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723A -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723A
KR20060023723A KR1020040072545A KR20040072545A KR20060023723A KR 20060023723 A KR20060023723 A KR 20060023723A KR 1020040072545 A KR1020040072545 A KR 1020040072545A KR 20040072545 A KR20040072545 A KR 20040072545A KR 20060023723 A KR20060023723 A KR 20060023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rail
stopper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568B1 (ko
Inventor
배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되도록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된 자동차의 실내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전선(70)과,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실내등(20)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되는 브래킷 로드(52)가 구비된 브래킷(5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에 끼워 장착된 스토퍼(30)와, 상기 스토퍼(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의 상단에 끼워진 스프링핀(56)과, 상기 가이드레일(10)과 브래킷(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에 끼워 장착된 코일스프링(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실내등이 앞, 뒤쪽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부위에 조명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차, 실내등, 이동, 스프링, 마찰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Room lamp moving structure of a vehicle}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등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2는 도2의 요부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5는 도4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4의 요부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레일 12 : 가이드홈
20 : 실내등 30 : 스토퍼
40 : 스토퍼패드 50 : 브래킷
52 : 브래킷 로드 56 : 스프링핀
60 : 코일스프링 70 : 전선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 내등이 앞, 뒤쪽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부위에 조명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헤드라이닝 중앙 부위에 실내등이 고정 설치되어 필요한 때에 실내를 조명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등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 및 요부 단면도로서, 루프패널(1)의 하부에 루프레일(2)이 위치되고, 상기 루프레일(2)에 그로멧(grommet)(3) 또는 웰딩 너트(Welding nut)(미도시됨)가 장착되며, 이 그로멧(3) 또는 웰딩 너트에 볼트(4)를 매개로 실내등(5)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등(5)은 전선(6)을 매개로 미도시된 전원공급부, 예컨대 자동차의 시동을 위해 구비된 배터리에 연결됨으로써 자체에 구비된 스위치나 운전석 부근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실내등(5)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운전자 등은 필요에 의해 실내등(5)을 작동시켜 실내를 밝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내등 장착구조는 실내등이 루프패널의 중앙 부위에 고정된 것으로 실내등과 가까운 부위는 밝은 반면 실내등에서 먼 부위는 어두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등을 전, 후로 이동시켜 원하는 부위에서 조명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자 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되도록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된 자동차의 실내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전선과,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실내등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브래킷 로드가 구비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에 끼워 장착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의 상단에 끼워진 스프링핀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브래킷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에 끼워 장착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이다.
루프패널(1)의 하부에는 차량의 전, 후방에 위치되도록 각각 루프레일(2)이 설치되며, 이 루프레일(2) 사이에 가이드레일(10)이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이 가이 드레일(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의 하부에 실내등(20)이 차량의 전, 후방 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0)은 폭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부로 절곡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상부에 스토퍼(30)가 안착된다.
상기 스토퍼(30)는 폭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이 스토퍼(30)와 가이드레일(10)의 사이에 스토퍼 패드(4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스토퍼 패드(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0)의 표면에 부착된 구성을 가지면 좋다.
상기 스토퍼(30)와 스토퍼 패드(40)에는 각각 직사각형 모양의 관통구멍(32)(4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32)(42)을 통해 브래킷 로드(52)가 끼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 로드(52)는 관통구멍(32)(42)과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브래킷 로드(52)가 관통구멍(32)(42)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래킷 로드(52)의 하단부에는 판재 형상으로 된 브래킷(50)이 고정되며, 상기 브래킷(50)에는 웰딩 너트(54)가 고정 설치됨으로써 그 웰딩 너트(54)에 실내등(20)이 볼트(22)를 매개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 로드(54)의 상단부에는 스프링 핀(56)이 장착됨으로써 브래킷 로드(54)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 로드(54)에는 가이드레일(10)의 하부와 브래킷(50)의 상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코일스프링(60)이 끼워 장착되어 가이드레일(10)에는 상부 쪽으로 탄성반발력을 가하며 브래킷(50)에는 하부 쪽으로 탄성반발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0)은 그 상면이 평면을 이루는 구조를 가짐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의 하부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이 용이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브래킷(50)의 상부면에는 원 모양으로 연속되게 돌출된 돌기(58)가 형성되어 그 돌기(58)에 의해 구비된 오목한 홈 부위에 상기 코일스프링(60)의 하단이 수용됨으로써 코일스프링(60)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실내등(20)은 길이가 가변되는 전선(70)을 매개로 미도시된 전원공급부, 예컨대 자동차의 시동을 위해 구비된 배터리에 연결됨으로써 자체에 구비된 스위치나 운전석 부근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실내등(20)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내등(20)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이동시키려면, 실내등(20)을 상부 쪽으로 누르면서 동시에 그 실내등(20)에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힘을 가한다.
