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10A -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410A
KR20170004410A KR1020150094715A KR20150094715A KR20170004410A KR 20170004410 A KR20170004410 A KR 20170004410A KR 1020150094715 A KR1020150094715 A KR 1020150094715A KR 20150094715 A KR20150094715 A KR 20150094715A KR 20170004410 A KR20170004410 A KR 20170004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ooth
mount
base
orthodo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242B1 (ko
Inventor
강성남
김형문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8Devices for displaying or storing lost natural teeth, e.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B29C67/008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튼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기저부를 이루며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브라켓을 배치와 시술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개별 환자의 치아 및 치열 구조에 적합하게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재제작이 쉽고 내구성과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Bracket Mount For Orthodontic Treatment, Bracket Module Hav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Of Bracket Moun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특정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포지셔닝(Positioning) 및 고정하는 브라켓 마운트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측면 형상과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브라켓 마운트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균일한 치열과 이로 인한 부정교합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나 나쁜 식습관 등으로 인해 치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된다.
부정교합이거나 치열이 고르지 못한 사람들은 대화를 할 때나 웃을 때 입을 가리거나 대인관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처하게 되므로 원만한 사회생활을 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섭취시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거나 치간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게 되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치아의 이동을 통해 치열을 개선하는 치열교정치료(치열교정시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치아들 각각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과용 레진(접착제)으로 부착하고, 브라켓의 홈(슬롯)에 교정 와이어를 설치해서 상기 치아들에 교정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브라켓의 설치위치에 따라 순측교정과 설측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교정이란 치아의 순측면(입술측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해서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교정이란 상기 브라켓을 치아의 설측면(Lingual Side)에 부착해서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 그리고 상기 순측교정용 교정장치를 순측교정장치라 칭하고 상기 설측교정용 교정장치를 설측교정장치라 칭한다.
상술한 치열교정시술에서는 치아에 교정력이 바르게 전달되도록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정위치 즉 포지셔닝(Positioning)이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치열교정의 결과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단 및 시술계획에 의해 미리 결정된 위치(기설정 위치)에 브라켓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 교정장치의 일 예인 설측교정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치과 기공사가 환자의 치열구조를 본뜬 실물 석고 모형에서 치아부분을 전부 분리하고, 치과용 왁스로 성형된 치은부에 상기 치아부분을 수조작으로 배열해서 셋업모델을 제작한 후, 상기 치아부분에 상용 설측 브라켓 즉 기성품 설측 브라켓을 배치/접착하는 등 전 과정을 수조작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교정장치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동일한 형태로 교정장치를 재제작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교정치료를 통해 치아가 움직이는 양을 정량적으로 계측하기도 어렵다.
상기 브라켓의 포지셔닝을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0214호에는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일체형 만능 브라켓 부착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높다.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019호에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 위치설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브라켓을 치면에 고정한 후에 지그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브라켓을 지그에 정위치시키는 과정이 용이하지 못하며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와 시술의 용이성과 안정성과 비용의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0214호, 2003년 3월 6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019호, 2007년 11월 8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브라켓의 포지셔닝 및 고정이 용이하고 재제작과 수정이 쉬우며 내구성이 우수한 개인 맞춤형 브라켓 마운트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설측 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기설정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 마운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튼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기저부를 이루며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상기 마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부는; 상기 마운트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마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장착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치아식별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치아식별 표시부는; 상기 마운트 본체를 관통해서 상기 치아 접합면에 형성되는 식별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본체는 치아 접합체와 브라켓 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접합면은 상기 치아 접합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체는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치아 접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결합체에 상기 브라켓 탑재면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니켈-크롬(Ni-Cr) 합금이거나 코발트-크롬(Co-Cr)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아 접합면은, 상기 치아의 설측면에 접합되도록 상기 치아의 설측면이 각인된 형상이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설측교정장치의 