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557B1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557B1
KR102398557B1 KR1020150040290A KR20150040290A KR102398557B1 KR 102398557 B1 KR102398557 B1 KR 102398557B1 KR 1020150040290 A KR1020150040290 A KR 1020150040290A KR 20150040290 A KR20150040290 A KR 20150040290A KR 102398557 B1 KR102398557 B1 KR 10239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card connector
contact portion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423A (ko
Inventor
마오 루
구오시아오 쉔
윤헤 왕
지퀴앙 리
용펭 마
지안펭 왕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내부에 전기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로서, 이 카드 커넥터는 : 베이스; 및 베이스에 제공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부들은 :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는 전기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부분;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부분에서 교차하는 2 개의 탄성 아암들을 갖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2 개의 탄성 아암들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에지들의 정점으로서 기능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을 통과하고 카드 삽입 방향(I)에 수직인 평면의 양측들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 {CARD CONNECTOR}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중국 특허청에 2014년 3월 24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410110854.5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그 전체 개시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를 카드 커넥터에 꽂거나(plugging into) 빼는(plugging out) 동안 접촉부들이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접촉부(1)들은 카드(100)의 삽입 방향(A)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접촉부(1)들은 단일 탄성 아암(1b) 그리고 탄성 아암(1b)의 단부에 접촉 부분(1a)을 포함한다.
접촉부(1)가 도 1의 종이 시이트(paper sheet)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성 아암(1b)은 충분히 큰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그 결과, 카드 삽입 방향(A)으로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1a)들 사이의 거리(d1)는 더 길게 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리(d1)는 7.62㎜ 와 동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카드 삽입 방향(A)으로 전체 커넥터의 총 길이를 증가시킨다.
또한, 각각의 접촉부(1)가 단지 단일 탄성 아암(1b)을 포함하기 때문에, 접촉부(1)의 접촉 부분(1a)은 카드(100) 또는 카드 트레이에 의해 긁힐 수 있으며 접촉부(1)는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를 커넥터에 꽂거나 빼는 동안, 특히 빈 카드 트레이를 커넥터로부터 빼는 동안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단점들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극복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내부에 전기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카드 커넥터는 : 베이스; 및 베이스에 제공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부들은 :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는 전기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부분;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부분에서 교차하는 2 개의 탄성 아암을 갖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2 개의 탄성 아암들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에지들의 정점(vertex)으로서 기능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을 통과하는 평면의 양측들에 위치되고 카드 삽입 방향에 수직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V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은 V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이트형 부재가 삼각형 지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부분의 2 개의 탄성 아암들 사이에 연결되고, 시이트형 부재에는 회로 보드에 접촉부를 납땜하기 위한 납땜 부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U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은 U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들의 각각의 각도는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접촉부의 2 개의 탄성 아암들 중 하나는 카드 삽입 방향의 평면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카드 삽입 방향의 평면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의 2 개의 탄성 아암들 중 하나의 각도는 평면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의 2 개의 탄성 아암들 중 다른 하나의 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들의 각각의 각도는 45도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촉부들의 접촉 부분들은 카드 삽입 방향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2 개의 열들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촉부들의 접촉 부분들은 카드 삽입 방향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2 개의 열들로 배열되고, 복수의 접촉부들의 지지 부분들은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의 양측들에 교대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들 사이의 거리는 라인의 돌출된 접촉 부분들의 열의 하나의 측의 지지 부분들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지지 부분들의 2 개의 인접한 탄성 아암들의 총 길이 미만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접촉부의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평면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며,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은 3 개 또는 4 개의 접촉 부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들 사이의 거리는 2.54㎜ 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는 내부에 전기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접촉부들의 접촉 부분들은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접촉부들은 접촉부들의 2 개의 그룹들을 포함하고, 접촉부들 중 하나의 그룹은 각각의 전기 카드와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되며, 접촉부들 중 다른 그룹은 다른 각각의 전기 카드와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발명의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카드 커넥터와 매칭하는 SIM 카드가 또한 카드 커넥터 아래에 도시되는 종래 기술의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5는 카드 커넥터와 매칭하는 SIM 카드가 또한 카드 커넥터 아래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6은 카드 커넥터의 케이스가 제거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카드 커넥터 안으로 SIM 카드를 삽입하는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8은 카드 트레이가 카드 커넥터로부터 부분적으로 빼내어지고, 카드 어댑터가 카드 트레이에 제공된, 도 6의 카드 커넥터의 다른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a는 도 8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top view)이고, 도 9b는 도 9a의 라인 B-B으로 취해진 카드 커넥터의 횡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카드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2 개의 국부적인 부분들의 예시적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카드 커넥터에 적응되는 카드 트레이를 도시하고;
도 11은 도 6의 카드 커넥터에 적응되는 카드 트레이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후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명시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이 제공되어서 본 개시가 완전하고 완벽하게 될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개념을 충분히 전달하게 될 것이다.
