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93B1 -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93B1
KR100338693B1 KR1019997005544A KR19997005544A KR100338693B1 KR 100338693 B1 KR100338693 B1 KR 100338693B1 KR 1019997005544 A KR1019997005544 A KR 1019997005544A KR 19997005544 A KR19997005544 A KR 19997005544A KR 100338693 B1 KR100338693 B1 KR 10033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mposition
dye
weight
whiteboar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582A (ko
Inventor
산티니안드레에프.
밀러리챠드이.
로완데이비드
레이디크리스
폭스폴
Original Assignee
안 드와이트
비니 앤드 스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800,755 external-priority patent/US5981626A/en
Application filed by 안 드와이트, 비니 앤드 스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안 드와이트
Publication of KR2000006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7Wri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염료 담체, 방출제 및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며 세척가능한 건식 소거 착색 조성물. 염료차단 첨가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및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식 소거되는 착색 조성물은 화이트보드에 마킹하기 적합하며 피부와 섬유로부터 증가된 도산성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산 염료, 폴리머 염료, 물, 막형성 수지, 방출제 및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세척과 소거가 가능한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위의 상을 종이로 전이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a)염료 차단제를 함유한 세척가능 착색 조성물로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에 상을 생성, (b)생성한 상 위에 습윤지 부착, (c)습윤지를 문질러 종이로의 상 전이, 및, (d)종이의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WASHABLE COLOR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DRY ERASE MARKERS}
이 출원은 1997. 2. 14자 미국 특허출원 08/800,755호 및 1997. 8. 1자 미국 특허출원 08/918,732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건식(乾式) 소거 보드로 알려진 화이트보드(whiteboards)는 사무실, 학교, 기타 장소에서 초크보드(chalkboard) 대용으로 흔하게 사용된다. 화이트보드 위의 글씨는 펠트, 마른 천 또는 종이로 가볍게 문지르면 소거된다. 일반적으로 표면은 멜라민(melamine), 비닐(vinyl),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polyethlene laminate) 혹은 에나멜 수지(enamel resin)를 함유한다. 따라서 그 표면은 매끄럽고 완전한 비공성이며 또한 단단하고 하얀색을 띤다. 선택적으로 화이트보드는 아크릴릭 (acrylic) 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UV curable resin)와 같은 폴리머 필름막을 포함하기도 한다.
화이트보드와 같은 불투수성 표면에 글씨를 쓰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들이 개발되었다. 화이트보드에 사용적합한 조성은 우선 쉽게 소거되어야 하며, 흔히 '고스팅(ghosting)'이라 일컬어지는 눈에 보이는 흔적을 남겨서는 안된다.
현재 화이트보드에 사용되는 착색 조성물은 잘 알려진 몇 가지 결점이 있다. 우선 이들의 대부분은 유독한 알코올이나 용매를 함유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954,174호와 5,316,574호 그리고 5,324,764호에서는 불투수성 표면에 글씨를 쓰기 위한 소거 가능 잉크의 조성이 알코올과 같은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또 한가지는 대부분의 마커가 상당한 시간 경과 후에도 화이트보드에 남아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용되는 화이트보드 마커는 의류를 얼룩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 지속성은 소위 내구성 잉크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특성이지만 아이들이 사용하는 착색 도구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마커 조성에는 기본적으로 물을 이용한다. 미국 특허 5,412,021호와 5,561,175호는 안료와 분리제 , 수용성 수지를 포함하는, 물을 기초로 한 조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용성 조성은 직물과 피부로부터의 도산성(逃散性 - fugitivity)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소거 가능한 착색 조성물이 피부로부터의 도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로부터 뛰어난 세척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섬유에 대해서도 증가된 세탁성을 가지는 건식 소거 가능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및 의류에 얼룩을 남기기 쉬운 어린아이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독성이 없는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와 의류에서 세척 가능하며, 화이트보드나 또 다른 비공성 표면에 사용가능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가적인 목적은 화이트보드 또는 다른 비공성 표면 위에 착색 조성물이 생성한 상(image)을 종이 위로 전이시키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에 기술될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염료차단 첨가제를 착색 조성물과 혼합함에 의해, 피부로부터의 도산성이 크게 개선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많은 경우, 염료차단 첨가제가 통상 아이들의 의류에 사용되는 섬유 및 다른 물질의 표면으로부터의 도산성을 크게 증가시킨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가장 일반적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산 염료 및 폴리머 염료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착색제와 염료차단제(dyeblocke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료차단제는 피부, 섬유 및다른 물질의 표면상에 있는 염료 수용체 위치와 결합이 가능한 음이온성 물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설포네이트로서, 바람직하게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및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직물에서 용이하게 세탁되고, 그리고 피부에서도 용이하게 세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착색 조성물에 효과적인 양으로 첨가함에 의해,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착색 조성물에 피부로부터의 용이한 세척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적절한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로서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및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염료 담체, 방출제 및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또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과 같은 염료차단제를 포함하는 세척성이 뛰어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착색 조성물은 화이트보드 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막형성 수지를 함유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물, 막형성 수지, 방출제 그리고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커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와 같은 비공성 표면혹은 화이트보드 위의 상을 종이로 전이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a)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염료 담체, 막형성 수지, 방출제 및 염료차단제를 함유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로 화이트보드 위에 상을 표시한 뒤 b)표시한 상 위에 습윤지(moistened paper)를 부착시킨다 c)종이 위를 가볍게 문질러 상을 전이시킨 뒤 d)표면으로부터 종이를 떼어낸다.
본 발명은 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염료 담체, 방출제 그리고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또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을 포함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을 그려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케치 및 색칠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식(乾式)으로 소거 가능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척성이 뛰어난 액상 착색 조성물을 함유하는 필기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이트보드 (whiteboards)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즉 마커에 사용하기 위한 착색 조성물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세척성이 뛰어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산 염료 또는 폴리머 염료 착색제, 염료 담체, 방출제 및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 염료차단제 계통의 물질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료차단제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및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또한 착색 조성물은 막형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척성이 뛰어난 착색 조성물은 피부 및 섬유로부터 증가된 도산성을 나타낸다. 상기 착색 조성물은 화이트보드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간단한 방법에 의해 흔적 없이 소거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료차단제는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착색 조성물에 제공한다. 복수의 물질들을 염료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성기와 같이 반응성이 뛰어난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음이온성 물질(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또는 중합체)을 염료차단제로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염료차단제가 작용하는 메카니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음이온성 물질에 존재하는 산성기가 피부, 섬유 및 다른 물질의 표면에 있는 염료 수용 위치와 결합함으로써 염료 수용체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고 판단된다. 적절한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는 피부, 일부 섬유 및 다른 물질의 표면에 통상 존재하는 아미노기와 반응하는 직쇄된 사슬 또는 카르복시기, 설포닉기(sulfonic group), 니트릭기(nitric group) 등과 같은 반응성이 뛰어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의 바람직한 예로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염료차단제는 착색 조성물의 안정성을 해치지 아니한다. 이 때 안정성이라 함은 축합 산물 첨가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을 2주일 동안 140℉로 유지하였을 때 침전되지 아니하며 pH 또는 색깔의 현저한 변화를 보이지 아니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염료차단제는 피부 뿐만 아니라 섬유 그리고 다른 물질의 표면에 대한 착색 조성물의 도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염료차단제는 종종 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막은 물질의 반응 위치로 염료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얼룩이 지속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염료차단제는 미국 특허 4,501,591호에 설명되어 있다.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중에서 선형이며, 저분자량의 축합 산물이 적절하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평균분자량이 1000보다 더 적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250-700 범위의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이 적절하다. 그러한 축합 산물은 수용성이며, 포름알데히드와 하나 이상의 페놀(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놀은 페놀 설폰산 또는 그것의 알칼리 금속 염임)을 약 1.0/0.8 (포름알데히드/페놀)의 몰비, 7 이하의 pH 및 HCl과 같은 산 촉매 하에서 반응시키는 것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인지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놀은 페놀 설폰산 또는 그것의 알칼리 금속 염과 다이하이드록시 아로마틱 다이페놀 설폰과 같은 설폰을 포함하며, 이 축합 생성물은 페놀 설폰산 또는 그것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설폰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은 미국특허 Re. 33,365 및 미국특허 4,908,149호, 4,592,940호 및 4,680,212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상업적으로 유용한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염료차단제 중의 하나는 Aerochem 사의 AerofixTM이다. AerofixTM는 활성 축합 산물을 약 17 중량% 함유하고 있는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의 수용성 분산액으로 공급된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또 다른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염료차단제로는 Crompton and Knowles 사의 Intratex NTM(18 중량%의 활성 축합 산물을 함유하고 있는 분산액), GCI Technologies, Inc.사의 Gascofix NYTM(29 중량%의 활성 축합 산물을 함유하고 있는 분산액)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AerofixTM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AerofixTM은 뛰어난 피부 세척성 및 섬유 세탁성을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제공한다. 다른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이 동등한, 또는 보다 뛰어난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상업적으로 유용한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염료차단제 중의 하나는 Rohm and Haas 사의 Tamol SNTM이며, 이것은 100 중량%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고형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다른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은 동등한, 또는 보다 뛰어난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다양한 염료차단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호환가능한 염료차단제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적절한 염료차단제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계면활성제의 예로 Dow Chemical Co.사의 Dowfax 8390TM있다. Dowfax 8390TM은 알킬레이티이드 다이페닐옥사이드 다이설포네이트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소디움 헥사데실다이페닐옥사이드 다이설포네이트(15-35%) 및 다이소디움 다이헥사데실다이페닐옥사이드 다이설포네이트(5-10%)이다.
