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739A -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739A
KR20160087739A KR1020150175047A KR20150175047A KR20160087739A KR 20160087739 A KR20160087739 A KR 20160087739A KR 1020150175047 A KR1020150175047 A KR 1020150175047A KR 20150175047 A KR20150175047 A KR 20150175047A KR 20160087739 A KR20160087739 A KR 2016008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card
housing
contact
c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츠지
카츠히코 고바야시
토쿠히로 하야시모토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6008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콘택트의 버클링이나 파손이 확실히 방지되는 카드 커넥터 및 그 카드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를 제공한다.
콘택트(50)는 제1연재부(51), 반환부(52) 및 제2연재부(53)를 갖는다. 제1연재부(51)는 제1단(511)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삽입된 카드에 밀려 탄성 변형하도록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활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반환부(52)는 제2단(512)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되어 있다. 제2연재부(53)는 반환부(52)에서 반환되어 이번에는 제1단(511)을 향해 한층 더 연장되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반환부가 삽입된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Card Connector and Contact}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 및 그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카드는 동일 기능 혹은 추가 기능을 구비하면서 소형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서 그보다 소형인 나노 SIM 카드로 이행되는 과정에 있다.
이하에서는 마이크로 SIM 카드와 나노 SIM 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마이크로 SIM 카드에 적합한 카드 커넥터를 탑재한 기기로서, 그보다 소형인 나노 SIM 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 사용법은 일반적으로 그 기기를 제조 또는 판매하고 있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회사 등과 같은 회사의 보증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자기 책임하에 행해지고 있다.
이 사용법은 어댑터가 사용된다. 해당 어댑터는 마이크로 SIM 카드에 상당하는 치수를 가지며, 나노 SIM 카드를 탑재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어댑터에 나노 SIM 카드를 탑재하여 어댑터를 마이크로 SIM 카드용 카드 커넥터에 삽입한다. 이렇게 하여 마이크로 SIM 카드에 적합한 카드 커넥터로 나노 SIM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카드의 삽입 및 배출 방향 내측에 자유단을 갖는 외팔보형상의 콘택트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용도에 사용되는 어댑터에는 치수 등의 규격이 없다. 이 때문에 어댑터에 따라서는 해당 어댑터와 해당 어댑터에 장착된 나노 SIM 카드와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나노 SIM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어댑터가 카드 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일단 삽입된 어댑터를 카드 커넥터로부터 뽑아내고자 하는 때에 콘택트의 자유단이 그 단차에 걸릴 우려가 있다.
콘택트의 자유단이 단차에 걸리면 콘택트가 버클링(buckling)되거나 혹은 파손되어 카드 커넥터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사용자의 자기 책임이라고는 하지만 그와 같은 고장이 없는 카드 커넥터가 요구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외팔보 형상을 갖고 자유단이 두 갈래로 나뉘어진 콘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콘택트의 두 갈래로 나뉘어진 2가닥의 자유단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즉 짧은 쪽의 자유단을 높게 해 두어 카드와의 접속을 담당하게 하고 있다.
긴 쪽의 자유단은 카드 배출 시에 카드 혹은 어댑터에 닿아 휨으로써 짧은 쪽의 자유단을 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높이가 높은 짧은 쪽의 자유단에 대해서도 걸림 방지가 기대된다.
