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360A - 수직진동자 - Google Patents

수직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360A
KR20060046360A KR1020050046622A KR20050046622A KR20060046360A KR 20060046360 A KR20060046360 A KR 20060046360A KR 1020050046622 A KR1020050046622 A KR 1020050046622A KR 20050046622 A KR20050046622 A KR 20050046622A KR 20060046360 A KR20060046360 A KR 2006004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casing
magnetic fiel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5299B1 (ko
Inventor
최준
박일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299B1/ko
Priority to DE102005026261.9A priority patent/DE102005026261B4/de
Priority to FI20050610A priority patent/FI123709B/fi
Priority to US11/148,200 priority patent/US7038335B2/en
Priority to CN200910165268XA priority patent/CN101653760B/zh
Priority to CN200910207529XA priority patent/CN101683647B/zh
Priority to CNB2005100768799A priority patent/CN100553799C/zh
Priority to CN2009102075285A priority patent/CN101683646B/zh
Priority to FR0506348A priority patent/FR2872069B1/fr
Publication of KR2006004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Abstract

수직진동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가 내부밀폐면에 고정되는 요크를 갖추어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자계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웨이트를 갖추어 상기 자계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상기 자계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에 의하면, 진동부의 과도한 상향진동시 상부구조물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된 진동파형을 얻을 수 있고, 요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을 이용하여 자성유체를 간편하고, 올바르게 정위치시킬 수 있으며, 마그네트와 요크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진동모터, 수직진동자, 케이싱, 요크, 마그네트, 자성유체, 누설자속

Description

수직진동자{A VERTICAL VIBRATOR}
도 1은 일반적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은 일반적인 다기능 엑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수직진동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1실시예에 채용되는 스프링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5실시예에 채용되는 스프링부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a,100b,100c,100d: 수직진동자 110 : 케이싱
115 : 브라켓 116 : 단자부
120 : 자계부 122 : 요크
123 : 안착부 123a : 내주면
124 : 마그네트 126 :하부플레이트
130,130a : 스프링부재 140 : 진동부
142 : 웨이트 150 : 진동발생용 코일
160 : 자성유체 161 : 환고리형 요홈
162 :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 G : 간극
본 발명은 수직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진동부의 과도한 상향진동시 상부구조물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된 진동파형을 얻을 수 있고, 요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을 이용하여 자성유체를 간편하고, 올바르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마그네트와 요크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수직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싱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전체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중 하나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을 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동모터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편평형 또는 코인형(coin type) 진동모터(1)는 고정자(20)에 대하여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자(10)와, 상기 회전자(10)와 고정자(20)를 내부수용하는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20)의 하부기판(21)에 장착되는 브러쉬(25)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한쌍의 브러쉬(25)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유도되며, 상기 브러쉬(25)의 상단은 상기 회전자(10)의 상부기판(11)하부면에 구비되는 정류자(15)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25)와 접촉되는 정류자(15)를 통해 상기 회전자(10)에 구비된 권선코일(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권선코일(12)에 유도되는 전류의 흐름방향에 의한 전기장과 상기 고정자(20)의 구비된 마그네트(22)에 의한 자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0)는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10)의 회전시마다 상기 브러쉬(25)와 이에 접촉하는 정류자(15)의 세그먼트간의 접점이 변하면서 전원극성이 계속적으로 바뀌게 되므로 중량체(13)에 의해 무게중심이 편중된 회전자(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착신신호인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4는 권선코일(12), 중량체(13)를 감싸는 절연물이며, 32는 베어링부재이며, 35는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이다.
이러한 진동모터(1)는 외부전원공급시 편심배치된 중량체를 갖는 회전자(10)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자(10)의 회전력은 대부분이 브러쉬(25)와 정류자(15)간의 접점을 통한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10)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모터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모터의 구동시 상기 브러쉬(25)가 정류자(15)의 세그먼트와 또다른 세그먼트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Spark)및 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블랙파우더(Black Powder)와 같은 이물을 생성하여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종래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진동모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진동계의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음향및 상하진동을 유발시키는 수단인 다기능 엑츄에이터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일반적인 다기능 엑츄에이터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엑츄에 이터(2)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케이스(40)와, 상기 본체케이스(40)의 상부에 장착되고, 신호원에 따라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용 코일(52)을 저면에 장착한 떨림판(50)과, 상부면에 상부플레이트(62)를 장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착자되는 마그네트(6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62), 마그네트(60)가 올려지는 요크(64)와 더불어 진동체를 이루는 웨이트(65)와, 상기 진동체를 본체케이스(40)내에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66)및 상기 진동체의 직하부에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42)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43은 상기 본체케이스(40)의 상부를 덮는 상부케이스이고, 44는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42)이 구비되는 브라켓이다.
