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35B1 - 치아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35B1
KR100991835B1 KR1020100007003A KR20100007003A KR100991835B1 KR 100991835 B1 KR100991835 B1 KR 100991835B1 KR 1020100007003 A KR1020100007003 A KR 1020100007003A KR 20100007003 A KR20100007003 A KR 20100007003A KR 100991835 B1 KR100991835 B1 KR 10099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der
orthodontic
tooth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만희
Original Assignee
하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만희 filed Critical 하만희
Priority to KR1020100007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 상기 브라켓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홀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술자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들 중에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교정장치{ORTHODONTICS DEVICE}
본 발명은,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교정장치의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치아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심미적 치료를 말한다. 치아가 고르게 나 있지 않은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인 경우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게다가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열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이동시켜 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이 치아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아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을 치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도 하다.
이러한 치아교정에는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는 치아교정장치가 사용되는데, 통상적으로 치아교정장치는 교정 대상이 되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 고정되는 브라켓(Bracket)과, 브라켓에 결선되어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 와이어(Orthodontic Wire)를 포함한다. 이때, 브라켓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치아의 치면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교정 와이어는 일반적인 브라켓의 경우 결찰 와이어(Ligature Wire) 등을 통해 브라켓에 고정되는 한편, 자가결찰 브라켓의 경우 브라켓 자체에 달려있는 덮개를 열고 닫음으로써 브라켓에 고정된다.
한편, 치아교정치료에 있어서, 시술자는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을 선택하는 것이 시술 편의성의 향상, 치료기간의 단축 및 치료비용의 절감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컨대,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결찰 작업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의 통증이 적다는 점에서 자가결찰 브라켓이 유리하고,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치아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교정 와이어를 브라켓에 강하게 묶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브라켓이 유리하다.
그런데, 종래의 치아교정장치는 일반적인 브라켓을 사용하든 자가결찰 브라켓을 사용하든 브라켓 자체가 접착제에 의해 치아에 치면에 견고히 부착 고정되기 때문에,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으로 교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술 편의성의 향상, 치료기간의 단축 및 치료비용의 절감 등의 측면에서, 시술자가 쉽고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브라켓을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들 중에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 상기 브라켓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홀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결선되는 교정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홀더는,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브라켓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홀더는,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브라켓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브라켓과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자가결찰형 브라켓으로 제공되고,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일반형 브라켓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치아교정장치는 상기 브라켓 홀더 상에서 상기 브라켓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 홀더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를 접촉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 홀더 및 상기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브라켓 홀더 및 상기 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에 브라켓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시술자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들 중에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치아에 강한 토오크나 비틀림 모멘트가 걸리더라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교정치료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교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아교정장치에서 일반형 브라켓을 자가결찰형 브라켓으로 교체한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도 5b의 치아교정장치에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치아교정장치에서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교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치아교정장치에서 일반형 브라켓을 자가결찰형 브라켓으로 교체한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110, Bracket Holder)와,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20, Bracket)과, 브라켓(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시키는 커넥터(130, Connector)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 홀더(110)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몸체부(111)와,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방향, 즉 브라켓 홀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도록 몸체부(111)의 양측에 마련되는 안내부(115)를 포함한다. 브라켓 홀더(110)는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나, 세라믹 재질 또는 투명한 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부(111)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브라켓(12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몸체부(111)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안내부(115)는 몸체부(111)의 양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마련된다. 안내부(115)는 절곡된 형상으로 인해 그 내측면에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안내부(115)의 슬라이딩 홈에는 브라켓(120)에 마련된 커넥터(130)의 양측 단부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30)를 통해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된 브라켓(120)은 브라켓 홀더(110)의 길이 방향(브라켓(1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안내부(115)는 브라켓(120)이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홈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안내부(115)는 몸체부(11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 홈을 제공하기 때문에, 브라켓(120)을 견고히 지지하면서도 브라켓(120)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안내부(115)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예컨대 안내부(115)는 몸체부(111)의 중앙 영역에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도록 마련되거나, 슬라이딩 홈 대신에 슬라이딩 레일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홀더(110)는 몸체부(111)에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되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플랜지부(11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플랜지부(113)에 의해, 브라켓 홀더(110)는 치아에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치아에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c를 참조하면, 브라켓(1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121, Stem)과, 폭 방향으로 두 갈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윙(123, Wing)과,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 와이어(W, 도 4c 참조)가 수용되는 와이어 홈(125)을 포함한다. 브라켓(120)은 브라켓 홀더(110)와 마찬가지로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나, 세라믹 재질 또는 투명한 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템(121)은 브라켓(120)에서 한 쌍의 윙(123)을 지지하는 동시에 커넥터(13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윙(123)은 스템(12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템(121)의 좌우 단부에 배치된다.
