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74A -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74A
KR20060045374A KR1020050027144A KR20050027144A KR20060045374A KR 20060045374 A KR20060045374 A KR 20060045374A KR 1020050027144 A KR1020050027144 A KR 1020050027144A KR 20050027144 A KR20050027144 A KR 20050027144A KR 20060045374 A KR20060045374 A KR 2006004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electrical connector
piece
reinforcing
reinforcing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히로 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를 높게 하여 박리의 한계를 높이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자 편을 표면끼리 가까워지도록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편(121)과 측방향으로 향하는 세로편(122)을 갖는 보강 탭(120)을 구비하며, 세로편(122)을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하고, 가로편(121)을 이면측에서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하도록 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이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에는, 보강 탭(120)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23) 또는 보강 탭(120)의 이면(120b)으로부터 표면(120a)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124)가,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WITH REINFORCED TAB ATTACHED THERETO}
도 1은 제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관통 구멍을 포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장 상대 부재에 납땜했을 때의 제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장 상대 부재에 납땜했을 때의 제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만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인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관통 구멍을 포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관통 구멍도 오목부도 설치하지 않은 비교예의 보강 탭을 나타내는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110 : 커넥터 하우징
120 : 보강 탭 120a : 표면
120b : 이면 121 : 가로편(橫片)
122 : 세로편(縱片) 123 : 관통 구멍
133a : 내주면 124 : 오목부
124a : 내주면 125 : 돌기편
126 : 만곡부 127 : 절곡부
200 :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를 향상시킨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개평 10-64608호 공보는, 고정 탭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프린트 기판에 해당 고정 탭을 납땜하여 실장하는 것에 있어서, 납땜했을 때에 땜납의 필렛이 부착하는 면이 넓어지도록, 고정 탭의 납땜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는, 또한 이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관통 구멍 대신에, 고정 탭의 납땜하는 부분의 프린트 기판에 접하는 면에 오목부를 형성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납땜시에 고정 탭에 형성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에 생기는 필렛에 의해 큰 납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 이탈이나 끼워 맞춤시의 비집어 열기 등에 의해 전기 커넥터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은 고정 탭에서 흡수되어 컨택트의 납땜부에는 미치지 않아서,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방지된다.
이 고정 탭은 보강 탭이라고도 불리지만, 최근 이 보강 탭의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한편으로,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것은 피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된 보강 탭 속에서 전기 커넥터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를 크게 하고, 이것에 의해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를 높게 하여 박리의 한계를 높이고, 전기 커넥터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을 보강 탭에서 흡수하여 컨택트의 납땜부에 미치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콘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해결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판자 편(板片)을 표면끼리 가까워지도록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편과 측방향으로 향하는 세로편을 갖는 보강 탭을 구비하고, 세로편을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하고, 가로편을 이면측에서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에 납땜하도록 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이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에는, 보강 탭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또는 보강 탭의 이면으로부터 표면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가, 가로편으로부터 세로편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보강 탭을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에 납땜하면, 가로편의 이면과 실장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땜납의 층이 형성된다. 또, 가로편의 측단면(側端面)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이 형성되고, 절곡부의 이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의 내주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이 형성된다.
그 경우,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가 가로편으로부터 세로편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통 구멍도 오목부도 형성되지 않는 보강 탭으로 형성되는 필렛에 비하면, 높이 방향에서 보아 가로편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간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에 의해 절곡부 부근의 필렛의 총 연장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또 필렛이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의 내주면을 따라 높은 부위까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보강 탭 속에서 전기 커넥터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가 커진다. 따라서,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높아지고, 전기 커넥터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이 보강 탭에서 흡수되어 컨택트의 납땜부에 이르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로편으로부터 세로편에 걸쳐 설치하였으므로, 보강 탭 속에서 전기 커넥터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가 커지고,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높아지며, 박리의 한계가 높아져서 전기 커넥터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을 보강 탭에서 흡수하 여 컨택트의 납땜부에 미치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는, 또한 관통 구멍의 세로편 측의 내주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가로편의 이면의 높이 부근까지 돌출하는 돌기편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돌기편의 선단의 단부면과 실장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땜납 층이 형성된다. 또, 돌기편의 선단의 외주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절곡부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가 더욱 커지며,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며,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더욱 방지된다.
