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05B1 - 치열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05B1
KR101192805B1 KR1020110014997A KR20110014997A KR101192805B1 KR 101192805 B1 KR101192805 B1 KR 101192805B1 KR 1020110014997 A KR1020110014997 A KR 1020110014997A KR 20110014997 A KR20110014997 A KR 20110014997A KR 101192805 B1 KR101192805 B1 KR 10119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portion
teeth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584A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주)덴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토스 filed Critical (주)덴토스
Priority to KR102011001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3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bonding or removing orthodontic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시 치아에 접착사용하였던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환자의 고통없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금속이나 세라믹분말소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 브라켓을 제조하되,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부 테두리에 걸림부를 구성한 다음 교정후 치아로부터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집게를 걸림부에 걸어 가압케 함으로서 브라켓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ORTHODONTICS BRACKET}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금속이나 세라믹분말소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고정시킨 다음 치열교정술을 통하여 교정완료후 치아로부터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환자에게 고통을 전가하는 일 없이 간단히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로서, 브라켓과 교정선 및 결속타이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을 접착제로 치아표면에 견고히 접착고정되게 한 다음, 브라켓의 슬롯에 교정선, 즉 와이어를 끼우고, 상기 와이어가 슬롯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타이로 결속하되, 와이어가 치아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장시키면서 틀어진 치아를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교정하게 되며, 교정이 되면 결속타이와 와이어를 브라켓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치아에 접착된 브라켓을 집게로 집어 치아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치열교정에서 사용되는 브라켓의 경우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하는 금속브라켓과, 세라믹소재 등과 같은 분말재료를 소결공법으로 성형한 브라켓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때 금속브라켓의 경우, 치아와 접촉하는 베이스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가공을 통하여 부가시킬 수 있어 치아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하는데에 별문제가 없으나, 치아 표면에 접착된 금속브라켓이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미감상 거부감을 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세라믹이나 지르코늄, 지르코니아, 포셀라인, 경질합성수지 등과 같은 분말소재를 이용하여 치아의 색상과 동일유사한 색상으로 제조가 가능한 성형브라켓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세라믹분말소재 등으로 제작한 성형브라켓의 경우 재질 특성상 2차가공이 곤란하기 때문에 치아와 접촉하는 베이스부에 요철가공을 할 수 없어 접착제와의 결착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견고한 접착을 위하여서는 강력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정완료후 치아로부터 성형브라켓을 제거하고자 집게를 이용, 브라켓의 헤드부를 집어 비틀더라도 강력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에게 고통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4에서와 같이 성형브라켓(1)의 슬롯(2)에 절삭홈(3)을 구성하여, 치아로부터 성형브라켓(1)을 제거하고자 할 때 집게로 헤드부(4)를 집어 가압케 함으로서, 슬롯(2)에 구성된 절삭홈(3)을 중심으로 성형브라켓(1)의 베이스부(6)가 절단제거되게 한 성형브라켓(1)이 제공된바 있다.
