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85A -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85A
KR20060021885A KR1020057023843A KR20057023843A KR20060021885A KR 20060021885 A KR20060021885 A KR 20060021885A KR 1020057023843 A KR1020057023843 A KR 1020057023843A KR 20057023843 A KR20057023843 A KR 20057023843A KR 20060021885 A KR20060021885 A KR 20060021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layer
transparent sheet
soft composition
com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스즈끼
아끼히꼬 모리까와
다까시 가와따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butyl or halobuty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08L91/08Mineral w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및 극성기 함유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A-1) 및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층과, 이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면에 설치된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적층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압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투명 시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액상 재료

Description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Transparent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무로 대표되는 저경도의 재료는 종래부터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종 분야에 적합한 물성을 얻기 위해 여러가지 구조의 재료나, 여러가지 성분을 병용한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263678호 공보에는 특정한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와, 파라핀계 가공유 등의 액상 첨가제를 특정한 비율로 함유하는 연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연질 조성물은 유연성, 저분자 유지성, 역학적 성질, 고용융점ㆍ접착성 및 액체 유지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8-127698호 공보에는 특정한 열가소성 블럭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삼차원 연속 메쉬 골격 사이에 파라핀유 등의 저분자 재료가 유지되어 있고, 쿠션 재료 등에 사용되는 고분자 메쉬상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8-127699호 공보에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8-12769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고분자 메쉬상 구조체와 고무 재료 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 조성물은 저분자 재료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이 저분자 재료를 양호하게 유지하여 저분자 재료의 블리드가 적은 저탄성의 고무 조성물이라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액정 패널로 대표되는 평면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판 등의 기층은 얇고,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다지 점탄성이 없고, 꽉 누르거나, 부딪힘으로써 쉽게 파손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 휴대용 기기 등에서 액정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EL 패널 등의 평면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그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제 또는 아크릴제의 투명 수지층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4-03012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6694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필름의 한쪽면에 점착제 등을 설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점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 시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4-030120호 공보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 시트는 포장 상태의 수송시 보호나, 거치형 디스플레이의 보호용이 주요 용도이며, 휴대용 전화기 등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6694호 공보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 시트는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의 보호를 행할 수 있지만, 낙하하여 바닥에 충돌함에 따른 충격, 뒷 주머니에 상기 장치를 넣고 앉거나, 꽉 누르는 등의 휴대시의 부하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제 또는 아크릴제의 투명 수지층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투명 수지층을 설치해도 투명 수지층의 두께가 얇으면, 투명 수지층의 왜곡이 기층으로 전달되어 기층이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 등 휴대하는 제품 용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될 수 있는 한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보호판 자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내용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투명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기층의 압박이나 충돌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파손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층을 설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충격 흡수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재료, 즉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고무 조성물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하여 충격 흡수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고무 조성물은 투명성이 불충분하고, 한편 투명성을 갖는 고무 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9-2636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12769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8-127699호 공보는 투명 연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 아니며, 또한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투명성과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양립할 필요성,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따라서, 종래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투명성,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양립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투명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이하와 같다.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투명 시트.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갖는 투명 시트.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두께가 2.0 mm 이하이고, 전체 두께가 10 mm 이하인 투명 시트.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및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투명 시트.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가, 비닐 결합 함량이 블럭 중 5 내지 25 %인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공액 디엔과 다른 단량체의 질량 비율이 100 내지 50/0 내지 50이고, 비닐 결합 함량이 25 내지 95 질량%인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중합체에 수소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인 투명 시트.
[7]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추가로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하는 투명 시트.
[8]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 (B)가 40 ℃에서의 동점도가 500 mm2/s 이하이고, -100 내지 50 ℃에서 불휘발성의 액상 재료인 투명 시트.
