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90A - Lpg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Lpg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90A
KR20060033690A KR1020040101305A KR20040101305A KR20060033690A KR 20060033690 A KR20060033690 A KR 20060033690A KR 1020040101305 A KR1020040101305 A KR 1020040101305A KR 20040101305 A KR20040101305 A KR 20040101305A KR 20060033690 A KR20060033690 A KR 2006003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pg
positive electrode
heater
heating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라다신이찌
코다마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키
Publication of KR2006003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5/00Carburettors with 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for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15/02Carburettors with 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for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with heating means, e.g. to combat ice-formation
    • F02M15/04Carburettors with 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for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with heating means, e.g. to combat ice-formation the means being electrical
    • F02M15/045Carburettors with heating, cooling or thermal insulating means for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with heating means, e.g. to combat ice-formation the means being electrical for the fuel system, e.g. built into the fuel conduit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9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 F02M21/0212Hydrocarbon fuels, e.g. methane or acetylene comprising at least 3 C-Atoms, e.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propane or but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가열장치에 대해서, 높은 가열기화능력 및 신속한 온도의 상승을 확보하면서 히터 유닛의 고장을 회피하여 대유량의 연료나 극저온의 경우에 대응하여 충분한 기화연료를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액체 LPG를 가열 및 기화하여 송출하는 LPG 공급시스템에 배치되어 히터 유닛(33A)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열교환실(34A)에 병렬 배치하고,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이 LPG 유로(38a)를 형성하여 통과하는 액체 LPG를 가열하는 LPG 가열장치로서, 그 히터 유닛(33A)을, 플러스 전극(336)을 중앙에 배치하고 양측에 PTC 히터(320,320)를 지지한 지지 케이스(330)를 구비하고, 플러스 전극 취출부를 제외한 그 외주면 전체를 덮어 마이너스 전극겸 가열판(337,338)을 밀착 배치하여 케이싱을 형성함과 아울러, 고무 밀봉부(336a,336a)를 배치하여 케이싱 내부를 기ㆍ액밀상태로 하였다.

Description

LPG 가열장치{LPG HEA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의 LPG 공급시스템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LPG 공급시스템에 배치되는 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히터 유닛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열교환기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열교환기에 있어서 플러스 전극 취출부와 외부 전극을 접속하는 배선을 퓨즈로 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LPG 공급시스템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부열교환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부열교환기에 수용 장착되는 전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기화기 30 … 압력조정기
31 … 주열교환기 32A … 부열교환기
33A … 히터 유닛 34A … 열교환실
38A … 용기 38a … LPG 유로
40,336c … 단자 320 … PTC 히터
330 … 지지 케이스 336 … 플러스 전극판
336e … 배선 336f … 퓨즈
337,338 … 전극겸 가열판
본 발명은 액체의 LPG를 가열 기화함과 아울러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여 흡기 관로에 송출함으로써 엔진에 공급하는 LPG 공급시스템의 LPG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열판의 내측에 PTC 히터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을 열교환실에 내장한 LPG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LPG를 기화시켜 스파크 점화엔진의 연료에 사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고, 거의 대기압의 기화 가스로 조정하여 흡기 관로의 부압에 의해 흡인 송출시키는 주지방식 외에,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6-177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 정압(正壓)의 기화 가스로 조정하여 흡기 관로에 분사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액체의 LPG를 가열 기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엔진 냉각수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레귤레이터(기화기)에 내장시키거나 혹은 그 입구측에 배치하고, 엔진 냉각수에 의해 LPG를 가열 기화시키는 것이 관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엔진 냉각수를 이용하는 가열기화수단은, 기기 냉각시에 엔진 냉각수가 저온이기 때문에 액체 LPG를 충분히 가열 기화할 수 없는 문제점 이 있다. 