이후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설명된다. 하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주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이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내부에 전기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카드 커넥터는 : 베이스; 및 베이스에 제공되는 복수의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부들은 :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는 전기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부분;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부분에서 교차하는 2 개의 탄성 아암을 갖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2 개의 탄성 아암들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에지들의 정점(vertex)으로서 기능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접촉 부분을 통과하는 평면의 양측들에 위치되고 전기 카드가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는 카드 삽입 방향에 수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배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상의 접촉부들의 다른 배열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드 커넥터는 내부에 전기 카드, 예컨대 SIM 카드(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카드 커넥터는 베이스(10)를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복수의 접촉부(20)들이 베이스(10)에 제공된다. 베이스(10)는 내부에 전기 카드(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전기 카드(100)는 카드 삽입 방향(A)으로 수용 공간 안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접촉부(20)는 전기 카드(100)에 각각의 패드(11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부분(22), 및 접촉 부분(22)이 정점에 위치되는 지지 부분(24)을 포함한다. 지지 부분(24)은 수용 공간 안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한다(도 6 참조). 지지 부분(24)은 베이스(10)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부분(22)에서 교차하는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을 갖는다. 접촉 부분(22)은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에지들의 정점으로서 기능한다.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접촉 부분(22)을 통과하고 카드 삽입 방향(A)에 수직인 평면(P)의 양측들에 위치된다. 예컨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P)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에서 직선으로서 도시된다.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이 평면(P)의 양측들에 위치되는 것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탄성 아암(242)은 카드 삽입 방향(A)에서 후방 탄성 아암으로서 간주되고, 탄성 아암(242)은 카드 삽입 방향(A)에서 전방 탄성 아암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SIM 카드(100)가 카드 삽입 방향(A)으로 삽입될 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드(100)는 먼저 지지 부분(24)의 전방 탄성 아암(244)과 접촉하고 전방 탄성 아암(244)을 아래로 프레스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부분(24)은 점진적으로 아래로 프레스되고, 지지 부분(24)의 접촉 부분(22)은 하방으로 변위되어서, 카드(100)가 지지 부분(20)(또는 접촉부(20)) 위로 미끄럼할 수 있게 된다. 전방 탄성 아암(244)은, 접촉 부분(22)(또는 접촉부(20))이 카드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카드 삽입 방향(A)으로 카드를 삽입하는 동안 지지 부분(20)(또는 접촉부(20)) 위로 미끄럼하도록 카드(100)를 안내한다.
유사하게, SIM 카드(100)가 카드 삽입 방향(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커넥터로부터 빼내어질 때, 카드는 먼저 지지 부분(24)의 후방 탄성 아암(242)과 접촉하고 후방 탄성 아암(242)을 아래로 프레스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부분(24)은 점진적으로 아래로 프레스되고, 지지 부분(24)의 접촉 부분(22)은 하방으로 변위되어서, 카드(100)가 지지 부분(20)(또는 접촉부(20)) 위로 미끄럼할 수 있게 된다. 후방 탄성 아암(242)은, 접촉 부분(22)(또는 접촉부(20))이 카드에 의해 긁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카드 삽입 방향(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카드를 빼내는 동안 지지 부분(20)(또는 접촉부(20)) 위로 미끄럼하도록 카드(100)를 안내한다.
탄성 아암(242)과 탄성 아암(244)이 평면(P)의 양측들에 각각 위치되기 때문에, 카드는 카드 삽입 방향(A)이든 또는 카드 빼냄 방향이든지 각각의 접촉부(20)의 탄성 아암(242) 및 탄성 아암(244) 중 하나에 의해 항상 매끄럽게 안내된다.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의 각각의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디자인되는 것을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의 각각의 각도는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를 커넥터에 꽂거나 빼는 동안, 특히 빈 카드 트레이로부터 뺄 때 접촉부의 접촉 부분이 긁히고 접촉부가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카드 트레이(200)가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거나 커넥터로부터 빼내어지는 경우에 또한 적용된다. 즉, 카드 트레이(200)의 프레임은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및 244) 중 하나에 의해 항상 매끄럽게 안내되고 접촉부(20)의 접촉 부분 또는 다른 부분을 긁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드 트레이(200)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부분적으로 빼내어지고, 카드 어댑터(210)가 카드 트레이(200)에 장착된다. 카드 어댑터(210)에 장전되는 대신, 카드 트레이(200)에 SIM 카드를 직접 장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9a는 도 8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라인 B-B에서 취해진 카드 커넥터의 횡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카드 커넥터의 횡단면도의 2 개의 국부적인 부분들의 예시적인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8의 카드 커넥터에 적응되는 카드 트레이가 도 11에 도시되고, 도 5의 카드 커넥터에 적응되는 카드 트레이는 도 10에 도시된다.