[9]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을 압출법, 코팅법, 캐스팅법, 가압법, 사출 성형법 또는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2] 상기 [1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표면 보호판이나 기층에 쉽게 점착할 수 있고,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을 얻을 때, 종래와 같이 보호판 패널을 설치하고, 보호판 패널과 기층 사이에 공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케이싱체 등의 설계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 중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시트층을 가짐으로써,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에는 상기 보호 시트를 박리하고, 다른 피착물 표면에 점착함으로써 쉽게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구비하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두께를 2.0 mm 이하로 하고, 전체 두께를 10 mm 이하로 함으로써, 종래보다 얇은 두께라도 충격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에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및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엘라스토머 (A-1)를 포함시키면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를, 비닐 결합 함량이 블럭 중 5 내지 25 %인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공액 디엔과 다른 단량체의 질량 비율이 100 내지 50/0 내지 50이고, 비닐 결합 함량이 25 내지 95 질량%인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중합체에 수소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 하면,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를 추가로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하면,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 (B)를 40 ℃에서의 동점도가 500 mm2/s 이하이고, -100 내지 50 ℃의 범위에서 불휘발성의 액상 재료로 하면, 넓은 온도 범위에서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갖는 투명 시트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특성을 갖는 투명 시트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충격성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D, 1E: 투명 시트, 11: 투명 연질 조성물층,
12: 투명 수지층, 13: 보호 필름층,
2: 기층, 3: 아크릴판,
61: 탄성판, 62: 기재
7: 골프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열가소성을 갖는 엘라스토머이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를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액상 재료 (B)를 포함하고 있어도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3차원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3차원 골격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얻은 단계에서 3차원 골격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의 원료가 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자체가 3차원 골격을 가질 필요는 없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라면 그 종류, 재질 및 구조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3 %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분지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1만 내지 80만, 바람직하게는 3만 내지 7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만 내지 5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만 내지 40만이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역학적 성질이 우수한 투명 연질 조성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1종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로서는, 예를 들면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 아크롤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등의 니트릴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TPAE), 및 디엔계 엘라스토머(1,2-폴리부타디엔 등) 등의 1 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로서,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및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 (A-1)도 상기한 바와 같이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분지 구조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는, 공액 디엔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액 디엔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에 수소를 첨가한 중합체이다. 즉, 상기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는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공액 디엔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공중합체에 수소를 첨가한 중합체이다. 물론,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공액 디엔 이외의 다른 단량체도 포함시킨 공중합체에 수소를 첨가한 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공액 디엔과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한 경우, 공액 디엔의 분포는 랜덤, 테이퍼(분자쇄에 따라 공액 디엔 단위의 비율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 일부 블럭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으로서는, 예를 들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 ,3-부타디엔, 1,3-펜타디엔, 2-메틸-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4,5-디에틸-1,3-옥타디엔 및 클로로프렌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공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물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1,3-펜타디엔이 바람직하며,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 단량체는 1종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클로로스티렌, p-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N,N-디에틸-p-아미노스티렌, 비닐피리딘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1종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의 비닐 결합(1,2- 및 3,4-결합)의 함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이다. 상기 비닐 결합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서, 비닐 결합 함량이 블럭 중 5 내지 25 %인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공액 디엔과 다른 단량체의 질량 비율이 100 내지 50/0 내지 50이고, 비닐 결합 함량이 25 내지 95 질량%인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중합체에 수소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를 사용하면, 내충격성 및 점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블렌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에 있어서, 폴리부타디엔의 비닐 결합 함량(1,2- 및 3,4-결합의 함량)은 5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9 %이다. 따라서,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은 수소 첨가에 의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와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는 결정성의 블럭이 된다. 상기 비닐 결합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역학적 성질이나 형상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비닐 결합 함량의 「%」는 질량% 또는 몰%를 의미한다. 즉, 비닐 결합 함량을 질량%로 나타낸 경우와 몰%로 나타낸 경우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 어느 하나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중합체 블럭 (II)에 있어서, 비닐 결합 함량(1,2- 및 3,4-결합의 함량)은 통상 25 내지 95 질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 질량%이다. 따라서, 상기 중합체 블럭 (II)는 수소 첨가에 의해, 예를 들면 공액 디엔이 1,3-부타디엔인 경우, 고무상의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블럭과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는 비결정성이 강한 중합체 블럭이 된다. 상기 함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역학적 성질이 매우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다른 단량체의 질량 비율은 100/0 내지 50/5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90/10이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블럭 (II)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질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질량%이다. 