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79A -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979A
KR20060041979A KR1020050012613A KR20050012613A KR20060041979A KR 20060041979 A KR20060041979 A KR 20060041979A KR 1020050012613 A KR1020050012613 A KR 1020050012613A KR 20050012613 A KR20050012613 A KR 20050012613A KR 20060041979 A KR20060041979 A KR 20060041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hild seat
lock
armrest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아키 다카미즈
가츠히로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2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10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30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18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62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3979B2/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2Means for securing the body to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20)는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장착된 핀(18)에 계탈 가능한 록 부재(22)와, 그 록 부재(22)와 일체적으로 회동(回動)하는 스톱퍼(23)와, 그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에 계탈 가능한 결합부(24b)를 갖는 스톱퍼 해제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할 때에, 록 기구(20)는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록 해제 부재(24)에 형성된 결합부(24b)는 스톱퍼 단부(23c)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b1)을 갖고 있다.
핀, 록 부재, 스톱퍼, 결합부, 경사면

Description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LOCKING MECHANISM OF CHILD CAR SEAT AND CHILD CAR SEAT SECURING APPARATUS OF S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유모차 본체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
도 2는 탈착 록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탈착 록 기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탈착 록 기구에서의 스톱퍼와 스톱퍼 해제 부재의 결합 부분의 확대도.
도 5(a), (b)는 탈착 록 기구의 작동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록 기구 장치의 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록 기구의 록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록 기구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차일드 시트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외관도.
도 12는 록 부재의 스톱퍼 축으로의 감합(嵌合)용 구멍부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서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이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핸들
13 : 벨트 가이드
15a : 역 U자형 고정부
16 : 팔걸이
17 : 구멍
18 : 핀
20 : 탈착 록 기구(록 기구)
21 : 프레임판
21a : 암부(腕部)
21b : 앵글 부재
22 : 록 부재
22b : 오목부
22c : 록 클로(claw)
22d : 안내면
23 : 스톱퍼
23c : 스톱퍼 단부
24 : 스톱퍼 해제 부재
24b : 결합 돌출부
24b1 : 경사면
24e : 경사부
25 : 보호 부재
27a, 27b : 절결부
28 : 스톱퍼 축
30 : 탈착 레버
31 : 축
32 : 스프링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child car seat)의 록(lock)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살 미만의 영유아를 승용차에 태울 경우에는 차일드 시트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는 승용차의 시트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용차의 시트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유아를 차일드 시트에 눕혀둔 채로 이동하기 위한 캐리어(carrier)로서, 또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하여 유모차의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2-205586호 공보에 발표된 것이 있다.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한 경우,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 탈착 레버를 조작하면서 차일드 시트의 분리를 수행하고 있다. 탈착 레버에 의한 조작성의 부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탈착 레버를 끌어 올리고, 손을 떼어도 록 해제 상태가 지속되는 기능을 갖게 하여 부착과 분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에 있어서는 차일드 시트 단체(單體)시에 록 해제 상태로 조작된 탈착 레버를 되돌릴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탈착 레버를 원상태로 되돌리려고 탈착 레버를 강압적으로 조작하려고 하면 상기 탈착 레버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 따로 해제 레버를 설치하여 록 해제의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것에 있어서도 오조작에 의해 탈착 레버를 강압적으로 조작하려고 하면 상기 탈착 레버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탈착 레버의 조작후 그 탈착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도 록 해제 상태가 확실하게 지속되는 동시에, 록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본 발명은, 핀(pin)을 포함하는 팔걸이(armrest)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록 기구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핀에 계탈(係脫) 가능하고 또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 부재와, 록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스톱퍼(stopper) 단부(段部)를 갖는 스톱퍼와, 스톱퍼의 스톱퍼 단부에 계탈 가능한 결합 돌출부를 갖는 스톱퍼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록 부재는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하여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의 어느 한쪽은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다른쪽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록 부재와 스톱퍼가 차일드 시트에 대하여 동일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스톱퍼 해제 부재가 스톱퍼와 동일 평면 내에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록 부재와 스톱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스톱퍼 해제 부재가 스톱퍼와 동일 평면 내에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스톱퍼와 스톱퍼 해제 부재 사이에 스톱퍼와 스톱퍼 해제 부재를 서로 끌어 당기는 스프링이 개재(介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스톱퍼 해제 부재의 결합 돌출부는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스톱퍼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스톱퍼 단부는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핀을 포함하는 팔걸이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록 기구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핀에 계탈 가능하고 또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 부재와, 록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스톱퍼 단부를 갖는 스톱퍼와, 스톱퍼의 스톱퍼 단부에 계탈 가능한 결합 돌출부를 갖는 스톱퍼 해제 부재와, 록 부재와 스톱퍼를 일체적으로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회동시키는 탈착 레버와, 차일드 시트에 설치되어 탈착 레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세컨드 록(second locking) 기구를 구비하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하여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세컨드 록 기구는 상기 탈착 레버의 작동 구역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기 록 부재는 팔걸이에 설치된 핀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각도만 큼 회동할 수 있도록 탈착 레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기 탈착 레버는 스톱퍼 축을 통하여 록 부재에 장착되고, 스톱퍼 축은 록 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록 부재의 구멍은 록 부재가 스톱퍼 축에 대하여 록 해제 방향에만 회동을 허용하는 부채 형상의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이다.