그래서, 도 6의 LPG 공급시스템의 배치도에 있어서의 기화기(3B)와 같이, 엔진 냉각수의 열로 LPG를 가열하는 주열교환기(31) 외에 PTC 히터에 의해 발생시킨 열로 LPG를 가열하는 부열교환기(32B)를 설치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부열교환기(32B)를 구비한 기화기(3B)는 도 7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G의 기화에 따른 고압을 고려하여 두껍게 된 열교환실의 벽체(321) 외면에 PTC 히터(320)의 한쪽면을 밀착 배치하여 내측의 LPG를 가열하는 것이고, 이 벽체(321)의 두께가 저항으로 되어 LPG가 기화에 적합한 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에 비교적 장시간을 요하는 점에서, 저온 시동시에 있어서 LPG가 기화되지 않고 액체인 채로 송출되어 엔진 스톨을 초래하여 재시동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를 발생하기 쉽다. 또한, LPG의 가열에 PTC 히터(320)의 일면밖에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열이용률이 낮고, 연료가 대유량의 경우나 극저온의 경우에 대응 곤란하게 되어 엔진 운전에 조정불능을 초래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일본 특허 공개 2003-328859호 공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C 히터(320)를 복수개씩 서로 등을 맞대게 배치하여 가열판을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한 케이싱(38C) 내에 끼워넣어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33C)으로서 열교환실(34C) 내에 배치하고, 케이싱(38C)의 2개의 가열판을 가열함으로써 LPG를 가열 기화하도록 한 LPG 가열장치(32C)가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PTC 히터(320)를 갖는 히터 유닛(33C)이 열교환실(34C) 내에 완전히 수용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열이용률이 향상하는 데다가, 상술한 수단보다 PTC 히터(320)의 수가 증가하여 가열 기화능력이 높은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수단은 히터 유닛(33C)의 케이싱(38C)에 있어서의 외벽의 2면만을 가열판으로 하기 때문에, 극저온시에 있어서의 LPG 가열장치(32C) 내 전체의 온도의 상승의 신속화는 불충분하고, 또한, 히터 유닛(33C)이 단체인 점에서 열교환실의 용적에 대한 가열면의 면적이 작으므로, 가열 및 기화능력의 대용량화도 충분하지는 않다.
이것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C 히터(320)를 2장의 전극겸 방열판(324,325)으로 끼워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33D) 복수장을, 병렬 또한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겹쳐서 그 간격을 LPG 유로(38a)로 한 전열기를 열교환실에 수용 장착하여, 이 유로(38a)를 통과하는 액체 LPG를 가열하여 기화하기 쉬운 상태 혹은 기화시키는 것으로 한 LPG 가열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LPG 가열장치의 전열기는 동일한 히터 유닛(33D)을 복수장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히터 유닛(33D) 간의 LPG 유로(38a)에 있어서 마주 대하는 전극겸 방열판이 마이너스의 전극겸 방열판(325)과 플러스의 전극겸 방열판(324)의 조합으로 된다. 따라서, 이 전극겸 방열판(325,324) 사이에 도전성의 이물이 낀 경우에, 쇼트(단락)가 발생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각 히터 유닛(33D)에 대전류가 흐르거나, 혹은 열교환실 밖에 노출된 외부 전극(35D)에 큰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히터 유닛(33D) 자체가 파손되어 수리 및 복구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6-1770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2003-32885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고, PTC 히터를 이용한 히터 유닛을 열교환실에 내장되어 있는 LPG 가열장치에 대해서, 높은 가열기화능력 및 신속한 온도의 상승을 확보하면서 히터 유닛의 고장을 회피하여, 대유량의 연료나 극저온의 경우에 대응하여 충분한 기화연료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체 LPG를 가열 기화함과 아울러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여 엔진의 흡기 관로에 송출하는 LPG 공급시스템에 배치되고, PTC 히터를 수용 장착한 히터 유닛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열교환실 내에 병렬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이 LPG 유로를 형성하여 통과하는 LPG를 가열하는 LPG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유닛을, 플러스 전극의 양측에 PTC 히터가 배치되어 상기 플러스 전극을 외부까지 연장한 플러스 전극 취출부를 제외한 외주면 전체를 덮어 마이너스 전극겸 가열판이 밀착 배치함으로써 케이싱을 형성함과 아울러, 소정의 밀봉수단을 배치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를 기ㆍ액밀상태로 한 것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전극겸 가열판이 대향하는 간극에서 LPG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히터 유닛 외면의 대부분이 가열판으로 되어 가열면이 크게 되기 때문에, PTC 히터의 열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액체 LPG에 전달할 수 있고, 