윙(123)은 브라켓(120)에서 와이어 홈(125)에 수용된 교정 와이어(W)를 브라켓(1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결찰 와이어(미도시, Ligature Wire)가 결찰되는 부분이다. 와이어 홈(125)은 스템(121)과 윙(123) 사이에 마련되어 교정 와이어(W)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브라켓(120) 자체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브라켓(120)은 일반형 브라켓의 일 예에 불과한 것이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라켓은 본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일반형 브라켓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브라켓(140)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자가결찰형 브라켓(Self Ligature 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치아교정장치는 도 1의 치아교정장치에서 일반형 브라켓(120)을 자가결찰형 브라켓(140)으로 교체한 것이다.
여기서, 「일반형 브라켓」이란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 와이어를 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결찰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교정 와이어를 브라켓에 단단히 묶는 결찰 작업이 필요한 브라켓을 의미한다. 또한, 「자가결찰형 브라켓」은 브라켓 자체에 덮개가 달려있어 이를 열고 닫는 방식으로 교정 와이어를 넣고 뺄 수 있어 별도의 결찰 와이어 없이도 교정 와이어를 브라켓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켓을 의미한다. 참고로,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결찰 작업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의 통증이 적다는 점에서 자가결찰형 브라켓이 유리하고,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치아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교정 와이어를 브라켓에 강하게 묶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형 브라켓이 유리하다.
다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로 돌아와서, 브라켓(120)은 환자의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20)은 브라켓(120)에 결선되는 교정 와이어(W)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20)은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시술자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들 중에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결찰 작업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의 통증이 적은 자가결찰형 브라켓,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브라켓(140)을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시켜 교정치료를 진행하다가,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치아의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자가결찰형 브라켓을 브라켓 홀더(110)로부터 제거하고 교정 와이어(W)를 브라켓에 강하게 묶는 일반형 브라켓,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브라켓(120)을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시켜 교정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브라켓은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도 3의 브라켓(140)과 같은 자가결찰형 브라켓으로 제공되고,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도 1의 브라켓(120)과 같은 일반형 브라켓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치아가 지나치게 삐뚤빼뚤하여 붙이기 곤란한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브라켓을 선택할 수도 있고, 발치 치아가 과도하게 안으로 들어가 보일 경우에는 역 모멘트를 주는 큰 토오크 갖는 브라켓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교정치료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20)은 차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브라켓 홀더(110)와 브라켓(120)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치아에 강한 토오크나 비틀림 모멘트가 걸리더라도 교정 와이어(W)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20)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 방향이 교정 와이어(W)의 길이 방향이라는 점에서, 즉 브라켓(120)이 교정 와이어(W)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교정 와이어(W)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치아에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13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브라켓(120)의 몸체부(121)에 마련된다. 커넥터(130)는 브라켓(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커넥터(130)는 브라켓(120)과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브라켓(120)에 결합된 커넥터(130)는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30)는 그 양측 단부가 브라켓 홀더(110)의 안내부(115)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브라켓 홀더(110)에 체결된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130)는 브라켓(120)을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브라켓(120)은 커넥터를 통해 브라켓 홀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 홀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커넥터(130)는 브라켓(120)과 마찬가지로 통상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나, 세라믹 재질 또는 투명한 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브라켓(120)이 브라켓 홀더(11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플레이트 형상의 커넥터(130)를 통해 결합되므로, 실질적인 설계 변경을 가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다양한 브라켓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환성이 부족한 브라켓 제조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실용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한 치아교정방법을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술자는 브라켓 홀더(110)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교정의 대상의 되는 환자의 치아(T)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브라켓 홀더(110)를 치아(T)에 고정시킨다. 이때, 브라켓 홀더(110)를 치아(T)의 치면에 부착하기 전에 치아(T)의 치면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 예컨대 에칭, 세정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커넥터(130)가 마련된 브라켓(120)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110)에 교정 와이어(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치아(T)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 와이어(W)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20)에 결선한 후에 결찰 와이어(미도시)를 사용하여 교정 와이어(W)를 브라켓(120)에 고정시킨다. 