본 발명은, 록 기구를 갖는 차일드 시트가 장착되는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 내에 배치되고, 록 기구에 결합하는 핀과, 이 핀에 유지하는 동시에 팔걸이에 고착된 박스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팔걸이에는 록 기구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박스형 케이스는 팔걸이의 긴 구멍에 대응하여 상방이 개구(開口)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방 개구 둘레에 플랜지(flange) 부분이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는 팔걸이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는 팔걸이의 내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탈착 레버를 조작하고, 손을 떼어도 록 해제 상태가 지속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차일드 시트 단체시에 록 해제 상태로 조작된 상태 그대로도 상기 탈착 레버를 용이하게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어, 탈착 레버 등의 파손 사고 등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탈착 레버를 조작하고, 손을 떼어도 록 해제 상태가 지속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탈착 레버의 오조작에 의해 록 부재가 록 해제 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세트할 경우, 그 때마다 세컨드 록 기구를 해제할 필요 없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 사이즈의 확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차일드 시트 고정용 핀이 팔걸이의 외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외관이 손상될 일도 없다.
<<제 1 실시예>>
우선, 도 9 및 도 10에 의해 유모차 본체에 차일드 시트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팔걸이(16)를 갖는 유모차 본체(14)에 장착 가능하게 한 차일드 시트(15)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일드 시트(15)에는 역 U자상의 차양 장착 부재를 겸한 핸들(11)이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차일드 시트(15)의 양측부에는 핸들 장착부(1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핸들 장착부(12) 내에 상기 핸들(11)의 선단(先端)이 삽입되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일드 시트(15)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훅(hook)형상의 벨트 가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일드 시트(1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유모차 본체(14)에 장착 가능하게 한 차일드 시트(15)에서는, 차일드 시트(15)에 그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고정하는 록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에 의해 록 기구(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일드 시트(15)의 양측부에는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16)에 결합하는 단면 역 U자형 고정부(15a)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부(15a) 내에 후술하는 탈착 록 기구(록 기구)(2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팔걸이(16)의 상면에는 폭이 좁은 긴 구멍(17)이 형성되는 동시에, 팔걸이(16) 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1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탈착 기구(20)가 상기 긴 구멍(17)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핀(18)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중, 핀(18)은 차일드 시트(15)를 고정하기 위한 핀이다.
도 2는 상기 탈착 록 기구(20)의 분해 사시도로서, 탈착 록 기구(20)는 좌우 양측면에 각각 프레임판(21, 21)과, 그 좌우의 프레임판(21, 21) 사이에 설치된 판체로부터 이루어지는 록 부재(22)와, 그 록 부재(22)의 일측에 설치된 스톱퍼(23)와, 스톱퍼(23)와 동일 평면상에 설치된 스톱퍼 해제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록 부재(22), 스톱퍼(23) 및 스톱퍼 해제 부재(24)는 좌우 프레임판(21, 21)과 함께 플라스틱제의 보호 부재(25) 내에 장착되어 있고, 탈착 록 기구(20)가 삽탈(揷脫)될 때, 상기 보호 부재(25)에 의해 상기 팔걸이(16)의 긴 구멍 (17)에 손상이 생길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25) 및 좌우 프레임판(21)에는 하단이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팔걸이(16)에 설치된 핀(18)에 결합하는 절결부(27a, 27b)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은, 각 프레임판(2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암부(腕部)(21a)에 설치된 앵글 부재(21b)를 통하여 차일드 시트(15)의 고정부(15a) 내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에는 스톱퍼 축(28)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스톱퍼 축(28)에 상기 록 부재(22) 및 스톱퍼(23)가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톱퍼 축(28)에는 양측에 절결된 평면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록 부재(22) 및 스톱퍼(23)에도 상기 스톱퍼 축(28)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22a, 2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22a, 23a)을 상기 스톱퍼 축(28)에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록 부재(22) 및 스톱퍼(23)가 스톱퍼 축(28)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 축(28)의 선단부는 차일드 시트(15)의 고정부(15a)의 측면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선단부에 탈착 레버(30)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에 설치된 축(31)에 의해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탈착 레버(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22)와 스톱퍼(23)를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일체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록 부재(22)에는 중간부에 상기 축(31)에 결합 가능한 오목부(22b)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핀(18)과 결합 가능한 록 클로(claw)(22c)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록 클로(22c)의 하단 둘레부에는 클로 끝측 상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2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23)의 선단부에는 구멍(23a)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23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호(23b)의 일단부에 상기 구멍(23a)의 축선을 