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282A - 안테나가 내장된 금속 패키지를 포함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내장된 금속 패키지를 포함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282A
KR20060021282A KR1020057012266A KR20057012266A KR20060021282A KR 20060021282 A KR20060021282 A KR 20060021282A KR 1020057012266 A KR1020057012266 A KR 1020057012266A KR 20057012266 A KR20057012266 A KR 20057012266A KR 20060021282 A KR20060021282 A KR 2006002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antenna
electronic device
rear lid
antenna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443B1 (ko
Inventor
이에노부 이케다
다카시 이하라
미노루 고바야시
야스오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시티즌워치 코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6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407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0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3693B2/ja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워치 코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시티즌워치 코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G04R60/10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 G04R60/12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inside cases inside metal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01Q7/08Ferrite rod or like elongated co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전파의 수신 성능이 양호해, 재질상의 제약 및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안테나부를 내장한 금속 외장부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32, 안테나부 32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33 및 안테나부 32와 해당 정보처리 장치 33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 31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30으로, 금속 외장부 31은 안테나부 32가 금속 외장부 31의 외부로부터 금속 외장부 31을 관통하여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금속 외장부 31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 저항값이 금속 외장부 31의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값과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전파 수정, 시계, 안테나, 타임코드

Description

안테나가 내장된 금속 패키지를 포함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having metal package unit having built-in antenna unit}
본 발명은, 시각(時刻) 정보를 포함한 소정의 정보를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해, 소정의 정보를 표시 혹은 알리는 것과 동시에 시각 정보를 표시하거나 해당 시각 정보를 정확한 시각 정보로 수정하는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금속 케이스 등의 금속 외장부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파 수신 성능의 향상을 목표로 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진 안테나부를 금속 물체의 근방에 혹은 금속 외장부 내부에 배치한 경우에도, 안테나부의 전파 수신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게 구성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를 금속 외장부 내부에 배치한 전파 수정 시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타임 코드를 실은 장파의 표준 전파를 수신해, 사용 중의 전자기기, 예를 들면, 시계, 휴대전화, 무선통신기 등을 포함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해당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시계 회로의 시각을 해당 표준시의 시각에 자동적으로 맞추는 전파 수정 기능을 더한 전자기기가 다수 상품화 되오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전자기기의 한 구체적인 예인 시계에 관해서는, 종래, 그러한 시각의 표시 형태로서 2개 혹은 3개의 지침에 의해 시각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방식과 액정이나 LED로 대표되는 전자 광학적 표시장치에 의해 시각을 표시하는 디지털 방식, 혹은 양자를 조합한 콤비네이션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 이 중 아날로그 방식의 시계 중에서도, 예를 들면 초침이나 캘린더의 유무, 더 나아가 타이머 기능, 크로노그래프 기능, 알람 기능, 월령 표시 기능 등으로 대표되는 종속적인 계시(計時) 기능의 유무를, 사용자가 각각의 기호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또, 지금까지 전자 시계의 정밀도는, 무브먼트에 내장한 수정진동자를 비롯한 회로 블록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각국의 시각 표준 전파의 송신 설비가 정비되어 감에 따라, 표준시각전파를 수신하는 가능으로, 시각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전파 시계가 보급 되고 있다.
이러한 전파 시계에 관해서는, 종래보다 많은 출원을 보이고 있다.(예를 들면 특공평(特公平)11-304973호 공보(公報) 혹은 특개(特開) 2001-33571호 공보 등에 보여진다.)
일반적으로, 해당 전파 시계는, 표준시각전파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시계 본체의 내부 카운터가 계시(計時)하고 있는 시각의 이상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에 있으면, 시계의 지시 오차를 거의 제로에 가깝게 할 수 있다. 표준시각전파는, 송신 설비에 의해 주파수나 데이터의 형태가 정해져 있어 현재 일본 외에 독일이나 미국 등에서도 발신되고 있어 이러한 나 라들에서 전파 시계는 폭넓게 제품화되고 있다. 또, 현재 전파 시계로 이용되고 있는 전파는, 적은 송신 시설로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장파를 사용하고 있다. 덧붙여 일본의 표준시각전파는 경계역에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주파수가 다른 40 kHz와 60 kHz 2국을 현재 가동하고 있다.
여기에서, 해당 전자기기의 대표적 상품인 전파 수정 기능이 장착된 시계(이하 전파 수정 시계라고 칭한다)를 예로 들어,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겠다. 즉, 상기한 것처럼, 표준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정 시계, 즉 시각 정보를 포함한 표준 전파(반송파)를 수신해, 이 전파로부터 시각 정보를 꺼내는 것으로, 정확한 시각을 얻을 수 있는 전파 수정 시계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시각 정보를 포함한 전파는, 각국마다 주파수가 달라,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총무성 우정사업청의 관할 아래에 있어서, 40 kHz 및 60 kHz의 표준 전파가 발신되고 있다.
도 20은, 이러한 전파 수정 시계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기능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전파 수정 시계는, 안테나 1, 전파 시계 수신기 2, CPU 3, 표시구동부 4, 입력장치 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 그림에는 없지만 시 분초의 각 지침 또는 액정 등에 의한 표시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전파 수정 시계에 대해서는, 처음에 안테나 1로 시각 정보를 포함한 전파를 수신한다. 전파 시계 수신기 2는, 안테나 1이 수신한 전파를 증폭 검파해, 전파로부터 시각 정보를 꺼내 출력한다. CPU 3은, 전파 시계 수신기 2로부터 출력된 시각정보에 근거해, 현재 시각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구동부 4는, CPU 3으로부터 출력된 현재 시각 데이터에 근거해, 표시부에 현재 시각을 표시한다. 입력장치 5는 CPU 3에 대해서 리셋트등의 조작 정보를 입력할 때에 사용된다.
전파에 포함되어 있는 시각정보(타임 코드)는, 60초 주기의 펄스 신호이며, 나라에 따라 다르지만, 일본의 경우는 1초 마다, 200, 500, 800 msec의 몇 개의 폭을 가지는 펄스가 1개 실려 있다. 이러한 펄스의 조합에 의해, 60초에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CPU3는, 받은 펄스 신호로부터 1초 마다의 펄스의 펄스 폭을 읽어내어 시각 정보(현재 시각)를 얻는다. 그리고, CPU는 취득한 시각정보에 의해, 표시구동부 4를 통해서 표시부에 표시 시각을 수정한다. 따라서, 전파 수정 시계는 수신한 시각정보에 근거해, 표시 시각이 일정간격 마다 수정되는 것으로, 항상 정확한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전파 수정 시계로서 안테나, 전파 수정 시계 수신기, CPU, 표시 구동부 및 표시부를, 케이스 안에 수납한 손목시계가 벌써 나와 있다. 이 케이스의 소재로는, 안테나가 전파를 수신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나 세라믹 등의 비 전도성 재료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즉, 금속 등의 전도재료로 만든 케이스 내부에 안테나를 수납하면 안테나 근방에 발생하는 자속이 전도재료에 흡수되어 공진 현상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수신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음, 종래의 아날로그 식 전파 수정 시계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 구성의 개요를 도 35에 나타내었다. 즉, 도 35에서 101은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102는 지침을 구동하는 시계 무브먼트, 103은 시계 무브먼트 102 및 안테나 101을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 104는 뒷뚜껑, 105는 시각을 표시하는 눈금이 있는 문자판, 106은 유리이다. 도 35에서 안테나 101은, 페라이트나 아몰퍼스(amorphous) 합금으로 대표 되는 높은 투자율(透磁率)을 가지는 안테나권심 101a와 안테나권심 101a의 주위에 감겨진 코일 부분 101b로 구성되어 외장 케이스 103, 뒷뚜껑 104, 문자판 105로 형성된 폐공간 107의 내부에 무브먼트 102와 함께 수납되어 있다.
이 시계에 대해서는, 외장 케이스 103을 투과해 들어오는 전파 109가 안테나권심부 101a를 통과할 때, 안테나 코일부 101b에 전류가 발생한다. 안테나 코일부 101b의 코일의 양쪽끝부분은, 시계 무브먼트 102의 구성부품인 그림에는 안보이는 회로 블록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있어, 안테나 코일부 101b에 발생한 전류는 이 결합부를 통해서 회로에 보내진다. 회로에 보내진 전류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즉 표준시각전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해, 그림에는 안보이는 수정진동자에 의해 필터링 되어 그림에는 없지만 디코드 회로를 경유해 시각 정보만을 추출한다.
여기서, 시계 무브먼트 102는, 그 회로 시스템내에 상기 시각 정보와는 별도로 시각의 계시(計時) 카운터를 가지고 있다. 시계 무브먼트 102는, 계시 카운터에 의한 시각과 필터링된 시각정보를 비교해, 서로의 결과가 다른 경우에는, 그림에는 없지만 모터 블록에 지침의 수정 지시를 내려, 모터를 구동시켜 지침을 표준시각전파의 시각 정보로 수정한다. 이로써, 표준시각전파를 수신한 시점에서 이 시계의 지시 시각은 올바른 시각으로 자동 수정된다.
그렇지만, 도 35에서 안테나 101및 시계 무브먼트 102는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 문자판 105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 107의 내부에 수납되고, 안테나 101은 이 폐공간 107의 내부에서 전파 109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5에서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는, 고분자 수지로 대표되는 와전류손실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파 109는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에 의해 감쇠하는 일 없이 폐공간 107 안에 수납된 안테나 101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외장 케이스 103을 고분자 수지로 성형하는 경우, 일반적인 시계에 사용되는 금속인 스텐레스나 티탄과 비교해, 강성면에서 크게 떨어진다. 이 때문에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한 시계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의 두께를, 금속으로 성형했을 경우와 비교해 보다 두껍게 설정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시계 자체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것을 개량한 종래의 예를 도 36에 나타내었다. 도 36은 개량한 종래의 예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5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 하겠다. 도 36에서 보듯이,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를 금속으로 성형해, 금속제의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과 평면적으로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 고분자 수지로 만든 안테나 케이스 110을 부착해, 그 내부에 봉입한 안테나 101을 시계 무브먼트 102에 접합한 구조의 제품도 실용화되어 있다. 이 제품의 경우, 안테나 101이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 문자판 105에 의해 형성되는 폐공간 107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테나 101로의 전파 109의 입사는, 외장 케이스 103으로 대표되는 금속부재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전파 109의 수신이 가능해졌다.
그렇지만 이 경우, 완성 시계로서의 형상이 지극히 특수한 형상이 되어, 완성 시계의 디자인에 대해서 큰 제약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외장 케이 스 103과 안테나를 봉입한 고분자 수지제의 안테나 케이스 110의 질감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디자인상의 처리가 어렵고, 일반 사용자에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디자인이 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를 고분자 수지로 성형했을 경우, 금속제와 비교해 질감이 크게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점도 있다. 고분자 수지에 표면 처리를 해서 금속 광택을 내는 일도 가능하지만, 금속과 비교해 광택면, 질감면에서 떨어지는 일은 부정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도 35에서 처럼, 직접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는 문자판 105의 옆, 즉 베젤(경사진홈) 111만을 금속으로 성형해, 측면의 외장 케이스 103 및 뒷뚜껑 104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한 상품도 실용화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금속 외장의 시계와 비교하면, 완성 시계의 두께는 더 두꺼워진다. 또, 제품의 질감면에서도 떨어진다.
또, 고분자 수지의 경우, 예를 들면 뒷뚜껑 104를 단단히 조이는 일에 의해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쉽고, 뒷뚜껑 104와 외장 케이스 103의 접합부의 방수성에 문제가 있어, 고압방수 타입의 다이버 시계등의 라인 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대해, 고분자 수지 이외의 비금속 재질, 예를 들면 세라믹스로 케이스 및 뒷뚜껑을 만든 상품도 실용화되어 있지만, 세라믹스가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는 소결(燒結)할 필요가 있고, 소결 후의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없거나, 복잡한 형상의 가공을 해 버리면 연마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외장의 디자인에 큰 제약이 따 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 세라믹스는 취약성(脆弱性) 재료이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안테나의 수신 장해를 피하기 위해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를 이용하면, 케이스의 내상성(內傷性), 혹은 내약품성의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장신구로서의 손목시계에 필요한 고급스러움이나 미관도 손상되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스에 금속을 이용한 전파 손목시계가 제안되고 있다.
도 21은 케이스의 일부에 금속을 사용한 전파 손목시계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손목시계의 케이스 10은, 몸통 11과 뒷뚜껑 12로 바람막이 13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밴드(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는 몸통 내부에, 무브먼트 14가 공지(公知)의 수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무브먼트 14의 윗쪽에는, 시각표시부인 문자판 15와 바늘 16이, 마찬가지로 공지의 수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무브먼트 14의 밑에, 뒷뚜껑 12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자기장파 안테나인 바 안테나 17이 배치되어 있다. 바 안테나 17은, 자심부재(磁心部材) 18과 이 자심부재 18에 감겨진 코일 20으로 되어, 합성 수지제의 지지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무브먼트 14는, 전술한 전파 시계 수신기, CPU, 및 표시구동부를 갖추어 도선 21에 의해 바 안테나 17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바 안테나 17이 수신한 표준 전파에 근거해, 무브먼트 14의 CPU가, 표시 구동부에서, (도시하지 않는) 기어를 동작시켜, 표시부의 바늘 16의 위치를 항상 수정하도록 구동한다. 덧붙여 여기서, 상하 방향이란, 그림 21에 있어서의 상하를 나타내고 있다. 몸통 11은 전도재료로 중공(中空)이 아닌, 즉 솔리드 금속, 예를 들어 솔리드 스텐레스 강철로 되어있다. 몸통 11의 최상부에는 비전도재료인 유리 13이, 접착 등의 공지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문자판 15는 비전도재료인 합성 수지나 세라믹 등으로 되어있다. 뒷뚜껑 12는 몸통 11에 고정된 스텐레스 강철로 되어있는 원형 프레임 22와 원형틀 안쪽에 고정된 유리 23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는 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비전도재료가 사용되었지만, 케이스의 측면 부분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신구로서의 고급스러움이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특개 2001-33571호 공보 참조).