구성품 즉 설측 브라켓용 마운트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순측교정장치의 구성품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치열교정용 브라켓과,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 와이어 지지용 브라켓 모듈을 제공하며: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교정 와이어가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에 구비되는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베이스는 상기 브라켓 탑재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이고,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는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기저부를 이루며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조로 컴퓨터상에서 디자인되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하는 마운트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트 성형단계는: 3차원 성형장비가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a)단계;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모형을 성형하는 (b)단계; 상기 모형과 동일한 공동부(Cavity)를 갖는 성형틀을 제조하는 (c)단계; 그리고 상기 성형틀에 상기 브라켓 마운트용 성형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하는 (d)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3차원 프린팅 방식 또는 절삭가공 방식으로 상기 모형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치과용 왁스 재질의 상기 모형을 성형하는 단계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모형의 외부에 상기 성형틀을 형성한 후 왁스소환(Lost wax technique)을 통해 상기 모형을 상기 성형틀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성형단계는: 3차원 프린터가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조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와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브라켓을 배치와 시술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개별 환자의 치아 및 치열 구조에 적합하게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브라켓을 포지셔닝시키는 지그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브라켓을 시술위치에 그대로 고정시켜서 제자리에 유지하는 브라켓 고정수단이므로, 브라켓을 구강 내 특히 치아의 설측면에 시술한 후에 브라켓과 별도로 제거되지 않고 브라켓과 함께 상기 브라켓 시술위치에 그대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교정장치 전체의 설치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치면에 직접 부착되는 기존 상용 브라켓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정시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브라켓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금속 재질 특히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으로 제조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재제작이 쉬우며, 침이나 수분 등의 환경으로 인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제조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는 컴퓨터상의 가상 셋업 모델을 이용하여 디자인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조되므로, 디지털화에 의해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과정이 쉽고, 정량화에 의해 실제 치아 이동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장치의 파손이나 소실시에도 동일한 형태로 재제작하여 구강 내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에 의하면, 방향 표시부 및/또는 치아식별 표시부로 인해 브라켓 마운트의 시술 위치가 쉽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구강 내 시술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에는 홀 형태의 치아식별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술위치의 식별 및 접착제의 드레인(Drain)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종류를 배치 순서대로 나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일 예로서 전치 특히 중절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를 갖는 브라켓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일 예로서 구치 특히 제1대구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를 갖는 브라켓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의 종류를 배치 순서대로 나열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의 일 예로서 전치 특히 중절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이 우측 중절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의 일 예로서 구치 특히 제1대구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이 우측 제1대구치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들을 이용해서 환자의 구강 내에 설측교정장치의 일 예가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a와 도 13b는 컴퓨터상에 구현된 가상 셋업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과 컴퓨터 영상이다.
도 14a와 도 14b는 가상 셋업 모델에 가상 브라켓 모듈이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과 컴퓨터 영상이다.
도 15a와 도 15b는 가상 브라켓 모듈이 가상 셋업 모델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과 컴퓨터 영상이다.
도 16a와 도 16b는 가상 브라켓 모듈에서 브라켓 이미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과 컴퓨터 영상이다.
도 17은 컴퓨터 디자인에 의해 획득된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된 모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컴퓨터 디자인에 의해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된 모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9는 금속 주조방식으로 성형된 브라켓 마운트들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실시 예들과 브라켓 모듈의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종류를 배치 순서대로 나열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일 예로서 전치 특히 중절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들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를 갖는 브라켓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일 예로서 구치 특히 제1대구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를 갖는 브라켓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100A, 100B)는 각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Bracket; 200A, 200B)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치아 형상과 각각의 치아에 적용 예정인 브라켓(200A, 200B)의 형상을 고려하여 각 치아마다 별도로 맞춤형으로 제조된다. 도 1에서 도면 부호가 적용되지 않은 다른 구조물들도 모두 브라켓 마운트들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들 중 중절치와 제1대구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들(100A, 100B)이 예시된다.
