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759A - 프로브 - Google Patents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759A
KR20060028759A KR1020057019478A KR20057019478A KR20060028759A KR 20060028759 A KR20060028759 A KR 20060028759A KR 1020057019478 A KR1020057019478 A KR 1020057019478A KR 20057019478 A KR20057019478 A KR 20057019478A KR 20060028759 A KR20060028759 A KR 2006002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ntact
tip
contact por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848B1 (ko
Inventor
테츄지 우에노
요시히로 히라타
카주노리 오카다
카주노리 카와세
Original Assignee
일본전자재료(주)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본전자재료(주),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일본전자재료(주)
Publication of KR2006002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고, 형상변화를 하기 어려우며,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측정대상물의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프로브가, 일체물로 형성되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와, 끝이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지지부 선단부터 뻗어나온 접촉부는, 지지부와 적어도 1측면을 공유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Probe}
본 발명은 LSI 칩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인 여러 특성을 측정하는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LSI 칩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기적인 여러 특성을 측정하는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 패드에 눌려져 접촉(오버 드라이브)되게 된다.
종래에, 프로브는, 도전성의 일정한 길이의 원형단면을 한 금속선의 선단을 기계연마나 전해연마에 의해 사각뿔이나 원뿔의 날카로운 형상으로 뾰족하게 함으로써 형성시키고 있다.
도 5는, 종래의 프로브의 사시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프로브(51)는, 직경이 0.1∼0.5㎜ 정도의 텅스텐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기계연마나 전해연마에 의해, 접촉부(52)의 선단부(53)를 날카롭게 뾰족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프로브의 선단의 정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 접촉부의 선단부는, 도 6(a)의 사각뿔 형상이나, 도 6(b)의 원뿔형상과 같은 대략 날카로운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한 접촉부(52)는, 전극 패드에 몇번이고 눌려져 마모되어 가면, 그 선단부(53)의 형상은 찌부러져서 형상변 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프로브는, 날카로운 사각뿔 또는 원뿔형의 형상을 한 선단부를 갖는 접촉부이기 때문에, 그 형상변화에 의한 측정불량뿐만 아니라, 전극 패드와의 접촉에 의한 전극 패드의 깎여나감, 혹은 알루미늄 가루 등의 이물 부착에 의한 측정불량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고, 형상변화를 하기 어려우며, 양호한 전기적 접촉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품질의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로브는, 측정대상물의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프로브에서, 프로부가, 일체물로 형성되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와 끝이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접촉부와, 그 접촉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지지부 선단에서 뻗어나온 접촉부는, 지지부와 적어도 1측면을 공유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접촉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그 선단부와 지지부가 일체물로 형성된 접촉부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의 일부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프로브의 선단 일부를 확대한 상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실시예의 프로브의 선단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프로브의 선단의 정면과 측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종래의 프로브의 사시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및
도 6은, 종래의 프로브의 선단의 정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 프로브
2: 지지부
3: 측정 대상물
4: 전극 패드
5: 접촉부
6: 기판
7: 접속용 전극
8: 접속단자부
9: 선단부
10: 지지부
11: 지지부의 후단
12: 지지부의 선단
13: 선단부
15: 저면부
16: 상면
20: 곧은 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의 일부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프로브(1)는, 지지부(2)와, 그의 일단에 반도체 디바이스 칩 등의 측정대상물(3)의 알루미늄(Al) 전극 패드(4)에 선단에서 접촉하는 접촉부(5)와, 타단에 기판(6)의 접속용 단자부(8)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프로브의 선단 일부를 확대한 상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프로브의 전체, 혹은 적어도 접촉부(5)는, 선단부(9)와 지지부(10)가 일체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가 지지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 예컨대 니켈(Ni)이나 팔라듐(Pd) 등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서의 기계적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탄성을 갖는 상기와 마찬 가지의 금속재료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인 프로브의 선단의 일부를 확대한 상면과 측면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접촉부(5)는 일체물로 되어 있고, 그 선단부(13)는 마찬가지로 지지부(10)로부터 비어져 나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5)의 일정 두께의 선단부(13)의 양측의 변을 직선형상의 곧은 변(20)과 같이 하여, 선단부를 사다리꼴로 형성한다. 따라서, 접촉부가 소경(小徑)의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것으로 되어, 전극 패드의 깎인 부스러기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도통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프로브의 선단의 정면과 측면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 접촉부(5)의 선단부분은, 지지부(10)의 선단(12)에서 선단부(9)를 비어져 나오게 한 위치까지 연장하며 선단부(13)를 일정 두께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보이는 프로브의 접촉부의 상면과 측면 구조는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되어, 검사할 때마다, 접촉부(5)가 전극 패드에 접촉하여 마모하여도 선단부(13)는 항상 일정 두께(t)의 일정 폭을 갖는 형상을 가지므로, 프로브 선단을 CCD 카메라로 반복하여 인식할 경우에도 잘못 인식하는 일이 적어져서, 프로브(1)의 접촉부(5)의 선단부(13)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그 다음에, 프로브(1)의 제조방법인데,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가 일체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은 종래법과 비교하여 더욱 간편하다. 즉, 탄성을 갖는 우수한 전기특성의 금속재료, 예컨대 니켈(Ni) 등을 선정하여, 이 금속재료 메탈로, 개략적으로, 도 1의 프로브의 형상에 가까운 형태로 잘라 낸다. 