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214A -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214A
KR20060020214A KR1020040069010A KR20040069010A KR20060020214A KR 20060020214 A KR20060020214 A KR 20060020214A KR 1020040069010 A KR1020040069010 A KR 1020040069010A KR 20040069010 A KR20040069010 A KR 20040069010A KR 20060020214 A KR20060020214 A KR 2006002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coupling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356B1 (ko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04006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56B1/ko
Priority to PCT/KR2005/002640 priority patent/WO2006025661A1/en
Publication of KR2006002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톱니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치아, 교정, 브라켓, 부착장치, 하우징, 이동지그, 걸림턱

Description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도 1은 일반적인 치아의 치면에 브라켓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c)는 각도 지시부재를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c)는 흘림방지턱을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밴드고정홈을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어금니용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접촉돌기를 포함한 이동지그를 갖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나사 형상의 이동지그를 갖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b)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지그 12: 삽입부재
13: 제2 걸림턱 14: 지지부재
16: 결합돌기 20: 하우징
21: 하우징 몸체 23: 제1 걸림턱
24: 결합홈 25: 접촉돌기
본 발명은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되고 브라켓을 지지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고 이동지그의 삽입위치의 조절을 통해 브라켓의 높이를 조정하고 이에 더하여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부착위치를 재현하기 용이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의 교정을 위해서는 치아(101)의 전면(또는 후면)에 부착된 브라켓(103)에 교정용 와이어(105)를 고정시켜 치아에 지속적인 교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치열을 바르고 기능적으로 배열하는 교정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브라켓(103) 부착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좌우되는 브라켓 높이와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부착될 때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상교합의 치열은 각각의 치아가 적절한 형태를 지닌 채로 특정한 요구 조건의 위치선정이 필수적으로 되며, 앞니에서 어금니 쪽으로 갈수록 약간씩 높이가 낮아지게 배열되고, 앞니, 송곳니, 어금니는 적절한 정도의 경사 각도를 지닌채로 배열되어야만 씹고 말하고 잘 삼키며 예쁘게 보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치아에서 각기 다양한 위치를 갖추기 위해 그간 교정학계에서 여러 가지 위치 결정을 위한 게이지나 재 배열된 모형 또는 육안 등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부착하여 왔으나 20여개의 모든 치아를 신뢰도있고 빠르게 부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먼저, 위치 결정을 위한 각종 게이지를 이용한 직접 부착방식은 비싼 게이지를 사용하여 브라켓 부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어금니에 부착시 시야 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타액분비 환경의 구강에서 부착함으로써 부착력 저하로 인한 부착 실패요인이 초래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중 브라켓이 떨어졌을 때 기존의 위치를 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재 부착시 기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 기준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며, 이는 교정을 받는 사람에게 불편과 치료기간을 길게하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다음으로, 육안을 이용한 직접 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값비싼 게이지는 사용하지는 않지만 상기 게이지를 사용한 경우의 단점들이 그대로 나타나고, 특히 오로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다양한 높이와 각도를 재현하지 못하는 원인이되고, 재부착시 각도 및 위치 재현의 일관성과 정밀성이 저 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또한, 셋업모델을 이용한 간접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게이지나 육안을 이용한 방법보다는 정밀도와 일관성 있는 위치선정의 장점은 있다. 이방식은 치아 모형을 각각의 치아 사이에서 잘라내고, 모든 잘린 석고치아를 재배열하여 이상적인 치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 셋업 모델 상에서 이 모형과 유사하게 구부러진 철사를 이용하거나 복잡한 기구들을 이용하여 브라켓의 슬롯 위치를 정한뒤, 석고 셋업 모델의 치아에 부착하게 된다. 그후 각종 트랜스퍼 트레이(transfer tray)가 이 치아와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비로소 간접부착이 완성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부착 작업의 시간 소요와 재료의 낭비가 과도하게 되고, 많은 작업력이 투입되므로 높은 교정비용의 지출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교정치료의 특성상 아무리 가지런한 치열을 셋업하여 이 위치에서 브라켓을 부착하더라도, 이러한 브라켓에 정착되어 치아이동을 수행하는 교정용 철사는 교정용 철사가 삽입되는 사각형의 홈인 브라켓 슬롯의 빈공간(play) 존재와 철사의 탄력부족으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셋업된) 형태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는 완벽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TARG, SLOT 머신 등을 이용한 간접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치아모형을 기구의 고정대 위에 설치한 후, 개개치아의 적절한 높이(Height), 근원심경사 각도(Angulation), 순설 또는 설측 경사각도(Torque), 두께(In & Out), 회전정도(Rotation) 등을 계측하고 이 기구들의 또다른 부속물을 이용하여 브라켓 슬롯의 위치를 정하게 된다. 