 보다 작아지도록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중간 부근에 분할 스프링편 (220') 측을 향해 근접시키기 위한 변형부 (225) 를 형성하고 있다.
스프링편 (22) 을 가공함에 있어서, 먼저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에 대해서는 그 자체를 C 자형으로 만곡시켜 카드측 접촉부 (14) 와의 접촉부로서 사용되는 호상(弧狀)의 대응접촉부 (224) 를 형성한다. 그 후, 분할 스프링편 (220) 에서는,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과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사이 및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과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 사이에서 각각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연장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절곡선 (226, 227) 상에서 스프링편 (22) 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해 절곡된다. 이들 절곡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분할 스프링편 (220') 에서는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과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 사이에서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연장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경사선 (227') 위에서 스프링편 (22) 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비교적 큰 제 1 비틀림이 가해져 있다. 여기에서의 비틀림 방향은 내측, 다시 말해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의 단면을 그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바닥면 (도 2 의 b) 의 229') 이 타방의 분할 스프링편 (220) 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의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분할 스프링편 (220') 은 분할 스프링편 (220) 에 크게 접근하게 된다.
그리고 분할 스프링편 (220') 에서는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과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사이에서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연장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경사선 (226') 위에서 스프링편 (22) 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제 2 비틀림이 가해져 있다. 여기에서의 비틀림 방향은 위와 반대로 외측, 다시 말해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의 단면을 그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바닥면 (도 2 의 b) 의 230') 이 타방의 분할 스프링편 (220)을 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의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분할 스프링편 (220') 을 분할 스프링편 (220) 에서 다소 떨어지게 하여, 그것들이 지나치게 접근하는 것 (접촉되거나 하는 것) 을 방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비틀림과 제 2 비틀림을 다른 방향으로 하였지만, 이들 제 1 비틀림과 제 2 비틀림을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서서히 비틀어도 되고, 또 절곡방향을 바꾸어 조합하거나 해도 된다.
이들 2개의 비틀림을 가하기 전, 특히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에 대해서는 선단 스프링 유닛 (2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상의 대응접촉부 (224') 를 형성한다. 또, 도 2 의 일점 쇄선 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응접촉부 (224, 224') 의 카드측 접촉부 (14) 와의 접촉 개소를 스프링편 (22) 의 폭방향 (스프링편 (22) 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직선방향) 에서 병치시킴으로써 프레스 가공은 보다 용이해진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비틀림은 분할 스프링편 (220') 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도 3 의 a) 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비틀림은 카드측의 접촉부 (14) 에 대한 대응접촉부 (224') 의 접촉위치를 변화시킨다 (여기에서는 「가」에서 「나」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들 탄성력의 변화나 접촉위치의 변화는 카드측 접촉부 (14) 에 대한 접촉압력을 변화시키고, 또 이 접촉압력의 변화는 분할 스프링편 (220') 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키게 되므로, 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일시적 단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일방의 분할 스프링편 (220') 에만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한 것이므로, 타발시에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이 동일한 길이, 형상, 재질을 갖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이 컨택트 단자 (20) 는 예를 들어 일정하게 도금 처리된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정 두께의 금속판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단, 비틀림 이외의 다른 요소, 즉 분할 스프링편의 길이, 폭, 두께, 재질을 더욱 조합함으로써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금속판의 재질이나 두께와는 관계없이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들 비틀림은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하였기 때문에 일시적 단절의 문제를 해결함과 함께 대응접촉부 (224 와 224' ;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를 서로 접근시키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즉, 이들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사이의 간극 a 를 예를 들어 b 