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368B1 - 선형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368B1
KR101077368B1 KR1020090067964A KR20090067964A KR101077368B1 KR 101077368 B1 KR101077368 B1 KR 101077368B1 KR 1020090067964 A KR1020090067964 A KR 1020090067964A KR 20090067964 A KR20090067964 A KR 20090067964A KR 101077368 B1 KR101077368 B1 KR 10107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ting member
vibrator
yok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408A (ko
Inventor
소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368B1/ko
Priority to CN2009101798041A priority patent/CN101964566A/zh
Priority to JP2009245443A priority patent/JP4939587B2/ja
Priority to US12/618,725 priority patent/US8427016B2/en
Publication of KR2011001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이 설치된 브라켓,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된 요크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의 외측에는 홈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잔진동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해 진동자가 케이스에 부딪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장치를 제공한다.
잔진동, 코일, 중량체, 요크, 스프링 부재, 회전부재, 홈부, 탄성부재

Description

선형 진동 장치{Linear vibra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타인에게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발생 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 발생 장치는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신호 발생장치로 이용되는데,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서 그에 장착되는 진동 발생 장치 또한 소형화,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휴대전화와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 중 하나인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진동 발생장치는 편심을 갖는 중량체를 갖는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자의 회전력은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모터 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진동 발생장치는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또다른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 및 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블랙 파우더(black powder)와 같은 이물질을 생성하여 진동 발생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선형의 진동을 얻을 수 있는 선형 진동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32) 및 댐퍼부재(34)가 설치된 브라켓(30),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된 요크(42)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하면에 플레이트 요크(43)가 부착된 마그네트(44) 및 상기 요크(42)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46)를 포함하는 진동자(40), 및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40)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요크(42)는 원판부(42a)와 상기 원판부(42a)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연장된 테두리부(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형 진동 장치(10)는 코일(32)에 전원이 공급되면, 원통형 마그네트(44), 플레이트 요크(43), 및 요크(42)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32)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진동자(40)가 스프링 부재(50)를 매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에서는 비동작 상태에서 진동 자(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진동자(40)가 스프링 부재(5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잔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진동 발생 장치(10)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작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진동자(40)가 좌우 측면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진동자(40)와 케이스(20)가 직접 접촉하여 터치음과 충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진동을 방지하고, 외력에 의해 진동자가 케이스에 부딪혀 원치않는 진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이 설치된 브라켓,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된 요크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의 외측에는 홈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의 내벽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원통형의 상기 중량체에 360°/N의 간격으로 N개가 형성되고, 상기 N은 2 이상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절반 이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그 도입부가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고정된 채로 그 내부가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설치된 판 스프링이며,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상기 판 스프링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 고정되는 상부 자성유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체의 외측에 케이스의 측벽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진동자가 케이스에 부딪히는 문제 및 잔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재가 중량체에 형성된 홈부에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삽입지지됨으로써 중량체의 조립의 용이할 뿐 아니라, 진동자가 케이스에 부딪히는 문제 및 잔진동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0a)는 케이스(200), 브라켓(300), 진동자(400), 및 스프링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케이스(200)는 진동자(400)를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부재로서,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그 하부는 브라켓(300)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서, 케이스(200)의 상부에는 케이스(200)에 수용되는 스프링 부재(500)에 상부 자성유체(520)를 도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입공(220)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부 자성유체(520)를 도포한 후에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200)의 상부는, 예를 들어 테이프 부재(240)로 밀폐처리된다.
브라켓(300)은 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그 상부에 진동발생을 위한 코일(320)을 구비한다.
여기서, 브라켓(300)은 보조 마그네트(462)와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일(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가 형성된 기판부재(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320)은 상기 단자부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전원 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300)의 상부면에 본딩재로 하부단이 본딩접착되어 고정된다.