염료차단 첨가제가 어떻게 피부 및 섬유로부터 도산성(fugitivity)을 부여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 아니하나, 축합 산물이 염료차단제를 함유하고 있는 착색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질의 반응 위치와 결합함에 의해 그러한 효과가 발생한다고 판단된다. 그 결과로, 본 발명 조성물의 착색제로 사용되는 염료는 기질(피부 또는 섬유)과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데 있어서 그 결합력이 감소된다.
착색제, 방부제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물에 기초한 복수의 염료 조성물 내에서 상기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AerofixTM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및 섬유로부터 도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을 함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존재하는 염료차단 첨가제의 양은 어떠한 축합 산물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축합 산물은 피부, 섬유, 및 다른 표면으로부터 도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 효과는 전체 착색 조성물에 약 1 중량%의 활성 축합 산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나타났다. 약 3.5 중량%의 AerofixTM를 활성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로써 사용한 경우 더욱 증가된 세척성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축합 산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착색 조성물의 피부, 섬유 및 다른 표면으로부터의 세척성은 보다 좋아진다. 그러나, 축합 산물의 양이 어느 이상이 되면 그 양이 증가하더라도, 착색 조성물의 세척성은 더 이상 개선되지 아니한다. 즉 염료차단 첨가제 농도의 상한선은 점성 및 착색 조성물의 안정성에 의해 제한받게 된다. 예를 들면, 상한선 이상의 농도로 사용될 경우, 착색 조성물은 점성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보이지 아니하며, 그리고 마커 잉크로 사용될 경우 마커 펜끝을 통해 흘러나오지 아니한다. 따라서, 축합 산물 첨가제의 농도는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2 내지 15 중량% 범위의 활성 축합 산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염료차단제로 AerofixTM분산액을 사용할 경우, 첨가제에 의한 이점은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적어도 약 10 중량%의 AerofixTM분산액을 사용할 때 나타난다. 그리고 통상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5 내지 60 중량%의 AerofixTM분산액을 사용할 수 있다.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15 내지 40 중량%의 AerofixTM분산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15 내지 30 중량%의 AerofixTM분산액을 사용할 경우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적절한 착색제로는 섬유에 대한 상당한 세탁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염료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염료가 착색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 피부에 대한 세척성 뿐만 아니라 섬유에 대한 세탁성도 증가된다. 폴리머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어떤 착색 조성물은 비누와 물로 문지름에 의해 피부와 섬유에서 세척되지만,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단지 물만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착색제로 산 염료가 있다. 그 예로는 Acid Violet 12, Acid Green 3, Acid Blue 9, Acid Yellow 17, AcidYellow 23, Acid Red 52 및 Acid Red 388 등이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Yellow F.D. & C. #6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적절한 착색제로 폴리머 염료가 있다. 폴리머 염료는 크로모포어(chromophore) 분자에 공유결합된 폴리머 사슬을 가지고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폴리머 염료의 예로 Palmer ScarletTM, Palmer BlueTM, Palmer MagentaTM, 및 Experimental Palmer FL Red A 10TM등이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머 염료는 Milliken Chemical 사에 의해 상업적으로 제공되며, 그리고 미국 특허 4,981,516호, 5,043,013호 및 5,059,244호에 의해 다루어지고, 당해 특허와 참고 문헌을 통해 그 개시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또 다른 폴리머 염료로는 폴리알킬렌옥시가 치환된 크로모포어(chromophore) 화합물이 포함되며, 폴리알킬렌옥시가 치환된 메틴 착색제가 그 예이다. 폴리머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어떤 착색 조성물은 비누와 물로 문지름에 의해 피부에서 세척되었지만,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단지 물만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벽지, 페인트칠된 벽, 목재 등의 표면에서 보다 쉽게, 또는 보다 완벽하게 소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또 다른 유형의 착색제로는 안료가 있다. 적절한 안료의 예로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또는 페릭 옥사이드와 같은 무기 안료, 또는 카본블랙, 프탈로시아닌(예를 들면, 카퍼 프탈로시아닌 블루), 아조 안료, 퀴나크리돈, 안트라퀴논, 다이옥사지인, 인디오, 티오인디오, 페리논, 페릴렌, 인돌레논 및 아조-아조메틴 등과 같은 유기안료를 포함한다. 캡슐화된 안료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안료는 그 정의상 불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좋은 색채를 형성하고 나머지 잉크 성분과 조화하기 위해서, 상기 안료는 수용성 분산 형태로 사용되어야 한다. 안료 분산은 안료, 수용성에 기초한 특성, 및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 시스템의 조합의 형태로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하나의 안료 분산이 착색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제조될 수 있다. 편의상 상업적 안료 분산이 본 발명에 사용된다. 통상 상업적 안료는 30 내지 74 중량%의 활성 안료 성분을 함유한다. 적절한 안료 분산의 예는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사에 의해 상품명 'Hostafine dispersions'으로 판매되는 Hostafine Rubine F6B(C.I. Pigment Red 184 dispersion), Blue B2G(Pigment Blue 15-3) 및 Black 7(Pigment Black 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폴리머 염료, 산 염료, 안료, 또는 그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색상을 얻기 위해 상기 착색 조성물은 둘 이상의 폴리머 염료, 둘 이상의 산 염료, 또는 둘 이상의 안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착색제는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2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착색제의 최소 농도는 요구되는 색도에 의해 결정되며, 특정한 응용에 있어서는 약 0.5 중량%의 착색제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있다. 착색제의 최대 농도는 안정한 조성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에 의해 대부분 결정되고, 다른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의 잉크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실질적인 상한선은 약 30%이지만, 착색제의 최대 농도는 요구되는 최종 산물의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보다 높은 농도는 보드에 얼룩을 남길 수 있고, 세척성을 감소시키며 바람직하지 아니한 높은 점성을 야기할 수 있다. 화이트보드에 사용하는 마커에 있어서, 염료의 다량 함유는 점성을 증가시켜 충분한 막형성 수지나 염료차단제를 첨가할 수 없게 하므로 결국 적절한 세척성을 갖지 못한다. 건식 소거 가능한 착색 조성물은 6 cps보다 작은 점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적 안료 분산이 사용될 경우, 실질적인 한계는 분산에 존재하는 안료의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대부분의 응용에 있어서,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활성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약 3 중량%의 활성 안료를 일반적인 마커 잉크에 사용하는 경우 좋은 착색이 얻어지며, 그리고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1.5 내지 5 중량%의 활성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또한 나머지 다른 성분과 용액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물 또는 다른 염료 담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료 담체는 물이다. 염료 담체의 최대 양은 안정한 조성물을 형성하고 기질 상에서 최소한의 인식가능한 가시도를 가지는 마크(mark)를 형성할 수 있는 양이다. 물의 최소 양은 착색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안정한 용액을 형성하고 선택된 분배 요소로부터 자유롭게 분배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양이며, 이 때 조성물은 마커 잉크로 사용된다. 다른 적절한 염료 담체는 알코올 또는 물과 섞이는 다른 용매를 포함하며, 그 예로는 30% 변성 알코올 용액과 같은 것이 있다. 또한 물과 알코올 또는 물과 섞이는 다른 용매의 혼합물이 염료 담체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물/용매 염료 담체는 0 내지 100% 범위의 알코올 또는 물과 섞이는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염료 담체가 0 내지 50% 범위의 알코올 또는 물과 섞이는 다른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다. 착색 조성물에 사용되는 염료 담체의 양은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30 내지 90 중량% 범위이다. 물의 전체 또는 일부의 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에 사용되는 물의 병합 양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방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이 화이트보드 위에 마크(mark)를 표시할 때, 방출제는 화이트보드 표면과 막형성 수지 사이에 분리막을 형성시킨다. 