(특허문헌 1) JP2012-129028 A
(특허문헌 2) JP5594919 B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자유단이 두 갈래로 나뉘어진 콘택트의 경우 콘택트의 공차를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 중에 콘택트의 자유단이 변형될 가능성도 있어 걸림을 확실히 방지하기에는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콘택트의 버클링이나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카드 커넥터 및 그 카드 커넥터에 채용되는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 및 배출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금속판의 펀칭 및 휨 가공을 거쳐 형성된 것이며, 하우징에 제1단이 고정되어 삽입된 카드에 밀려 탄성 변형하도록 삽입 및 배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연장되는 제1연재부와, 제2단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된 반환부와, 상기 반환부에서 반환되어 제1단을 향해 연장되어 하우징에 고정된 제2연재부를 갖고, 상기 반환부가 삽입된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는 제1연재부의 제1단과 반환부에서 반환하여 제1단으로 향하는 제2연재부의 양쪽이 하우징에 고정된 콘택트가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은 원천적으로 회피되고, 콘택트의 버클링이나 파손이 확실히 방지된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반환부를 갖고, 해당 반환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상기 콘택트는 제1연재부가 카드에 밀리면, 해당 반환부 및 그 주변이 휜다. 상기 휨에 의해 제1연재부가 밀림으로써 제1연재부의 삽입 및 배출 방향의 신장이 흡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제1연재부의 제2단 측은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고, 반환부는 제1연재부의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된 선단의 제2단에서 모두가 횡방향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환된 형상을 갖고, 제2연재부는 반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환된 양쪽이 제1단을 향해 연장되고, 양쪽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재부의 제2단 측이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되고, 반환부에 있어서 모두가 횡방향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환함으로써 제1연재부의 연장이 좌우 균등하게 분산된다. 이에 의해 제1연재부가 한층 안정적으로 신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콘택트는 금속판의 펀칭 및 휨 가공을 거쳐 형성되어, 삽입 및 배출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에 지지되는 콘택트이며, 하우징에 제1단이 고정되어 삽입된 카드에 밀려 탄성 변형하도록 삽입 및 배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연장되는 제1연재부와, 제2단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된 반환부와, 반환부에서 반환하여 제1단을 향해 연장되어 하우징에 고정된 제2연재부를 갖고, 상기 반환부가 삽입된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에 의하면, 콘택트의 버클링이나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중의 1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은 1개의 콘택트이며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매립되어 있는 부분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와 같은 1개의 콘택트를 도 2와는 역방향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로서의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표면 실장되는 형태의 커넥터이다. 또한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카드의 일례인 마이크로 SIM 카드가 삽입되는 커넥터이다.
상기 카드 커넥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조립체(20)와 금속제의 쉘(30)을 갖는다. 그들 하우징 조립체(20)와 쉘(30)과의 사이에는 마이크로 SIM 카드(미도시)가 삽입되는 카드삽입구(11)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SIM 카드는 카드삽입구(11)로부터 화살표(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삽입된다.
하우징 조립체(20)에는 카드삽입구(11)의 안쪽에 삽입된 마이크로 SIM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20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조립체(20)는 하우징(40)과 그 하우징(40)에 대해 인서트 성형된 복수의 콘택트(50)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중의 1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는 하우징의 상기 1개 콘택트의 지지를 담당하는 부분도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3은 도 2와 같은 1개의 콘택트이며,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에 매립되어 있는 부분도 나타낸 사시도이다.
더욱이 도 4는 도 2와 같은 1개의 콘택트를 도 2와 역방향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 2 ~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F)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F)와 그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50)는 금속판의 펀칭 및 휨 가공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콘택트(50)는 제1연재부(51), 반환부(52), 및 제2연재부(53)를 갖는다.
제1연재부(51)는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활모양, 즉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연재부(51)는 화살표(F) 방향으로 삽입된 마이크로 SIM 카드(미도시)에 밀려 탄성 변형하고, 마이크로 SIM 카드의 이면에 설치된 패드(미도시)에 탄성 접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재부(51)의 제1단(511)은 성형에 의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연재부(51)는 제1단(511)에서 떨어진 제2단(512) 측이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반환부(52)는 제2단(512)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연재부(51)가 두 갈래로 분기하고 있기 때문에 반환부(52)도 2개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반환부(52)는 2개로 나뉘어진 어느 것이나 모두 횡방향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환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반환부(52)는 삽입된 마이크로 SIM 카드(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2~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의 하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연재부(53)는 반환부(52)에서 반환된 후, 이번에는 제1단(511)을 향해 한층 더 연장되고, 성형에 의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연재부(53)도 2개 설치되어 있어, 반환부(52)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환된 양쪽이 제1단(511)을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재부(53)는 제1단(511)을 향해 연장된 양쪽이 하우징(4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10)에 마이크로 SIM 카드가 삽입되면, 제1연재부(51)의 활모양으로 팽출된 부분이 마이크로 SIM 카드에 밀린다. 그러면 상기 제1연재부(51)는 탄성 변형에 의해 평면에서 본 때 화살표(F)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이 때 반환부(52)나 상기 반환부(52) 근방의 부분도 탄성 변형하고, 제1연재부(51)의 화살표(F)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즉 이들 탄성 변형에 의해 제1연재부(51)는 삽입된 마이크로 SIM 카드로 적절한 접촉 압력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드 커넥터(10)는 적절한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양 외팔보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카드 커넥터(10)에서는 마이크로 SIM 카드나 나노 SIM카드용 어댑터에 대한 걸림이 원천적으로 회피된다. 