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880B1 - 진동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880B1
KR100549880B1 KR1020030045539A KR20030045539A KR100549880B1 KR 100549880 B1 KR100549880 B1 KR 100549880B1 KR 1020030045539 A KR1020030045539 A KR 1020030045539A KR 20030045539 A KR20030045539 A KR 20030045539A KR 100549880 B1 KR100549880 B1 KR 100549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ans
weight
magnet
vibration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596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880B1/ko
Priority to CN2008101262218A priority patent/CN101345465B/zh
Priority to US10/527,755 priority patent/US7525403B2/en
Priority to PCT/KR2004/001615 priority patent/WO2005004310A1/en
Priority to CN2004800008154A priority patent/CN1701485B/zh
Priority to EP04748378A priority patent/EP1642377A4/en
Publication of KR2005000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880B1/ko
Priority to US12/407,708 priority patent/US83392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수단이 중량물의 상하면에 설치됨으로써, 중량물의 외경을 확대시켜 진동 량은 키우면서, 외경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는 서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자기력 발생수단;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한 몸체를 이루는 중량물; 일단이 상기 중량물의 상면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량물의 진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량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시키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량물의 지지를 위한 탄성수단이 중량물의 상하면에 설치,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량물의 외경을 확대시켜 진동 량이 커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장치의 외경을 대폭 축소시키더라도, 기존에 비해 더욱 개선된 진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장치 구조{VIBRATOR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진동장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된 탄성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부케이스 120: 하부케이스
130: 자기력 발생수단 140: 마그네트
150: 중량물 151: 마그네트 장착 홈
153: 탄성수단 삽입 홈 160: 탄성수단
161: 원형 띠 163: 지지 발
170: 고정부재 171: 고정단
173: 함몰부 W: 웨이트 확장부
본 발명은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수단이 중량물의 상하면에 설치됨으로써, 중량물의 외경을 확대시켜 진동 량은 키우면서, 외경은 축소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호출기, 핸드폰 등) 등의 개인 정보 통신 기기에서 메시지 수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진동기능을 구현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장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장치는 크게 고정자(Stator)와 진동자(Mover)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케이스(2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0)에 회로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21)이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21) 상면 중앙에 코일(30)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0) 외주면에 일정높이 중공부를 형성하는 커플링부재(70)가 정합되고, 상기 커플링부재(70) 상부 끝단에 하부케이스(20)에 대향되는 상부케이스(10)를 정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자의 커플링부재(70)의 내벽 원둘레에 다수의 판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중공부 상에 웨이트(50)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웨이트(50) 저면에 코일(30)과 대향되도록 마그네트(40)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진동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별도의 전원 연결장치(80)를 이용해서 코일(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코일(30)에 자장이 형성되어 마그네트(40)와의 사이에 반발력 또는 흡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발력과 흡인력을 이용하여 진동자를 상하 운동시키게 되고, 상기 진동자는 판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진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진동장치는 핸드폰이 고 기능화 되고, 이로 인해, 핸드폰의 주변 부품 수가 증가됨에 따라 설치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외경이 소형화될 수밖에 없는데, 외경이 소형화됨으로 인해 웨이트(50)의 외경의 축소와 더불어 중량이 감소되어 진동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웨이트(50)의 상 하부로의 두께를 증가시켜 진동력을 키우고자하는 노력이 시도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웨이트(50)의 두께를 증가시켜 웨이트(50) 중량을 증가시킬 수는 있었으나, 마그네트(40)의 외경축소로 인해 자력이 감소되어진 상태로서 오히려 진동력이 더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시도로는 마그네트(40)의 외경을 축소하지 않고 웨이트(50)의 외경을 원주방향으로 확대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또한, 판 스프링(60)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결과가 되어 오히려 진동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낳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진동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량물의 지지를 위한 탄성수단이 중량물의 상하면에 설치, 지지되도록 하는 진동장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중량물의 