막형성 수지는 보드의 표면이 아니라 방출제가 형성한 분리막 위에 존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착색제를 포함한 막형성 수지는 마른 천 등으로 쉽게 제거 될 수 있다. 방출제는 통상 폴리다이메틸실론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일염기 이상의 지방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에스테르 분자량이 100 이상인 모노 혹은 다이에스테르 다이하이드릭 알코올,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파라핀과 스쿠알렌 같은 하이드로카본, 400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알코올을 함유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등과 같은 실록산을 함유하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방출제로는 OSi Specialties, Inc.사에서 상표명 Silwet L-7230TM과 Silwet L-7607TM로 판매되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모디파이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고형물이 있다. 이외에도 동 회사의 Silwet L-7608TM, Dow Corning 사의 DCQ43667TM과 FF400TM, Union Carbide사의 CarbowaxTMPolyethlene Glycol 1450, Lipo Chemicals Inc.사의 Lipopeg 4LTM등이 방출제로 이용되나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이러한 방출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이트보드 마커의 잉크에 함유된 방출제의 양은 통상 전체 착색 조성물의 약 1 내지 30 중량% 범위이다.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5 내지 15 중량%의 방출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최소한 화이트보드에서 쉽게 지워질 있을 정도로 충분한 양의 방출제를 함유해야만 한다. 그러나 과도한 양의 방출제는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므로 일반적인 마커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상온에서 막을 형성하는 수용성 수지를 함유한다. 막형성 수지를 함유한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불투수성 표면에 마크(mark)를 한 뒤 건조시키면, 그 마크는 연속막을 갖게 된다. 또한 수용성 막형성 수지를 함유한 착색 조성물은 적당한 점성을 갖게 되므로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로 적합하며 얼룩을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염료차단 축합 산물 첨가제 역시 염료의 위치에 막형성제로 작용할 수 있다.
막형성 수지의 적절한 예로는 GAF Chemicals Corporation 사에 의해 상표명 PVP K-15TM로 판매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있다. PVP K-15TM는 통상 30 중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즉 물 70%)이다. PVP K-30TM과 같은 다른 분자량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모디파이드(modified)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모디파이드(modified)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수지의 예는 아라비아 고무, 로진(rosin) 또는 셸랙(shellac) 등과 같은 천연 수지; 로진 에스테르, 수첨 수지, 로진 모디파이드 말레익 산 수지, 또는 로진 모디파이드 페놀 수지 등과 같은 모디파이드 수지; 다양한 페놀 수지; 에틸 셀룰로오즈 수지 또는 아세틸 셀룰로오즈 수지 등과 같은 셀룰로오즈 수지; 케톤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피트롤륨 수지,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둘 이상의 수지 혼합물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다.
막형성 수지는 충분한 양을 사용해야 한다. 화이트보드 위에 사용하기 적합한 활성 막형성 수지는 전체 착색 조성물의 약 0 내지 10중량% 범위이나,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중량% 범위를 사용한다. PVP K-15TM로 판매되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용액을 막형성 수지로 사용했을 경우 전체 착색 조성물의 약 0 내지 30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약 5 내지 15중량%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막형성 수지의 양은 사용되는 개개의 착색제에 따라 달라진다. 과도한 양의 막형성 수지는 결과적으로 착색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므로 화이트보드 위에 쓰는 것 뿐 아니라 제거하는 것도 어렵게 된다.
세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막을 형성하는 성분을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첨가시킬 수 있다. 적절한 막 형성물질로는 전분을 포함한다. 온수에 가용한 전분 및 냉수에 가용한 전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분이 적절한 막형성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세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분은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2 내지 30 중량%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료차단제 및 전분을 조합함에 의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피부, 벽, 벽지, 목재 및 다른 표면에 대한 세척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사용되는 전분의 적절한 예로 Hubinger Co.사의 Dri-sweet 42가 있다. 이 Dri-sweet 42는 냉수에 가용한 전분이다. 냉수에 가용한 다른 전분으로는 Staly 사의 ICB가 있다.
본 발명의 건식 소거 착색 조성물은 염료 담체가 물인 마커 잉크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하다. 상기 잉크는 화이트보드와 같은 불투수성 표면에 아이들이 색칠하거나 스케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마킹 도구와 같은 전달 시스템 (delivery system)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펜끝으로는 결합된 섬유 또는 소결 플라스틱 펜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잉크의 형태로 가지고 있는 마킹 펜은 통상 전형적 마커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마커는 결합된 섬유 또는 소결 플라스틱 펜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를 가지고 있는 마커 잉크통은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섬유 시스템을 포함하는, 또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표준 전달 시스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버리스(fiberless)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소거 가능한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 잉크는 착색제, 물, 방출제, 막형성 수지 그리고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한다.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독창적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는 피부, 섬유 및 다른 가정용품의 표면에 대하여 건식 방법에 의해 뛰어난 세척성을 보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거 가능 마커 잉크의 형태로 사용될 때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소포제, 및/또는 pH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 및 그 기능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언급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이다. 착색 조성물의 안정성이 불리하게 영향받지 아니하고 그것이 최종 제품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범위내에서, 통상 상기 첨가제는 유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는 잉크 용액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마커 펜끝에서 잉크가 지나치게 빠르게 건조함에 의해 펜끝이 막힘 또는 마커의 기능을 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습제는 잉크 조성물의 응고/융해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전형적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및 다이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하이드릭 알코올, 하이드록시레이티이드 전분, 저분자량(m.w.= 200-4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보습제의 일반적 유효 농도는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5 내지 30 중량%의 범위이지만, 보습제의 사용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위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유효량(통상 약 0.1 중량%까지)의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의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역할은 점성(펜끝을 통한 잉크의 적절한 분배를 위한) 및 표면 장력(좋은 유동성 및 비공성(nonporous) 표면 웨팅(wetting)을 위한) 등과 같은 성질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착색 조성물이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의 잉크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코올, 플루오로화된 알킬 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그들의 혼합물이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 유형의 방부제가 조성물의 저장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 및 곰팡이에 대한 살균 작용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방부제의 예로는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글루타르알데히드, 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3-요오도-2-프로피닐 부틸 카바메이트, 바이시클릭 옥사졸리돈 및 살균제(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함유하는) 등이 포함된다.