도 8, 도 9a 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드 트레이(200)가 카드 커넥터로부터 빼내어진다면, 카드 트레이(200)의 프레임(220)은 탄성 아암(242)에 맞닿아서 직접 프레스되고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접촉부의 접촉 부분(22)을 구동하여서, 카드 커넥터로부터 카드 트레이(200)를 더 빼내는 동안 접촉부의 접촉 부분(22)이 긁히고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접촉부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및 244)들이 평면(P)의 양측들에 각각 위치되는 한, 접촉부의 접촉 부분(22)이 카드 커넥터로부터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를 빼내는 동안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에 의해 긁히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이트형 부재가 삼각형 지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부분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시이트형 부재에는 회로 보드에 접촉부(20)를 남땜하기 위한 납땜 부분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 부분이 충분한 가요성을 가져야만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실시예에서,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U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은 U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V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22)은 V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각각의 접촉부(20)에 대하여, 탄성 아암(244)이 카드 삽입 방향(A)으로 평면(P)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전방 탄성 아암이라고 지칭되며, 탄성 아암(242)이 카드 삽입 방향(A)으로 평면(P)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후방 탄성 아암이라고 지칭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접촉부의 전방 탄성 아암은 다른 접촉부의 전방 탄성 아암 또는 후방 탄성 아암과 평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접촉부의 후방 탄성 아암은 다른 접촉부의 후방 탄성 아암 또는 전방 탄성 아암과 평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 중 하나의 각도는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 중 다른 하나의 각도와 동일하도록 디자인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P)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의 각각의 각도는 45도로 동일할 수 있고,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평면(P)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들의 각도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대응적으로, 2 개의 탄성 아암들은 상이한 길이들을 가질 수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접촉부(20)들의 모든 접촉 부분(22)들은 2 개의 열들로 그리고 카드 삽입 방향(A)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접촉부(20)들의 모든 지지 부분(24)들은 카드 삽입 방향(A)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2 개의 열들로 또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은 카드 커넥터로부터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를 빼내는 동안 접촉부(20)의 접촉 부분(22)이 카드 또는 카드 트레이에 의해 긁히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요구된다면, 복수의 접촉부(20)들의 접촉 부분(22)들은 3 개 또는 4 개 또는 그 초과의 열들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접촉부(20)들의 모든 접촉 부분(22)들은 2 개의 열들로 그리고 카드 삽입 방향(A)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복수의 접촉부(20)들의 모든 지지 부분(24)들은 4 개의 열들로 배열된다.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각각의 측은 1 열의 지지 부분(24)들로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의 양측들에 배열된 지지 부분들의 2 개의 열들에서, 지지 부분들의 하나의 열의 지지 부분(24)들과 지지 부분들의 다른 열의 지지 부분(24)들은 카드 삽입 방향(A)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부분들의 하나의 열의 지지 부분(24)은 지지 부분들의 다른 열의 지지 부분(24)들 사이의 갭에 배열되고, 이는 카드 삽입 방향(A)으로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22)들 사이의 거리(d2)는 직선에서 돌출되는 접촉 부분(22)들의 열의 하나의 측에 있는 지지 부분들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지지 부분들의 2 개의 인접한 탄성 아암들의 총 길이 미만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22)들 사이의 거리(d2)는 2.54㎜ 와 동일할 수 있고, 즉, 예컨대 카드 삽입 방향(A)으로 SIM 카드(100)의 2 개의 인접한 패드(110)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복수의 접촉부(20)들의 지지 부분들이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양측들에 교대로 배열되고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22)들 사이의 거리가 직선에서 돌출되는 접촉 부분(22)들의 열의 하나의 측에서 지지 부분들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지지 부분들의 2 개의 인접한 탄성 아암들의 총 길이 미만인 경우에, 카드 삽입 방향(A)으로의 카드 커넥터의 총 길이는 최소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접촉부들의 지지 부분들은 접촉 부분들의 각각의 열의 양측들에서 교대로 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접촉부 배열의 수정을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카드와 전기 접속하기 위한 모든 접촉부들은 단일 펀칭(punch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베이스는 오버 몰딩(over molding)에 의해 접촉부들에 몰딩되고, 최종적으로 접촉부들 중에서 접속부들을 절단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님이 당업자에게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많은 수정들이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고, 상이한 실시예들에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이 