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989B1 - 다목적 부저 - Google Patents

다목적 부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989B1
KR100336989B1 KR1020000037099A KR20000037099A KR100336989B1 KR 100336989 B1 KR100336989 B1 KR 100336989B1 KR 1020000037099 A KR1020000037099 A KR 1020000037099A KR 20000037099 A KR20000037099 A KR 20000037099A KR 100336989 B1 KR100336989 B1 KR 10033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yoke
magnet
case
buz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817A (ko
Inventor
김낙현
Original Assignee
김낙현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현,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filed Critical 김낙현
Priority to KR102000003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98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전달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구동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하의 중앙에 원형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의 흐름을 유도하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하의 외곽에 형성된 요크와, 중앙에 상기 요크가 고정되고 외곽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과, 각 진동판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을 통해 구동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의 자기력 변화로 인하여 진동하는 진동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부저로 리시버와 스피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을 달리하여도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다목적 부저{The multi-functional buzzer}
본 발명은 휴대전화나 PCS폰 등의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다목적 부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따라 스피커(speaker)와 바이브레이 터(vibrator) 또는 리시버(receiver)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부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전화나 PCS폰(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무선 호출기 등에는 기지국을 매개로 하여 상대방으로부터의 착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speaker)나 부저(buzzer) 및 바이브레이터 등이 내장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통신기기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의 부피가 작아지는 추세에 따라 그 내부에 내장되는 이들 부품들의 부피 역시 극소형으로 작아지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계층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각종 통신기기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진동기능과 부저기능을 모두 갖춘 다목적 부저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원통형의 케이스의 아래 위에는 원판형의 진동판과 베이스가 각각 결합되고, 이 케이스와 진동판 사이로는 코일에 연결된 터미널이 외부로 인출되며, 이 케이스의 옆면에는 케이스 내부와 관통된 부저음 출력구가 천공되어 있다.
하부로부터 압입되는 베이스에 의해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중앙에는 요크의 연장단부가 접합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이 요크의 상부에는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이 요크의 중앙에는 소정높이를 갖는 철심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다목적 부저에서는 스프링의 중앙과 외곽을 연결하여 주는 절개홈을 제외한 부분이나 탄성부분의 탄성계수가 너무 커서 코일에 고전류의 외부전원을 흘려 보내야 요크가 진동한다. 즉, 다목적 부저를 구동시키기 위해 높은 구동전원을 사용하므로 소비전력이 많아진다.
이에 출원인은 1999. 05. 25 자 특허출원 제18844호에서 외부입력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스프링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고 있으나, 한 쌍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 그리고 코일 등이 사용되어 기능에 따라 구동전원을 바꾸어야 한다.다시 말하면 리시버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스피커나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전류의 구동전원이 요구되므로 여전히 많은 전력을 소비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부저로 리시버와 스피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을 달리하여도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다목적 부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터미널 2 : 케이스
3 : 통공 4a,4b,4c,4d : 결합턱
5,20 : 커버 6,15 : 진동판
7,18 : 코일 8,16 : 스프링
9,17 : 결합돌기 10,14 : 플레이트
11,13 : 마그네트 12 : 요크
21 : 단말기 본체 22 : 부저 본체