이들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는, 가로편의 측단면에 높이 방향에서 보아 만곡하는 만곡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높이 방향에서 보아 보강 탭의 가로편의 측단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의 총 연장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므로,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더욱 방지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10)과,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나오는 접속부(131)를 가지고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된 컨택트(130)와, 2개의 보강 탭(120)을 구비한다. 접속부(131)는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된다. 커넥터 하우징(110)은, 높이 방향에서 보면, 폭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폭방향과 직교하는 안쪽 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2변과, 안쪽 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폭방향을 따라 대향하는 2변을 구비하여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130)의 접속부(131)는, 폭방향으로 뻗는 2변 중 한쪽의 변에 있어서 이 변을 따라 병설되며, 다른 쪽의 변에는 상대측 전기 커넥터(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오목 형상의 끼워 맞춤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탭(120)은 안쪽 방향으로 뻗는 2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대측 전기 커넥터를 대략 안쪽 방향에 따라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끼워 맞춤부에 삽입하고, 끼워 맞춤부로부터 빼내면, 빼고 꽂기에 의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에는 안쪽 방향을 향하는 힘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방향으로 힘이 걸리며, 또 비집어 열기에 의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에는 폭방향을 향한 축 주위의 모멘트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모멘트가 가해지며, 이것에 의해 높이 방향을 향하는 힘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 컨택트, 보강 탭의 형상, 배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에는, 끼워 맞춤부를 볼록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상대측 전기 커 넥터의 오목 형상부에 수용되도록 한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접속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나온 컨택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 탭의 가로편이 땜납 부착의 대상으로 되는 실장 상대 부재에 접하고 또한 세로편이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가 받는 힘, 모멘트의 방향은 다양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실장 상대 부재는,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가 실장 가능한 면을 갖는 부재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의 표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체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탭(120)은, 판자 편을 표면끼리 가까워지도록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보강 탭(120)은 판자 편을, 표면측이 꺾인 각이 180도보다 작고, 이면측이 꺾인 각이 180도보다 커지도록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편(121)과, 측방향으로 향하는 세로편(122)을 갖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면의 방향은, 면의 법선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세로편(122)은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가로편(121)은 이면(120b) 측에서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 하우징(110)에 저면(底面)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는 압입실(111)을 설치하고, 이 압입실(111)에 세로편(122)을 저면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압입하는 것으로 세로편(122)을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에 세로편을 설치하는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세로편을 커넥터 하우 징의 성형 몰드에 세트하고 나서 커넥터 하우징을 성형하는 것으로 세로편을 커넥터 하우징에 주조하는 실시예, 커넥터 하우징에 예를 들면 금속제의 쉘(shell)을 씌우고, 이 쉘의 일부에 의해 보강 탭을 구성하는 실시예 등이 예시된다. 보강 탭(120)은 세로편(122)이 폭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했을 때의 보강 탭(120)의 방향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보강 탭(120)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23)이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123)은 보강 탭(120)의 표면(120a)으로부터 이면(120b)까지 관통하고 있고, 관통 구멍(123)은 가로편(121)과 세로편(122)과의 사이에 있는 절곡부(127)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가로편(121) 및 세로편(122)에 이르며, 이것에 의해 가로편(121)과 세로편(122)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탭(120)을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하면, 가로편(121)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와의 사이에 땜납의 층(310)이 형성된다. 또, 가로편(121)의 측단면(120c)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되고, 절곡부(127)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 구멍(123)의 내주면(123a)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된다. 그리 고, 예를 들면 상대측 전기 커넥터의 끼워 맞춤부에의 빼고 꽂기, 비집어 열기 등에 의해 끼워 맞춤부에 가해지는 힘은 그 대부분이 보강 탭(120)에 걸리며, 이 힘은,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절곡부(127)의 부근에 집중하여 부하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보강 탭(120)이 컨택트(130)의 접속부(131)보다 끼워 맞춤부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끼워 맞춤부에 가해지는 힘의 대부분이 보강 탭(120)에 걸려서, 절곡부(127)에 걸리는 힘이 매우 커진다.