구성 또는 원리에 모순됨이 없이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비록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그 범주가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원리들 및 사상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단수형이고 관사("a" 또는 "an")로 시작되는 나열된 요소는, 배제가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부가적인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대조적으로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특별한 특성을 갖는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또는 "갖는" 실시예들은 그러한 특성을 갖지 않는 부가적인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내부에 전기 카드(100)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로서,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10)에 제공되는 복수의 접촉부(20)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접촉부(20)들은,
    상기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되는 전기 카드(1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부분(22); 및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연장하고 접촉 부분(22)에서 교차하는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을 갖는 지지 부분(24)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분(22)은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에 의해 형성되는 2 개의 에지들의 정점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접촉 부분(22)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접촉 부분(22)을 통과하고 카드 삽입 방향(A)에 수직인 평면(P)의 양측들에 위치되며,
    상기 전기 카드(100)는 상기 카드 삽입 방향(A)으로 삽입될 때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들 중 하나의 탄성 아암(244) 위로 미끄럼하고, 상기 전기 카드(100)가 상기 카드 삽입 방향(A)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빼내어질 때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들 중 나머지 탄성 아암(242) 위로 미끄럼하는,
    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V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22)은 V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하는,
    카드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시이트형 부재가 삼각형 지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부분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시이트형 부재에는 회로 보드에 대한 접촉부(20)의 납땜을 위한 납땜 부분이 형성되는,
    카드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U 형상 지지 부분을 구성하고, 접촉 부분(22)은 U 형상 지지 부분의 정점으로서 기능하는,
    카드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P)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의 각각의 각도는 20도 내지 60도의 범위이도록 설정되는,
    카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 중 하나는 카드 삽입 방향(A)으로 평면(P)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카드 삽입 방향(A)으로 평면(P)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카드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 중 하나의 각도는 평면(P)에 대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 중 다른 하나의 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카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카드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P)에 대한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의 각각의 각도는 45도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카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20)들의 접촉 부분(22)들은 카드 삽입 방향(A)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2 개의 열들로 배열되는,
    카드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20)들의 접촉 부분(22)들은 카드 삽입 방향(A)에 평행한 2 개의 직선들로 2 개의 열들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접촉부(20)들의 지지 부분들은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양측들에 교대로 배열되는,
    카드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22)들 사이의 거리는 직선에서 돌출되는 접촉 부분(22)들의 열의 하나의 측에 있는 지지 부분들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지지 부분들의 2 개의 인접한 탄성 아암들의 총 길이 미만으로 설정되는,
    카드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부(20)의 2 개의 탄성 아암(242, 244)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평면(P)에 대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며,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은 3 개 또는 4 개의 접촉 부분들을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접촉 부분(22)들의 각각의 열의 2 개의 인접한 접촉 부분(22)들 사이의 거리는 2.54㎜ 로 설정되는,
    카드 커넥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내부에 전기 카드(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20)들의 접촉 부분(22)들은 수용 공간 안으로 돌출하는,
    카드 커넥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20)들은 접촉부들의 2 개의 그룹들을 포함하고, 접촉부(20)들 중 하나의 그룹은 각각의 전기 카드와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되고, 접촉부(20)들 중 다른 그룹은 다른 각각의 전기 카드와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카드 커넥터.