방부제는 유효량으로 존재할 때 효율적이며, 통상 약 0.1 내지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방부제로는 Rohm and Hass 사의 Kathon PFMTM(이소티아졸리논) 및 Huls America 사의 Nuosept 95TM(바이시클릭 옥사졸리딘 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 착색 조성물의 pH는 약 3.0 내지 10.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며,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9.0의 범위내이다. 이 pH를 유지하기 위해, 중성 버젠(versene)이 pH 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다. 중성 버젠은 pH 조절뿐 아니라,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에 함유된 염료가 화이트보드에서 쉽게 소거되도록 한다. 이 pH 조절제는 약 0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첨가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pH 조절제, 즉 중성 버젠이 전체 마커 잉크 조성물에 대해 10 중량%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또한 다양한 성분들을 혼합하는 중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포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소포제로는 실리콘 및 실록산(siloxane) 등이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소포제로는 Goldschmidt Chemical Corp.사의 Foamax 800TM이 있다. 다른 소포제로는 NuTech Corp.사의 Zerofome AF-200TM, Air Products 사의 설포닐 DF58TM, 및 Henkel 사의 Foamaster HTM등이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대한 소포제의 첨가는 착색 조성물이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로 사용될 때 조성물의 세척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또한 화이트보드로부터의 제거성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사용되는 소포제의 양은 통상 전체 착색 조성물에 대해 약 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이지만, 착색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요소(예: 방부제, 보습제 등)와 함께 폴리머 염료, 염료 담체, 방출제, 막형성 수지 및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적절한 용기에 부가하고 적절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하는 방법이 그 예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그것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표시된 양들은 전체 조성물에 대한 중량%를 나타낸다. 다음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조성물은 화이트보드에 마킹하기 적합하다.
산 염료 및 폴리머 염료, 염료차단 축합 산물 첨가제의 종류 및 양을 달리함에 의해 다른 착색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막형성 수지, 방출제, 염료차단 축합 산물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는 착색 조성물은 실시예 1-8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1-2 그리고 4-8에 적용된 염료차단 첨가제는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Aerofix NTM이고 실시예 3에 적용된 것은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Tamol SNTM이다.
실시예 1 - 레드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52.54
Palmer Scarlet (폴리머 염료) 9.99
Palmer FL Red A10 (폴리머 염료) 2.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19.97
PVP K-30 (30% 용액) (막형성 수지) 5.14
Silwet L-7607 (방출제) 9.99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2 - 블루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44.6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5.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2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3 - 옐로우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72.62
Acid Yellow 23 (산 염료) 2.00
Tamsol SN (나프탈렌 축합 산물) 5.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4 - 그린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55.6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3.20
Acid Yellow 23 (산 염료) 0.8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2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5 - 블랙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39.8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4.40
Palmer Magenta (폴리머 염료) 4.40
FD&C Yellow #6 (산 염료) 1.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 산물) 1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6 - 오렌지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56.62
FD&C Yellow #6 (산 염료) 3.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 산물) 2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7 - 바이올릿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46.42
Palmer Magenta (폴리머 염료) 3.2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 산물) 2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8 - 브라운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42.06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0.88
FD&C Yellow #6 (산 염료) 1.00
Palmer Scarlet (폴리머 염료) 5.68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 산물) 20.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테스트 절차
A.피부로부터의 도산성(fugitivity)
상기 실시예에서 인용된 본 발명 착색 조성물의 피부로부터의 도산성은 아래의 테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1. 비누 및 온수로 손을 세척한다. 테스트 하기 전에, 미리 세척함으로써 유분 및 먼지를 피부로부터 제거하고, 테스팅을 위한 보다 완전한 피부 표면을 제공한다. 피부를 30초동안 건조시킨다.
2.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며, 소결 플라스틱 펜끝를 가진 마커에 있어서, 펜끝의 평평한 부분을 사용하여 손바닥에 하나의 선을 그린다. 일반적인 경우, 이 선은 1/4 인치의 두께와 1 인치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적당하다. 이 선이 상당한 색도를 가지기 위해 충분한 압력 및/또는 여러 번 덧칠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조성물에 대한 비교가 필요할 경우, 둘 이상의 선을 그릴 수 있다. 상기 선을 15분 동안 건조시킨다.
3. 마커의 경우에 있어서, 손을 수도꼭지 밑에 두고 온수로 여분의 잉크를 간단히 씻어낸다.
4. 손을 아이보리 브랜드 비누로 다음과 같이 세척한다: 최소양의 비누로 거품을 낸다; 비누를 비누통에 되돌려 놓는다; 적당한 압력으로 30초 동안 손을 경쾌하게 비빈다; 비누를 씻어 낸다.
5. 종이 타월을 사용하여 손을 건조하고, 건조 타월로 완전히 건조한다. 건조 타월은 잉크의 잔흔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B.섬유로부터의 도산성(fugitivity)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은 아래의 테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1. 표백제, 깨끗한 경수 연화제, 일반적 포스페이트 세제 파우더 및 120℉의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ASTMD4265-83에 지시된 바에 따라 테스트용 섬유를 미리 세탁하고 건조한다.
2. 상기 세탁 및 건조된 섬유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조각으로 만든다.
3. 마커 잉크를 상기 섬유 조각에 부은 후, 4시간 동안 건조한다.
4. 그런 후 이 조각을 목욕 타월 모서리에 고정한다.
5. 착색되지 아니한 더미 로드(dummy load)를 부가하여 4 파운드의 세탁물로 만든다. 상기 세탁물을 세탁기에 넣은 후 온수(약 80 내지 85℉의 범위)/냉수 사이클 또는 냉수(약 35 내지 55℉)/냉수 사이클 하에서 12분 동안 세탁한다.
6. 건조기에서 상기 세탁물을 건조한다.
7. 목욕 타월에서 상기 섬유 조각을 떼어내고, 다리미질한 후 얼룩의 정도를 관찰한다.
측정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시각적 평가 시스템을 기초로 하였다: 0 = 얼룩 없음
0.5 = 매우 약한 얼룩
1 = 약한 얼룩
2 = 낮은 얼룩과 보통의 얼룩의 사이
3 = 보통의 얼룩과 강한 얼룩의 사이
4 = 강한 얼룩
아래의 수치에서 별표(*)는 비누 및 물로 씻는 대신에 단지 물로만 씻은 후에 얼룩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8에 있어서의 착색 조성물에 대한 점성, pH 및 피부로부터의 도산성이 표 Ⅰ에 나타나 있다. 피부로부터의 도산성은 14개체에 대해 측정하였다. 세척성에 대한 결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착색 조성물 실시예 각각에 대한 피부로부터의 도산성 관찰 결과를 표시하였다.
피부로부터의 도산성(fugitivity)
실시예의번호 점성(cps) pH 피부로부터의 도산성
1 5.33 8.20 0, 0*, 0.5*
2 4.17 7.95 0, 0*, 0.5, 0.5*, 1
3 3.17 7.50 0, 0.5, 0.5*
4 3.76 8.05 0, 0*
5 5.56 8.00 0, 0*
6 4.05 8.40 0, 0*, 0.5 0.5*
7 4.57 8.19 0, 0*, 0.5*
8 5.25 8.15 0, 0*
실시예 1-8에서 보여주는 착색 조성물의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이 표 Ⅱ에 나타나 있다. 잉크의 세척성은 면 50% / 폴리에스테르 50% 혼방 섬유와 면 100% 섬유에서 실험하였다. 세탁기는 냉수/냉수 사이클과 온수/냉수 사이클 두 가지를 이용하였다. 섬유 견본에 대해서는 냉수/냉수 사이클을 반복해서 사용한다. 면 50% / 폴리에스테르 50% 혼방 섬유와 면 100% 섬유에서 모두 냉수로 두 번 헹군 후에는 얼룩없이 소거됨이 입증되었다.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알코올-화이트보드 잉크 조성물을 컨트롤(control)로 하여 분석하였다.