그 뒤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트랜스퍼 트레이를 제 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고가의 장비사용, 여러 가지 계측사항 존재 및 그에 따른 과도한 작업시간의 소요 등의 문제가 있고, 앞서 설명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트랜스퍼 트레이의 연결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브라켓 부착방식과는 달리 각종 게이지나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교정 시술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 부착시의 시야 및 접근의 곤란함을 해결하고, 타액으로 인한 부착 실패를 없앨 수 있으며, 사용 중 브라켓의 탈락으로 인하여 재부착할 때 종전과 동일한 위치에 재부착할 수 있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및 각도 조절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용이하게 부착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쉽게 부착하고 부착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지그를 브라켓과 하우징에 삽입하고 하우징을 치아모형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트랜스퍼 트레이가 제작되므로, 교정작업에 드는 시간, 노동력,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톱니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재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 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걸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지그는 한쌍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결함홈에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 형성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 위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홈에 삽 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돌기에 들어맞는 고정홈이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치열 교정시 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종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면의 순측(외측) 및/또는 설측(내측)에 부착해야 한다. 이때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서 브라켓을 치아의 적절한 높이(Height)에 부착해야 하고, 교정 와이어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브라켓의 홈이 치아의 수직축(장축, 치아의 윗면으로부터 그을 수 있는 가장 긴 가상축)과 수직이 되도록(Angulation) 부착해야 한다.
이러한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면서, 브라켓이 치면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야 하고, 부착시에 그 부착 조건(높이 및 각도)을 기록하여 동일한 위치에 재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며,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부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하우징(20), 이동지그(10)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20)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태의 몸체(21)를 갖고 있다. 하우징(20)에는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홉(24)은 양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은 그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홈(24)의 내측벽에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1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제1 걸림턱(23)은 양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씩 형성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 걸림턱(23)에는 후술하는 이동 지그(10)의 제2 걸림턱(13)이 결합되며, 제1 걸림턱(23)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 이동 지그(10)의 부착위치가 다르게 되며,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주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1 걸림턱(23)은 바람직하게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직사각형의 형상 등 후술하는 제2 걸림턱과 서로 대응하여 제2 걸림턱이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걸림턱(23) 형성부분의 하우징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위치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돌기(25)는 하우징(20)이 치면에 부착 될 때 치면에 도포된 결합용 수지(접착제)와 하우징의 바닥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늘리게 하는 효과가 있고, 도포된 수지가 하우징의 접촉돌기(25)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분에 투입되어 상당량이 흘러내리지 않고 접촉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동지그(10)
이동지그(1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브라켓을 수직치면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동지그(10)는 치아의 축방향(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1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4)는 긴 막대형상 또는 막대형상 보다 좀더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의 일측 끝부분에는 지지부재(14)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삽입부재(12)가 마련된다.
삽입부재(12)는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에 삽입되며, 삽입부재(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홈(24)의 제1 걸림턱(2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제2 걸림턱(13)은 상기 제1 걸림턱(23)과 마찬가지로 톱니 형상, 사각, 사다리꼴 단면 등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재(12)는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의 깊이보다 작은 수평길이를 갖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4)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6)는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도 1 참조)의 너비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홈의 너비보다 약간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6)는 상기 삽입부재(12)가 절곡되어 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에는 삽입부재(1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18)가 형성된다. 손잡이(18)는 손 또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지그(10)를 하우징(20)에 삽입하여 치면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각도 지시부재
상기 지지부재(14)에서, 상기 결합돌기(16) 형성위치 중 결합돌기 형성면과 반대면에는 각도 지시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7)이 형성된다.