상기 중합체 블럭 (II)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형상 유지성 및 역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공중합체의 구조는, 상기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화학식 (A-B)n1, (A-B)n2-A, (B-A)n3-B[식 중, A는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이고, B는 상기 중합체 블럭 (II)이며, n1 내지 n3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 등으로 표시되는 블럭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공중합체는, 삼블럭 이상의 블럭을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형상 유지성이나 역학적 성질이 특히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에서 n1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공중합체는,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가질 수 있으며, 다른 블럭, 특히 다른 공액 디엔 이외의 다른 단량체를 50 질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블럭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A-B)mX, (B-A)mX, (A-B-A)mX, (B-A-B)mX와 같이 커플링제 잔기를 통해 중합체 분자쇄가 연장 또는 분지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각 화학식 중 A-B는 상기와 동일하고,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X는 커플링제 잔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특히 m이 3 이상인 경우, 형상 유지성, 고용융점ㆍ접착성이 우수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1,2-디브로모에탄, 메틸디클로로실란, 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디비닐벤젠, 아디프산 디에틸, 아디프산 디옥틸, 벤젠-1,2,4-트리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화 1,2-폴리부타디엔, 에폭시화 아마인유, 테트라클로로게르마늄, 테트라클로로주석, 부틸트리클로로주석, 부틸트리클로로실란, 디메틸클로로실란, 1,4-클로로메틸벤젠 및 비스(트리클로로실릴)에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율은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상기 수소 첨가율을 80 % 이상으로 함으로써, 형상 유지성이나 역학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상기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에 도입하여, 변성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2-1334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1289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1 7084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타디엔 블럭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CEBC), 부타디엔-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럭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SEBS) 등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단량체로서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라면, 상기 액상 재료 (B)의 비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는, 에틸렌과 에틸렌을 제외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3-메틸-1-부텐, 1-헥센,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에틸-1-펜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등의 탄소수 3 내지 12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중 프로필렌, 1-부텐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서, 그 구조 중에 극성기를 갖는 극성기 함유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극성기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알콕시실릴기 및 니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극성기 함유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에서는 1종의 상기 극성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2종 이상의 다른 상기 극성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는 에틸렌ㆍα-올레핀ㆍ디엔 공중합체 등과 같이 에틸렌 및 α-올레핀 이외의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로서는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3,6-디메틸-1,7-옥타디엔, 4,5-디메틸-1,7-옥타디엔, 5-메틸-1,8-노나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비닐-2-노르보르넨, 및 2,5-노르보르나디엔 등의 비공액 디엔 등, 및 무수 말레산 및 (메트)아크릴산 등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에 포함되는 극성기로서는, 상술한 극성기 함유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의 항에서 예시하는 극성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상기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인 경우, 상기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는 1종 단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3차원 골격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는 3차원 골격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일 수도 있고, 3차원 골격을 형성하지 않는 엘라스토머일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는, 상기 엘라스토머 (A-1) 이외의 엘라스토머라면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내충격성 향상의 관점에서 분지 구조를 갖는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 고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폴리헥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부틸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부틸 고무로서는 이소부틸렌의 중합체 또는 그의 부분 가교 중합체 외에, 이소부틸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부분 가교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이소부틸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그의 부분 가교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 및 극성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부분 가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극성기를 갖는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히드록실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알콕시실릴기 및 니트릴기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가교 공중합체는 단량체에 다관능성 불포화 결합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데, 이 다관능성 불포화 결합 함유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로서 다가 알릴 화합물, 다가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디비닐 화합물,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 디옥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부틸 고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염소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브롬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상기 엘라스토머 (A-1) 및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조성물인 경우, 상기 엘라스토머 (A-1)의 함유 비율은 통상 30 내지 95 질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 질량%이다(단, 상기 엘라스토머 (A-1) +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100 질량%). 또한,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A-2)의 함유 비율은, 통상 5 내지 70 질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질량%이다. 상기 엘라스토머 (A-1) 및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투명성, 내충격성 및 점탄성의 균형이 우수한 투명 연질 조성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 액상 재료 (B)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액상 재료 (B)는, 25 ℃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상의 물질이며, 상기 액상 재료 (B)를 포함함으로써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 (B)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에 유지되어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는 3차원 골격을 형성하고, 이 3차원 골격에 상기 액상 재료 (B)가 유지된다고 여겨진다.