향하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톱퍼 단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스톱퍼 해제 부재(24)는 역 L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가 상기 축(31)에 고착되어 있으며, 그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수평암(24a) 중간부에 상기 스톱퍼 단부(23c)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출부(24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암(24c)의 하단부에 상기 록 부재(22)의 록 클로(22c)와 반대측으로부터 핀(18)과 결합 가능한 스톱퍼 해제 작동부(24d)가 형성되고, 그 스톱퍼 해제 작동부(24d)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하부를 향하는 경사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23)의 수평암(23d) 및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수평암(24a)의 선단부간에는, 양자를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나타내는 각 부품을 조합시켜 유닛화하는 동시에, 한쪽 의 프레임판(21)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와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의 결합부의 확대도로서,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에서의 상기 스톱퍼 단부(23c)와 대향하는 부분이 경사져 있다. 즉,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의 상기 스톱퍼 단부(23c)와 대향하는 부분 은, 상기 스톱퍼 단부(23c)가 결합할 때에 스톱퍼 단부(23c)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b1)이 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장착할 경우에는, 좌우의 팔걸이(16) 사이에 차일드 시트(15)의 하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차일드 시트의 양측부에 설치된 탈착 록 기구(20)를 상방으로부터 팔걸이(16)의 긴 구멍(17) 을 통하여 팔걸이(16) 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차일드 시트(15)가 하강하여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a, 27b)가 팔걸이(16) 내에 설치된 핀(18)에 감합하고, 더욱이 록 부재(22)의 안내면(22d)이 상기 핀(18)에 접촉하면, 그 안내면(22d)에 의해 록 부재(22)가 스톱퍼(23)와 함께 스프링(32)에 저항하여 도 5(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록 클로(22c)가 절결부(27a, 27b)로부터 측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팔걸이(16)의 핀(18)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핀(18)에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결합하면, 록 부재(22)가 스톱퍼(23)를 통하여 스프링(3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오목부(22b)가 축(31)에 결합하는 동시에 록 클로(22c)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하고, 또한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스톱퍼 해제 작동부(24d)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5)가 그 위치에 록 된다(도 5(b)).
한편,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탈착 레버(30)를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 부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클로(22c)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록 부재(22)가 록 해제 위치로 회동되면, 스톱퍼(23)도 스톱퍼 축(28)에 의해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 해제 부재(2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에 결합한다. 따라서, 록부(22)의 회동이 저지되어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된다.
그리하여, 탈착 레버(30)로부터 손을 떼어도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5)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것 만으로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5)를 들어 올리면, 그 도중에 스톱퍼 해제 작동부(24e)가 핀(18)에 접촉하여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스프링(32)에 저항하여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 단부(23c)로부터 이탈하여 그 스톱퍼 작용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록 부재(22)가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23)를 통하여 록 해제 위치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자동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착 레버(30)를 조작하면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되는 동시에, 탈착 레버(30)도 그 작동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5)를 단체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탈착 레버(30)를 록 해제 위치로 조작하면, 그 탈착 레버(30)는 그 록 해제 위치로부터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그 상태로부터 강압적으로 탈착 레버(30)를 원상태로 되돌리려 고 하면 탈착 레버(30)의 파손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부(24b)의 상기 스톱퍼 단부(23c)와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스톱퍼 단부(23c)가 결합할 때에 상기 스톱퍼 단부(23c)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4b1)이 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5)를 단체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탈착 레버(30)가 그 록 해제 위치로 조작된 경우, 탈착 레버(30)를 반대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가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의 경사면(24b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스톱퍼(23) 즉 탈착 레버(30)를 그 록 해제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고, 탈착 레버(30) 등의 파손이 발생할 일은 없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24b1)의 스톱퍼 단부(23c) 사이의 경사각은 스프링(32)의 탄성력과의 상관 관계에 의해 선정할 수 있고, 탄성력을 강하게 하여 레버의 조작력을 강하게 했을 경우에는, 상기 경사각을 크게 한다. 더욱이 스톱퍼(23)와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한개의 스프링에 의해 가까이 끌어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경사각의 밸런스에는 영향은 없고, 확실하게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핸들 장착부(12) 내에 탈착 록 기구(록 기구)(40)를 설치하고, 유모차 본체(14)의 좌우 팔걸이(16)로부터 돌출된 보스(boss)에 결합하도록 한 예이다.