각도 지시부재(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다. 도 3(a)는 그 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적어도 일측끝단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각도 지시부재(30)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끝단의 절곡방향은 상기 삽입돌기(32)가 뻗어있는 방향과 같다.
각도 지시부재(30)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홀(17)에 삽입돌기(32)를 삽입한 상태로 사용된다.
도 3(c)는 상기 각도 지시부재(30) 및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 및 이동지그가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이동지그(10)의 브라켓 결합돌기(16)에 브라켓(103)을 끼우고, 하우징(20)의 결함홈에 이동지그(10)의 삽입부재(12)를 삽입한다. 이때 브라켓(103)의 위치는 치아의 중심(치아의 최장축에 수직하게)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 내의 제1 걸림턱 중 적당한 높이의 걸림턱에 상기 삽입부재(12)를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20)을 치아(101)의 수평치면에 부착한다.
이때 브라켓의 뒤쪽에는 각도 지시부재(30)가 지지부재(14)에 삽입되어 있으며, 브라켓(103)을 수직치면에 가져갈 때 브라켓의 와이어 수납홈이 치아의 최장축에 수직하도록 맞추게 된다. 즉, 치아의 최장축과 각도 지시부재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각도 지시부재를 삽입돌기(32)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그 각도 지시부재의 지시축에 일치하도록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도 3(c)에는 이러한 높이 및 수직각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브라켓(103)이 도시되어 있다.
흘림방지부재(67)
도 4는 흘림방지 부재를 형성한 부착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서 하우징(70)은 도 2의 하우징(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4(a)에서의 이동지그(60)가 도 4(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동지그(60) 역시 손잡이(68), 삽입부재(62), 결합돌기(64)를 갖는 점에서 도 2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도 4에서는 치아면과 하우징(70)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교정용 접착수지)가 브라켓 고정과정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67)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흘림방지부재(67)는 상기 결합돌기(64)보다 더 많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의 두께에 결합돌기의 돌출량을 더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641)
또한, 도 4에서 상기 결합돌기(64)의 일측 끝단에 상측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64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641)는 결합돌기(64)가 끼워지는 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브라켓의 위치선정이나, 이동지그를 통한 브라켓 이동중의 위치 이동/탈락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641)와 동일한 고정돌기(171)를 도 2(b)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쌍의 이동지그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70)의 결함홈(74)이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하우징의 결합홈이 양측에 모두 개구부를 갖도록 하는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70)을 사용하면 치아의 외측 및 내측에 동시에 브라켓을 부착시키는 이동지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일측의 이동지그(601)는 치아의 외측에서 브라켓을 이동시켜 부착하게 되고, 타측의 이동지그(602)는 치아의 내측에서 브라켓을 이동시켜 부착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이동지그(601,602)의 삽입부재의 길이는 하우징의 결합홈(74)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도록 형성하여야만 한다.
밴드고정홈(8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에서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88)이 형성된다. 도 5(a)의 사시도에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90) 및 이동지그(80)를 포함하게 된다. 하우징의 구조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이동지그(80)는 결합돌기(84)의 상하측으로 지지부재(85)에 밴드고정홈(88)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밴드고정홈(88)은 결합돌기(84)가 삽입되어 브라켓이 이동지그에 안착되면 브라켓과 이동지그를 탄성밴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탄성밴드를 걸기 위해 밴드고정홈(88)은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고정홈(88)은 끝단이 양측면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 탄성밴드를 걸어도 잘 빠지지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돌기(84)의 일측끝단에는 고정돌기(841)가 형성되어 브라켓의 수평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어금니 브라켓용 접촉돌기(954)
도 6은 어금니 브라켓용 접촉돌기를 갖는 브라켓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교정용 브라켓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의 수납홈을 전면에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어금니 쪽에 부착되는 브라켓은 수납홈이 튜브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교정 와이어가 시작되는 부분 및 끝나는 부분을 이루기 때문이며, 따라서 와이어의 상하 이동위치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완전히 체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어금니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는 다른 형상의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에서, 하우징(20)은 도 2와 동일하고,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이동지그(95)는 결합돌기대신에 상기 어금니 브라켓(104)의 양측 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954)를 포함하게 된다. 접촉돌기(954)는 끝이 뾰족한 원뿔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접촉암(952)의 끝단에 형성된다.