섬유로부터의 도산성(fugitivity)
견본1 견본2 견본3 견본4 견본5 견본6 견본7 견본8 Cntrl
50%/50% 혼방(1차 냉수 사이클) 1.5 0 1 1 1 0.5 0.5 0.5 4
50%/50% 혼방(2차 냉수 사이클) 0 0 0 0 0 0 0 0 3.5
면 100%(1차 냉수 사이클) 2 0 1 1 1.5 0.5 1.5 1 4
면 100%(2차 냉수 사이클) 0.5 0 0 0 0 0 0 0 3.5
50%/50% 혼방(온수 사이클) 0 0 0 0 0 0 0 0 4
면 100%(온수 사이클) 0 0 0 0 0 0 0 0 4
실시예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염료차단제를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건식 소거 착색 조성물이 피부 및 섬유에 대해 증가된 도산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Aerofix N이 아닌 다른 염료 차단 축합 산물 첨가제를 포함한 착색 조성물이 실시예 9-12에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 9-12 그리고 18의 착색 조성물은 막형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각각의 실시예는 마커 잉크의 형태이며, 실시예 17은 물과 알코올 혼합물을 염료 담체로 이용한 건식 소거 착색 조성물이다. 실시예 18은 전분을 포함한다.
실시예 9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64.6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5.00
Intrate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5.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5.00
Silwet L-7607 (방출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0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68.87
Acid Blue 9 (산 염료) 1.25
Gascofix NY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12.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10.00
Silwet L-7608 (방출제) 7.5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1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81.37
Acid Yellow 23 (산 염료) 2.00
Tamol SN (나프탈렌 축합 산물) 5.00
PVP-VA (막형성 수지) 3.00
Silwet L-7607 (방출제) 8.00
Dow Corning FC 120 0.25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2
성 분 wt. %
탈이온화 (염료 담체) 63.8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4.40
Palmer Magenta (폴리머 염료) 4.40
FD&C Yellow #6 (산 염료) 1.00
Tamol SN (나프탈렌 축합 산물) 5.00
PVP K-30 (30% 용액) (막형성 수지) 4.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5.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3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38.7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0.90
Palmer Scarlet (폴리머 염료) 5.70
FD&C Yellow #6 (산 염료) 1.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25.00
Dow Corning FF400 (방출제) 8.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글리세린 (보습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Tego Foamex 800 (소포제) 0.30
실시예 14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54.8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4.40
FD&C Yellow #6 (산 염료) 1.00
Palmer Magenta (폴리머 염료) 4.4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20.00
Dow Corning Q43667 (방출제) 5.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5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64.6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5.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10.00
Silwet L-7607 (방출제) 4.00
Silwet L-7608 (이찰제) 6.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6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69.62
FD&C Yellow #6 (산 염료) 3.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20.00
Silwet L-7230 (방출제) 5.00
PEG 400 (보습제) 2.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7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35.62
변성 에탄올 (염료 담체) 30.00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5.00
Aerofix N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16.00
PVP K-15 (30% 용액) (막형성 수지) 8.00
ilwet L-7607 (방출제) 5.00
중성 버젠 (pH 조절제) 10.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실시예 18
성 분 wt. %
탈이온화수 (염료 담체) 61.62
Palmer Blue (폴리머 염료) 5.00
Dowfax 8390 (염료 차단 첨가제) 3.00
Dri-sweet 42 (전분) 15.00
Silwet L-7607 (방출제) 15.00
Nuosept 95 (방부제) 0.30
Kathon PFM (방부제) 0.08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으로,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와 같은 비공성 표면 혹은 화이트보드 위에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상을 종이 위에 전이시킬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생성한 상은 종이 위로 쉽게 전이되어 적절한 컬러 인쇄물을 생산한다. 본 발명의 인쇄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a)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에 상을 표시한다 b)표시한 상 위에 습윤지(moistened paper)를 부착시킨다 c)상이 전이되도록 종이 위를 가볍게 문지른다 d)표면으로부터 종이를 떼어낸다. 이상의 방법으로 원본으로부터 종이로의 컬러 인쇄가 가능하다.
이전에 상술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로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에 상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을 전이시킬 한 장의 종이를 준비한다. 종이는 수분을 함유하거나 혹은 루브리덤(LUBRIDERM)의 이름으로 시판되는 로션, 즉 물을 기본으로 한 에멀젼 또는 젤을 함유한다. 이러한 습윤지를 만드려면 스프레이, 젖은 해면, 페인트 롤러, 플랫 스프레드 블레이드(flat spread blade) 중 어떤 것도 이용가능하나 이것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종이에 적용되는 물의 양 또는 물을 기본으로 한 에멀젼이나 젤의 양은 어떠한 컬러 인쇄를 하느냐에 따라 다양해진다. 그러므로 종이를 완전히 혹은 약간만 적심으로써 효과를 달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 과정에는 다양한 지류(paper stocks)를 이용할 수 있으며 Cascade-9000(Boise Cascade사 제조)의 이름을 가진 지류는 화이트보드 위의 상을 적절하게 컬러 인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과도한 양의 수분이 종이에 함유된 경우 그것을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 퍼티 스프레더(automotive putty spreader)와 같은 플랫 스프레드 블레이드나 수분을 빨아들이는 종이 타올을 이용하면 수분 제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수분은 그 양이 주위와 다른 '광택이 있는(shiny)' 부분이 남지 않을 정도로 제거되어야 적절하다.
다음으로, 한 장의 습윤지를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의 상 위에 부착시킨 뒤 종이 위를 문지르면 상이 전이된다. 사용자의 손으로 문지르거나 롤러 혹은 자동 퍼티 블레이드와 같은 플랫 스프레드 블레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적절한 상 전이를 이루려면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에 습윤지를 부착시킨 뒤 적어도 30초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종이를 표면에서 떼어내면 상이 전이된 컬러 인쇄가 생산된다.
본 발명 과정에서 생산되는 컬러 인쇄의 질은 전이 과정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요소, 즉 종이에 존재하는 수분 정도, 과도한 수분의 제거 과정 , 종이 위를 문지를 때 적용되는 압력 정도 등의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번짐 없이 깨끗한 컬러 인쇄를 생산하려면 하나 이상의 다음과 같은 조정이 적용될 수 있다 : (1)종이에 다소 적은 양의 물을 습윤시키고, (2)종이에 존재하는 과도한 양의 물은 제거한다 ; 혹은 (3)낮은 압력의 힘으로 종이 위를 문지른다.
본 발명 과정이 적절한 컬러 인쇄를 수행하지 못 할 경우 전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래의 상이 완전하게 전이되지 않은 종이에 밝은 얼룩(light spot)이 있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a)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위에 그려진 원래의 상 위에 전술한 종이를 재부착시킨다. (b)종이 표면을 문질러 남아있는 원래의 상을 전이시킨다 (c)종이를 떼어낸다.
