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604A -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604A
KR20060020604A KR1020057018042A KR20057018042A KR20060020604A KR 20060020604 A KR20060020604 A KR 20060020604A KR 1020057018042 A KR1020057018042 A KR 1020057018042A KR 20057018042 A KR20057018042 A KR 20057018042A KR 20060020604 A KR20060020604 A KR 2006002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emulsion
sensitive adhesive
aqueous
acrylic pressure
resi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에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엔쵸후 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엔쵸후 로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엔쵸후 로만
Publication of KR2006002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60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5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P1/525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 D06P1/5257(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염색, 인쇄, 페인팅, 코팅 등의 처리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대상물에 대한 기능성 화합물의 고착성 및 견뢰도가 양호하여 대상물의 질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수성 염착제 조성물 및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로 한다.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후에 염료, 안료, 약제, 악취 방지제, 향료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염색, 인쇄, 페인팅 또는 코팅용 점착제 조성물로 한다.

Description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COLORING COMPOSITION AND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염색, 인쇄, 페인팅, 코팅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수성 염착제 조성물 및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색제로서 염료나 안료를 사용하는 염색 분야에서는 염색해야 할 섬유의 종류에 따라 직접 염료, 반응 염료, 산성 염료, 분산 염료, 안료 등이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어느 경우에나 염색 공정 후에 수많은 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어, 많은 노동력을 요하고 있음과 함께, 대량의 물을 소비하는 문제, 가열·증열 등을 위해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문제, 폐액 처리를 위한 설비비 및 경비의 증대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염료나 반응 염료를 사용하는 침염 방식의 염색법에 있어서는 피염색물의 견뢰도(堅牢度) (습윤 견뢰도, 내광 견뢰도, 내염소 견뢰도 등) 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양이온계의 염료 고착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어느 것이나 피염색물을 직접 염료 또는 반응 염료로 염색한 후에, 피염색물을 염료 고착제의 수용액 속에 침지시킴으로써 피염색물에 대해 염료를 고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많은 처리 공정이 필요해진다.
또한, 산성 염료로 양모, 견, 나일론 등을 염색할 때에는 습윤 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후처리로서 타닌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많은 처리 공정이 필요해진다.
또한, 색제로서 안료를 함유하는 날염용 잉크 등에 있어서는 아크릴계의 에멀전이 풀재 또는 바인더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의 잉크를 피염색물에 염착시킨 후, 증열 그 밖의 후처리에 의해서 안료를 피염색물에 고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많은 처리 공정이 필요해진다.
한편, 털실이나 양모 등에 있어서는 그 질감을 좋게 하기 위한 마무리 처리제, 또는 필링(peeling) 방지용 처리제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전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처리제에 의한 코팅막의 고착성이 우수한 종래의 마무리 처리제는, 털실이나 양모 제품 등의 질감을 손상시킨다는 결점이 있고, 또한 털실이나 양모 제품 등의 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마무리 처리제는 고착성이 나쁘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염료를 섬유에 염착시키기 전에 염료와 염료 고착제를 혼합하면, 염료와 염료 고착제가 결합하여 응집이 일어나고, 그 결과, 염료가 더이상 섬유에 염착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염색제나 잉크로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염료를 섞은 것으로 염색하더라도, 만족한 습윤 견뢰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 인쇄, 페인팅, 코팅 등의 처리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대상물에 대한 기능성 화합물의 고착성 및 견뢰도가 양호 한 염착제 조성물 및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 처리의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털실이나 양모 제품에 대한 고착성 및 견뢰도가 양호하여 털실이나 양모 제품의 질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곱슬마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것에 염료를 섞으면, 놀랍게도, 매우 견뢰하고 염착성이 좋은 수성 염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염료를 함유하는 염착제 조성물로 염색하면, 염착제 조성물이 수성임에도 불구하고, 염료가 거의 번지지 않고, 또한 염착제 조성물의 수분이 증발된 상태에서는 피염색물의 질감이 손상되지 않고, 발색성이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습윤 견뢰도를 갖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염착제 조성물로 염색한 피염색물은, 일반적으로는 그대로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염색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것에 안료를 섞으면, 마찬가지로, 매우 견뢰하고 염착성이 좋은 수성 염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안료를 함유하는 염착제 조성물은, 단순히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안료를 혼합하기만 한 염착제 조성물과 비교하면, 피염색물의 섬유에 대한 안료의 고착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이 안료를 함유하는 염착제 조성물로 염색하면, 염착제 조성물이 수성임에도 불구하고, 색이 거의 번지지 않고, 염착제 조성물의 수분이 증발한 상태에서는 피염색물의 질감이 손상되지 않고, 발색성이 양호하고, 또한 충분한 습윤 견뢰도를 갖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안료를 함유하는 염착제 조성물로 염색한 피염색물도 역시, 일반적으로는 그대로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염색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 또는 안료를 함유하는 염착제 조성물은 섬유의 종류에 대한 제한이 없고, 어떠한 섬유 구조물에 대해서나 강고하게 염착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 나무, 돌, 유리, 플라스틱 등의 표면에도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염착할 수 있다.