이 경우, 리소그라피와 전주법(electroforming)에 의해 도 1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정밀기계연삭, 혹은 마이크로 방전가공에 의해, 선단부 형상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프로브(1)가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 방전가공의 경우, 탄소처리(carburizing) 효과에 의해 전기접촉성이 우수한 프로브 선단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방전전극에 팔라듐, 로듐(rhodium), 백금 등을 사용하면 이들이 가공변질층에 포함되어, 전기접촉성이 우수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선단부로부터 비어져나온 형태로 선단부를 가짐으로써, 또한, 선단부의 양측에 곧은 변을 갖고, 선단부의 형상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부가 소경(小徑)의 형상의 선단부를 갖는 것으로 되어, 전극 패드의 깎인 부스러기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도통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의 선단부를 지지부의 선단부터 연장하여 일정한 두께폭을 갖게 함으로써, 접촉부가 검사할 때마다 접촉을 반복하여 마모하여도, 선단부는 일적 폭형상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검사를 반복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브 흔적의 형상도, 접촉부가 접촉을 반복하여도 일정 형상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브의 접촉부가, 선단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일체물 구조로 되고, 상기 선단부가 지지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형태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접촉부는 소경(小徑)의 형상으 로 되며, 전극 패드 부스러기 등의 이물 부착이 적어져서, 결과로서, 도통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측정대상물의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가, 일체물로 형성되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와, 끝이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접촉부와, 이 접촉부가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지지부 선단부터 뻗어나온 접촉부는, 지지부와 적어도 1측면을 공유하는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탄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KR1020057019478A 2003-04-14 2004-04-13 프로브 KR101072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8546 2003-04-14
JPJP-P-2003-00108546 2003-04-14
PCT/JP2004/005269 WO2004092748A1 (ja) 2003-04-14 2004-04-13 プロ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59A true KR20060028759A (ko) 2006-04-03
KR101072848B1 KR101072848B1 (ko) 2011-10-14

Family

ID=3329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478A KR101072848B1 (ko) 2003-04-14 2004-04-13 프로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32726B2 (ko)
JP (1) JP4736803B2 (ko)
KR (1) KR101072848B1 (ko)
CN (1) CN1809756A (ko)
DE (1) DE112004000632T5 (ko)
TW (1) TWI363407B (ko)
WO (1) WO2004092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2072B2 (en) * 2006-09-27 2010-08-24 Formfactor, Inc. Single support structure probe group with staggered mounting pattern
JP2011247792A (ja) * 2010-05-28 2011-12-08 Advantest Corp プローブ構造体、プローブ装置、プローブ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試験装置
TWI599777B (zh) * 2015-12-16 2017-09-21 Microelectromechanical pro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robe group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3463D0 (en) * 1985-09-23 1985-10-30 Ici Plc Liquid applicator
JPH0450538Y2 (ko) * 1985-10-23 1992-11-27
JPH06230033A (ja) * 1993-02-04 1994-08-19 Toho Denshi Kk プローブ基板
JP2665171B2 (ja) * 1994-11-29 1997-10-22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ード及びその使用方法
SG108210A1 (en) * 1998-06-19 2005-01-28 Advantest Corp Probe contactor formed by photolithography process
US6414501B2 (en) * 1998-10-01 2002-07-02 Amst Co., Ltd. Micro cantilever style contact pin structure for wafer probing
DE10043731C2 (de) * 2000-09-05 2003-06-26 Infineon Technologies Ag Meßsonde,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 und Meßsystem zum Erfassen von elektrischen Signalen in einer integrierten Halbleiterschaltung
WO2003100445A2 (en) * 2002-05-23 2003-12-04 Cascade Microtech, Inc. Probe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KR100470970B1 (ko) * 2002-07-05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검사장치용 프로브카드의 니들고정장치 및 방법
JP2004212148A (ja) * 2002-12-27 2004-07-29 Tokyo Cathode Laboratory Co Ltd プローブカード及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接合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4000632T5 (de) 2006-02-23
US20070001690A1 (en) 2007-01-04
WO2004092748A1 (ja) 2004-10-28
JPWO2004092748A1 (ja) 2006-07-06
TW200501359A (en) 2005-01-01
KR101072848B1 (ko) 2011-10-14
TWI363407B (en) 2012-05-01
CN1809756A (zh) 2006-07-26
JP4736803B2 (ja) 2011-07-27
US7432726B2 (en) 200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269B1 (ko) 테스트 헤드용 접촉 프로브
EP136525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ct probe
JP2004093355A (ja) Pd合金系プローブ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ローブピン装置
US20040239352A1 (en) Probe card used for inspecting semiconductor devices
US8975908B2 (en) Electrical test probe and probe assembly with improved probe tip
JP6837665B2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100885064B1 (ko) 반도체소자 검사용 접촉체
SG193040A1 (en) Test socket with hook-like pin contact edge
KR101072848B1 (ko) 프로브
JP2008281413A (ja) プローブのため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8151684A (ja)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890812B1 (ko) 검사용 접촉핀 및 검사용 접촉장치
KR20140007054A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촉자의 접촉방법
KR20040067794A (ko) 패드를 갖는 반도체장치
JP2007147518A (ja) 電極子装置
US20090009197A1 (en) Probe for electrical test
JPH09304435A (ja) 縦型プローブカード
CN112526178A (zh) 探针及测试装置
US10114042B2 (en) Vertical probe card
JP2002296296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5108U (ja) プロ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カード
JPH06281670A (ja) 集積回路検査用コンタクトピン
US20040257100A1 (en) Non-abrasive electrical test contact
JPH08304461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JP4797180B2 (ja) Icソケット用接触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