상기 액상 재료 (B)는 통상 투명하지만,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의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90 % 이상으로 할 수 있는 한, 특히 투명한 재료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상 재료 (B)는 25 ℃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상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액상 재료 (B)는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10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 ℃에서 불휘발성(액상)의 액상 재료이며,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상 재료 (B)의 40 ℃에서의 동점도는 통상 500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 mm2/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m2/s이다. 상기 액상 재료 (B)의 40 ℃에서의 동점도를 상기한 범위로 하면, 넓은 온도 영역에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액상 재료 (B)로서 40 ℃에서의 동점도가 500 mm2/s 이하이고, -100 내지 50 ℃에서 불휘발성인 액상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온 환경에서의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상기 액상 재료 (B)는 유동점이 -10 ℃ 이하, 특히 -20 ℃ 이하, 나아가 -40 ℃ 이하이고, 수분이 500 ppm 이하, 특히 200 ppm 이하, 나아가 100 ppm 이하이며, 중금속 등의 불순물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 재료 (B)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ㆍ고무용의 각종 윤활제, 가소제, 연화제 및 액상 올리고머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윤활제로서는 파라핀계 윤활제, 탄화수소계 윤활제, 금속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로서는 프탈산 유도체, 이소프탈산 유도체, 테트라히드로프탈산 유도체, 아디프산 유도체, 세박산 유도체, 푸마르산 유도체, 시트르산 유도체 등의 각종 수지산 유도체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제로서는 파라핀계 가공유 등의 석유계 연화제, 에틸렌-α-올레핀계 코올리고머 및 길소나이트 등의 광물유계 연화제, 올레산이나 리시놀산 등의 지방산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올리고머로서는 폴리이소부틸렌이나 각종 액상 고무(폴리부타디엔이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 실리콘 오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휴대용 전화기 등, 옥외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액상 재료 (B)로서 파라핀계 가공유, 파라핀계 합성유, 수소 첨가 파라핀계 오일 등과 같이 이중 결합이 없는 오일 또는 이중 결합을 갖는 성분이 적은(구체적으로는 20 질량% 이하, 나아가 10 질량% 이하) 오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면, 내후성이 우수한 투명 연질 조성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상 재료 (B)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에서의 상기 액상 재료 (B)의 배합량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50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40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800 질량부이다. 상기 액상 재료 (B)의 배합량이 500 질량부 미만이면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액상 재료 (B)의 배합량이 5000 질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액상 재료 (B)가 스며나올 우려가 있고,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3) 투명 연질 조성물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이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10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에서 투명성(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광선 투과율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점탄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30 ℃, 1 Hz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G')을 200000 dyn/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00 dyn/c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 dyn/cm2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30 ℃, 1 Hz에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의 손실 정접(tanδ)을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0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낙구 고도를 30 c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c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c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tanδ, G' 및 낙구 고도는, 예를 들면 부틸 고무 등의 상기 다른 엘라스토머 성분 (A-2)를 병용하거나, 또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및 액상 재료 (B)의 함량의 비율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및 액상 재료 (B)를 필수로 하지만,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착색제를 첨가하여 착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 내후제, 금속 불활성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등의 안정제, 방균ㆍ방미제, 분산제, 가소제, 가교제, 공가교제, 가황제, 가황 보조제, 발포제, 발포 보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통상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와 액상 재료 (B)에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첨가하고,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3차원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조건으로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고온에서 저점도가 되는 재료와 고분자 재료와의 블렌드물이기 때문에, 각 성분의 혼합에는 액상의 재료를 고속 교반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얻는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와 액상 재료 (B)를,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호모믹서 등을 이용해서 온도 8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90 ℃의 조건에서 회전수 10 r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rpm 이상의 전단하에서 교반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의 성형품은 압축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의 종래 공지된 가공 방법에 의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4) 투명 시트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로 구성되는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갖는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은 1층만일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투명 연질 조성물을 적층한 2층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두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는 시트상 뿐만 아니라, 필름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투명 필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 0.1 내지 2 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mm이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는 투명 수지층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한쪽 표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양쪽 표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의 투명성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표시 내용의 시인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투명성이면 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투명성은,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 25 ℃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1 % 이상이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은 2.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7 mm이다.
상기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의 재질ㆍ형상ㆍ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히 전자ㆍ전기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용 전화기 등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뒷 주머니에 상기 장치를 넣고 앉는 것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하가 가해질 우려도 있기 때문에, 상기 투명 수지는 이러한 부하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의 형상은 시트상일 수도 있고, 필름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는 단층 구조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의 투명 수지를 적층한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을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의 양쪽 표면에 설치하는 경우, 양면 모두 동일한 재질의 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한쪽 표면과 다른쪽 표면에 각각 다른 재질의 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1,2-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변성 노르보르넨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지환식 아크릴 수지,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 등의 비정질성 폴리올레핀, 비정질성 불소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투명 