즉, 도 6 및 도 7은 상기 탈착 록 기구(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핸들 장착부(12)의 차일드 시트측 측면에는 팔걸이(16)로부터 돌출된 보스(41)에 결합 가능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핸들 장착부(12) 내에는 차일드 시트로부터 돌출된 축(4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 부재(4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 부재(44)에는 그 록 부재(44)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절결부(42) 내에 위치하는 보스(41)의 하방에 결합하는 록 클로(4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록 클로(45)의 하부면에는, 그 록 클로(45)의 하부면이 상기 보스(41)에 접촉했을 때 상기 록 부재(44)를 록 해제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안내면(4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 부재(44)는 스프링(46)에 의해 상기 록 클로(45)가 록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또한 그 외주부에는 핸들 장착부(12)에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47)을 거쳐 바깥 쪽으로 돌출하는 탈착 레버(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 장착부(12) 내에는 록 부재(44)의 축(43)에 대하여 편심(偏心)한 위치에 축(49)이 설치되어 있고, 그 축(49)에 스톱퍼 해제 부재(50)가 요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고, 스프링(51)에 의해 항상 상기 록 부재(44)와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50)에는 결합편(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 부재(44)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그 결합편(52)이 록 부재(44)에 설치된 스톱퍼 단부(53)에 결합하고, 록 부재(44)를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도 7).
도 8은,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50)의 결합편(52)과 록 부재(44)의 결합부의 확대도로서, 상기 결합편(52)과 대향하는 상기 록 부재(44)에 설치된 스톱퍼 단부(53)가 경사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스톱퍼 단부(53)의 상기 스톱퍼편(52)과 대향하는 부분은, 상기 스톱퍼 단부(53)와 결합편(52)이 결합할 때에 결합편(52)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3)이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스톱퍼 해제 부재(5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톱 해제 레버(5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스톱 해제 레버(54)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스(41)의 접촉에 의해 스톱퍼 해제 부재(50)를 스프링(51)에 저항하여 요동시키고, 결합편(52)을 스톱퍼 단부(53)로부터 이탈시키는 록 해제 작동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장착할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의 유모차 본체의 상방으로부터 좌우 팔걸이(16)간에 차일드 시트의 하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차일드 시트(15)의 좌우 핸들 장착부(12)를 팔걸이(16)의 상부 및 외측에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차일드 시트(15)가 하강하여 록 부재(44)의 안내면(45a)이 유모차 본체의 보스(41)에 접촉하면, 그 안내면(45a)에 의해 록 부재(44)가 스프링(46)에 저항하여 도 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록 클로(45)가 절결부(42)로부터 측방으로 이동되어 핸들 장착부(12)의 절결부(42)가 보스(41)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보스(41)에 핸들 장착부(12)의 절결부(42)가 결합하면, 록 부재(44)가 스프링(46)에 의해 도 6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록 클로(45)가 보스(41)의 하방에 결합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가 그 위치에 록 되고, 핸들 장착 부(12)의 전방 및 후방이 팔걸이(16) 상에 놓이며, 차일드 시트(15)가 유모차 본체(14)에 장착 고정되어 유모차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한편,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탈착 레버(48)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록 부재(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록 클로(45)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록 부재(44)가 록 해제 위치로 회동하면, 스톱퍼 해제 부재(50)가 스프링(51)에 의해 축(49)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결합편(52)이 록 부재(44)의 스톱퍼 단부(53)에 결합하고, 록 부재(44)의 회동이 저지되어 록 부재(44)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된다.