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 대응접촉부 (224 와 224') 사이의 폭 방향에서의 치수 d 를 예를 들어 c 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사이의 간극 b 는 프레스 공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크기 a 보다 작은 값이지만, 그들 사이에는 적어도 타발 시점에서는 a 라는 크기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폭 방향의 외형치수 (d, c) 뿐만 아니라 접촉위치도 가에서 나와 같이 타방에 근접하도록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드측 접촉부 (14) 의 폭의 소형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비틀림의 크기는 설정해야 할 공진주파수의 값이나 비틀림을 가하는 위치나 수 등과의 관계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한 예에서는 2개의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는 약 30도 비튼 상태,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대응접촉부 (224') 의 단면을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비틀림을 가하기 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음) 보다도 약 30도 비튼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의 방향은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사이에 형성해야 할 간극의 크기나 비틀림을 가하는 위치나 수 등과의 관계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비틀림을 내측에 가함으로써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접촉부 (224') 의 단면을 그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저면 (229') 이 타방의 대응접촉부 (224) 를 향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측의 비틀림을 가하는 것으로 한 것은, 이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내측의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대응접촉부 (224 와 224') 사이의 간극 (분할 스프링편 (220 과 220') 사이의 간극) 을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비틀림 방향에 관련되어 도 3 의 b) 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은 내측의 비틀림을 가하는 것보다도 오히려 외측의 비틀림을 가한 쪽이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 도 3 의 b) 에서 도 3 의 a) 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참조번호 뒤에 「A」를 붙인다. 이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대응접촉부 (224A 나 224A') 부근의 에지부를 반구면으로까지는 가공하지 않고 단지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분할 스프링편 (220A') 에 절곡을 가함으로써 비트는 것은 아니고, 절곡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의 위치에서 그 자체를 비트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본원발명에서 말하는 「비틀림」에는 이러한 절곡을 수반하지 않는 비틀림도 포함된다. 도면에서 상상할 수 있는 것처럼, 이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내측이 아니라 오히려 외측에 비틀림을 가한 쪽이 대응접촉부 (224A 와 224A') 사이의 간극을 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위치도 대응접촉부 (224A) 에 근접하게 다에서 라 로 변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을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자체의 폭을 소정 이상으로 확보하면서 적어도 타발할 때에는 그들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극을 확보하고, 또한 성형 후에는 분할 스프링편 (220, 220') 의 특히 선단 부근의 폭방향에서의 치수를 소정 폭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4, 도 5 에 컨택트 단자 (21B) 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1 에 대응하고, 도 5 의 a) 와 b) 는 각각 도 2 의 a) 와 도 3 의 a) 에 대응한다. 또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1, 도 2 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참조번호 뒤에 「B」를 붙이고 있다.
분할 스프링편 (220') 의 일방에만 비틀림을 가하는 것으로 한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각각의 한 곳에만 비틀림을 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분할 스프링편 (220B 와 220B') 의 쌍방에 대하여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B) 과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B) 사이에서는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의 연장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절곡선 (226B, 226B') 위에서 스프링편 (22B) 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해 절곡하고, 또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B, 222B') 과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B, 223B') 사이에서는 분할 스프링편 (220B, 22B') 의 연장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경사선 (227', 227B') 위에서 스프링편 (22) 의 두께 방향 하측을 향해 내측으로 절곡함으 로써 비틀리고 있다. 단,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B) 과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B) 사이에서의 비틀림 크기와,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B') 과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B') 사이에서의 비틀림 크기는 그들을 구부리기 위한 절곡선 (226B 와 226B') 에서 경사의 크기가 다른 점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스프링편 (220B) 에 대해서는 약 30도, 분할 스프링편 (220B') 에 대해서는 약 5도이다.