이때, 브라켓(120)은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결찰 와이어가 결찰되기 전이면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 홀더(110)의 길이 방향, 즉 치아(T)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시술자는 브라켓(120)의 위치를 가장 바람직한 위치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가결찰형 브라켓(140)을 채용한 치아교정장치의 경우에는 결찰 와이어에 의한 결찰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에 브라켓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시술자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브라켓들 중에서 교정치료의 상황 혹은 환경에 따라 적합한 브라켓을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교정치료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차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에 브라켓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 홀더와 브라켓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치아에 강한 토오크나 비틀림 모멘트가 걸리더라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브라켓 홀더와 브라켓을 결합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설계 변경을 가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다양한 브라켓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환성이 부족한 브라켓 제조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실용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차아에 고정된 브라켓 홀더에 브라켓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이 브라켓 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치아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브라켓의 위치를 교정치료의 상황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위치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평면도들이고, 도 6은 도 5b의 치아교정장치에서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를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110, Bracket Holder)와,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20, Bracket)과, 브라켓(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시키는 커넥터(130, Connector)와,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112,132, Stopper)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112,132)가 추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스토퍼(112,132)는 브라켓 홀더(110)에 형성되는 돌출부(112)와 커넥터(130)에 형성되는 홈부(1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2)는 브라켓 홀더(110)의 안내부(115)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홈부(132)는 커넥터(130)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12)와 홈부(132)는 맞물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12)는 원형 돌기 형상으로 브라켓 홀더(110)의 우측 단부에 2개가 배치되고, 홈부(132)는 원형 홈 형상으로 커넥터(130)의 우측 단부에 2개가 배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돌출부(112) 및 홈부(132)의 형상, 위치, 개수 등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돌출부(112)가 커넥터(130)에 형성되고 홈부(132)가 브라켓 홀더(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토퍼(112,132)는 브라켓 홀더(110)에 브라켓(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킬 때(도 5a 참조)에는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브라켓(120)이 최종적인 위치에 이르렀을 때(도 5b 및 도 6 참조)에는 스토퍼(112,132)를 구성하는 돌출부(112)와 홈부(132)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20)은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구성에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112,132)를 추가함으로써,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120)을 위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교정 와이어의 결선 작업 및/또는 결찰 와이어의 결찰 작업 등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치아에 강한 토오크나 비틀림 모멘트가 걸리더라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치아교정장치에서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를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110, Bracket Holder)와, 브라켓 홀더(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20, Bracket)과, 브라켓(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시키는 커넥터(130, Connector)와,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스톱 나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스톱 나사(150)가 추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톱 나사(150)는 브라켓 홀더(110)에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브라켓 홀더(110)의 한 쌍의 안내부(115) 중 어느 하나에 관통 체결된다. 이를 위해, 스톱 나사(150)가 체결되는 브라켓 홀더(110)의 안내부(115)에는 체결 홀(117)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스톱 나사(150)는 브라켓 홀더(110)에 브라켓(12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킬 때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120)의 정확한 위치가 정해지면 회전에 의해 커넥터(130) 측으로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30)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스톱 나사(150)는 브라켓 홀더(110)에 관통 체결되어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넥터(130)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브라켓(120)은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톱 나사(150)는 브라켓 홀더(110)의 한 쌍의 안내부(115) 중 어느 하나에 한 개가 마련되지만, 스톱 나사(150)가 결합되는 부분 및 스톱 나사(150)의 개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하기 위해 브라켓 홀더(110)의 한 쌍의 안내부(115)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스톱 나사(15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스토퍼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스톱 나사(150)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후크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의 스토퍼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구성에 브라켓(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스톱 나사(150)를 추가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갖는 이점들을 그대로 가지면서도, 브라켓 홀더(110) 상에서 브라켓(120)의 정확한 위치가 정해지면 브라켓(120)을 위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교정 와이어의 결선 작업 및/또는 결찰 와이어의 결찰 작업 등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치아에 강한 토오크나 비틀림 모멘트가 걸리더라도 교정 와이어에 의해 제공되는 교정력을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브라켓 홀더
111 : 몸체부
112 : 돌출부
113 : 플랜지부
115 : 안내부
120 : 브라켓
