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57B1 - 선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57B1
KR101278357B1 KR1020110102018A KR20110102018A KR101278357B1 KR 101278357 B1 KR101278357 B1 KR 101278357B1 KR 1020110102018 A KR1020110102018 A KR 1020110102018A KR 20110102018 A KR20110102018 A KR 20110102018A KR 101278357 B1 KR101278357 B1 KR 10127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gnetic force
vibrator
linear vibration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556A (ko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3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3External yoke surrounding the coil bobbin, e.g. made of bent magnetic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상기 자기력부와 대향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일단은 고정자부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진동자부, 상단부는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부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모터{Linear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 등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동모터로는 선형 진동모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선형 진동모터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진동을 전달받는 대상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되어있다.
최근 몇 년간 LCD화면이 큰 휴대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채용이 증가되어 왔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시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 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동작수명시간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고 둘째,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응답속도도 빨라져야 사용자가 터치 시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종래의 선형 진동모터는 고정자부, 진동자부 및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진동자부와의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자부와 대향되는 면에 댐퍼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진동자부의 과도한 선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댐퍼에 상기 진동자부가 부딪치게 되면, 선형 진동모터의 선형 진동에 간섭을 일으키는 불필요한 잔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57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부 또는 진동자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상기 자기력부와 대향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일단은 고정자부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진동자부, 상단부는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부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대향 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 또는 제2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자기력부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원통형상의 요크 및 상기 코일 및 요크를 수용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시트는 상기 요크 또는 코일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함에 따라 상기 자기력부가 내재되도록 상기 자기력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F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부, 상기 코일과 대향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진동자부, 상단부는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코일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자부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고정자부와 상기 진동자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자기력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중량체 및 상기 자기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자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 외주면에 자성유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고정자부 또는 진동자부 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댐핑시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자부와 고정자부의 접촉시 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10)는 자기력부(100), 브라켓(12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코일(110), 인쇄회로기판(130), 원통형상의 요크(170) 및 중량체(190)를 포함하는 진동자부와,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 및 댐핑시트(16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부를 구성하는 자기력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2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마그네트(111)과 상기 제1 마그네트(111)와 대향 되도록 상기 케이스(14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1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마그네트(111) 또는 제2 마그네트(113)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네트에 선택적으로 플레이트 요크(115)가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력부(100)의 외주면으로는 자성유체(116)가 도포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부는 코일(110), 인쇄회로기판(130), 원통형상의 요크(170) 및 중량체(19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11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타단과 고정되게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자기력부(10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14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0)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은 탄성력을 갖는 FPC(연성회로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의 요크(170)는 상기 코일(110)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단부와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190)는 상기 원통형상의 요크(170) 및 상기 코일(110)을 수용하는 중공홀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요크(17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댐핑시트(160)는 상기 진동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110) 또는 상기 원통형상의 요크(170)의 하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0)과 상기 자기력부(1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댐핑시트(160)는 상기 제2 마그네트(113)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부가 상승하게 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댐핑시트(160)는 상기 제1 마그네트(111)의 하부 또는 상기 제1 마그네트(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115)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댐핑시트(160)는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얇은 막 형태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마그네트(111)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트(113)와 접촉되더라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마그네트(111)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트(113)를 선형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어 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이다.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20)는 자기력부(141), 브라켓(12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코일(110), 인쇄회로기판(130), 원통형상의 요크(170) 및 중량체(190)를 포함하는 진동자부와,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 및 댐핑시트(160)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력부(141)는 하나의 마그네트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부(141)는 상기 케이스(14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자기력부(141)의 하부에는 플레이트 요크(143)가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0)과 상기 자기력부(141)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댐핑시트(160)는 상기 자기력부(141) 또는 상기 자기력부(14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143)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댐핑시트(160)는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얇은 막 형태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자기력부(141) 또는 플레이트 요크(143)와 접촉되더라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부(141) 또는 플레이트 요크(143)를 선형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어 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20)는 자기력부(121), 브라켓(120) 및 케이스(140)를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코일(110), 인쇄회로기판(130), 원통형상의 요크(170) 및 중량체(190)를 포함하는 진동자부와,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0) 및 댐핑시트(160)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력부(121)는 하나의 마그네트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부(121)는 상기 브라켓(12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자기력부(121)의 상부에는 플레이트 요크(123)가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0)과 상기 자기력부(121)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댐핑시트(160)는 상기 자기력부(121) 또는 상기 자기력부(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123)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댐핑시트(160)는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얇은 막 형태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자기력부(121) 또는 플레이트 요크(123)와 접촉되더라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부(121) 또는 플레이트 요크(123)를 선형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어 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의 구동 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40)는 코일(200), 케이스(240), 브라켓(260) 및 인쇄회로기판(280)을 포함하는 고정자부와, 자기력부(210), 요크(250), 중량체(270)를 포함하는 진동자부와,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0) 및 댐핑시트(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2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장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40)는 상기 진동자부를 내부에 포함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200)의 전기력과 상기 자기력부(210)의 자기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보호하며, 상기 진동자부를 내부에 포함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40)가 상기 브라켓(26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60)은 상기 케이스(240)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24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200)이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은 상기 브라켓(26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요크(25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로는 상기 코일(200)과 대향 하도록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상기 자기력부(2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270)는 상기 요크(2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요크(250) 및 자기력부(210)와 일체로 선형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상기 자기력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2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고정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스(240)의 내측 상면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요크(25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진동자부의 과도한 선형 진동운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40)의 내측 상면과 접촉시 소음 및 잔 진동을 감소하기 위하여 자성유체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댐핑시트(230)는 상기 고정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코일(200)의 상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200)과 상기 자기력부(21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댐핑시트(230)는 상기 자기력부(210) 또는 상기 자기력부(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 요크(211)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댐핑시트(230)는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얇은 막 형태의 탄성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자기력부(210) 또는 플레이트 요크(211)와 접촉되더라도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자기력부(210) 또는 플레이트 요크(211)를 선형 운동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어 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자기력부 110: 코일
120: 브라켓 130: 인쇄회로기판
140: 케이스 150: 탄성부재
160: 댐핑시트 170: 요크
190: 중량체