실내등(20) 및 그를 고정하고 있는 브래킷(50)을 상부 쪽으로 누르면 코일스프링(60)이 수축되면서 실내등(20)과 브래킷(50)이 상승하며, 동시에 상기 브래킷 (50)에 일체로 고정된 브래킷 로드(52)가 상승하여 그 브래킷 로드(52)의 상단부위에 끼워 장착된 스토퍼(30)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상기한 상태로 실내등(20)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밀게 되면 그 실내등(20) 및 브래킷(50)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쪽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부위에 조명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실내등(20)의 이동 조정이 완료되면, 실내등(20)을 상부 쪽으로 밀고 있던 힘을 제거하며, 이렇게 힘이 제거되면 실내등(20)과 브래킷(50)이 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에 고정된 브래킷 로드(52)도 하강하며, 그 브래킷 로드(52)의 상단 부위에 장착된 스토퍼(30)는 스프링핀(56)에 의해 하부 쪽으로 가압된다.
즉, 상기 스토퍼(30)는 그 하단, 보다 정확하게는 스토퍼(30)의 하부면에 장착된 스토퍼패드(40)가 가이드레일(1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며, 이는 마찰저항을 형성시킴으로써 실내등(20)이 위치를 유지하며, 특히 차량이 급제동하는 경우에도 실내등(20)이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에 의하면, 실내등이 차량의 전, 후방 쪽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필요한 경우 실내등을 차량의 전, 후방 쪽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부위에서 조명을 집중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되도록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된 자동차의 실내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전선(70)과,
    차량의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루프패널의 하부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실내등(20)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되는 브래킷 로드(52)가 구비된 브래킷(5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에 끼워 장착된 스토퍼(30)와,
    상기 스토퍼(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의 상단에 끼워진 스프링핀(56)과,
    상기 가이드레일(10)과 브래킷(5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브래킷 로드(52)에 끼워 장착된 코일스프링(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0)의 하부에 장착되는 스토퍼패드(4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은 폭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면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부로 절곡된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KR1020040072545A 2004-09-10 2004-09-10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KR101047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545A KR101047568B1 (ko) 2004-09-10 2004-09-10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545A KR101047568B1 (ko) 2004-09-10 2004-09-10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23A true KR20060023723A (ko) 2006-03-15
KR101047568B1 KR101047568B1 (ko) 2011-07-07

Family

ID=3712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545A KR101047568B1 (ko) 2004-09-10 2004-09-10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96B1 (ko) * 2011-12-22 2013-10-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룸 조명 장치
CN111332196A (zh) * 2018-12-19 2020-06-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内照明系统、车内照明控制方法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18Y1 (ko) * 1995-07-26 1997-05-27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내등
KR19980031205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슬라이딩 룸램프
KR19990024371A (ko) * 1997-08-31 1999-04-06 양재신 자동차의 이동용 룸팸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96B1 (ko) * 2011-12-22 2013-10-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룸 조명 장치
CN111332196A (zh) * 2018-12-19 2020-06-2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内照明系统、车内照明控制方法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568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336B2 (ja) 少なくとも1台の自転車用の支持装置
JPH10244875A (ja) 自動車、特に乗用車
CA2604285A1 (en) Storage unit with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CN101466573A (zh) 安全装置及装配安全装置的方法
KR101047568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ES2081015T3 (es) Interruptor electrico, especialmente interruptor de posicion de estacionamiento para un motor de limpiaparabrisas.
CN1301874C (zh) 车辆喇叭的开关装置
EP0263023B1 (fr) Commutateur électrique, notamment pour la commande d'équipements et accessoires automobiles
KR2009005068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장착구조
CN210110617U (zh) 车用旋钮集成开关
KR200471418Y1 (ko)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KR200170907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자동 탈거장치
CA2161481A1 (en) Direct connect yoke terminal
CN101371322B (zh) 用于机动车的电开关
JP3099251U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装置
CN217753438U (zh) 一种电动天窗把手
CN211468636U (zh) 一种机车前灯灯光强度控制开关
CN213892145U (zh) 一种新能源汽车的电机固定架装置
BRPI0404719A (pt) Suporte de segurança para espelho interno do veìculo e método de montagem do mesmo
WO2004039616A3 (de) Sonnenblende für ein fahrzeug
CN211702492U (zh) 用于车辆前照灯的灯光模块
KR0139646Y1 (ko) 자동차용 까울 브라켓
JP3254418B2 (ja) 車両用防眩ミラー
KR20160063614A (ko)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KR0126211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