여기에서, 차일드 시트(15)를 위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5)를 들어 올리면 그 도중에 록 해제 작동부(54a)가 보스(41)에 접촉하여 스톱퍼 해제 부재(50)가 스프링(51)에 저항하여 축(4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결합편(52)이 스톱퍼 단부(53)로부터 이탈하여 그 스톱퍼 작용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록 부재(44)가 스프링(46)에 의해 록 해제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자동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착 레버(48)를 조작하면 록 부재(44)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되는 동시에, 탈착 레버(48)도 그 작동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5)를 단체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탈착 레버(48)를 록 해제 위치로 조작하면, 그 탈착 레버(48)는 그 록 해제 위치로부터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 게 된다. 여기에서, 그 상태로부터 강압적으로 탈착 레버(48)를 원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면 록 부재(44)의 파손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톱퍼 단부(53)의 상기 결합편(52)과 대향하는 부분이 상기 결합편(52)이 결합할 때에 상기 결합편(52)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5)를 단체로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탈착 레버(48)가 그 록 해제 위치로 조작된 경우라도 탈착 레버(48)를 반대로 조작하면 스톱퍼 단부(53)의 경사면이 결합편(52)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스톱퍼(44) 즉 탈착 레버(48)를 그 록 해제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고, 록 부재(44) 등의 파손이 생길 일은 없다. 이 경우, 스톱퍼 단부(53)의 경사면의 경사각은 두개의 스프링(46, 51)의 탄성력의 상관 관계에 의해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11 및 도 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는, 탈착 레버(30)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세컨드 록 기구(60)를 설치한 것으로서, 다른 구조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하여,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장착할 경우에는, 좌우 팔걸이(16)간에 차일드 시트(15)의 하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차일드 시트의 양 측부에 설치된 탈착 록 기구(20)를 상방으로부터 팔걸이(16)의 긴 구멍(17)을 통하여 팔걸이(16) 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차일드 시트(15)가 하강하여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a, 27b)가 팔걸이(16) 내에 설치된 핀(18)에 감합하고, 더욱이 록 부재(22)의 안내면(22d)이 상기 핀(18)에 접촉하면 그 안내면(22d)에 의해 록 부재(22)가 스톱퍼(23)와 함께 스프링(32)에 저항하여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록 클로(22c)가 절결부(27a, 27b)로부터 측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팔걸이(16)의 핀(18)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핀(18)에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결합하면, 록 부재(22)가 스톱퍼(23)를 통하여 스프링(3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오목부(22b)가 축(31)에 결합하는 동시에, 록 클로(22c)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하고, 또한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스톱퍼 해제 작동부(24d)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가 그 위치에 록 된다(도 5(b)).
한편,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탈착 레버(30)를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 부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클로(22c)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록 부재(22)가 록 해제 위치로 회동되면, 스톱퍼(23)도 스톱퍼 축(28)에 의해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도 5(b)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에 결합한다. 따라서, 록부(22)의 회 동이 저지되어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된다(도 5(a)).
그리하여, 탈착 레버(30)로부터 손을 떼어도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5)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5)를 들어 올리면, 그 도중에 스톱퍼 해제 작동부(24e)가 핀(18)에 접촉하여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스프링(32)에 저항해서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 단부(23c)로부터 이탈하여 그 스톱퍼 작용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록 부재(22)가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23)를 통하여 록 해제 위치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자동 복귀된다.
도 11은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차일드 시트(15)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부분도로서, 차일드 시트(15)의 외측면부에 록 부재(22)와 스톱퍼(23)를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일체적으로 회동시키는 상기 탈착 레버(30)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더욱이 차일드 시트(15)에는 탈착 레버(30)의 상방부에 세컨드 록 버튼(세컨드 록 기구)(60)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컨드 록 버튼(60)은, 차일드 시트(15) 내에 배열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탈착 레버(30)의 회동면 내에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상기 탈착 레버(30)에 그 상방으로부터 결합하여 탈착 레버(30)의 록 해제 방향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유아가 상기 탈착 레버(30)에 접촉하거나 차일드 시트를 캐리어로 서 사용하는 중에 몸에 접촉한 경우에도 탈착 레버(30)가 록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세트할 경우에는, 록 부재(22)가 핀(18)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록 부재(22)와 일체가 되어 있는 탈착 레버(30)의 회동이 상기 세컨드 록 버튼(60)에 의해 저지되어 있으므로, 록 부재(22)가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보통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세트할 경우에는, 세컨드 록 버튼(60)을 스프링에 저항하여 눌러 탈착 레버(30)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세트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록 부재(22)에 상기 스톱퍼 축(28)을 감합시키는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22a)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22)의 록 클로(22c)가 상기 팔걸이에 장착된 핀(18)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각도 만큼(도 5(a), (b) 참조) 록 부재(22)가 스톱퍼 축(28)에 대하여 록 해제 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부채 형상의 절결부(22a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컨드 록 버튼(60)에 의해 탈착 레버(30)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을 경우에도,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세트할 경우, 록 부재(22)가 록 부재(22)의 록 클로(22c)가 핀(18)에 접촉함으로써, 록 부재(22)의 록 클로(22c)가 상기 팔걸이에 장착된 핀(18)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각도 만큼 회동한다. 그리하여,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에 세트할 경우에, 그 때마다 세컨드 록 버튼(60)을 누르면서 세트할 필요가 없고, 사용을 편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13 및 도 14에 의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는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18, 70)를 설치한 것으로서, 다른 구조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대략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표시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상기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18, 70)의 분해 사시도로서,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18, 70)는 박스형의 케이스(70)와, 박스형의 케이스(70)의 상부 중간부에 장착된 차일드 시트 고정용의 핀(18)을 갖고 있다. 상기 박스형의 케이스(70)의 전후 양단에는 플랜지부(7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플랜지부(71)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의 이면에 나사(42)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에 부착된 핀(18)은, 차일드 시트(15)측의 탈착 록 기구(20)에 결합하는 것이다(도 1 내지 도 5 참조).