특허, 특허출원, 특허공개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 문헌중에서 명세서에서 설명한 부분은 참고문헌을 열람함에 의해 그 전부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여주는 과정은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이 사용된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에서의 상 전이에 관한 것이라면 어떠한 경우라도 이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이트보드의 한 쪽 가장자리를 맞춤 못으로 고정시키고 종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개의 펀치 구멍을 갖는 종이를 이용한다면, 첫 번째 상 전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도 전술한 과정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다. 첫 번째 전이 과정에서 상이 부분적으로만 전이된 3개의 펀치 구멍 종이를 화이트보드 위희 맞춤 못 위에 다시 고정시킨 후 화이트보드에 남아있는 상을 재전이시킴으로써 완전한 상의 전이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습윤지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고 유지시키기 위해서 고정 홈을 낸다거나 못과 같은 고정 도구를 이용하여 화이트보드를 만든다. 고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못을 기판(base) 위의 평평한 표면 위에 적당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때 못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종이의 구멍 위치에 맞추거나 펀치를 이용해서 종이에 구멍을 낸 후 그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일반적인 못의 위치는 시판되는 2개 혹은 3개의 펀치 구멍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개의 펀치 구멍을 가진 종이 한 장을 기판 위의 못에 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로 플라스틱 라미네이트 처리된 종이와 같은 물질, 즉 비공성 표면 위에 그림을 그리고, 기판 위에 걸려 있는 종이는 전술한 방법으로 수분을 함유시킨다. 비공성 표면에 그려진 원래의 상을 기판과 비공성 표면 사이에 위치한수분을 함유한 종이 위에 갖다댄다. 원래의 상이 종이 위로 전이된 후 비공성 표면을 갖는 물질을 떼어낸다. 이러한 경우에 비공성 표면을 갖는 물질이 기판 위의 못 위치와 일치하는 구멍을 갖고 있다면 본래의 상과 습윤지 위에 전이된 상에 대해 전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 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청구항에서 명확히 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8)

  1. a)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산 염료, 폴리머 염료, 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b) 전체 조성물의 30 내지 90 중량% 범위의 염료 담체,
    c)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및
    d)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 범위로서 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염료차단제가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가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조성물이 화이트보드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담체가 물, 알코올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담체가 0 내지 약 50% 범위의 알코올을 함유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8. a)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산 염료, 폴리머 염료, 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b) 전체 조성물의 30 내지 90 중량% 범위의 물,
    c)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및
    d)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 범위로서 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염료차단제가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가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11. 제 8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12. 제 11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약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막형성 수지, 약 2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그리고 설포네이티이드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로서 상기 조성물에 대해 약 2 내지 15 중량% 범위로 존재하는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잉크.
  13. a)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안료, 산 염료, 폴리머 염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b) 전체 조성물의 30 내지 90 중량% 범위의 염료 담체,
    c)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및
    d)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 범위로서 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염료차단제가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가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6. 제 13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담체가 물, 알코올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담체가 약 0 내지 50% 범위의 알코올을 함유한 건식 소거 가능 착색 조성물.
  19. a)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30 중량% 범위의 산 염료, 폴리머 염료, 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b) 전체 조성물의 30 내지 90 중량% 범위의 물,
    c) 전체 조성물의 0 내지 30 중량% 범위의 막형성 수지,
    d)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및
    e) 전체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 범위로서 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잉크와 마커 배럴(barrel), 펜끝을 포함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차단제가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가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펜 끝은 결합된 섬유 또는 소결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거 가능 화이트보드 마커.
  23. a) 산 염료, 폴리머 염료, 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b) 전체 조성물의 약 1 내지 10 중량% 범위의 활성 막형성 수지,
    c) 전체 조성물의 약 2 내지 30 중량% 범위의 방출제,
    d) 전체 조성물의 약 0.1 내지 1 중량% 범위의 방부제, 및
    e) 전체 조성물의 약 2 내지 15 중량% 범위의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를 함유하고 있으며 마킹 도구로서 적합한 소거 가능 수용성 화이트보드 잉크 조성물.
  24. 산 염료, 폴리머 염료 또는 안료 그리고 염료담체 및 방출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에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 염료차단제를 상기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소거 가능한 착색 조성물에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부여하는 방법.
  25. a)ⅰ)산 염료, 폴리머 염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ⅱ)염료 담체,
    ⅲ)방출제, 및
    ⅳ)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로 상기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에 상을 생성한 후,
    b) 상기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의 상에 습윤지를 부착,
    c) 상기 종이 위를 문질러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으로부터 상을 전이시킨 후,
    d) 상기 종이를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으로부터 종이로의 상 전이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에 약간의 수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에 충분한 수분을 함유시키는 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에 부착시키기 이전에 함유하고 있는 과도한 양의 수분을 제거시키는 방법.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는 적어도 30초 이상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에 부착시킨 채로 유지하는 방법.
  33.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화이트보드 혹은 비공성 표면 위의 일정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법.
  34. a)ⅰ)산 염료, 폴리머 염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착색제,
    ⅱ) 염료 담체,
    ⅲ) 방출제, 및
    ⅳ) 착색 조성물의 피부 및 섬유로부터의 도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를 함유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로 상기 표면에 상을 생성한 후,
    b) 상기 표면 위의 상을 단단한 기판 위에 위치한 습윤지에 부착,
    c) 상기 표면의 상이 그려진 반대면을 문지름으로써 비공성 표면 위에 위치한 상이 종이 위로 전이시킨 후,
    d) 상기 종이로부터 비공성 표면을 떼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공성 표면으로부터 종이로의 상 전이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염료차단제는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인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유기 설포네이트는 설포네이티이드 나프탈렌 축합 산물, 페놀-포름알데히드 축합 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37. 제 34항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막형성 수지를 함유하는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기판 위의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고정 방법.
KR1019997005544A 1997-02-14 1998-02-13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KR100338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00,755 US5981626A (en) 1997-02-14 1997-02-14 Washable color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dry erase markers
US08/800,755 1997-02-14
US8/800,755 1997-02-14
US8/918,732 1997-08-01
US08/918,732 1997-08-01
US08/918,732 US5900094A (en) 1997-02-14 1997-08-01 Image transfer method for use with water based dry erase mark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582A KR20000069582A (ko) 2000-11-25
KR100338693B1 true KR100338693B1 (ko) 2002-05-30

Family

ID=2712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544A KR100338693B1 (ko) 1997-02-14 1998-02-13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900094A (ko)
EP (1) EP0960172B1 (ko)
JP (1) JP2001502752A (ko)
KR (1) KR100338693B1 (ko)
AU (1) AU729526B2 (ko)
BR (1) BR9807546A (ko)
CA (1) CA2281476C (ko)
DE (1) DE69834171D1 (ko)
WO (1) WO19980360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29A1 (ko) * 2017-10-11 2019-04-18 국립암센터 표피 침투형 잉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1626A (en) * 1997-02-14 1999-11-09 Binney & Smith Inc. Washable color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dry erase markers
US6318825B1 (en) * 1998-10-23 2001-11-20 Hewlett-Packard Company Dry erase electronic whiteboard with page-wide-array inkjet printer
US6067266A (en) * 1998-11-12 2000-05-23 Donelan; James P. Erasable board kit
US6458192B1 (en) * 1999-01-08 2002-10-01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Erasable ink composition
US6200377B1 (en) * 1999-04-16 2001-03-13 Thiele Kaolin Company Process for beneficiation of mixtures of mineral particles
US6458193B1 (en) * 2000-05-16 2002-10-01 Milliken & Company Washable coloring compositions
US20030008095A1 (en) * 2001-07-06 2003-01-09 Meccia Mark Andrew Repositionable flexible markerboard
US6893266B2 (en) * 2001-10-24 2005-05-17 Go Graphic Inc. Dry erasable board
US20030171453A1 (en) * 2002-03-08 2003-09-11 Jie Li Erasable Inks
US20040182281A1 (en) * 2003-02-13 2004-09-23 Vincent Kwan Dry erase ink
US7259202B1 (en) * 2003-04-10 2007-08-21 Maureen Soens Method for pre-treating stencils to ensure paint removal
US7837742B2 (en) * 2003-05-19 2010-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and a colorant
US7244327B2 (en) * 2004-04-23 2007-07-17 Kenny Lamont Joyn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lifting erasable marked images from a marking surface or the like
US7455725B2 (en) * 2004-09-20 2008-11-25 Mattel, Inc. Washable marker ink composition
US8061269B2 (en) 2008-05-14 2011-11-22 S.C. Johnson & Son, Inc. Multilayer stencils for applying a design to a surface
US8557758B2 (en) * 2005-06-07 2013-10-15 S.C. Johnson & Son, Inc. Devices for applying a colorant to a surface
US20070277849A1 (en) * 2006-06-06 2007-12-06 Shah Ketan N Method of neutralizing a stain on a surface
US20080282642A1 (en) * 2005-06-07 2008-11-20 Shah Ketan N Method of affixing a design to a surface
US8846154B2 (en) 2005-06-07 2014-09-30 S.C. Johnson & Son, Inc. Carpet décor and setting solution compositions
US7727289B2 (en) * 2005-06-07 2010-06-01 S.C. Johnson & Son, Inc.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a surface
US7776108B2 (en) * 2005-06-07 2010-08-17 S.C. Johnson & Son, Inc.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a surface
MX2007015450A (es) * 2005-06-07 2008-02-19 Johnson & Son Inc S C Aparato de diseno para aplicar diseno a una superficie.