이러한 엑츄에이터(2)는 리드선(미도시)을 통해 음향발생용 코일(52) 또는 진동발생용 코일(42)로 각각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음향과 진동을 각각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상기 음향발생용 코일(52)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네트(60), 상부플레이트(62)및 요크(64)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음향발생용 코일(52)사이에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떨림판(50)이 미세하게 떨리면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42)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네트(60), 상부플레이트(62)및 요크(64)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42)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60), 상부플레이트(62), 요크(64) 및 웨이트(65)를 포함하는 진동체가 판스프링(66)을 매개로 하여 매달려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체는 진동발생용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에 따라 진동체의 운동크기가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체의 상하진동폭이 사전에 설정된 값보다 크게 발생되면, 상기 진동체가 상측 구조물인 음향발생용 코일(52)이나 하측 구조물인 진동발생용 코일(42)에 접촉되면서 터치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요크(64)의 하부면에는 상기 진동체와 하부 구조물간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역활을 하는 자성유체(70)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엑츄에이터(2)는 구성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을 소형화하고 단순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엑츄에이터(2)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구성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수직방향의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자(3)가 개발되었다.
도 3은 일반적인 수직진동자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수직진동자(3)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81)과, 하부면에 하부플레이트(83)가 장착되고, 수직으로 착자된 마그네트(8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83), 마그네트(82)와 더불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마그네트(82)가 장착되는 요크(84)와, 상기 요크(84)에 장착되는 웨이트(85)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상하진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싱(81)과 요크(84)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86) 및 상기 케이싱(81)의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88)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용 코일(87)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진동자(3)의 작동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87)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네트(82), 하부플레이트(83) 및 요크(84)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87)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82), 하부플레이트(83), 요크(84) 및 웨이트(85)를 포함하는 진동체가 스프링부재(86)를 매개로 하여 케이싱(81)내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직진동자(3)의 상하진동시 상기 진동체가 사전에 설정된 최대변위값보다 높게 상방으로 변위되면, 상기 스프링부재(86)를 포함하는 진동체가 상부 구조물인 케이싱(8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터치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정적인 상하진동파형을 얻을 수 없고, 작동시 소음을 유발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요크(84)와 이에 본딩접착되는 마그네트(82)간의 결합력이 낮으면, 완제품의 낙하 신뢰성 시험시 상기 마그네트(82)가 요크(84)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제품불량을 빈번하게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진동부의 과도한 상향진동시 발생될 수 있는 부재간의 터치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된 진동파형을 얻을 수 있는 수직진동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요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자성유체의 위치를 간편하고 올바르게 위치시킬 수 있고, 마그네트와 요크간의 결합력을 상승시켜 외부충격에 의한 마그네트의 탈락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수직진동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가 내부밀폐면에 고정되는 요크를 갖추어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자계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웨이트를 갖추어 상기 자계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상기 자계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하는 수직진동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공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에 의해서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횡단면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일정깊이 함몰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크기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환고리형 요홈은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자화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패턴부재이거나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크의 개방측으로 상기 코 일을 거쳐 상기 요크의 하부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형성하도록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크가 삽입배치되는 웨이트의 중앙공에는 상기 웨이트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하부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이 배치되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웨이트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원반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기판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가 내부밀폐면에 고정되는 요크를 갖추어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부 재;
상기 자계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웨이트를 갖추어 상기 자계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상기 자계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자계부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하는 수직진동자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자성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을 관통형성하며, 상기 주입공은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공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에 의해서 밀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횡단면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일정깊이 함몰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크기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는 것이 보다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요홈을 구비하며, 상기 환고리형 요홈은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크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서 자화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요크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패턴부재이거나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크의 개방측으로 상기 코일을 거쳐 상기 요크의 하부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형성하도록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크가 삽입배치되는 웨이트의 중앙공에는 상기 웨이트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하부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이 배치되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웨이트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자성유체가 위치되는 요크의 상부면을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외측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의 외주면에 내측단이 고정되는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판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기판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100)는 상하진동시 위치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하 진동되는 진동부재가 상부구조물과 불필요하게 접촉되어 터치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부재를 누설자속에 의해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이로 인해 진동효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상하진동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진동자(100)는 케이싱(110), 자계부(120), 스프링부재(130), 진동부(140), 진동발생용 코일(150) 및 자성유체(1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110)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용부재이며, 하방으로 개방된 하부는 브라켓(115)에 의해서 밀폐된다.