그 경우, 관통 구멍(123)이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편(121) 및 세로편(122)을 구비하고, 또한 관통 구멍도 오목부도 형성되지 않는 보강 탭으로 형성되는 필렛(320)에 비하면, 높이 방향에서 보아 가로편(121)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간 관통 구멍(123)에 의해 절곡부(127) 부근의 필렛(320)의 총 연장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또 필렛(320)이 관통 구멍(123)의 내주면(123a)을 따라 높은 부위까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보강 탭(120) 속에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127)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320)의 규모가 커진다. 따라서, 보강 탭(120)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200)에의 납땜 강도가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높아지고,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이 보강 탭(120)에서 흡수되어 컨택트의 납땜부에 이르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방지된다. 관통 구멍(123)의 규모는 한정되지 않으나, 관통 구멍(123)의 내주면(123a)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이, 절곡부(127)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제2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123)에 대신하여, 오목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이 보강 탭(120)에는, 보강 탭(120)의 이면(120b)으로부터 표면(120a)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124)가,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오목부(124)는 보강 탭(120)의 이면(120b)으로부터 판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고, 오목부(124)는 가로편(121)과 세로편(122)과의 사이에 있는 절곡부(127)를 중심으로 설치되고, 가로편(121) 및 세로편(122)에 이르며, 이것에 의해 가로편(121)과 세로편(122)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124)는 깊이가 거의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탭(120)을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하면, 가로편(121)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와의 사이에 땜납의 층(310)이 형성된다. 또, 가로편(121)의 측단면(120c)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되고, 절곡부(127)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124)의 내주면(124a)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 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피렛(320)이 형성된다.
그 경우, 오목부(124)가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로편(121) 및 세로편(122)을 구비하고 또한 관통 구멍도 오목부도 형성되지 않는 보강 탭으로 형성되는 필렛(320)에 비교하면, 높이 방향에서 보아 가로편(121)의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간 오목부(124)에 의해 절곡부(127)의 부근의 필렛(320)의 총 연장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며, 또 필렛(320)이 오목부(124)의 내주면(124a)을 따라 높은 부위까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보강 탭(120) 속에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127)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320)의 규모가 커진다. 따라서, 보강 탭(120)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200)에의 납땜 강도가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높아지고,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이 보강 탭(120)에서 흡수되어 컨택트의 납땜부에 이르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방지된다. 오목부(124)의 규모는 한정되지 않으나, 오목부(124)의 내주면(124a)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이, 절곡부(127)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제2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2의 실시예의 경우, 오목부(124)를 설치하는 것으로 보강 탭(120)의 표면(120a)의 오목부(124)에 대응한 부분이 솟아올랐으나, 이 변형예의 경우, 이러한 솟아오름이 되어 있지 않다. 이 변형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가 발휘하 는 작용 및 효과는 제2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도 10의 가상선을 참조).