23 : 리시버 부분 24 :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부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는, 소리 전달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구동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하의 중앙에 원형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의 흐름을 유도하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하의 외곽에 형성된 요크와, 중앙에 상기 요크가 고정되고 외곽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과, 각 진동판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을 통해 구동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의 자기력 변화로 인하여 진동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은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또는 리시버 기능을 따로 따로 수행시 각각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yoke)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감겨진 코일의 단부가 상기 공간에 내입되도록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크 중앙의 상하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기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형으로 감겨진 각 코일의 권선수가 다르게 감겨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와 코일 중 하나의 마그네트와 코일은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리시버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상기 요크가 진동하여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진동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하에 부착되는데, 상기 진동판과 맞닿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원호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상하에는 상기 케이스 내의 각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각각 닫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목적 부저의 케이스(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이 케이스(2)의 측면에는 소리의 원활한 전달과 공기흐름을 위한 다수의 통공(3)이 내부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의 측면에는 다수의 터미널(1)이 몰딩되어 있는데, 이 터미널(1)에는 미도시된 구동전원이 연결될 뿐만 아니라 케이스(2) 내의 코일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통공(3)은 부저가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또는 리시버 기능을 따로 따로 수행시 각각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케이스(2)의 측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 터미널(1)이 3개만이 도시되었는데, 이 중 하나의 터미널에는 두 개의 코일의 접지라인이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터미널에는 각 코일의 다른 라인이 각각 연결되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2)의 중앙에는 한 쌍의 스프링(8)(16)에 의해 요크(12)가 장착되는데,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요크(12)의 상하에 결합된 스프링(8)(16)의 외곽에는 두 개의 결합돌기(9)(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스프링(8)(16) 사이에 요크(12)를 장착한 후 도 3에서와 같이 결합돌기(9)(17)를 케이스(2)의 결합턱(4a)(4b)(4c)(4d)에 서로 교차되게 장착함으로써 요크(12)가 스프링(7)(16)에 의해 탄지되어 케이스(2)내에 위치한다.
이 요크(12)의 중앙은 외곽에 비해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크(12) 상하의 중앙에는 마그네트(11)(13)와 플레이트(10)(1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렇게 적층된 마그네트(11)(13)와 플레이트(10)(14)는 요크(12) 외곽의 높이와 동일하며, 이 마그네트(11)(13) 및 플레이트(10)(14)와 요크(12) 외곽 사이에는 코일(7)(18)이 내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2)의 상하에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진동판(6)(15)이 부착되어 있으며, 케이스(2)의 내측은 진동판(6)(15)을 부착한 접착제가 진동판(6)(15)을 타고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진동판(6)(15)의 내면에는 원통형으로 감겨진 코일(7)(18)이 마그네트(11)(13)와 요크(12) 사이의 공간을 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요크(12) 중앙의 상하에 부착된 마그네트(11)(13)의 자기력과 진동판(6) (15)에 부착된 코일(7)(18)의 권선수를 달리하여 스피커와 리시버 그리고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두 개의 마그네트(11)(13)와 코일 (7)(18) 중 하나의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코일의 권선수를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리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상기 요크가 진동하여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2)의 상하에는 케이스(2) 내의 각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5)(20)가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리시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코일(18)에 입력되면, 코일(18)이 여자되면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13)와 코일(18) 사이에 밀고 당기는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진동판(15)이 진동되어 리시버로서 사용 가능한 소리가 발생된다.
물론, 리시버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마그네트(13)와 코일(18)의 자기력에 의해 진동판(15)만이 진동할 뿐 스프링(8)(16)은 요크(12)를 지지한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코일(7)에 입력되면, 코일(7)이 여자되면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11)와 코일(7) 사이에 밀고 당기는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진동판(6)이 진동되어 스피커로서 사용 가능한 소리(리시버에 비해서는 높은 레벨의 소리)가 발생된다.