따라서 상기한 성형브라켓(1)의 경우 집게로 집어 비틀어 당기는 수단이 아니라, 집게로 헤드부를 가압하여 베이스부가 절단제거되게 하는 수단으로서 환자의 고통은 경감시킬 수 있겠으나, 간혹 절단과정에서 베이스부(6)가 절단되지 않고, 헤드부(4)에 구성된 걸림턱(5)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어 브라켓(1)의 제거에 많은 불편함과 고통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일반금속이나 세라믹분말소재 등으로 제조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사용, 교정후, 치아로부터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환자의 고통없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금속이나, 세라믹분말소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 브라켓을 제조하되,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부 테두리에 걸림부를 구성한 다음 교정후 치아로부터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집게를 걸림부에 걸어 가압케 함으로서 브라켓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베이스부 테두리에 걸림부를구성하여 교정후 치아로부터 브라켓을 제거하고자 할 때 집게를 걸림부에 걸어 가압,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환자의 고통없이 브라켓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브라켓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 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브라켓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 : 도 5의 사시도
도 7 : 도 5에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 단면도
도 8 : 도 6에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도
도 9 : 본 발명의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킨 상태도
도 10 : 본 발명의 브라켓에 와이어와 결속타이가 결합된 상태도
도 11 : 본 발명의 브라켓이 치아에 초기접착된 상태도
도 12 : 도 11에서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도
도 13 : 본 발명의 브라켓이 치아에 접착된 상태에서 집게로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4 : 종래 브라켓의 정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구성도로서, 금속소재나 세라믹분말소재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브라켓(10)을 제조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브라켓(10)은 세라믹이나 지르코늄, 지르코니아, 포셀라인, 경질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며, 금속으로 제조한 브라켓의 경우에는 베이스부(10)이나 슬롯(31)에 구성되는 절삭홈(31)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브라켓(10)은 베이스부(20) 상에 헤드부(30)를 구성하되, 헤드부(30) 중앙에는 슬롯(31)이 요입구성되어 있고(베이스부(20) 및 슬롯(31) 중앙에는 절삭홈(32)이 구성되게 할 수도 있음), 베이스부(20)와 헤드부(30) 사이에는 걸림홈(33)이 구성되게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브라켓과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10)은 베이스부(20) 양측 혹은 각 테두리 사방에 내향경사진 걸림부(40)를 마주보게 구성하여 집게에 의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브라켓(10)의 베이스부(20) 테두리에는 탄성수지로 된 커버(50)를 결합구성하되, 커버(20)의 본체(51)가 걸림부(40) 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단절곡부(52)는 베이스부(20) 테두리부를 감싸지게 구성함으로서 베이스부(20)의 걸림부(40)로부터 커버(50)가 이탈되지 않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베이스부(20)에 구성된 걸림부(40)는 집게가 걸릴 수 있는 경사형태이면 만족하나 도 5에서와 같이 걸림부(40)에 별도의 걸림턱(41)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60)은 와이어, (61)은 결속타이, (62)는 치아, (63)은 접착제, (64)는 집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치열교정시술시 환자의 치아(62) 표면에 접착제(63)를 이용하여 접착하고, 헤드부(30)에 구성된 슬롯(31)에 와이어(60)를 끼운 다음 결속타이(61)로 결속고정되게 하고, 치아(62)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장기간 압박되게 하여 교정한다는 것은 종래의 브라켓과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브라켓(10)은 치열교정을 위하여 브라켓(10)을 치아(62) 표면에 접착시키는 과정과, 교정후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을 제거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즉 브라켓(10)을 치아(62) 표면에 접착시키고자 할 때 베이스부(20) 테두리에 탄성수지로 된 커버(50)를 씌워 커버(50)를 구성하는 본체(51)가 걸림부(40)에 위치되게 하고, 절곡부(52)가 베이스부(20) 테두리 상단에 위치되게 하여 커버(50)가 베이스부(20) 테두리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접착제(63)를 베이스부(20)에 도포한다.
베이스부(20)에 접착제(63)가 도포되면 브라켓(10)을 치아(62) 표면에 부착하게 되며, 이때 브라켓(10)의 베이스부(20)가 치아(62) 표면에 접촉되면서 가압될때 접착제(63)의 일부가 외측방향, 즉 걸림부(40)쪽으로 밀리더라도 커버(50)의 본체(51)에 의해 걸림부(40)에는 접착제(63)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63)에 의해 걸림부(40)가 메워질 우려는 없다.