또한,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것은 상대 부재에 대한 흡착성이 양호하고, 또 수분이 증발하면 유연성, 투명성, 광택성 및 발수성이 우수한 폴리머 수지의 피막을 형성하므로, 코팅제로서 바람직하고, 특히 털실이나 양모 제품 등에 대한 곱슬마디 방지용 코팅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것에, 염료나 안료와 함께, 또는 염료나 안료를 생략하고 다른 기능성 화합물, 예를 들어, 약제, 향료, 악취 방지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이들 기능성 화합물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염착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와, 염료, 안료, 약제, 악취 방지제, 향료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함유하여,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후에 기능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염색, 인쇄, 페인팅 또는 코팅용 염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分)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입자 하전이 음이온성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기능성 화합물이 수계 매체 중에 있어서 음이온성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일반식이,
CH2=CH-CH2-NHR
(식 중,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8 의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아르알킬기,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현되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 또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와, 그들과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2중결합을 갖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0681호에 실시예로서 개시되는 폴리 양이온 수용액, 특히 식 (1) 또는 (2) 의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Figure 112005053589076-PCT00001
(2)
Figure 112005053589076-PCT00002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입자 하전이 음이온성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기능성 화합물이 수계 매체 중에 있어서 음이온성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일반식이,
CH2=CH-CH2-NHR
(식 중,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8 의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아르알킬기,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현되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 또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와, 그들과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2중결합을 갖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80681호에 실시예로서 개시되는 폴리 양이온 수용액, 특히, 식 (3) 또는 (4) 의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Figure 112005053589076-PCT00003
(4)
Figure 112005053589076-PCT00004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형 점착제는 수계 매체가 45∼50중량%, 수지분이 50∼55중량%, 점도가 6,000∼10,000mPa·s/30℃, 평균 입자 직경이 0.2∼0.5㎛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할 때에는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10∼50중량%,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50∼90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의 혼합물에 염료, 안료, 약제, 악취 방지제, 향료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혼합하는 경우, 수계 매체에 이용성(易溶性)의 기능성 화합물에 있어서는 적량의 수계 매체에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하고, 반면 수계 매체에 불용성(不溶性)의 기능성 화합물에 있어서는 적량의 수계 매체 내에 거의 균일하게 분산시킨 상태에서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의 혼합물에 혼합시킨다. 그리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적량의 수계 매체로 희석하여, 염색, 인쇄, 페인팅, 코팅 등을 위한 염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있어서의 수지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계 모노머와 아세트산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노머, 유화제 및 물의 계에서 유화 중합시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헥실, 아크릴산헵틸,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옥타데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헥실, 메타크릴산헵틸, 메타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옥타데실, 히드록시메타크릴산에틸 등이 예시된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각종 지방산염, 고급 알코올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인산염, 알킬페닐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합시에 필요에 따라, 증점제, 안정제, 방부제 등의 미량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점도가 5,000∼20,000mPa·s/30℃, 평균 입자 직경이 0.1∼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가 -20∼-60℃, 최저 조막(造膜) 온도가 -5∼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수성 에멀전은 pH 를 4∼8 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로서는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술폰기,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를 갖는 직접 염료 또는 반응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료에 대해서도 유기안료, 무기안료 등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표면에 음이온기를 부여하여 수중 분산성을 갖게 한 것이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중 분산성을 갖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는 가능한 한 입자 직경이 균일하고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작은 것 (0.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안료의 평균 입경이 0.02㎛ 보다 작으면 충분한 착색 농도가 얻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계 매체는 물 또는 물과 수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 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물이 약 45중량%, 수지분이 약 55중량% 이고, 수지분은 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아세트산비닐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점도가 8,000mPa·s/30℃, 평균 입자 직경이 0.2∼0.5㎛ 이었다.