외경을 키워서 진동 량이 커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장치의 진동 량을 키우면서,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는 서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자기력 발생수단;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한 몸체를 이루는 중량물; 일단이 상기 중량물의 상면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량물의 진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량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시키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이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트 또한, 중량물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은 코일을 권선 한 전자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은 하면 중앙에 일정 깊이 마그네트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장착 홈 둘레 상하면에 탄성수단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탄성수단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 삽입 홈의 바깥 둘레로 연장된 웨이트 확장부(W)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은 텅스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중량물의 탄성수단 삽입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판 상의 원형 띠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 띠로부터 다수의 지지 발이 연장되며, 상기 지지 발은 원형 띠의 축 방향으로 하향되는 동일 선회곡선을 형성하고, 각 선회곡선 끝단이 고정부재에 의해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한 축 방향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발의 수를 3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수단으로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직접적으로 고정시키 위한 고정단이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 고정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는 웨이트 확장부(W)가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는 위치에만 별도로 형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이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마그네트를 중량물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을 관통하는 하나의 마그네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된 탄성수단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 구조는 서로 대합되는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와, 상기 하부케이스(120) 상면에 형성한 자기력 발생수단(130)과,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130)에 대향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트(140)와, 상기 마그네트(140)를 장착하여 한 몸체를 이루고, 상하로 움직이면서 진동력을 가중시키기 위한 중량물(150)과, 상기 중량물(150)의 상하면의 상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중량물(15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성수단(160)과, 상기 탄성수단(160)의 타단을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130)은 코일을 권선한 전자석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물(150)은 하면 중앙에 일정 깊이 마그네트 장착 홈(151) 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장착 홈(151) 둘레 상하면에 탄성수단(16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탄성수단 삽입 홈(153)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 삽입 홈(153)의 바깥 둘레로 연장된 웨이트 확장부(W)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150)은 텅스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6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단이 중량물(150)의 탄성수단 삽입 홈(153)에 삽입되도록 하는 판 상의 원형 띠(161)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 띠(161)로부터 다수의 지지발(163)이 연장되며, 상기 지지발(163)은 원형 띠(161)의 축 방향으로 하향되는 동일 선회곡선을 형성하고, 각 선회곡선 끝단이 고정부재(170)에 의해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에 고정되도록 한 축 방향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발(163)의 수는 대략 3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160)으로는 이밖에도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는데, 그 평면 형상에 따라,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70)의 단면을 살펴보면,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탄성수단(160)의 타단을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에 직접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171)이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 고정단(17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함몰부(17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173)는 웨이트 확장부(W)가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70)는 탄성수단(160)의 타단이 고정되는 위치에만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고, "ㄷ"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기력 발생수단(130)에 1초 동안에 수십 번 또는 수백 번 단속(斷續)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130)에 자장이 형성되어 마그네트(140)와의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력 또는 척력이 1초 동안에 수십 번 또는 수백 번 반복 형성됨에 따라서, 마그네트(140)와 한 몸체로 이루어진 중량물(150)이 상하로 쉴새없이 요동되어지고, 이때의 요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력이 외부로 전달된다.