즉, 특개 2001-33571호 공보에서 채용된 것처럼, 뒷뚜껑을 고분자 수지나 유리 혹은 세라믹스로 대표되는 비금속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이점은 있지만, 그 재질의 선택에는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상 곤란하거나 완성 시계로서의 미관에 대해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어 뒷뚜껑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종래는 전파 시계를 개발할 때는 외장의 재질에 큰 제약이 있어, 완성 시계의 소형화가 매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수신 성능을 결정하는 것은 안테나 특성과 수신 회로 특성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즉, 종래부터의 일반적인 기술 지식에서는 수신 회로 혹은 수신 IC의 입력 신호의 하한은 신호 진폭 1㎶ 정도가 현상이며, 실용적인 수신 성능을 얻기 위해 수신 안테나로서는, 40~50 dB ㎶/m의 전기장 강도(전파의 세기)에서 신호 진폭 1㎶ 정도의 출력을 얻을 수 있어야한다. 그 때문에, 사이즈 제약이 있는 경우, 신호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공진 타입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수신 안테나의 종류는, 전파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자성체 코어에 도선을 감은 바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수신 안테나에 있어서, 수신 안테나의 출력은, 개략 수신 안테나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실용적인 수신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너무 작게 할 수 없고, 손목시계와 같은 소형의 경우 수신 성능이나 배치가 문제가 된다. 또, 수신 안테나의 출력은 금속제 외장에 수납하면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그 때문에, 손목시계에 전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시계 부품 구성, 디자인과는 완전히 다른 부품 구성과 디자인이 필요함과 동시에, 수신 성능을 저해하지 않기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 손목시계에 있어서, 소형·두께·휴대 용이성, 디자인의 자유도, 질감(고급감)은 중요한 문제이며, 안테나 내장형·금속 외장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의 경우, 상술한 것 처럼, 안테나를 외장하는 방식이나 내장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손목시계의 뒷뚜껑·몸통의 재료가 금속인 경우, 일반적으로 수신 안테나를 외장한다. 이 경우, 수신 안테나의 케이스는 수신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게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을 이용하기 때문에, 크게 돌출 되어 있어, 소형럿棺 , 휴대 용이성을 해침과 동시에 디자인의 자유도가 현저하게 손상된다. 또, 수신 안테나를 내장하는 경우, 수신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시계 외장(뒷뚜껑, 몸통)의 재료로서 세라믹스나 플라스틱이 이용되지만, 재료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시계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수납성, 휴대 용이성을 해쳐, 디자인상의 제약도 커진다. 게다가 외관적으로 질감이 낮은 손목시계가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실개평 2-126408호 공보에 보여지는 것처럼, 금속 안 테나를 시계의 가죽 밴드안에 배치한 것이 있다. 또, 본 출원인이 실개평 5-81787호 공보에서 개시(開示)하고 있는 것처럼, 심에 코일을 감은 안테나를 문자판과 바람막이의 사이에 배치해, 전파를 방해하는 금속제의 케이스 본체로부터 떼어 놓는 것과 동시에, 독특한 디자인으로 한 것, 혹은, 국제 공개 WO95/27928호 공보에는, 손목시계의 시계 케이스의 측면에 안테나를 설치한 손목시계가 개시되어 있다. 더욱, 유럽 특허 공개 제 03821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케이스 윗면에 안테나를 링형태로 배치한 것도 있다.
그렇지만, 밴드에 안테나를 배치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밴드에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본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취하지 않으면 안되어, 양자의 접합부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게할 수가 없다. 더욱, 전파를 방해하는 금속제 밴드는 채용하지 못하고, 고무 밴드등 접속인용(接續引用)의 시계 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재질 및 디자인면에서 제약이 있다. 또, 손목시계의 위 혹은 그 측면으로 안테나를 배치한 것은, 안테나를 시계 본체의 금속부로 부터 떼어 놓기 위해서, 시계 전체의 두께나 크기가 커져 버리거나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 케이스 위에 안테나를 링형태로 배치한 유럽 특허 공개 제 0382130호 공보에서는, 링의 내부에 금속이 있으면 수신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실용상 안테나를 시계와 별체(別體)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더욱, 특개평 11-64547호 공보에는, 코일을 회로 기판의 주연부(周緣部)에 마련한 홈에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코어를 해당 회로 기판의 원주방향에 따라 만곡형으로 배치한 손목시계가 개시되고 있지만,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과정의 조립 조작도 번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개 2001-33571호 공보 혹은, 특개 2001-30524호 공보등에는, 해당 손목시계의 바람막이 및 뒷뚜껑을, 유리 혹은 세라믹등의 비금속 재료로 구성해, 그 중간부에는, 종래 대로의 금속재료를 사용해, 안테나에 충분한 전파가 도달하도록 구성한 손목시계가 나와 있다.
한편, 특개 2001-208875호 공보에는, 손목시계용의 식별 태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기술 구성은, 스키장 등에서 리프트를 탑승할 때, 손목시계안에 식별용 태그를 장착함과 동시에, 리프트 탑승 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장치와의 사이에 정보의 교환을 통해 정규 탑승자인지 아닌지를 식별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공보의 기술 구성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은, 해당 식별 수단으로부터 강력한 고주파의 전파가 발신되어 이것에 해당 식별 태그를 가지는 손목시계를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손목시계내의 IC회로가 활성화 되고 해당 식별 태그 정보가 해당 식별 수단에 의해 읽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해당 공보에서는, 시계내에 설치된 안테나에 의해 해당 고주파 전파가 수신되면 해당 시계내의 IC회로에서 공진이 일어나 그 결과 해당 IC회로가 기전력을 받아 활성화 되고 해당 시계내의 식별 태그 정보가 읽혀지면서, 해당 식별 수단에 무선으로 알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공보에서는, 시계가 금속 외장이어도 그 내부에 장착한 안테나가 작동해 상기한 정보의 교환이 실행되는 것을 시사하고는 있지만, 본 출원과 분 명하게 다른 기술 사상은, 강력한 주파수 전파를 발신하는 식별 수단을 마련하는 것, 해당 식별 태그를 가지는 시계를 해당 식별 수단에 근접시킬 필요가 있는 것, 해당 식별 수단으로부터 발신되는 고주파 전파를 충분히 수신 할 수 있도록, 해당 시계내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바 안테나를 기본으로 해서, 시계내에서 가능한 한 얇고 한편 크게할 데에서 박형편평(搏刑扁平)상의 방형형(方形型) 안테나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본 출원과 같은 안테나부와 금속 외장부와의 특정한 관계를 규정한 것과는 분명하게 다른 것이다.
또, 실개소(實開昭) 57-131042호 공보에는, 도체 부분을 사이에 둔 C자 모양의 강자성체로 링모양의 자성체 바를 사용한 안테나를 장착한 손목시계에 관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해당 공지예는 라디오 부착 손목시계의 안테나에 관한 것이며, 해당 안테나는, 손목시계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과 같이, 금속 외장 내부에 설치되는 것은 아닌 것은 분명하다.
더욱, 특개평 6-215942호 공보에는, 인덕터의 코어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다고 하는 내용의 기재를 볼 수 있지만, 그 대상은 팁 인덕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손목시계의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기술 분야를 달리할 뿐더러, 목적 및 기술 구성도 본 출원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또, 특개평 11-74138호 공보에는, 더스트 코어를 U자형 부재와 I자형 부재를 조합해 U자형 부재에 2차 코일을 감은 트랜스에 관해서 기재하고 있지만, 그 대상은 고압 트랜스를 얻는다고 하는 것이고, 본 발명과 같은 손목시계의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기술 분야를 달리할 뿐더러, 목적 및 기술 구성도 본 출원과는 실질 적으로 다른 것이다.
마찬가지로 실개소 61-203516호 공보에는, 코어의 맞댄 면을 자기장과 수직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한 구조가 개시되고 있지만, 그 대상은 유도계수 소자를 얻는다고 하는 것이로, 본 발명과 같은 손목시계의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기술 분야를 달리할 뿐더러, 목적 및 기술 구성도 본 출원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또, 특개 2002-184637호 공보에는, 코일의 코어의 간극을 테이퍼 형태로 하든지 면적을 변경한다고 하는 내용의 기재를 볼 수 있지만, 해당 공지예는 고압 트랜스에 관한 것이며, 손목시계의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기술 분야를 달리할 뿐더러, 목적 및 기술 구성도 본 출원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더욱, 동(同)공지예에는, 인덕터의 코어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한다고 하는 내용의 기재를 볼 수 있지만, 고압 트랜스나 팁 인덕터에 관한 것이며, 손목시계의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기술 분야를 달리할 뿐더러, 목적 및 기술 구성도 본 출원과는 실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즉, 상기한 종래예에서는, 수신 안테나의 출력은, 금속의 외장에 수납하면 극단적으로 떨어져 버리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뒷면뚜껑의 재질을 비금속으로 하는 것으로 출력 저하를 경감하고, 질감이 높은 금속의 옆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예에서는, 유리 혹은 세라믹스를 사용하기 위해, 시계로서의 두께가 두꺼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 사이즈가 큰 고감도의 안테나 구조체를 사용했는데, 전파의 전기장강도가 강한 지역에서 밖에 사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전파 시계의 편리성을 해치고 디자인의 설계를 포함한 해당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원가는 필연적으로 높아졌다. 더구나, 이런 구성의 손목시계에는 확실히, 안테나로의 전파의 도달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해도, 해당 뒷뚜껑에는, 금속조의 도금을 입혀 마치 금속재료를 사용하고 있는것 같은 인상을 줄수 있지만 외관상 중량감이나 질감이 없고, 고급품으로서의 이미지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금속의 몸통에 수신 안테나를 내장시키고 있기 때문에, 안테나의 출력이 저하되어 수신 성능이 떨어졌다. 그 때문에, 고급스러운 완전 금속 외장의 전파 수정 시계는, 실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이미 특원 2002-297095에서 금속제의 몸통 혹은 금속제 뚜껑의 시계 내부에 안테나를 배치하면 Q값이 떨어져 그 결과, 해당 안테나 구조체로부터의 출력이 떨어지고, 수신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음을 밝혀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테나를 특수한 구조로 하여, 안테나 구조체의 Q값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해, 안테나의 수신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 구성을 제안했다.
그렇지만, 상기한 안테나의 구조를 특정화하는 방법에서는, 안테나 구조체의 수신 성능 향상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으므로, 본 발명자 등은 더욱 검토한 결과,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한 금속 외장부의 구조나 특성에 의해, 상기의 문제가 더욱 개량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더욱, 본 발명자 등은 검토 결과, 종래에 있어서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의 근방이나, 해당 안테나부에 접촉해 전도성을 가진 금속 물체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파가 금속 물체에 흡수되어, 안테나부까지 전파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부의 공진 출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Q값이 떨어진다고 생각되어 왔던 것에 대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파악이 실제로는 잘못이며, 안테나부의 근방이나, 안테나부에 접촉해 전도성을 가진 금속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 안테나부는, 해당 전파가 실질적으로 도달하고 있고, 비공진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시계 내부에 들어가려고 하는 외부 전파에 의한 자속의 흐름은, 다소 감쇠되지만(3 dB정도) 실질적으로는, 장애 없이 안테나부에 도달한다고 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문제는, 안테나부가 공진할 때에, 상기 안테나부의 자심부(磁心部)에서 나오는 자력선이, 금속 물체로 끌려들어가서 와전류를 발생해 자기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결과, 해당 안테나부로 부터의 출력이 저하되어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 즉, 앞서, 도 21에 나타나는 종래의 전파 수정 손목시계는, 휴대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전파 수신 성능에 대해 큰 문제는 없지만, 뒷뚜껑 12의 원형 프레임 22에 유리 23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를 떨어뜨리는 등의 충격을 주면 유리 23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 뒷뚜껑 12는, 팔에 접하고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땀등에 의해 유리 23이 원형 프레임 2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손목시계 내부의 무브먼트(안테나 1, 전파 시계 수신기 2, CPU 3, 표시 구동부 4등 )에 땀, 물, 먼지등이 들어가, 손목시계로서의 기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우려도 있다. 또, 뒷뚜껑 12에 유리 2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조립공정도 증가해 제조비용이 올라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 비금속 부재가 외장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손목시계로서의 중후함이 부족해 고급감이나 외관 품질에도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귀감을 보인 것으로, 통상의 금속 케이스를 사용해도, 휴대상 어떤 지장도 없어 시각 정보등 소정의 정보를 포함한 전파를 수신할 수가 있고, 안정된 방수 품질 및 고급스러운 외관 품질의 향상 및 일반 시계와 같은 디자인 변화의 확대를 가능케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해, 전파의 수신 성능이 양호하고, 재질상의 제약 및 디자인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안테나부를 내장한 금속 외장부를 가지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을 해당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인 전파 수정 손목시계에 응용했을 경우에, 상기 목적에 덧붙여 손목시계의 두께가 늘어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팔에의 착용감도 양호해지는 전파 수정 시계를 제공하는 일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본 발명은 종래의 시계처럼, 티탄이나 스텐레스 같은, 비교적 투자성(透磁性)이 높은 금속 외장 및 금속 뒷뚜껑을 사용하면서도, 고분자 수지나 세라믹스로 만든 시계 케이스와 같은 수신 성능을 유지하고, 소형이면서 슬림한 전파 수정 시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첫번째 특징으로서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금속 외장부를 통해 자속을 수신하고,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해당 금속 외장부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 저항값이 그 외의 부분의 전기 저항값과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으로서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의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금속 외장을 통해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데, 몸통(측부)과 뒷뚜껑과의 상호 박리력이, 10-4 N·m ~ 6. 0 N·m인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으로서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해당 안테나부와 해당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로, 해당 금속 외장부는, 해당 안테나부가 해당 금속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해당 금속 외장을 통해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해당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뚱껑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서로 나사 기구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데 상호 해이(解弛) 토크가 0. 1 N·m ~ 6. 0 N·m이며, 바람직하기는, 0. 2 N·m ~ 3. 5 N·m인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네번째 특징으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상호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가지는 삽입부재가 개재(介在)되어 있는 전자기기이며,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다섯번째 특징으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의 한편의 금속제 부재에 있어서 해당 접합면의 일부를 제거해, 해당 접합부간에 간극을 형성한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여섯번째 특징으로는 외장 케이스, 뒷뚜껑이 금속으로 되어있고, 안테나는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 문자판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시계 무브먼트와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안테나는 문자판과 평면적으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데 문자판은 대체로 비금속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 부착 전파 수정 시계이다.