상술한 브라켓 마운트(100A, 100B)들은 각각,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110A, 110B)와 치아 접합면(120A, 120B)과 브라켓 탑재면(130A, 130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켓 치아 즉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결합되는 치아별로 형상은 변경될 수 있지만 기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들 중 중절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일 예(100A)와 이를 갖는 브라켓 모듈의 일 예(10A)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는, 상기 브라켓을 특정 치아의 측면에 포지셔닝(Positioning)시키는 기능과 교정치료 기간 동안 상기 브라켓을 치아의 측면에 고정해서 제자리에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운트 본체(110A)는 경질 즉 단단한 재질 예를 들면 금속 재질로서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며, 상기 브라켓(200A)은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를 매개로 해서 특정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교정치료를 위해 상기 치아의 표면 예를 들면 설측면이나 순측면(또는 협측면)에 접합되는 면으로서, 특정 치아의 기설정된 부위에 형합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 중 특정 부위가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진다.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상기 마운트 본체(110A)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은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110A)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의 일측에는 치면이 접합되고 반대측에는 상기 브라켓(200A)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은 상기 브라켓(200A)의 기저부 즉 브라켓 베이스(210)와 결합(면접합)되는 면으로서,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에는 상기 브라켓 베이스(210)의 표면이 각인된 홈 형상의 베이스 자국(Base Surface Indentation)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브라켓 베이스(210)는 상용 브라켓(Commercial Bracket)의 기저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부분이며, 상기 브라켓 베이스(210)에는 브라켓 몸체(220)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220)는 교정 와이어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교정 와이어가 끼워지는 홈(슬롯)이나 홀과 같은 와이어 결합부(221)가 형성된다. 상용 브라켓이라 함은 개인 맞춤형이 아닌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브라켓으로서, 치과 분야에는 다양한 종류의 상용 브라켓이 공지/공용되고 있으므로 브라켓 자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종래에는 상기 상용 브라켓의 브라켓 베이스가 치면에 직접 접착되는 형태이나, 본 발명은 브라케 마운트를 매개로 상기 브라켓이 치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은 환자에게 적용 예정인 상용 브라켓의 형상 특히 브라켓 베이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맞춤형(형합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브라켓이 적용되는 치아별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본체(110A)에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110A)는 좌우측 구별이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마운트 본체(110)에 방향 표시부(113)를 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 표시부(113)는 상기 마운트 본체(110A)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브라켓 마운트(100A)의 근심부(전치방향으로 설치되는 부분)를 원심부(구치방향으로 설치되는 부분)보다 길게 해서 시술자가 쉽게 설치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하나, 상기 방향 표시부(113)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좌측 치열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방향 표시부와 우측 치열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방향 표시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가 치면에 부착할 때 방향 표시부가 형성된 부분이 앞쪽(본 실시 예에서는 좌우 중절치의 치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 본체(110A)에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장착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치아식별 표시부(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개별 치아에 맞춤형으로 제조되는 브라켓 마운트들은 어느 치아에 적용되는 것인지 즉시 식별되기 어려우므로, 타겟 치아(Target Tooth)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치아식별 표시부(114)가 상기 마운트 본체(110A)에 적용되면 시술의 용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치아식별 표시부(114)는 상기 마운트 본체(110A)를 관통해서 상기 치아 접합면에 형성되는 홀 즉 식별홀 형태가 될 수 있다. 타겟 치아(각각의 브라켓 마운트와 1대 1로 매칭되는 치아)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식별홀의 크기, 개수, 또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해서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치면 예를 들면 치아의 설측면에 접착하는, 경우 상기 식별홀을 통해 잉여 접착제가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브라켓 마운트의 접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 본체(110A)는,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이 형성되는 부분인 치아 접합체(111)와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이 형성되는 부분인 브라켓 결합체(112)로 구분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110A)는 전체가 동일 재질로 일체로 성형된다.
즉,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상기 치아 접합체(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체(112)는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의 반대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치아 접합체(11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 결합체(112)는 상기 치아 접합체(111)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이나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브라켓 결합체(112)에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해당 치아의 끝 부분(Tip Portion) 즉 중절치의 절단연을 피개하도록 중절치의 절단연이 각인된 자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 표시부(113)가 상기 중절치의 절단연의 적어도 일부를 피개하도록 치아 접합면(120A)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접합면이 넓을수록 보다 정확한 포지셔닝이 가능하며, 특히 치아 접합면이 절단연(전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경우)이나 교합면(구치에 적용되는 브라켓 마운트의 경우)의 적어도 일부를 피개하는 형상인 것이 좋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의 재질은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치과용 비금속 계열 합금은 치기공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는 니켈-크롬(Ni-Cr) 합금이거나 코발트-크롬(Co-Cr) 합금을 들 수 있다.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은 치과 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라켓(200A)이 설측교정장치를 이루는 설측 브라켓(Lingual Bracket)인 경우 상기 치아 접합면(120A)은 타겟 치아(본 실시 예에서는 중절치)의 설측면이 각인된 형상이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설측교정장치의 구성품 즉 설측 브라켓용 마운트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순측교정장치의 구성품 즉 순측 브라켓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순측 브라켓용 브라켓 마운트에는 타겟 치아의 순측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아 접합면이 형성된다.