이와 같이, 차일드 시트의 탈착 록 기구(20)가 결합되는 핀(18)이 박스형의 케이스(70)에 장착되고, 그 박스형의 케이스(70)가 유모차 본체(14)의 팔걸이(16) 내에 배열 설치되고, 플랜지부(71)를 통하여 팔걸이(16)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18)이 팔걸이(16)의 외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외관을 손상하는 일도 없다.
그러나, 팔걸이(16)에는 긴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70)는 상방이 개구하고, 이 상방 개구(70a)는 긴 구멍(17)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71)는 상방 개구(70a)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에 장착할 경우에는, 좌우 팔걸이(16)간에 차일드 시트(15)의 하부를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차일드 시트의 양측부에 설치된 탈착 록 기구(20)를 상방으로부터 팔걸이(16)의 긴 구멍(17)을 통하여 팔걸이(16) 내에 삽입한다. 이 경우, 차일드 시트(15)가 하강하여 보호 부재(25) 및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a, 27b)가 팔걸이(16) 내에 설치된 핀(18)에 감합하고, 더욱이 록 부재(22)의 안내면(22d)이 상기 핀(18)에 접촉하면, 그 안내면(22d)에 의해 록 부재(22)가 스톱퍼(23)와 함께 스프링(32)에 저항하고, 도 5(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록 클로(22c)가 절결부(27a, 27b)로부터 측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팔걸이(16)의 핀(18)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여, 핀(18)에 프레임판(21)의 절결부(27b)가 결합하면, 록 부재(22)가 스톱퍼(23)를 통하여 스프링(3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오목부(22b)가 축(31)에 결합하는 동시에, 록 클로(22c)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하고, 또한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스톱퍼 해제 작동부(24d)가 핀(18)의 하방에 결합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5)가 그 위치에 록 된다(도 5(b)).
한편,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14)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탈착 레버(30)를 도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록 부재(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클로(22c)가 록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록 부재(22)가 록 해제 위치로 회동되면, 스톱퍼(23)도 스톱퍼 축(28)에 의해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 해제 부재(24)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톱퍼 해제 부재(24)의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23)의 스톱퍼 단부(23c)에 결합한다. 따라서, 록부(22)의 회동이 저지되어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된다.
그리하여, 탈착 레버(30)로부터 손을 떼어도 록 부재(22)가 그 록 해제 위치에 자동 고정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5)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것만으로 차일드 시트(15)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5)를 들어 올리면, 그 도중에 스톱퍼 해제 작동부(24e)가 핀(18)에 접촉하여 스톱퍼 해제 부재(24)가 스프링(32)에 저항하여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24b)가 스톱퍼 단부(23c)로부터 이탈하여 그 스톱퍼 작용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록 부재(22)가 스프링(32)에 의해 스톱퍼(23)를 통하여 록 해제 위치로부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자동 복귀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탈착 레버의 조작후 그 탈착 레버로부터 손을 떼어도 록 해제 상태가 확실하게 지속되는 동시에, 록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4)

  1. 핀을 포함하는 팔걸이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록 기구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핀에 계탈(係脫) 가능하고 또한 차일드 시트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된 록(lock) 부재와,
    록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스톱퍼 단부(段部)를 갖는 스톱퍼와,
    스톱퍼의 스톱퍼 단부에 계탈 가능한 결합 돌출부를 갖는 스톱퍼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록 부재는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하여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고,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의 어느 한쪽은,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다른쪽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록 부재와 스톱퍼가 차일드 시트에 대하여 동일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하고,
    스톱퍼 해제 부재가 스톱퍼와 동일 평면 내에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 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록 부재와 스톱퍼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스톱퍼 해제 부재가 스톱퍼와 동일 평면 내에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톱퍼와 스톱퍼 해제 부재 사이에 스톱퍼와 스톱퍼 해제 부재를 서로 끌어 당기는 스프링이 개재(介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톱퍼 해제 부재의 결합 돌출부는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스톱퍼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톱퍼 단부는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할 때에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7. 핀을 포함하는 팔걸이를 갖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록 기구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핀에 계탈 가능하고 또한 차일드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 부재와,