또한 이와 같이 쌍방으로 비틀림을 가한 경우, 각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의 폭은 도 11 에 나타낸 e 보다 크고 또 도 2 에 나타낸 h 보다 큰 j 로 설정해도 된다. 그 이유는, 이들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일방뿐만 아니라 쌍방의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을 상대측의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에 접근시킬 수 있고, 이들 접근동작을 통하여 그 분할 스프링편 (220B, 220B') 의 특히 선단 부근 폭 방향에서의 치수를 제한범위 내의 c 로까지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쌍방에 비틀림을 가하는 것으로 한 경우, 완전히 동일한 형상, 치수로 타발한 분할 스프링편에, 완전히 동일한 각도, 위치에서 거울상으로 비틀림을 가하면, 그들 공진주파수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되어 버리지만, 그러한 경우에도 도 4, 도 5 에 나타낸 예와 같이 그들 비틀림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또한 그들 비틀림의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또한 비틀림 이외의 다른 요소, 예를 들어 분할 스프링편의 길이, 폭, 두께, 재질을 조합함으로써 그들 분할 스프링편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6 에 컨택트 단자 (21C) 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 6 의 a) 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1 이나 제 2 실시형태의 도 4 에 대응하고, 도 6 의 b) 는 제 1 실시형태의 도 3 의 a) 나 제 2 실시형태의 도 5 의 b) 에 대응한다. 또 이들 도 4, 도 5 에 있어서 도 1, 도 2 에 나타낸 스프링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참조번호 뒤에 「C」를 붙이고 있다.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스프링편 도중에서 비틀림을 가하고, 후단 스프링편 유닛에 대하여 중간 스프링편 유닛과 선단 스프링편 유닛이 비틀림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스프링편의 전체, 추가하여 말하자면 분할 스프링편 (220C) 과, 이것과 연속한 압입편 (24C) 에 비틀림을 가하고 있고, 분할 스프링편 (220C) 전체가 분할 스프링편 (220C'), 특히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C'), 압입편 (24C') 의 단면의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각 방향을 향하는 비틀림의 위치에 있다. 또 분할 스프링편 (220C') 에 대해서는 도 4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분할 스프링편 (220B') 과 동일한 비틀림이 가해져 있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이러한 비틀림을 가함으로써도 분할 스프링편 (220C 과 220C') 사이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 있고, 또 분할 스프링편 (220C 과 220C') 을 서로 접근시킬 수 있어 치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도 7, 도 8 을 참조하여, 특히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의한 컨택트 단자를 사용한 카드용 커넥터의 한 사용 양태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7 은 이 카드용 커넥터의 완성 사시도, 도 8 은 그 분해 사시도이고, 카드용 커넥터를 그 기울기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이 카드용 커넥터는, 절연하우징 (40) 과, 이 절연하우징 (40) 에 부착하는 컨택트 단자, 예를 들어 카드와 접촉시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신호 단자 (30),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31) 및 카드를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그라운드 단자 (32, 33) 및 예비 단자 (34), 다시 말해 장래의 사용을 위해 형성된 미사용 단자와, 금속 커버 (50), 그리고 카드의 삽입발출 제어부재, 예를 들어 이젝터 (71), 핀 (72) 및 스프링 (73) 으로 이루어진다. 이 커넥터에 삽입발출되는 카드 (도시 생략) 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IC 카드라 생각하면 된다. 이들 IC 카드의 표면상에는 컨택트 단자 (30∼34) 에 대응하여 신호전달에 사용하는 신호접촉부 (패드부) 와, 전원접속에 사용하는 전원접촉부 (패드부) 와, 그라운드 접속에 사용하는 그라운드 접촉부 (패드부) 가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카드용 커넥터에 배열되는 컨택트 단자의 수나 위치 및 그들에 대응하는 카드 상에서의 접촉부의 수나 위치는 일반적으로는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그들 규격 중 하나인 상기 서술한 합계 11개의 컨택트 단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절연하우징 (40)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에 의해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하우징의 상면 (41) 과 후방 측면 (42) 은 개방상태로 되어 있고, 특히 개방상면 (41) 은 금속 커버 (50) 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절연하우징 (40) 에 금속 커버 (50) 를 고정하기 위해, 개방된 상면 (41) 과 개방된 후방 측면 (42) 이외의 측면 (즉, 좌우 측면 (70) 과 전방 측면 (47)) 에는 경사면이 있는 돌기부 (44) 나 걸기부 (45) 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절연하우징 (40) 에 금속 커버 (50) 가 고정되었을 때, 절연하우징 (40) 과 금속 커버 (50) 의 일부에 의해 IC 카드를 배치하는 속이 빈 카드 수용공간 (46) 이 형성된다. IC 카드는 이 카드 수용공간 (46) 에, 개방된 후방 측면 (42) 을 통하여 삽입발출된다.
절연하우징 (40) 의 전방 측면 (47) 에 컨택트 단자 (30∼34) 를 배열하기 위한 복수의 컨택트 단자 배열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단자 (30∼34) 는 이들 각 컨택트 단자 배열부 (48) 의 구멍에 카드 수용공간 (46) 에 대한 IC 카드의 삽입발출 방향을 따라 전방측에서 삽입되며, 컨택트 단자 (30∼34) 의 특히 압입편 (24, 24') 의 걸기부 (241, 241') 를 그 구멍에 압입함으로써 그것에 고정된다. 이들 컨택트 단자 (30∼34) 는 각각 IC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 장전되었을 때 단자의 두께 방향, 바꾸어 말하면 카드 수용공간 (46) 에 대한 IC 카드의 삽입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하로 변위시키면서 IC 카드 표면상의 신호접촉부나 그라운드 접촉부의 대응부분과 탄성 접촉할 수 있다.