121 : 스템
123 : 윙
130 : 커넥터
132 : 홈부
150 : 스톱 나사

Claims (11)

  1.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 홀더;
    교정치료의 상황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 홀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홀더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커넥터;
    상기 브라켓 홀더 상에서 상기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결선되는 교정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 홀더에 관통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홀더는,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브라켓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홀더는,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치아에 부착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브라켓과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교정치료의 초기에는 자가결찰형 브라켓으로 제공되고, 교정치료의 후기에는 일반형 브라켓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07003A 2010-01-26 2010-01-26 치아교정장치 KR10099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03A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01-26 치아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03A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01-26 치아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35B1 true KR100991835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003A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01-26 치아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028A2 (en) * 2011-01-12 2012-07-19 Staley Robert N Method and system for bodily translating a tooth with a wide and adjustable width brackets
KR101192805B1 (ko) 2011-02-21 2012-10-18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541126B1 (ko) 2014-04-11 2015-08-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가능한 자가결찰 치아교정장치
WO2016074122A1 (zh) * 2014-11-10 2016-05-19 广州瑞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化舌侧正畸托槽及其制造方法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KR101757242B1 (ko) * 2015-07-02 2017-07-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US10098710B2 (en) 2015-05-14 2018-10-16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US11452578B2 (en) 2015-05-14 2022-09-27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7010A (ja) 2006-05-17 2007-11-29 Norifumi Kimur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7597553B2 (en) 2005-12-05 2009-10-06 Norifumi Kimura Orthodontic bracket
KR100925286B1 (ko) 2007-10-29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7553B2 (en) 2005-12-05 2009-10-06 Norifumi Kimura Orthodontic bracket
JP2007307010A (ja) 2006-05-17 2007-11-29 Norifumi Kimur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100925286B1 (ko) 2007-10-29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028A2 (en) * 2011-01-12 2012-07-19 Staley Robert N Method and system for bodily translating a tooth with a wide and adjustable width brackets
WO2012097028A3 (en) * 2011-01-12 2012-09-13 Staley Robert N Method and system for bodily translating a tooth with a wide and adjustable width brackets
US9289273B2 (en) 2011-01-12 2016-03-22 Robert N. Staley Method and system for bodily translating a tooth with a wide and adjustable width brackets
KR101192805B1 (ko) 2011-02-21 2012-10-18 (주)덴토스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541126B1 (ko) 2014-04-11 2015-08-0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가능한 자가결찰 치아교정장치
WO2016074122A1 (zh) * 2014-11-10 2016-05-19 广州瑞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定制化舌侧正畸托槽及其制造方法
US10098710B2 (en) 2015-05-14 2018-10-16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US11452578B2 (en) 2015-05-14 2022-09-27 Cosmo Haralambidis Orthodontic retention components, kit and system
KR101757242B1 (ko) * 2015-07-02 2017-07-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브라켓 마운트, 브라켓 모듈 및 브라켓 마운트 제조방법
KR101691219B1 (ko) 2016-07-21 2016-12-30 김중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위치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35B1 (ko) 치아교정장치
US11065088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6403707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および該ブラケットの設置装置
US20170325911A1 (en) Bonding Guide with Living Hinge Pins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US7857618B2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US20140178830A1 (en) Guidance element for a tooth
US20120288817A1 (en) Orthodontic Devices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JP2013520249A (ja) 前方開口部を備えたブラケット、及びブラケット連結構造体を備えた歯列矯正ブラケット装置
US20160367340A1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correcting malpositioned teeth
JP6441304B2 (ja) 歯科矯正装具及びその作動方法
EP3158968B1 (en) Bracket, bracket straightening system and teeth straightening method
KR20200063732A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US20170196661A1 (en) Apparatus for achieving molar distalization
JP2018532507A (ja) 歯科矯正用セルフライゲーティングブラケット
US20140295369A1 (en) Orthodontic Accessory
JP2015521918A (ja) 結紮特徴部を有する歯科矯正装具
KR20140144044A (ko)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210033960A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ES2841803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con muelle coplanario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698126B1 (ko)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CN211796964U (zh) 一种自锁托槽用间接粘结装置
CN209499935U (zh) 正畸托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