ABS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비정질성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메틸펜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알릴디글리콜카보네이트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통상 3 질량% 이상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를 함유함),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비닐에스테르계 수지(EVA를 제외함), 비정질성 폴리아미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규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 중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11)의 표면에 상기 보호 필름층 (13)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수지층 (12)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 수지층 (12)의 표면에 상기 보호 필름층 (13)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수지층 (12)가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11)의 한쪽면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11) 및 투명 수지층 (12)의 표면에 상기 보호 필름층 (13)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모두 표출면의 양쪽에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표출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층을 가짐으로써, 사용 전의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시에는 상기 보호 필름층을 박리하여 다른 피착물 표면에 점착함으로써, 쉽게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구비하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층의 재질ㆍ형상ㆍ구조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 필름층의 재질로서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및 불소 수지 등의 수지, 또는 수지를 종이에 함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함침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층은 투명할 수도 있고,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층의 형상은 시트상일 수도 있고, 필름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층은 단층 구조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적층체로서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669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면에 고무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층이 2층 이상인 경우, 각 보호 필름층은 동일한 재질ㆍ형상ㆍ구조의 보호 필름층일 수도 있으며, 재질, 형상 또는 구조가 다른 보호 필름층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층과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보호 필름층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리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층을 설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박리층은 보호 필름층 표면, 또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에 박리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코팅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박리 코팅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코팅제, 무기계 코팅제, 불소 코팅제,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계 코팅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층을 구비하는 투명 시트는, 통상은 상기 보호 필름층 표면에 상기 박리층을 설치한 후,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또는 투명 수지층의 표출면에 적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박리층은 상기 보호 필름층 표면이 아니라,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또는 투명 수지층의 표출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두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두께는 통상 전체적으로 1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mm이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압출법, 코팅법, 캐스팅법, 가압법, 사출 성형법 또는 인플레이션법 등의 통상의 필름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을 갖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 및 보호 필름층을 갖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면에 상기 투명 수지층 또는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접착제(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가열 가압 및 냉각 가압(단순히 눌러 접합하는 경우도 포함함) 등을 이용하여 직접 접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캐스팅법(무용제 캐스팅법 및 용제 캐스팅법), 압출법, 가압 성형법, 사출 성형법, 주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적층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압착함으로써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투명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보호 필름층을 적층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압착함으로써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투명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이나 보호 필름층을 「적층」한다는 것은, 완전한 고형상의 투명 수지층이나 보호 필름층을 적층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가열 등에 의해 액상 또는 반고체 형상이 된 투명 수지나 보호 필름을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 등의 수단에 의해 얹고, 그 후 냉각 등에 의해 완전한 고형상으로 만드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압착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은 통상적으로 그 자체가 유연함과 동시에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해 투명 시트를 얻는 경우, 가열하지 않고 압착할 수도 있지만, 가열하면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반송하면서, 가열에 의해 반경화 상태인 투명 수지층을 압출 또는 닥터 블레이드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면에 공급하고, 이어서 롤러 등으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과 투명 수지층을 압착하고, 그 후 냉각 등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갖는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또는 투명 수지(반경화 상태 또는 경화 상태)가 적층된 상기 투명 시트를 반송하면서, 상기 투명 수지층 또는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출면에 상기 보호 필름층을 적층하고, 이어서 적층물을 롤러 등으로 압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층은, 그 표면에 미리 박리층을 설치하고, 이 박리층이 상기 투명 수지층 또는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출면과 접하도록, 상기 보호 필름층을 상기 투명 수지층 또는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표출면에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용매에 용해 또는 용융함으로써 얻어지는 투명 수지 성분 함유액을,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상기 보호 필름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포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은 롤 코팅기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을 가짐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투명성과 함께 내충격성 및 점탄성이 요구되는 여러가지 용도, 부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예를 들면 전자ㆍ전기 기기, 의료 기기, 토목 건축용 재료, 식품 관련 재료, 사무 기기 부품 등의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자ㆍ전기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의장 케이스, 포장재, 각종 기기에서의 투명 표시 부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특히 전자ㆍ전기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데스크탑형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기능 단체의 용도 외에,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이른바, PDA, 모바일 기기를 포함함), 노트북형 컴퓨터, 차량 탑재용 컴퓨터, 터치 패널, 텔레비젼, 시계 및 측정 기기 등에 삽입하는 용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및 거치용 등의 형태를 불문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은 불문한다. 예를 들면, 평탄할 수도 있고, 만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발광(EL)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전혀 제약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중의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1) 투명 시트의 제조
원료로서, 하기의 성분을 사용하였다.