US7543951B2 (en) * 2006-05-03 2009-06-09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uminous writing surface
US20090257816A1 (en) * 2008-04-15 2009-10-15 Pawel Czubarow Erasable ink for porous tip writing instruments
US20100063186A1 (en) * 2008-09-11 2010-03-11 Sanford, L.P. Washable ink compositions and writing instruments comprising same
US20120167285A1 (en) * 2011-01-04 2012-07-05 Robert Oppenheim Robert Oppenheim
EP2581422A1 (en) * 2011-10-11 2013-04-17 Sicpa Holding Sa Ink coatings for security documents to prevent forgery by means of heat sensitive erasable ink
NZ629474A (en) * 2013-02-27 2016-03-31 Crayola Llc Rinsable ink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5925067A (zh) * 2016-07-04 2016-09-07 湖北世安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白板笔墨水的色浆及其制备方法
EP4038150A4 (en) * 2019-10-01 2023-09-27 Sanford L.P. DRY-ERASABLE INKS AND RELATED WRITING INSTRU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2067A1 (en) * 1989-04-10 1990-10-18 Binney & Smith Inc. Washable dye-containing composition
EP0557115A1 (en) * 1992-02-20 1993-08-25 Binney & Smith Inc. Washable dye-contain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65A (en) * 1861-09-24 Improved mosquito-bar
US2426462A (en) * 1944-06-07 1947-08-26 Merle Hughey Decalcomania manufacture
US2683647A (en) * 1950-12-06 1954-07-13 Deering Milliken Res Trust Fugitive coloration of textiles
US2690953A (en) * 1950-12-28 1954-10-05 Deering Milliken Res Trust Fugitive tinting of nylon fibers
US2920975A (en) * 1955-11-03 1960-01-12 Deering Milliken Res Corp Fugitive coloration
US3157633A (en) * 1960-11-28 1964-11-17 Deering Milliken Res Corp Polyethyleneoxy fugitive tints
US3154535A (en) * 1962-01-30 1964-10-27 Deering Milliken Res Corp Polyethyleneoxy azo fugitive tints
US3154534A (en) * 1962-01-30 1964-10-27 Deering Milliken Res Corp Polyethyleneoxy azo fugitive tints
US3241963A (en) * 1962-02-19 1966-03-22 Polaroid Corp Novel photographic products, processes and compositions
US3507850A (en) * 1966-05-25 1970-04-21 Du Pont Polymeric fugitive azo dyes derived from methacrylate alkyl ester,methacrylic acid and a dye monomer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and a methacryloyl group
US3468679A (en) * 1966-10-20 1969-09-23 Amato Furlotti Writing fluid for ball point writing instruments
US3663262A (en) * 1969-02-12 1972-05-16 Deering Milliken Res Corp Fugitive coloration of solid materials with dyes
DE1910587C3 (de) * 1969-03-01 1975-10-23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Färben oder Bedrucken von anionisch modifizierten Polyacrylnitril-, Polyamid- und Polyesterfasermaterialien
US4128544A (en) * 1971-08-16 1978-12-05 Sandoz Ltd. Copper complexes of substituted sulfophenyl-azo-phenyl-azo-naphthalene sulfonic acids containing a heterocyclic fiber-reactive group
CH554712A (ko) * 1971-11-09 1974-10-15
US3834823A (en) * 1972-05-25 1974-09-10 Gillette Co Marking boards and erasable ink compositions therefor
US3949132A (en) * 1972-05-25 1976-04-06 The Gillette Company Marking boards and erasable ink compositions therefor
US4025303A (en) * 1972-07-31 1977-05-24 Westvaco Corporation Dyestuff compositions containing modified sulfonated lignin dye dispersants
US4202838A (en) * 1972-11-03 1980-05-13 Ciba-Geigy Corporation Sulphonated condensation products
US4042401A (en) * 1972-12-06 1977-08-16 Columbia Ribbon And Carbon Manufacturing Co., Inc. Hectograph products and process
US4097233A (en) * 1972-12-16 1978-06-27 Nippon Kayaku Co., Ltd. Basic dye composition
JPS5412924A (en) * 1977-06-30 1979-01-31 Pilot Ink Co Ltd Aqueous ink composition
US4256598A (en) * 1978-01-11 1981-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for combined washing and bleaching of fabrics
US4193906A (en) * 1978-02-14 1980-03-18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solid writing materials and writing implements
CH636080A5 (de) * 1978-04-03 1983-05-13 Ciba Geigy Ag Farbstoffzwischenprodukte und deren herstellung.
CH622921B (de) * 1978-07-27 Ciba Geigy Ag Verfahren zum veredeln, insbesondere zum faerben, bedrucken oder optisch aufhellen.
FR2439226A1 (fr) * 1978-10-20 1980-05-16 Sakura Color Prod Corp Composition pour encre effacable pour l'ecriture sur une surface impenetrable
CH624256GA3 (ko) * 1979-01-10 1981-07-31
GB2040808B (en) * 1979-01-31 1982-10-27 Transparent Paper Ltd Flexible sheet material with transferable print
US4283195A (en) * 1979-02-13 1981-08-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Dyestuff composition for dyeing or printing cellulose fiber materials
JPS6054438B2 (ja) * 1980-03-31 1985-11-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セルロ−ス系繊維材料の染色用反応染料液状組成物
AU540177B2 (en) * 1980-04-25 1984-11-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dyeing polyolefin fiber materials
US4382111A (en) * 1980-05-07 1983-05-03 Meisei Chemical Works Co., Ltd. Method of treating fiber
DE3045377A1 (de) * 1980-12-02 1982-08-19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lektrolytarmer sulfonsaeuregruppenhaltiger farbstoffe
US4789399A (en) * 1981-03-03 1988-12-06 Paul C. Fisher Pressurized roller pens and inks for such pens
US4371371A (en) * 1981-06-15 1983-02-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for dyeing textile materials in solid shades
CH652313A5 (de) * 1981-08-25 1985-11-15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konzentrierter waesseriger zubereitungen von synthetischen anionischen dispergatoren.