상기 케이싱(110)에는 일정크기의 주입공(117)을 적어도 하나이상 관통형성하며, 상기 주입공(117)의 크기는 누설자속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자성유체(160)가 상기 주입공의 내경범위내에 위치되지 않고 외측에 위치되도록 마그네트(124)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계부(120)는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요크(122)와 마그네트(124)를 구비하는바, 상기 요크(122)는 상부는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대략적인 중공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124)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부가 서로 다른 극으로 착자되어 일정세기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원통형 영구자석이며, 상기 마그네트(124)는 상기 요크(122)의 내부중심에 고정배치되도록 본딩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요크(122)의 내부공간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부면이 본딩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122)의 내부면과 상기 마그네트(124)의 외부면은 서로 다른 내,외경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요크(122)의 내부면과 상기 마그네트(124)의 외부면사이에는 일정크기의 에어갭(AG)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갭(AG)사이에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50)의 상부단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요크(122)와 마그네트(122)로 이루어지는 자계부는 상기 에어갭(AG)에 의해서 상하진동시 상기 진동발생 용 코일(150)과의 접촉이 방지된다.
상기 마그네트(124)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크(122)의 개방측으로 상기 코일(150)을 거쳐 상기 요크(122)의 하부단부로 흐르는 자력흐름인 자속을 원활하게 형성하도록 하부플레이트(126)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126)의 하부면은 상기 자계부(120)와 웨이트(142)를 포함하는 진동부(140)의 하부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130)는 상기 케이싱(11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120)에 타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이다.
이러한 스프링부재(130)는 도 4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싱(110)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131)과, 상기 고정링(1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다리(132) 및 상기 탄성다리(132)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자계부(120)를 구성하는 요크(122)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14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원반(133)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130)를 매개로 하여 상하진동되는 진동부(140)는 상기 자계부(120)를 구성하는 요크(122)의 외부면에 일체로 장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웨이트(142)를 장착하며, 상기 웨이트(142)의 몸체 중앙부에는 상기 요크(122)의 몸체가 삽입되는 일정크기의 중앙공(143)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중앙공(143)의 내부면 하부단에는 상기 웨이트(142)의 하부이탈을 방지 하도록 상기 요크(122)의 하부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122a)이 배치되는 걸림홈(143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12a)은 상기 웨이트(142)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걸림턱(112a)은 상기 진동부(140)의 최대하강시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50)을 상기 브라켓(115)의 상부면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코일(150)의 하부단외측에 도포되는 본딩재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진동부(140)의 최대 상하진동폭을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142)는 상하진동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면과의 접촉없이 상하진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면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크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면과 상기 웨이트(142)의 외부면사이에는 일정크기의 간극(G)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웨이트(142)는 비중 18이상으로 높고, 마그네트(124)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50)은 상기 자계부(120)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115)의 상부면에 본딩재로서 하부단이 본딩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코일(150)의 상부단은 상기 자계부(12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150)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요크(122)의 내부면과 상기 마그네트(124)의 외부면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AG)에 위치 된다.
상기 브라켓(115)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150)에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양극단자부(116)가 상부면에 형성된 기판부재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자계부(130)를 포함하는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시 고정구조물인 케이싱(110)과 가동구조물인 진동부(140)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대한 억제하고, 접촉시 발생되는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주입공(117)을 통하여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되는 충격흡수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는 상기 요크(122)의 밀폐측 하부면에 장착된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환고리형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변위중 유발될 수 있는 타부재간의 접촉시 발생되는 터치음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트(124)의 누설자속에 의해서 정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24)의 외경은 그 외측테두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환고리형으로 정위치되는 자성유체(160)가 상기 주입공(117)내경범위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주입공(117)이 관통형성되지 않은 케이싱(110)의 하부면과 항상 상하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주입공(117)은 이를 통해 주입된 자성유체(160)의 외부누출이 없도록 표면상에 라벨이 인쇄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118)로서 안전하게 밀폐처리된다.