도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부분 단면도이 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외장부의 몸통과 뒷뚜껑의 접합면의 형상과 안테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외장부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B)는 선형(扇形) 영역의 중심각도와 안테나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외장부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B)는 선형(扇形)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외장부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B)는 선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 외장부의 선형 영역부에 접합부를 부분적으로 잔존시키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구조의 효과를 설명하는 실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안테나 구조체의 한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L값과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코일수(T)와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코일 저항(Ω)과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2(B)는 코일의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코일 저항(Ω)과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한 구체적인 예인 전파 이용 시계의 각부품의 배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금속 외장부와 안테나부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몸통 두께와 안테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몸통과 안테나 사이의 거리와 안테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뒷뚜껑두께와 안테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뒷뚜껑과 안테나 사이의 거리와 안테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한 구체적인 예로서 전파 수정 시계의 구성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의 구성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한 구체적인 예로서 전파 수정 시계 의 구성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토크와 안테나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Vdd 접점 스프링과 뒷뚜껑과의 접점의 유무에 의한 안테나의 특성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무브먼트와 뒷뚜껑과의 접점의 유무에 의한 안테나의 특성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몸통과 뒷뚜껑과의 사이에 절연물을 삽입한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26(B)는 절연물의 삽입 유무에 의한 안테나의 특성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토크와 안테나 이득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선형 영역과 안테나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복수종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안테나의 특성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안테나의 특성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은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몸통과 뒷뚜껑과의 접합부에 틈을 주었을 경우에 안테나부 위치에 따른 효과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몸통과 뒷뚜껑과의 접합부에 간극을 주었을 경우에, 안테나부를 위치와 해당 간극의 길이 및 해당 선형 영역의 중심각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금속 외장부의 Vdd 접점의 영향을 없애기 위한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금속 외장부에 있어 무브먼트의 영향을 없애기 위한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의 또 다른 구체적인 예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파 수정 시계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파 수정 시계의 다른 구체적인 예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뒷뚜껑과 몸통의 접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뒷뚜껑과 몸통의 접합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뒷뚜껑과 몸통의 접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한 것과 같은 기술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종 래의 시계, 휴대전화, 무선통신 기기 등의 구조, 재질, 혹은 디자인 등을 크게 바꾸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부를 사용해, 수신 성능이 양호하고, 전자기기 그 자체의 크기 및 두께도 종래의 것과는 비슷하면서, 디자인의 자유도를 가지고, 질감이 고급스러운 외장을 이용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안테나부 구조체 및 안테나부 구조체를 사용한 전파 수정 시계의 한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기기의 한 구체적인 예에 대한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그림중,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32, 상기 안테나부 32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위한 정보처리 장치 33 및 상기 안테나부 32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 33을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 31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30 으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상기 안테나부 32가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통해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 저항값이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값과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30을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30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계, 휴대전화, 무선통신기로부터 선택된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34는 상기 전자기기 30의 기능의 구동을 제어하는 연산 수단, 말하자면 컴퓨터이며, 또 35는 연산 처리된 소정의 정보를 알리거나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수단이나 스피커이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금속 외장 부 31은 스텐레스강철, 티탄, 티탄 합금, 금,금 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초경 금속(텅스텐카바이드 및 탄타르카바이드를 포함한 합금)중에서 선택된 1개 혹은 복수종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테나부 32가 공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기본을 구성하는 것은, 종래에 있어 금속 외장부 31내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부 32의 수신 성능이 저하하는 원인이, 상기 안테나부가 공진할 때에 안테나부의 자심부에서 나오는 자력선(자속)이, 해당 금속 물체로 끌여들여져 거기서 와전류를 발생해 자기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결과, 상기 안테나부로 부터의 출력이 저하되어 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고 밝혀진 것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부 32가 공진할 때에 상기 금속 외장부 31에서 가능한 한 와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같은 구성을 전자기기 30의 금속 외장부 31내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기술 사상을 실현하는 하나의 현실적인 구조로서 상기 안테나부 32가 공진할 때에, 상기 안테나부 32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부 31에 흘러드는 자속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성을 도입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적어도 일부에, 그 부분의 전기 저항값이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 전기 저항값과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외장부의 일부의 전기 저항값은 금속 외장부의 대 부분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의 전기 저항값보다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가 접합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더 좋다. 후자의 경우,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예를 들면, 몸통 45와 뒷뚜껑 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에는 해당 몸통45와 뒷뚜껑 41이 소정의 부위에 서로 접합되어 탈착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금속 외장부 31이 몸통(측부) 45와 뒷뚜껑 41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몸통 45가, 필요에 따라서 2개 혹은 그 이상의 복수개의 부재 451 및 452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각각의 부재 451 및 452가 서로 접합되고 있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몸통 45와 뒷뚜껑 41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통 45가 내부재와 외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상기 내부재와 외부재가 서로 접합돼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기 30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접합부 39란, 상기 접합부 39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몸통 45에 용두, 조작 버튼, 조작 핀 46 등, 상기 몸통 45를 관통해 배치된 각 조작 처리 기구 33, 34로 상기 몸통 45의 관통공부(貫通孔部) 48의 내면과의 접합 부분도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부 39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47은 스위치 회로이다.
즉, 상기 몸통 45의 일부에, 로드, 파이프, 유리, 베젤, 삽입 부재 혹은 당 접(當接)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과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몸통 45와의 접합면도 포함해, 상기한 모든 접합부가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적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후보 부위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중, 한편의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이 다른 한편의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접합부 39의 하나인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합부 39에 있어서, 몸통 부재 45의 전기 저항값이 뒷뚜껑 41의 전기 저항값과 다르게 구성하는 것인데 뒷뚜껑 41의 전기 저항값이 해당몸통 45의 전기 저항값보다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경우에는,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에 있어서 상호 접합부 39의 전기 저항값이,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합부 39에는 적당한 간격을 주는 간극부나 공간부를 두어도 좋고, 혹은,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금속 부재가 가지는 전기 저항값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로 된 필름, 판상체, 접착제 등의 삽입부재 49가 삽입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상기 전자기기 30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접합부 39의 형성 방법은, 2개의 금속 부재를 적당한 방법으로 접합하는 것이며, 그 구체적 방법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사식, 안나사식, 스냅 방식, 용접 방식, 납땜 방식, 코킹 방식, 바이요넷트 방식, 고상확산(固相擴散) 접합 방식 등으로부터 선택된 1개 혹은 복수의 방식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접합부 39의 형성 방법으로 패킹 고정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39에 나타나 있는 것 같은, 일반적으로 GN-4로 칭해지는 패킹 고정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GN-4식 패킹 고정 방식은, 종래의 시계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바람막이 유리와 몸통과의 고정 방식으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뒷뚜껑와 몸통과의 고정 방식으로 한 것이다. 상기 GN-4 패킹 고정 방식은, 고압 방수를 얻기 위한 부재간의 고정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어 구체적으로는 몸통 392와 일반적으로는 유리로 된 뒷뚜껑 393과의 사이에 테플론과 같은 고탄성 부재 391을 개재시켜, 해당 고탄성 부재 391을 몸통 392와 뒷뚜껑 393과의 측면끼리 압축하여 방수성 및 뒷뚜껑 393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어서, 몸통 392와 뒷뚜껑 393과 테플론과 같은 고탄성 부재로 되는 패킹의 치수 정밀도와 면품질(面稟質)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도, 뒷뚜껑 393을 유리로 구성하는 일도 가능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뒷뚜껑 393도 유리는 아니고, 392와 함께 금속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패킹 고정 방식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도 40에 나타내는 것 같은 GN-7 패킹 고정 방식을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GN-7 패킹 고정 방식도 기본적으로는, GN-4 패킹 고정 방식처럼 주로 고급 시계에 사용되어 슬림하면서 고압의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GN-4 패킹 고정 방식처럼 몸통 402와 일반적으로는 유리로 된 뒷뚜껑 403과의 사이에 테플론과 같은 고탄성 부재 401을 개재시켜, 해당 고탄성 부재 401을 몸통 402와 뒷뚜껑 403과의 측면끼리로 압축해 방수성 및 뒷뚜껑 403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GN-4 패킹 고정 방식과 상기 GN-7 패킹 고정 방식과의 차이는, 도 40에 나타내는 것처럼, GN-7 패킹 고정 방식은 몸통 402와 뒷뚜껑 403과의 접합부의 끝부분 표면에, 몸통 402와 뒷뚜껑 403과의 사이의 틈을 가리는 차폐부 404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몸통 402와 뒷뚜껑 403과의 사이의 틈에 배설된 고탄성 부재 401을 뒷뚜껑 403을 압입함으로써 의해, 뒷뚜껑 403의 끝부분에 설치된 경사면 405로 틈 차폐부 404와의 사이에서 밀어 내는 것처럼 된 구조이다. 관련된 구체적인 예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뒷뚜껑 403에는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합부 39의 또 다른 형성 방법으로서 도 41에 제시된 것 같은, 다보식 고정방식을 채용하는 일도 가능하고,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41에 나타나고 있는 것 처럼, 뒷뚜껑 413에 복수의 다보부 410을 마련해 해당 다보부 410의 돌기부 415를 몸통 412에 설치되어 있는 홈 414에 끼워넣어서 몸통 412와 뒷뚜껑 413을 적당한 패킹 411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다. 도 41은, 내(內)다보식 부착 고정 방식을 나타낸 것이지만, 마찬가지로 반대의 구조로 된 외(外)다보식 부착 고정 방식을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접합부 39는, 상기 안테나부 32에 가능한 한 근접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로 말한다면, 해당 안테나부 32를 해당 접합부 39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특성을 가지는 접합부 39를 금속 외장부 31내에 적어도 한 개소 배치하는 것이지만, 상기 접합부 39를 복수개 마련한 것이어도 좋고, 상기 접합부 39를 소정의 폭, 소정의 길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전자기기 30의 한 구체적인 예인 전파 수정 시계 30에 적용했을 경우의 개략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서 금속 외장부 31은, 몸통 45와 뒷뚜껑 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 45는 통 모양을 이루는데, 도 2에서 윗쪽의 원형 프레임 안쪽 37a에 패킹 46을 끼워넣어 방풍 유리 43이 장착되고, 도 2에서 아래쪽의 개구부에 뒷뚜껑 41이 압입, 나사 등의 수단에 의해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주연부(周緣部)가 서로 접합되어 소정의 접합부 39가 형성되고 있다.
도 2에 있는 뒷뚜껑 41은 나사식으로 몸통 45에 장착되어 있고, 나사돌출부 50과 몸통 부재 45의 내측면 37c와의 사이에 패킹 44가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 몸통 45안에는, 전술한 도 20 및 도 21에 있는 전파 시계 수신기 2, CPU 3, 및 표시 구동부 4등을 갖춘 무브먼트 42를 수납할 수 있다. 무브먼트 42의 도 2의 윗쪽에는, 시각표시부인 문자판 35와 지침 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무브먼트 42는, 금속 외장부 31의 단부(段部) 37a를 형성하는 안쪽 돌출부 37b의 그림중 아래쪽 면에 문자판 35가 닿는 것으로써 위치가 결정되고 뒷뚜껑 41의 나사 돌출부 50의 윗면에 배설된 몸통 45와의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되어 있다.
또, 이 무브먼트 42와 뒷뚜껑 41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 51이 설치되고 그 공간 51 안에 안테나부 32가 배치되고 있다. 이 안테나부 32는 막대 모양의 자심재 38과 이 자심재 38에 감겨진 코일 40으로 구성되어 있어 무브먼트 42의 아래쪽 면에 고정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몸통 45와 뒷뚜껑 41이 모두 티탄으로 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구체적인 예에서 몸통 45의 두께를 1600㎛로 설정해, 안테나부 32로 부터 몸통 45의 내면까지의 거리는 2000㎛로 설정되어 있다. 또, 뒷뚜껑 41의 두께를 800㎛로 설정해, 안테나부 32로 부터 해당 뒷뚜껑 41의 내면까지의 거리는 3000㎛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파 수정 시계에 대해서는, 안테나부 32가 수신한 표준 전파에 근거해, 무브먼트 42내의 CPU(도시하지 않음)가, 표시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켜, 지침 36을 항상 수정하도록 구동한다. 이 때에, 몸통 45및 뒷뚜껑 41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몸통 두께, 뒷뚜껑 두께, 안테나와 몸통 및 뒷뚜껑과의 거리를, 각각 수신 감도를 최대로 하는 실험으로 미리 정해진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안테나 근방에서의 공진 현상의 흐트러짐을 줄이고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뒷뚜껑 41의 안쪽이나 몸통 45의 안쪽에, 금, 금 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전기 저항율이 7.0 μΩ·㎝ 이하인 비자성 부재를 붙이면 이득이 2~3 dB정도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접합부 39에 삽입부재 49를 개재시키는 경우 에 대해 상술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 30에 있어서 한 구체적인 예로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예를 들면,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사이의 상호 접합부 39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부 32에 가장 근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접합부 39에,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가지는 삽입부재 49를 개재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예를 들면,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쌍방을 구성하는 금속재료가 모두 동일한 경우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경우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관련되는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합부 39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49를 구성하는 재료의 전기 저항값이,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금속 부재가 가지는 전기 저항값보다 커지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삽입부재 49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절연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부 39는, 도 2및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어느 쪽도 같은 부위의 접합부 39에 있어서, 패킹 부재 44를 끼워 절연물인 삽입부재 49를 개재시킨 구조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구체적인 예의 접합부 39의 배치 위치를 평면적으로 보면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상호 접합부 39는 통상 원형 혹은 타원지름 혹은 각형으로 형성되므로, 접합부 39의 주위를 따라 삽입부재 49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기기 30의 방수성이 확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삽입부재 49는, 접합부 39의 둘레의 일부, 예를 들면, 안테나부 32의 배치 위치에 근접한 부위에만 마련하는 일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재 49는, 접합부 39의 사이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부재 49의 개재 부위는, 상기 구체적인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접합부 39에 있어서 실현 가능하고, 예를 들면, 몸통 45와 베젤부와의 접합부나, 몸통의 상부와 하부 혹은, 몸통의 내부와 외부사이의 접합부 등에도 상기 삽입부재 49를 배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삽입부재 49는,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부재의 어느 쪽과는 별체에 형성된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합성 수지, 고무(유기물)로 부터 되는 필름상 혹은 막상의 것이어도 좋고, 산화물 등의 절연물 혹은 산화막을 가지는 박막 부재, 나아가 잉크, 도료, 접착제,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삽입부재 49는,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하나 혹은 복수의 부재이며, 접합부 39에 직접 닿는 해당 부재에 형성된 막체여도 좋다. 즉, 상기 막체는,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하나 혹은 적어도 일부의 부재에 적당한 표면 처리 및/또는 경화 처리를 가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표면 처리는 예를 들면, 습식 도금 방식, 건식 도금 방식 및 열처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식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삽입부재의 전기 저항값은, 금속 외장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전기 저항값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면, 종래의 구조에서 도 4(A)가 나타내는 대로, 전자기기 30의 금속 외장부 31이 원형을 하고 있고, 상기 금속 외장부 31은 도 4(B)에 나타내는 것처럼 몸통 45와 뒷뚜껑 41로 구성되는데, 그 양자가 나사부 52로 서로 맞물려 고정되고 있어 상기 나사부 52의 상호 감합면(嵌合面) S1와 상기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합면 S2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부 3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합면 S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접합부 39는 도 4(A)에 나타내는 것처럼 링 모양에 형성되고 있고, 상기 안테나부 32가 상기 접합부 39의 일부에 근접해 배치되고 있는 예를 생각하면, 도 4(B)가 나타내는 것처럼, 안테나부 32가 공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안테나부 32의 자심부 38의 양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에 의한 와전류 54가 화살표 A, B, Co와 같이 발생해,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일이 되지만, 도 3에서는, 일부 고무 패킹 44를 끼워서 서로 맞닿아 있는 뒷뚜껑 41과 해당몸통 45와의 사이에 절연부재로 된 삽입부재 49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도 4(B)에 나타내는 와전류 Co가 없어지므로, 와전류의 총합이 감소되어 에너지의 손실은 감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기기 30에 있어서 다른 구체적인 예는,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 예를 들면,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사이의 상호 접합부 39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안테나부 32에 가장 근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접합부 39의 적어도 일부에, 비접합부가 형성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접합부 39에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금속재료 가 가지는 전기 저항값보다 높은 전기 저항값을 갖게 하기 위해서 상기한 삽입부재 49대신에, 공기를 개재시키는 간극부 55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간극부 55는 해당 접합부 39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의 적어도 한편의 금속제 부재에 있어서 해당 접합면의 일부를 제거해 접합부 39사이에 간극부 55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극부 55는 접합부 39를 형성하고 있는 2종의 금속 부재의 접합면중, 한편의 접합면을 적당한 폭과 길이 두께 만큼 깍아내 비접촉 상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혹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의 해당 삽입부재 49의 일부를 삭제해 간극부 55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예로 사용되는 간극부 55의 높이, 혹은 틈의 폭은, 예를 들면 0. 1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60 내지 160㎛이다.