<1> 엘라스토머 (A-1)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엘라스토머 (A-1)인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 및 2를 제조하였다.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 및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의 조성 및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 및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의 1,2-결합 함량(결합 스티렌 함량)은 적외 흡수 스펙트럼법을 이용하여 햄프턴법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엘라스토머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도소사 제조, 「 GMHHR-H」)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하였다. 또한, 엘라스토머 (A-1)의 블럭 비율은, DSC 측정에 의한 결정 구조의 용해 열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하고, 수소 첨가율은 사염화에틸렌을 용매로 하여 100 MHz, 1H-NMR로부터 산출하였다.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
질소 치환된 내용적 50 리터의 반응 용기에, 시클로헥산(25 kg), 테트라히드로푸란(1.25 g), 부타디엔(1500 g) 및 n-부틸리튬(4.5 g)을 첨가하고, 70 ℃에서부터 단열 중합을 행하였다. 반응 완결 후, 온도를 15 ℃로 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350 g) 및 1,3-부타디엔(3500 g)을 첨가하여 단열 중합하였다. 30 분 후, 메틸디클로로실란(3.23 g)을 첨가하고, 15 분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n-부틸리튬 2 g 및 0.4 MPa-G의 압력으로 수소 가스를 공급하고, 20 분간 교반하여 리빙 음이온을 수소화리튬으로 만들었다. 반응 용액을 90 ℃로 하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7632호 공보에 기재된 티타노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였다.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서,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려 반응 용기로부터 꺼내고, 이어서 반응 용액을 수중에 교반 투입하여 용매를 수증기 증류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수소 첨가 디엔계 중합체인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을 얻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의 수소 첨가율은 98 %, 중량 평균 분자량은 28만, 수소 첨가 전 중합체의 1 단계째의 폴리부타디엔 블럭의 비닐 결합 함량은 14 %, 수소 첨가 전 중합체의 2 단계째의 폴리부타디엔 블럭의 비닐 결합 함량은 80 %였다.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
질소 치환된 내용적 50 리터의 반응 용기에, 시클로헥산(25 kg), 테트라히드로푸란(1.25 g), 부타디엔(1000 g) 및 n-부틸리튬(4.00 g)을 첨가하고, 70 ℃에서부터 단열 중합을 행하였다. 반응 완결 후, 온도를 30 ℃로 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125 g) 및 1,3-부타디엔(4000 g)을 첨가하여 단열 중합하였다. 30 분 후, 메틸디클로로실란(2.87 g)을 첨가하고, 15 분간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n-부틸리튬 2 g 및 0.4 MPa-G의 압력으로 수소 가스를 공급하고, 20 분간 교반하여 리빙 음이온을 수소화리튬으로 만들었다. 반응 용액을 90 ℃로 하고,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7632호 공보에 기재된 티타노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행하였다. 수소의 흡수가 종료된 시점에서, 반응 용액을 상온, 상압으로 되돌려 반응 용기로부터 꺼내고, 이어서 반응 용액을 수중에 교반 투입하여 용매를 수증기 증류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수소 첨가 디엔계 중합체인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를 얻었다. 얻어진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의 수소 첨가율은 98 %, 중량 평균 분자량은 34.8만, 수소 첨가 전 중합체의 1 단계째의 폴리부타디엔 블럭의 비닐 결합 함량은 14 %, 수소 첨가 전 중합체의 2 단계째의 폴리부타디엔 블럭의 비닐 결합 함량은 47 %였다.
<2> 다른 엘라스토머 (A-2)
「부틸 고무」: JSR사 제조, 상품명 「JSR 부틸 268」
<3> 액상 재료
「액상 재료 1」; 파라핀계 가공유(이데미쯔 고산사 제조, 상품명 「다이아 나 프로세스 오일 PW-90」, 40 ℃에서의 동점도; 95.54 mm2/s)
「액상 재료 2」; 파라핀계 가공유(이데미쯔 고산사 제조, 상품명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32」, 40 ℃에서의 동점도; 30.85 mm2/s)
또한, 상기 액상 재료 1 및 2는 모두 -100 내지 50 ℃에서 불휘발성이다.
상기의 각 성분을 사용하여, 이들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비율로 배합하였다. 이어서,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 160 ℃에서 가열, 교반 혼합 및 탈기를 행하고, 그 후 120 ℃에서 핫 프레스로 가열ㆍ가압 성형을 행함으로써, 두께 0.5 mm의 투명 연질 수지층을 갖는 No.1 내지 8의 각 투명 시트를 얻었다.
Figure 112005072436797-PCT00001
Figure 112005072436797-PCT00002
(3) 물성 평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No.1 내지 8의 각 투명 시트를 사용하여,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낙구 고도, 점탄성 및 투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상기 표 2에 병기하였다.
[1] 내충격성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리석 등을 포함하는 기재 (62) 상에 실리콘 고무 박판 (61)(두께 5.15 mm)을 얹고, 그 위에 두께 0.7 mm의 용융 성형 알루미늄 규산 박판 유리인 기층 (2)(코닝사 제조, 상품명 「Corning 1737」)를 얹었다. 또한, 상기 기층 (2) 상에 No.1 내지 8의 투명 시트 (1)을 장착하였다. 또한, 상기 투명 시트 (1) 상에 두께 0.5 mm의 아크릴판 (3)(닛또 쥬시 고교사 제조, 상품명 「클라렉스」)을 장착하였다. 이어서, 골프공 (7)(직경 42.7 mm, 질량 45.8 g)을 소정의 높이로부터 투명 시트 (1) 상에 자유 낙하시켜 충돌시켰다. 그 후, 기층 (2)에 잔금이나 균열이 발생하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기층 (2)가 파손되었을 때의 높이를 낙구 고도(cm)로서 구하고,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2] 점탄성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리올리지사 제조, 「MR-500」, 측정 조건: 인가 주파수 1 Hz, 왜곡 0.1, 온도 30 ℃, 콘 직경 40 mm, 콘 각도 5°의 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No.1 내지 8의 각 투명 연질 조성물의 tanδ 및 G'(dyn/cm2)를 측정하였다.