사용한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PH 1.5∼3.5, 비중 약 1.13/20℃, 점도 약 5mPa·s/20℃ 의 폴리 양이온 수용액이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분자 구조를 갖는 닛토 보세키 주식회사 제 폴리 양이온 수용액 (상품명: 단픽스-723) 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05053589076-PCT00005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와 상기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중량비로 약 1:5 의 비율로 거의 균일하게 혼합한 후, 직접 염료를 적량의 물로 용해한 수용액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성 염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염착제 조성물을 다시 물로 약 10배로 희석하여 잉크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1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실시예 1 과 동일 조성물이지만,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함유하지 않고,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에 직접 염료를 적량의 물로 용해한 수용액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성 염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염착제 조성물을 다시 물로 약 10배로 희석하여 잉크액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의 잉크액과 비교예 1 의 잉크액을 사용하여, 대상물로서 목면 섬유의 직포, 양모 섬유의 직물, 나일론 섬유의 직물, 아크릴 섬유의 직물, 종이, 유리판에 각각 붓으로 도포 (염색) 한 후,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켰다.
대상물을 목면 섬유의 직포, 양모 섬유의 직물, 나일론 섬유의 직물, 아크릴섬유의 직물, 종이 및 유리판으로 하였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실시예 1 의 잉크액과 비교예 1 의 잉크액에 의한 염색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색의 번짐
습윤 견뢰도 ×
색의 선명성
광택
발수성
질감
백탁
여기서, 잉크액 도포시에 있어서의 색의 번짐 상태에 대해서는, 색이 거의 번지지 않은 상태를 ○, 다소 색이 번진 상태를 △, 색이 크게 번진 상태를 × 로 하였다. 또한, 습윤 견뢰도에 대해서는 자연 건조 후에 세탁기로 5분간 수세하였을 때에 색이 거의 빠지지 않은 상태를 ○, 색이 다소 빠진 상태를 △, 색이 많이 빠진 상태를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염착면의 색의 선명성, 광택, 발수성, 질감에 대해서도, 양호를 ○, 불량을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피막의 백탁 상태에 대해서는 백탁이 없는 상태를 ○, 백탁이 있는 상태를 × 로 하였다.
상기 비교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의 염료계 잉크액이 종합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물이 약 45중량%, 수지분이 약 55중량% 이고, 수지분은 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아세트산비닐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점도가 8,000mPa·s/30℃, 평균 입자 직경이 0.2∼0.5㎛ 이었다.
사용한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PH 1.5∼3.5, 비중 약 1.13/20℃, 점도 약 5mPa·s/20℃ 의 폴리 양이온 수용액이고, 구체적으로는 닛토 보세키 주식회사 제 폴리 양이온 수용액 (상품명: 단픽스-723) 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와 상기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중량비로 약 1:5 의 비율로 거의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대하여, 안료 분말을 적량의 물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안료액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성 염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염착제 조성물을 다시 물로 약 10배로 희석하여 잉크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2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실시예 2 와 동일 조성물이지만, 이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에 대하여, 안료 분말을 적량의 물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안료액을 거의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성 염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염착제 조성물을 다시 물로 약 10배로 희석하여 잉크액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 의 잉크액과 비교예 2 의 잉크액을 사용하여, 대상물로서 목면 섬유의 직포, 양모 섬유의 직물, 나일론 섬유의 직물, 아크릴 섬유의 직물, 종이, 유리판에 각각 붓으로 도포 (염색) 한 후,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켰다.