상기 간극부 55는, 도 6(A)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뒷뚜껑 41과 해당몸통 45와의 접촉부 39의 일부를 깍아낸 것으로 도 6(A)의 구체적인 예에서는, 뒷뚜껑 41만을 일부 제거해 간극부 55를 형성한 것이며, 그 평면도인 도 6(B)에 나타내는 것처럼, 해당 간극부 55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해당 접합부 39의 접합면의 일부 57에 해당 접합부 39의 비접촉부를 형성한 것이다. 도 6이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간극부 55는 안테나부 32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예를 들면, 몸통(측부) 45로 뒷뚜껑 41이 도 4(B)가 나타내는 것처럼, 나사 기구 52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해당 상호의 나사면이 접합부 39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나사 기구 52의 일부를 삭제해 간극부 55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즉, 도 7(A)에 나타내는 것처럼, 해당 나사 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접합부 39의 적어도 한편의 나사 기구 52의 일부의 나사 기구부를 삭제해 간극부 55를 형성하는 것도 좋다. 또, 구체적인 예로, 도 7(B)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간극부 55는 해당 안테나부 32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A)의 구체적인 예에서는, 몸통 45의 나사 기구 52의 일부가 깍여나가 그것과 맞물려 있던 뒷뚜껑 41측의 나사 기구와 몸통 45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부 55가 형성되고 있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그 평면적인 형상은 도 7(B)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간극부 55는, 나사 기구에 의한 접합면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 39의 접합면의 일부 56에 몸통 45의 나사 기구 52의 일부를 잘라내 접합부 39의 비접촉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도 7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한 도 3에 나타난 삽입부재 49로 패킹 부재 44를 조합한 것과 간극부 55를 동시에 병용한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상기한 간극부 55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는, 상기 간극부 55의 공간부가 공기로 충만되므로 절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합부 39 사이에 삽입부재 49를 삽입했을 경우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 55의 내부 공간에 상기한 절연물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극부 55는, 도 7에 나타내는 것 같은 부위로 한정되는 일은 없고, 금속 외장부 31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금속재료 부재가 어떠한 형태로든 접합하고 있는 부위의 어느 쪽인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관련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도 31에 나타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도 31의 실험에서는, 환상에 형성되고 있는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뒷뚜껑 41과 몸통 45와의 접합부 39에 간극부 5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실험 1:cut 없음)에 있어서 안테나 특성치를 측정함과 동시에, 접합부 39에 있어서 안테나부 근방에 간극부 55를 마련했을 경우(실험 2) 및 접합부 39에 있어서 안테나부와 반대쪽의 부분에 간극부 55를 마련했을 경우(실험 3)로 나누어 주파수를 각각 2 종류씩 선택해 안테나 특성치를 측정했다. 도 31의 실험 결과로 부터 판단하면 간극부 55가 설치되는 위치에 의해 안테나의 특성에 큰 차이가 없지만 이득에 관해서는, 모두 컷 없음, 즉 간극부 55가 없는 구조의 것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을 이해할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기 30의 금속 외장부 31에 배치되는 삽입부재 49 혹은 간극부 55 혹은 그 쌍방의 배치 위치와 금속 외장부 31내에 배치되는 안테나부 32와의 위치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부 3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기는, 도 1부터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안테나부는 금속 외장부 31의 최대지름길이 보다 짧은 최대장수방향(最大長手方向)길이를 가지는 직선 모양이나 만곡의 막대 모양으로 코일이 감겨진 자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심은 환상 혹은 폐쇄 루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부 3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처럼 도 4나 도 7에 나타낸 대로, 안테나부 32는 금속 외장부 31의 바깥 둘레 근방,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합부 39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의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에 있어서 바깥 둘레 39의 근방의 어느쪽이든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구체적인 예로 설명한 대로, 안테나부 32가 삽입부재 49 혹은 간극부 55가 배치되고 있는 부위의 근방에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외장부 31의 삽입부재 49 혹은 간극부 55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 32의 자심부의 양끝과 금속 외장부 31의 중심부로 형성되는 선형 영역 57내에 포함 되는 접합 부분 56에 도 6이 나타내는 것처럼 연속적 혹은 도 8(A)의 60이 나타내는 것처럼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부 32는 삽입부재 49 혹은 간극부 55가 배치되고 있는 부위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영역 57의 길이는 안테나부 32의 자심장(磁心長) A와 안테나부 32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테나부 32의 위치는, 안테나부 32의 자심길이 A와 접합부 39의 각도의 비율(B/A)로 나타내지는 범위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A)에는 안테나부 32가 금속 외장부 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는 예가 나타나고 있고, 도 32(B)는 소정의 길이 A를 가지는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 31의 중심부로부터 간극부 55의 방향에 따라 이동시켰을 경우의 간극부 55의 길이, 즉 선형 영역 57의 길이 B 및 그 때의 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2(C)에는 선형 영역 57의 길이 B와 안테나부 32의 길이 A의 비율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즉, 선형 영역내에 접점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 선형 영역내의 중심각도 범위가 30 ~ 180도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해당 각도의 비율(B/A)은 0. 64 ~ 2.5 이어야 하고, 같은 조건에 있어서 해당 선형 영역의 중심각도 범위가 50 ~ 120도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해당 각도의 비율(B/A)은 1. 05~2. 16이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선형 영역내의 중심각도가 10도 이하의 범위에서 해당 선형 영역내에 접점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각도의 비율(B/A)은 0. 21 이하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32(C)의 데이터와 도 5(B)에 나타난 바람직한 각도 범위의 정보를 종합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안테나부 32의 바람직한 배치 위치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영역 57의 각도 범위는, 30에서 180도, 바람직하기는 50 ~ 120도, 보다 바람직하기는 60~90도인 것이 좋다.
기에서, 본 발명자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 선형 영역 57의 중심각도의 바람직한 범위를 검토하기 위해, 도 5(A)에 나타내는 것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작성하고, 한편 도 6(A)에 나타내는 것 같은 나사 산 부분을 깍아낸 선형 영역 57 의 중심각도(θ)를 변화시켰을 경우의 안테나 이득(dB)의 변화 상황을 측정해, 그 결과를 도 5(B)에 나타냈다. 도 5(B)의 그래프로 부터 분명히, 해당 나사 부분에 있어서 해당 접합부 39의 절제(切除) 영역의 각도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안테나부 32의 이득(dB)도 증가하고 있어, 검사한 각도 범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기는 30 ~ 90도, 보다 바람직하기는 60 ~ 90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8(A)에 나타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상기한 선형 영역 57의 일부에, 예를 들면, 상기 선형 영역 57의 중앙선에서 좌우로 5도씩 10도의 각도 범위내에 나사산 부분을 절제하지 않고 나사산을 잔존시킬지, 아니면 삽입부재 49를 삽입하지 않고 접합부 39를 남긴 상태로 했을 경우의 안테나부 32의 특성과 120도의 중심각도 내의 접합부 39를 모두 제거했을 경우를 종래의 구조, 즉 모든 접합부에 절제부를 마련하지 않든지 삽입부재 49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 보면, 후자의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상당한 효과가 있지만, 전자의 구성에서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다소의 효과가 있고 후자의 구성에 비해 그 효과는 적지만 실용적인 효과는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선형 영역 57과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해당 안테나부 32를 배치해도 좋은가는 상기 설명한 대로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부 32의 바람직한 구성을 뒤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안테나부 32는, 기본적으로는 바 안테나이며, 해당 안테나의 L값이 1600 mH이하인 특성을 가지거나, 안테나의 코 일 저항이 1 KΩ 이하인 안테나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안테나의 코일수가 1000회 이상인 안테나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안테나 구조체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안테나부 32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모식(模式) 평면도이며, 그림중, 적어도 측부 44 및 뒷뚜껑 41의 쌍방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계 내부에 배치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부 32가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예에서는, 안테나부를 금속제의 옆 혹은 뚜껑 등의 금속제 외장 부내에 삽입 배치시켰을 경우,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발생하는 공진 현상(자력→전력→자력→…)이 금속 외장에 의해 저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즉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이 금속부에 끌려들어가서 와류현상을 일으켜, 자력의 대부분이 소비되어 버리는 결과 철손(鐵損)의 영향에 의한, 해당 안테나부의 이득 및 Q값이 큰폭으로 감소해 버려, 금속 외장내에 안테나부를 배치시킨 전파 수정 시계는 실용화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안테나부에 있어서는 코일의 권수가 증가하면 이득이 향상하지만 어느 일정한 권수가 되면 코일 저항이 커져 이득이 감쇠하는 것을 알고 있다. 즉, 안테나부의 출력은,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한 출력과 안테나부의 공진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출력에 의해 성립되므로, 상기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내에 삽입하면, Q값이 큰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이득도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바꿔 말해, 통상 금속 물체가 근방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테나부 이득의 대부분은 상기한 공진 현상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대부분이어, 안테나부의 코일 저항(동손)이 증대하면 공진 현상에 방해가 되어, 이득(Q값)의 저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권수를 늘리거나 코일을 가늘게 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상기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내에 넣었을 경우, 철심에 있어서의 전력손실(금속 외장)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에, Q값이 큰폭으로 감소해, 이득도 큰폭으로 감소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생각을 바꾸어, 안테나부를 금속제의 외장내에서 사용하려면, 해당 Q값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전제에서, 안테나부 이득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열심히 검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 내에 삽입 배치할 때 종래와 같이 Q값(공진 현상)에 의한 증폭율로 이득을 얻는 것이 아니라,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어떻게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을까를 추구한 결과, 발견한 본 기술 사상에 근거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 사상을 확인하기 위해 발명자 등은, 먼저, 도 10에 나타내는 것 같은 소정의 안테나부가 가지는 L값(mH)과 해당 안테나부의 이득(dB)과의 관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즉, 도 10에 있어서는 소정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L값와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A에 나타내고, 동일 구조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한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L값와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B에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는 통상의 직선 모양 코어부에 통상의 방법으로 코일을 감은 것 으로, L값의 변화는 코일수의 변경, 코일 저항의 변경 등으로 조정했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금속 외장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안테나부에 있어서는 L값이 증가함에 따라 이득은 증가하지만 L값이 약 10 mH를 넘으면 서서히 포화되고, 금속 외장에 삽입되어 있는 안테나부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은 포화 현상은 없고 이득은 L값의 증가에 비례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실험 결과로 부터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에 넣었을 경우에는 공진 현상에 의한 이득의 저하는 현저하지만,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한 부분의 이득의 감쇠 레벨은 미소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자 등은 더욱 검토한 결과, 도 10의 결과로부터 금속 외장부 안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부 32에서는 L값이 증가하면 직선적으로 이득이 향상되는 사실로부터 코일의 권수를 많이 해 L값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안테나부의 권수를 늘리면 안테나부 자체의 용량이 증가하여 안테나부의 공진점에 관해서 제약이 발생하므로 상한은 필연적으로 정해져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 등은, 안테나부의 코일의 용량이 통상 10 pF 정도라고 하고, 사용되는 주파수대는 가장 낮은 40 KHz으로부터, 이 용량과 상기 주파수를 근거로 해당 안테나부 32의 L값을 식 f=1/2π√LC 로부터 구하면 약 1584~1600 mH정도이며, 따라서, L값은 1600 mH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또, 실제로는 해당 안테나부의 코일 용량 이외에도 실장기판(室長基板), 수신 IC의 기생(寄生) 용량을 포함하면, 해당 기생은 약 20 pF라고 생각되므로 관련 상황에서, 해당 L값은 792에서 800이 된다고 판단되므로, 해당 L값이 800 mH이하인 안테나부 3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사용하는 주파수대로, 현존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대는 77. 5 KHz(독일)이며 이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판단하면 그 상황하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의 L값을 상기 용량과 주파수를 기본으로 요구하면 약 211에서 220 mH가 되어, 해당 L값이 220 mH이하인 안테나부 3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이자면,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에 있어서 해당 L값을 상기 용량과 주파수를 기본으로 구하면 약 211에서 220 mH가 되어 해당 L값이 220 mH이하인 안테나부 3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이자면,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의 해당 L값의 하한은 약 20 mH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안테나부에 요구되는 최저 출력은 수신 IC의 능력에 따라 다르지만, 안테나부에 요구되는 최저 출력을 50dB로 하면, 도 10에서 L값의 하한은 25 mH이며, 만약 안테나부에 요구되는 최저 출력을 51dB로 하면, 도 10에서 L값의 하한은 20 mH로, 안테나부에 요구되는 최저 출력을 52dB로 하면, 도 10에서 L값의 하한은 15 mH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상기한 본 발명으로 바람직하다고 판단된 L값은,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안테나부의 L값이 겨우 2 내지 13 mH인 것을 감안하면 지극히 특이한 값인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에, 본 발명자 등은 안테나부에 있어서 코일의 코일수(T)와 이득(dB)과의 관계를 검토해,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즉, 도 11에 있어서, 도 10의 실험과 같게, 소정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해당 안테나부 32의 코일수(T)와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C에 나타내고, 동일 구조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한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코일수(T)와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D에 나타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금속 외장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안테나부에 있어서는 해당 코일수(T)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은 증가하다가 해당 코일수(T)가 1000을 넘으면 서서히 포화하지만, 금속 외장에 삽입되고 있는 안테나부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은 포화 현상은 없고 이득은 코일수(T)의 증가에 비례해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장부의 측부 혹은 뚜껑의 적어도 한편이 금속인 전파 수정 시계 혹은 외장부의 측부 및 뚜껑이 금속인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의 코일수(T)를 1000 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안테나부 32를 금속제의 외장부에 넣지 않고 단체(單體)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코일수(T)가 1500 이상에서 이득의 증가율이 포화되지만 금속 외장내에 안테나부 32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코일수(T)가 1500 이상에서도 선형적으로 이득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바, 외장부의 측부 혹은 뚜껑의 적어도 한편이 금속인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는, 해당 안테나부 32의 코일수(T)는 1500 이상의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안테나부의 코일수(T)를 증대해 나가면 안테나부 저항값이 증가하므로 코일수(T)도 그 상한에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 등은 도 12가 나타내는 대로,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 Ω)과 이득 및 해당 코일 저항(Ω)과 해당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근접시켰을 경우와 시키지 않는 경우와의 이득차이와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다.
 즉, 도 12에 있어서는, 도 10의 실험과 같게, 소정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해당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과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E에 나타내고, 동일 구조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한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코일 저항(Ω)과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F에 나타냈다.
또,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과 이득 및 해당 코일 저항(Ω)과 해당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근접시켰을 경우와 시키지 않는 경우의 이득차이와의 관계를 그래프 G에 나타냈다.
도 12의 실험에 있어서는 코일 저항(Ω)값의 조정은 도 12(B)에 나타내는 것처럼 저항값을 적당히 만들어 실시했다. 도 12(A)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금속 외장 없이 안테나부 32 단체 사용 시에도, 또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 내에 배치했을 경우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코일 저항(Ω)의 증대에 따라 이득이 저하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프 E와 F 사이에 있어서 이득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G를 보면, 코일 저항(Ω)의 값이 1 ㏀ 이상이 되면,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금속 외장 내부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이득 차이의 변화가 없어져, 이득차이가 약 3 내지 4 dB부근에서 일정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종래에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의 근방 혹은 안테나부에 접촉해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물체가 배치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파가 금속 물체에 흡수되어 안테나부까지 전파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안테나부의 공진 출력이 저하되어 Q값이 저하된다고 생각하고 있던 것에 대해, 본 발명자 등의 예의 검토 결과,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의 파악이 실제로는 잘못이며, 안테나부의 근방 혹은 안테나부에 접촉한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물체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테나부는 전파가 실질적으로 도달하고 있고, 비공진의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시계 내부에 들어가려고 하는 외부 전파에 의한 자속의 흐름은 다소는 감쇠되지만(예를 들면 3 dB정도) 실질적으로는, 장해 없이 해당 안테나부에 도달한다고 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사실과 부합한다.