[3] 전체 광선 투과율(%)
상기 No.1 내지 8의 각 투명 시트를 사용하고, BYK 가드너 Gmbh사 제조의 모델(haze-gard plus)을 사용하여 25 ℃에서의 No.1 내지 8의 각 투명 시트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구하였다.
(4) 실시예의 효과
표 1로부터, 본 발명 외의 부틸 고무층과 폴리카보네이트층을 포함하는 투명 시트 No.8은 투명성 및 점탄성이 우수한 반면, 낙구 고도가 현저하게 낮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와 액상 재료 (B)를 병용한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갖는 투명 시트 No.1 내지 7은 모두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를 초과하며, 우수한 투명성을 가짐과 동시에 점탄성이 우수하고, 추가로 낙구 고도도 45 cm 이상이기 때문에 내충격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로서, 엘라스토머 (A-1)에 해당하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와, 다른 엘라스토머 (A-2)에 해당하는 부틸 고무를 병용한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갖는 투명 시트 No.1 내지 4와, 부틸 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갖는 투명 시트 No.5 내지 7을 대비하면, 투명 시트 No.1 내지 4는 투명성은 투명 시트 No.5 내지 7과 동일한 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tanδ가 0.15 이상, G'가 55000 dyn/cm2 이하로 투명 시트 No.5 내지 7보다도 우수한 점탄성을 가지며, 낙구 고도도 55 cm 이상으로서 투명 시트 No.5 내지 7보다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로서 엘라스토머 (A-1)과,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병용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더욱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엘라스토머 (A-1)에 해당하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서, 비결정 부분인 블럭 (II)의 비닐 결합 함량이 50 %를 초과하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1을 사용한 투명 시트 No.1과, 블럭 (II)의 비닐 결합 함량이 50 % 미만인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2를 사용한 투명 시트 No.2를 대비하면, 투명 시트 No.1은 투명성은 투명 시트 No.2와 동일한 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G'가 작고, 낙구 고도가 높기 때문에 투명 시트 No.2보다 우수한 점탄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로서 비결정 부분의 비닐 결합 함량을 5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더욱 내충격성 및 점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된 실시예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수지층 중에 입경 100 nm 이하의 입자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콜로이드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자를 포함시킴으로써 투명 수지층에 걸리는 힘을 복수의 입자가 받아내어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추가로 편광판층 등의 임의의 층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시트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 데스크탑형 컴퓨터용 디스플레이, 노트북형 컴퓨터, 차량 탑재용 컴퓨터, 터치 패널, 텔레비젼 및 시계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투명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 중의 표출면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갖는 투명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두께가 2.0 mm 이하이고, 전체 두께가 10 mm 이하인 투명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공중합체 및 에틸렌ㆍα-올레핀계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투명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의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가, 비닐 결합 함량이 블럭 중 5 내지 25 %인 부타디엔 중합체 블럭 (I), 및 공액 디엔과 다른 단량체의 질량 비율이 100 내지 50/0 내지 50이고, 비닐 결합 함량이 25 내지 95 질량%인 중합체 블럭 (II)를 각각 분자 중에 1개 이상 갖는 블럭 중합체에 수소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수소 첨가 블럭 중합체인 투명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가 추가로 다른 엘라스토머 (A-2)를 포함하는 투명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재료 (B)가 40 ℃에서의 동점도가 500 mm2/s 이하이고, -100 내지 50 ℃에서 불휘발성의 액상 재료인 투명 시트.