이러한 자성유체(magnetic fluid)는 액체 속에 자성 분말을 콜로이드모양으로 안정, 분산시킨 다음 중력이나 자기장 등에 의한 자성분말의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으로, 그 예로는 사산화삼철, 철-코발트합금 미분자를 기름, 물속에 분산시킨 것과 최근에는 톨루엔 속에 코발트를 분산시킨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자성 분말은 0.01∼0.02㎛의 초미립자분말이며 초미립자 특유의 브라운운동을 하며, 외부자기장, 중력, 원심력등이 가해져도 유체속의 자성분말 입자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100a)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 자계부(120), 스프링부재(130), 진동부(140), 진동발생용 코일(150)및 자성유체(160)를 포함하며,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계부(120)를 구성하는 요크(122)의 내부공간에 해당하는 밀폐측 하부면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안착부(123)를 함몰형성하며, 상기 안착부(123)에는 상기 마그네트(124)가 요크(122)의 내부중심에 고정배치되도록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 부면이 본딩재를 매개로 하여 본딩접착되고, 상기 안착부(123)는 상기 요크(122)의 프레스성형시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2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부와 대응하는 요크(122)의 밀폐하부면에 함몰형성하여도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과 대응하는 요크(122)의 밀폐상부면에 함몰형성하여도 좋으며 동일한 자속누설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122)에 형성되는 안착부(126)는 상기 마그네트(124)의 횡단면상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착부(123)의 내주면(123a)을 경계로 하여 외측 요크(122)의 두께(T)는 두껍게 형성되는 반면에, 내측 요크(122)의 두께(t)는 얇게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124)에서 제공되는 자속은 상기 코일(160)의 전기장과 쇄교한 다음 상기 요크(122)의 하부단을 거쳐 요크(122)외측으로부터 내측중심으로 흐르는 흐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23)의 내주면(123a)을 경계로 하여 두께(T)가 두꺼운 요크(122)의 외측부는 자속에 의한 포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두께(t)가 얇은 요크(122)의 내측부는 자속이 포화상태가 되고, 이들의 경계부위인 상기 내주면(123a)부근에서 자속의 누설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는 상기 안착부(123)의 내주면(123a)을 경계로 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상기 안착부(123)의 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정위치에 환고리형상으로 위치되어 상 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시 유발되는 타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123)의 외경은 그 외측테두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정위치되는 자성유체(160)가 상기 주입공(117)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주입공(117)이 관통형성되지 않은 케이싱(110)의 하부면과 항상 상하대응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100b)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 자계부(120), 스프링부재(130), 진동부(140), 진동발생용 코일(150)및 자성유체(160)를 포함하며,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요크(122)의 밀폐하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124)의 자속이 누설되도록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요홈(161)을 일정깊이로 함몰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24)의 하부면, 하부플레이트(126), 요크(122)를 거쳐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부면을 경유하는 자속은 두께차이가 발생되는 환고리형 요홈(161)에서 누설되고, 누설된 자속은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의 형태를 상기 요홈(161)과 대응하는 환고리형으로 유 지하면서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고리형 요홈(16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와 대응하는 요크(122)의 밀폐하부면에 함몰형성된 안착부(123)에 형성하여도 좋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착부(123)가 형성되지 않은 요크(122)의 편평한 밀폐하부면에 형성하여도 좋으며,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과 대응하는 요크(122)의 밀폐상부면에 함몰형성하여도 동일한 자속누설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고리형 요홈(161)의 내경은 그 외측테두리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정위치되는 자성유체(160)가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범위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주입공(117)이 관통형성되지 않은 케이싱(110)의 하부면과 항상 상하대응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100c)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 자계부(120), 스프링부재(130), 진동부(140), 진동발생용 코일(150) 및 자성유체(160)를 포함하며,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부면에는 상기 주입공(117)을 통해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 (160)의 형태를 환고리형으로 유지하면서 정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마그네트(124)의 자기력에 의해서 자화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162)를 구비한다.
이러한 위치결정부재(162)는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별도의 부재로서 본딩접착되거나 패턴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124)의 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일정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위치결정부재(16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부와 대응하는 요크(122)의 밀폐하부면에 안착부(123)가 함몰형성된 요크상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구비되어도 좋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착부(123)가 형성되지 않은 요크(122)상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구비되어도 동일한 자속누설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공(117)을 통해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는 상기 위치결정부재(162)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영향을 받아 환고리형으로 유지하면서 정위치에 항상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부재(162)의 내경은 이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정위치되는 자성유체(160)가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범위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공(117)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주입공(117)이 관통형성되지 않은 케이싱(110)의 하부면과 항상 상하대응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진동자의 제 5실시예에 채용되는 스프링부재의 사시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수직진동자(100d)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 자계부(120), 스프링부재(130a), 진동부(140), 진동발생용 코일(150) 및 자성유체(160)를 포함하며,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링부재(130a)는 도 9와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싱(110)과 진동부(14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다.
