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445U - 통신기기용진동/음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용진동/음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445U
KR19990035445U KR2019990011196U KR19990011196U KR19990035445U KR 19990035445 U KR19990035445 U KR 19990035445U KR 2019990011196 U KR2019990011196 U KR 2019990011196U KR 19990011196 U KR19990011196 U KR 19990011196U KR 19990035445 U KR19990035445 U KR 199900354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requency signal
voice coil
case
yok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9128Y1 (ko
Inventor
이석순
Original Assignee
이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순 filed Critical 이석순
Priority to KR20-1999-0011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1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4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이동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적용되어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신호 또는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버저사운드(음향)와 진동을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10)내에 제공되어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고주파신호에 응답하는 웨이브형상의 탄성다이어프램(11)에 고착된 복수의 보이스코일(12)과, 각 보이스코일(12)에 대응하는 마그네트(14)가 브라스부재(15)상에 재치되면서 그 무게중심에 대응하는 외주변에 단차턱(13a)이 형성된 요크부재(13), 그 요크부재(13)의 단차턱(13a)에 일단이 결합되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웨이브형상의 복수의 탄성진동편(1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보이스코일(12)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보이스코일(12)에 고주파신호가 인가되면 버저사운드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본 고안은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이동통신서비스를 실행하는 통신단말기에 적용되어 호출신호의 도래를 알려주기 위한 진동기능과 음향발생기능이 일체로 집합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무선호출기라던지 휴대폰을 포함하는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는 호출측으로부터 도래되는 호출메시지를 피호출측 가입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기능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지게 된다.
그러한 호출메시지의 경보는 소정의 선택적인 오디오신호에 의해 실행되는 음향경보기능과 음향뮤팅상태에서 진동에 의한 경보를 실행하기 위한 진동기능으로 대별되는 바, 대체적으로 개인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음향경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음향경보장치와 진동경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동경보장치가 별개로 설계되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음향경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도시된 음향경보장치에 의하면, 참조부호 1로 표시된 케이스의 중앙부위에 폴피스(Pole piece)(2)가 설치됨과 더불어, 그 폴피스(2)의 주변에는 여자코일(즉, 보이스코일)(3)이 권취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1)내에는 상기 여자코일(3)에 인접하여 복수의 마그네트(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내에는 중앙에 상기 폴피스(2)의 상단과 대면하도록 아마츄어(Armature)(5)가 고정설치된 다이어프램(Diaphragm)(6)도 갖추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전자식(電磁式) 음향발생장치는 소망하는 주파수의 공진점에서 단일의 피크치를 보이는 단일피크 재생특성만이 얻어지는 반면 저주파수에서는 극히 작은 음압만이 얻어짐으로 말미암아 호출경보를 진동기능으로 수행하기 위한 저주파수 진동장치로서는 병용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1996년 6월 18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5,528,697호에는 음향경보기능과 진동기능이 일체적으로 구비된 경보장치가 제안된 상태이다.
즉,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5,528,697호에 도시된 '일체형 진동/음향발생장치'는 고주파수에서 반응하는 음향발생체와 저주파수에서 반응하는 진동발생체가 상호 동시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특허에 개시된 제 1실시예에서는 폴피스가 진동발생체로서의 스프링체의 중앙에 고정되고, 그 폴피스에 대면하는 탄성다이어프램의 중앙에는 아마츄어가 취부되며, 케이스내에서 상기 폴피스를 감싸도록 복수의 마그네트와 여자코일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서는 여자코일에 고주파신호 또는 저주파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2-4㎑에서의 버저사운드(즉, 음향신호) 또는 50-100㎐에서의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된다.