저온시의 온도의 상승을 양호하게 하면서 대유량의 연료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병렬 배치한 히터 유닛의 대향하는 전극겸 가열판이 모두 마이너스 전극이 되는 점에서 그 사이에 도전성의 이물이 끼더라도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LPG 가열장치의 플러스 전극 취출부를, 외부전극과 별체로 하여 이들이 소정의 도전체에 의해 접속된 것으로 하면, 예컨대, 배선을 접속할 때의 토크 등, 외력이 외부 전극에 가해져 파손된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과 별체로 된 각 히터 유닛은 파손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중대한 고장으로 연결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스 전극의 취출부와 외부전극을 접속하는 도전체를, 소정 용량의 퓨즈를 구비함과 아울러 착탈가능한 것으로 하면, 대전류 발생에 의한 히터 유닛의 파손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또한 퓨즈를 교환하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으로 용이하게 장치를 수리 및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유닛을, 상기 플러스 전극이 중앙부에 배치되어 그 양측에서 상기 PTC 히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유닛의 외측에 연장된 플러스 전극 취출부의 기단측을 덮어, 상기 플러스 전극이 상기 마이너스 전극판과 직접 접촉하는 것 및 상기 열교환실 내에 노출하는 것을 회피하는 비도전성 수지로 된 지지 케이스를 구비한 것으로 하면, 플러스 전극이 LPG 연료에 노출되지 않음과 아울러 히터 유닛에 외력이 가해져도 용이하게 변형 및 파손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고, 쇼트의 발생이나 연료의 진입에 의한 부식 등의 문제를 회피하여, 더욱 고장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LPG 연료공급시스템의 배치도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기본적인 구성은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LPG 공급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LPG 공급시스템에 배치되는 기화기(3A)의 부열교환기(32A)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봄베(1)에 저류된 LPG는 액체 LPG 유로(9A), 기체 LPG 유로(9B)를 통해서 엔진(4)의 흡기 관로(4b)에 배치한 연료분사밸브(5)에 공급되고, 그 경로 중에 차단밸브(2), 엔진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는 LPG 가열장치로서의 주열교환기(31) 및 전기적으로 발생시킨 열을 이용하는 LPG 가열장치로서의 부열교환기(32A), 또한 그 하류측에 계속되는 압력조정기(30)로 이루어지는 기화기(3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LPG 공급시스템은 도시하지 않은 전자식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봄베(1)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LPG는, 액체 LPG 유로(9A)에서 차단밸브(2)를 통해 주열교환기(31)에 들어가고, 엔진(4)에 설치된 냉각수 재킷(4a)으로부터 냉각수 통로(8a)를 경유하여 도입된 엔진 냉각수에 의해 가열된다. 그러나, 기기 냉각시에는 엔진(4)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며 액체 LPG는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 이것을 완전한 기체의 상태로 하여 기체 LPG 유로(9B)에 송출할 수 없다. 그래서, 이와 같이 LPG의 가열이 불충분하게 되는 상황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식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후속의 부열교환기(32A)에 통전하고, 그 열교환실(34A) 내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히터 유닛(33A)이 발열함으로써, 유입된 액체 LPG 를 가열 및 기화하여 압력조정기(30)에 송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부열교환기(3A)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여, 부열교환기(32A)는 케이스 형상의 용기(38A)의 내부인 열교환실(34A)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병렬 배치된 대략 평판형상의 히터 유닛(33A,33A,33A)의 좌우 양측단부가 측벽면에 접함과 아울러 상하에 공간을 가지고서 수용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용기(38A)는 저벽의 중앙위치에 LPG 유입구(38c)가 개구하고, 우측벽의 상단측에 LPG 유출구(38d)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3장의 히터 유닛(33A)을 병행 또한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하여 배치하고, 그 간격에 의한 간극을 LPG 유로(38a,38a,38a)로 하여 통과하는 액체 LPG를 가열 및 기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협소한 LPG 유로(38a)를 통과하는 액체 LPG를 가열판으로 양측으로부터 가열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38A)의 열교환실(34A)에 있어서의 액체 LPG로의 열교환이 매우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인 것으로 되어, 저온시의 온도의 상승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된다.
도 3의 히터 유닛(33A)의 확대부분 단면도를 참조하여, 히터 유닛(33A)은 플러스 전극(336)을 중앙에 유지하여 그 양측의 오목부에 2장의 PTC 히터(320,320)를 끼워넣어 지지하고 있는 대략 평판형상이며 비도전성 수지제인 지지 케이스(330)를 갖고 있고, 이것을 2장의 전극겸 가열판(337,338)으로 끼워넣어 한쪽의 전극겸 가열판(337)의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다른쪽의 전극겸 가열판(338)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코킹하여 케이스 형상으로 하고, 내부에 지지 케이스(330) 및 PTC 히터(320,320)를 수용 장착한 것이다.