이 때, 코일(320)은 선형 진동하는 진동자(400)의 마그네트(440)가 그 내부 를 왕복 운동하는 중공부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상부단이 마그네트(4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코일(32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크(420)의 내주면과 마그네트(4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AG)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브라켓(300)의 상부에는 진동자(400)의 브라켓(300)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댐퍼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부재(340)는 마그네트(440)가 선형 진동에 의해 코일(320)의 중공부를 왕복하면서 브라켓(30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그네트(440) 하부의 브라켓(300)에 설치된다. 이 때, 댐퍼부재(340)로는 고무, 폴리프로필렌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00)에는 코일(320)을 고정지지하기 위한 돌기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돌기부는 브라켓(300)을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시 일괄 형성이 가능하며, 돌기부 사이에 코일(320)을 안착시킴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진동자(400)는 선형 진동하는 부분으로서, 요크(420), 마그네트(440), 및 중량체(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크(420)는 마그네트(440)와 중량체(460)를 고정지지하고 마그네트(440)의 자속을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 즉 상부 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요크(420)는 스프링 부재(500)에 부착되는 원판부와 이 원판부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테두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원판부(422) 및 테두리부의 내주면은 마그네트(440)가 수용되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이 때, 요크(420)는 원판부가 마그네트(4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요크(420)의 내주면과 마그네트(440)의 외주면 사이에 코일(320)의 상부단이 배치될 수 있는 에어갭(AG)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요크(420)의 테두리부는 그 일부가 마그네트(440)의 측면 일부에 밀착되어 마그네트(440)의 요크(420)에 대한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중량체(460)가 안착되는 안착면(426)을 구비하고, 요크(420)의 내주면과 마그네트(440)의 외주면 사이에 코일(320)의 상부단이 배치될 수 있는 에어갭(AG)을 형성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테두리부는 원판부(422)로부터 하부로 절곡연장되어 마그네트(4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 테두리부(424), 상기 제1 테두리부(424)로부터 측면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면(426), 및 상기 안착면(426)으로부터 하부로 절곡연장된 제2 테두리부(4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그네트(440)는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코일(32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자(400)가 선형 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크(420)의 중공부에 수용된다. 즉, 마그네트(440)는 상부면 및 측면 일부가 중공부에 수용되게 된다.
여기서, 마그네트(440)는 수직방향으로 상하부가 서로 다른 극으로 착자되어 일정세기의 자력을 발생시키는 원통형 영구자석으로, 요크(420)의 중공부에 본딩재를 매개로 하여 본딩접착된다.
한편, 마그네트(440)의 하면에는 요크(420)의 개방측으로 코일(320)을 거쳐 요크(420)의 하부단으로 흐르는 자력흐름인 자속을 원활하게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 요크(48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460)는 선형 진동을 위해 진동자(400)에 일정한 질량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크(420)의 외측에 결합된다. 즉, 중량체(460)는 그 중앙부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에 요크(420)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요크(420)의 외측에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중량체(460)는 마그네트(440)에 대한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자성계 소재, 예를 들어 텅스텐(W)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200)와의 접촉마찰에 의해 선형진동을 방해되지 않도록 케이스(200)의 내주면과 소정간극(G)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중량체(460)의 외측에는 홈부(462)가 형성되고, 이 홈부(46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케이스(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되 최소한의 접촉면적(점접촉 또는 선접촉)을 가진 상태로 회전하는 회전 롤러 또는 회전볼과 같은 회전부재(464)가 구비된다. 이 회전부재(464)는 중량체(460)의 외측 및 케이스(200)의 내주면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진동자(4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딩하기 때문에 선형 진동 장치(100a)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진동자(400)가 케이스(200)와 부딪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홈부(462)는 회전부재(464)가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원활하도록 회전부재(46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회전부재(464)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도입부의 간격(H)이 회전부재(464)의 직경(D)과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부(462)는 회전부재(464)의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부재(464)의 절반 이상이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폭(W)이 회전부재(464)의 직경(D)의 절반보다는 크고 회전부재(464)의 직경(D)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홈부(462)는 회전부재(464)보다 조금 큰 직경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입부의 간격(H)이 회전부재(464)의 직경과 동일한 위치에서 절단된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입부의 간격(H)이 회전부재(464)의 직경과 동일하더라도 회전부재(464)의 일측이 케이스(200)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부재(464)는 홈부(46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홈부(462)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464)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마찰에 의해 진동자(400)의 선형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내벽에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재(464)는 중량체(460)와 케이스(200) 사이에 균형된 