또, 상기한 특허의 제 2실시예에서는 보이스코일이 탄성 다이어프램의 중앙에 취부되고, 진동발생체로서의 스프링체의 중앙에는 하나의 마그네트가 고정되며, 상기 다이어프램과 스프링체는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보이스코일내에 중심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호 대면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제 1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2-4㎑고대역특성을 갖는 음향 및/또는 50-100㎐의 저대역특성을 갖는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게 되는 바, 저주파신호 또는 고주파신호는 보이스코일에 인가되어 상기 마그네트의 극성방향으로 스프링체를 진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특허의 제 3실시예에서는 보이스코일이 다이어프램에 고착되고, 폴피스와 환형상 마그네트 및 요크(Yoke)로 이루어진 자기유니트(Magnet unit)가 탄성체에 취부된다. 따라서, 그러한 구성에서는 보이스코일에 고주파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다이어프램의 진동이 유발되어 음향(버저 사운드)가 발생되는 반면, 보이스코일에 저주파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인접한 위치의 자기유니트가 스프링체상에서 저주파수로 진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미합중국의 특허에 개시된 일체형 진동/음향발생장치에서는 스프링체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대체로 하측에 배치됨에 따라 그 진동시의 진폭에 대한 설계상의 곤란함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또한 그 탄성체의 상측 중앙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폴피스(제 1실시예)라던지 마그네트(제 2실시예), 또는 폴피스와 마그네트 및 요크로 이루어진 자기유니트가 재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스프링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그 스프링체가 휘어지는 경우 진동기능의 불량으로 연계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음향경보기능과 진동경보기능이 일체적으로 설계된 구조에서 진동경보시의 탄성진동편의 길이를 극대화하여 진동폭이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하면서 자기유니트의 하중 내력이 강화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고주파신호에 응답하는 웨이브형상의 탄성다이어프램에 고착된 복수의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에 대응하는 마그네트가 브라스부재상에 재치되면서 그 무게중심에 대응하는 외주변에 단차턱이 형성된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단차턱에 일단이 결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외부적인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복수의 웨이브형상 탄성진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고주파신호가 인가되면 버저사운드가 선택적으로 발생되도록 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진동편은 그 일단이 상기 요크부재의 단차턱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대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단차턱의 하측에서 상기 요크부재의 외주변에는 환형상의 나사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진동편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너트부재가 상기 나사형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진동편을 상기 요크부재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의하면, 케이스내에서 마그네트가 상측에 설치된 요크부재를 일정한 높이로 부유되도록 지지하는 탄성체로서의 복수의 탄성진동편이 최대의 길이를 갖도록 웨이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부재의 무게중심위치에 결합되고, 그러한 구조에서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신호 또는 저주파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저사운드 또는 진동이 발생되며, 그 진동은 상기 탄성진동편을 매개하여 케이스에 전달되어 경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음향경보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탄성진동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채용된 탄성진동편의 결합방식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채용된 탄성진동편의 결합방식의 다른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탄성다이어프램,
12: 보이스코일, 13: 요크부재,
14: 마그네트, 16: 탄성진동편.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채용되는 탄성진동편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는 탄성다이어프램(11)이 3단의 웨이브형상으로 제공되는 바, 그 2개소의 웨이브지점에는 복수의 보이스코일(12)이 부유형태로 연결된다.
또,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요크부재(13)가 후술하는 복수의 탄성진동편에 의해 부유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그 요크부재(13)의 양측에는 상기 보이스코일(12)에 대응하는 마그네트(14)가 제공되는 바, 그 마그네트(14)는 상기 요크부재(13)상에 적층된 브라스부재(Brass 部材)(15)상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트(14)가 설치된 요크부재(13)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수직방향의 중앙부위, 정확하게는 그 요크부재(13)의 무게중심위치에서 연장되는 탄성진동편(16)의 타단에 결합되어 진동기능을 수행하도록 부유되는 바, 그 탄성진동편(16)은 그 케이스(10)가 도 3에 예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 케이스(10)의 양측 또는 일정한 각도(예컨대 120°)로 배치되면서 그 전체적인 길이는 탄성진동의 원활함을 도모하기 위해 최대화되도록 웨이브형태로 만곡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예시된 상기 탄성진동편(16)의 고정방식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요크부재(13)의 무게중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주변에 형성된 단차턱(13a)의 하측에 상기 탄성진동편(16)의 일단(16a)이 접착제(17)에 의해 접착된다.