상술한 브라켓 마운트 즉 중절치의 브라켓 마운트(100A)에 해당 치아를 위한 브라켓(200A)이 고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의 일 예인 중절치 브라켓 모듈(10A)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모듈(10A, 10B)은 치아에 고정되어서 교정 와이어를 지지하는 기구로서, 상술한 치열교정용 브라켓(200A, 200B)과 브라켓 마운트(100A, 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브라켓(200A, 200B)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 100B)의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이고, 상기 브라켓(200A, 200B)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며, 상기 브라켓 베이스(210)는 상기 브라켓 탑재면(130A, 130B)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브라켓 마운트(100B)와 브라켓 모듈(10B)은 제1대구치용을 예시한 것으로서, 기본 구성요소는 상술한 예(중절치용 브라켓 마운트)와 동일하며, 다만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중절치용 브라켓 마운트(100A)와 비교할 때 치아 접합면(120B)의 형상에 차이가 있으며, 적용되는 브라켓(200B)의 구조와 형상이 달라짐에 따라 브라켓 탑재면(130B)의 형상도 변경되고, 물론 마운트 본체(110B)의 외관도 변경된다. 그리고 상술한 중절치용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향 표시부(113)와 치아식별 표시부(114) 및 재료 등 그 외의 특징들 역시 제1대구치용 브라켓 마운트(100B)를 포함한 다른 치아용 브라켓 마운트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개별 치아 맞춤형 브라켓 모듈들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 치아마다 각각 별도의 브라켓 모듈이 제조되며, 상술한 브라켓 모듈들 중 전치 특히 중절치(T1)에 고정되는 브라켓 모듈의 예(10A)가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중절치용 브라켓 모듈(10A)이 중절치(T1)의 설측면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도면 부호가 적용되지 않은 다른 구조물들도 모두 브라켓 모듈들이다.
그리고 도 9에는 상술한 브라켓 모듈들 중 구치 특히 제1대구치(T6)에 고정되는 브라켓 모듈의 예(10B)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중절치용 브라켓 모듈(10A)이 제1대구치(T6)의 설측면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브라켓 모듈들을 이용해서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된 설측교정장치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100A, 100B)를 디자인하는 컴퓨터 디자인과정(S10)과 브라켓 마운트 성형과정(S20)을 거쳐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CAD/CAM을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디자인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환자의 실물 셋업 모델(셋업 모형이라고도 함)을 제작한 후 3차원 스캐너(덴탈 스캐너)로 스캔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3차원 형상 데이터 즉 가상 셋업 모델의 형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환자의 치아를 3차원 스캔한 가상 모형을 역설계 프로그램상에서 정량적으로 재배열해서 컴퓨터 화면상에 가상 셋업 모델을 구현하고 그에 대한 3차원 형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브라켓 마운트의 디자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3차원 스캐너의 구체적인 예로는 광학 스캐너(Optical Scanner: S600 ARTI, Zirkonzahn, Italy)가 있고, 3D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예는 Geomatic Design X(3D Systems, CA, USA)가 있으며, CAD/CAM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는 Milling Unit M5(Zirkonzahn, Italy)를 들 수 있다.
도 13a와 도 13b는 컴퓨터 화면상에 구현된 가상 셋업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셋업 모델의 의미와 가상 셋업 모델을 얻는 기술 그 자체는 치과 분야 및 치과 교정용 소프트웨어 분야에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브라켓 마운트의 컴퓨터 디자이너는 상술한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를 브라켓 설치 대상 치아별로 디자인한다. 즉 컴퓨터가 상술한 가상 셋업 모델의 3D 형상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컴퓨터 화면상에 가상 셋업 모델(도 13b 참조)을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 예정인 상용 브라켓들의 3D 형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컴퓨터 화면상에 가상 브라켓(VB)들의 이미지를 출력되면, 컴퓨터 디자이너는 가상 브라켓들을 가상 셋업 모델의 치아부분 중 설측면의 설치 예정 위치에 정렬해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마운트들을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조로 디자인한다. 상술한 상용 브라켓들의 3D 형상 데이터는 실물 상용 브라켓을 3D 스캔하는 과정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고, 상용 브라켓의 3D 디자인을 통해 얻어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가상 셋업 모델의 치아부분(VT) 특히 설측면에 입혀져서 가상 셋업 모델의 치아부분과 가상 브라켓(VB)의 브라켓 베이스가 인기된 형상이 되도록, 치아부분(VT)의 설측면과 가상 브라켓(VB) 사이에 브라켓 마운트의 이미지(MT)를 디자인하면,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브라켓 모듈이 가상 셋업 모델상에 구현된다. 그리고, 가상 브라켓 모듈에서 가상 셋업 모델을 제거하면 도 15b와 같이 가상 브라켓 모듈이 디스플레이 화면(컴퓨터 화면)에 출력된다.
