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5848B1 - 진동 스피커 - Google Patents

진동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848B1
KR100355848B1 KR1019990061284A KR19990061284A KR100355848B1 KR 100355848 B1 KR100355848 B1 KR 100355848B1 KR 1019990061284 A KR1019990061284 A KR 1019990061284A KR 19990061284 A KR19990061284 A KR 19990061284A KR 100355848 B1 KR100355848 B1 KR 10035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case
magnet
vibra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870A (ko
Inventor
손연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8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스피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심면에 음 발생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채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에 지지되며, 상부 중심면에는 선택적으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코일이 권선된 요크와;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요크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면에는 코일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 마그네트가 마련된 멤브레인과; 요크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요크와 이 요크에 권선되는 코일 및 멤브레인과 요크상에 마련되는 상,하부 마그네트를 통해 스피커의 기능과 진동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때 특히 진동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마그네트와 요크간에 충분한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충분한 힘을 얻게됨으로써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 스피커{Vibration speaker}
본 발명은 호출음 및 수화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기능과, 착신신호로써 진동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된 진동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기술 발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가 개인휴대 통신의 등장이며, 이러한 개인휴대 통신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및 호출기이다.
이와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에서 휴대폰은 송수화가 모두 가능한 반면 호출기는 수신 메시지의 기능만을 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들의 주된 공통점은 착신신호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송신시 이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음성이나 문자등으로 표현되지만 그 전에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고 있음을 상대편의 휴대 통신장비에 즉, 휴대폰이나 호출기에 착신신호로서 알리게된다.
이러한 착신신호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벨이다.
이와같은 벨에도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은데 이를 크게 나누면 멜로디와 단순 반복음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로 한 종류의 벨을 선택해서 착신음으로 사용하며, 선택된 착신음은 음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소음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착신음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할 지라도, 공공장소등에서 소음의 원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신음에는 벨 기능과 함께 진동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하고 있다.
즉, 진동기능은 사용자만 알 수가 있으므로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바 이러한 진동기능은 간단히 사용자가 임의로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기기의 착신기능을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착신음이나 수화음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와, 진동모드를 위한 진동유발수단이 각각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스피커와 진동모드를 위한 진동유발수단을 각각 구비할 경우에는 단가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됨으로써 근래에는 이들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진동 스피커가 널리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 스피커의 일예로써 일본국 특개평10-117472호에 제안된 진동 스피커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이는, 케이스(1)를 구비한다.
케이스(1)의 요크(2)가 판 스프링(3)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이 요크(2)의 중심 내측에는 마그네트(4)가 마련된다.
케이스(1)의 상측에는 진동판(5)이 설치되며, 이 진동판(5)으로 부터는 요크(2)의 마그네트(4)와 인접되도록 코일(6)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진동 스피커는, 코일(6)에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4)와 코일(6)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판(5)이 미세하게 떨리게 되어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이를 스피커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6)이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코일(6)과 마그네트(4) 사이에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요크(2)가 공진되고, 이 요크(2)의 공진이 판 스프링(3)을 통해 케이스(1)로 전달됨으로써 진동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진동 스피커에 있어서는, 스피커음을 발생시킬때에는 아무런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지만, 진동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코일(6)에 인가할 수 있는 출력이 매우 작은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진동량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피커 기능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진동량을 얻을 수 있음으로써 진동발생기능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진동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피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음 발생구멍
200 : 요크 210 : 스프링
220 : 보조 요크 300 : 멤브레인
400,500 : 상,하부 마그네트
600 : 코일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는, 중심면에 음 발생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채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에 지지되며, 상부 중심면에는 선택적으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코일이 권선된 요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요크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면에는 상기 코일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 마그네트가 마련된 멤브레인과; 상기 요크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는, 크게 케이스(case;100)와 요크(yoke;200) 그리고 멤브레인(membrane;300) 및 상,하부 마그네트(400,500)로 대별된다.
케이스(100)의 상부 중심면에는 음 발생구멍(110)이 형성된다.
요크(200)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스프링(210)에 의해 케이스(100)상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요크(200)의 중심 상면에는 보조 요크(220)가 연장 형성되며, 이 보조 요크(220)로는 선택적으로 고주파 신호 및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코일(600)이 권선된다.
그리고 이 보조 요크(220)를 중심으로 하여 요크(200)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하부 마그네트(500)가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링(ring)형상으로 설치된다.
멤브레인(300)은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00)의 음 발생구멍(110)과 인접된 상부 내측면에 설치된다.
이 멤브레인(300)의 중심면에는 코인(coin)형태의 상부 마그네트(400)가 마련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피커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요크(200)의 중심부에 즉, 보조 요크(220)상에 권선된 코일(600)에 고주파신호를 입력시킨다.
이에의해서는 코일(600)과 요크(200)상의 하부 마그네트(500)간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동시에 하부 마그네트(500)와 멤브레인(300)의 중심면에 마련된 코인 형태의 상부 마그네트(400)상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멤브레인(300)이미세하게 떨면서 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음이 음 발생구멍(110)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스피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진동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요크(200)의 중심부 즉, 보조 요크(220)에 권선된 코일(600)에 저주파 신호를 입력시킨다.
이에의해서 코일(600)과 요크(200)상의 상부 마그네트(400)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때의 전자기력에 의해 요크(200)가 공진하게 된다.
이와같은 요크(200)의 공진이 케이스(100)에 요크(200)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스프링(210)을 통해 케이스(100)로 전달됨으로써 케이스(100)가 진동하게 되고, 이를 진동신호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즉, 요크(200)의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파수로 가진 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 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에 의하면, 요크와 이 요크에 권선되는 코일 및 멤브레인과 요크상에 마련되는 상,하부 마그네트를 통해 스피커의 기능과 진동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때 특히 진동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마그네트와 요크간에 충분한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충분한 힘을 얻게됨으로써 진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중심면에 음 발생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된채 스프링에 의해 케이스에 지지되며, 상부 중심면에는 선택적으로 고주파 신호와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는 코일이 권선된 요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내측면과 요크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면에는 상기 코일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 마그네트가 마련된 멤브레인과;
    상기 요크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상부 마그네트와 함께 자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KR1019990061284A 1999-12-23 1999-12-23 진동 스피커 KR10035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84A KR100355848B1 (ko) 1999-12-23 1999-12-23 진동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284A KR100355848B1 (ko) 1999-12-23 1999-12-23 진동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870A KR20010057870A (ko) 2001-07-05
KR100355848B1 true KR100355848B1 (ko) 2002-10-18

Family

ID=1962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284A KR100355848B1 (ko) 1999-12-23 1999-12-23 진동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794B1 (ko) * 2005-03-28 2007-03-02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소자가 내장된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870A (ko)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085B2 (en) Vibration generator for reporting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000012495A (ko)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KR20010060174A (ko) 진동 스피커
US6281785B1 (en) Vibration generator for notification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US7245891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peaker vibration aler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JP2003152606A (ja) 磁気通信装置
KR100355848B1 (ko) 진동 스피커
KR100323076B1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49B1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6A (ko) 진동 스피커
JPH1119590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KR20020006292A (ko) 진동 스피커
KR100337118B1 (ko) 진동 스피커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8A (ko) 진동 스피커
KR101014190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0396794B1 (ko) 진동모터 일체형 스피커
KR100355851B1 (ko) 진동 스피커
KR20020006286A (ko) 진동 스피커
KR100375511B1 (ko) 진동 스피커
KR100764655B1 (ko) 다기능 액츄에이터
KR20020006287A (ko) 진동 스피커
JP2931559B2 (ja) 報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KR20010058097A (ko) 진동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