그에 대해, 도 5에 예시된 상기 탄성진동편(16)의 다른 고정방식에 따르면, 상기 요크부재(13)의 무게중심위치에 형성된 단차턱(13a)의 하측 주변에 환형상으로 나사형상부(13b)를 형성하여 상기 요크부재(13)의 단차턱(13a)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진동편(16a)의 일단이 개재되도록 별도의 2중너트부재(18)가 상기 나사형상부(13b)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의하면, 상기 탄성다이어프램(11)에 고정설치된 보이스코일(12)에 접속된 신호선(12a)을 매개하여 예컨대 2-4㎑의 고주파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버저사운드가 발생되는 반면, 상기 신호선(12a)을 매개하여 상기 보이스코일(12)에 예컨대 50-100㎐(또는 100-200㎐)의 저주파수신호를 인가하는 경우 그 보이스코일(12)과 상기 마그네트(14)의 상호간 자기작용에 의해 저주파수의 진동이 발생되고, 그 진동력이 상기 요크부재(13)로부터 상기 탄성진동편(16)을 매개하여 케이스(10)측으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의 수직방향 중간위치에서 실제적인 진동운동을 행하는 요크부재(13)를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진동편(16)이 최대의 길이를 갖고서 결합됨에 따라 충분한 진동폭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보이스코일과 대면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요크부재를 케이스내에서 극대화된 길이를 갖는 탄성진동편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함에 따라 인가되는 고주파수신호 또는 저주파수신호에 응답하여 버저사운드(음향) 또는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에 의하면, 보이스코일에 대면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요크부재가 최대의 길이를 갖도록 설계된 복수의 탄성진동편에 의해 케이스내에서 일정한 높이로 부유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보이스코일에 고주파신호가 가해지면 버저사운드(음향)가 발생되는 반면 그 보이스코일에 저주파신호가 가해지면 요크부재의 진동이 발생되어 탄성진동편에 의해 케이스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통신기기에서의 음향경보와 진동경보가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복수의 탄성고정편이 요크부재를 케이스내에서 일정한 높이로 부유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됨에 따라 마그네트가 재치된 요크부재의 하중에 의한 진동폭의 제한가능성도 배제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외부적인 고주파신호에 응답하는 웨이브형상의 탄성다이어프램에 고착된 복수의 보이스코일과,
    상기 각 보이스코일에 대응하는 마그네트가 브라스부재상에 재치되면서 그 무게중심에 대응하는 외주변에 단차턱이 형성된 요크부재,
    상기 요크부재의 단차턱에 일단이 결합되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외부적인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복수의 웨이브형상 탄성진동편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저주파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보이스코일에 고주파신호가 인가되면 버저사운드가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진동편은 그 일단이 상기 요크부재의 단차턱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부재의 상기 단차턱의 하측에는 나사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진동편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너트부재가 상기 나사형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진동편을 상기 요크부재에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KR20-1999-0011196U 1999-06-23 1999-06-23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KR200309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196U KR200309128Y1 (ko) 1999-06-23 1999-06-23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196U KR200309128Y1 (ko) 1999-06-23 1999-06-23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45U true KR19990035445U (ko) 1999-09-06
KR200309128Y1 KR200309128Y1 (ko) 2003-03-29

Family

ID=4940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196U KR200309128Y1 (ko) 1999-06-23 1999-06-23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1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970A (ko) * 1999-10-21 2001-05-15 송재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0336989B1 (ko) * 2000-06-30 2002-05-17 김낙현 다목적 부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970A (ko) * 1999-10-21 2001-05-15 송재인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0336989B1 (ko) * 2000-06-30 2002-05-17 김낙현 다목적 부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128Y1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2983B2 (ja) 振動スピーカ
JP3748637B2 (ja) 携帯機器用振動発生装置
US5528697A (en) Integrated vibrating and sound producing device
KR100427802B1 (ko) 무선호출기용진동액추에이터
CN110177322B (zh) 屏幕发声激励器及电子设备
KR100381440B1 (ko) 진동 스피커
US11950071B2 (en) Acoustic device
JP2001300422A (ja) 多機能変換器とその駆動方法
KR19980042920A (ko) 전기-기계-음향변환기 및 휴대단말장치
JP2930070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
KR100542928B1 (ko) 진동 및 음향 겸용 스피커
JPH11168798A (ja) スピーカ装置
WO2002092244A1 (fr) Ressort a lame et vibreur utilisant ce ressort a lame
KR10043958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JP2929579B2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装置
KR200309128Y1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KR100320245B1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JP2002171594A (ja) スピーカ
JP3576524B2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H10257594A (ja) 電気−機械−音響変換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携帯端末装置
KR20000021417U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CN112261556B (zh) 发声器件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CN112261555B (zh) 发声器件
CN219536302U (zh) 发声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