이러한 스프링부재(130a)는 상기 케이싱(110)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131a)과, 상기 고정링(131a)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탄성다리(132b) 및 상기 탄성다리(132b)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자성유체(160)가 위치되는 요크(122)의 상부면을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134a)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요크(122)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14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33a)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130a)는 상기 고정링(131a)의 외측단이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개구부(134a)가 상기 웨이트(14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내주면과 상기 웨이트(142)의 외주면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요크(122)의 밀폐측 상부면 또는 밀페측 하부면에는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착부(123)를 함몰형성할 수도 있고,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고리형 요홈(161)을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요크(122)의 상부면에는 제 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그네트(124)의 자기력에 의해서 자화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16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수직진동자(100)(100a)(100b)(100c)(100d)에 구비된 진동발생용 코일(15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150)에서는 발생되는 전기장은 영구자석인 마그네트(124)와, 이를 포함하는 요크(122)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26)로 이루어진 자계부(12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간의 상호 쇄교작용에 의하여 상기 요크(122)에 일체로 장착된 웨이트(142)와 상기 자계부(120)를 포함하는 진동부(140)는 상하진동되고,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폭은 상기 케이싱(110)측에 상부단이 연결된 스프링부재(130)(130a)의 탄성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진동부(140)가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진동되는 동안, 상기 진동부(140)에 걸리는 공진주파수가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보다 높게 걸리면, 상기 진동부(140)가 순간적으로 최대상승폭 이상으로 상승되면서 케이싱(110)의 상부내면에 접촉되려고 하지만, 상기 자성유체(160)가 케이싱(110)의 상부내면에 먼저 접촉되면서 직접적인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고,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및 터치음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마그네트(124)의 외측테두리에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부면이나 요크(122)의 상부면에 환고리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중에도 위치변경없이 항상 초기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요크(122)의 밀폐하부면에 안착부(123)를 함몰형성하는 경우, 상기 자성유체(160)는 상기 마그네트(124)가 장착되는 안착부(123)의 내주면(123a)부근에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상기 고정원반(133)상에 환고리형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중에도 위치변경없이 항상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그네트(124)는 상기 요크(122)의 밀폐측 하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안착부(123)에 끼워져 본딩재로서 본딩접착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요크(122)의 편평한 밀폐하부면에 마그네트(124)의 상부면을 면접하여 본딩접착하는 것에 비해서 요크(122)와 마그네트(124)간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이들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완제품의 낙하신뢰성 실험시 마그네트(124)가 요크(122)로부터 탈락되는 제품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124)는 상기 안착부(123)가 함몰형성되는 일정깊이만큼 자체형성높이를 높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상에 마그네트(124)의 상부면을 면접하여 본딩접착하는 것에 비하여 상기 마그네트(124)에서 제공되는 자기력을 크게 형성하고, 이로 인해 보다 큰 상하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요크(122)의 밀폐측 하부면에 환고리형 요홈(161)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는 상기 요홈(161)에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하여 환고리형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중에도 상기 자성유체(160)는 위치변경없이 항상 초기상태를 그대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상하진동시 고정부재와 진동부재간에 유발될 수 있는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스프링부재(130)의 고정원반(133)상에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162)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위치결정부재(162)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원반(133)상에 도포된 자성유체(160)를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중에도 환고리형태로 유지하면서 위치변경없이 항상 초기위치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시 고정부재와 진동부재간에 유발될 수 있는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프링부재(130a)의 개구부(134a)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요크(122)의 상부면에 자성유체(16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자 성유체(160)는 상기 마그네트(124)의 상단외측테두리에서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 환고리형태로 보다 확고히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부(140)의 상하진동중에도 상기 자성유체(160)는 위치변경없이 항상 초기상태를 그대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상하진동시 고정부재와 진동부재간에 유발될 수 있는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트의 누설자속 또는 자력에 의해 환고리 형태를 유지하면서 진동부의 상하진동중에도 초기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자성유체를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이나 요크의 상부면에 구비함으로써, 진동부의 순간적인 최대상향진동시 부재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접촉시 발생되는 터치음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상하진동파형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진동량을 확보하여 착신수단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수 있다.