개방된 후방 측면 (42) 에서 보아 좌측 측면에 IC 카드의 삽입발출 제어부재, 예를 들어 이젝터 (71), 핀 (72) 및 스프링 (73) 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공간 (4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공간 (43) 의 전방측에는 절연하우징 (40) 의 전방 측면 (47) 의 내벽에서 부착 공간을 향해 신장되는, 스프링 (73) 을 위한 위치 결정 원주돌기 (49') 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부착 공간 (43) 의 후방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72) 의 일단 (721) 을 소정 각도범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는 반원형 걸기부 (49) 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원주돌기 (49') 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스프링 (73) 의 일단 (731) 을 위치 결정 원 주돌기 (49') 에 부착함과 함께 스프링 (73) 의 타단 (733) 을 스프링 (73)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이젝터 (71) 의 일단측에 형성한 스프링 삽입구멍 (711) 에 삽입하고, 다시 핀 (72) 의 일단 (721) 을 반원형 걸기부 (49) 에 배치함과 함께 핀 (72) 의 타단 (723) 을 이젝터 (71) 의 타단측에 형성한 하트형 로크캠 (712) 주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IC 카드의 푸시식 삽입발출 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커버 (50) 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판과 같은 금속의 박판을 타발, 절곡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이 금속 커버 (50) 는 절연하우징 (40) 의 외부를 덮는다. 금속 커버 (50) 는 충격보호 외에 시일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금속 커버 (50) 의 전방 측면 (51) 은 컨택트 단자 (30∼34) 를 노출시키기 위해 대략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 후방 측면 (52) 은 IC 카드의 삽입을 위해 대략 모든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그 좌우 측면 (53) 은 실질적으로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측면 (51 내지 53) 에는 금속 커버 (50) 를 절연하우징 (40) 에 고정하기 위해 절연하우징 (40) 의 경사면이 있는 돌기부 (44) 나 직사각형의 걸기부 (45) 에 대응하여 고정구멍 (54) 이나 고정돌기 (55) 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금속 커버 (50) 의 상면 양측의 후방에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된 카드를 고정하기 위해, 금속 커버 (50) 의 일부를 카드 수용측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 대소 2세트의 카드 유지 변위부 (56A, 5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카드 유지 변위부 (56) 에 의해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된 카드를 상방 하방을 향해 눌러 IC 카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커버 (50) 의 상면 양측의 전방에는 절연하우징 (40) 에 부착된 스프링 (73) 등으로 쉽게 액세스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액세스구멍 (57)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커버 (50) 상면의 특히 절연하우징 (40) 의 부착 공간 (43) 상부에는 부착 공간 (43) 에 배치한 핀 (72) 을 상방으로부터 누르기 위해, 금속 커버 (50) 의 일부를 카드 수용측으로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 핀 유지용 변위부 (58)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 커버 (50) 의 상면 전방측에 각 컨택트 단자 (30∼34) 에 대응하여 하나씩 금속 커버 (50) 를 잘라 형성된 릴리프 구멍 (59)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릴리프 구멍 (59) 은 IC 카드가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됨으로써 카드용 커넥터의 신호 단자 (30) 나 전원 단자 (31), 그라운드 단자 (32, 33), 예비 단자 (34) 가 상방으로 변위하였을 때, 이들 변위된 컨택트 단자 (30∼34) 의 상방을 향한 선단부 (221) 부근을 카드 수용공간 (46) 의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한다.