문제는, 상기 안테나부가 공진할 때에 안테나부의 자심부에서 나오는 자력선(자속)이 금속 물체로 끌여들여져 거기서 와전류를 발생해 자기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결과, 해당 안테나부로의 출력이 저하돼 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점에 문제가 있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 시계 30의 금속 외장부 31, 즉 뒷뚜껑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전파 수신용의 안테나부 32가 금속 외장부 31내에 배치되어 전파를 수신하려고 하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시계 30 내부에 들어가려고 하는 외부 전파에 의한 자속 J의 흐름은 다소는 감쇠되지만(예를 들면 3 dB정도) 실질적으로는, 장해 없이 안테나부 32에 도달하지만, 전파의 자속을 받아 안테나부 32가 공진할 때, 즉 전기에너지와 자기 에너지와의 사이에 교대로 에너지 상태 변환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안테나부 32에 있어서 자심 38의 끝부분에서 출력되는 공진 자속의 흐름 A, B, Co가 금속재료인 금속 외장부 31로 끌여들여져 거기서 와전류가 발생해 해당 공진 자속의 흐름 7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데, 그 결과, 안테나부 32로부터의 공진 출력이 저하한다고 하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즉, 안테나부 32의 출력 특성값을 Q값으로 정의하면 Q값은 안테나부 32에의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율로 나타내서, Q값=100은 입력 1에 대해서 출력이 100이 되는 출력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Q값이 높을 수록 안테나부로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즉, Q값은 그 값이 높을수록 안테나부로서의 성능은 좋다고 판단되는 것이며, 바꿔말하면 에너지 손실 정도의 대소를 나타내는 지표도 된다.
Q값의 측정 방법의 한 구체적인 예로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특원 2002-264985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코일 저항(Ω)의 값이 1㏀ 이하이면 금속 외장 내에서 사용하는 안테나부 32의 이득에의 기여가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이득에의 기여보다 크다고 생각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은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계의 두께는 10 mm정도라고 생각하면 안테나부의 코일의 폭을 20 mm, 권심두께 1 mm, 코일의 굵기를 도체지름 60㎛, 도선지름 65㎛, 코일 저항을 1 ㏀ 라고 생각했을 경우, 코일을 감을 수 있는 회수는 25000 T가 한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데이터의 코일수를 그 샘플의 코일 저항값에 옮겨 도 12의 데이터와 합한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소정의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과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H에 나타내고, 동일 구조의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부에 삽입한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코일 저항(Ω)과 이득(dB)과의 관계를 그래프 I에 나타냈다. 관련 그래프 H 와 I는 도 12의 그래프 E와 그래프 F와 실질적으로 같다.
한편, 도13에 있어서 그래프 J는 상기와 동일 구조의 안테나부에서 코일수(T)를 1000~2000 T 구간에서 변화시켰을 경우와, 한편 그것을 금속 외장부에 삽입한 상태로 77. 5 KHz의 전파를 받았을 때의 코일 저항(Ω)과 이득(dB)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코일 저항(코일수)이 상승하면 이득이 향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그래프 K는 상기 그래프 J의 근사 곡선이다. 한편, 그래프 M은 상기한 그래프 I에 의해 나타나는 코일 저항(Ω)의 증가에 의해 감소하는 이득의 비율과 코일수(T)의 증가에 의해 증가한 코일 저항 J에 의해 증가하는 이득과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의 해당 그래프 M으로 부터 분명히 이득의 증가와 감소와의 밸런스가, 코일 저항(Ω)이 396Ω 부근보다 높아짐에 따라 포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코일 저항(Ω)이 400Ω 이상이 되는 코일을 실행해도 더 이상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은 400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을 사용했을 경우에 해당 안테나부 32의 이득이 높고 변화가 적은 영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 좋은 방법임을 생각하면, 도 12의 그래프 F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안테나부 32의 코일 저항(Ω)이 100Ω 이하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부 32에 있어서 코일 저항(Ω)의 하한은, 약 18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테나부가 요구하는 최저 출력을 -51 dB로 하면, 도 11에서 코일수는 1400 T이며 이것을 일반적인 도체지름 100㎛, 도선지름 110㎛ 굵기의 코일로 코일부 폭 20 mm, 권심두께 1 mm의 안테나부에 감았을 경우, 코일 저항은 18Ω 정도가 되고, 도체지름 80㎛, 도선지름 85㎛ 굵기의 코일로 했을 경우, 코일 저항은 22Ω 정도가 되며, 도체지름 65㎛, 도선지름 70㎛의 굵기의 코일로 했을 경우, 코일 저항은 30Ω 정도가 되는데, 도체지름 60㎛, 도선지름 65㎛의 굵기의 코일로 했을 경우, 코일 저항은 38Ω 정도가 되어, 이 부근이 한계라고 생각된다.
덧붙여서,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안테나부의 코일 저항(Ω)은 겨우 20Ω 정도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 저항(Ω)은 종래의 레벨보다 현저하게 높은 코일 저항(Ω)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내에 안테나부 32가 배치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부의 코일 저항(동손)이 증대해도 Q값의 저하는 미미하고, 바꿔말해 굵기가 가늘어도 권수가 같으면 해당 Q값 및 이득 G의 변화는 적은 것이 된다.
한편, 안테나부 32의 안테나부 이득은 권수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된다. 그 결과, 상기 안테나부를 금속 외장 내에 배치시켰을 경우, 코일을 가늘게 하고 권수 를 늘리도록 설계해서 이득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종래에 있어서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 내에 삽입하지 않는 모양에 있어서는, 코일의 지름이 굵은 경우, 예를 들면, 코일지름이 0.1mmΦ로 낮은 저항값을 나타내는 코일을 사용하는 편이, 가는 코일지름 예를 들면, 코일지름이 0.06mmΦ로 높은 저항값을 나타내는 코일을 사용하는 편보다 양호한 이득 특성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서처럼 안테나부 32를 금속 외장부 내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이득 특성에 있어서의 차이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는 코일을 사용해 안테나부 3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보다 작은 크기의 안테나부 3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안테나부의 다른 모양으로는, 해당 코일은 0.1mmΦ 이하, 바람직하기는 0.06mmΦ의 굵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안테나부 32는 통상의 직선 형상의 안테나부 코어부에 코일을 소정의 코일수(T)만큼 감은 형상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지만, 상기 안테나부 32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형태를 가진 안테나부에서도 적용 가능하고, 특히,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원 2002-297095에 개시되고 있는 안테나부의 구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와 금속 외장부 31과의 구성상의 관련성 및 쌍방의 배치 관계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와 금속 외장부 31과의 구성상 의 관련성 및 쌍방의 배치 관계를 좇아 바람직한 조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전자기기 30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내부에 내장되는 안테나부 32와 상기 금속 외장부 31과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몸통 45의 두께 또는 뒷뚜껑 41의 두께와 안테나부로부터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까지의 거리를 수신 감도에 근거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몸통 두께 또는 뒷뚜껑 두께와 안테나로부터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까지의 거리를 수신 감도에 근거해 설정하면, 금속재료에 기인한 안테나 근방에서의 공진 현상의 난조를 줄일 수가 있기 때문에, 금속 외장부 31에서도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전파 수정 시계에서도 몸통, 뒷뚜껑, 베젤 등에 티탄, 스텐레스 강철 등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어, 수신 감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전파 시계의 기구상 및 외관상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의 재질, 뒷뚜껑의 형상, 안테나부 32와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과의 위치 관계, 비자성 부재의 부가 등에 의해 수신 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몸통 두께 또는 뒷뚜껑 두께와 안테나로부터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까지의 거리 등에 관해서는, 실험에 의한 검증을 거듭하여 얻어진 가장 효과적인 값을 구했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 본 발명으로 사용되는 상기 금속 외장부 31과 안테나부 32의 구성 조건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신 감도와 시계 케이스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난 것처럼, 몸통 부재 45의 몸통 두께 T1,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의 내면과의 거리 D1, 뒷뚜껑 41의 두께 T2,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의 내면과의 거리 D2를 파라미터로 설정해, 이 4개의 파라미터와 안테나부 32가 수신한 신호의 피크 높이인 이득과의 관계를 각각 실험으로부터 구했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험에 있어서의 몸통 45, 안테나부 32, 뒷뚜껑 41은 시계를 포함한 전자기기 30으로서 사용될 것을 전제로 형성한 실험용의 것을 사용했다. 또,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재질로서는 가공성의 좋은 점, 내구성, 내식성, 제품으로서의 외관 품질의 좋은 점, 가격 등을 고려해 스텐레스 강철, 티탄, 티탄 합금, 금, 금 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초경 금속으로서 텅스텐카바이드 및 탄타르카바이드를 포함한 합금을 선정했지만, 어느 실험에서도 수dB의 이득의 차이는 있었지만, 각 파라미터와 이득과의 관계(그래프 곡선 형상)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험에서는 전부 스텐레스 강철(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강철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SUS304, SUS304L, SUS316, SUS316L등)을 몸통 45와 뒷뚜껑 41에 사용했을 경우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1의 실험에서는, 몸통 두께 T1를 0 ~ 5000㎛ 구간에서 변화시켰을 때 수신한 신호의 이득을 계측했다. 이 실험에서는 몸통 45내에 설치되는 안테나로서 도체지름 65㎛, 코일수 1500의 실험용 안테나를 사용하고, 몸통 45와 안테나부 32와의 거리를 1000㎛로 일정하게 설정하고, 뒷뚜껑 41은 두께가 800㎛의 것을 사용하여,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100㎛로 일정하게 설정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로부터 40 kHz의 신호를 송신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이 결과, 도 16에 나타나듯이, 수신한 신호의 이득은 몸통두께 T1이 0㎛(몸통 45가 없는 상태)의 약 -50 dB에서 몸통 두께가 늘어나면 서서히 저하해, 몸통 두께 T1이 5000㎛가 되면 저하가 포화한다. 덧붙여 도 16에 나타내는 실선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구한 근사 곡선이다.
상기 제 1의 실험에 의하면, 몸통 두께 T1이 5000㎛를 넘으면 이득의 저하가 포화해 일정하게 되어, 이 때의 값이 최저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몸통 두께 T1을 0 ~ 5000㎛의 사이에 설정하면 최저치에 대해서 이득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범위내에서, 시계 케이스로서 사용 가능한 강도 등을 고려하면, 몸통 두께 T1을 300㎛로부터 실용상 최대가 되는 500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자기기 30의 케이스, 즉 금속 외장부 31로서의 외관, 가공성, 내식성 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몸통을 형성하려면, 500~2000㎛의 범위에서 몸통 두께 T1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의 실험에서는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 D1을 0 ~ 40000㎛ 구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수신한 신호의 이득을 계측했다. 도 17에는 0 ~ 20000㎛ 까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실험에서, 몸통 45내에 설치되는 안테나부 32는 도체지름 65㎛, 코일수 1500의 실험용 안테나를 사용하고, 몸통 45는 몸통 두께 2000㎛의 것을, 뒷뚜껑 41은 두께 800㎛의 것을 사용했고,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100㎛로 일정하게 설정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로부터 40 kHz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이 결과, 도 17에 나타나듯이, 수신한 신호의 이득은 거리 D1이 0㎛ (몸통 45에 안테나부 32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의 약 -54.5 dB에서 거리가 멀어져 가면 서서히 상승한다. 이 실험에 대해, 뒷뚜껑 41만의 경우(즉, 몸통 45를 없앴을 경우)의 수신 신호의 이득은 -50.34 dB가 되기 때문에 이득이 이 값이 되었을 때의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 D1에 대해 이득의 상승은 포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득의 상승이 포화하는 거리 D1은 40000㎛이며, 더 이상 안테나부 32와 몸통 45를 떼어 놓아도 이득을 올릴 수 없게 된다. 덧붙여 도 17에 나타내는 실선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구한 근사 곡선이다.
상기 제 2의 실험에 의하면,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 D1은 떼어 놓는 편이 이득이 상승해 수신 감도가 좋은 상태가 되지만, 거리 D1이 40000㎛를 넘으면 이득의 상승이 포화해 일정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거리 D1을 0 ~ 40000㎛의 사이에 설정하면 이득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시계 케이스로서 사용 가능한 크기 등을 고려하면, 거리 D1을 500 ~ 100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의 실험에서는, 뒷뚜껑 두께 T2를 0 ~ 5000㎛ 구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수신한 신호의 이득을 계측했다. 도 18에는 0 ~ 3000㎛까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실험에서는, 안테나로는 도체지름 65㎛, 코일수 1500의 실험용 안테나를 사용하고, 뒷뚜껑 41에서 안테나부 32 사이의 거리를 1000㎛로 일정하게 설정하고, 몸통 45는 두께 2000㎛의 것을 사용하고,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를 1000㎛로 일정하게 설정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로부터 40 kHz의 신호를 송신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이 결과, 도 18에 나타나듯이 수신한 신호의 이득은 뒷뚜껑 두께 T2가 0㎛ (뒷뚜껑 41이 없는 상태)의 약 -43.4 dB에서 800㎛까지는 급격하게 저하하고, T2가 800㎛에서 5000㎛까지는 이득에 그다지 변화가 없는 것을 알았다. 즉, T2가 800㎛ 때에 최저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도 18에 나타내는 실선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구한 근사 곡선이다.
최저치에서도 실용상 지장없이, 상기 범위내에서, 전자기기 30의 금속 외장부 31로서 사용 가능한 강도 등을 고려하면, 뒷뚜껑 두께 T2를 100㎛로부터 실용상 최대가 되는 500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 외장부 31로서의 외관, 가공성, 내식성 등을 고려해 가장 적합한 뒷뚜껑을 형성하려면, 300 ~ 2000㎛의 범위에서 T2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의 실험에서는,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 D2를 0 ~ 5000㎛ 구간에서 변화시켰을 때 수신한 신호의 이득을 계측했다. 이 실험에서는 설치되는 안테나부 32는 도체지름 65㎛, 코일수 2000의 실험용 안테나를, 몸통 45는 두께 2000㎛의 것을, 뒷뚜껑 41은 두께 800㎛의 것을 사용했고, 몸통 45와 안테나부 32와의 거리 D1을 1000㎛로 설정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로부터 40 kHz의 신호를 송신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이 결과, 도 19에 나타나듯이 수신한 신호의 이득은 거리 D2가 0㎛(뒷뚜껑 41에 안테나부 32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의 약 -49.6 dB에서 거리가 멀어져 가면 서서히 상승한다. 이 실험에 대해, 몸통 45만의 경우(즉, 뒷뚜껑 41을 없앴을 경우), 수신 신호의 이득은 -38.8 dB가 되기 때문에 이득이 거의 이 값이 되었을 때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 D2에 대한 이득의 상승은 포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득의 상승이 포화하는 거리 D2는 5000㎛이며, 더 이상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을 떼어 놓아도 이득을 올릴 수 없게 된다. 덧붙여, 도 19에 나타내는 실선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구한 근사 곡선이다.
