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286A - 진동 스피커 - Google Patents

진동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286A
KR20020006286A KR1020000039858A KR20000039858A KR20020006286A KR 20020006286 A KR20020006286 A KR 20020006286A KR 1020000039858 A KR1020000039858 A KR 1020000039858A KR 20000039858 A KR20000039858 A KR 20000039858A KR 20020006286 A KR20020006286 A KR 20020006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se
speaker
magnet
y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3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286A/ko
Publication of KR2002000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2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스피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케이스상에 복수의 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 설치되며, 내측에는 마그네트가 마련된 요크와; 요크의 상단부에 중심부 양측면이 고정되며, 일측 하면에 요크의 마그네트와 인접되도록 코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고정된 양단부로 부터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로 연장된 진동판과;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진동 발생용 코일이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안정된 진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요크에 진동판을 고정하고, 이 진동판의 양측면을 케이스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즉, 전체적으로 고깔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신호 입력시 충분한 공진에 의한 음향을 얻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 스피커{Vibration speaker}
본 발명은 호출음 및 수화음을 전달하는 스피커 기능과, 착신신호로써 진동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된 진동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통신기술 발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가 개인휴대 통신의 등장이며, 이러한 개인휴대 통신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및 호출기이다.
이와같은 개인휴대 통신장비에서 휴대폰은 송수화가 모두 가능한 반면 호출기는 수신 메시지의 기능만을 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들의 주된 공통점은 착신신호를 갖는다는 것이다.
즉, 송신시 이들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음성이나 문자등으로 표현되지만 그 전에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고 있음을 상대편의 휴대 통신장비에 즉, 휴대폰이나 호출기에 착신신호로서 알리게된다.
이러한 착신신호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벨이다.
이와같은 벨에도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은데 이를 크게 나누면 멜로디와 단순 반복음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로 한 종류의 벨을 선택해서 착신음으로 사용하며, 선택된 착신음은 음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소음상태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같이 착신음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할 지라도, 공공장소등에서 소음의 원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착신음에는 벨 기능과 함께 진동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하고 있다.
즉, 진동기능은 사용자만 알 수가 있으므로 소음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바 이러한 진동기능은 간단히 사용자가 임의로 벨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기기의 착신기능을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착신음이나 수화음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와, 진동모드를 위한 진동유발수단이 각각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스피커와 진동모드를 위한 진동유발수단을 각각 구비할 경우에는 단가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됨으로써 근래에는 이들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진동 스피커가 널리 제안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진동 스피커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케이스(1)를 구비한다.
케이스(1)의 내측에는 요크(2)가 복수의 판 스프링(3)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이 요크(2)의 중심 내측에는 마그네트(4)가 마련된다.
케이스(1)의 상측에는 진동판(5)이 설치되며, 이 진동판(5)으로 부터는 요크(2)의 마그네트(4)와 인접되도록 코일(6)이 연장 형성된다.
케이스(1)의 하측에는 하부 플레이트(7)가 위치되고, 이 하부 플레이트(7)에는 마그네트(8)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진동 스피커는, 코일(6)에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4,8)와 코일(6)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판(5)이 미세하게 떨리게 되어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이를 스피커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6)에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코일(6)과 마그네트(4,8) 사이에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요크(2)가 공진되고, 이 요크(2)의 공진이 판 스프링(3)을 통해 케이스(1)로 전달됨으로써 진동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진동 스피커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단품으로 사용할때에 비하여 코일(6)에 인가할 수 있는 출력이 매우 작아 충분한 음량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진동 기능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음량을 얻을 수 있음으로써 스피커 기능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진동 스피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피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20 : 요크
30 : 판 스프링 40 : 마그네트
50 : 진동판 51 : 코일
60 : 하부 플레이트 61 : 코일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상에 복수의 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 설치되며, 내측에는 마그네트가 마련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상단부에 중심부 양측면이 고정되며, 일측 하면에 요크의 마그네트와 인접되도록 코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고정된 양단부로 부터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로 연장된 진동판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진동 발생용 코일이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는, 케이스(case;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요크(yoke;20)가 판 스프링(3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이 요크(20)의 중심 내측에는 마그네트(40)가 마련된다.
요크(20)의 상단부에는 진동판(diaphragm;50)의 중심 양측면에 고정되며, 이 진동판(50)의 일측 하면으로 부터는 요크(20)의 마그네트(40)와 인접되도록 코일(51)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특히 진동판(50)은 요크(20)에 고정된 양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케이스(10)의 상부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깔 형태를 갖는다.
전술한 케이스(10)의 하측에는 하부 플레이트(60)가 위치되고, 이 하부 플레이트(60)에는 진동 발생을 위한 코일(61)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는, 코일(41)에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40)와 코일(51)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판(50)이 미세하게 떨리게 되어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이를 스피커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진동판(50)이 전체적으로 고깔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즉, 자유 양단부가 케이스(10)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위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좀더 향상된 음향을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코일(51)에 저주파 신호가 입력되면, 코일(51)과 마그네트(40) 사이에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요크(20)가 공진되고, 이 요크(20)의 공진이 판 스프링(30)을 통해 케이스(10)로 전달됨으로써 진동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진동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케이스(10)의 하측에 위치된 하부 플레이트(60)상의 코일(61)과 함께 진동에 필요한 공진을 도모하게 됨으로써 좀더 향상된 공진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스피커에 의하면, 안정된 진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요크에 진동판을 고정하고, 이 진동판의 양측면을 케이스를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즉, 전체적으로 고깔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신호 입력시 충분한 공진에 의한 음향을 얻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상에 복수의 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 설치되며, 내측에는 마그네트가 마련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상단부에 중심부 양측면이 고정되며, 일측 하면에 요크의 마그네트와 인접되도록 코일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요크에 고정된 양단부로 부터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로 연장된 진동판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진동 발생용 코일이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스피커.
KR1020000039858A 2000-07-12 2000-07-12 진동 스피커 KR20020006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58A KR20020006286A (ko) 2000-07-12 2000-07-12 진동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858A KR20020006286A (ko) 2000-07-12 2000-07-12 진동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286A true KR20020006286A (ko) 2002-01-19

Family

ID=196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858A KR20020006286A (ko) 2000-07-12 2000-07-12 진동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2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745A (ko) * 2001-08-21 2003-03-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진 진동자
KR100692254B1 (ko) * 2005-07-19 2007-03-14 주식회사 블루콤 마이크로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745A (ko) * 2001-08-21 2003-03-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진 진동자
KR100692254B1 (ko) * 2005-07-19 2007-03-14 주식회사 블루콤 마이크로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4085B2 (en) Vibration generator for reporting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US6281785B1 (en) Vibration generator for notification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vibration generator
US7245891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peaker vibration aler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43958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KR100323076B1 (ko) 진동 스피커
KR20020006286A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49B1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6A (ko) 진동 스피커
JP3186540B2 (ja) 質量励磁音響装置
KR100355848B1 (ko) 진동 스피커
JPH1119590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通信装置
KR20020006287A (ko) 진동 스피커
KR20020006292A (ko) 진동 스피커
KR20030059604A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100337118B1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8A (ko) 진동 스피커
KR100375511B1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7A (ko) 진동 스피커
KR20010058092A (ko) 진동 스피커
KR101014190B1 (ko) 전자음향변환기
KR100355851B1 (ko) 진동 스피커
KR100355850B1 (ko) 진동 스피커
KR20020049602A (ko) 진동스피커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