JPS5879067A (ja) * 1981-11-04 1983-05-12 Sakura Color Prod Corp マ−キングペンインキ組成物
EP0097121B1 (de) * 1982-06-14 1986-12-30 Ciba-Geigy Ag Kaltwasserlösliches Farbstoffpräparat
US4721739A (en) * 1982-07-01 1988-01-26 Bic Corp. Erasable ink compositions
EP0102926B1 (de) * 1982-09-03 1987-01-07 Ciba-Geigy Ag Färbereihilfsmittel und seine Verwendung beim Färben oder Bedrucken von synthetischen Polyamidfasermaterialien
JPS59113073A (ja) * 1982-12-18 1984-06-29 Pilot Ink Co Ltd マ−キングペン用インキ
JPS604574A (ja) * 1983-06-22 1985-01-11 Sakura Color Prod Corp 筆記板用インキ組成物
US4505944A (en) * 1983-08-01 1985-03-19 Cotton Incorporated Fugitive ink composition
DE3342432A1 (de) * 1983-11-24 1985-06-05 Hoechst Ag, 6230 Frankfurt Fluessige reaktivfarbstoffzubereitungen und ihre verwendung
US4592940A (en) * 1983-12-16 1986-06-03 Monsanto Company Stain-resistant nylon carpets impregnated with condensation product of formaldehyde with mixture of diphenolsulfone and phenolsulfonic acid
US4501591A (en) * 1983-12-27 1985-02-26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conveniently providing stain-resistant polyamide carpets
JPS61102491A (ja) * 1984-10-24 1986-05-21 東ソー株式会社 着色材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18483A (ja) * 1985-07-16 1987-01-27 Toyo Soda Mfg Co Ltd 筆記板用インキ組成物
JPS6253385A (ja) * 1985-09-02 1987-03-09 Canon Inc 記録液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DE3683151D1 (de) 1986-03-06 1992-02-06 Monsanto Co Fleckenabweisende nylonfasern.
US4940628A (en) * 1986-09-15 1990-07-10 The Gillette Company Erasable system including marking surface and erasable ink composition
US4988123A (en) * 1986-09-15 1991-01-29 The Gillette Company Erasable system including marking surface and erasable ink composition
US5217255A (en) * 1986-09-15 1993-06-08 Lin Nan J Erasable system including marking surface and erasable ink composition
US4875901A (en) * 1986-10-14 1989-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eating fibrous polyamide articles
US4954174A (en) * 1987-08-24 1990-09-04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Erasable ink compositions
JPS63165468A (ja) * 1987-11-27 1988-07-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速乾性インク
JPS63165465A (ja) * 1987-11-27 1988-07-0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速乾性インク
EP0322805B1 (en) * 1987-12-25 1992-05-27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Water base erasable ink compositions
US4981516A (en) * 1987-12-29 1991-01-0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ine colorants and washable ink compositions containing methine colorants
US5043013A (en) * 1987-12-30 1991-08-27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Washable ink compositions
US5120359A (en) * 1988-02-26 1992-06-09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Erasable ink compositions
US4908149A (en) * 1988-06-10 1990-03-13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Cleaning composition for textiles containing sulfonated colorless dye site blocker
US5009667A (en) * 1989-01-31 1991-04-23 Harris Research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stain resistance to polyamide fibers using carbonated solutions
US5116410A (en) * 1989-04-10 1992-05-26 Binney & Smith Inc. Washable dye-containing composition
US5015259A (en) * 1989-04-20 1991-05-14 Peach State Labs, Inc. Stain resistant polymeric composition
US4940757A (en) * 1989-04-20 1990-07-10 Peach State Labs, Inc. Stain resistant polymeric composition
US5061763A (en) * 1989-04-20 1991-10-29 Peach State Labs, Inc. Stain resistant treatment for polyamide fibers
US5030245A (en) * 1989-09-07 1991-07-09 Olin Corporation Anionic polycarboxylated surfactants as dye-leveling agents used in combination with a stainblocker for fibers
GB8918616D0 (en) * 1989-08-15 1989-09-27 Univ Glasgow Herpes simplex virus type 1 mutant
US5074883A (en) * 1989-12-11 1991-12-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providing polyamide materials with stain resistance
JPH03237171A (ja) * 1990-02-13 1991-10-23 Sakura Color Prod Corp 消去し得る水性インキ組成物
US5100471A (en) * 1990-06-27 1992-03-31 Xerox Corporation Liquid ink compositions
US5131776A (en) * 1990-07-13 1992-07-21 Binney & Smith Inc. Aqueous permanent coloring composition for a marker
US5137453A (en) * 1990-07-17 1992-08-11 Hudson Robert L Note pad product for use in shower or bath
US5059244A (en) * 1990-07-18 1991-10-2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ugitive colorant and washable ink compositions
US5215576A (en) * 1991-07-24 1993-06-01 Gtech Corporation Water based scratch-off ink for gaming forms
US5169437A (en) * 1991-10-24 1992-12-08 Hewlett-Packard Company Water based ink compositions exhibiting reduced crusting, clogging and kogation
JP3084328B2 (ja) * 1991-12-26 2000-09-04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耐水性を有する水性インキ組成物
JP3075622B2 (ja) * 1992-01-17 2000-08-14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筆記板用消去性インキ組成物
JP3049140B2 (ja) * 1992-01-17 2000-06-05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筆記板用消去性インキ組成物
CA2076318A1 (en) * 1992-03-23 1993-09-24 Andree Santini Erasable marking composition
JP3049456B2 (ja) * 1992-03-31 2000-06-05 オリヱント化学工業株式会社 筆記板用インキ組成物
US5338793A (en) * 1992-06-02 1994-08-16 The Gillette Company Erasable ink
US5486228A (en) * 1992-07-31 1996-01-23 Binney & Smith Inc. Washable color changing compositions
US5412021A (en) * 1992-08-24 1995-05-02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Water-base erasable ink composition for use in marking pens
US5378752A (en) * 1992-11-05 1995-01-03 The Gillette Company Ink eradicator system including film forming polymer
US5456743A (en) * 1994-02-14 1995-10-10 Binney & Smith Inc. Water soluble printing sheet
US5510415A (en) * 1994-04-25 1996-04-23 Videojet Systems, Inc. Ink jet composition for printing on textiles
US5587408A (en) * 1994-09-16 1996-12-24 Avery Dennison Corporation Solid erasable marking composition
US5571311A (en) * 1994-12-15 1996-11-05 Cabot Corporation Ink jet ink formulations containing carbon black products
FR2731433B1 (fr) * 1995-03-08 1997-05-23 Imaje Sa Composition d'encre pour le marquage de supports non poreu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2067A1 (en) * 1989-04-10 1990-10-18 Binney & Smith Inc. Washable dye-containing composition
EP0557115A1 (en) * 1992-02-20 1993-08-25 Binney & Smith Inc. Washable dye-containing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229A1 (ko) * 2017-10-11 2019-04-18 국립암센터 표피 침투형 잉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0094A (en) 1999-05-04
AU729526B2 (en) 2001-02-01
JP2001502752A (ja) 2001-02-27
EP0960172A1 (en) 1999-12-01
KR20000069582A (ko) 2000-11-25
DE69834171D1 (de) 2006-05-24
CA2281476A1 (en) 1998-08-20
US6040359A (en) 2000-03-21
EP0960172B1 (en) 2006-04-12
WO1998036031A1 (en) 1998-08-20
CA2281476C (en) 2004-04-20
AU6276898A (en) 1998-09-08
BR9807546A (pt)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693B1 (ko) 건식 소거(dry erase)되는 마커에 사용적합한 세척 가능 착색 조성물
KR100325880B1 (ko) 세척가능한 착색 조성물
US6031023A (en) Dry erase ink composition
EP0393901B1 (en) Ink composition
AU4064800A (en) Water-based color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bmicron polymeric particles
EP0985004B1 (en) Coloring composition
US7455725B2 (en) Washable marker ink composition
US5981626A (en) Washable color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dry erase markers
KR20020012577A (ko) 잉크-제트 인쇄가능한 마크로다공성 물질
KR20060020604A (ko) 염착제 조성물 및 코팅제 조성물
TW200427791A (en) Dry erase ink
KR100651634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용제형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MXPA99005613A (en) Washable coloring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dry erase markers
KR100740537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JP2009012277A (ja) 段ボール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から得られる段ボール印刷物
KR100716311B1 (ko)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의 제조방법
JPH04248862A (ja) 水性耐性着色組成物
JP3890130B2 (ja) 油性マーキングペン用赤色インキ組成物
MXPA99004725A (es) Composicion colorante lavable
JPH0362863A (ja) 白板用水性顔料インキ
GB2469908A (en) Transfer composition comprising isobutyrate and acryl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