또한, 요크와 마그네트가 서로 본딩접착되는 접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 있기 때문에, 요크와 마그네트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완제품의 낙하신뢰성 실험시 마그네트가 탈락되는 제품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8)

  1.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가 내부밀폐면에 고정되는 요크를 갖추어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자계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웨이트를 갖추어 상기 자계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상기 자계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하는 수직진동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을 관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에 의해서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횡단면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일정깊이 함몰되는 안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크기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요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고리형 요홈은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자화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 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패턴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크의 개방측으로 상기 코일을 거쳐 상기 요크의 하부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형성하도록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가 삽입배치되는 웨이트의 중앙공에는 상기 웨이트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하부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이 배치되는 걸림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웨이트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원반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의 상 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기판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19.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가 내부밀폐면에 고정되는 요크를 갖추어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계부에 타단이 고정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자계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웨이트를 갖추어 상기 자계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상기 자계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용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자계부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하는 수직진동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자성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입공을 관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마그네트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되는 테이프부재에 의해서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횡단면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추어 일정깊이 함몰되는 안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크기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상기 요크의 밀폐상,하부면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요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환고리형 요홈은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함몰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서 자화되도록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외측테두리와 대응하는 환고리형 위치결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주입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상기 요크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패턴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0.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일정세기의 자력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요크의 개방측으로 상기 코일을 거쳐 상기 요크의 하부단부로 흐르는 자속을 형성하도록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가 삽입배치되는 웨이트의 중앙공에는 상기 웨이트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요크의 하부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걸림턱이 배치되는 걸림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웨이트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자성유체가 위치되는 요크의 상부면을 외부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 이트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 외측단이 고정되는 환고리형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다리 및 상기 탄성다리의 각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웨이트의 외주면에 내측단이 고정되는 개구부를 관통형성한 고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밀폐측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요크의 상부면 또는 상기 웨이트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의 상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기판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진동자.
KR1020050046622A 2004-06-23 2005-06-01 수직진동자 KR100735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622A KR100735299B1 (ko) 2004-06-23 2005-06-01 수직진동자
DE102005026261.9A DE102005026261B4 (de) 2004-06-23 2005-06-08 Vertikale Vibrationseinrichtung
FI20050610A FI123709B (fi) 2004-06-23 2005-06-08 Vertikaalinen värähtelijä
US11/148,200 US7038335B2 (en) 2004-06-23 2005-06-09 Vertical vibrator
CN200910165268XA CN101653760B (zh) 2004-06-23 2005-06-20 垂直振动器
CN200910207529XA CN101683647B (zh) 2004-06-23 2005-06-20 垂直振动器
CNB2005100768799A CN100553799C (zh) 2004-06-23 2005-06-20 垂直振动器
CN2009102075285A CN101683646B (zh) 2004-06-23 2005-06-20 垂直振动器
FR0506348A FR2872069B1 (fr) 2004-06-23 2005-06-22 Vibrateur vertic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55 2004-06-23
KR20040047255 2004-06-23
KR1020050046622A KR100735299B1 (ko) 2004-06-23 2005-06-01 수직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360A true KR20060046360A (ko) 2006-05-17
KR100735299B1 KR100735299B1 (ko) 2007-07-03

Family

ID=3479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622A KR100735299B1 (ko) 2004-06-23 2005-06-01 수직진동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8335B2 (ko)
KR (1) KR100735299B1 (ko)
CN (4) CN101653760B (ko)
DE (1) DE102005026261B4 (ko)
FI (1) FI123709B (ko)
FR (1) FR28720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220B1 (ko) * 2008-09-10 2009-03-25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0904743B1 (ko) * 2007-06-07 2009-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0941292B1 (ko) * 2007-11-12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112B1 (ko) * 2009-05-04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024502B1 (ko) * 2009-11-17 2011-03-31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WO2012018171A1 (ko) * 2010-08-06 2012-02-09 주식회사 비에스이 선형 진동모터