금속 커버 (50) 의 일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그라운드편 (6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전체로서 대략 직사각형의 바퀴모양을 이룬다. 그라운드편 (60) 은 IC 카드를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그리고 카드 수용공간 (46) 에 삽입된 IC 카드 표면 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의 수직 상방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적어도 카드 수용공간 (46) 측에서 카드 수용공간 (46) 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그라운드편 (60) 은 그라운드 단자 (32, 33) 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이 그라운드 단자 (32) 와의 접촉을 통해 IC 카드를 그라운드 (6) 에 접속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라운드편 (60) 의 선단부는 선단부 부근을 절곡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선단부의 선단에는 더 하방으로 돌출하는 곡면상 볼록부 (62) 가 압연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편 (60) 은 이 곡면상 볼록부 (62) 를 통하여 예를 들어 항상 (적어도 카드 수용공간 (46) 에 IC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그라운드 단자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 그라운드편 (60) 의 끝 부근에는, 금속 커버 (50) 의 일부를 변형함으로써 카드 규제부 (6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드 규제부 (63) 는 릴리프 구멍 (59) 의 내측을 향해 카드 수용공간 (46) 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IC 카드 표면상의 그라운드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9 에, 도 7, 도 8 에 나타낸 카드용 커넥터의 변형예, 특히 절연케이스에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도 9 는 변형한 절연케이스 (40) 에 컨택트 단자 (30∼34) 만 고정한 상태를 카드삽입측의 비스듬히 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절연케이스 (40) 를 사용하여 고정부의 위치를 증감시키고, 분할 스프링편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서 공진주파수의 설정이 변경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변위시에 그들이 절연케이스 (40) 에 고정되는 위치에 주목한다. 이들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원래 길이 (형상) 는 동일한 상태로 진동시의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실질적인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특히 전원 단자 (31) 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물론 이 변형예는 다른 컨택트 단자 (30, 32, 33, 34) 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도 9 의 예에서는, 일방의 분할 스프링편, 예를 들어 비틀림을 가한 분할 스프링편 (310') 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절연케이스 (40) 에 의한 전원 단자 (31) 의 고정부분의 경계 (80) 는 그 상부를 제거한 상태로 되어 있고, 타방의 분할 스프링편, 예를 들어 비틀림을 가하고 있지 않은 분할 스프링편 (310) 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절연케이스 (40) 에 의한 전원 단자 (31) 의 고정부분의 경계 (83) 는 그 선단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결과, 분할 스프링편 (310') 이 상방으로 변위할 때 그것이 절연케이스 (40) 에 유지되는 위치 (81) 는 타방의 분할 스프링편 (310) 이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변위할 때 그것이 마찬가지로 절연케이스 (40) 에 유지되는 위치 (82) 에 비하여 분할 스프링편 (310') 에서 보다 기단측이 되고, 그 때문에 상방으로 변위할 때 일방의 분할 스프링편 (310') 은 타방의 분할 스프링편 (310) 보다도 더 긴 스프링 길이로 변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는 그 상방으로 변위할 때에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길이가 서로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이들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공진주파수는 서로 다르게 된다. 물론, 분할 스프링편 (310') 대신에 분할 스프링편 (310) 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하여 그 상부의 절연케이스 (40) 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해도 되고, 반대로 분할 스프링편 (310) 대신에 분할 스프링편 (310') 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하여 그 선단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고정한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그들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의 상부가 아니 라 하부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하부를 튀어나오게 함으로써, 분할 스프링편을 하측으로부터 유지하여 고정하는 위치를 분할 스프링편 (310, 310') 사이에서 다르게 해도 된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절연케이스 (40) 에서의 비교적 작은 설계변경만으로 분할 스프링편의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완전히 동일한 형상, 재질, 치수로 타발한 분할 스프링편에 완전히 동일한 각도, 위치에서 거울상으로 비틀림을 가한 경우에도 그들 공진주파수를 용이하게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0 에 도 9 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9 의 추가적인 변형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특히, 전원 단자 (31B) 에 대해서는 일방의 분할 스프링편 (310B') 에 비틀림을 가한 것에 더하여, 추가로 비틀림을 가하지 않은 분할 스프링편 (310B) 을 비틀림을 가한 분할 스프링편 (310B') 보다도 길게 한 것, 다시 말해 비틀림에 더하여 분할 스프링편 (310B, 310B') 의 길이에도 변경을 가하여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 (32) 에 대해서는, 일방의 분할 스프링편 (320B') 에 비틀림을 가한 것에 더하여, 추가로 비틀림을 가하지 않은 분할 스프링편 (320B) 을 분할 스프링편 (320B') 보다도 얇게 설정한 것, 다시 말해 비틀림에 더하여 분할 스프링편 (320B, 320B') 의 두께에도 변경을 가하여 공진주파수를 다르게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두께의 변경은 압연, 도금 처리, 금속판의 부가 등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10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원 단자 (31B) 에 대해서는 길이의 설정을 변경하고, 그라운드 단자 (32) 에 대해서는 두께의 설정을 변경하였지만, 두 께와 길이 쌍방의 설정 변경을 전원 단자 (31B) 또는 그라운드 단자 (32) 양쪽 모두 해도 된다. 또,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종래와 같이 이들의 조합, 그리고 폭이나 재질의 설정변경을 적용해도 된다. 이들의 어떠한 조합도 가능하다.