대상물을 목면 섬유의 직포, 양모 섬유의 직물, 나일론 섬유의 직물, 아크릴섬유의 직물, 종이 및 유리판으로 하였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실시예 2 의 잉크액과 비교예 2 의 잉크액에 의한 염색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비교예 2
색의 번짐
습윤 견뢰도 ×
색의 선명성
광택
발수성
질감
백탁
여기서, 잉크액 도포시에 있어서의 색의 번짐 상태에 대해서는, 색이 거의 번지지 않은 상태를 ○, 다소 색이 번진 상태를 △, 색이 크게 번진 상태를 × 로 하였다. 또한, 습윤 견뢰도에 대해서는 자연 건조 후에 세탁기로 5분간 수세하였을 때에 색이 거의 빠지지 않은 상태를 ○, 색이 다소 빠진 상태를 △, 색이 많이 빠진 상태를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염착면의 색의 선명성, 광택, 발수성, 질감에 대해서도, 양호를 ○, 불량을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피막의 백탁 상태에 대해서는 백탁이 없는 상태를 ○, 백탁이 있는 상태를 × 로 하였다.
상기 비교 결과를 통해, 실시예 2 의 염료계 잉크액이 종합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물이 약 45중량%, 수지분이 약 55중량% 이고, 수지분은 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아세트산비닐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점도가 8,000mPa·s/30℃, 평균 입자 직경이 0.2∼0.5㎛ 이었다.
사용한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PH 1.5∼3.5, 비중 약 1.13/20℃, 점도 약 5mPa·s/20℃ 의 폴리 양이온 수용액이고, 구체적으로는 닛토 보세키 주식회사 제 폴리 양이온 수용액 (상품명: 단픽스-723) 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와 상기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중량비로 약 1:5 의 비율로 거의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액을 다시 물로 약 10배로 희석하여 코팅액으로 하였다.
비교예 3
사용한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는 실시예 2 와 동일 조성물이지만, 이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를 다시 물로 약 100배로 희석하여 코팅액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3 의 코팅액과 비교예 3 의 코팅액을 사용하여, 이들 코팅액에 양모 섬유의 직물을 침지한 후,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켰다.
실시예 3 의 코팅액과 비교예 3 의 코팅액에 의한 피막 형성 결과를 이하의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비교예 3
습윤 견뢰도 ×
광택
발수성
질감
백탁
곱슬마디 형성 ×
여기서, 습윤 견뢰도에 대해서는 자연 건조 후에 세탁기로 5분간 수세하였을 때에 피막이 거의 떨어지지 않은 상태를 ○, 피막이 다소 떨어진 상태를 △, 피막이 많이 떨어진 상태를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코팅면 광택, 발수성, 질감에 대해서도 양호를 ○, 불량을 × 로 하였다. 또한, 건조된 피막의 백탁 상태에 대해서는 백탁이 없는 상태를 ○, 백탁이 있는 상태를 × 로 하였다. 곱슬마디 형성에 대해서는 코팅 후의 피막면을 마찰시켰을 때에, 곱슬 마디가 생기는 상태를 ○, 곱슬마디가 생기지 않는 상태를 × 로 하였다.