도 11 및 도 12는 제3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제2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경우, 오목부(124)의 깊이가 대략 일정하게 형성되었으나, 제3의 실시예의 경우는 오목부(124)가 대략 중심을 향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2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오목부(124)를 깊게 형성하면, 도 12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렛(320)이 오목부(124)의 내주면(124a)을 따라 높은 부위까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보강 탭(120) 속에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127)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320)의 규모가 더욱 커진다. 따라서, 보강 탭(120)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200)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높아진다. 오목부(124)의 규모는 한정되지 않으나, 오목부(124)의 내주면(124a)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이, 절곡부(127)의 이면(120b)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보다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및 도 14는 제4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제1의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또한, 관통 구멍(123)의 세로편 측의 내주면(123a)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가로편(121)의 이면(120b)의 높이 부근까지 돌출하는 돌기편(125)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보강 탭(120)의 세로편 측의 내주면(123a) 중, 절곡부(127)로부터 가장 높이 방향으로 멀어진 부위로부터 돌기편(125)이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고, 이 선 단의 면이 대략 가로편(121)의 이면(120b)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실시예가 발휘하는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발휘된다. 즉, 도 1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편(125)의 선단의 단부면과 실장 상대 부재(200)와의 사이에 땜납의 층이 형성된다. 또, 돌기편(125)의 선단의 외주면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땜납에 의해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을 향하여 아랫부분이 퍼지도록 필렛(320)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절곡부(127)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320)의 규모가 더욱 커지고, 보강 탭(120)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200)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며,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더욱 방지된다. 또, 관통 구멍(123)을 타발했을 때에 생기는 소편(小片)에 의해 돌기편(125)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도 15는 제5의 실시예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의 경우, 제1의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또한, 가로편(121)의 측단면(120c)에 높이 방향에서 보아 만곡하는 만곡부(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실시예가 발휘하는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 및 효과가 발휘된다. 즉, 높이 방향에서 보아 보강 탭(120)의 가로편(121)의 측단면(120c)과 실장 상대 부재(200)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320)의 총 연장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므로, 보강 탭(120)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200)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가 더욱 방지된다.
절곡부(127)의 이면(120b)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모퉁이가 생기도록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로편으로부터 세로편에 걸쳐 설치하였으므로, 보강 탭 속에서 전기 커넥터가 힘을 받았을 때에 가장 힘이 걸리는 절곡부의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가 커지고,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높아지며, 박리의 한계가 높아져서 전기 커넥터에 큰 힘이 걸려도, 이 힘을 보강 탭에서 흡수하여 컨택트의 납땜부에 미치지 않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돌기편의 선단의 단부면과 실장 상대 부재와의 사이에 땜납의 층이 형성되는 동시에, 돌기편의 선단의 외주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필렛이 형성되므로, 절곡부 부근에 형성되는 필렛의 규모가 더욱 커지며,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 방향에서 보아 보강 탭의 가로편의 측단면과 실장 상대 부재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필렛의 총 연장 길이가 더욱 길게 형 성되므로, 보강 탭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실장 상대 부재에의 납땜 강도가 더욱 높아져서 박리의 한계가 더욱 높아지고, 접촉 불량의 발생, 컨택트의 납땜부의 박리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판자 편을 표면끼리 가까워지도록 대략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편(121)과 측방향으로 향하는 세로편(122)을 갖는 보강 탭(120)을 구비하며, 세로편(122)을 커넥터 하우징(110)에 설치하고, 가로편(121)을 이면측에서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상대 부재(200)에 납땜하도록 한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로서,
    보강 탭(120)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23) 또는 보강 탭(120)의 이면(120b)으로부터 표면(120a)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124)가, 가로편(121)으로부터 세로편(122)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관통 구멍(123)의 세로편 측의 내주면(123a)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가로편(121)의 이면(120b)의 높이 부근까지 돌출하는 돌기편(125)이 설치되어 있는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로편(121)의 측단면에, 높이 방향에서 보아 만곡하는 만곡부(126)가 설치되어 있는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100).