물론,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역시 마그네트(11)와 코일(7)의 자기력에 의해 진동판(6)만이 진동할 뿐 스프링(8)(16)은 요크(12)를 지지한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코일(7)에 입력되면, 코일(7)이 여자되면서 자기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11)와 코일(7) 사이에 밀고 당기는 힘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요크(12)가 스프링(8)(16)의 탄발력을 이기고 진동되어 바이브레이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부저의 사용례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부저 본체(22)가 단말기 본체(21) 내에 내장되는데, 리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리시버 부분(23)이 안쪽을 향하고,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부분(24)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케이스(2)의 측면에 다수개의 통공(3)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리시버 기능과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시버 기능 수행시 외부로 소리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부저로 리시버와 스피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을 달리하여도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물론, 하나의 부저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때에도 해당 기능에 적합한 마그네트의 자기력과 코일의 권선수를 유지하므로 안정된 소리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소리 전달을 위한 다수의 통공이 외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며 구동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터미널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상하의 중앙에 원형의 마그네트와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력의 흐름을 유도하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상하의 외곽에 형성된 요크;
    중앙에 상기 요크가 고정되고 외곽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요크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
    각 진동판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요크와 마그네트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을 통해 구동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 및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사이의 자기력 변화로 인하여 진동하는 진동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부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터 또는 리시버 기능을 따로 따로 수행시 각각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감겨진 코일의 단부가 상기 공간에 내입되도록 상기 진동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중앙의 상하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자기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형으로 감겨진 각 코일의 권선수가 다르게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와 코일 중 하나의 마그네트와 코일은,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와 코일 중 하나의 마그네트와 코일은,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진동판이 진동하여 리시버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와 코일 중 하나의 마그네트와 코일은, 외부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한 코일의 여자로 상기 요크가 진동하여 바이브레이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기력과 권선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과 맞닿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이 원호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하에는 상기 케이스 내의 각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각각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다목적 부저.
KR1020000037099A 2000-06-30 2000-06-30 다목적 부저 KR10033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099A KR100336989B1 (ko) 2000-06-30 2000-06-30 다목적 부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099A KR100336989B1 (ko) 2000-06-30 2000-06-30 다목적 부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817A KR20000058817A (ko) 2000-10-05
KR100336989B1 true KR100336989B1 (ko) 2002-05-17

Family

ID=1967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099A KR100336989B1 (ko) 2000-06-30 2000-06-30 다목적 부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832A (ko) * 2019-02-22 2020-09-01 (주)파트론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459B1 (ko) * 2002-03-15 2005-03-22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하나의 판재로 가공된 요크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기능 신호 변환장치
KR20030088905A (ko) * 2002-05-15 2003-11-21 주식회사 삼부커뮤닉스 요크의 안정된 진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목적 부저의프레임 구조
KR20020057901A (ko) * 2002-05-28 2002-07-12 전창만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697A (en) * 1991-05-17 1996-06-1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JPH117285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H117286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
KR19990035445U (ko) * 1999-06-23 1999-09-06 이석순 통신기기용진동/음향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697A (en) * 1991-05-17 1996-06-1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JPH117285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H117286A (ja) * 1997-06-18 1999-01-12 Sanyo Electric Co Ltd 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
KR19990035445U (ko) * 1999-06-23 1999-09-06 이석순 통신기기용진동/음향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832A (ko) * 2019-02-22 2020-09-01 (주)파트론 진동모터
KR102251218B1 (ko) * 2019-02-22 2021-05-12 (주)파트론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817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1605B2 (en) Speaker having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KR100358866B1 (ko) 신호 변환장치
CN208571882U (zh) 电磁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KR101857611B1 (ko) 선형진동모터
KR100336989B1 (ko) 다목적 부저
JPH09172763A (ja) 振動発生装置
CN217116374U (zh) 多功能发声装置
CN114421730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215580858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215580850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0432615B1 (ko) 타원형 스피커
JP3149412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368295B1 (ko) 두 개의 요크를 이용한 다용도 신호 변환장치
KR100356011B1 (ko) 신호 변환장치
KR200298322Y1 (ko) 신호변환장치
KR100336988B1 (ko) 신호 변환장치의 요크 구조
KR100497084B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KR200344263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100295572B1 (ko) 다목적 부저
KR20000063533A (ko) 신호 변환장치
KR200286532Y1 (ko) 요크의 안정된 진동을 유도하기 위한 다목적 부저의프레임 구조
KR200259832Y1 (ko) 양면 신호변환장치
KR100355848B1 (ko) 진동 스피커
KR100295571B1 (ko) 다목적 부저
KR100478459B1 (ko) 하나의 판재로 가공된 요크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성형된다기능 신호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