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과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사이는 단순히 상하방향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와 후단 스프링편 유닛 (223) 사이 대신에 그들 선단 스프링편 유닛 (221) 과 중간 스프링편 유닛 (222) 사이에 비틀림을 가하도록 해도 되고, 그들 쌍방에 비틀림을 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단자 (31) 와 그라운드 단자 (32) 에 변형을 가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물론 신호 단자 (30) 에 그러한 변형을 추가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틀림」에는 분할 스프링편을 절곡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는 비틀림도, 또 절곡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그대로의 위치에서 비틂으로써 형성되는 비틀림도 포함된다. 추가하여 말하자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틀림」이란 분할 스프링편 (대응접촉부) 의 단면을 그 연장방향에서 보았을 때 비틀림을 가한 뒤의 상태가 비틀림을 가하기 전의 상태와 비교하여 단순히 분할 스프링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상하 이동에 관계없이 전자의 상태가 후자의 상태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것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PDA, PC, 디지털카메라 등 카드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의 컨택트 단자, 또한 그들 기기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외팔보형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카드용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드용 컨택트 단자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장전되었을 때 각각 선단 부근에 카드측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대응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 중 1 이상의 분할 스프링부에 비틀림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일부에 가해져 있는 카드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전체에 가해져 있는 카드용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상기 분할 스프링부를 그 분할 스프링부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상기 분할 스프링부를 비틀어서 형성되어 있는 카드용 커넥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또는 그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분할 스프링은 서로 다른 공진주파수를 갖는 카드용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스프링부의 고정 위치를 다른 분할 스프링부에서의 고정위치와 다르게 하고,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경한 카드용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내측에 가해져 있는 카드용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이 외측에 가해져 있는 카드용 커넥터.
  10. 외팔보형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카드용 커넥터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프린트 배선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드용 컨택트 단자에 있어서, 상기 카드용 커넥터에 카드가 장전되었을 때 각각 선단 부근에 카드측 접촉 부와 접촉할 수 있는 대응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을 분할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스프링부 중 1 이상의 분할 스프링부에 비틀림이 가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KR1020050032801A 2004-04-27 2005-04-20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KR200600472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1454A JP4020885B2 (ja) 2004-04-27 2004-04-27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ド用コンタクト端子
JPJP-P-2004-00131454 2004-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81A true KR20060047281A (ko) 2006-05-18

Family

ID=3493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801A KR20060047281A (ko) 2004-04-27 2005-04-20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7751B2 (ko)
EP (1) EP1592088A3 (ko)
JP (1) JP4020885B2 (ko)
KR (1) KR20060047281A (ko)
CN (1) CN100452545C (ko)
TW (1) TWI2834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98A (ko) 2019-04-24 2020-11-03 윤종오 카르복실산으로 유기화된 규소 이온 복합체 및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075B2 (ja) * 2004-01-26 2009-12-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JP5292665B2 (ja) * 2005-10-31 2013-09-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4810998B2 (ja) * 2005-11-30 2011-11-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接続端子及び電子部品の接続装置
US7578675B2 (en) * 2007-12-12 2009-08-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used in electrical connector
JP5086853B2 (ja) 2008-03-18 2012-11-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5232555B2 (ja) * 2008-07-23 2013-07-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モジュール
JP5232559B2 (ja) * 2008-07-29 2013-07-1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モジュール
US7559811B1 (en) * 2008-09-30 2009-07-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erminal with reduced contact tip
JP5110442B2 (ja) * 2009-03-05 2012-12-26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5557518B2 (ja) 2009-12-18 2014-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
JP2011216439A (ja) * 2010-04-02 2011-10-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用弾性コンタクト片及びそれを備えるカードコネクタ
JP5810815B2 (ja) * 2010-11-25 2015-11-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接続端子
CN202111238U (zh) * 2011-04-01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2957010B (zh) * 2011-08-18 2015-12-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5742741B2 (ja) * 2012-02-06 2015-07-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