KR1020050027144A 2004-04-02 2005-03-31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KR20060045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0208A JP2005294163A (ja) 2004-04-02 2004-04-02 補強タブ付き電気コネクタ
JPJP-P-2004-00110208 2004-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74A true KR20060045374A (ko) 2006-05-17

Family

ID=3505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44A KR20060045374A (ko) 2004-04-02 2005-03-31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74079B2 (ko)
JP (1) JP2005294163A (ko)
KR (1) KR20060045374A (ko)
CN (1) CN100438219C (ko)
TW (1) TW2005345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4163A (ja) * 2004-04-02 2005-10-20 Jst Mfg Co Ltd 補強タブ付き電気コネクタ
JP4560727B2 (ja) * 2005-05-20 2010-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519724B2 (ja) * 2005-07-01 2010-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固定構造
US7309248B2 (en) * 2005-06-27 2007-12-18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ixing structure for fixing a connector to a board
JP4556135B2 (ja) * 2005-08-22 2010-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TWM300879U (en) * 2005-12-26 2006-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680120B2 (ja) 2006-04-25 2011-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797781B2 (ja) * 2006-04-28 2011-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補強タブ、補強タブ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の実装構造
DE102008022257B4 (de) * 2007-05-24 2012-02-09 Yazaki Corporation Fixierungsklammer, Verfahren zum Fixieren der Fixierungsklammer und Aufbau zum Fixieren der Fixierungsklammer
CN201113028Y (zh) * 2007-06-19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345371B (zh) * 2007-07-12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60164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640426B2 (ja) * 2008-03-06 2011-03-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
JP5434182B2 (ja) * 2009-03-24 2014-03-05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589409B2 (ja) * 2010-01-29 2014-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実装部品、電子機器および実装方法
JP2013008646A (ja) * 2011-06-27 2013-01-10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5788740B2 (ja) * 2011-08-29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
JP2013196892A (ja) * 2012-03-19 2013-09-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5311599B1 (ja) * 2012-06-20 2013-10-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6392B2 (ja) * 2012-06-22 2016-12-1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端子構造、インターポーザ、及びソケット
JP2014207145A (ja) * 2013-04-12 2014-10-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平板状コネクタおよび隔壁実装構造
JP5614484B1 (ja) * 2013-09-20 2014-10-2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接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563792B (zh) * 2020-12-02 2022-06-10 南昌攀藤科技有限公司 激光管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30497T2 (de) * 1991-07-16 2000-06-21 Berg Electronics Mf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verbindergehäuse
US5120256A (en) * 1991-07-16 1992-06-09 Walden John D Retention system for a connector housing
WO1993018559A1 (en) * 1992-03-06 1993-09-16 Augat Inc. Edge card interconnection system
US5259789A (en) * 1993-02-23 1993-11-09 Molex Incorporated Retention system for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591050A (en) * 1995-02-09 1997-01-07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O1997022164A1 (en) * 1995-12-11 1997-06-19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retention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H1064608A (ja) 1996-08-12 1998-03-06 Dai Ichi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2000082555A (ja) * 1998-09-04 2000-03-21 Molex Inc Pgaパッケージ用コネクタ
TW461631U (en) * 2000-10-09 2001-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361332B1 (en) * 2001-04-06 2002-03-26 Molex Incorporated Retention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US6478629B1 (en) * 2001-12-28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Audio jack having side mount grounding terminal
US6669069B2 (en) * 2002-04-11 2003-12-30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oulder strap assembly for golf bags
US6881075B2 (en) * 2003-07-08 2005-04-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JP2005294163A (ja) * 2004-04-02 2005-10-20 Jst Mfg Co Ltd 補強タブ付き電気コネクタ
US7001212B1 (en) * 2005-01-21 2006-02-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urface mountable retention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8219C (zh) 2008-11-26
US20050221667A1 (en) 2005-10-06
JP2005294163A (ja) 2005-10-20
CN1677754A (zh) 2005-10-05
TW200534547A (en) 2005-10-16
US7074079B2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5374A (ko)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US8738097B2 (en) Waterproofing method 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JP4494441B2 (ja) 電気コネクタ
US7556531B2 (en) Connector
JP4437958B2 (ja) 電気接続箱
JP4183102B2 (ja) プラグコネクタ
US9997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etallic bracket embedded within insulative mating shell
JP5912632B2 (ja) コネクタ
JP6462634B2 (ja) コネクタ
JP2017204325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4047323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8258016A (ja) 電子部品の端子とプリント配線基板との半田接続構造
JP4916031B2 (ja) 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JP2010010307A (ja) 保持部材、電子部品、及び電子装置
JP5203989B2 (ja) 電気コネクタ
JP5278269B2 (ja) 基板用コネクタ
US6884112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ecuring member
JP2007095565A (ja) コネクタ
JP7405626B2 (ja) 端子
JP5574878B2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13235772A (ja) コネクタ
KR101267158B1 (ko) 전기 커넥터
JP2020194637A (ja) 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JPH09147950A (ja)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