US8450887B2 (en) 2010-02-08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ertical vibrator
US8450886B2 (en) 2010-05-14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938B2 (ja) * 2001-12-11 2005-07-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KR100549880B1 (ko) * 2003-07-05 2006-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장치 구조
US7358633B2 (en) *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KR100558456B1 (ko) * 2004-06-29 2006-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KR100541113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KR100541112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DE102004041074A1 (de) * 2004-08-25 2006-03-02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axialen Federelement
DE102006017016A1 (de) * 2005-04-19 2006-11-09 Citizen Electronics Co., Ltd., Fujiyoshida Elektromagnetischer Erreger
JP4592088B2 (ja) * 2005-05-30 2010-12-01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振動体
US20070035527A1 (en) * 2005-08-12 2007-02-15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assembly, mobi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creen assembly, and key input method on the mobile terminal
JP2007194907A (ja) * 2006-01-19 2007-08-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振動変換器
JP5272441B2 (ja) * 2008-02-20 2013-08-2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003609B1 (ko) * 2008-03-28 201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자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휴대형단말기
KR100999100B1 (ko) 2008-08-11 2010-12-07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발생장치
KR101571562B1 (ko) * 2008-10-22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모터
JP2010104864A (ja) * 2008-10-28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KR101580688B1 (ko) * 2008-11-24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진동 모터
KR100933709B1 (ko) * 2009-02-16 2009-12-24 주식회사 예일전자 전자기장을 이용한 감각신호출력장치 및 그의 특성 오차 보정방법
KR100943974B1 (ko) * 2009-04-22 2010-02-26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200447398Y1 (ko) 2009-04-28 2010-01-25 김정훈 사각형상의 초소형 선형 진동장치
KR20100119970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059599B1 (ko) * 2009-07-01 2011-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GB2471913B (en) * 2009-07-17 2012-02-01 Samsung Electro Mech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077368B1 (ko) * 2009-07-24 2011-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0967033B1 (ko) * 2009-09-24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KR20110042745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8134259B2 (en) * 2009-12-03 2012-03-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or
CN201656730U (zh) * 2010-01-25 2010-11-24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横向振动马达
JP5537984B2 (ja) * 2010-02-16 2014-07-02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往復振動発生器
KR100995000B1 (ko) * 2010-02-18 2010-11-18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101860164A (zh) * 2010-04-06 2010-10-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振动单元的弹簧板及使用该弹簧板的振动马达
KR101122797B1 (ko) 2010-04-26 2012-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대역폭을 가진 선형 진동기
KR101004879B1 (ko) 2010-05-25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004907B1 (ko) * 2010-06-16 2010-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02377313A (zh) * 2010-08-09 2012-03-14 三星电机株式会社 线性振动器
KR101171619B1 (ko) * 2010-11-30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101171602B1 (ko) * 2010-11-30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JP5461381B2 (ja) * 2010-12-17 2014-04-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KR101184545B1 (ko) * 2010-12-30 2012-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US9039359B2 (en) * 2011-01-05 2015-05-26 Lee Ervin Kinetic energy atom-powered engine
CN102056059B (zh) * 2011-01-05 2014-08-13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发声器
EP2508768B1 (de) * 2011-03-21 2013-06-05 Maxon Motor AG Federscheibe sowie Lagervorrichtung mit einer Federscheibe
CN102223048B (zh) * 2011-06-08 2014-01-01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振动电机
FR2977334B1 (fr) * 2011-06-30 2013-09-13 Dav Module d'interface tactile a retour haptique
KR101354867B1 (ko) * 2011-08-03 2014-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리니어진동장치
KR101354773B1 (ko) * 2011-08-04 2014-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KR20130025636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DE102011082143A1 (de) * 2011-09-05 2013-03-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einrichtung
KR101860775B1 (ko) * 2011-10-10 2018-05-28 주식회사 엠플러스 선형 진동자
CN103107670A (zh) * 2011-11-09 2013-05-15 株式会社永进高科 线性振动装置
JP5496990B2 (ja) * 2011-11-28 2014-05-21 株式会社永進ハイ−テック リニア振動デバイス
EP2608373A1 (en) * 2011-12-22 2013-06-26 Young Jin Hitech Co., Ltd.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240676B1 (ko) * 2011-12-26 2013-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상 진동 모터
DE102012107132B4 (de) * 2012-08-03 2014-09-04 Löwen Entertainment GmbH Unterhaltungsspielgerät
WO2014054236A1 (ja) * 2012-10-05 2014-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
KR101516056B1 (ko) * 2012-12-06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CN103331250A (zh) * 2013-07-10 2013-10-02 任国祚 一种超声波换能器
JP2015070729A (ja) * 2013-09-30 2015-04-1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情報端末処理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JP6010080B2 (ja) * 2014-10-07 2016-10-1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
