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801A -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801A
KR20190132801A KR1020180057766A KR20180057766A KR20190132801A KR 20190132801 A KR20190132801 A KR 20190132801A KR 1020180057766 A KR1020180057766 A KR 1020180057766A KR 20180057766 A KR20180057766 A KR 20180057766A KR 20190132801 A KR20190132801 A KR 2019013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jig
manufacturing
orthodontic devi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381B1 (ko
Inventor
전윤식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는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 치아의 측면에 설치되며 치아의 횡 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그로부터 치아의 표면을 따라 상기 수용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의 파쇄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ORTHODONTIC ZIG,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이하, 실시예들은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들의 균일하지 않은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malocclusion)은 치아들 자체의 발육 이상, 턱뼈의 발육 이상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을 가지는 사람들은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웃을 때 치아들을 가리기 위해 입을 가리는 등 대인 관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사람들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동안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고, 인접한 치아들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초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치아들에 지속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들을 둘러싸는 치조골(alveolar bone)의 개조(remodeling)와 함께 치아들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치아 교정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8376호는 아치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용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교정용 와이어가 설치되는 수용부를 치아의 최적의 위치에 포지셔닝 하도록 구성된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그와 수용부가 일체화되어 제작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 시 지그와 수용부가 쉽게 분리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는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 치아의 측면에 설치되며 치아의 횡 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지그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그로부터 치아의 표면을 따라 상기 수용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의 파쇄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두께가 얇은 제1부분과 두께가 두꺼운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에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제1부분이 파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은 치아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노치 형상을 구비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부와 치아의 표면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치아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그 및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치아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화성 바디; 및 상기 경화성 바디에 의해 둘러싸이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구강에 대해 개방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치아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화성 바디; 및 상기 경화성 바디 상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구강에 대해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지그는 치아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1부분; 및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임상 치관의 장축(facial axis of clinical crown)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요소는 상기 장축과 일치하도록 상기 장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대상체의 치아 구조에 관한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치아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와, 치아의 측면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지그 및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가 치아의 측면 중 오목한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오목한 부분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 중 상기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대상체의 개개의 치아 구조에 맞게 제작되어 수용부를 치아의 최적의 위치에 포지셔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지그와 수용부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사용 시 지그와 수용부가 쉽게 분리됨으로써 임상에서 사용의 편리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대상체의 치아들의 각각에 결합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치아의 횡 방향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일 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치아의 횡 방향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또 다른 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임상 치관의 장축을 설명하기 위한 대상체의 치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치아의 상부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지그의 상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대상체의 치아들의 각각에 결합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100)는 대상체의 치아들의 각각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치과 교정 장치(100)는 지그(110), 수용부(120), 연결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치과 교정 장치(100)가 사용되는 대상을 말하며, 사람, 동물과 같은 생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110)는 치아의 최적화된 위치에 수용부(120)를 포지셔닝 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120)가 치아의 원하는 위치에 포지셔닝되면, 지그(110)는 치아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지그(110)는 대상체의 개개의 치아의 구조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지그(110)는 치아의 구조를 스캐닝함으로써 획득되는 3차원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110)는 3차원 프린팅 기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지그(110)는 치아의 상부, 특히 임상 치관(clinical crown)을 둘러싸며 치아의 외측면, 상부면 및/또는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110)는 치아의 외측면과, 상부면과, 내측면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의 외측면은 대상체의 구강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을 말하고, 치아의 상부면은 윗 치아와 아랫 치아가 맞닿는 표면을 말하고, 치아의 내측면은 대상체의 구강의 내측을 향하는 표면을 말한다.