Claims (14)

  1.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고정자부;
    상기 자기력부와 대향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일단은 고정자부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진동자부;
    상단부는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부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대향 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 또는 제2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력부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자기력부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원통형상의 요크; 및
    상기 코일 및 요크를 수용하는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시트는 상기 요크 또는 코일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 지지함에 따라 상기 자기력부가 내재되도록 상기 자기력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F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1.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부;
    상기 코일과 대향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부를 포함하는 진동자부;
    상단부는 상기 고정자부의 내측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진동자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진동자부의 선형 진동운동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코일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자부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댐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고정자부와 상기 진동자부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자기력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외측에 결합되는 중량체; 및
    상기 자기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자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 외주면에 자성유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모터.
KR1020110102018A 2011-10-06 2011-10-06 선형 진동모터 KR101278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18A KR101278357B1 (ko) 2011-10-06 2011-10-06 선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18A KR101278357B1 (ko) 2011-10-06 2011-10-06 선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56A KR20130037556A (ko) 2013-04-16
KR101278357B1 true KR101278357B1 (ko) 2013-06-25

Family

ID=48438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018A KR101278357B1 (ko) 2011-10-06 2011-10-06 선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5915B (zh) * 2016-10-31 2024-04-16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70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20110010408A (ko) * 2009-07-24 2011-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055562B1 (ko) 2010-12-30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70A (ko) * 2009-05-04 2010-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20110010408A (ko) * 2009-07-24 2011-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 장치
KR101055562B1 (ko) 2010-12-30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56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67B1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354773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055562B1 (ko) 선형진동모터
CN10620860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105550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354858B1 (ko) 선형진동모터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2173570B1 (ko) 선형진동모터
US9085013B2 (en) Linear vibrator
US20140070667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US20140346926A1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28102A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41291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23760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184545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30015864A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506556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184502B1 (ko) 선형 진동자
KR101461274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278357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30031528A (ko) 선형 진동모터
KR20120138729A (ko) 선형진동모터
KR20130038328A (ko) 선형진동모터
KR20120078551A (ko) 선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