회전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도 5a 내지 도 5c)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프링 부재(500)는 진동자(400)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으 로서, 예를 들어, 양단부가 케이스(200)의 상부와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200)와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스프링 부재(500)의 상부에는 댐핑부재로서 상부 자성유체(520)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 자성유체(520)는 원통형 마그네트(440)의 자속에 의해 집속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상부 자성유체(520)가 판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부재(500)의 상부에 도포되는 경우, 스프링 부재(500)의 하면에 부착된 원통형 마그네트(440)의 누설 자속에 의해 환고리 형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자성유체(520)는 진동자의 상하 진동시 진동자(400)와 케이스(20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접촉시 발생되는 터치음과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자성유체(520)는 액체 속에 자성분말을 콜로이드 모양으로 안정하게 분산시킨 다음 중력이나 자기장 등에 의한 자성분말의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으로, 그 예로는 사산화삼철, 철-코발트합금 미분자를 기름 또는 물 속에 분산시킨 것과 최근에는 톨루엔 속에 코발트를 분산시킨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자성 분말은 0.01~0.02㎛의 초미립자 분말이며, 초미립자 특유의 브라운 운동을 하며, 외부자기장, 중력 원심력 등이 가해져도 유체 속의 자성분말 입자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 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0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100a)의 구조를 기본적으로 채용하되, 홈부(462)에 탄성부재(466)가 개재된 상태에서 회전부재(464)가 홈부(46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탄성부재(466)를 구비함으로써 회전부재(464)를 포함한 중량체(46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되며, 외력이 발생하여 진동자(400)가 좌우운동 또는 회전운동하게 되더라도 탄성부재(466)가 소정의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진동자(400)가 케이스(200)에 부딪히는 문제를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66)는 예를 들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홈부(462)의 내벽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중량체에 형성되는 홈부의 위치 및 회전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464)는 중량체(460)와 케이스(200) 사이에 균형된 회전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부재(464)는 원통형 중량체(460)에 360°/N의 간격으로 N개(회전부재의 개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 N≥2). 예를 들어, 180°간격으로 2개가 배치되거나(도 5a 참조), 120°간격으로 3개가 배치되거나(도 5b 참조), 90°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도 5c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중량체에 형성되는 홈부의 위치 및 회전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선형 진동 장치
200 : 케이스 300 : 브라켓
320 : 코일 340 : 댐퍼부재
400 : 진동자 420 : 요크
440 : 마그네트 460 : 중량체
462 : 홈부 464 : 회전부재
466 : 탄성부재 500 : 스프링 부재
520 : 상부 자성유체

Claims (9)

  1.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이 설치된 브라켓;
    일면이 폐쇄된 중공부가 형성된 요크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마그네트 및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가 선형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의 외측에는 홈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벽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선형 진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원통형의 상기 중량체에 360°/N의 간격으로 N개가 형성되고, 상기 N은 2 이상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절반 이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그 도입부가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고정된 채로 그 내부가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도록 설치된 판 스프링이며,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상기 판 스프링의 상부면에는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되는 자속에 의해서 위치 고정되는 상부 자성유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장치.
KR1020090067964A 2009-07-24 2009-07-24 선형 진동 장치 KR10107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64A KR101077368B1 (ko) 2009-07-24 2009-07-24 선형 진동 장치
CN2009101798041A CN101964566A (zh) 2009-07-24 2009-09-30 线性振动器
JP2009245443A JP4939587B2 (ja) 2009-07-24 2009-10-26 線形振動装置
US12/618,725 US8427016B2 (en) 2009-07-24 2009-11-14 Linear vib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964A KR101077368B1 (ko) 2009-07-24 2009-07-24 선형 진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08A KR20110010408A (ko) 2011-02-01
KR101077368B1 true KR101077368B1 (ko) 2011-10-27

Family

ID=4349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964A KR101077368B1 (ko) 2009-07-24 2009-07-24 선형 진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27016B2 (ko)
JP (1) JP4939587B2 (ko)
KR (1) KR101077368B1 (ko)
CN (1) CN101964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368B1 (ko) * 2009-07-24 2011-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211953B1 (ko) 2011-06-22 2012-12-13 주식회사비.엠.씨 모터 하우징의 고정자 고정용 클램프
KR101388705B1 (ko) * 2011-06-30 2014-04-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237606B1 (ko) * 2011-07-29 2013-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KR20130025636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CN102306973A (zh) * 2011-09-06 2012-01-04 广东明阳风电产业集团有限公司 永磁风力发电机的减振装置
KR101250288B1 (ko) 2011-09-29 2013-04-03 (주)엠투시스 햅틱 엑추에이터
KR101278357B1 (ko) * 2011-10-06 2013-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860775B1 (ko) 2011-10-10 2018-05-28 주식회사 엠플러스 선형 진동자