상기 비교 결과를 통해, 실시예 3 의 코팅액이,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액에 비하여 양호한 곱슬마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상기 실시예 1∼3 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와 폴리 양이온 수용액의 혼합비를 약 1:1∼1:10 으로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3 과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실시예 1∼3 에 있어서의 잉크액 또는 코팅액의 물에 의한 희석도를 상기 100배에서 200∼500배로 변경한 경우이더라도, 상기 실시예 1∼3 과 거의 같은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성 에멀전 점착제와 상기 폴리 양이온 수용액을 중량비로 약 1:5 의 비율로 거의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 혼합액에 대하여, 수성의 향료, 악취 방지제, 약제 등을 적량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로 하고, 이 코팅제 조성물을 다시 물로 약 100배로 희석하여 얻은 코팅액을 각종 섬유의 직물에 도포하여,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킨 바, 직물에 대한 고착성이 양호한 코팅 피막이 얻어지고, 또한 이 코팅 피막으로부터 향료, 악취 방지제, 약제 등의 기능성 화합물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3 의 변형예로서, 수지분이 아크릴·아세트산비닐 중합체인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 대신에, 수지분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 대상물의 질감 및 습윤 견뢰도가 다소 저하되지만,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염착제 조성물 또는 코팅제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염색, 인쇄, 페인팅, 코팅 등의 처리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대상물에 대한 기능성 화합물의 고착성 및 견뢰도가 양호하여 대상물의 질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염착제 조성물 및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팅 처리의 공정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고, 또한 털실이나 양모 제품에 대한 고착성 및 견뢰도가 양호하여 털실이나 양모 제품의 질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곱슬마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와, 염료, 안료, 약제, 악취 방지제, 향료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함유하여, 수성 에멀전형 점착제와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한 후에 기능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염색, 인쇄, 페인팅 또는 코팅용 염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分)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입자 하전이 음이온성인 염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합물이 수계 매체 중에 있어서 음이온성인 염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일반식이,
    CH2=CH-CH2-NHR
    (식 중,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8 의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아르알킬기,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현되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 또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와, 그들과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2중결합을 갖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착제 조성물.
  7.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에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코팅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가 수계 매체와 수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수지분이 중합 모노머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아세트산비닐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멀전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입자 하전이 음이온성인 코팅제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계 수용성 폴리머는 일반식이,
    CH2=CH-CH2-NHR
    (식 중,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18 의 알킬기, 치환 알킬기, 아르알킬기,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현되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 또는 모노알릴아민 유도체 또는 그 염의 중합체와, 그들과 공중합가능한 불포화 2중결합을 갖는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제 조성물.
KR1020057018042A 2003-03-26 2004-03-26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KR20060020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86634 2003-03-26
JPJP-P-2003-00086634 2003-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604A true KR20060020604A (ko) 2006-03-06

Family

ID=3309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042A KR20060020604A (ko) 2003-03-26 2004-03-26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41238A1 (ko)
EP (1) EP1621590A1 (ko)
JP (1) JPWO2004085553A1 (ko)
KR (1) KR20060020604A (ko)
CN (1) CN1795242A (ko)
WO (1) WO2004085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0043B1 (en) * 2003-06-24 2010-03-03 Denenchofu Roman Co., Ltd. Ink-accepting layer forming material