KR1020150040290A 2014-03-24 2015-03-23 카드 커넥터 KR102398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10854.5A CN104953316B (zh) 2014-03-24 2014-03-24 卡连接器
CN201410110854.5 2014-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423A KR20150110423A (ko) 2015-10-02
KR102398557B1 true KR102398557B1 (ko) 2022-05-13

Family

ID=5414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290A KR102398557B1 (ko) 2014-03-24 2015-03-23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78883B2 (ko)
JP (1) JP6861462B2 (ko)
KR (1) KR102398557B1 (ko)
CN (1) CN104953316B (ko)
TW (1) TWI6825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0810B2 (en) 2014-07-01 2017-09-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onic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s to avoid scuffing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KR101969381B1 (ko) * 2017-02-28 2019-04-1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카드 커넥터
US11581673B2 (en) * 2018-02-13 2023-0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rd holder and mobile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93A (ja) * 1999-03-11 2000-12-19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局において追加カードを使用する方法及び手段
JP2007266693A (ja) * 2006-03-27 2007-10-11 Sharp Corp Simカード対応携帯端末装置
JP2009295496A (ja) * 2008-06-06 2009-12-17 Yazaki Syscomplu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端子
JP2012525617A (ja) * 2009-04-28 2012-10-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コネクタ装置
CN203205623U (zh) * 2013-04-17 2013-09-18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贴装于印刷电路板上的超薄型电子卡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835U (ko) * 1990-03-14 1991-12-02
JP3595939B2 (ja) * 2002-03-29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568961B1 (en) * 2002-04-29 2003-05-27 Lear Corporation Wireform contactor assembly
JP4020885B2 (ja) * 2004-04-27 2007-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ド用コンタクト端子
TWI260832B (en) * 2004-09-30 2006-08-21 Advanced Connection Tech Inc Electronic card connector
JP4340645B2 (ja) * 2004-11-29 2009-10-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957983B1 (en) * 2005-01-25 2005-10-25 Taisol Electronics Co., Ltd. Monitoring module of multi-card connector
JP3115835U (ja) * 2005-08-17 2005-11-17 慶盟工業股▲ふん▼有限公司 メモリカード読み取り装置
JP2007149394A (ja) * 2005-11-24 2007-06-1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TWI303902B (en) * 2006-02-10 2008-12-0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ard connector
JP4931441B2 (ja) * 2006-03-03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TWM327108U (en) * 2007-08-29 2008-02-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connector
TWM344602U (en) * 2008-07-01 2008-11-11 Bellwether Electronic Corp Electrical connector
TWM354921U (en) * 2008-11-07 2009-04-11 Tai Sol Electronics Co Ltd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the insertion of card
CN201323274Y (zh) * 2008-11-13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JP2010161012A (ja) * 2009-01-09 2010-07-22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7645166B1 (en) * 2009-06-17 2010-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JP2011165560A (ja) * 2010-02-12 2011-08-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カードコネクタ
US8267704B2 (en) * 2011-02-01 2012-09-18 Transcend Information, Inc. Connector module capable of protecting conductive resilient components thereof
CN103337726A (zh) * 2013-06-17 2013-10-02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芯片卡连接器
CN203398364U (zh) * 2013-08-30 2014-01-1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卡连接器、电子设备和连接端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093A (ja) * 1999-03-11 2000-12-19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局において追加カードを使用する方法及び手段
JP2007266693A (ja) * 2006-03-27 2007-10-11 Sharp Corp Simカード対応携帯端末装置
JP2009295496A (ja) * 2008-06-06 2009-12-17 Yazaki Syscomplu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端子
JP2012525617A (ja) * 2009-04-28 2012-10-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コネクタ装置
CN203205623U (zh) * 2013-04-17 2013-09-18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贴装于印刷电路板上的超薄型电子卡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423A (ko) 2015-10-02
TWI682590B (zh) 2020-01-11
US9478883B2 (en) 2016-10-25
JP6861462B2 (ja) 2021-04-21
CN104953316A (zh) 2015-09-30
JP2015185544A (ja) 2015-10-22
CN104953316B (zh) 2018-04-27
US20150270630A1 (en) 2015-09-24
TW201547111A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557B1 (ko) 카드 커넥터
US7771207B2 (en)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circuit boards
CN110419148B (zh) 用于通信系统的电路卡组件
US10135165B2 (en) Contact structure for high reliability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03557A (ko) 개선된 터미널을 가진 전자카드 커넥터
US9553380B2 (en) Card connector
KR102139188B1 (ko) 커넥터
CN204088671U (zh) 卡连接器
KR101636616B1 (ko) 배선 기판 연결 장치
US9166309B1 (en) Bus bar with connector shroud
US9236678B2 (en) Contact terminal for card socket
CN203826608U (zh) 卡连接器
US9136621B1 (en) Guides and tab arrangement to retain a card having an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CN109155491A (zh) 高速电连接器
EP2846414A1 (en) Connector
CN105261909A (zh) 存储模块插接件
US9905945B2 (en) Connector module and connector blade thereof
CN204391402U (zh) 卡连接器
CN106299781B (zh) 连接器
CN205670585U (zh) 卡缘连接器
CN204103094U (zh) 用于插接电子卡的连接器和端子模组
US20160029499A1 (en) Communication Module
CN105633717A (zh) 卡连接器
CN203942122U (zh) 插座连接器
US20140342613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