이때, 본 발명은 탄성수단(160)이 중량물(150)의 상하면에 설치됨으로 인해, 종래의 탄성수단을 원주방향으로 설치했을 때의 설치공간이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원주방향의 여유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중량물(150)의 외경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고, 마그네트(140)의 외경을 축소하지 않으면서도 중량물(150)의 중량을 늘려 진동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탄성수단(16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중량물(150)의 탄성수단 삽입 홈(153)으로부터 고정부재(170)의 함몰부(173) 내측면 직전까지의 거리만큼의 웨이트 확장부(W)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본 발명은 종래 대비 약 1.5배의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장치의 구조를 보인 개략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에 각각의 자기력 발생수단(130)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마그네트(140)를 중량물(150) 상하면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진동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물(150)을 관통하는 하나의 마그네트(140)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진동을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량물의 지지를 위한 탄성수단이 중량물의 상하면에 설치,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량물의 외경을 확대시켜 진동 량이 커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장치의 외경을 대폭 축소시키더라도, 기존에 비해 더욱 개선된 진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서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자기력 발생수단;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되게 배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와 한 몸체를 이루는 중량물;
    일단이 상기 중량물의 상면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고정되고, 상기 중량물의 진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량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시키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진동장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트 또한, 상기 중량물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은 코일을 권선한 전자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은 하면 중앙에 일정 깊이 마그네트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 장착 홈 둘레 상하면에 탄성수단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기 위한 탄성수단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 삽입 홈의 바깥 둘레로 연장된 웨이트 확장부(W)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은 텅스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이 상기 중량물의 탄성수단 삽입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판 상의 원형 띠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 띠로부터 다수의 지지 발이 연장되며, 상기 지지 발은 원형 띠의 축 방향으로 하향되는 동일 선회곡선을 형성하고, 각 선회곡선 끝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한 축 방향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의 수를 적어도 3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 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으로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으로는 그 평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판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직접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이 상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 고정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웨이트 확장부(W)가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탄성수단의 타단이 고정되는 위치에만 별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 발생수단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갖는 마그네트가 상기 중량물 상하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을 관통하는 하나의 마그네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 구조.
KR1020030045539A 2003-07-05 2003-07-05 진동장치 구조 KR100549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539A KR100549880B1 (ko) 2003-07-05 2003-07-05 진동장치 구조
CN2008101262218A CN101345465B (zh) 2003-07-05 2004-07-01 振动装置
US10/527,755 US7525403B2 (en) 2003-07-05 2004-07-01 Vibration device
PCT/KR2004/001615 WO2005004310A1 (en) 2003-07-05 2004-07-01 Vibration device
CN2004800008154A CN1701485B (zh) 2003-07-05 2004-07-01 振动装置
EP04748378A EP1642377A4 (en) 2003-07-05 2004-07-01 VIBRATOR
US12/407,708 US8339224B2 (en) 2003-07-05 2009-03-19 Vib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539A KR100549880B1 (ko) 2003-07-05 2003-07-05 진동장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596A KR20050005596A (ko) 2005-01-14
KR100549880B1 true KR100549880B1 (ko) 2006-02-06

Family

ID=3356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539A KR100549880B1 (ko) 2003-07-05 2003-07-05 진동장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525403B2 (ko)
EP (1) EP1642377A4 (ko)
KR (1) KR100549880B1 (ko)
CN (2) CN101345465B (ko)
WO (1) WO2005004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04B1 (ko) * 2004-06-23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판 스프링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선형진동엑츄에이터