상기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이 치아(62) 표면에 접착이 되면 접착제(63)에 의해 커버(50)가 일체형으로 접착고정되기 전에 분리제거케 함으로서, 도 11에서와 같이 베이스부(20)에 구성된 걸림부(40)가 노출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브라켓(10)이 치아(62) 표면에 접착이 완료되면, 상기 브라켓(10)에 통상의 방법과 같이 와이어(60)와 결속타이(61)를 결속하여 교정을 하게 되며, 교정이 완료된 다음 결속타이(61)와 와이어(60)를 차례로 제거한 다음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부(20)에 구성된 걸림부(4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집게(64)를 이용하되, 집게(64)의 선단부가 브라켓(10)의 베이스부(20) 일측에 구성된 걸림부(40)에 위치시킨 다음 집게(64)를 조금씩 가압하게 되면 걸림부(40)의 안내에 의해 집게(64)의 선단부가 치아(62)와 베이스부(20) 사이를 파고 들면서 베이스부(20) 양측 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집게(64)에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이 분리되며, 세라믹 브라켓의 경우에는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이 분리되거나, 베이스부(20) 및 슬롯(31) 중앙에 구성된 절삭홈(33)을 기준으로 브라켓(10)이 절단되면서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이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브라켓(10)은 치아(62)로부터 브라켓(10)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집게로 브라켓(10)의 헤드부(30)를 집어 고정한다면 비틀면서 당겨내어 분리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베이스부(20)에 별도의 걸림부(40)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부(40)에 집게(64)를 끼워 넣어 가압하여 가압되는 힘이 치아(62)와 베이스부(20) 사이에만 적용되게 함으로서 환자에게 전가되는 고통없이 쉽게 브라켓(10)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브라켓(10)은 금속브라켓은 물론 세라믹이나 지르코늄, 지르코니아, 포셀라인,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모든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적용될 수 있다.
(10)--브라켓 (20)--베이스부
(30)--헤드부 (31)--슬롯
(32)--절삭홈 (33)--걸림홈
(40)--걸림부 (41)--걸림턱
(50)--커버 (51)--본체
(52)--절곡부

Claims (3)

  1. 베이스부(20) 상에 슬롯(31)과 걸림홈(33)이 형성된 헤드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0) 양측 테두리에 내향경사진 걸림부(40)를 구성하여서 된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부(20) 테두리에 탄성수지로 된 커버(50)를 결합하되, 커버(50)에 구성된 본체(51)가 베이스부(20)에 구성된 걸림부(40)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상단절곡부(52)가 베이스부(20) 테두리를 감싸지게 구성함으로서, 브라켓(10)을 치아 표면에 접착하고자 할 때 커버(50)에 의해 접착제(63)가 걸림부(40)에 유입되지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KR1020110014997A 2011-02-21 2011-02-21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19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97A KR101192805B1 (ko) 2011-02-21 2011-02-21 치열교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997A KR101192805B1 (ko) 2011-02-21 2011-02-21 치열교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84A KR20120095584A (ko) 2012-08-29
KR101192805B1 true KR101192805B1 (ko) 2012-10-18

Family

ID=4688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997A KR101192805B1 (ko) 2011-02-21 2011-02-21 치열교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301B1 (ko) * 2012-04-25 2014-04-01 (주)덴토스 토크조정이 가능케 구성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13U (ko) 1986-08-01 1988-02-20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11-04 하만희 치아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13U (ko) 1986-08-01 1988-02-20
KR100991835B1 (ko) 2010-01-26 2010-11-04 하만희 치아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301B1 (ko) * 2012-04-25 2014-04-01 (주)덴토스 토크조정이 가능케 구성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584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4612A1 (en) Dento-facial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dontic arch wir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8920164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KR20120110982A (ko) 와이어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열 교정기
KR101480147B1 (ko) 치열 교정을 위한 브라켓
WO2007129630A1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EP2010091A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removable slot cover
JP2010512969A (ja) ブラケットを歯から取り外すための歯科矯正用手用器具
CA2910254C (en) An improved dental wedge
KR101405771B1 (ko) 교정 브라켓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KR101192805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US20180140384A1 (en) Orthodontic device
US8272869B2 (en) Dental matrix
KR100977708B1 (ko) 치열 교정용 브래킷
US20180200026A1 (en) Dental Separator Device
US20190231486A1 (en) Orthodontic anterior bite ramp
WO2010126716A1 (en) Elastomeric orthodontic bracket packaging system
EP1518510A1 (en) Element for aiding in the placing of dental fillings
US20120129125A1 (en) Dental matrix band
CN109069228A (zh) 正畸托槽
KR101356942B1 (ko) 치과교정용 브라켓
WO2007142560A1 (en) Placement jig for an orthodontic device
CN205411358U (zh) 颊面管
CN208876811U (zh) 一种牙套辅助拆取器
KR20150031948A (ko)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KR20150031949A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