수용부(120)는 교정용 와이어(W)가 치아의 횡 방향을 따라 통과하도록 와이어(W)를 수용하며 치아의 외측면 및/또는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와이어(W)는 치아의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도 시간이 지나도 지속적인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W)는 니켈-티타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0)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하는 물질(e.g. 레진(resin))로 형성된 바디, 브라켓(bracket)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지그(110)와 수용부(1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30)는 지그(110)로부터 치아의 측면을 따라 수용부(120)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 지그(1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부(130)는 지그(110) 및 수용부(120)와 마찬가지로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지그(110) 및 수용부(1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치과 교정 장치는 지그와 수용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치과 임상의와 같은 사용자가 지그와 수용부를 연결한 후 지그를 치아에 결합하였다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100)는 지그(110), 수용부(120) 및 연결부(1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치과 교정 장치(100)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상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와이어(W)가 수용부(1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와이어(W)를 수용부(1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고정부(140)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고정부(140)는 밴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치아의 횡 방향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일 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지그(110)는 임상 치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지그(110)는 치아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1부분(112),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제2부분(114) 및 치아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3부분(1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120)는 바디(122) 및 슬롯(12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2)는 치아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122)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22)는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2)는 덩어리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슬롯(124)은 와이어(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슬롯(124)의 직경은 약 0.25mm일 수 있다. 슬롯(124)의 일부는 구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와이어(W)를 개방된 슬롯(124)으로 삽입한 후, 와이어(W)를 바디(122)에 고정부(140)로 고정할 수 있다. 슬롯(124)은 바디(122)에 의해 둘러싸이며 바디(122)를 기준으로 치아의 표면의 맞은편인 바디(122)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그 적어도 일부가 파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파쇄되면,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었던 지그(110)와 수용부(120)는 분리될 수 있다. 지그(110)와 수용부(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그(110)를 치아에 결합하여 수용부(120)를 치아의 표면 중 원하는 위치에 포지셔닝 한 후 연결부(130)에 힘을 인가하면,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파쇄되면서 지그(110)와 연결부(130)의 남은 부분이 함께 수용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두께가 얇은 제1부분(132)과, 두께가 두꺼운 제2부분(134)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30)의 일 부분은 타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결부(130)에 힘을 인가하면, 응력(stress)이 두께가 두꺼운 제2부분(134)보다 두께가 얇은 제1부분(132)에 더욱 집중됨에 따라 제1부분(132)이 파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의 제1부분(132)은 그루브(1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232)는 노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루브(1232)는 대상체의 구강을 바라보는 연결부(130)의 외측에 치아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치아의 표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30)와 치아의 표면 사이에는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연결부(130)에 힘을 인가하면, 여유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여유 공간을 향하여 파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여유 공간은 연결부(130)의 제1부분(132)과 치아의 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치아의 횡 방향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또 다른 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220)는 와이어(W)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220)는 바디(222) 및 브라켓(22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22)는 치아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222)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24)은 와이어(W)를 수용하는 슬롯(2242)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224)은 슬롯(2242)이 대상체의 구강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24)은 바디(222)가 경화되기 이전에 바디(222)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용부(220)를 치아의 내측면에 설치하고 와이어(W)를 슬롯(2242)에 삽입하면, 고정부(140)로 와이어(W)를 브라켓(224)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임상 치관의 장축을 설명하기 위한 대상체의 치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상체의 치아의 일부에 수직 방향의 가상선과 수평 방향의 가상선이 도 4에 도시된다. 여기서, 수직 방향의 가상선은 임상 치관의 장축(facial axis of clinical crown; FACC)으로 불리는 선으로, 구치를 제외한 모든 치아에서, 치아 표면의 가장 돌출된 부위를 연결하는 선을 말한다. 임상 치관의 장축은 치아의 앵귤레이션(angulation) 조절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5는 치아의 상부에서 바라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지그의 상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그(110)는 임상 치관의 장축(FACC)을 안내하는 표시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42)는 치아의 앵귤레이션 조절을 위하여 치아에 대한 지그(110)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142)는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110)의 제2부분(114)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42)는 치아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지그(110)의 제1부분(112)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그(110)에 표시된 표시부(1142)를 보면서 지그(110)를 치아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110)에 연결되는 수용부(120)(도 1 내지 도 3 참조)가 치아의 표면의 최적의 위치에 포지셔닝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142)는 임상 치관의 장축(FACC)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 요소는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 요소는 임상 치관의 장축(FACC)과 일치하도록 임상 치관의 장축(FACC)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먼저 대상체의 치아 구조에 관한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를 획득(310)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의 치아 구조에 관한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는 CT 스캔 또는 레이저 스캔 등의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후,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은 획득된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치아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320)할 수 있다. 여기서, 치과 교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320)는 지그와, 수용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지그와, 수용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제조하면,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치과 교정 장치가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320)는 연결부가 치아의 측면 중 오목한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및 연결부와 오목한 부분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320)는 연결부 중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