상기 제 4의 실험에 의하면,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 D2는 떼어 놓는 편이 이득이 상승해 수신 감도가 좋은 상태가 되지만, 거리 D2가 5000㎛를 넘으면 이득의 상승이 포화해 일정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거리 D2를 0~5000㎛ 사이에 설정하면 이득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시계 케이스로서 사용 가능한 크기 등을 고려하면, 거리 D2를 100~7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실험의 결과에 근거하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30의 한 구체적인 예를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파 수정 시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기본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되었다. 그리고, 무브먼트 42로 뒷뚜껑 41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 51이 형성되어 있어 그 공간 51 안에 안테나부 32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 안테나부 32는 상기 무브먼트 42의 아래쪽 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테나부 32는 금속 외장부 31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설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내면과 틈을 두고 배설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몸통 부재 45와 뒷뚜껑 41은 모두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 강철(예를 들면 SUS316L)로 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 앞서 실험 결과에 근거해, 몸통 부재 45의 두께는 1600㎛로 안테나부 32에서 몸통 45의 내면까지의 거리는 2000㎛로 설정되어 있다. 또, 뒷뚜껑 41의 두께는 800㎛로 안테나부 32에서 뒷뚜껑 41의 내면까지의 거리는 3000㎛로 설정하였다.
상기 구성의 전파 수정 시계 30에 대해서는, 안테나부 32가 수신한 표준 전파에 근거해 무브먼트 42내의 CPU가 표시 구동부를 동작시켜 지침 36을 항상 수정하도록 구동한다. 이 때에, 본 구체적인 예에서는, 몸통 45 및 뒷뚜껑 41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몸통 두께, 뒷뚜껑 두께, 안테나부와 몸통 45 및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각각 수신 감도를 최대로 하는 실험 결과에 근거한 값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안테나 근방에서의 공진 현상의 난조를 줄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뒷뚜껑 41의 내면 혹은 몸통 45의 내면에, 금, 금 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전기 저항율이 7.0 μΩ·㎝ 이하인 비자성 부재를 달면, 이득이 2~3 dB정도 향상하는 것이 실험에서 확인되고 있다.
또, 몸통 부재 45와 뒷뚜껑 41의 한편 또는 양쪽 모두에 침탄(浸炭) 처리 등의 경화 처리를 가하는 것도 가능한데, 경화 처리를 가한 것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는 인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체적인 예와는 다른 구체적인 예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기본적인 구성은 같지만,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재질, 몸통 45의 두께,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 뒷뚜껑 41의 두께,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 리를 앞서의 구체적인 예와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즉, 본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의 몸통 45와 뒷뚜껑 41은 티탄으로 형성되어 있다. 티탄으로 된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경우, 그 몸통 두께는 고압 방수에 대응하는 규격을 상정해 앞서의 구체적인 예보다 두꺼운 2000㎛로, 뒷뚜껑 두께도 이와 같이 1000㎛로 설정하였다.
또, 몸통 45 및 뒷뚜껑 41의 재질과의 관계에 의해, 안테나부 32와 몸통 45 및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좁혀도 지장없는 수신 감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를 500㎛로,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400㎛로 설정하였다.
본 구체적인 예의 경우에도, 뒷뚜껑 41의 내면 혹은 몸통 45의 내면에, 전술한 구체적인 예와 같은 비자성 부재를 달면, 이득을 2~3 dB정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한편 또는 양쪽 모두에 질화(窒化) 처리 등의 경화 처리를 가하는 것도 가능한데, 경화 처리를 가한 것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는 인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난 다른 구체적인 예와 관련되는 전파 수정 시계는, 도 2에 나타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재질을 다른 것으로 한 것이다.
즉, 도2의 구성에 있어서, 몸통 45와 뒷뚜껑 41은 황동재로 형성되어 경면(鏡面)처리를 한 후, 도 22에 나타난 것처럼, 습식 도금에 의해 표면에 Pd 등의 도 금층 221, 222가 형성되어 마무리 처리가 된 것이다. 황동재는 실험에서 확인된 수신 감도를 양호한 상태로 하는 전기 저항율이 7.0 μΩ·㎝ 이하의 비자성 부재이며, 몸통 두께의 설정과 함께 수신 감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의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경우, 도금을 한 것 이외는 앞서의 구체적인 예와 같고, 몸통 두께는 1600㎛로, 뒷뚜껑 두께는 800㎛로 설정하였다. 또,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의 거리를 2000㎛로, 안테나부 32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3000㎛로 설정하였다. 몸통 45와 뒷뚜껑 41의 도금층 221, 222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 같은 습식 도금에 의해 형성된다.
처음에, 기초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부 300, 본체부 301에, 도금욕(조성:Na2SnO3·3H2O 60 g/ℓ(리터), CuCN 20 g/ℓ, K2SO3H 10g/ℓ, KCN(프리) 30g/ℓ, KOH 60g/ℓ, Zn(CN)2 5 g/ℓ), 물온도 50℃, 전류 밀도 2. 4 A/dm2, pH 12. 5, 석출 속도 0.33 ㎛/min, 시간 6 분의 조건으로 도금을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 300, 본체부 301의 표면에, 약 2㎛의 Cu-Sn-Zn합금의 기초 도금층이 형성된다.
다음에, 이 기초 도금층 위에 이하의 조건으로 도금을 하는 것으로 Sn-Cu-Pd합금 도금층을 형성한다. 도금조(조성:Na2SnO3·3H2O 60g/ℓ(Sn 환산량 26. 7g/ℓ), CuCN 20g/ℓ(Cu 환산량 14. 2g/ℓ), K2SO3H 10g/ℓ, KCN(프리) 30g/ℓ, KOH 60g/ℓ, K2Pd(CN)4·3H2O 30g/ℓ(Pd 환산량 9.3g/ℓ)). 도금 조건:물온도 50~55℃, 전류 밀도 2.0 A/dm2, 전류 효율 47. 8%, pH 12.5 ~ 13, 석출 속도 0.33 ㎛/min, 시간 9분. 이같은 도금에 의해 기초 도금층 위에, 두께 약 3㎛, 경도(Hv) 약 300, 밀도 9.6 g/㎤의 Sn-Cu-Pd 합금 도금층이 형성된다. 이 도금층의 조성을 주사전현(走査電賢)과 X선 마이크로 애널라이저로 간이 정량 했는데, Sn:17.12 중량%, Cu:44.22 중량%, Pd:38.66 중량% 의 3원 합금인 것이 확인되었다.
그 후, Sn-Cu-Pd 합금 도금층 위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도금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도금층이 형성된다. 도금욕(일본 고순도 화학(주) 제의 「파라브라이토 SSS」(상품명)). 도금 조건:욕온 55℃, 전류 밀도 1.5 A/dm2, pH 7.6, 석출속도 0.33㎛/min, 시간 6분. 이러한 도금에 의해, 두께 약 2㎛의 백색광택을 가지는 Pd 도금층이 형성되어 도금층 221, 222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도금층 221, 222가 형성된 몸통 45와 뒷뚜껑 41은, 염화 나트륨 9.9 g/ℓ, 황화 나트륨 0.8 g/ℓ, 요소 7.1 g/ℓ, 암모니아수 0. 19 ㎖/ℓ, 사카로오스 0.2 g/ℓ, 유산(50%) 0.8 ㎖/ℓ로 구성한 인공땀(온도 40℃)에 24시간 담가두는 내식 시험을 실시해도, 표면의 변색 없이, 양호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다. 또, 몸통 45와 뒷뚜껑 41은, 온도 200℃에 5시간 방치하는 가열 시험을 실시해도 도금층 221, 222의 박리가 전혀 인지되지 않았고, 내열성도 양호한 것이다.
본 구체적인 예에서 몸통 45와 뒷뚜껑 41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몸통 두께, 뒷뚜껑 두께, 해당 안테나부 32와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각각 수신 감도를 최대로 하는 실험 결과에 근거한 값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안테나 근방에 서의 공진 현상의 난조를 줄여, 수신 감도의 향상을 이루었다. 또, 몸통 45와 뒷뚜껑 41에 표면 마무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시계로서 사용할 때에 필요한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갖추고 있으며 또, 중후하고 고급감이 있는 백색계 금속 광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관 품질도 높은 것이 된다.
또, 상기 어느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도, 도 22에 나타내는 뒷뚜껑 41과 같이, 뒷뚜껑 41에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내면을 평탄하게 해, 뒷뚜껑 41을 평면적인 형상으로 하면, 돌출부를 마련했을 경우에 비해 안테나부 32 주변의 공진 현상의 난조를 줄여, 수신 감도를 약 2 dB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시계의 더 소형화, 슬림화 하기 위해, 안테나부 32의 지향성을 고려하여, 안테나부 32와 몸통 45 혹은 뒷뚜껑 41과의 거리를 0으로 하는 일도 가능하다. 더욱이, 안테나부 32의 지향성을 고려하면서, 안테나부 32의 외면과 몸통 45의 내면 또는 뒷뚜껑 41의 내면이 평행이 되도록 안테나부 32를 배치하거나 뒷뚜껑 41의 내면에 대해서 안테나부 32의 일단면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해 세로로 세운 상태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의 금속 외장부 31은 몸통 45와 뒷뚜껑 41로 구성되어 있지만, 몸통 45의 상부에 베젤이나 링을 마련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 이 경우, 후술하듯이, 몸통, 베젤, 뒷뚜껑의 어느 쪽인가가 비자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수신 감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베젤 등을 몸통 45와 별체로 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몸통, 베젤, 뒷뚜껑을 모두 비자성 부재로 형성할 경우 뿐만 아니라, 일부분을 비자성 부재로 형성해도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 경우, 안테나부 32가 평행하게 투영 되는 부분, 혹은 안테나부 32의 끝부분과 마주하는 부분만을 비자성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바람직하다. 또, 금속 및 비자성 부재는 한 종류만을 이용하는 것 말고도, 복수의 금속 및 비자성 부재를 조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통 45나 뒷뚜껑 41에 사용하는 재질의 선정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험과 같이, 사용하는 재질로 형성한 실험용의 몸통 45와 뒷뚜껑 41 안에, 실험용 안테나를 설치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송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실험을 통해 선정했다. 이 실험의 결과, 금, 금 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초경 금속(텅스텐카바이드를 포함한 합금)의 경우는, 스텐레스 강철, 티탄, 티탄 합금, 탄타르카바이드의 경우에 비해, 이득이 2 ~ 3 dB(데시벨) 높아졌다. 또, 같은 실험에 의해, 수신 감도가 양호해지는 금속으로 외장부를 형성했을 경우 뿐만이 아니라, 수신 감도가 저하하는 금속으로 외장부를 형성했다 하더라도, 그 일부에 수신 감도가 양호해지는 금속을 사용하는 것으로, 외장부 안에 있는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도 검증했다.
또, 실험에 사용한 금속의 전기 저항율을 비교해, 전기 저항율이 7μΩ·㎝ 이하의 것이 양호한 수신 감도를 유지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결과, 금, 금합금, 은, 은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초경 금속과 같은 비자성 부재로 외장부 전체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하면, 금속을 사용한 외장부라도 수신 감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더욱, 외관 품질이 뛰어난 스텐레스 강철, 티탄, 티탄 합금, 탄타르카바이드와 같이 전기 저항율이 높은 금속으로 된 전자기기의 외장부라도, 그 일부에 상기 비자성 부재로 된 부분이 있으면 수신 감도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도 검증되었다.
또, 몸통 45와 뒷뚜껑 41 등의 재질에 대해서는, 색채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 베젤 등에 수지 부품을 사용하거나 장식을 위해서 몸통 부재의 측면으로 수지의 데코레이션을 단 것이 있지만, 이러한 구성의 것이어도 기본적인 구성 부분에 금속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본 발명에서의 금속 외장부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몸통의 내면과 안테나부의 외면이 대략 평행을 이루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또, 금속 외장부 31의 뒷뚜껑 내면과 안테나부의 외면이 대략 평행을 이루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금속 외장부 31의 뒷뚜껑 41은 평면적인 2차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뒷뚜껑 41의 내면에 대해서 안테나부의 한쪽 끝부분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설하는 일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내면에 전기 저항율이 7.0μΩ·㎝ 이하의 비자성 부재가 적어도 1개 고정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고, 해당 비자성 부재는 금, 은, 동, 황동, 알루미늄, 아연, 마그네슘, 또는 그러한 합금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는, 자심재 38과 자심재 38에 복수 감겨진 코일 40으로 구성되어 자심재 38의 축선을 포함한 적어도 1개의 평면을 따라, 안테나부 32가 평행하게 투영되는 부재 또는 부재의 투영 되는 부분이 비자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안테나부 32는 자심재 38과 자심재 38에 복수로 감겨진 코일 40으로 구성되어 적어도 상기 안테나부 32의 끝부분과 각각 마주하는 부재 또는 해당 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이 비자성 부재로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각 구체적인 예와는 별도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기 30의 정전기 대책을 갖출 필요도 있어, 금속 외장부 31의 적어도 일부에 전기적 도통부(道通部)가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해당 본 발명에 있어서 정전기 처리 기구로서는, 몸통 45 혹은 뒷뚜껑 41의 일부에 적절하게 전기적인 도통부를 마련하는 것이며, 상기 도통부는 안테나부 32로부터 소정의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통 방법으로서는 용접, 은 페이스트, 전도 링, 혹은 전도 수지, 코킹 등의 처리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 혹은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푸쉬 버튼 혹은 용두의 일부에 그것들이 압입 되었을 경우, 당겼을 경우에 적당한 접점이 서로 닿아 정전기를 방출하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전도 링을 전자기기 혹은 전파 수정 시계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어도 좋다. 전파 수정 시계에 있어서, 몸통과 베젤부와 적어도 한 개소를 용접하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몸통과 베젤부와의 사이에 적어도 한 개소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기 30에 관계되어, 접합부 39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 저항값을 다른 부위의 전기 저항값과 다르게 하기 위한 다른 구성을 하여, 예를 들면,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가 접합해 형성되고 있는 접합부 39의 일부의 평면적이 나머지의 접합부의 평면적보다 작아지는 것처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안테나부 32의 코일 부분 40이 투영되는 몸통 45 및/또는 뒷뚜껑 41의 일부의 두께를 그 외의 몸통 45 또는 뒷뚜껑 41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하는 일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본원 발명을 실용화하는 검토를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전자기기 30에 있어서 복수의 금속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금속 외장부 31을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부재간에 형성되는 접합부 39의 접합 압력에 의해, 안테나부 32의 이득이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자 등은 금속 외장부 31이 둘이나 그 이상의 복수의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그러한 복수의 금속 부재의 소정의 부위, 통상 주연부(周緣部)끼리를 서로 맞붙여, 소정의 가압 상태하에 용접 고정하든지, 복수의 볼트를 사용해 소정의 결합력으로 고정하든지, 코킹 방식으로 서로 감합(嵌合)시키든지, 미리 쌍방의 금속 부재에 수나사와 암나사를 따로 따로 형성해 두어, 그 양자를 소정의 토크를 가지고 고정하는 나사 방식, 안나사 방식이나, 패킹 고정 방식, 다보식 고정 방식, 스냅 방식, 용접 방식, 납땜 방식, 바이요넷트 방식, 고상(固相) 확산 접합 방식 등으로부터 하나 혹은 복수의 방식 등을 실용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 등은,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복수개의 금속 부재의 접합면의 접압(接壓)조건의 변화에 의해 안테나부 32의 안테나 이득이 변화하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난 종래의 구조로 된 전자기기 30의 몸통 45와 뒷뚜껑 41이 서로 접속되고 있는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뒷뚜껑 41의 조임 토크를 변화시키면 도 23에 나타내는 것처럼, 안테나부 32의 안테나 이득(dB)이 변화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조임 토크를 0 ~ 6 N·m 구간에서 변화시키면, 해당 토크가 강해질수록 안테나의 이득이 저하해, 최대 3 dB 정도 감쇠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토크가 6 N·m 이상은, 실질적으로 측정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측정은 하지 않았지만, 도 23으로부터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압력을 강하게 하면 안테나의 이득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합을 나사식이 아닌 상기한 용접 고정 방식, 복수의 볼트를 사용한 고정 방식, 혹은 코킹 방식, 패킹 고정 방식, 다보식 고정 방식, 스냅 방식, 용접 방식, 납땜 방식, 바이요넷트 방식, 고상 확산 접합 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 혹은 복수의 방식 등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자 등은 관련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검토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했다.