JP2008002047A (ja) * 2006-05-22 2008-01-10 Sanyo Shikiso Kk カチオン性繊維浸漬吸収処理分散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繊維浸漬吸収処理浴及び機能繊維
JP2009075084A (ja) * 2007-08-30 2009-04-09 Sakura Color Prod Corp 洗浄確認用インジケータを用いた洗浄度の確認方法
JP2010180293A (ja) * 2009-02-04 2010-08-19 Toray Fine Chemicals Co Ltd アクリルエマルジョン組成物
WO2012135622A1 (en) * 2011-03-31 2012-10-04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perse dyeing of textile fibers
WO2014198999A1 (en) * 2013-06-13 2014-12-18 Opes Corporation Oy Matrix
CN106223022A (zh) * 2016-07-27 2016-12-14 董荣琴 一种新型纺织用水溶性处理剂及其制备方法
CN107988822B (zh) * 2017-10-27 2022-06-28 浙江理工大学 分散染料免水洗印花的高染料载递性粘合剂及制备方法
CN112160038B (zh) * 2020-09-10 2022-08-16 深圳市华远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带颜色的聚乳酸丝束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0079A1 (de) * 1984-01-03 1985-07-11 Röhm GmbH, 6100 Darmstadt Wasserspreitendes kunststoff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 verwendung als verglasungs- und bedachungsmaterial
US4889559A (en) * 1984-06-04 1989-12-26 Goldberg Murrell A Latent ink
JPH0723589B2 (ja) * 1988-09-16 1995-03-15 日東紡績株式会社 直接染料用染料固着剤
JP2660312B2 (ja) * 1992-05-29 1997-10-08 ヘキスト合成株式会社 含フッ素系水性撥水撥油組成物
DE4223599A1 (de) * 1992-07-17 1994-01-20 Bayer Ag Bindemittelsystem
US6124417A (en) * 1995-08-25 2000-09-26 Avery Dennison Corporation Water-activatable polymers for ink-jet imprintable constructions
US6080229A (en) * 1996-04-16 2000-06-27 Seiko Epson Corporation Reaction solution for ink jet recording method using two liquids
US5851613A (en) * 1997-03-03 1998-12-22 Brandeis University Absorbent filter paper stick
US6153288A (en) * 1997-07-24 2000-11-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k-receptive compositions and coated products
DE69824996T2 (de) * 1997-09-05 2004-12-16 Seiko Epson Corp. Tintenzusammensetzung zur Erzeugung eines Bildes mit ausgezeichneter Lagerstabilität
JP3781250B2 (ja) * 1998-06-11 2006-05-31 キョーワ株式会社 メッシュシー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防炎メッシュシート
US6306049B1 (en) * 1999-03-01 2001-10-23 Acushnet Company Method of improving impact resistance in golf ball core formulations
JP2000265380A (ja) * 1999-03-15 2000-09-26 Kyoeisha Che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受容組成物
US6245851B1 (en) * 1999-07-06 2001-06-12 Air Products Polymers, L.P. Vinyl acetate/ethylene high solids emul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85553A1 (ja) 2006-06-29
WO2004085553A1 (ja) 2004-10-07
EP1621590A1 (en) 2006-02-01
US20060241238A1 (en) 2006-10-26
CN1795242A (zh)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693B1 (ko)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ES2307201T3 (es) Dispersiones acuosas de polimeros anionicos solubles en agua y/o hinchables en agua,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on y su empleo.
JPS6183267A (ja) インクジェット染色法
KR20060020604A (ko)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CN1205280C (zh) 耐用性改进的油墨/织物结合物
WO2005000594A1 (ja) インク受容層形成剤及び水性インク
JP2003064319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1042912A (ja) 着色繊維の製造方法
JP3824181B2 (ja) 消去性着色剤組成物
JP4297451B2 (ja)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
CN108474162A (zh) 用于喷墨组合物的拔染试剂
DE102004058271A1 (de) Verwendung von wässrigen Dispersionen von wasserlöslichen (Co)polymerisaten von mindestens einem ethylenisch ungesättigten Monomer MON zur Herstellung von Textilhilfsmitteln
JPH0284471A (ja) 筆記用水性インキ組成物
EP4053331A1 (en) Formaldehyde-free, aqueous composition for discharge printing of fabric
JP4967240B2 (ja) 捺染剤及び該捺染剤で捺染された合成繊維布帛
KR100710496B1 (ko) 생지 나염용 호료 조성물
WO2007080914A1 (ja) 着色材組成物
JP4341923B2 (ja) 絵具
JPH01162880A (ja) セルロース繊維材料の染色法
DE102004054034A1 (de) Verwendung von wässrigen Dispersionen von wasserlöslichen (Co)polymerisaten von mindestens einem ethylenisch ungesättigten Monomer MON zur Herstellung von Tex-tilhilfsmitteln
JPS6119656B2 (ko)
KR920000868B1 (ko) 직물류에의 인쇄를 위한 인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TW200817552A (en) Printing paste
JPH0860025A (ja) 繊維類の点描着色用着色ビーズ
JP2003073607A (ja) 染色用クレヨン及び該染色用クレヨ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