    치아의 측면에 설치되며 치아의 횡 방향을 따라 와이어가 통과하도록 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지그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그로부터 치아의 표면을 따라 상기 수용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의 파쇄(break)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되는 치과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두께가 얇은 제1부분과 두께가 두꺼운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에 힘이 인가될 때 상기 제1부분이 파쇄되는 치과 교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치아의 표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노치 형상을 구비하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부와 치아의 표면 사이에 여유 공간(clearance space)이 형성되도록 치아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치과 교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및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치과 교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치아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화성 바디; 및
    상기 경화성 바디에 의해 둘러싸이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구강에 대해 개방된 슬롯;
    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치아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화성 바디; 및
    상기 경화성 바디 상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구강에 대해 개방된 슬롯을 구비한 브라켓;
    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8. 치아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1부분; 및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제2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임상 치관의 장축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 요소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요소는 상기 장축과 일치하도록 상기 장축 상에 위치하는 치과 교정 지그.
  11. 대상체의 치아 구조에 관한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해부학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별 치아의 외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지그와, 치아의 측면에 설치되고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부와, 상기 지그 및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일체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가 치아의 측면 중 오목한 부분 위에 위치하도록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오목한 부분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교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부 중 상기 오목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057766A 2018-05-21 2018-05-21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66A KR102090381B1 (ko) 2018-05-21 2018-05-21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66A KR102090381B1 (ko) 2018-05-21 2018-05-21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801A true KR20190132801A (ko) 2019-11-29
KR102090381B1 KR102090381B1 (ko) 2020-03-17

Family

ID=6872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766A KR102090381B1 (ko) 2018-05-21 2018-05-21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21A (ko) * 2019-09-10 2021-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KR102656766B1 (ko) 2021-03-11 2024-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발치 교정치료용 지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지그
KR102656762B1 (ko) 2021-03-11 2024-04-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발치 교정치료용 지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14A (ko) * 2004-08-31 2006-03-06 김중한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20100094426A (ko) * 2009-02-18 2010-08-26 유겐가이샤오소스타시온 브래킷 장착 지그
KR101675089B1 (ko) * 2016-07-13 2016-11-11 이노범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KR20170034803A (ko) * 2017-03-09 2017-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456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디오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14A (ko) * 2004-08-31 2006-03-06 김중한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20100094426A (ko) * 2009-02-18 2010-08-26 유겐가이샤오소스타시온 브래킷 장착 지그
KR101675089B1 (ko) * 2016-07-13 2016-11-11 이노범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KR20180017456A (ko) *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디오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170034803A (ko) * 2017-03-09 2017-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821A (ko) * 2019-09-10 2021-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381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801A (ko)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760026B2 (en) Instrumented intra-oral appliance computationally designed for optimized fitting and functionality
KR102095105B1 (ko)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KR101547112B1 (ko)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94074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872448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953692B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33815A1 (en) Method of Using a Demonstration Dental Template with Digital Representation for Modeling Dental Restorations
KR101538289B1 (ko)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추출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1075989B1 (ko)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KR102027338B1 (ko) 디지털 부분틀니 제조방법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KR20170034803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091571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112987B1 (ko) 2개의 맞춤화된 부분으로 형성된 맞춤화된 치과용 지대치
KR102590346B1 (ko)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KR102080243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스플린트
KR101192926B1 (ko) 교정용 미니스크류 가이드 및 그 제작방법
KR102242491B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320791B1 (ko) 치열 교정 장치 부착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KR102021100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처리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범용트레이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