상술한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 즉 3D 형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블리언(Boolean)으로 가상 셋업 모델과 가상 브라켓을 가상 브라켓 마운트에서 모두 분리하면,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브라켓 마운트 즉 브라켓 마운트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3D 컴퓨터 디자인 기술 그 자체는 3D 컴퓨터 디자인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므로 디자인의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되며, 다만 본 발명은 가상 셋업 모델과 가상 브라켓 이미지를 이용해서 상술한 3D 컴퓨터 디자인 기술로 브라켓 마운트를 디자인함으로써 CAD/CAM을 이용해서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고 동일 구조의 브라켓 마운트를 쉽게 재제작할 수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마운트 성형과정(S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조로 컴퓨터상에서 디자인되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들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 즉 제조하는 마운트 성형단계이다.
상기 마운트 성형단계는, 3차원 성형장비 예를 들면 쾌속 조형기(Rapid Prototyping Machine)과 같은 3차원 프린터나 밀링 장비(Milling Machine)와 같은 절삭장비가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S21)와,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모형(Pattern)을 성형하는 단계(S22)와, 상기 모형과 동일한 공동부(Cavity)를 갖는 성형틀을 제조하는 단계(S23)와, 상기 성형틀에 상기 브라켓 마운트용 성형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하는 단계(S24, S2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모형의 재질은 치과용 왁스 재질 예를 들면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 예시될 수 있다. 도 17은 3D 절삭장비 예를 들면 5축 구동 밀링장비에 의해 제조된 PMMA 재질의 모형을 예시한 사진으로서 PMMA 재질의 디스크를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대로 밀링가공한 것이고, 도 18은 3차원 프린터 예를 들면 쾌속 조형기에 의해 성형된 모형의 사진이다.
도 18에서 흰색 부분은 브라켓 마운트의 모형으로서 상기 성형틀에 공동부를 형성하고, 파란색 줄기 부분은 성형재료(Casting Material)의 주입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치과용 왁스 예를 들면 기공용 왁스로 제조되며, 분홍색 부분은 성형재료의 주입구인 성형틀의 입구로서 치과용 왁스 예를 들면 기공용 왁스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성형틀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모형에 외부에 성형틀을 형성한 후 상기 모형을 제거하면 브라켓 마운트용 성형틀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왁스 재질 모형의 외부에 성형틀을 형성한 후 왁스소환(Lost wax technique)을 통해 상기 모형을 상기 성형틀의 내부에서 제거한다. 그리고 상술한 모형을 기반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성형틀을 제조한 후 상기 성형틀에 성형재료 예를 들면 니켈-코롬 합금(Non Beryllium Ni-Cr Alloy For PFM prothetics, Wiron 99, BEGO, Germany)을 주입/경화후 분리함으로써 도 19와 같은 브라켓 마운트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직접 성형될 수도 있다. 즉, 3차원 프리터가 컴퓨터로부터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3차원 프린팅함으로써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만, 3차원 프린터는 재료와 성형 속도 등이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A, 10B: 브라켓 모듈
100A, 100B: 브라켓 마운트 110A, 110B: 마운트 본체
111: 치아 접합체 112: 브라켓 결합체
113: 방향 표시부 114: 치아식별 표시부
120A, 120B: 치아 접합면 130A, 130B: 브라켓 탑재면
200A, 200B: 브라켓 210: 브라켓 베이스
220: 브라켓 몸체

Claims (18)

  1.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로서: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기저부를 이루며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설치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는; 상기 마운트 본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마운트가 장착되는 치아를 표시하는 치아식별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식별 표시부는; 상기 마운트 본체를 관통해서 상기 치아 접합면에 형성되는 식별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본체는 치아 접합체와 브라켓 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접합면은 상기 치아 접합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체는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치아 접합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 결합체에 상기 브라켓 탑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으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니켈-크롬(Ni-Cr) 합금이거나 코발트-크롬(Co-Cr)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접합면은, 상기 치아의 설측면에 접합되도록 상기 치아의 설측면이 각인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11. 치열교정용 브라켓과,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상기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정 와이어 지지용 브라켓 모듈로서: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베이스와, 상기 교정 와이어가 결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에 구비되는 브라켓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마운트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라켓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베이스는 상기 브라켓 탑재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모듈.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재질은 치과용 비귀금속 계열 합금이고,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모듈.