먼저, 도 33(A) 및 (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한 전자기기 30 내부에 Vdd 접점 용수철 R를 사용했을 경우와 해당 Vdd 접점 용수철 R를 떼어내든지 접어 구부려, 뒷뚜껑 41과의 접점을 끊었을 경우의 안테나부 32의 특성치를 비교해 그 결과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도 24중, 변경전의 데이터는 해당 Vdd 접점 용수철 R이 통상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측정한 데이터이며, 변경 후의 데이터는 Vdd 접점 용수철과 뒷뚜껑 41과의 접점을 끊었을 경우에 측정한 데이터이다. 쌍방의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안테나부 32의 특성치만 보면 이득 데이터를 포함해, 쌍방으로 실질적인 차이는 볼 수 없다. 하지만, 뒷뚜껑 41을 조여도 Vdd 접점 용수철 R을 없애는 것으로 조이는 것에 의한 해당 Vdd 접점 용수철 R의 영향을 없앨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자 등은 이어서 도 34(A) 및 (B)에 나타내는 것처럼, 무브먼트 42와 뒷뚜껑 41과의 접촉점을 없애서 뒷뚜껑 41의 조임에 의한 무브먼트 42의 변형의 영향을 없게 했을 경우의 안테나부 32의 특성치를 비교해, 그 결과를 도 25에 나타내었다. 도 25 중, 변경전의 데이터는 도 34(A)에 나타내는 것처럼 무브먼트 42와 뒷뚜껑 41과의 접촉점을 댐퍼 P를 개입시켜 남기고 있는 상태로 측정한 데이터이며, 변경 후의 데이터는 도 34(B)에 나타내는 것처럼 무브먼트 42와 뒷뚜껑 41과의 접촉점을 없게 했을 경우에 있어서 측정한 데이터이다. 쌍방의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안테나부 32의 특성치만 보면 이득 데이터를 포함해 쌍방에 실질적인 차이는 볼 수 없다. 하지만, 뒷뚜껑 41을 조여도 댐퍼 P를 없애는 것에 의해, 조이는 것에 의한 무브먼트 42의 영향을 없앨 수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자 등은 도 26(A)에 나타난 것처럼 금속 외장부 31에 있어서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사이에 적당히 절연물을 삽입해 뒷뚜껑 41이 무브먼트 42를 누르는 정도를 경감시켰을 경우의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도 26(B)에 나타내었다.
도 26(B)에서, 변경전의 데이터는 해당 절연물을 삽입하지 않는 상태로 측정한 데이터이며, 변경 후의 데이터는 해당 절연물을 삽입했을 경우에 측정한 데이터이다. 쌍방의 데이터를 비교해 보면, 무브먼트 42에의 영향을 경감시켜도 전혀 이득의 향상을 볼 수 없는 것으로부터, 뒷뚜껑 41을 조이는 것에 의해 무브먼트 42가 변형해 안테나 32의 특성이 저하한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거기서, 본 발명자 등은 도 6 및 도 8의 실험 결과를 재검토해 보았다. 도 6 및 도 8의 실험은 나사 조임 토크를 3 N·m 로 한 것이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선형 영역내에 접합부를 일부 잔존시키면 안테나부 32의 이득은 약간 저하하는 것은 상기했던 대로이다.
여기서, 본원 발명자 등은 또 다른 실험을 해 보았다. 즉, 도 6에 나타난 구성에 있어서, 간극부 55를 갖는 선형 영역을 그 중심 각도를 90도가 되도록 설정한 금속 외장부 31을 사용해, 뒷뚜껑 41의 조임 토크를 변화시켰을 때의 안테나부 32의 이득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27에 나타내었다.
도 27에서, 90도의 그래프는 이번 실험에 의해 얻을 수 있던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현 그래프는 간극부 55를 두지 않는 종래의 금속 외장부 31에서의 안테나의 이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해당 실험에 의한 구성의 경우에서는 뒷뚜껑 41의 조임 토크에 의한 안테나부 이득의 감쇠량이 종래의 구조의 것에 비해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결과로부터, 안테나의 주변의 나사부를 제거한 것에 의해 안테나의 이득이 큰폭으로 향상하기는 하지만, 뒷뚜껑 조임 토크가 높아지는 것에 의해 안테나 주변 의 나사부가 자기적 결합을 일으켜 안테나의 공진 현상을 저해하는 와류손이 발생해 안테나의 이득이 감소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외장부 31의 몸통 45와 뒷뚜껑 41과의 접합력은 너무 강하게 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각각의 접합 방식으로 적절한 결합력 혹은 접합력을 요하는 것이 된다.
그렇지만, 실험에 사용하는 샘플의 조임 토크를 일정하게 해도, 방수 시험 후의 해이(解弛) 토크의 값은 격차가 생긴다. 예를 들면, 조임 토크를 2 N·m로 했을 경우, 방수 시험 후의 해이 토크는 최대 1.6 N·m, 최소 0.8 N·m, 평균 1.1 N·m (측정수 30 샘플)이며, 합계 토크를 3 N·m로 했을 경우, 방수 시험 후의 해이 토크는 최대 3.5 N·m, 최소 1.7 N·m, 평균 2. 5 N·m (측정수 30 샘플)였다. 또, 조임 토크의 값에 의하지 않고, 합계 토크가 0.1 N·m에 못 미친 샘플에서는 방수 시험에 불합격 되는 것도 있었다.
상기에서, 합계 토크가 6 N·m보다 강하면 측정이 곤란하고, 한편 안테나 이득의 값으로부터도 6 N·m보다 강할 필요성은 없는 바, 해이 토크도 6 N·m 이하가 좋다고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해이 토크가 0.1 ~ 6 N·m, 실용상 바람직하지는, 0.2 ~ 3.5 N·m이면 좋다.
또, 전술한 패킹 고정 방식, 다보식 부착 고정 방식 등의 경우는 몸통과 뒷뚜껑을 떼어내기 위한 힘(이하 상호 박리력)이 10-4N·m여도 방수 시험에서 문제 없었다. 단, 상호 박리력도 6.0 N·m 이상은 측정이 곤란하고, 안테나 이득으로부터 도, 6.0 N·m보다 강할 필요는 없는 바, 상호 박리력은 10-4 N·m ~ 6.0 N·m이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개입시켜 자속을 수신해 공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몸통(측부)과 뒷뚜껑과의 서로 접합되어있는 그것도, 상기 몸통(측부)과 뒷뚜껑과의 상호 박리력이 10-4N·m ~ 6.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여도 좋고 혹은,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통해 자속을 수신해 공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서로 나사 기구로 접합되고 있되 몸통(측부)과 뒷뚜껑과의 상호 해이 토크가 0.1 N·m ~ 6.0 N·m 이며, 바람직하기는 0.2 N·m ~ 3.5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기 30의 금속 외장부 31의 접합부를 상위(相違)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했다.
즉, 상기 금속 외장부 31의 몸통 45를 상동부(上胴部)와 중동부(中胴)에서 구성해 상기 상동부와 중동부와의 사이에 패킹을 압입한 것을 뒷뚜껑으로 폐쇄한 후, 뒷뚜껑의 조임 토크를 3 N·m로 접합한 샘플(A, B, C, F)과 상기 상동부와 중동부를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해 뒷뚜껑으로 폐쇄한 후 뒷뚜껑의 조임 토크를 3 N·m로 접합한 샘플(D, E)을 작성해, 각각의 샘플내에 동일한 안테나부 32를 도 28에 나타내는 것 같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해 해당 안테나의 특성치를 측정했다.그 결과를 도 29에 나타내었다.
도 29의 비교 실험 결과로부터 분명히, Ti제의 샘플(D)과 SS제의 샘플(E)에 관한 안테나 이득치가 저하하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원인으로서는, 상기 상동부와 중동부와의 접합면에 강한 자기 결합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 때문에, 상기 샘플(D)와 (E)에 있어서 도 28에 나타내는 상기 상동부와 중동부와의 접합면에 형성되고 있는 레이저 용접 부분 39 중, 중심각 90도의 선형 영역 부분 57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해 간극부 55를 형성해 절연 기능을 갖게하는 것처럼 한 결과, 다른 샘플과 같은 이득치를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를 도 30에 나타내었다.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서는, 상동부와 중동부의 상호 접합 부분을 용접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몸통과 뒷뚜껑의 상호 접합 부분을 마찬가지로 레이저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몸통과 뒷뚜껑의 상호 접합 부분도 도 4(A)에 나타난 것처럼 환상의 접합부 3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나타내지만, 관계되는 환상의 접합부 39 전면을 레이저 용접하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상기와 같이 환상의 접합부 39에서 안테나부와 마주하는 부분은 레이저 용접하지 않고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서 남겨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특징에 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즉, 본 특징에 있어서는, 안테나, 시계 무브먼트, 문자판, 외장 케이스, 뒷뚜껑으로 구성되는데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는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 문자판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시계 무브먼트와 함께 배치되어 있고 안테나는 문자판과 평면적으로 겹쳐진 위치에 배치되고 있으며 문자판은 비금속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전파 수정 시계이다.
더욱이, 본 특징에 있어서는 문자판과 시계 무브먼트의 사이에, 시계 무브먼트의 동력이 되는 태양전지를 두고 태양전지가 비금속 또한 자기를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태양전지가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을 주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상기 특징과 관련되는 전파 수정 시계의 한 구체적인 예의 구성을 도 37 및 도 38을 이용해 설명한다.
즉, 도 37및 도 38에는 태양전지식 아날로그 전파 시계를 나타낸 것인데, 도 37은 주된 구성부품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38은 마찬가지로 주된 구성부품의 개략을 나타내는 문자판쪽에서 본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37및 도 38에 대해, 외장 케이스 503 및 뒷뚜껑 504는 모두 금속으로 형 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에 의해 통상의 시계와 동등한 두께의 전파 시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안테나 501은 금속제의 외장 케이스 503, 똑같은 금속제의 뒷뚜껑 504, 문자판 505로 형성된 원통형의 폐공간 507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지만, 시계 무브먼트 502 및 안테나 501에서 문자판 505의 사이에, 문자판 505를 투과하는 빛에 의해 발전하는 태양전지 508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외장 케이스 503 및 뒷뚜껑 504를 금속으로 형성했을 경우, 문자판 505도 금속으로 형성해 버리면 안테나 501은 완전하게 금속 부재로 가림한 폐공간 507에 수납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안테나 501에 도달하는 전파 509가 이러한 금속 부재 때문에 감쇠해 버린다. 그 결과, 완성 시계로서 필요 충분한 수신 감도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술한 것처럼, 안테나 501에 전파 509가 입사 하면 안테나권심부 501a를 전파가 투과 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501의 주위에 자계가 발생하고, 안테나 코일부 501b에 전류가 생긴다. 그렇지만, 안테나 501의 부근에 자기를 투과하기 쉬운 대형의 금속 부재가 배설되어 있는 경우, 안테나 501을 중심으로 발생한 자계의 일부가 근방의 금속 부재쪽으로 흡수되어 버려, 결과적으로 안테나 501의 공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충분한 수신 감도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특징에서는 안테나 501을 수납하는 폐공간 507의 한 면을 형성하는 문자판 505, 및 문자판 505와 시계 무브먼트 502의 사이에 끼어있는 태양전지 508을, 전파를 투과하기 쉬운 비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 징이다. 구체적으로는, 문자판 505는 광투과 가능한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시각을 표시하는 눈금이나 장식은 그 크기가 문자판 505의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이 지극히 작기 때문에 금속이나 도금이어도 수신에의 영향은 거의 없지만 고분자 수지가 바람직하다. 태양전지 508은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으로 대표되는 비금속의 재질로 성형하고 있다. 혹은, 고분자 수지 필름 등의 비금속판에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을 증착한 필름 형태의 것도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 508은 문자판 505처럼 자기를 투과하는 비금속제이기 때문에, 문자판 505에서 비금속인 유리 506을 투과해 오는 전파 509의 입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도 37에 나타나듯이, 완성 시계 상태로 안테나를 수납하고 있는 폐공간 507, 즉 본 실시(實施) 형태의 경우는 원통형의 공간이지만, 그 한 면을 자기적으로 열어 놓는 것에 의해, 근방의 금속 부재에 의해 흡수되는 자속의 양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테나 501에 의해 전파 509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전하게 자기적으로 차폐된 폐공간 안에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그 한면을 열어놓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 케이스 503 및 뒷뚜껑 504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전파 509b는 감쇠하지만, 문자판 505의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전파 509a는 유리 506, 문자판 505 및 태양전지 508을 투과해 안테나 501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장 케이스 503 및 뒷뚜껑 504를 금속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도, 전파 509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특징에 있어서 해당 전파 수정 시계에서는,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을 금속재질로 형성한 전파 시계에 대해, 한 쪽을 자기적인 개구부(開口部)로 하는 것에 의해, 금속 외장을 사용했을 경우에서도 필요 충분한 감도를 확보한 전파 시계를 실현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의 외장 케이스 및 금속제의 뒷뚜껑을 사용한 전파 시계에 대해, 문자판, 혹은 문자판과 적층(積層)된 태양전지를 모두 자기를 차폐하지 않는 비금속 재질을 사용해 형성했다. 이것에 의해,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 문자판으로 형성된 폐공간에 수납된 안테나에 전파를 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해, 금속제의 외장 및 뒷뚜껑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전파 시계에서는 어려웠던 완성 시계의 두께를 얇게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넓은 상품군에서의 상품 전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금속 외장의 특장점인 고급스러운 질감을 최대한으로 살린 전파 시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금속 외장 실현에 의해, 예를 들면 고방수성의 다이버 시계 등에의 응용도 가능해지는 등 본 발명의 효과는 절대적이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해 종래의 전파 수정 시계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구조, 외장 재료, 혹은 디자인 등을 큰폭으로 변경하는 일 없이 간단하고 쉬운 구성을 가지는 안테나부를 채용해, 수신 효율이 양호하고, 해당 전자기기 그 자체의 크기도 두께도 종래의 것과 차이없이 디자인면의 자유도를 높인, 제조 비용을 염가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70)

  1.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부를 통과해서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근접해 상기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안테나, 시계 무브먼트, 문자판,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으로 구성된 전자 시계인 경우에는,
    상기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은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외장 케이스 및 뒷뚜껑, 문자판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시계 무브먼트와 함께 배치되어 상기 문자판과 평면적으로 겹쳐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문자판은 비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과 시계 무브먼트의 사이에 시계 무브먼트의 동력이 되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태양전지는 비금속이고 자기를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비금속판을 이용한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부를 통과하여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외장부의 적어도 일부의 전기 저항값은 상기 금속 외장부의 그 외의 나머지 부분의 전기 저항값과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시계, 휴대전화, 라디오 커뮤니케이션 장치로 부터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공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금속 외장부에서의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스텐레스 강철, 티탄, 티탄 합금, 금, 금 합금, 은, 은 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및 초경 금속(텅스텐카바이드 및 탄타르카바이드를 포함한 합금)에서 선택된 하나 혹은 복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가 접합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통(측부)과 상기 뒷뚜껑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측부)과 뒷뚜껑은 서로 고착되어 있거나 또는 서로 착탈될 수 있 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측부)과 상기 뒷뚜껑은 나사 방식, 안나사 방식, 복수의 볼트를 사용한 고정 방식, 코킹 방식, 패킹 고정 방식, 다보식 고정 방식, 스냅 방식, 용접 방식, 납땜 방식, 바이요넷트 방식, 고상(固相) 확산 접합 방식 등에서 선택된 하나 혹은 복수의 방식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 부재는 복수의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은 내동부재(內胴部材)와 외동부재(外胴部材)로 구성되고 내동부재와 외동부재는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과 뒷뚜껑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 부재의 일부에는 파이프, 유리, 베젤, 안레지 혹은 미카에시에서 선택된 적어 도 하나의 삽입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중, 한쪽의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이 다른편의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에 있어서 상호 접합부의 전기 저항값이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통과하여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와 뒷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측부)과 뒷뚜껑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측부)와 뒷뚜껑과의 상호 박리력은 10- 4N·m ~ 6.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통과하여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와 뒷뚜껑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측부)와 뒷뚜껑은 서로 나사 기구를 통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측부)와 뒷뚜껑간의 상호 해이 토크는 0.1 N·m ~ 6.0 N·m 이며, 바람직하기는 0.2 N·m ~ 3.5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상호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금속의 전기 저항값과는 다른 전기 저항값을 가지는 삽입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와는 별체로 형성 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부재이며, 적어도 해당 접합부에 맞닿는 해당 부재에 형성된 막체(膜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막체는 상기 금속 외장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부재에 적당한 표면 처리 및/또는 경화 처리를 가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는 습식 도금 방식, 건식 도금 방식 및 열처리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전기 저항값은 상기 금속 외장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전기 저항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수지, 고무(유기물), 산화물 등의 절연물, 박막, 잉크 및 도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27. 제 9 항 내지 제 17 항 및 제 20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가 접합해 형성된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에 비접합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의 적어도 한편의 금속제 부재에 있어서 해당 접합면의 일부를 제거해 상기 접합부간에 간극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의 높이는 0.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0.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몸통(측부) 및 뒷뚜껑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측부) 및 뒷뚜껑이 나사 기구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나사 기구의 일부를 제거해 간극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1. 