TWI470875B (zh) * 2012-09-07 2015-01-2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提升接觸點可靠性之連接端子及其製造方法
TWI491887B (zh) * 2013-01-21 2015-07-11 Mjc Probe Inc 探針模組
JP5798214B2 (ja) * 2013-06-17 2015-10-2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ソケットのための接触端子
US9706674B2 (en) 2014-02-04 2017-07-11 Covidien Lp Authentication system for reusable surgical instruments
CN104953316B (zh) * 2014-03-24 2018-04-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卡连接器
US9525259B2 (en) * 2014-04-02 2016-1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ctrical contactor
CN105098415B (zh) * 2014-05-07 2017-12-05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端子座与电子卡连接器
US9583898B2 (en) * 2014-12-30 2017-02-28 Gibson Brands, Inc. Multiple contact jack
US9653859B1 (en) * 2016-04-11 2017-05-1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6861603B2 (ja) * 2017-09-25 2021-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CN107968274A (zh) * 2017-11-06 2018-04-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端子及其制造方法
CN107994368A (zh) * 2017-11-06 2018-05-0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端子及其制造方法
CN110202339B (zh) * 2019-07-05 2023-12-26 北京金雨科创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接线端子夹爪
AT522822B1 (de) * 2019-08-07 2021-12-15 Neutrik A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110444976A (zh) * 2019-09-03 2019-11-12 东莞丽丝智能科技有限公司 便携卷发器的电源线可拆装结构
CN111048929A (zh) * 2019-12-11 2020-04-21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连接器簧片头部结构和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3433A (en) * 1971-01-18 1974-01-01 Litton Systems Inc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S60109188A (ja) * 1983-11-16 1985-06-14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277607A (en) * 1993-01-15 1994-01-1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ontacts which wipe against each other
US5634819A (en) * 1996-01-16 1997-06-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5692928A (en) * 1996-05-10 1997-12-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US6149466A (en) * 1997-05-13 2000-11-2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mpact smart card electrical connector
US6888362B2 (en) * 2000-11-09 2005-05-03 Formfactor, Inc. Test head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lurality of contoured microelectronic spring contacts
US6227917B1 (en) * 1999-08-23 2001-05-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tact structure for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JP3507434B2 (ja) 2000-07-21 2004-03-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US6672886B2 (en) * 2000-12-21 2004-01-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JP4181307B2 (ja) * 2001-01-19 2008-11-1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815422B2 (ja) * 2001-09-26 2006-08-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98A (ko) 2019-04-24 2020-11-03 윤종오 카르복실산으로 유기화된 규소 이온 복합체 및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6208A (en) 2005-11-01
CN100452545C (zh) 2009-01-14
EP1592088A2 (en) 2005-11-02
CN1722527A (zh) 2006-01-18
US20050181683A1 (en) 2005-08-18
JP4020885B2 (ja) 2007-12-12
EP1592088A3 (en) 2008-10-01
TWI283499B (en) 2007-07-01
US6997751B2 (en) 2006-02-14
JP2005317262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281A (ko) 카드용 커넥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카드용 컨택트 단자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JP5049003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KR100753922B1 (ko) 커넥터
US7794232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N101584086B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US7427206B2 (en) Card connector
KR100753923B1 (ko)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381691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7108530B2 (en) Card fitting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card receiving portions and yet capable of being reduced in size
EP2330689A1 (en) Ic card connector
US20130017729A1 (en) Floating connector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strength
JP2002216914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40180576A1 (en) Connector in which a lock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a housing is formed inside a contact
EP3722919B1 (en) Memory socket protecting cover and memory socket assembly
JP3431554B2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0536239C (zh) 卡连接器
US20060057893A1 (en) Card connector prevented from short-circuiting between a ground line and a signal line
JP2007287589A (ja) 電気コネクタ
JP2005183074A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517651B1 (ko) 심 슬라이드 커넥터에 설치되는 접속핀
JP4162509B2 (ja) カードアダプタ
WO2019108530A1 (en) Card socket
US20050266715A1 (en) Card connector
KR20160087739A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