CN104994196B (zh) * 2015-07-20 2018-09-14 深圳市骅福瑞科技有限公司 一种跳舞手机
CN105098897A (zh) * 2015-07-30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终端
CN105720774B (zh) * 2016-03-15 2018-03-20 浙江省东阳市东磁诚基电子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电机
CN105921392B (zh) * 2016-06-14 2018-11-16 上海交通大学 共轭等径凸轮型复合磁能往复摆振动台及驱动部件与方法
TWI599149B (zh) * 2016-08-02 2017-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振動產生裝置
US11471366B2 (en) * 2016-08-22 2022-10-18 Hill-Rom Services Pte. Ltd. Percuss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CN206908496U (zh) * 2017-07-13 2018-01-1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微型线性振动器
KR102026901B1 (ko) * 2017-08-25 2019-11-04 주식회사 엠플러스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CN107952646B (zh) * 2017-11-29 2019-06-25 东北大学 一种具有表面形貌记忆功能的非接触电磁激振器及其应用
US10819202B2 (en) * 2018-07-11 2020-10-27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CN208589899U (zh) * 2018-08-03 2019-03-08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JP6750825B2 (ja) * 2018-08-28 2020-09-02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JP7167333B2 (ja) * 2018-11-09 2022-11-08 エーエスエムエル ホールディング エヌ.ブイ. リソグラフィ装置内部のサポート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4257037B (zh) * 2020-09-21 2023-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振动组件
KR102234342B1 (ko) *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햅틱 엑추에이터
CN112244431B (zh) * 2020-11-03 2021-09-21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垫
CN112244422B (zh) * 2020-11-03 2021-09-21 泉州量子密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鞋
CN217116373U (zh) 2022-03-02 2022-08-0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多功能发声装置
CN217116374U (zh) 2022-03-02 2022-08-0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多功能发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699A (ja) * 1984-07-10 1986-01-30 Pioneer Electronic Corp 体感音響振動装置
US4931765A (en) * 1989-02-09 1990-06-05 Motorola, Inc. Unitized housing for silent and tone pager alerting system
US5184037A (en) * 1990-02-23 1993-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Magnetostriction type actuator
KR19980032013A (ko) * 1995-12-15 1998-07-25 모리시타요오이찌 진동 발생장치
JP3493592B2 (ja) * 1996-02-20 2004-02-0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3680562B2 (ja) * 1997-10-30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の製造法
EP1063020B1 (en) * 1998-02-06 2007-01-24 Namiki Seimitsu Houseki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structure for mounting the same
JP3538043B2 (ja) * 1998-11-26 2004-06-1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耐衝撃性良好な電磁型変換器
JP2000278928A (ja) * 1999-03-23 2000-10-06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899076B2 (ja) * 1999-04-16 2012-03-21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給電機構
US6487300B1 (en) * 1999-12-17 2002-11-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speaker
KR100500129B1 (ko) * 2001-03-02 2005-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음향 변환장치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6608541B2 (en) * 2001-09-28 2003-08-19 Shicoh Engineering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0410968B1 (ko) * 2001-10-24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기
JP2003154315A (ja) * 2001-11-22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0519810B1 (ko) * 2003-06-20 2005-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0086B2 (en) 2007-06-07 2012-03-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generator
KR100904743B1 (ko) * 2007-06-07 2009-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7911327B2 (en) 2007-11-12 2011-03-22 Lg Innotek Co., Ltd. Vibration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41292B1 (ko) * 2007-11-12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0030071A2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WO2010030071A3 (ko) * 2008-09-10 2010-05-06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0890220B1 (ko) * 2008-09-10 2009-03-25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US8379906B2 (en) 2008-09-10 2013-02-19 Yea Il Electronics Co., Ltd.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KR101009112B1 (ko) * 2009-05-04 201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024502B1 (ko) * 2009-11-17 2011-03-31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US8450887B2 (en) 2010-02-08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ertical vibrator
US8450886B2 (en) 2010-05-14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or
WO2012018171A1 (ko) * 2010-08-06 2012-02-09 주식회사 비에스이 선형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26261B4 (de) 2017-01-05
FR2872069A1 (fr) 2005-12-30
US7038335B2 (en) 2006-05-02
FI123709B (fi) 2013-09-30
FI20050610A0 (fi) 2005-06-08
FR2872069B1 (fr) 2013-03-15
CN101683647A (zh) 2010-03-31
CN101683646A (zh) 2010-03-31
CN101653760B (zh) 2011-12-14
CN101653760A (zh) 2010-02-24
CN100553799C (zh) 2009-10-28
DE102005026261A1 (de) 2006-01-26
KR100735299B1 (ko) 2007-07-03
CN101683647B (zh) 2011-05-11
CN1745907A (zh) 2006-03-15
FI20050610A (fi) 2005-12-24
US20050285454A1 (en) 2005-12-29
CN101683646B (zh)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99B1 (ko) 수직진동자
KR100541112B1 (ko)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JP5162539B2 (ja) 線形振動装置
KR101079448B1 (ko) 수평 진동자
KR101746007B1 (ko)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077368B1 (ko) 선형 진동 장치
CN101958629B (zh) 水平线性振动器
US8450887B2 (en) Vertical vibrator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KR100593917B1 (ko) 수직진동자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KR101171706B1 (ko) 선형 진동자
KR101179329B1 (ko) 선형 진동자
KR101124145B1 (ko) 수직 진동자
KR101055484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24502B1 (ko) 선형 진동자
KR20120049204A (ko) 선형 진동자
KR20110129327A (ko) 선형 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