TW200629959A (en) * 2004-09-22 2006-08-16 Citizen Electronics Electro-dynamic exciter
US7538463B2 (en) 2006-01-10 2009-05-26 Citizen Electronics Co., Ltd. Vibrator
US8795210B2 (en) * 2006-07-11 2014-08-05 American Medical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low profile vibrating plate
JP2008170974A (ja) * 2006-12-11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CN101051774B (zh) * 2007-02-05 2011-05-25 吴志恒 仿真振动器
CH697642B1 (de) * 2007-05-15 2008-12-31 Philippe Saint Ger Ag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magnetischen Kopplung zwischen zwei voneinander beabstandeten Körper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0941292B1 (ko) 2007-11-12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WO2010021482A2 (ko) * 2008-08-18 2010-02-25 Lee In Ho 수평 선형 진동기
JP2010265805A (ja) * 2009-05-14 2010-11-25 Kaneko Fumiko 磁力増強電磁式駆動装置
CN201388144Y (zh) * 2009-02-20 2010-01-20 瑞声声学科技(常州)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CN101908815B (zh) * 2009-06-02 2015-04-08 易音特电子株式会社 双模振动器
KR101059599B1 (ko) * 2009-07-01 2011-08-25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156787B1 (ko) * 2009-07-27 2012-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071419B1 (ko) * 2009-09-29 2011-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KR101321000B1 (ko) * 2009-09-30 2013-10-23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201708677U (zh) * 2009-10-19 2011-01-12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扁平线性振动电机
KR101115253B1 (ko) * 2009-10-30 2012-02-15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기
KR101074830B1 (ko) * 2009-12-18 2011-10-19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064469B1 (ko) * 2010-04-05 2011-09-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US8731503B2 (en) 2010-04-29 2014-05-20 Nokia Corporation RF performance improvement
KR101000757B1 (ko) * 2010-06-09 2010-12-13 주식회사 비에스이 선형 진동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064B1 (ko) * 2010-08-06 2012-03-28 주식회사 비에스이 선형 진동모터
CN101958628B (zh) * 2010-09-19 2012-07-25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振动电机
JP5657976B2 (ja) * 2010-09-27 2015-01-21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CN201995121U (zh) * 2010-12-21 2011-09-28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发声装置
KR101803809B1 (ko) * 2011-05-18 2017-12-04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CN102290955B (zh) * 2011-06-27 2013-07-2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振动电机
KR101354744B1 (ko) * 2011-08-04 2014-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장치
KR20130025636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DE102011082143A1 (de) * 2011-09-05 2013-03-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einrichtung
US8774430B2 (en) * 2011-12-02 2014-07-08 Thomas Paul Heed Linear interleaved magnetic motor and loudspeaker transducer using same
KR101932659B1 (ko) * 2012-09-10 2018-12-28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JP6144090B2 (ja) * 2013-04-08 2017-06-07 樋口 俊郎 電磁アクチュエータ
US10257614B2 (en) * 2014-07-29 2019-04-09 Yeil Electronics Co., Ltd.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CN204334276U (zh) * 2014-12-23 2015-05-13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WO2016104632A1 (ja) * 2014-12-24 2016-06-30 ピー・エス・シー株式会社 振動体ユニット
CN204886625U (zh) * 2015-06-15 2015-12-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204761267U (zh) 2015-06-15 2015-11-11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05163246A (zh) * 2015-08-12 2015-12-16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音圈线及用该音圈线绕制的音圈及扬声器和振动电机
CN105305761B (zh) * 2015-10-27 2017-12-19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电机
CN106026604B (zh) * 2016-06-06 2019-06-2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马达
TWI599149B (zh) * 2016-08-02 2017-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振動產生裝置
CN106374717A (zh) * 2016-08-31 2017-02-01 浙江省东阳市诚基电机有限公司 一种z轴振动方形线性马达
US10512937B2 (en) * 2016-09-14 2019-12-24 Nidec Seimitsu Corporation Vibration motor
KR101856461B1 (ko) 2016-11-08 2018-05-10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액추에이터
JP7032663B2 (ja) * 2016-12-20 2022-03-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着信通知機能デバイス
CN107370323B (zh) * 2017-04-14 2019-08-0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器件和电子设备
KR102026401B1 (ko) * 2017-09-29 2019-09-2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107659105A (zh) * 2017-10-26 2018-02-02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对称式线性振动器
KR102032927B1 (ko) * 2018-11-06 2019-10-17 주식회사 넥스벨 리니어 진동모듈