따라서 상기 카드 커넥터(10)에서는 콘택트(50)의 버클링이나 파손이 확실히 방지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10)에 채용 가능한 변형예로서의 콘택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 ~ 도 4와 같은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 ~ 도 4에 나타낸 콘택트(50)는 상기 반환부(52)가 하향 및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에 대해 상기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콘택트(50)에서는 상기 반환부(52)는 비스듬히 하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하우징(40)의 두께를 줄여 한층 콤팩트한 카드 커넥터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연재부(51)의 제2단(512) 측이 두 갈래로 분기하고, 이에 수반하여 반환부(52) 및 제2연재부(53)도 각각 2개 설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연재부(51)는 두 갈래로 분기할 필요는 없고, 1개라도 좋다. 따라서 반환부(52) 및 제2연재부(53)도 2개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반환부(52)는 횡방향으로 좌우 어느 한 쪽에만 전환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제2연재부(53)도 한 개만 있어도 좋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 SIM 카드는 화살표(F) 방향으로 삽입된다. 다만 화살표(F)와는 반대방향으로, 즉 제2단(512)측부터 삽입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 카드 커넥터   20: 하우징 조립체
30: 쉘 40: 하우징
50: 콘택트 51: 제1연재부
511: 제1단 512: 제2단
52: 반환부 53: 제2연재부

Claims (3)

  1. 삽입 및 배출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지지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금속판의 펀칭 및 휨 가공을 거쳐 형성된 것이며,
    상기 하우징에 제1단이 고정되어, 삽입된 카드에 밀려 탄성 변형하도록 상기 삽입 및 배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연장되는 제1연재부;
    제2단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된 반환부; 및
    상기 반환부에서 반환되어 상기 제1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연재부;를 갖고,
    상기 반환부는, 삽입된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재부의 상기 제2단 측은,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반환부는, 상기 제1연재부의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된 선단의 제2단에서 모두 횡방향이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환된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연재부는, 상기 반환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환된 양쪽이 상기 제1단을 향해 연장되고, 양쪽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금속판의 펀칭 및 휨 가공을 거쳐 형성되고, 삽입 및 배출 방향의 안쪽 방향으로 삽입된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에 지지되는 콘택트이며,
    상기 하우징에 제1단이 고정되어, 삽입된 카드에 밀려 탄성 변형하도록 상기 삽입 및 배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팽출하여 연장되는 제1연재부;
    제2단에서 횡방향으로 반환된 반환부; 및
    상기 반환부에서 반환된 상기 제1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연재부를 갖고,
    상기 반환부는, 삽입된 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KR1020150175047A 2015-01-14 2015-12-09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KR20160087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5153 2015-01-14
JP2015005153A JP2016131110A (ja) 2015-01-14 2015-01-14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739A true KR20160087739A (ko) 2016-07-22

Family

ID=5640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047A KR20160087739A (ko) 2015-01-14 2015-12-09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131110A (ko)
KR (1) KR20160087739A (ko)
CN (1) CN105789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34B1 (ko) * 2019-05-08 2020-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028A (ja) 2010-12-14 2012-07-05 Tyco Electronics Japan Kk 検出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5594919B1 (ja) 2013-08-16 2014-09-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36413Y (zh) * 2008-12-04 2009-10-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2957021A (zh) * 2012-12-04 2013-03-06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手机sim卡连接器
JP5852056B2 (ja) * 2013-06-28 2016-02-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ンタクト
CN204045787U (zh) * 2014-08-22 2014-12-24 东莞杰思实业有限公司 卡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9028A (ja) 2010-12-14 2012-07-05 Tyco Electronics Japan Kk 検出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JP5594919B1 (ja) 2013-08-16 2014-09-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コンタク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34B1 (ko) * 2019-05-08 2020-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31110A (ja) 2016-07-21
CN105789948A (zh)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002B1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KR101611025B1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US9774359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9780469B2 (en) Card connector enabling the use of various types of cards
EP2821939A1 (en) SIM card connector
KR102398557B1 (ko) 카드 커넥터
JP200800452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US9236678B2 (en) Contact terminal for card socket
CN204376001U (zh) 连接器
US10374337B2 (en) Terminal block
CN105449411A (zh) 卡连接器
CN100536239C (zh) 卡连接器
KR20160087739A (ko) 카드 커넥터 및 콘택트
JP2012123976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5201365A (ja) コネクタ
JP4571028B2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5449395A (zh) 卡插件
CN210928146U (zh) 电路板结构及具有该电路板结构的连接器
JP5957104B2 (ja) コネクタ
KR101320597B1 (ko)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CN103474837A (zh) 电连接器
GB2360640A (en) Connector for smart card
EP3067822B1 (en) Smart card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961434B1 (ko) 컨택트의 구조가 개선된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JP2016213127A (ja) カード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