제 9 항 내지 제 17 항 및 제 20 항 내지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금속제 부재가 접합해 형성되어 있는 접합부의 적어도 일부의 평면적이 나머지의 접합부의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코일 부분이 투영되는 상기 몸통 및/또는 뒷뚜껑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그 외의 몸통 또는 뒷뚜껑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3.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로 구성되어 있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통과하여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최대지름보다 짧은 최대 길이의 직선 모양 혹은 만곡(滿曲)의 막대 모양의 자심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바깥 둘레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5. 제 1 항 내지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최소 하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에 의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처리 장치 및 상기 안테나부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외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금속 외장부는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금속 외장의 외부로부터 상기 금속 외장을 통과해서 들어온 자속을 수신해 공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최대지름 보다 짧은 최대 길이를 가지는 직선 모양 혹은 만곡의 막대 모양의 자심을 가지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바깥 둘레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7. 제 1 항 내지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바깥 둘레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8. 제 20 항 내지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삽입부재 혹은 상기 간극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상기 삽입부재 혹은 상기 간극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안테나부의 자심부 양끝과 상기 금속 외장부의 중심부로 형성되는 선형 영역내에 포함되는 해당 접합 부분에 연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영역은 상기 안테나부의 자심장과 상기 접합부의 각도의 비로 나타나는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영역의 각도 범위는 30에서 180도, 바람직하기는 50 ~ 120도, 보다 바람직하기는 60 ~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2. 제 1 항 내지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전기적 도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3.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의 L값은 1600 m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4.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L값은 800 m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5.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L값은 220 m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6.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의 코일 저항은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7.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저항은 40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8.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저항은 100 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9.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의 코일수는 1000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0.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수가 1500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1. 제 1 항 내지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0.1 mmΦ 이하의 굵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2. 제 1 항 내지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전술한 금속 외장부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3. 제 1 항 내지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내면과 간극을 두고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4.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몸통의 두께가 300㎛ 에서 5000㎛ 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5.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몸통 두께가 500㎛에서 2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
  56.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몸통 부재 내면으로부터 안테나부까지의 간극이 0에서 40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7.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몸통 부재 내면으로부터 안테나부까지의 간극이 500㎛에서 10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8.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뒷뚜껑 두께가 100 ㎛에서 5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9.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금속 외장부의 뒷뚜껑 두께가 300㎛에서 2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0.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뒷뚜껑 내면으로부터 안테나부까지의 간극이 0 에서 50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1.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와 상기 안테나부는 뒷뚜껑 내면으로부터 안테나부까지의 간극이 100㎛에서 700㎛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2.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몸통 내면과 상기 안테나부의 외면이 대략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3.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뒷뚜껑 내면과 상기 안테나부의 외면이 대략 평행을 이 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4.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뒷뚜껑이 평면적인 2 차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5. 제 1 항 내지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뒷뚜껑 내면에 대해서 상기 안테나부의 한쪽 끝을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6. 제 1 항 내지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부의 내면에 전기 저항율이 7.0 μΩ·㎝ 이하인 비자성 부재가 적어도 1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 부재는 금, 금 합금, 은, 은 합금, 동, 구리합금, 황동,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아연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1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8. 제 66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자심재와 이 자심재에 복수로 감겨진 코일로 구성되어 자심재의 축선을 포함한 적어도 1개의 평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부가 평행하게 투영되는 부재 또는 상기 부재의 투영되는 부분이 상기 비자성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9. 제 66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자심재와 이 자심재에 복수로 감겨진 코일로 구성되어 적어도 상기 안테나부의 끝부분과 각각 마주하는 부재 또는 상기 부재가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비자성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0. 제 1 항 내지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측부)이나 뒷뚜껑 중에서 적어도 한쪽에, 표면 처리 및/또는 경화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57012266A 2003-05-15 2004-05-17 안테나부를 내장한 금속 외장부를 갖는 전자기기 KR101074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6757 2003-05-15
JP2003136757A JP2004340700A (ja) 2003-05-15 2003-05-15 アンテナ付電子時計
JPJP-P-2003-00140456 2003-05-19
JP2003140456A JP4143693B2 (ja) 2003-05-19 2003-05-19 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282A true KR20060021282A (ko) 2006-03-07
KR101074443B1 KR101074443B1 (ko) 2011-10-17

Family

ID=3345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266A KR101074443B1 (ko) 2003-05-15 2004-05-17 안테나부를 내장한 금속 외장부를 갖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1337B2 (ko)
EP (1) EP1624525B1 (ko)
KR (1) KR101074443B1 (ko)
DE (1) DE602004025098D1 (ko)
HK (1) HK1077928B (ko)
WO (1) WO20041027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627A (ko) * 2015-02-17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3171B2 (ja) * 2003-03-25 2007-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改質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EP2071667B1 (en) * 2003-11-27 2018-02-28 Hitachi Metals, Ltd. Antenna, and radio-controlled timepiece, keyless entry system, and RFID system comprising it
JP4695088B2 (ja) * 2004-08-25 2011-06-0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機器
US7355556B2 (en) * 2004-09-30 2008-04-08 Casio Computer Co., Lt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EP1893080A2 (en) 2005-06-21 2008-03-05 CardioMem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implantable wireless sensor for in vivo pressure measurement
JP2007240401A (ja) * 2006-03-10 2007-09-20 Casio Comput Co Ltd 電波時計及びアンテナ装置
EP2048551B1 (en) * 2006-07-13 2018-10-17 Citizen Watch Co., Ltd. Clock with wireless function
JP4595901B2 (ja) * 2006-07-27 2010-1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機器ケース、腕時計ケースおよび電波時計
JP5015156B2 (ja) * 2006-08-09 2012-08-29 シチズン時計河口湖株式会社 表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器類
US8686908B2 (en) * 2006-08-10 2014-04-01 Kouichi Kusunoki Wireless function watch
US7215600B1 (en) * 2006-09-12 2007-05-08 Timex Group B.V. Antenna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4290746B2 (ja) * 2007-03-28 2009-07-0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コンピュータおよびアンテナ距離設定機構
US20100198582A1 (en) * 2009-02-02 2010-08-05 Gregory Walker Johnson Verbal command laptop computer and software
WO2011068562A1 (en) * 2009-12-02 2011-06-09 Andrew Llc Panel antenna having sealed radio enclosure
JP5344026B2 (ja) * 2010-12-28 2013-11-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波受信機器
US11896365B2 (en) 2011-06-30 2024-02-13 Endotronix, Inc. MEMS device for an implant assembly
US10226218B2 (en) 2011-06-30 2019-03-12 Endotronix, Inc. Pressure sensing implant
US10638955B2 (en) 2011-06-30 2020-05-05 Endotronix, Inc. Pressure sensing implant
EP3345536A1 (en) 2011-06-30 2018-07-11 Endotronix, Inc. Implantable sensor enclosure with thin sidewalls
EP2895059B1 (en) 2012-09-14 2019-11-06 Endotronix, Inc. Delivery system
JP5678972B2 (ja) * 2013-02-15 2015-03-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
US9531059B2 (en) 2013-05-24 2016-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de face antenna for a computing device case
US9543639B2 (en) 2013-05-24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ck face antenna in a computing device case
US9698466B2 (en) 2013-05-24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ting structure formed as a part of a metal computing device case
US9152129B2 (en) * 2014-06-25 2015-10-06 Dilshan Thilina Modaragamage Electronic watch clasp systems and methods
DE102015100519B3 (de) * 2015-01-12 2016-03-03 P3 Communications GmbH Gehäuse für ein Mobiltelefon
EP3489772B1 (en) 2016-07-20 2020-11-18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radio-controlled watch
KR102501935B1 (ko) * 2016-08-31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EP3575889B1 (en) * 2017-02-16 2022-11-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Wearable device
WO2018195430A1 (en) 2017-04-20 2018-10-25 Endotronix, Inc. Anchoring system for a catheter delivered device
AU2018304316A1 (en) 2017-07-19 2020-01-30 Endotronix,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US11990673B2 (en) * 2021-12-09 2024-05-21 Garmin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integrated within a photovoltaic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5627B2 (ja) * 1998-12-31 2007-09-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DE19926271C2 (de) * 1999-06-09 2002-09-26 Junghans Uhren Gmbh Funkarmbanduhr
DE19929925A1 (de) 1999-06-29 2001-01-18 Point Tec Electronic Gmbh Tragbare Uhr
JP2001208875A (ja) * 2000-01-31 2001-08-03 Mitsubishi Materials Corp 腕時計の識別用タグ及びこれを内蔵した腕時計
JP2001264463A (ja) * 2000-03-21 2001-09-26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波時計
DE60135855D1 (de) 2000-07-19 2008-10-30 Hanex Co Ltd Rfid-etiketten-gehäusestruktur, rfid-etiketten-installationsstruktur und rfid-etiketten-kommunikationsverfahren
JP3679338B2 (ja) 2000-08-02 2005-08-03 株式会社ハネックス Rfidタグの収容構造及び設置構造
US20020071346A1 (en) * 2000-12-11 2002-06-13 Daniel Paratte Portable object, in particular a timepiece, including a sealed container mounted in a metallic case
JP2002293644A (ja) * 2001-03-29 2002-10-09 Citizen Watch Co Ltd 太陽電池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太陽電池用基板を用いた太陽電池とその太陽電池を文字板に用いた太陽電池時計
DK1400876T3 (da) 2001-06-29 2012-05-07 Maruman Products Co Ltd Radioarmbåndsur
JP2003050983A (ja) 2001-08-03 2003-02-21 Seiko Epson Corp 非接触データ通信機能を備えた装着型電子機器及び非接触データ通信システム
WO2003023525A1 (fr) * 2001-09-07 2003-03-20 Seiko Epson Corporation Montre electronique presentant une fonction de communication de donnees sans contact et systeme de communication de donnees sans contact
JP2003215271A (ja) 2002-01-18 2003-07-30 Seiko Epson Corp 電子時計
JP3596548B2 (ja) * 2002-03-27 2004-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および電子機器
DE20211848U1 (de) 2002-08-01 2002-10-31 Creativ Product Elektro Und Fe Gehäuse für Funkarmbanduhr
EP1398676A1 (fr) * 2002-09-10 2004-03-17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Montre comportant un module électronique pour la mémorisation d'informations logé dans le fond de la boíte
CN1659742B (zh) * 2002-09-11 2011-04-13 西铁城控股株式会社 天线结构和无线电控制的时计
EP1420476B1 (en) * 2002-11-13 2008-02-06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Wrist watch containing internal tag, radio watch, and antenna for wrist watch
DE602004014082D1 (de) * 2003-05-09 2008-07-10 Seiko Epson Corp Elektronische uhr mit kabelloser kommunikation funk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627A (ko) * 2015-02-17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5098D1 (de) 2010-03-04
EP1624525B1 (en) 2010-01-13
HK1077928A1 (en) 2006-02-24
WO2004102738A1 (ja) 2004-11-25
KR101074443B1 (ko) 2011-10-17
EP1624525A1 (en) 2006-02-08
US7321337B2 (en) 2008-01-22
US20060109188A1 (en) 2006-05-25
HK1077928B (zh) 2011-04-01
EP1624525A4 (en)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443B1 (ko) 안테나부를 내장한 금속 외장부를 갖는 전자기기
KR100978519B1 (ko) 전자기기
JP2007013862A (ja) ア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電波時計、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rfidシステム
US8259024B2 (en) Radio wave receiver with an antenna structure
JP2004340700A (ja) アンテナ付電子時計
JP4297909B2 (ja) アンテナ構造体及び電波修正時計
EP1548875B1 (en) Antenna structure and radio correction clock
JP2009250667A (ja) 電波受信装置
WO2007108502A1 (ja)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を備えた電波受信機器
JP2006333183A (ja) アンテナ及び電子機器
EP1577719B1 (en) Radio-controlled clock/watch
JP2008141387A (ja)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053158A (ja) 電子機器
JP2005164354A (ja) 電子機器
JP2006112866A (ja) 機器ケース、腕時計ケース及び電波腕時計
JP3512782B1 (ja) アンテナ構造体及び電波利用時計
JP2006340101A (ja) アンテナ構造体及び電波修正時計
JP4784498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JP4143693B2 (ja) 電子機器
JP2005274359A (ja) 電波時計
JP2006105864A (ja) アンテナ及び電波時計
JP5392294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5874338B2 (ja) アンテナ構造体、電波受信機器及びアンテナ構造体の製造方法
JP5163941B2 (ja) 受信アンテナ及びこれを用いた受信装置
JP4952398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