또한, 지지 케이스(330)는 그 중앙위치에서 접속구멍(330a,330a)이 양면에 뚫어 형성되어 웨이브 와셔(330b,330b)로 PTC 히터(320,320)를 외측을 향해 밀어서 전극겸 가열판(337,338) 내측면에 누름과 아울러 플러스 전극판(336)과 마이너스 전극인 전극겸 가열판(337,338)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그 선단측 및 플러스 전극 취출부 기단측에는 고무 밀봉부(336a,336a)가 수용 장착되어(도 2 참조) 케이싱 형상으로 형성된 전극겸 가열판(337,338)의 내측을 액ㆍ기밀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히터 유닛(33A)은 얇은 판형상의 간단한 구성으로 하면서 내측의 PTC 히터(320)를 부식이나 파손으로부터, 또는 쇼트의 발생으로부터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고, 또한, 그 우수한 가열 및 기화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발휘하기 쉬운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 히터 유닛(33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케이스(330)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플러스 전극 취출부의 선단측에 단자(336c)를 갖고 있고, 이 3개의 단자(336c)는 용기(38A)의 덮개체(38b) 상면에 돌출되어 있고, 비도전성 수지제이며 통형상인 슬리브(336d,336d,336d)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덮개체(38b) 내에서 각 슬리브(336d)의 기단측에 배치된 고무 밀봉부(336b)로 용기(38A)의 내측을 기ㆍ액밀상태로 하고 있다.
부열교환기(32A)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여, 덮개체(38b) 상에 노출되어 배열되는 플러스 전극인 각 단자(336c)는, 외부 전극인 단자(40)와 별체로 되어 있고, 이들은 도전체인 배선(336e,336e,336e)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 단자(40)에 돌발적인 외력, 예컨대 배선 접속시에 공구 등에 의해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스 전극이 파손되는 것이 회피되기 때문에, 중대한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는 것이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336e,336e,336e)을 착탈가능한 소정 용량의 퓨즈(336)로 교환하면, 돌발적인 대전류가 흐른 경우에 각 히터 유닛(33A)이 손상되어 버리는 것이 확실히 회피되고, 퓨즈(336f)를 교환하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만으로 장치를 수리 및 복구할 수 있다. 또한, 각 히터 유닛(33A)의 마이너스 전극인 전극겸 가열판(337,338)의 선단측은 도전성을 갖는 지지 시트(39)에 접촉하여 지지 및 고정되어 있고, 이것이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히터 유닛(33A,33A,33A)의 사이가 각각 LPG 유로(38a,38a,38a)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전극겸 가열판(338)의 가열면과 전극겸 가열판(338)의 가열면으로 LPG 유로(38a)를 사이에 둔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용적이 작은 열교환실(34A)에 3장의 전열 유닛(33A)을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수용 장착하여 복수의 LPG 유로(38a)를 형성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을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부열교환기에 있어서의 온도의 상승을 양호하게 하면서 가열기화능력의 대용량화를 실현하고, 대유량시나 극저온시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단의 전극겸 가열판(338,337) 표면은 각각 용기(38A)의 내측벽에 접하여도 좋은 것이지만, 이들 사이에 간극을 두어 또한 양측에 LPG 유로(38a,38a)를 형성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실(34A) 내에 더욱 많은 가열면이 형성되어, 가열기화능력을 한층 높은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부열교환기(32A)는 히터 유닛(33A)을 복수개 병렬로 겹쳐서 이루어지는 것인 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히터 유닛(33A) 사이에 형성되는 LPG 유로(32b)에 있어서, 마주 대하는 전극겸 가열판이 마이너스의 극성끼리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주 대한 전극겸 가열판(337,338) 사이에, 만일 도전성의 이물이 낀 경우, 혹은 온도의 이상 상승 등에 의해 전극겸 가열판(337,338)이 변형되어 서로 접촉한 경우에도, 쇼트를 발생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해, 히터 유닛을 고장이 발생하기 어려운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하면서 신속한 온도의 상승 및 높은 가열기화능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되고, 대유량의 연료 및 극저온시에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충분한 기화 연료를 안정적으로 엔진에 송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LPG 유로에 있어서 대향하는 전극겸 가열판의 극성이 동일하게 된다는 점에서, 쇼트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매우 안전성이 높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열교환기는 주열교환기와 별체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것과 일체인 것이어도 좋고, 또한 압력조정장치와 일체인 것이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유닛 내의 PTC 히터의 수 및 배치방법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스 전극판의 양측면에 PTC 히터를 배치하여 그 외주를 마이너스 전극겸 가열판으로 덮어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의 복수개를 열교환실 내에 병렬로 배치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 유닛이 매우 고장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됨과 아울러 신속한 온도의 상승 및 높은 가열기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고, 대유량의 연료 및 극저온시에 대응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이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액체 LPG를 가열 기화함과 아울러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여 엔진의 흡기 관로에 송출하는 LPG 공급시스템에 배치되고, PTC 히터를 수용 장착한 히터 유닛 복수개를 소정 간격으로 열교환실 내에 병렬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이 LPG 유로를 형성하여 통과하는 액체 LPG를 가열하는 것으로 한 LPG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 유닛은, 플러스 전극의 양측에 PTC 히터가 배치되어 상기 플러스 전극을 외부까지 연장한 플러스 전극 취출부를 제외한 외주면 전체를 덮어 마이너스 전극겸 가열판이 밀착 배치되어 케이싱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소정의 밀봉수단으로 상기 케이싱 내부를 기ㆍ액밀상태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전극 취출부는, 외부전극과 별체로 되어 상기 플러스 전극 취출부와 상기 외부 전극이 소정의 도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가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소정 용량의 퓨즈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가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유닛은, 상기 플러스 전극이 중앙부에 배치되어 그 양측에서 상기 PTC 히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히터 유닛의 외측에 연장된 플러스 전극 취출부의 기단측을 덮어 상기 플러스 전극이 상기 마이너스 전극판과 직접 접촉하는 것 및 상기 열교환실 내에 노출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으로 한 비도전성 수지제의 지지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가열장치.