결합부재를 갖는 부착장치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브라켓을 고정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그 위치 조절이 용이하면서 재현성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구조의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도 7(a)에 따른 부착장치는 하우징(50)과 그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부재(40) 및 결합부재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지그(45)를 포함하게 된다.
도 7(c)에서,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결합홈(56)이 형성된다. 하우징(50)의 하부면은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소 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0)는 도 7(d)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결합홈(56)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돌출되어 있어 그 돌출된 면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43)가 형성된다. 고정돌기(43)는 반구형의 돌기가 될 수 있으며, 탄성적으로 어느정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40)의 절개홈(44)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지그(45)가 삽입된다. 이동지그(45)는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48)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8)는 양측면에 상기 결합부재의 절개홈의 고정돌기(43)에 들어맞는 고정홈(47)이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홈(47)은 지지부재(48)의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된다. 이들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43)에의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조여지며, 이에 의해 이동지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지그(45)는 또한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46)를 포함한다. 결합돌기의 형상은 앞서 살펴본 도면에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지그(45)는 상기 결합부재(40)의 절개홈(44)에 결합되며, 결합부재는 이동지그를 결합한 채로 하우징(50)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지그(45)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결합부재의 고정돌기(43)에 이동지그(45)의 고정홈(47)이 걸리면서 소정 피치만큼 이동하게되고, 이에 의해 결합돌기(46)의 수 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나사형 이동지그(415)
또한 상기 이동지그는 도 8에서와 같이 나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결합부재(410)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는 동일하다. 그러나, 결합부재(410)의 일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않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4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홈(412)을 통해 이동지그(415)가 회전하며 삽입된다. 따라서 이동지그(415)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벽면에는 소정 피치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지그의 하부측에는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4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나사산을 가진 이동지그(415)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결합돌기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는 유지력이 강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이동지그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높이 선택형 이동지그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은 높이 선택형 이동지그(242)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9(a) 및 9(b)에서, 하우징(241)은 다단의 서랍방식이 아닌, 한단으로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41)의 하부면 및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실 시예에서와 같고, 단지 높이를 선택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아닌 점이 다르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241)에 이동지그(242)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이 부착될 위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지그(242)를 도 9(b)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높이가 미리 정해진 세트를 사용하게 된다. 도 9(b)에서 좌측의 이동지그가 가장 수직길이가 길게 되고, 우측으로 갈 수록 그 높이가 작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아모형에 적합한 높이를 가진 이동지그를 선택하여 이동지그의 결합홈에 브라켓을 끼우고, 이 이동지그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브라켓을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구조는 하우징을 보다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이동지그를 여러개 세트로 제작하여 각 높이별로 다른 이동지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 높이의 조절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각종 게이지나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브라켓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고, 브라켓 부착위치를 재현하기 용이하도록 부착 높이 및 각도를 수치화할 수 있어 재현성이 뛰어난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 부착시의 시야 및 접근의 곤란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및 각도 조절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용이하게 부착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쉽게 부착하고 부착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지그를 브라켓과 하우징에 삽입하고 하우징을 치아모형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트랜스퍼 트레이가 제작되므로, 교정작업에 드는 시간, 노동력,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2)