  14.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정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한 경질의 마운트 본체(Mount Body); 상기 치아의 표면에 접합되어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치아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치아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치면 자국(Indentation)을 가지며, 상기 마운트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치아 접합면;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기저부를 이루며 상기 치아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면접합되도록, 상기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이 각인된 형상의 베이스 자국을 가지며, 상기 치아 접합면의 반대측인 상기 마운트 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탑재면을 포함하여 구조로 컴퓨터상에서 디자인되는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하는 마운트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성형단계는:
    3차원 성형장비가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a)단계;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모형을 성형하는 (b)단계;
    상기 모형과 동일한 공동부(Cavity)를 갖는 성형틀을 제조하는 (c)단계; 그리고
    상기 성형틀에 상기 브라켓 마운트용 성형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성형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3차원 프린팅 방식 또는 절삭가공 방식으로 상기 모형을 성형하는 단계를 갖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치과용 왁스 재질의 상기 모형을 성형하는 단계이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모형의 외부에 상기 성형틀을 형성한 후 왁스소환(Lost wax technique)을 통해 상기 모형을 상기 성형틀의 내부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성형단계는:
    3차원 프린터가 상기 브라켓 마운트의 형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형상 데이터와 동일한 모양으로 상기 브라켓 마운트를 3차원 프린팅 방식으로 조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의 제조방법.
KR1020150094715A 2015-07-02 2015-07-02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10175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15A KR101757242B1 (ko) 2015-07-02 2015-07-02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715A KR101757242B1 (ko) 2015-07-02 2015-07-02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10A true KR20170004410A (ko) 2017-01-11
KR101757242B1 KR101757242B1 (ko) 2017-07-12

Family

ID=5783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715A KR101757242B1 (ko) 2015-07-02 2015-07-02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47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CN114305757A (zh) * 2022-01-12 2022-04-12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齿正畸托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14A (ko) 2004-08-31 2006-03-06 김중한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20070108019A (ko)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열 교정용 브라켓 위치설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1392A2 (en) * 2006-03-31 2008-12-17 Rmo, Inc. Orthodontic bracket with lined archwire slot and cover
KR100991835B1 (ko) * 2010-01-26 2010-11-04 하만희 치아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14A (ko) 2004-08-31 2006-03-06 김중한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KR20070108019A (ko) 2006-05-04 2007-11-08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열 교정용 브라켓 위치설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047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CN114305757A (zh) * 2022-01-12 2022-04-12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齿正畸托槽
CN114305757B (zh) * 2022-01-12 2024-03-29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齿正畸托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242B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15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denture devices
KR100865079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위치설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21422A1 (en) Reduced registration bonding template
US991881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with a template
JP5507599B2 (ja) 歯列校正用ブラケット位置設定ジグ
US9326834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denture devices
US20170065373A1 (en) Tooth-positioning appliance,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KR100899535B1 (ko) 브래킷 또는 튜브용 이송 지그, 이의 제작법 및 사용법
US20080286716A1 (en) Dental tray with anterior torque reducing handle
US20150182314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Denture Devices
CA292370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KR20150095747A (ko) 치과 교정용 브래킷을 근사화한 유사체를 포함하는 치열궁을 나타내는 실물모형 및 실물모형의 제조 방법
JP2006043121A (ja) 歯科矯正装置のブラケット取り付け治具およびブラケット付き取り付け治具。
KR101075989B1 (ko)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US20160338813A1 (en) Tool for obtaining dental occlusion in edentulous patient
KR101711545B1 (ko)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환자 맞춤형 대체 브래킷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브래킷
KR102027338B1 (ko) 디지털 부분틀니 제조방법
KR100865080B1 (ko) 치열 교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시스템
KR101883954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757242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101436955B1 (ko) 브라켓 배치를 위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2157109B1 (ko) 맞춤형 교정 브라켓 제조용 브라켓 블록, 맞춤형 교정 브라켓 세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5624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KR101804991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