KR1020040101305A 2004-10-14 2004-12-03 Lpg 가열장치 KR20060033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9504A JP2006112283A (ja) 2004-10-14 2004-10-14 Lpg加熱装置
JPJP-P-2004-00299504 2004-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90A true KR20060033690A (ko) 2006-04-19

Family

ID=3638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305A KR20060033690A (ko) 2004-10-14 2004-12-03 Lpg 가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12283A (ko)
KR (1) KR2006003369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78B1 (ko) * 2007-05-04 2008-05-16 주식회사 엘씨글로벌 엘피지 차량용 연료기화시스템
KR101046567B1 (ko) * 2008-12-29 2011-07-05 (주)모토닉 엘피지 기화기의 히터
KR101137496B1 (ko) * 2009-07-09 2012-04-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티씨 발열체를 채용한 엘피지 엔진용 기화기
KR200468741Y1 (ko) * 2006-11-13 2013-09-05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연소-동력식 디바이스 내에 사용될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연료 기화기 시스템
KR20190025179A (ko) * 2017-08-31 201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4479B2 (en) 2006-05-29 2011-06-07 Honda Motor Co., Ltd. Fuel supply device for gas engine
JP2009074411A (ja) * 2007-09-20 2009-04-09 Nikki Co Ltd Lpg加熱装置
JP5513987B2 (ja) * 2010-05-25 2014-06-04 株式会社ニッキ Lpg加熱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41Y1 (ko) * 2006-11-13 2013-09-05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연소-동력식 디바이스 내에 사용될 액체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한 연료 기화기 시스템
KR100830178B1 (ko) * 2007-05-04 2008-05-16 주식회사 엘씨글로벌 엘피지 차량용 연료기화시스템
KR101046567B1 (ko) * 2008-12-29 2011-07-05 (주)모토닉 엘피지 기화기의 히터
KR101137496B1 (ko) * 2009-07-09 2012-04-2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티씨 발열체를 채용한 엘피지 엔진용 기화기
KR20190025179A (ko) * 2017-08-31 2019-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12283A (ja)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013B2 (en) Fluid heater
JP2011091040A (ja) 流体ヒーター
KR20060033690A (ko) Lpg 가열장치
US10524314B2 (en) Fluid heating device of engine
US4318384A (en) Fuel vaporizer
JP4370568B2 (ja) Lpg加熱装置
WO2009053034A3 (de) Einrichtung zur befeuchtung und erhitzung eines zu reformierenden brenngases für eine brennstoffzellenanlage
KR20090110141A (ko) 에탄올 차량용 연료펌프 모듈
KR100749044B1 (ko) 축열층 안정 고주파 유도가열 보일러장치
JP4352377B2 (ja) Lpgの熱交換器
KR101256076B1 (ko) 평판형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90031200A (ko) Lpg 가열 장치
JP4378698B2 (ja) Lpg用レギュレータ
JP2007309150A (ja) Lpg加熱装置の電熱器
WO2021054950A1 (en) Vaporizer
JP2014152977A (ja) 熱交換器
KR102101621B1 (ko) 유체 가열용 히터 조립체
KR200410243Y1 (ko)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가습기
KR101084770B1 (ko) 기체연료 공급시스템용 가열장치
KR101046567B1 (ko) 엘피지 기화기의 히터
JPS6016760Y2 (ja) 液化ガス機関の燃料加熱装置
JP2005325690A (ja) Lpg用レギュレータ
JP2010024840A (ja) Lpg加熱装置
KR940010662B1 (ko) 정온 발열체를 이용한 증기 가습기
RU2136085C1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 внутренним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