    록 부재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스톱퍼 단부를 갖는 스톱퍼와, 스톱퍼의 스톱퍼 단부에 계탈 가능한 결합 돌출부를 갖는 스톱퍼 해제 부재와,
    록 부재와 스톱퍼를 일체적으로 록 상태로부터 록 해제 상태로 회동시키는 탈착 레버와,
    차일드 시트에 설치되어 탈착 레버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세컨드(second) 록 기구를 구비하고,
    차일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분리할 때에 스톱퍼 단부와 결합 돌출부가 결합하여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드 록 기구는 상기 탈착 레버의 작동 구역 내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록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팔걸이에 설치된 핀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각도 만큼 회동 할 수 있도록 탈착 레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레버는 스톱퍼 축을 통하여 록 부재에 장착되고,
    스톱퍼 축은 록 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며, 록 부재의 구멍은 록 부재가 스톱퍼 축에 대하여 록 해제 방향에만 회동을 허용하는 부채 형상의 절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11. 록 기구를 갖는 차일드 시트가 장착되는 유모차 본체의 팔걸이에 설치된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에 있어서,
    팔걸이 내에 배치되고, 록 기구에 결합하는 핀과,
    이 핀을 유지하는 동시에 팔걸이에 고착된 박스형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팔걸이에는 록 기구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형성되고, 박스형 케이스는 팔걸이의 긴 구멍에 대응하여 상방이 개구(開口)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상방 개구 가장자리에 플랜지(flange) 부분이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는 팔걸이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플랜지부는 팔걸이의 내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KR1020050012613A 2004-02-19 2005-02-16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KR20060041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2911A JP4481032B2 (ja) 2004-02-19 2004-02-19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ベビーカーへのロック機構
JPJP-P-2004-00043051 2004-02-19
JPJP-P-2004-00042911 2004-02-19
JP2004043051A JP4401812B2 (ja) 2004-02-19 2004-02-19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ベビーカーへのロック機構
JP2004062885A JP4623979B2 (ja) 2004-03-05 2004-03-05 ベビーカー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装置
JPJP-P-2004-00062885 2004-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79A true KR20060041979A (ko) 2006-05-12

Family

ID=3483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613A KR20060041979A (ko) 2004-02-19 2005-02-16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0913B2 (ko)
EP (1) EP1574389A1 (ko)
KR (1) KR20060041979A (ko)
CN (1) CN1657335A (ko)
TW (1) TW2005335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164B2 (en) * 2003-12-17 2007-06-19 Rambus Inc. Offset cancellation in a multi-level signaling system
JP2006159930A (ja) * 2004-12-02 2006-06-22 Combi Corp ベビーカー
ES2288392B1 (es) * 2006-01-12 2008-12-01 Play, S.A. Adaptador para cochecitos infantiles.
NL1031213C2 (nl) * 2006-02-22 2007-08-24 Maxi Miliaan Bv Wandelwagen.
JP5051498B2 (ja) * 2006-03-06 2012-10-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ルト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並びにショッピングカート
ES1062629Y (es) * 2006-04-12 2006-10-01 Jane Sa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amovible de asientos y capazos-cuna en cochecitos infantiles, provistos de una asa articulada
US20070257471A1 (en) * 2006-05-08 2007-11-08 Baby Planet Llc Universal Infant Carrier Transport
CN200957826Y (zh) * 2006-10-26 2007-10-10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具单手释放机构的婴童乘坐装置
US8011722B2 (en) * 2007-03-15 2011-09-06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Foldable frame with detachable infant carrier
NL1035276C2 (nl) * 2008-04-09 2009-10-12 Maxi Miliaan Bv Samenstel voorzien van een onderstel en een losneembaar met het onderstel koppelbare kinderzitting alsmede een dergelijke kinderzitting en een dergelijk onderstel.
NL1035275C2 (nl) * 2008-04-09 2009-10-12 Maxi Miliaan Bv Samenstel omvattende een onderstel en een losneembaar met het onderstel koppelbare kinderzitting, een dergelijk onderstel alsmede een dergelijke kinderzitting.