EP2774298B1 (en) 2011-11-04 2021-04-28 Apple Inc. Timing synchronization for downlink (dl) transmissions in coordinated multipoint (comp) systems
JP5496990B2 (ja) * 2011-11-28 2014-05-21 株式会社永進ハイ−テック リニア振動デバイス
JP5923798B2 (ja) 2012-04-16 2016-05-25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JP5930388B2 (ja) 2012-04-20 2016-06-08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JP5987910B2 (ja) * 2012-09-11 2016-09-0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及び該振動発生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40116514A1 (en) * 2012-10-25 2014-05-01 Graco Minnesota Inc. Vacuum and shaker for a hot melt system
KR101516056B1 (ko) * 2012-12-06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JP6177094B2 (ja) * 2013-11-06 2017-08-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JP6023691B2 (ja) * 2013-11-18 2016-11-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204947871U (zh) * 2015-07-31 2016-01-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JP6828029B2 (ja) * 2015-10-13 2021-02-10 ダヴ タクト・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のアクチュエータ、タクト・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生成する方法
CN107396252A (zh) * 2017-08-04 2017-11-24 奥音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新型声音产生设备
JP7028401B2 (ja) 2018-02-23 2022-03-02 日清紡ケミカル株式会社 水性カルボジイミド含有液の製造方法
KR102307549B1 (ko) * 2019-07-31 2021-09-30 (주)파트론 진동모터
EP4074071A1 (en) * 2019-12-11 2022-10-19 Lofelt GmbH Linear vibration actuator having moving coil and moving magnet
CN113629968B (zh) * 2020-05-09 2022-05-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线性马达和电子设备
CN111834120B (zh) * 2020-08-07 2021-11-26 包头市英思特稀磁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重稀土的钕铁硼磁体压制固化联动的生产装置
CN113262972B (zh) * 2021-05-17 2022-03-11 湖南大学 一种电磁结构及电磁换能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827A (en) * 1959-04-28 1961-10-10 Skf Kugellagerfabriken Gmbh Ball guide for axially movable machine parts with small axial stroke
US3568962A (en) * 1968-10-30 1971-03-09 Lecentia Patent Verwaltungs Gm Vibration-inhibiting mounting element for small electric motors
CA1022647A (en) * 1974-02-13 1977-12-13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Shock actuated electrical pulse generator
US5306022A (en) * 1991-09-27 1994-04-26 General Atomics Shaft seal having capacity for substantial wear
JP3748637B2 (ja) * 1996-10-14 2006-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機器用振動発生装置
DE69836983T2 (de) * 1998-02-06 2007-11-15 Namiki Seimitsu Houseki K.K. Elektromagnet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und struktur für deren befestigung
KR20000051598A (ko) * 1999-01-23 2000-08-16 이형도 스핀들 모터
US6778049B1 (en) * 1999-10-01 2004-08-17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the dynamic response of a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actuator
DE10207697A1 (de) * 2002-02-22 2003-09-04 Ina Schaeffler Kg Linearantrieb
KR100593917B1 (ko) * 2004-06-23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100735299B1 (ko) * 2004-06-23 2007-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JP4645229B2 (ja) * 2005-02-28 2011-03-0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装置
KR100691280B1 (ko) * 2005-09-05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진동자, 그 제조방법 및 압전 진동자를 구비하는 선형액추에이터
JP2007275695A (ja) * 2006-04-03 2007-10-25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体
KR100759521B1 (ko) * 2006-04-06 2007-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진동자
KR100818482B1 (ko) * 2006-10-16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 모터
KR100904743B1 (ko) * 2007-06-07 2009-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077368B1 (ko) * 2009-07-24 2011-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08A (ko) 2011-02-01
US20110018369A1 (en) 2011-01-27
JP2011025221A (ja) 2011-02-10
JP4939587B2 (ja) 2012-05-30
CN101964566A (zh) 2011-02-02
US8427016B2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368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1009112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1077374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156780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084860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077446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US9093888B2 (en) Linear vibrator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US8450887B2 (en) Vertical vibrator
US7038335B2 (en) Vertical vibrator
US20110089773A1 (en) Linear vibration generator
KR100593917B1 (ko) 수직진동자
KR101077395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0973085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095155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055484B1 (ko) 선형 진동 장치
KR101197873B1 (ko) 선형 진동자
KR101067211B1 (ko) 선형진동자
KR101067086B1 (ko) 선형진동자
KR20130065687A (ko) 선형 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