  1.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재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걸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지그는 한쌍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결함홈에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 형성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 위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3.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돌기에 들어맞는 고정홈이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1.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나사홈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2.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와 삽입부재 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이동지그가 한 세트를 이루어, 브라켓 부착시 필요한 길이를 가진 이동지그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KR1020040069010A 2004-08-31 2004-08-31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10059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ko) 2004-08-31 2004-08-31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PCT/KR2005/002640 WO2006025661A1 (en) 2004-08-31 2005-08-12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ko) 2004-08-31 2004-08-31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214A true KR20060020214A (ko) 2006-03-06
KR100594356B1 KR100594356B1 (ko) 2006-06-30

Family

ID=3600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ko) 2004-08-31 2004-08-31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4356B1 (ko)
WO (1) WO200602566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35B1 (ko) * 2007-08-09 2009-05-26 이준호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KR20170004410A (ko) 2015-07-02 2017-01-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20190132801A (ko) * 2018-05-21 2019-11-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4047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071B1 (ko)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 가능한 치열 교정 브라켓 부착용 장치
KR20210031944A (ko) * 2019-07-30 2021-03-23 정푸 장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WO2022177147A1 (ko) * 2021-02-18 2022-08-25 마이라인 주식회사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52B1 (ko) 2007-10-04 2009-07-20 최용현 치아교정 시술용 연결구
JP5362383B2 (ja) 2009-02-18 2013-12-11 有限会社オーソスターシオン 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US11534269B2 (en) * 2019-07-30 2022-12-27 Zhengpu ZHANG Mounting device for directly bonding brackets to the tooth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208A (en) 1976-09-22 1979-01-16 Lawrence Pearlman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for orthodontic brackets
US4422849A (en) * 1981-11-17 1983-12-27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4474555A (en) 1981-11-17 1984-10-02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rthodontic bracket
US4424029A (en) * 1982-06-01 1984-01-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Lingual placement device
WO1998006347A1 (en) 1996-08-12 1998-02-19 Silvia Ger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gual brackets placement
JP2000014681A (ja) 1998-07-07 2000-01-18 Toshiaki Ko 歯科矯正装置のブラケット位置決め具およびブラケット取り付け方法
KR100419445B1 (ko) 1999-12-31 2004-02-19 김중한 치열 교정용 설측브라켓 부착장치
US6447291B2 (en) * 1999-12-31 2002-09-10 Joong Han Kim Orthodontic jig for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35B1 (ko) * 2007-08-09 2009-05-26 이준호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KR20170004410A (ko) 2015-07-02 2017-01-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20190132801A (ko) * 2018-05-21 2019-11-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4047A (ko)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071B1 (ko)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치아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 가능한 치열 교정 브라켓 부착용 장치
KR20210031944A (ko) * 2019-07-30 2021-03-23 정푸 장 브라켓을 치아표면에 직접 접착하기 위한 장착 장치
WO2022177147A1 (ko) * 2021-02-18 2022-08-25 마이라인 주식회사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356B1 (ko) 2006-06-30
WO2006025661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356B1 (ko)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100899535B1 (ko)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KR100763315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3488694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取付装置
KR101691219B1 (ko)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US5090901A (en)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EP0950384B1 (en)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775B1 (ko) 임플란트 정밀유도 식립용 시술 기구 키트
US5064368A (en) Indexing device for placement of orthodontic brackets
US5219282A (en) Dental cast indexing for accurate placement of orthodontic brackets
JP2019503244A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製造方法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JP3645189B2 (ja) 義歯製作装置
KR20160010227A (ko) 치아의 수직고경의 오차를 수정하여 치아의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재현하여 정밀하게 교합측정을 할 수 있는 교합기 및 그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방법
KR102352945B1 (ko) 교합기용 치아모형 베이스 구조체
KR200275292Y1 (ko) 악교정 수술용 악골위치 설정장치
KR100769223B1 (ko) 타이포돈트
KR101042380B1 (ko)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WO2006016593A1 (ja) 歯科矯正セットおよび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の取付方法
KR101432420B1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US10993789B2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KR100251238B1 (ko) 하악의 중심위 악간관계 기록장치
KR101210757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Obaidi et al. Comparative Study of Two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Using Different Anchorage Systems (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