US20090284050A1 (en) * 2008-05-14 2009-11-19 Baby Planet Llc Combination Bassinet and Toddler Chair
GB2460942B (en) 2008-06-19 2012-10-24 Wonderland Nursery Goods Child chair having engaging assembly for a seat
US7878584B2 (en) 2008-06-19 2011-02-01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afety belt storage assembly and child seat having the same
CN102303548B (zh) * 2008-10-01 2014-10-01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WO2010091513A1 (en) * 2009-02-12 2010-08-19 Magna Marque International Inc. Foldable stroller
DE202009011010U1 (de) 2009-09-16 2009-11-26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 Kinderwagen- oder Kindersportwageneinsatz
CN102241255B (zh) * 2010-05-13 2013-06-05 荷兰商伍轮实业股份有限公司 推车承载组件连接装置及可组接承载组件的幼儿推车
CN102372021B (zh) * 2010-07-26 2013-09-1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锁栓机构与包括锁栓机构的婴儿车
CN202624323U (zh) * 2012-04-20 2012-12-26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NL2009461C2 (nl) * 2012-09-13 2014-03-18 Mutsy Bv Zitje en kinderwagen of buggy voorzien van een dergelijk zitje.
CN203318198U (zh) * 2013-06-07 2013-12-04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提篮式汽座的双用释放机构
WO2018022889A1 (en) 2016-07-27 2018-02-01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with remov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US11059510B2 (en) 2016-07-27 2021-07-13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WO2018022895A1 (en) 2016-07-27 2018-02-01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and related methods
US10058192B2 (en) * 2016-10-06 2018-08-28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seat
US9962011B1 (en) * 2017-01-27 2018-05-08 Kolcraft Enterprises, Inc. Recline assemblies for stroller seats
CN108784135B (zh) * 2017-05-02 2024-02-13 广东奥迪动漫玩具有限公司 婴幼儿支撑装置的杆组转接卡固机构
CN109689472B (zh) 2017-07-27 2021-10-08 考可拉夫特公司 用于童车的框架
WO2020069613A1 (en) * 2018-10-01 2020-04-09 Clek Inc. Child safety seat with belt tensioner
CN113022691B (zh) * 2021-03-29 2023-08-15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能安装汽座的可拆座位
CN113547966B (zh) * 2021-08-31 2023-04-21 东莞金旺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用品释锁组件、汽车安全座椅提篮和儿童手推车提篮
US20240166100A1 (en) * 2022-11-21 2024-05-23 Monahan Products, LLC Car seat dual connec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6298C1 (en) * 1986-08-02 1987-12-17 Hofmann Josef Metallwaren Kg Device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a pram/push-chair body to a pram/push-chair frame
JPH08212Y2 (ja) * 1990-07-20 1996-01-1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における座席の係止構造
US5567008A (en) * 1994-11-04 1996-10-22 Cosco, Inc. Portable infant seat having a detachable base
US5676386A (en) * 1995-10-30 1997-10-14 Huang; Li-Chu Chen Stroller in combination with a safety seat assembly
US5947555A (en) * 1996-11-22 1999-09-07 Kolcraft Enterprises, Inc. Infant seat and stroller coupling system
IT1308620B1 (it) * 1999-02-19 2002-01-09 Peg Perego Spa Assieme separabile di telaio ed elemento di accoglimento di unbambino.
ES2243378T3 (es) * 2000-11-24 2005-12-01 Combi Corporation Silla para niños y coche de bebe.
JP4583609B2 (ja) * 2001-01-10 2010-11-17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4312496B2 (ja) * 2003-04-21 2009-08-12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84564A1 (en) 2005-08-25
EP1574389A1 (en) 2005-09-14
US7370913B2 (en) 2008-05-13
CN1657335A (zh) 2005-08-24
TWI341802B (ko) 2011-05-11
TW200533536A (en) 200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1979A (ko)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JP581467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5402394A (zh) 儿童推车
JP431249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694728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4507029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440181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ベビーカーへのロック機構
WO2006054760A1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029673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車両への固着装置
JP542031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458360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1328543A (ja) ベビーカー
JP448103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ベビーカーへのロック機構
JP427545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着脱インジケータ
KR100417871B1 (ko) 베이비 시트 및 베이비 카
JP4233914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4623979B2 (ja) ベビーカー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装置
JP3376117B2 (ja) 乳母車の胴ガード連結機構
JP2001122004A (ja) 車両用シート
JP3798740B2 (ja) 車両用シート
JP7208818B2 (ja) 開閉窓
JP2001328541A (ja) ベビーシート
JP2004034768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フロアロック装置
JP2000001135A (ja) 脱着シート
KR10053431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자동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