  9.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을 압출법, 코팅법, 캐스팅법, 가압법, 사출 성형법 또는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투명 연질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 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A) 100 질량부에 대하여 액상 재료 (B)를 500 내지 5000 질량부 포함하고, 25 ℃, 두께 0.5 mm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인 투명 연질 조성물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투명 수지층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질 조성물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층을 설치하는, 투명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57023843A 2003-06-13 2004-06-11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60021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9785 2003-06-13
JP2003169785 2003-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85A true KR20060021885A (ko) 2006-03-08

Family

ID=3354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843A KR20060021885A (ko) 2003-06-13 2004-06-11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72771A1 (ko)
EP (1) EP1634910A4 (ko)
KR (1) KR20060021885A (ko)
CN (1) CN100354343C (ko)
TW (1) TW200502304A (ko)
WO (1) WO20041111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160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면 커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4653B1 (en) * 2006-07-14 2016-06-29 Dexerials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BRPI0715319A2 (pt) * 2006-10-05 2013-07-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aterial difusor volumÉtrico de luz, pelÍcula polimÉrica, folha polimÉrica e dispositivo de display de fundo iluminado
JP5298605B2 (ja) * 2007-04-03 2013-09-2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910033B2 (en) * 2007-04-03 2011-03-22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CN101681575B (zh) * 2007-04-04 2013-10-30 索尼化学&信息部件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2009186957A (ja) 2007-04-09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樹脂組成物及び表示装置
WO2008126868A1 (ja) 2007-04-09 2008-10-23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oration 画像表示装置
JP5401824B2 (ja) 2007-04-09 2014-01-2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470735B2 (ja) * 2007-04-10 2014-04-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343391B2 (ja) * 2007-07-17 2013-11-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
CN101743507B (zh) 2007-07-17 2014-03-05 迪睿合电子材料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DE112008003847T5 (de) * 2008-05-08 2011-03-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uston Abnutzungsbeständige Tastfelder
US20100065342A1 (en) * 2008-09-15 2010-03-18 Thin Film Devices, Inc. Touch screen having reduced reflection
JP5280457B2 (ja) * 2008-10-14 2013-09-04 Agcグリーンテック株式会社 調光方法、調光システムおよび建造物
EP3212724B1 (en) 2014-10-27 2022-07-27 Ctech Adhesives LLC Assembly processes using uv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or stageable psa systems
US20200164623A1 (en) * 2017-05-12 2020-05-28 Daicel Corporation Sheet, method for producing sheet, and method for laminating sheet
CN109260495B (zh) * 2017-07-18 2021-08-13 东莞亿得电器制品有限公司 具有多层透气膜的香氛胶囊及使用该香氛胶囊的加热器
CN111732803B (zh) * 2019-03-19 2023-03-14 日东电工(上海松江)有限公司 透明复合材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322B2 (ja) 1990-05-26 1998-11-11 藤森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の表面保護および検査方法
DE4326521B4 (de) * 1992-08-10 2005-12-22 Bridgestone Corp. Lichtstreuendes 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873681A (ja) 1994-09-01 1996-03-19 Bridgestone Corp エチレン−プロピレン系ゴム組成物
JPH08127699A (ja) 1994-09-07 1996-05-21 Bridgestone Corp ゴム組成物
JPH08127698A (ja) 1994-09-07 1996-05-21 Bridgestone Corp 高分子網状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7512B2 (ja) 1996-03-27 2006-02-22 Jsr株式会社 軟質組成物
JP3611234B2 (ja) 1998-08-07 2005-01-19 クレハ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表示画面用保護フィルム
JP4870280B2 (ja) 2001-06-15 2012-02-08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ペレットおよび成形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160A (ko) * 2019-12-11 2021-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면 커버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8041A (zh) 2006-06-14
EP1634910A1 (en) 2006-03-15
EP1634910A4 (en) 2006-07-26
WO2004111113A1 (ja) 2004-12-23
CN100354343C (zh) 2007-12-12
TW200502304A (en) 2005-01-16
US20060272771A1 (en)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2590B2 (ja) 透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21885A (ko) 투명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23132B1 (ko) 수첨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점착제, 접착제, 성형체, 액체 포장 용기, 의료용구, 의료용 튜브, 웨더 시일용 코너 부재 및 웨더 시일
JP6962637B2 (ja) 発泡成形体、音響透過損失を増大させる方法
JP669985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架橋物、成形体、部材、ウェザーシール、及びウェザーシール用コーナー部材
US9834666B2 (en)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JPWO2006011461A1 (ja) 衝撃吸収体、衝撃吸収積層構造体、液晶ディスプレイ用衝撃吸収積層構造体、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衝撃吸収積層構造体、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ィスプレイ用衝撃吸収積層構造体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EP1867692B1 (en) Propylenic polymer composition for adhesives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 same
JPWO2016043268A1 (ja) 光架橋性透明粘着材、透明粘着材積層体及び光学装置構成用積層体
JP2006150755A (ja) 衝撃吸収積層構造体、lcd、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有機elディスプレイ、フィールドエミッションディスプレイ又は電子ペーパー用衝撃吸収積層構造体、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6094217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
JPWO2015068558A1 (ja) 粘着剤組成物
WO2005034583A1 (ja) 有機el素子用透明封止材
JP4617666B2 (ja) 粘着性フィルム
EP1634925A1 (en) Transparent flexible composition
JP2010255007A (ja) 粘着性フィルム
JP4475025B2 (ja) 透明軟質組成物
JP45294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314563A (ja)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5246882A (ja)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0234A (ja) 透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43552B2 (ja) 粘着積層体
JP2020001800A (ja) 液体包装容器用フィルム
JP200520573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衝撃吸収多層体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21221103A1 (ja) 積層体及び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