US10462574B1 (en) * 2018-11-30 2019-10-29 Google Llc Reinforced actuators for distributed mode loudspeakers
US11341948B2 (en) * 2019-07-17 2022-05-24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improved spring arrangement
US11678123B2 (en) 2020-05-20 2023-06-13 Sound Solutions International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a speaker or a sound transducer with a high-strength metal connection between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 system
CN113727258B (zh) 2020-05-20 2024-01-26 奥音科技(镇江)有限公司 电动激励器、扬声器、电动换能器和输出设备
CN111641310A (zh) * 2020-06-17 2020-09-08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微型超重低音双驱动低频振动器
CN113262972B (zh) * 2021-05-17 2022-03-11 湖南大学 一种电磁结构及电磁换能器
CN216362356U (zh) * 2021-11-10 2022-04-22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多功能发声器件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699A (ja) * 1984-07-10 1986-01-30 Pioneer Electronic Corp 体感音響振動装置
US5107540A (en) * 1989-09-07 1992-04-21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resonant vibrator
JPH09117721A (ja) * 1994-09-28 1997-05-06 Seiko Instr Inc 振動モジュール
KR200160178Y1 (ko) * 1997-08-05 1999-11-01 이종배 다용도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US6211775B1 (en) * 1998-06-15 2001-04-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and externally transmitting a sound wave of audible frequency and transmitting a vibration for notification
CN1294832A (zh) * 1999-03-03 2001-05-09 株式会社东金 由螺旋形阻尼件支撑磁路、柔顺性提高的振动操作机构
US6628798B2 (en) * 1999-04-13 2003-09-30 Nec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three vibration modes
EP1145592A3 (en) * 1999-12-02 2002-07-03 Tokin Corporation Vibration actuator having an elastic member between a suspension plate and a magnetic circuit device
JP4630957B2 (ja) 2000-06-16 2011-02-09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装置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KR100370639B1 (ko) * 2000-12-19 2003-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액츄에이터
JP4596203B2 (ja) 2001-02-1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00129B1 (ko) 2001-03-02 2005-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 음향 변환장치
JP2003033724A (ja) 2001-07-23 2003-02-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電気−機械振動変換器とこれを組み込んだ小型携帯機器
KR100410969B1 (ko) * 2001-08-17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다기능 액츄에이터
JP2003080171A (ja) * 2001-09-13 2003-03-18 Shicoh Eng Co Ltd 電磁型アクチュエータ
US6608541B2 (en) * 2001-09-28 2003-08-19 Shicoh Engineering Co., Ltd. Electromagnetic actuator
JP2003154315A (ja) * 2001-11-22 2003-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4105816A (ja) * 2002-09-17 2004-04-08 Tokyo Parts Ind Co Ltd 電磁音響変換振動発生器と同器を備えた移動体通信装置
TW562363U (en) * 2002-10-11 2003-11-11 Merry Electronics Co Ltd Dual magnetic loop voice transceiver
JP4065769B2 (ja) * 2002-11-29 2008-03-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US7358633B2 (en) *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KR100735299B1 (ko) * 2004-06-23 2007-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100541112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5403B2 (en) 2009-04-28
CN101345465B (zh) 2012-05-30
EP1642377A1 (en) 2006-04-05
US20060022781A1 (en) 2006-02-02
US20090174510A1 (en) 2009-07-09
KR20050005596A (ko) 2005-01-14
US8339224B2 (en) 2012-12-25
CN1701485A (zh) 2005-11-23
CN101345465A (zh) 2009-01-14
EP1642377A4 (en) 2011-05-04
WO2005004310A1 (en) 2005-01-13
CN1701485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880B1 (ko) 진동장치 구조
KR100245379B1 (ko) 진동 발생장치
US20190207497A1 (en) Vibration motor
US7076079B2 (en) Multi-functional actuator
US20110266892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111082630B (zh) 一种振动装置
JP3271884B2 (ja) 振動発生装置
KR20010039549A (ko) 진동발생기
KR100639024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JP2000165992A (ja) 耐衝撃性良好な電磁型変換器
KR100550921B1 (ko) 진동특성을 향상시킨 선형 진동자
RU2212954C2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бор и цепь для его возбуждения
KR20150096364A (ko) 선형 진동자
KR102354173B1 (ko)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US11489427B2 (en) Sound vibration actuator with three vibration assemblies and different frequencies
KR100410969B1 (ko) 다기능 액츄에이터
JP2002200461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0336989B1 (ko) 다목적 부저
KR20020051817A (ko) 다기능형 발음체와 휴대 단말기
KR100540550B1 (ko) 진동장치 구조
KR100330667B1 (ko) 진동 스피커
KR20130139486A (ko) 소형의 기능성 진동발생장치
KR100356011B1 (ko) 신호 변환장치
KR100295570B1 (ko) 다목적 부저
KR100336988B1 (ko) 신호 변환장치의 요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